KR20160051265A - Satellite lifting apparatus of adjusting central of gravity and lifting metho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Satellite lifting apparatus of adjusting central of gravity and lifting method by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265A
KR20160051265A KR1020140150895A KR20140150895A KR20160051265A KR 20160051265 A KR20160051265 A KR 20160051265A KR 1020140150895 A KR1020140150895 A KR 1020140150895A KR 20140150895 A KR20140150895 A KR 20140150895A KR 20160051265 A KR20160051265 A KR 20160051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satellite
panel
shaft
bal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8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9960B1 (en
Inventor
이동우
이상훈
문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5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960B1/en
Publication of KR2016005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2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9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5/00Ground equipment for vehicles, e.g. starting towers, fuel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tellite lift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a center of gravity and a satellit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Specifically, the satellite lift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a center of gravity comprises a weight adjustment unit disposed on each portion of a trolley on which a satellite is mounted, and adjusts a position of a connection ring to properly posi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tellite when transporting the satellite to stably lift and lower the satellite to improve assembly precision.

Description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위성 리프트 방법{SATELLITE LIFTING APPARATUS OF ADJUSTING CENTRAL OF GRAVITY AND LIFTING METHOD BY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tellite lift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a satellite lift method using the satellite lift apparatus.

본 발명은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위성 리프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인공 위성이 장착되는 트롤리 각 부분에 무게 조절부를 구비하는 한편 연결 고리의 위치를 조정하여 인공 위성 이송 시 무게 중심을 맞춰서 안정적인 승하강 및 이에 따른 조립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tellite lift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a satellite lift method using the satellite lift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tellite lift apparatus using a satellite,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adjusted to improve stable up / down movement and assembly precision.

일반적으로 인공 위성 조립 시 상기 인공 위성을 상하 방향 들어올리거나 하강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인공 위성에 설치되어 상기 인공 위성을 승하강하는 트롤리가 사용되어 왔다.Generally, when a satellite is assembled, the satellite is lifted up or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rolley installed on the satellite and used to ascend and descend the satellite has been used.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T)는 인공 위성의 일 측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트롤리(T)에 장치된 연결 고리(R)를 크레인이 들어올리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trolley T is fixed on one side of the satellite, and the crane R is lifted up by the connection ring R installed on the trolley T.

다시 말해서 인공 위성에 장착된 트롤리(T)를 크레인이 들어올리거나 하강시키면서 상기 인공 위성을 조립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trolley (T) mounted on the satellite is raised or lowered to assemble the satellite.

한편, 상기 인공 위성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경우 인공 위성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공 위성의 무게 중심에 맞게 트롤리를 장착, 승하강해야 한다.If the satellite is raised or lowered, the trolley must be mounted and lifted in accordance wit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tellite in order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satellite.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트롤리의 경우 인공 위성의 무게 중심을 맞추기가 어려워 안정적인 승하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rolley,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tellite so that it is difficult to ascend and descend in a stable manner.

또한, 이로 인해 정밀한 인공 위성의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ssemble a precise satellit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인공 위성을 승하강시키는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itself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atellite is well known and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선행기술문헌1) 미국 등록 특허 제5197341호(Prior Art Document 1) United States Patent No. 5197341 (선행기술문헌2) 미국 등록 특허 제3917093호(Prior Art Document 2) United States Patent No. 3917093 (선행기술문헌3) 미국 등록 특허 제5572838호(Prior Art Document 3) United States Patent No. 5572838 (선행기술문헌4) 일본 공개 특허 제2002-037082호(Prior Art Document 4)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02-037082 (선행기술문헌5) 한국 등록 특허 제10-1167770호(Prior Art Document 5) Korean Patent No. 10-116777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공 위성이 장착되는 트롤리 각 부분에 무게 조절부를 구비하는 한편 연결 고리의 위치를 조정하여 인공 위성 이송 시 무게 중심을 맞춰서 안정적인 승하강 및 이에 따른 조립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ight control unit for a trolley in which a satellite is mounted and adjust the position of a connection ring to adjust the center of gravity when transporting the satellite, And to provide a satellite lift device and a lift method using the satellite lift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공 위성을 상승시키는 리프트 장치(10)로서, 상기 리프트 장치(10)는 인공 위성이 연결되는 트롤리(100)와 상기 트롤리(100)에 형성되어 크레인에 연결되는 연결 고리(R)를 포함하되, 상기 트롤리(100)는 중공 형상으로서 다수 방향 돌출된 형상인 트롤리 본체(110)와,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설치되어 무게추(122)가 설치되는 무게 조절부(120)를 포함하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ft device (10) for raising a satellite, wherein the lift device (10) comprises a trolley (100) to which artificial satellites are connected, The trolley 100 includes a trolley body 110 having a hollow shape protruding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a trolley body 11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rolley body 110 and having a weight 122 And a weight adjusting part (120).

이때, 상기 무게 조절부(120)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아 형상의 폴(121)과, 상기 폴(121)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무게추(12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weight adjusting part 120 includes a bar-shaped pawl 121 formed at one side of the trolley body 11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isc weight weight 122 inserted into the pawl 121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it.

이때, 상기 트롤리(100)는 인공 위성이 고정되는 인공 위성 연결부(1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공 위성 연결부(130)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설치되는 끈 형상의 슬링(131)과, 상기 슬링(131) 끝단에 형성되어 인공 위성에 걸림되는 샤클(132)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olley 100 further includes a satellite connection unit 130 to which a satellite is fixed. The satellite connection unit 130 includes a string-shaped sling 13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And a shackle 132 formed at an end of the sling 131 and hooked to a satellite.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10)는 상기 트롤리(100)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고리(R)를 폭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2축 이송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lift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 biaxial conveyance unit 20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rolley 100 to move the connection ring R in a width direction or a biaxial direction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o.

또한, 상기 2축 이송부(200)는 상기 트롤리(100)의 트롤리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되 특정 방향의 가이드(280)가 형성된 판체 형상의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280)와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는 또 다른 가이드(232)가 형성되는 판체 형상의 제1패널(230)과, 상기 베이스(210)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패널(230)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패널(230)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220)와, 상기 제1패널(230)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면에 연결 고리(R)가 형성되는 제2패널(250)과, 상기 제1패널(230)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2패널(250)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패널(230)을 상기 제1패널(230)의 이동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송부(240)를 포함하되, 상기 제2패널(250)에 설치되는 연결 고리(R)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부에 형성된 개방부(110a)를 통해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iaxial conveyance unit 200 includes a base 210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guide 280 installed in the trolley main body 110 of the trolley 100 in a specific direction, Shaped first panel 230 on which the guide 280 is formed and another guide 232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guide 280. The first panel 230 is disposed on the base 210, A first panel 220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nel 230 to transfer the first panel 230 in a specific direction and a second panel 220 disposed on the first panel 230 and having a connection ring R on the top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panel 230 disposed on the first panel 230 and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anel 250 so that the second panel 230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panel 230 And a connection ring R provided on the second panel 250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rough the formed open portion 110a.

또한, 상기 제1이송부(220)는 상기 베이스(210)상에 설치되는 볼 스크류(223) 및 상기 볼 스크류(223)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210)상에 설치되며 제1패널(230) 저면에 설치되는 무빙 너트(225)와, 상기 볼 스크류(223) 일 측에 설치되는 엔드 너트(224)와, 핸들(229)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221) 및 상기 샤프트(221)와 볼 스크류(223)사이에 설치되는 조인트(22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transfer part 220 is installed on the base 210 by screwing the ball screw 223 and the ball screw 223 installed on the base 210 and the first panel 230 An end nut 22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ll screw 223; a shaft 221 rotated by a handle 229; a shaft 221 rotated by the handle 229; And a joint 222 provided between the screws 223.

또한, 상기 제2이송부(240)는 상기 제1패널(230)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 스크류(223)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핸들(249)에 의해 회전되는 제1샤프트(241)와, 상기 제1패널(230)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1샤프트(24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패널(250)을 이동하는 제2샤프트(242)와, 상기 제1샤프트(241)와 제2샤프트(242)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24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conveying unit 240 includes a first shaft 241 disposed on the first panel 230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ball screw 223 and rotated by a handle 249, A second shaft 242 disposed on the first panel 230 and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shaft 241 to move the second panel 250; And a connecting portion 243 provided between the two shafts 242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또한, 상기 제2샤프트(242)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샤프트(242)와 연동되는 볼 스크류(247)과, 상기 볼 스크류(247)과 제2샤프트(242)를 연결하는 플랜지(246)와, 상기 볼 스크류(247)에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서 제2패널(250) 저면에 설치되는 무빙 너트(245)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 ball screw 247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haft 242 and interlocked with the second shaft 242 and a flange 242 connecting the ball screw 247 and the second shaft 242 And a moving nut 245 screwed to the ball screw 247 and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anel 250.

또한, 상기 트롤리(100)는 상기 연결 고리(R)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고리(R)의 이동에 연동되는 지시 바아(114)와, 상기 트롤리(100)의 트롤리 본체(110) 상면 일 부에 형성되는 눈금자(111)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olley 100 includes an indication bar 114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ring R and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ring R,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the ruler 111 formed on the portion.

또한, 상기 트롤리(100)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 저면에 설치되는 바퀴 유닛(1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바퀴 유닛(150)은 상기 트롤리 본체(110) 저면에 배치되는 바퀴(151)와, 상기 바퀴(151)상에 설치되어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설치되는 고정 바아(152)와,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과 상기 고정 바아(152)를 관통하는 고정 핀(153)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olley 100 further includes a wheel unit 150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The wheel unit 150 includes a wheel 151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A fixing bar 152 installed on the wheel 151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and a fixing pin 153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and the fixing bar 152 )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무게 조절부(120)는 상기 폴(121)에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122)를 고정하는 고정 클립(123)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클립(123)은 상기 폴(121)을 감싸는 스프링부(123a)와, 상기 스프링부(123a) 양 단에 설치되는 파지부(123b)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weight adjusting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clip 123 installed on the pawl 121 to fix the weight 122. The fixing clip 123 may pivot the pawl 121 And a grasping portion 123b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portion 123a.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인공 위성을 리프트 하는 방법으로서, 인공 위성을 상기 인공 위성 연결부(130)에 의해 트롤리 본체(110)에 연결하는 한편, 상기 연결 고리(R)를 크레인에 설치하여 인공 위성을 리프트하되, 상기 트롤리 본체(110)의 무게 조절부(120)에 무게추(122)를 가감하는 한편, 상기 연결 고리(R)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트롤리 본체(110)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인공 위성 리프트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lifting a satellite by using the lift apparatus described above, wherein a satellite is connected to the trolley main body 110 by the satellite connection unit 130 while the connection ring R is connected to a crane The weights 122 are added to the weight adjusting part 120 of the trolley body 110 while the connection ring R is moved in a specific direction to lift the artificial satellite, ) There is another feature in the satellite lift method of adjus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a satellit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 위성 승하강시 무게 중심을 맞출 수 있어 안정적인 승하강 및 이에 따른 정밀한 인공 위성의 조립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aligned when the satellite ascends and descends, it is possible to stably ascend and descend and to assemble the satellite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로서 연결 고리 부분을 도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로서 2축 이송부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로서 바퀴 유닛을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l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hook portion as a l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axial conveyance unit as a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heel unit as a l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handl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exemplifica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that include components replaceable as equivalents in the elemen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로서 연결 고리 부분을 도시하는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로서 2축 이송부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로서 바퀴 유닛을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hook portion as a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eel unit as a l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의 후크에 연결된 채 인공 위성의 조립을 위해 인공 위성(1)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위성이 연결되는 트롤리(100)와 상기 트롤리(100)에 형성되어 크레인에 연결되는 연결 고리(R)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lift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en lifting up the artificial satellite 1 for assembling the artificial satellit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hook of the crane, As shown in FIG. 1, a trolley 100 is connected to a satellite, and a connection ring R is formed on the trolley 100 and connected to a crane.

이때, 상기 트롤리(100)는 중공 형상으로서 다수 방향 돌출된 형상인 트롤리 본체(110)와,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설치되어 무게추(122)가 설치되는 무게 조절부(120)를 포함한다.The trolley 100 includes a trolley main body 110 having a hollow shape protruding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a weight adjusting portion 12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and having a weight 122 .

즉, 상기 트롤리 본체(11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방향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무게 조절부(120)는 상기 3방향 돌출된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the weight adjust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a three-directional protruding shape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무게 조절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게추(122)를 포함하므로 상기 무게추(122)의 무게를 조절하여 상기 트롤리(100)의 무게 중심을 맞추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weight adjusting unit 120 includes the weight 122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of the weight 122 is adjust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olley 100 is adjusted.

다시 말해서, 인공 위성은 상기 트롤리(100)에 고정되는데, 상기 인공 위성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상태에서 승하강 하기 위해서는 상기 트롤리(100) 역시 수평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인공 위성 및 트롤리(100)의 무게 중심에서 상기 연결 고리(R)가 설치되어야 한다.In other words, the artificial satellite is fixed to the trolley 100. In order for the artificial satellite to ascend and descend in a horizontal state without tilting, the trolley 100 must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For this purpose, The connecting link R is to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necting link.

그런데, 인공 위성 자체의 특정 부분의 중량이 타 부분보다 무겁거나 가벼울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무게추(122)를 트롤리(100)의 특정 부분에 설치하여 전반적인 무게 중심을 상기 연결 고리(R) 지점으로 맞추는 것이다.Since the weight of the specific portion of the artificial satellite itself may be heavier or lighter than other portions, the weight 122 may be provid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trolley 100, .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인공 위성의 종류가 달라지거나 혹은 조립 중간에 무게 중심이 변화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무게 중심을 상기 연결 고리(R) 지점으로 맞추어서 안정적인 승하강이 가능해 지고 이에 의해 정밀한 조립 역시 가능해 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kind of the satellite is changed or the center of gravity changes during the assembly,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adjusted to the point of the connection ring R so that stable up / down movement is possible. .

한편, 상기 무게 조절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트롤리(100) 일 측에 무게추(122)를 가감하여 무게 중심으로 맞추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아 형상의 폴(121)과, 상기 폴(121)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무게추(12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weight adjusting unit 120 adjusts the weight 122 by adjusting the weight 122 on one side of the trolley 100 as described above.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used for the weight adjusting unit 120. However, as shown in FIGS. 1 and 4, A bar-shaped pawl 121 formed at one side of the trolley body 110 in a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and a disc-shaped weight 122 inserted into the pawl 121.

즉,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3방향 돌출된 모서리 부분에 상기 폴(121)을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폴(121)에 원판 형상의 무게추(122)를 삽입하는 것이다.That is, the pawl 121 can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olley body 110,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At this time, a disc weight weight 122 is inserted into the pawl 121.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무게 조절부(120)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한편, 상기 무게추(122) 역시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weight adjuster 1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more easily adjust the weight, and the weight 122 can be stably install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트롤리(100)에 인공 위성(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데, 이를 위해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위성이 고정되는 인공 위성 연결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rolley 100 is provided with a satellite (not shown).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satellite connection unit 130, As shown in FIG.

이를 위한 인공 위성 연결부(130)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설치되는 끈 형상의 슬링(131)과, 상기 슬링(131) 끝단에 형성되어 인공 위성에 걸림되는 샤클(132)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artificial satellite connection part 130 includes a string-shaped sling 13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and a shackle 132 formed at the end of the sling 131 and hooked to a satellite It is also possible.

상기 슬링(1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끈 형상을 가지되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 본체(110) 다수 측,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3방향으로 돌출된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ling 131 may have a strap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sides of the trolley body 110 as shown in FIG. 1, or at corner portions protruding in three directions in the embodiment of FIG.

한편, 상기 샤클(132)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대략 링 형상을 가져 고정되는 대상 물품이 걸림 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 인공 위성의 일 부분이 상기 샤클(132)에 걸림 된다.Meanwhile, the shackle 132 is generally ring-shaped so that the object to be fixed is hook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satellite is hooked to the shackle 132.

따라서, 인공 위성이 샤클(132)에 걸림 되고, 샤클(132)은 슬링(13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링(131)은 트롤리 본체(11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인공 위성이 트롤리(100)에 고정된다.
Therefore, the satellite is hooked on the shackle 132, the shackle 132 is connected to the sling 131, and the sling 131 is installed on the trolley body 110, .

한편,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고리(R)를 포함하며, 상술한 무게 조절부(120)를 통해 트롤리(100) 및 인공 위성의 무게 중심이 상기 연결 고리(R)에 맞추게 된다.The lift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necting link R as described above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olley 100 and the satellit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k R ).

그런데, 경우에 따라 상기 무게 조절부(120)를 이용하는 것보다 상기 연결 고리(R) 자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무게 중심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 고리(R)를 폭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2축 이송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since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more easily adjus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ring R itself than by using the weight adjusting part 120, the connecting ring R can b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Axis direction, and a two-axis transfer unit 200 for moving the two-axis transfer unit 200 in two axial directions.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고리(R)를 2축 방향, 예를 들어 x방향과 y방향으로 이동시켜 무게 중심을 조절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connecting ring R in the biaxial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한편, 상기 2축 이송부(200)는 상기 연결 고리(R)를 2축 방향 이송할 수 있는 구성인한,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100)의 트롤리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되 특정 방향의 가이드(280)가 형성된 판체 형상의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280)와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는 또 다른 가이드(232)가 형성되는 판체 형상의 제1패널(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패널(230)상에는 제2패널(250)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3, the biaxial conveyance unit 200 may include a trolley body (not shown) of the trolley 100, Shaped base 210 having a guide 280 in a specific direction and installed in the base 210 and another guide 232 dispos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guide 280 And a second panel 250 is installed on the first panel 230. The first panel 230 may include a first panel 230,

즉, 상기 베이스(210)상에서 상기 제1패널(230)이 일 축 방향(예를 들어 x방향)으로 이송되고, 제2패널(250)은 제1패널(230)상에서 타 축 방향(예를 들어 y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제2패널(250)상에 연결 고리(R)가 설치되어 상기 연결 고리(R)가 2축 방향 이송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panel 230 is transported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x direction) on the base 210, and the second panel 250 is transported on the first panel 230 in the other axis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ring R is provided on the second panel 250 so that the connecting ring R is moved in two directions.

한편, 상기 제1패널(230)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210)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패널(230)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패널(230)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anel 230 is disposed on the base 210 to transport the first panel 230 in a specific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nel 230 to transfer the first panel 230 in a specific direction. 1 transfer unit 22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1패널(230)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2패널(250)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패널(230)을 상기 제1패널(230)의 이동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송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anel 230 is disposed on the first panel 230 and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anel 250 to move the second panel 23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panel 230. 2 transfer unit 240. [

이때, 상기 제2패널(250)에 설치되는 연결 고리(R)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부에 형성된 개방부(110a)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ring R installed on the second panel 250 moves through the opening 110a formed in a part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즉, 상기 제1이송부(220)에 의해 제1패널(230)이 특정 방향으로 이송되고, 제2이송부(240)에 의해 제2패널(250)이 상기 특정 방향과 직교되는 다른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panel 230 is conveyed in a specific direction by the first conveyance unit 220 and the second panel 250 is conveyed in the other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pecific direction by the second conveyance unit 240 will be.

한편, 상기 제1패널(230)이 베이스(210)상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210)상에 상기 제1패널(230)의 이동 방향으로 수평 가이드(28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1패널(230)의 저면에 상기 수평 가이드(280)와 암수 결합하는 수평 결합부(231)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horizontal guide 280 on the base 210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panel 230 so that the first panel 230 moves more stably on the base 210. At this time, a horizontal coupling portion 23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nel 230 so as to engage with the horizontal guide 280.

즉, 상기 제1패널(230)의 수평 결합부(231)가 수평 가이드(280)와 암수 결합하여 제1패널(230)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결합부(231)가 요홈되고 수평 가이드(280)가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의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at is, the first panel 230 can be stably conveyed by engaging the horizontal coupling part 231 of the first panel 230 with the horizontal guide 280, and the horizontal coupling part 231 And the horizontal guide 280 may be protruded, and the opposite shape is also possible.

유사하게 상기 제1패널(230)의 상면에 상기 제2패널(250)의 이송 방향 즉, 상기 수평 가이드(280)와 수직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가이드(232)를 형성하는 한편, 제2패널(250)의 저면에 상기 수직 가이드(232)와 암수 결합하는 수직 결합부(251)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Similarly, a vertical guide 232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230 in the direction of conveyance of the second panel 250, that 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guide 280, And a vertical coupling part 251 which engages with the vertical guide 232 in a male-like mann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guide part 25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이송부(220)와 제2이송부(240)에 의해 제2패널(250)이 2축 방향 이송되며, 상기 제2패널(250)의 상면에는 연결 고리(R)가 설치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 고리(R)가 2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된다.The second panel 250 is moved in the biaxial direction by the first conveyance unit 220 and the second conveyance unit 240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nection ring 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nel 250 And as a result, the linking ring R becomes movable in the biaxial direction.

이때, 상기 제2패널(250)에 설치되는 연결 고리(R)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부에 형성된 개방부(110a)를 통해 2축 방향 이동하도록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2참조)
At this time, the connection ring R installed on the second panel 250 may be exposed to move in the biaxial direction through the opening 110a formed in a part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see FIG. 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패널(250)은 제1이송부(220)와 제2이송부(240)에 의해 2축 방향 이송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이송부(220)와 제2이송부(240)는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anel 250 is biaxially conveyed by the first conveying unit 220 and the second conveying unit 240. For this purpose, the first conveying unit 220 and the second conveying unit 240 Various configurations are available.

예를 들어 상기 제1이송부(220)와 제2이송부(240)를 직교방향으로 배치한 후 전동 모터와 이에 의해 회전하여 전후진하는 볼 스크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부(220)와 제2이송부(240)를 평행하게 배치하여 후술되는 핸들(229,249, 도 1참조)이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first transfer part 220 and the second transfer part 240 in an orthogonal direction, and then use an electric motor and a ball screw which rotates to rotate back and forth. As shown in FIG. 3,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transferring part 220 and the second transferring part 240 are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the handles 229 and 249 (see FIG.

이를 위해 상기 제1이송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10)상에 설치되는 볼 스크류(223) 및 상기 볼 스크류(223)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210)상에 설치되며 제1패널(230) 저면에 설치되는 무빙 너트(225)와, 상기 볼 스크류(223) 일 측에 설치되는 엔드 너트(224)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first transfer unit 220 includes a ball screw 223 and a ball screw 223 mounted on the base 210. The ball screw 223 is screwed on the base 210, A moving nut 225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nel 230 and an end nut 22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ll screw 223.

즉, 상기 볼 스크류(223)가 회전 하면 상기 무빙 너트(225)가 전후진하게 되고, 상기 전후진 하는 무빙 너트(225)에 설치된 제1패널(230)이 특정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ball screw 223 rotates, the moving nut 225 moves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first panel 230 installed on the moving nut 225 moves in a specific direction (for example, the X axis direction) .

이때, 상기 볼 스크류(223)는 핸들(229)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22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볼 스크류(223)와 샤프트(221)는 조인트(222)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The ball screw 223 may be connected to a shaft 221 rotated by a handle 229 and the ball screw 223 and the shaft 22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joint 222.

상기 핸들(229)이 샤프트(221)에는 도 5에서와 같이, 핸들(229)의 회전수를 계수하기 위한 계수기(221a)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계수기(221a)는 핸들(229)이 얼마만큼 회전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The handle 221 may be provided with a counter 221a for coun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handle 229 as shown in FIG. This counter 221a is for checking how much the handle 229 has rotated.

아울러, 상기 핸들(229)의 샤프트(221)에는 핸들의 임의 조작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방지용 스톱퍼(221b)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ft 221 of the handle 229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221b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handle.

한편, 또 다른 핸들(249)의 샤프트(241)에도 도 5에서와 같이, 핸들(249)의 회전수를 계수하기 위한 계수기(241a) 및 회전방지용 스톱퍼(241b)가 설치될 수 있다. 그 역할을 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5, a counter 241a for count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handle 249 and a stopper 241b for preventing rotation may be provided on the shaft 241 of the other handle 249 as well. The role is the same as above, so a detailed explanation is omitted.

상기 조인트(222)는 상기 볼 스크류(223)와 샤프트(221)를 연결하여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한, 어떠한 구성이라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버셜 조인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long as the rotational force can be transmitted by connecting the ball screw 223 and the shaft 221, the joint 222 can be used in any form.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universal joint as shown in FIG. .

한편, 상기 제2이송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이송부(220)와 동일한 구성을 이용하되 상기 제1이송부(22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제2패널(250)을 제1패널(23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transfer unit 24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transfer unit 220 us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transfer unit 220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convey the shee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anel 230.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송부(240)는 제1이송부(220)와 평행하게 배치하여 각 핸들(229,249)이 인접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transfer part 24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transfer part 220 so that the handles 229 and 249 are adjacent to each other.

이를 위해 상기 제2이송부(240)는 상기 제1패널(230)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 스크류(223)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핸들(249)에 의해 회전되는 제1샤프트(241)와, 상기 제1패널(230)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1샤프트(24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패널(250)을 이동하는 제2샤프트(2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fer unit 240 is installed on the first panel 230 and includes a first shaft 241 disposed parallel to the ball screw 223 and rotated by a handle 249, And a second shaft 242 disposed on the first panel 230 and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shaft 241 to move the second panel 250.

이때, 상기 제1샤프트(241)와 제2샤프트(242)는 상호 직교되도록 배치되므로 연결부(243)를 상기 제1샤프트(241)와 제2샤프트(242)사이에 설치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한다.Since the first shaft 241 and the second shaft 242 are dispos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 connecting portion 243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haft 241 and the second shaft 242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

상기 연결부(243)는 널리 알려진 유니버셜 조인트 등이 사용되거나 혹은 상호 직교 하는 방향으로 치차 결합되는 베벨 기어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243 may be a well-known universal joint, or may be a bevel gear or the like that is gear-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샤프트(241)와 제2샤프트(242)는 일반적인 회전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가요성의 동력 전달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부(243)는 상기 동력 전달 케이블을 연결하는 플랜지를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haft 241 and the second shaft 242 may be formed of a general rotary shaft or a flexible power transmission cable.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ortion 243 may connect the power transmission cable Connecting flanges can be used.

한편, 상기 제2샤프트(242)에 의해 제2패널(250)을 이동하기 위해 상기 제2샤프트(242)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샤프트(242)와 연동되는 볼 스크류(247)과, 상기 볼 스크류(247)과 제2샤프트(242)를 연결하는 플랜지(246)와, 상기 볼 스크류(247)에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서 제2패널(250) 저면에 설치되는 무빙 너트(245)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 ball screw 247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haft 242 and interlocked with the second shaft 242 for moving the second panel 250 by the second shaft 242, A flange 246 connecting the ball screw 247 and the second shaft 242 and a moving nut 245 screwed to the ball screw 247 and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anel 250,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it.

즉, 상기 제2샤프트(242)의 회전에 의해 볼 스크류(247)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하는 볼 스크류(247)에 설치된 무빙 너트(245)가 전후진하면서 제2패널(250)을 이송하는 것이다.That is, the ball screw 247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242, and the moving nut 245 installed on the rotating ball screw 247 moves forward and backward to transfer the second panel 250 will be.

이때, 상기 볼 스크류(247)의 끝단에 엔드 너트(244)를 설치하여 안정적인 회전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an end nut 244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ball screw 247 to ensure stable rota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2축 이송부(200)에 의해 상기 연결 고리(R)를 2축 방향 이송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 고리(R)의 이송 변위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고리(R)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고리(R)의 이동에 연동되는 지시 바아(113,114)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2 (a) and 2 (b), in order to more easily measure the transfer displacement of the connection ring R, the two-axis transfer unit 200 transfers the connection ring R in two axial directions, And guide bars 113 and 114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inking ring R and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linking ring R. [

이때, 상기 트롤리 본체(110) 상면 일 부에 형성되는 눈금자(111,112)를 형성하여 상기 지시 바아(113,114)의 이동 변위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rulers 111 and 112 form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may be formed to more easily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indicating bars 113 and 114.

상기에서 상기 지시 바아(113,114)는 2축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눈금자(111,112)도 2축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연결 고리(R)의 x,y방향의 변위를 가늠할 수 있다.The indicator bars 113 and 114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wo axial directions and the rulers 111 and 112 are also installed in two axial directions so that the displacements of the connecting ring R in the x and y directions can be measured.

또한, 상기 각 눈금자(111,112)는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지 않고 중앙부위가 단차지게 배치하여 이 중앙부위가 원점(O)인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rulers 111 and 112 are no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but a central portion is arranged step by step so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central portion is the origin (O).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공 위성을 상승시키는 리프트 장치(10)로서 인공 위성이 연결되는 트롤리(100)를 포함하는데, 상기 트롤리(100)의 이동을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 본체(110) 저면에 설치되는 바퀴 유닛(15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olley 100 to which a satellite is connected as a lift device 10 for raising a satellite. In order to make the movement of the trolley 100 more convenient, And a wheel unit 15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바퀴 유닛(150)은 상기 트롤리 본체(110) 저면에 배치되는 바퀴(151)를 포함하여 상기 트롤리 본체(1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heel unit 150 includes a wheel 151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olley body 110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trolley body 110.

한편, 상기 바퀴(151)를 보다 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바퀴(151)상에 설치되어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설치되는 고정 바아(152)와,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과 상기 고정 바아(152)를 관통하는 고정 핀(153)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olley main body 110 includes a fixed bar 152 mounted on the wheel 151 to be mounted on the trolley body 110 so as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wheel 151, And a fixing pin 153 passing through the fixing bar 152.

즉,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 바아(152)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의 하측 일부를 관통하도록 설치한 후 상기 고정 바아(152)의 하측에 바퀴(151)를 설치하는 것이다.4, the fixed bar 152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a lower part of the trolley body 110, and then a wheel 151 is installed below the fixed bar 152. In this embodiment,

이때, 상기 트롤리 본체(110)의 일 측, 도 4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 바아(152)가 설치되는 일 측에 고정 돌기(116)를 형성한 후 상기 고정 돌기(116)와 고정 바아(152)를 고정 핀(153)을 이용하여 관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4, a fixing protrusion 11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where the fixing bar 152 is installed and then the fixing protrusion 116 and the fixing bar 152 May be passed through the fixing pin 153.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 조절부(120)는 상기 폴(121)에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122)를 고정하는 고정 클립(123)을 포함하여 상기 무게추(122)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4, the weight adjusting unit 120 may include a fixing clip 123 installed on the pawl 121 to fix the weight 122 so that the weight 122 is stable As shown in Fig.

이를 위해 상기 고정 클립(123)은 상기 폴(121)을 감싸는 스프링부(123a)와, 상기 스프링부(123a) 양 단에 설치되는 파지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clip 123 may include a spring portion 123a surrounding the pole 121 and a grip portion 123b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portion 123a.

즉, 작업자가 상기 파지부(123b)를 잡아 상호 근접시키면 스프링부(123a)의 직경이 증가하여 무게추(122)를 장착하거나 분리하고 파지부(123b)를 놓아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하면 스프링부(123a)의 직경이 감소하여 상기 무게추(122)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operator grips the grip portion 123b and brings them closer to each other, the diameter of the spring portion 123a increases, and when the weight portion 122 is mounted or separated and the grip portion 123b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diameter of the weight 123a is reduced and the weight 122 is fixed.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10)를 이용하여 인공 위성을 리프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A method of lifting a satellite using the lift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인공 위성을 상기 인공 위성 연결부(130)에 의해 트롤리 본체(110)에 연결한다.First, a satellite is connected to the trolley main body 110 by the satellite connection unit 130.

이때, 상기 인공 위성 연결부(130)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설치되는 끈 형상의 슬링(131)과, 상기 슬링(131) 끝단에 형성되어 인공 위성에 걸림되는 샤클(132)을 포함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The artificial satellite connection unit 130 includes a strap-shaped sling 13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and a shackle 132 formed at an end of the sling 131 and hooked to a satellite As described above.

이후, 상기 트롤리 본체(110)에 설치되는 연결 고리(R)를 크레인에 설치하여 인공 위성을 리프트하게 된다.Thereafter, a connection ring R installed on the trolley main body 110 is installed on the crane to lift the satellite.

이때, 상기 트롤리 본체(110)의 무게 중심을 상기 연결 고리(R)에 맞추기 위해 트롤리 본체(110)의 무게 조절부(120)에 무게추(122)를 가감하거나 혹은 상기 연결 고리(R)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in order to alig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with the connection ring R, a weight 122 is added to the weight adjusting part 120 of the trolley body 110, It moves in a specific direction.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트롤리 110 : 트롤리 본체
120 : 무게 조정부 130 : 인공 위성 연결부
200 : 2축 이송부 210 : 베이스
220 : 제1이송부 2430 : 제1패널
240 : 제2이송부 250 : 제2패널
100: trolley 110: trolley body
120 weight adjuster 130 satellite connection
200: two-axis feeder 210: base
220: first transfer part 2430: first panel
240: second transfer part 250: second panel

Claims (12)

인공 위성을 상승시키는 리프트 장치(10)로서,
상기 리프트 장치(10)는 인공 위성이 연결되는 트롤리(100)와 상기 트롤리(100)에 형성되어 크레인에 연결되는 연결 고리(R)를 포함하되,
상기 트롤리(100)는 중공 형상으로서 다수 방향 돌출된 형상인 트롤리 본체(110)와,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설치되어 무게추(122)가 설치되는 무게 조절부(120)를 포함하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1. A lift device (10) for raising a satellite,
The lift device 10 includes a trolley 100 to which artificial satellites are connected and a connection ring R to be connected to a crane formed in the trolley 100,
The trolley 100 includes a trolley main body 110 having a hollow shape and protruding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a weight adjusting portion 12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and having a weight 122 Satellite lift device with adjustable center of grav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조절부(120)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아 형상의 폴(121)과,
상기 폴(121)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무게추(122)를 포함하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ight adjusting unit 120 includes a bar-shaped pawl 121 formed on one side of the trolley body 11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weight (122) having a circular plate shape inserted into the pole (1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100)는 인공 위성이 고정되는 인공 위성 연결부(1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공 위성 연결부(130)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설치되는 끈 형상의 슬링(131)과, 상기 슬링(131) 끝단에 형성되어 인공 위성에 걸림되는 샤클(132)을 포함하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olley (100) further includes a satellite connection unit (130) to which a satellite is fixed,
The artificial satellite connection unit 130 includes a strap-shaped sling 13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rolley body 110 and a shackle 132 formed at an end of the sling 131 and hooked to a satellite Satellite lift system with adjustable cen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10)는 상기 트롤리(100)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고리(R)를 폭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2축 이송부(200)를 더 포함하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 apparatus 10 further includes a biaxial conveyance unit 20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rolley 100 to move the connection ring R in a width direction or a biaxial direction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Possible satellite lift devic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축 이송부(200)는 상기 트롤리(100)의 트롤리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되 특정 방향의 가이드(280)가 형성된 판체 형상의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280)와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는 또 다른 가이드(232)가 형성되는 판체 형상의 제1패널(230)과,
상기 베이스(210)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패널(230)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패널(230)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220)와,
상기 제1패널(230)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면에 연결 고리(R)가 형성되는 제2패널(250)과,
상기 제1패널(230)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2패널(250)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패널(230)을 상기 제1패널(230)의 이동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송부(240)를 포함하되,
상기 제2패널(250)에 설치되는 연결 고리(R)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부에 형성된 개방부(110a)를 통해 이동하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iaxial conveyance unit 200 includes a base 210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guide 280 installed in the trolley main body 110 of the trolley 100,
A first panel 230 having a plate shape and disposed on the base 210 and having another guide 232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guide 280,
A first transfer part 220 disposed on the base 210 and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nel 230 to transfer the first panel 230 in a specific direction,
A second panel 250 disposed on the first panel 230 and having a connection ring R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second panel 23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anel 250 to move the second panel 23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panel 230. (240)
Wherein the connecting ring (R) installed on the second panel (250) is adjustable to move the center of gravity through an opening (110a) formed in a part of the trolley body (1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220)는 상기 베이스(210)상에 설치되는 볼 스크류(223) 및 상기 볼 스크류(223)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210)상에 설치되며 제1패널(230) 저면에 설치되는 무빙 너트(225)와,
상기 볼 스크류(223) 일 측에 설치되는 엔드 너트(224)와,
핸들(229)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221) 및 상기 샤프트(221)와 볼 스크류(223)사이에 설치되는 조인트(222)를 포함하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transfer part 220 is installed on the base 210 by screwing the ball screw 223 and the ball screw 223 installed on the base 2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nel 230 A moving nut 225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An end nut 22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ll screw 223,
And a joint (222) installed between the shaft (221) and the ball screw (223), the shaft (221) being rotated by a handle (22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240)는 상기 제1패널(230)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 스크류(223)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핸들(249)에 의해 회전되는 제1샤프트(241)와,
상기 제1패널(230)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1샤프트(24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패널(250)을 이동하는 제2샤프트(242)와,
상기 제1샤프트(241)와 제2샤프트(242)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부(243)를 포함하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transfer part 240 is installed on the first panel 230 and includes a first shaft 241 disposed parallel to the ball screw 223 and rotated by a handle 249,
A second shaft 242 disposed on the first panel 230 and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shaft 241 to move the second panel 250,
And a connection part (243)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haft (241) and the second shaft (242)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샤프트(242)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샤프트(242)와 연동되는 볼 스크류(247)과,
상기 볼 스크류(247)과 제2샤프트(242)를 연결하는 플랜지(246)와,
상기 볼 스크류(247)에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서 제2패널(250) 저면에 설치되는 무빙 너트(245)를 포함하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ball screw 247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haft 242 and interlocked with the second shaft 242,
A flange 246 connecting the ball screw 247 and the second shaft 242,
And a moving nut (245) screwed to the ball screw (247) and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anel (25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100)는 상기 연결 고리(R)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고리(R)의 이동에 연동되는 지시 바아(114)와,
상기 트롤리(100)의 트롤리 본체(110) 상면 일 부에 형성되는 눈금자(111)를 포함하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rolley 100 includes an indicator bar 114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ring R and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ring R,
And a ruler (111) formed on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trolley body (110) of the trolley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100)는 상기 트롤리 본체(110) 저면에 설치되는 바퀴 유닛(1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바퀴 유닛(150)은 상기 트롤리 본체(110) 저면에 배치되는 바퀴(151)와,
상기 바퀴(151)상에 설치되어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에 설치되는 고정 바아(152)와,
상기 트롤리 본체(110) 일 측과 상기 고정 바아(152)를 관통하는 고정 핀(153)을 포함하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olley (100) further includes a wheel unit (150)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rolley body (110)
The wheel unit 150 includes a wheel 151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rolley body 110,
A fixed bar 152 installed on the wheel 151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olley body 110,
And a fixing pin (153) passing through the one side of the trolley body (110) and the fixing bar (15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조절부(120)는 상기 폴(121)에 설치되어 상기 무게추(122)를 고정하는 고정 클립(123)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클립(123)은 상기 폴(121)을 감싸는 스프링부(123a)와,
상기 스프링부(123a) 양 단에 설치되는 파지부(123b)를 포함하는 무게 중심 조절이 가능한 인공 위성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ight adjusting unit 120 further includes a fixing clip 123 installed on the pawl 121 to fix the weight 122,
The fixing clip 123 includes a spring portion 123a surrounding the pole 121,
And a grip part (123b)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part (123a).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인공 위성을 리프트 하는 방법으로서,
인공 위성을 상기 인공 위성 연결부(130)에 의해 트롤리 본체(110)에 연결하는 한편,
상기 연결 고리(R)를 크레인에 설치하여 인공 위성을 리프트하되,
상기 트롤리 본체(110)의 무게 조절부(120)에 무게추(122)를 가감하는 한편,
상기 연결 고리(R)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트롤리 본체(110)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인공 위성 리프트 방법.
A method for lifting a satellite using the lift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The satellite is connected to the trolley main body 110 by the satellite connection unit 130,
The connection ring (R) is installed in a crane to lift a satellite,
A weight 122 is added to the weight adjusting part 120 of the trolley main body 110,
Where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olley body (110) is adjusted by moving the linking ring (R) in a specific direction.
KR1020140150895A 2014-11-03 2014-11-03 Satellite lifting apparatus of adjusting central of gravity KR1016699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895A KR101669960B1 (en) 2014-11-03 2014-11-03 Satellite lifting apparatus of adjusting central of gra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895A KR101669960B1 (en) 2014-11-03 2014-11-03 Satellite lifting apparatus of adjusting central of gra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265A true KR20160051265A (en) 2016-05-11
KR101669960B1 KR101669960B1 (en) 2016-10-27

Family

ID=5602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895A KR101669960B1 (en) 2014-11-03 2014-11-03 Satellite lifting apparatus of adjusting central of grav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960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7093A (en) 1974-05-06 1975-11-04 Roland E Greaves Mixing bowl lift truck
US5197341A (en) 1991-06-20 1993-03-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Payload attitude control tester
JPH0627867U (en) * 1992-09-17 1994-04-12 川崎製鉄株式会社 Hanging beam equipment
US5572838A (en) 1995-06-28 1996-11-12 Dayton Superior Corporation Strongback attachment system
JPH101281A (en) * 1996-06-17 1998-01-06 Yamashita Kogyo Kk Balance beam and balance beam stand
US20020037082A1 (en) 2000-09-28 2002-03-28 Nec Corporation Encrypted file retrieval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10011050A (en) * 2009-07-27 2011-02-08 현대로템 주식회사 Sling apparatus for pulling up heavy load
CN102556831A (en) * 2011-12-20 2012-07-11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Horizontal adjusting sling for spacecraft
KR101167770B1 (en) 2009-12-24 2012-07-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Mounting and handling apparatus of satellite body panel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7093A (en) 1974-05-06 1975-11-04 Roland E Greaves Mixing bowl lift truck
US5197341A (en) 1991-06-20 1993-03-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Payload attitude control tester
JPH0627867U (en) * 1992-09-17 1994-04-12 川崎製鉄株式会社 Hanging beam equipment
US5572838A (en) 1995-06-28 1996-11-12 Dayton Superior Corporation Strongback attachment system
JPH101281A (en) * 1996-06-17 1998-01-06 Yamashita Kogyo Kk Balance beam and balance beam stand
US20020037082A1 (en) 2000-09-28 2002-03-28 Nec Corporation Encrypted file retrieval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10011050A (en) * 2009-07-27 2011-02-08 현대로템 주식회사 Sling apparatus for pulling up heavy load
KR101167770B1 (en) 2009-12-24 2012-07-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Mounting and handling apparatus of satellite body panel
CN102556831A (en) * 2011-12-20 2012-07-11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Horizontal adjusting sling for spacec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960B1 (en)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6405B2 (en) Arm structure and transferring apparatus
US20100263471A1 (en) Robot having delta kinematics
US7896765B2 (en) Belt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EP3681799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positioning against a wall
WO2014069359A1 (en) Container holding and conveying device
CN209777500U (en) Spiral conveyor
KR101937871B1 (en) Lifting apparatus
GB2560000A (en) A coupling mechanism for light vehicles
KR101669960B1 (en) Satellite lifting apparatus of adjusting central of gravity
SE464157B (en) STATIVE SPEC MOVES SCREEN TERMINALS
CN102807151A (en) Handheld boom lifting appliance
CN101544308B (en) Electrode plate transportation apparatus
KR101358045B1 (en) Magnetic adhesion type metal plate transfering apparatus
EP3721424B1 (en) Docking arrangement for a manikin
US20150136272A1 (en) Dosing device, in particular for powder
CN207327017U (en) A kind of quick switchable robot manipulator structure
CN210528332U (en) Chain block convenient to chain returns
CN104879504B (en) A kind of device for being easy to flutter valve to install
CN109774809A (en) Magnetic conduction wall surface mobile mechanism and magnetic conduction wall-surface mobile robot
CN209938155U (en) Multifunctional mathematics ruler with calculator
JP5845026B2 (en) Load compensation mechanism
CN208683844U (en) A kind of 90 ° are turned over packet upright device
EP3263967B1 (en) Articulated support arm
CN111504164A (en) Steering gear input shaft axiality detection device
CN111155461A (en) Banister core and bani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