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038A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olfactory func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olfactory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038A
KR20160051038A KR1020140150399A KR20140150399A KR20160051038A KR 20160051038 A KR20160051038 A KR 20160051038A KR 1020140150399 A KR1020140150399 A KR 1020140150399A KR 20140150399 A KR20140150399 A KR 20140150399A KR 20160051038 A KR20160051038 A KR 20160051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factory
time range
eeg
peak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0747B1 (en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747B1/en
Publication of KR2016005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0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7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81Olfactory or gustatory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4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image acquisition of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 A61B5/0042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image acquisition of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for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11Evaluating olfaction, i.e. sense of sm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54Signal processing systems, e.g. using pulse sequences ; Generation or control of pulse sequences; Operator console
    • G01R33/56Image enhancement or correction, e.g. subtraction or averaging techniques, e.g. improvement of signal-to-noise ratio and resolution
    • G01R33/5608Data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specially adapted for MR, e.g. for feature analysis and pattern recognition on the basis of measured MR data, segmentation of measured MR data, edge contour detection on the basis of measured MR data, for enhancing measured MR data in terms of signal-to-noise ratio by means of noise filtering or apodization, for enhancing measured MR data in terms of resolution by means for deblurring, windowing, zero filling, or generation of gray-scaled images, colour-coded images or images displaying vectors instead of pix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sychia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ur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to evaluate olfactory function to more objectively evaluate an olfactory function and to standardize the olfactory function using the same. Disclosed is a method to evaluate an olfactory functio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simultaneously proceeding the measurement of an electroencephalogram (EEG) of a brain part of an evaluating target along with a time and the generation of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by giving olfactory stimulation to the evaluating target; and evaluating the evaluating target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EGG with the generation result of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based on an olfactory stimulation point. When the apparatus determines that the response of the brain wave is activated after the olfactory stimulation point and cerebral blood flow (CBF) is activated in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the evaluating target is evaluated as that the evaluating target has a recognition ability for the olfactory stimulation.

Description

후각 기능 평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OLFACTORY FUNC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valuating olfactory function,

본원은 후각 기능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re objectively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종래에 후각 기능을 측정하는 시스템으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0083504호에 "후각신경 측정시스템 및 그 후각물질 주입장치",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2-024422호에 "뇌의 활동 상태 측정 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a system for measuring the olfactory func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83504 entitled " Olfactory neuron measurement system and its olfactory substance injection apparatus ",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024422 entitled " "And the like are disclosed.

그러나, 종래의 뇌파 측정에 따른 후각기능 평가 방식은 뇌파 측정 여건, 측정 중 움직임과 같은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노이즈의 발생 가능성이 있고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높은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MRI)을 이용한 후각기능 평가 방식은 실제 후각 자극이 없더라도 해당 후각에 대한 연상, 해당 후각과는 관련없는 사고 등 자기공명영상 촬영 당시의 다양한 인지 작용에 의해서도 뇌 혈류량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어, 높은 객관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according to the EEG measurement has a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nois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EEG measurement, the movement of the patient during the measurement, etc., and it is difficult to ensure high objectivity because of large individual difference.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actual olfactory stimulus, conventional functional MRI (functional-MRI) evalua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cognitive functions at the time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Cerebral blood flow was likely to increase, and high objectivity could not be guaranteed.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각 기능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각 기능 평가 방식을 표준화할 수 있는 후각 기능 평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valuating an olfactory function which can more objectively evaluate the olfactory function and standardize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은, 평가 대상자에게 후각 자극을 가하면서, 상기 평가 대상자의 뇌 부위의 뇌파(EEG) 측정 및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생성을 동시에 진행하는 단계; 및 후각 자극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뇌파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생성 결과를 대비하여, 상기 평가 대상자의 후각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후각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이후에 상기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되고 상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혈류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평가 대상자가 상기 후각 자극에 대한 인지 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object,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of the subject's brain region by applying the olfactory stimulus to the person to be evaluated, Simultaneously generating an image (fMRI); And evaluating an olfactory function of the evaluation subject by comparing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EEG with the result of generation of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on the basis of a time point of the olfactory stimulus, If the response of the brain wave is activated after the stimulation time point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cerebral blood flow is activated in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the evaluation subject can be evaluated as having cognitive ability to the olfactory stimulus.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후각 기능 평가 장치는, 시간에 따라 평가 대상자의 뇌 부위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 상기 뇌파 측정부의 뇌파 측정과 동시에 상기 뇌 부위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생성하는 fMRI 촬영부; 및 평가 대상자에게 후각 자극을 가하면서 이루어진 상기 뇌파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생성 결과를 후각 자극 시점을 기준으로 대비하여, 상기 평가 대상자의 후각 기능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이후에 상기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되고 상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혈류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평가 대상자가 상기 후각 자극에 대한 인지 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object,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EG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n EEG on the brain region of a subject to be evaluated over time; An fMRI photographing unit for generating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of the brain region simultaneously with the brain wave measurement of the brain wave measur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of the subject to be evaluated by comparing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brain wave and the result of generation of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made with the olfactory stimulus to the subject, based on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May evaluate that the subject to be evaluated has cognitive ability to the olfactory stimulus when the reaction of the brain waves is activated after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and the cerebral blood flow is activated in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뇌파 측정과 fMRI 생성을 시간 동기화하여 유기적으로 함께 수행함으로써, 동일한 후각 자극에 대하여, 동일 시간대에 동일 위치에서 뇌파 활성화와 뇌 혈류량 변동이 동시에 측정될 수 있어, 보다 객관화되고 표준화된 후각 기능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이를 통해, 적절한 화학 감각 자극방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으며, 자극에 반응하는 뇌의 활성화 영역과 인지 과정을 보다 쉽게 규명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task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EG measurement and the fMRI generation are performed together in time synchronization, the EEG activation and the cerebral blood flow fluctuation can be simultaneously measured at the same position for the same olfactory stimulus, This allows for a more objective and standardized assessment of olfactory function. In addition, it allows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chemosensory stimulation methods more effectively and more easily identifies activation areas and cognitive processes in response to stimuli.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후각 자극에 의한 뇌파 반응의 활성화 여부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평가 대상자의 뇌파 측정 결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정상적인 후각 기능을 갖는 43인을 대상으로 후각 자극과 함께 뇌파를 측정한 결과를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4a는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분석법을 적용하여 뇌파 측정 결과가 3차원적으로 확인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fMRI 촬영을 통해 생성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평가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평가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graphs illustrating an EEG measurement result of a subject in order to explain how to determine whether the EEG response is activated by the olfactory stimulus.
FIG. 3 is a table showing results of measurement of brain waves with olfactory stimulation for 43 persons having normal olfactory functions.
FIG.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results of EEG measurement are three-dimensionally confirmed by applying a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ANT) method.
4B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generated through fMRI imaging.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olfactory function evalu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n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s "about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taken to mean the approximation of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sense,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help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used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step for.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이하 '본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 method of evaluating the olfactory sense function ")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은, 평가 대상자에게 후각 자극을 가하면서, 평가 대상자의 뇌 부위의 뇌파(EEG) 측정 및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생성을 동시에 진행하는 단계(S1)를 포함한다.The present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includes a step (S1)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EEG measurement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generation on the brain region of the subject to be evaluated while applying the olfactory stimulus to the evaluation subject.

이처럼 뇌파 측정과 fMRI 생성을 시간 동기화하여 함께 진행하게 되면, 뇌파가 활성화되는 양상과 뇌 혈류가 활성화되는 양상을 동일(동종, 동시간)한 후각 자극에 대하여 관찰하고 대비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후각 기능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후각 기능 평가 기법을 표준화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brain wave measurement and the fMRI generation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n time, it is possible to observe and prepare for the same (same time, same time) olfactory stimulation as the activation phase of the brain wave and the activation of the cerebral blood flow,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can be performed, and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technique can be standardized.

여기서, 뇌파(EEG; electroencephalography)는 신경계에서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의 흐름이다. 또한, 유발전위는 신체 내 감각기관(후각, 시각, 청각, 촉각 등)에 소정의 자극을 가했을 때 이 자극들을 담당하는 뇌 부위의 전기적 반응(EEG)을 의미한다. 본 후각 기능 평가 방법에서의 뇌파 측정은 후각유발전위(OERP; Olfactory Event-Related Potential) 측정, 다시 말해 후각 자극시에 유발되는 전위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electroencephalography (EEG) is a flow of electricity generated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between neurons in the nervous system. In addition, the evoked potential refers to the electrical reaction (EEG) of the brain region responsible for these stimuli when a predetermined stimulus is applied to the sensory organs (olfactory, visual, auditory, tactile, etc.) in the body. EEG measurement in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may mean measuring the olfactory event-related potential (OERP), that is, measuring the potential induced during olfactory stimulation.

참고로, 본 후각 자극 평가 방법에 있어서, 이러한 후각유발전위의 성분은 극성에 따라 음의 방향 피크(negative peak)와 양의 방향 피크(positive peak)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음의 방향 피크는 발생 순서에 따라 N1, N2, N3 등으로 칭하며, 양의 방향 피크도 그 발생 순서에 따라 P1, P2, P3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P1, N1, P2, N2는 후각 자극 직후(자극 전반기)에 발생하는 피크라 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is olfactory stimulation evaluation method, the components of the olfactory evoked potential can be divided into a negative peak and a positive peak according to the polarity. The negative directional peaks are referred to as N1, N2, and N3 according to the order of occurrence, and the positive directional peaks can also be referred to as P1, P2, and P3 depending on the order in which they occur. According to this, P1, N1, P2, and N2 are the peaks occurring immediately after the olfactory stimulation (the first half of the stimulus).

또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은 뇌신경의 활동성을 자기공명의 신호 변화로 나타내어 이를 시각화하여 도시하는 것이다. 이때, 뇌신경의 활동성은 국소적인 뇌 혈류(CBF; cerebral blood flow), 뇌 혈액량(CBV; cerebral blood volume), 또는 산소섭취(oxygenation)의 변화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fMRI 상의 활성화 부위(활성영역)가 뇌신경의 활동이 일어난 부위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나, 양자는 수 mm의 오차 범위 내에 속하는 정도의 상당히 근접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즉,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기법은 두뇌가 활동할 때 혈류의 산소 수준(BOLD;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신호를 반복 측정하여 뇌가 기능적으로 활성화된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In addition,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visualizes the activity of the cranial nerve by visualizing the signal change of magnetic resonance. At this time, the activity of the cranial nerve can be indirectly grasped by changes in cerebral blood flow (CBF), cerebral blood volume (CBV), or oxygenation. Although the active site on the fMRI does not exactly coincide with the area of activity of the cranial nerves, they are considered to exhibit a fairly close approximation to within a few millimeters of error. In other words,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degree of functional activation of the brain by repeatedly measuring the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BOLD) signal when the brain is active.

이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혈류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활성 영역은 뇌 혈류량, 뇌 혈액량, 산소섭취량 등 뇌 혈류 활성화의 기준이 되는 지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지표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영역이 다른 색상(또는 명도)으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값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후각 자극 조건, 향의 종류, 주변 여건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active area, in which the cerebral blood flow is determined to be activated in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may be set to a region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indicators for the activation of cerebral blood flow such as cerebral blood flow, cerebral blood flow volume, and oxygen intake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 Referring to FIG. 4B, regions where the inde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r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or brightness). Her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may be adjusted by a general practitioner in the field o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ccording to necessity in consideration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condition, the kind of the fragrance, the surrounding conditions, and the like.

또한, 본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은 이러한 S1 단계를 복수회 수행하여 통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1 단계를 복수회 수행한 다음, 후술할 후각 자극시의 뇌파 활성화에 의한 제1 활성영역과 뇌 혈류량이 변동되는 제2 활성영역의 중첩 여부를 분석하여, 제1 활성영역과 제2 활성영역이 중첩되지 않는 케이스는 S2 단계의 후각 기능 평가시 제외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can be statistically processed by performing this S1 step plural times. For example, after performing step S1 a plurality of times, it is analyzed whether overlapping of the first active area caused by EEG activation during the olfactory stimulation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active area changing the cerebral blood flow is performed, 2 Case in which the active areas do not overlap can be excluded when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of step S2.

또한, 본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은, 후각 자극 시점(S)을 기준으로 뇌파의 측정 결과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생성 결과를 대비하여, 평가 대상자의 후각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S2)를 포함한다. 이러한 S2 단계는, 후각 자극 시점(S) 이후에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되고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혈류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평가 대상자가 후각 자극에 대한 인지 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The present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includes a step (S2) of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of the subject to be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brain wave and the result of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based on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S). In this step S2, when the reaction of the EEG is activated after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e (S) and the cerebral blood flow is activated in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it is evaluated that the person to be evaluated has the cognitive ability to the olfactory stimulus.

도 2a 및 도 2b는 후각 자극에 의한 뇌파 반응의 활성화 여부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평가 대상자의 뇌파 측정 결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FIGS. 2A and 2B are graphs illustrating an EEG measurement result of a subject in order to explain how to determine whether the EEG response is activated by the olfactory stimulus.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S2 단계(후각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후각 자극 시점(S) 이후 발생하는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들 중, 제2 시간범위(T2) 내에서 발생하는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2)가 최대값인 경우에, 후각 자극에 대하여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제1 뇌파 반응 활성화 판단 방법"이라 칭함). 다시 말해, S2 단계는 후각 자극 시점(S) 이후 제2 시간범위(T2) 내에서 뇌파의 양의 방향 최대 피크가 발생하는 경우에, 후각 자극에 대하여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step S2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second time range T2 of the positive directional peaks of the EEG occurring after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e point S It can be judged that the response of the EEG to the olfactory stimulus is activated when the positive direction peak P2 of the EEG is the maximum value ("First EEG Reaction Activation Judgment Method"). In other words, in the step S2, when the maximum peak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EEG occurs within the second time range T2 after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S, it can be judged that the response of the EEG to the olfactory stimulus is activated .

여기서, 제2 시간범위(T2)는 후각 자극 시점(S)을 0 ms라 하였을 때, 이를 기준으로 450 ms 내지 700 ms의 시간범위일 수 있다.Here, the second time range T2 may be a time range of 450 ms to 700 ms based on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S being 0 ms.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이러한 양의 방향 피크(P1)를 산정하는 기준이 되는 베이스라인(Baselline)은 후각 자극 시점(S) 이전에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되는 뇌파의 평균 진폭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를 참조하면, -500 ms로부터 0 ms까지 측정된 뇌파의 평균 진폭값이 베이스라인이 될 수 있다.2A and 2B, Baseline, which is a criterion for estimating such a positive directional peak P1, has a mean amplitude value of an EEG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prior to the time point of the nasal stimulation S, Lt; / RTI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A, the mean amplitude value of the EEG measured from -500 ms to 0 ms may be the baseline.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각 자극 시점(S)으로부터 490 ms의 잠복기(P2 latency)를 가진 후 양의 방향 피크(P2)가 발생하면, 제2 시간범위(T2)(450 ms 내지 700 ms) 내에서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2)가 발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각 자극 시점(S)으로부터 500 ms의 잠복기(P2 latency)를 가진 후 양의 방향 피크(P2)가 발생하면, 제2 시간범위(T2)(450 ms 내지 700 ms) 내에서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2)가 발생되었다고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A, when a positive directional peak P2 having a latency of 490 ms from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S is generated, a second time range T2 (450 ms To 700 ms)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EEG.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2B, when a positive directional peak P2 having a latency of 500 ms from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S is generated, the second time range T2 700 ms), the positive directional peak (P2) of EEG was generated.

참고로, 뇌파 측정시 주변 잡음에 의해 각각의 피크(peak)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저주파 필터링(low frequency filtering), 고주파 필터링(high frequency filtering) 등을 통해 주변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잠복기(latency)와 피크(peak)를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다.For reference, when the peak of each EEG is unclear due to ambient noise during EEG measurement, the ambient noise is removed by low frequency filtering and high frequency filtering, The peak can be more clearly defined.

나아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S2 단계는, 후각 자극 시점(S) 이후 제1 시간범위(T1) 내에서 뇌파의 음의 방향 피크(N1)가 발생하고, 음의 방향 피크(N1) 발생 이후 제2 시간범위(T2) 내에서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2)가 발생하는 경우, 후각 자극에 대하여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제2 뇌파 반응 활성화 판단 방법"이라 칭함).2A and 2B, in step S2, a negative directional peak N1 of an EEG occurs within a first time range T1 after the nasal stimulation point S, and a negative directional peak N1 It is judged that the response of the EEG to the olfactory stimulus is activated when the positive directional peak P2 of the EEG occurs within the second time range T2 after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EEG response Quot;).

여기서, 제1 시간범위(T1)는 후각 자극 시점(S)을 0 ms라 하였을 때, 이를 기준으로 300 ms 내지 500 ms의 시간범위일 수 있다. 또한, 제2 시간범위(T2)는 후각 자극 시점 기준 450 ms 내지 700 ms의 시간범위일 수 있다.Here, the first time range T1 may be a time range of 300 ms to 500 ms based on the olfactory stimulus timing S as 0 ms. Further, the second time range T2 may be a time range of from 450 ms to 700 ms on the basis of the olfactory stimulus time point.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각 자극 시점(S)으로부터 340 ms의 잠복기(N1 latency)를 가진 후 음의 방향 피크(N1)가 발생하면, 제1 시간범위(T1)(300 ms 내지 500 ms) 내에서 뇌파의 음의 방향 피크(N1)가 발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후각 자극 시점(S)으로부터 490 ms의 잠복기(P2 latency)를 가진 후 양의 방향 피크(P2)가 발생하면, 제2 시간범위(T2)(450 ms 내지 700 ms) 내에서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2)가 발생되었다고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A, when a negative directional peak N1 having a latency N1 latency of 340 ms from the olfactory stimulus timing S is generated, the first time range T1 (300 ms (N1) of the brain waves in the time interval of 500 ms to 500 ms. Further, when a positive directional peak P2 is generated after having a latency of 490 ms from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S, the amount of EEG within the second time range T2 (450 ms to 700 ms) The directional peak P2 of the light-emitting layer is generated.

다른 예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각 자극 시점(S)으로부터 419 ms의 잠복기(N1 latency)를 가진 후 음의 방향 피크(N1)가 발생하면, 제1 시간범위(T1)(300 ms 내지 500 ms) 내에서 뇌파의 음의 방향 피크(N1)가 발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후각 자극 시점(S)으로부터 500 ms의 잠복기(P2 latency)를 가진 후 양의 방향 피크(P2)가 발생하면, 제2 시간범위(T2)(450 ms 내지 700 ms) 내에서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2)가 발생되었다고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negative directional peak N1 having a latency of 419 ms from the olfactory stimulus timing S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2B, the first time range T1 (300 msec. 500 ms), the negative directional peak (N1) of EEG was generated. In addition, when a positive directional peak P2 is generated after having a latency of 500 ms from the olfactory stimulus S, a positive directional peak P2 is generated in the second time range T2 (450 ms to 700 ms) The directional peak P2 of the light-emitting layer is generated.

또한, 상술한 제2 시간범위(T2) 및 후술할 제1 시간범위(T1) 각각의 수치범위는, 정상적인 후각 기능을 갖는 자들(정상 후각군)을 대상으로 후각 자극을 가하면서 뇌파를 측정하였을 경우 파악되는, 실험 내지 검사를 통해 확인된 수치범위이다. The numerical range of each of the second time range T2 and the first time range T1 described below was obtained by measuring the EEG while applying the olfactory stimulus to the persons having the normal olfactory function This is the range of values identified through experimentation or testing, as determined.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정상적인 후각 기능을 갖는 43인을 대상으로 후각 자극과 함께 뇌파를 측정한 결과를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In this regard, FIG. 3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brain waves with olfactory stimulation for 43 persons having a normal olfactory function.

도 3의 표를 참조하면, 실제적인 시험결과에 있어서도 음의 방향 피크(N1) 발생까지의 잠복기(N1 latency)의 최소값(MIN)은 0.340 ms, 최대값(MAX)은 0.496 ms로서, 300 ms 내지 500 ms인 제1 시간범위(T1)에 속함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양의 방향 피크(P2) 발생까지의 잠복기(P2 latency)의 최소값(MIN)은 0.483 ms, 최대값(MAX)은 0.554 ms로서, 450 ms 내지 700 ms인 제2 시간범위(T2)에 속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table of FIG. 3, in the actual test results, the minimum value (MIN) and the maximum value (MAX) of the latency N1 latency until the negative peak N1 occurs are 0.406 ms and 300 ms (T1) of 500 ms to 500 ms. In addition, the minimum value MIN of the latency P2 latency until the positive direction P2 is generated is 0.483 ms, the maximum value MAX is 0.554 ms, and the second time range T2 is 450 ms to 700 ms You can check your membership.

다른 예로, S2 단계는, 후각 자극 시점(S) 이후에 뇌파의 진폭 변동 크기가 소정의 진폭 변동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후각 자극에 대하여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제3 뇌파 반응 활성화 판단 방법"이라 칭함).As another example, step S2 may determine that the response of the EEG to the olfactory stimulus is activated when the amplitude fluctuation amplitude of the EEG exceeds the predetermined amplitude fluctuation value after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S) 3 EEG response activation determination method ").

여기서, 뇌파의 진폭 변동 크기는, 후각 자극 시점(S) 이후에 제1 시간범위 내에서 나타난 뇌파의 음의 방향 피크(negative peak)(N1)와, 음의 방향 피크 발생 이후 제2 시간범위 내에서 나타난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ositive peak)(P2)의 차이의 절대값(|P2-N1|)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뇌파의 진폭 변동 크기는 앞선 음의 방향 피크(N1) 및 뒤이은 양의 방향 피크(P1) 사이의 파간 진폭값이라 할 수 있다.Here, the magnitude of amplitude fluctuation of the EEG includes a negative peak (N1) of the brain waves appearing within the first time range after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e point (S) and a negative peak May be an absolute value (| P2-N1 |)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peak P2 of the EEG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amplitude fluctuation amplitude of the EEG is the interdigital amplitude value between the preceding negative peak N1 and the following positive peak P1.

여기서, 제1 시간범위(T1)는 후각 자극 시점(S)을 0 ms라 하였을 때, 이를 기준으로 300 ms 내지 500 ms의 시간범위일 수 있다. 또한, 제2 시간범위(T2)는 후각 자극 시점 기준 450 ms 내지 700 ms의 시간범위일 수 있다.Here, the first time range T1 may be a time range of 300 ms to 500 ms based on the olfactory stimulus timing S as 0 ms. Further, the second time range T2 may be a time range of from 450 ms to 700 ms on the basis of the olfactory stimulus time point.

도 3을 참조하면, 정상 후각군을 대상으로 한 실제적인 시험결과에 있어서, 음의 방향 피크(N1)의 진폭값(N1 amplitude)과 양의 방향 피크(P2)의 진폭값(P1 amplitude)의 차이의 절대값(|P2-N1|)의 최소값(MIN)은 2.31 μV, 최대값(MAX)은 38.23 μV이다.Referring to FIG. 3, in an actual test result for each group after the steady state, the amplitude value N1 amplitude of the negative directional peak N1 and the amplitude value P1 amplitude of the positive directional peak P2 The minimum value (MIN)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 P2-N1 |) is 2.31 占,, and the maximum value (MAX) is 38.23 占..

이러한 시험결과에 따르면, 평가 대상자의 뇌파의 진폭 변동 크기(|P2-N1|)가 대략 2 μV를 초과한다면, 후각 자극에 대하여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뇌파의 반응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소정의 진폭 변동값은 2 μV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se test results, if the magnitude of amplitude fluctuation (| P2-N1 |) of the EEG of the subject to be evaluated exceeds approximately 2 μV, it can be judged that the response of the EEG to the olfactory stimulus is activated. That is, the predetermined amplitude fluctuation value serving as a criterion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reaction of the brain waves is activated may be 2 [mu] V.

또한, 이러한 제3 뇌파 반응 활성화 판단 방법은 전술한 제1 뇌파 반응 활성화 판단 방법 또는 제2 뇌파 반응 활성화 판단 방법과 유기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뇌파의 음의 방향 피크(negative peak)(N1)와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ositive peak)(P2)의 차이의 절대값(|P2-N1|)이 소정의 진폭 변동값을 초과함과 동시에, 음의 방향 피크(N1)가 제1 시간범위(T1) 내에서 발생하고 양의 방향 피크(P1)가 제2 시간범위(T2) 내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평가 대상자의 뇌파가 후각 자극으로 인해 활성화되었을 가능성(판단 신뢰도)을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third EEG reaction activation determination method may be organically combined with the first EEG activation determination method or the second EEG activa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example, when the absolute value (| P2-N1 |)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gative peak N1 of the EEG and the positive peak P2 of the EEG is the predetermined amplitude variation value , When the negative directional peak N1 occurs within the first time range T1 and the positive directional peak P1 occurs within the second time range T2, (Judgment reliability) that the stimulus is activated due to the olfactory stimulus.

아울러, 제1 뇌파 반응 활성화 판단 방법과 제2 뇌파 반응 활성화 판단 방법 또한 상호 유기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의 방향 피크(N1)가 제1 시간범위(T1) 내에서 발생하고 양의 방향 피크(P1)가 제2 시간범위(T2) 내에서 나타남과 동시에, 후각 자극 시점(S) 이후에 발생하는 다수의 양의 방향 피크(P1)들 중, 제2 시간범위(T2)에서 발생하는 양의 방향 피크(P1)가 최대값인 경우에는, 평가 대상자의 뇌파가 후각 자극으로 인해 활성화되었을 가능성(판단 신뢰도)을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EEG reaction activ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the second EEG reaction activation determination method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organically. For example, while the negative directional peak N1 occurs within the first time range T1 and the positive directional peak P1 appears within the second time range T2, When the positive directional peak P1 generated in the second time range T2 is the maximum value among the plurality of positive directional planes P1 to be generated thereafter, (Judgment reliability) can be set higher.

또한, 뇌파 반응 활성화 판단에 있어서, 전술한 제1 뇌파 반응 활성화 판단 방법, 제2 뇌파 반응 활성화 판단 방법 및 제3 뇌파 반응 활성화 판단 방법이 전부 조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EG activation determination method, the second EEG activ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the third EEG activation determination method may be combined in the EEG activation determin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이러한 음의 방향 피크(N1)와 양의 방향 피크(P1)를 산정하는 기준이 되는 베이스라인(Baseline)은 후각 자극 시점(S) 이전에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되는 뇌파의 평균 진폭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를 참조하면, -500 ms로부터 0 ms까지 측정된 뇌파의 평균 진폭값이 베이스라인이 될 수 있다.2A and 2B, a baseline, which is a criterion for calculating the negative directional peak N1 and the positive directional distance P1, is obtained before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S And may be set to an average amplitude value of an EEG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A, the mean amplitude value of the EEG measured from -500 ms to 0 ms may be the baseline.

한편, 도4a는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분석법을 적용하여 뇌파 측정 결과가 3차원적으로 확인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fMRI 촬영을 통해 생성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4a의 3차원 분석 결과는 도 4b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는 좌우 대칭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4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EEG measurement results are confirmed in three dimensions by applying a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AFM) analysis method. FIG. 4B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s shown in FIG. For reference, the three-dimensional analysis result of FIG. 4A is shown as symmetrical with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of FIG. 4B.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정상적인 후각 기능을 갖는 평가 대상자에 대한 후각 자극 이후에,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영역(도 4a의 "A1", "B1")과, 뇌 혈류가 활성화된 영역(도 4b의 "A2", "B2")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오버랩(overlap)됨을 확인할 수 있다.4A and 4B, after the olfactory stimulation to the evaluation subject having the normal olfactory function, a region in which the reaction of the EEG is activated ("A1", "B1" in FIG. 4A) ("A2" and "B2" in FIG. 4B) overlap at least partially.

즉, S2 단계는 평가 대상자의 뇌 부위에서,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되는 제1 활성영역("A1", "B1")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혈류가 활성화되는 제2 활성영역("A2", "B2")이 상호 중첩될수록 후각 자극에 대한 인지 능력 평가의 신뢰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S2, a first active area ("A1 "," B1 ") in which a reaction of an EEG is activated and a second active area & , "B2") overlap each other, the reliability of the cogni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olfactory stimulus can be set high.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의 "A1"와 도 4b의 "A2"가 겹치는 양(중첩량)이 소정 이상일 경우에만 후각 자극에 대한 인지 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 결과가 올바른 평가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A and FIG. 4B, a result obtained by evaluating that there is cognitive ability for the olfactory stimulus only when the amount (overlap amount) of "A1" of FIG. 4A and "A2" It can be seen that it corresponds to the right evaluation.

반대로, S2 단계는 평가 대상자의 뇌 부위에서,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되는 제1 활성영역("A1", "B1")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혈류가 활성화되는 제2 활성영역("A2", "B2")이 상호 중첩되는 부분이 전혀 없다면, 후각 자극에 대한 인지 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 결과가 잘못된 평가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정정 또는 제외할 수도 있을 것이다.Conversely, in step S2, a first active area ("A1 "," B1 ") in which a reaction of an EEG is activated and a second active area & , "B2")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it may be corrected or exclude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olfactory stimulus to be a wrong evaluation.

여기서 제1 활성영역("A1", "B1")은, 뇌파 측정 결과에 대하여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LORETA;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분석법을 적용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활성영역은 제2 시간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상기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2)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확인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제1 활성영역의 확인은 뇌파 파형의 진폭이 음의 방향 피크(N1)에서 양의 방향 피크(P2)로 급변한, 양의 방향 피크 발생 시점(P2 latency)을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first active areas ("A1 "," B1 ") are three-dimensionally confirmed as shown in FIG. 4A by applying a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LORETA) . In addition, the first active region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generation time point of the directional peak P2 of the positive EEG occurring within the second time range. 4A, confirmation of the first active region indicates that the amplitude of the EEG waveform rapidly changes from the negative direction peak N1 to the positive direction P2 to a positive direction P2 latency, . ≪ / RTI >

즉, 제1 활성영역 및 제2 활성영역이 동일한 시점(양의 방향 피크 발생 시점)에 상호 중첩되는 경우, 동일한 후각 자극에 대하여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뇌 영역에서, 관련된 뇌파가 발생되고 관련된 혈류량이 증가된 것이므로, 후각 자극에 대한 인지 능력 평가의 신뢰도를 더욱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원에 의하면 시간 및 공간을 동시에 고려하여 후각 평가가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높은 신뢰도를 갖는 후각 평가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active region and the second active region overlap each other at the same time point (positive direction peak generation point), related brain waves are generated in the same brain region at the same time for the same olfactory stimulus, The reliability of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of the olfactory stimulus can be set higher.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lfactory evaluation is carried out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time and the space, so that the olfactory evaluation result having higher reliability can be derived.

또한,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 분석법은 두피 상의 복수개의 위치에서 측정된 뇌파에 대하여 수학적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뇌파의 근원 신호 영역을 조사하는 분석법이다. 다시 말해,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 분석법은 복수개의 두피 전극에서 각각 측정된 표면 기록 뇌파를 바탕으로 피질 하의 뇌파 활성영역의 위치를 해부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 분석법에 의하면, 뇌의 특정 부위의 전류 밀도는 그 인접한 부위의 평균 전류 밀도와 최대한 유사해야 한다는 가정 하에 두피 상에서 측정된 복수개의 뇌파를 분석하여, 피질 하의 뇌파 활성영역의 3차원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analysis is an analysis method in which a source signal region of an EEG is examined by applying a mathematical algorithm to EEG measur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scalp. In other words, the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analysis is an anatomical analysis of the position of the EEG under the cortex based on the surface record EEG measured at each of the plural scalp electrodes.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analysis, a plurality of brain waves measured on the scalp are analyz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urrent density at a specific region of the brain should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average current density at the adjacent region, Can be determined in three dimensions.

뇌파(EEG)의 근원 신호 영역을 3차원 공간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뇌파 측정에 사용되는 3개의 ground 전극(Fz, Cz, Pz) 이외에 복수개의 reference 전극을 추가적으로 두피 상에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뇌파 측정은 fMRI와 동시 사용이 가능한 31채널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spatially confirm the source signal region of the EEG, 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arrange a plurality of reference electrodes on the scalp in addition to the three ground electrodes Fz, Cz, and Pz used for brain wave measurement. Illustratively, EEG measurements can be made using a 31 channel system that can be used with fMRI.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술한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for performing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described above.

즉, 본원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매체는 지금까지 설명한 것과 같이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스를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로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로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medium records a program or a process for executing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as described so far. Th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Examples of such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 and DVD, programmed instructions such as floptical disk and magneto-optical media, ROM, And a hardware device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program. Or such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optical or metal lines, waveguides, etc., including a carrier wave that transmits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 level language code that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평가 장치(이하 '본 후각 기능 평가 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후각 기능 평가 장치는 앞서 설명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장치로서,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evaluating an olfactor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is an apparatus that can be used to implement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re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 Will be omitted or omitted.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평가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각 기능 평가 장치의 블록도이다.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olfactory function evalu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 olfactory function evalu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후각 기능 평가 장치는 뇌파 측정부(1), fMRI 촬영부(2) 및 제어부(3)를 포함한다.The present olfactory function evaluating apparatus includes an electroencephalogram measuring unit 1, an fMRI photographing unit 2, and a control unit 3.

뇌파 측정부(1)는 시간에 따라 평가 대상자(500)의 뇌 부위의 뇌파를 측정한다.The EEG measuring unit 1 measures the brain waves of the brain part of the subject 500 according to time.

도 5를 참조하면, 뇌파 측정부(1)는 두피에 밀착되는 모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뇌파 측정부(1)는 3개의 ground 전극(Fz, Cz, Pz)과 복수개의 ground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뇌파 측정부(1)에 3개의 ground 전극을 포함한 복수개의 전극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두피 상에서 측정된 뇌파를 기반으로 피질 하의 뇌파 활성영역(제1 활성영역)의 위치가 3차원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brain-wave measuring unit 1 may be provided in a hat shape closely attached to the scalp. Illustratively, the brain-wave measuring unit 1 may include three ground electrodes (Fz, Cz, Pz) and a plurality of ground electrodes. By provi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ing three ground electrodes in the electroencephalogram measuring unit 1,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brain-active area (first active area) under the cortex based on the brain waves measured on the scalp three-dimensionally .

fMRI 촬영부(2)는 뇌파 측정부(1)의 뇌파 측정과 동시에 평가 대상자(500)의 뇌 부위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생성한다.The fMRI photographing section 2 generates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of the brain region of the subject 500 simultaneously with the brain wave measurement of the brain wave measuring section 1.

도 5를 참조하면, fMRI 촬영부(2)는 누운 원통 형상의 보어의 중간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어의 중공부에 평가 대상자의 두부가 위치하게 된다. 보어는 자기장을 형성하고 원자핵에 대한 공명 현상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정자장(Static field)을 형성하는 정자장 코일부, 정자장에 경사자장(gradient field)을 형성하는 경사 코일부, RF 펄스를 인가하여 원자핵을 여기시키고 원자핵으로부터 에코 신호를 수신하는 RF 코일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MRI photographing unit 2 may be provided to form a hollow portion in the middle of a bore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toe of the subject to be evaluated is placed in the hollow part of the bore. The bore forms a magnetic field and generates a resonance phenomenon with respect to the nucleus. The bore includes a part of a sperm element forming a static field, a part of a slope forming a gradient field in a sperm element, An RF coil portion that excites the nucleus by applying a pulse and receives an echo signal from the nucleus,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3)는 보어를 구성하는 코일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코일 제어부, 원자핵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코신호를 수신하여 자기 공명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자기공명영상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워크스테이션 등과 같이, fMRI 촬영부(2)를 제어하거나 fMRI 촬영부(2)로부터 생성된 영상을 처리하는 구성들을 전부 포함하는 넓은 개념의 구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3 includes a coi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ils constituting the bore,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echo signal generated from the nucleus to generate a magnetic resonance image, a workstation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of the broad concept including all the configurations for controlling the fMRI photographing section 2 or processing the images generated from the fMRI photographing section 2,

제어부(3)는 평가 대상자(500)에게 후각 자극을 가하면서 이루어진 뇌파의 측정 결과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생성 결과를 후각 자극 시점을 기준으로 대비하여, 평가 대상자(500)의 후각 기능을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는, 후각 자극 시점 이후에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되고,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혈류 또한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평가 대상자(500)가 후각 자극에 대한 인지 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The control unit 3 evaluates the olfactory function of the evaluation subject 500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EEG produced while applying the olfactory stimulus to the evaluation subject 500 and the generation result of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on the basis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 Specifically, when the reaction of the brain waves is activated after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and the cerebral blood flow is also activated in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the control unit 3 determines whether the evaluation subject 500 has a cognitive ability for the olfactory stimulus .

이러한 제어부(3)는, 후각 자극 시점(S) 이후 제2 시간범위(T2) 내에서 뇌파의 양의 방향 최대 피크가 발생하는 경우에, 후각 자극에 대하여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는, 후각 자극 시점(S) 이후 제1 시간범위(T1) 내에서 뇌파의 음의 방향 피크(N1)가 발생하고, 음의 방향 피크 발생 이후 제2 시간범위(T2) 내에서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1)가 발생하는 경우, 후각 자극에 대하여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 can determine that the response of the brain waves to the olfactory stimulus is activated when the maximum peak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brain waves occurs within the second time range T2 after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S have. Or the control unit 3 generates the negative directional peak N1 of the brain waves within the first time range T1 after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S and generates the negative directional peak N1 of the brain waves within the second time range T2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sponse of the EEG to the olfactory stimulus is activated when the positive directional peak (P1) of the EEG is generated.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시간범위(T1)는 후각 자극 시점(S)을 0 ms라 하였을 때, 이를 기준으로 300 ms 내지 500 ms의 시간범위일 수 있고, 제2 시간범위(T2)는 후각 자극 시점 기준 450 ms 내지 700 ms의 시간범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ime range T1 may be a time range of 300 ms to 500 ms based on the time when the olfactory stimulus timing S is 0 ms, and the second time range T2 may be an olfactory angle And may be in the time range from 450 ms to 700 ms on the stimulation time basis.

또한 다른 예로, 제어부(3)는, 후각 자극 시점 이후에 뇌파의 진폭 변동 크기가 소정의 진폭 변동값을 초과하는 경우, 후각 자극에 대하여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뇌파의 진폭 변동 크기는, 후각 자극 시점(S) 이후 제1 시간범위(T1)에서 나타난 뇌파의 음의 방향 피크(negative peak)(N1)와, 음의 방향 피크 발생 이후 제2 시간범위(T2)에서 나타난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ositive peak)(P2)의 차이의 절대값(|P2-N1|)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3 may determine that the response of the EEG to the olfactory stimulus is activated when the amplitude fluctuation amplitude of the EEG exceeds the predetermined amplitude fluctuation value after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gnitude of amplitude fluctuation of the EEG is determined by the negative peak N1 of the brain waves appearing in the first time range T1 after the olfactory stimulus point S and the negative peak N1 of the brain waves after the negative peak May be an absolute value (| P2-N1 |) of a difference between positive positive peaks (P2) of the brain waves appearing in the two time range (T2).

또한 제어부(3)는, 평가 대상자(500)의 뇌 부위에서,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되는 제1 활성영역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혈류가 활성화되는 제2 활성영역이 상호 중첩될수록 평가 대상자의 후각 자극 인지 능력에 대한 평가 신뢰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활성영역("A1", "B1")은, 뇌파 측정 결과에 대하여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LORETA;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분석법을 적용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As the first active region in which the reaction of the EEG is activated and the second active region in which the cerebral blood flow is activated in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brain region of the evaluation subject 500, The evaluation reliability of the stimulus perception ability can be set high.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ctive area ("A1 "," B1 ") applies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LORETA) It can be confirmed dimensionally.

이와 같이, 제어부(3)는 전술한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의 S2 단계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3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step S2 of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described above.

또한, 본 후각 기능 평가 장치는 후각 자극기(4)를 포함할 수 있다. 후각 자극기(4)는 설정된 시점에 평가 대상자(500)의 후각으로 설정된 향을 공급할 수 있다. 설정된 향(odorants)은 citral(좋은 향기), β-mecapenthanol(악취), propylene glycol(무취)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olfactory function evaluating apparatus may include a olfactory stimulator 4. The olfactory stimulator 4 can supply the fragrance set by the olfactory angle of the evaluation subject 500 at the set time point. The set odorants can be classified into citral (good fragrance), β-mecapenthanol (odor), and propylene glycol (odorless).

또한, 후각 자극기(4)는 제어부(3)와 연동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3)를 통해 후각 자극기(4)에 의한 후각 자극 시점(S)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는 후각 자극기(4)에 의한 후각 자극 시점(S)을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다. Further, the olfactory stimulator 4 can be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3. [ Illustratively, the control unit 3 can adjust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S by the olfactory stimulator 4. Further, the control unit 3 can automatically record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S by the olfactory stimulator 4. [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후각 기능 평가 방법 및 장치의 작용효과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본원에 의하면, 금속전극이 분산 배치된 수영모 형상의 뇌파 측정부(1)를 평가 대상자(500)에게 착용시키고 평가 대상자(500)의 코에 캐뉼라(cannula)를 삽입한 상태에서 fMRI 촬영부(2) 내의 중공부에 평가 대상자의 두부가 위치하도록 한 다음, 후각 자극과 함께 측정부(1)를 통한 뇌파(EEG) 측정과 fMRI 촬영부(2)를 통한 뇌 혈류량 측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측정 결과, 동일한 후각 자극에 대하여 뇌파의 활성화 및 뇌 혈류량의 활성화가 모두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면, 평가 대상자가 후각 기능을 상실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EG-based brain wave measuring unit 1, in which the metal electrodes are dispersedly arranged, is worn on the evaluation subject 500 and the cannula is inserted into the nose of the evaluation subject 500, The EEG measurement through the measurement unit 1 and the cerebral blood flow measurement through the fMRI imaging unit 2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olfactory stimulation.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f the activation of the EEG and the activation of the cerebral blood flow are all found to be related to the same olfactory stimulus, it can be judged that the subject does not lose the olfactory function.

이와 같이 본원에 의하면, high temporal resolution을 갖는 뇌파 측정과 high spatial resolution을 갖는 fMRI 생성을 시간 동기화하여 함께 수행함으로써, 동일 시간대에 동일 위치에서 뇌파 활성화와 뇌 혈류량 변동이 동시에 측정될 수 있어, 보다 객관화되고 표준화된 후각 기능 평가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이를 통해, 적절한 화학 감각 자극방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으며, 자극에 반응하는 뇌의 활성화 영역과 인지 과정을 보다 쉽게 규명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ain wave measurement with high temporal resolution and fMRI generation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are performed in synchronism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so that activation of brain waves and changes in cerebral blood flow can be simultaneously measured at the same time, And a standardized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result can be provided. Moreover, it is possible to develop a proper chemical sensory stimulation method more effectively, and to more easily identify the activation area and cognitive process of the brain responsive to the stimulus.

또한, 뇌파 측정 결과 뇌파 파형의 진폭이 급변한 시점(P2 latency)에 대하여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 분석법을 적용하여 3차원 이미징 처리한 다음, fMRI를 통해 동일한 시간영역에서 측정된 뇌 혈류량 발생 위치와 대비함으로써, 제1 활성영역과 제2 활성영역의 중첩 여부를 분석하여 평가 대상자의 후각 기능 평가 결과의 신뢰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EEG was applied to the P2 latency at the time of rapid change of the EEG waveform amplitude, and then the 3D imaging was performed using fMRI. The reliability of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result of the person to be evaluated can be further improved by analyzing whether or not the first active area and the second active area overlap each other.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뇌파 측정부 2: fMRI 촬영부(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촬영부)
3: 제어부 4: 후각 자극기
500: 평가 대상자
1: EEG measurement part 2: fMRI imaging part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part)
3: control unit 4: olfactory stimulator
500: Target of evaluation

Claims (20)

후각 기능 평가 방법에 있어서,
평가 대상자에게 후각 자극을 가하면서, 상기 평가 대상자의 뇌 부위의 뇌파(EEG) 측정 및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생성을 동시에 진행하는 단계; 및
후각 자극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뇌파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생성 결과를 대비하여, 상기 평가 대상자의 후각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후각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이후에 상기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되고 상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혈류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평가 대상자가 상기 후각 자극에 대한 인지 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는 것인 후각 기능 평가 방법.
In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EEG measurement and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generation of the brain region of the subject to be evaluated while applying the olfactory stimulus to the subject to be evaluated; And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of the subject to be evaluated by comparing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EEG with the result of generation of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on the basis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Wherein the evaluation of the olfactory function comprises the steps of: when the reaction of the EEG is activated after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and the cerebral blood flow is activated in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Wherein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is evaluated as having an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각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이후 소정의 시간범위 내에서 상기 뇌파의 양의 방향 최대 피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후각 자극에 대하여 상기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후각 기능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comprises:
Wherein when the maximum peak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EEG occur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after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ction of the EEG is activated with respect to the olfactory stimul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범위는 450 ms 내지 700 ms의 시간범위인 것인 후각 기능 평가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range is a time range of 450 ms to 700 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각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이후 제1 시간범위 내에서 상기 뇌파의 음의 방향 피크가 발생하고, 상기 음의 방향 피크 발생 이후 제2 시간범위 내에서 상기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후각 자극에 대하여 상기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후각 기능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comprises:
When a negative directional peak of the brain wave occurs within a first time range after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and a positive directional peak of the brain wave occurs within a second time range after the generation of the negative directional peak, Wherein the sensation of the sensed olfactory function is judged to be activa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범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기준 300 ms 내지 500 ms의 시간범위이고, 상기 제2 시간범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기준 450 ms 내지 700 ms의 시간범위인 것인 후각 기능 평가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time range is a time range of 300 ms to 500 ms and the second time range is a time range of 450 ms to 700 ms based on the olfactory stimulus time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각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이후에 상기 뇌파의 진폭 변동 크기가 소정의 진폭 변동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후각 자극에 대하여 상기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뇌파의 진폭 변동 크기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이후 제1 시간범위 내에서 나타난 상기 뇌파의 음의 방향 피크(negative peak)와, 상기 음의 방향 피크 발생 이후 제2 시간범위 내에서 나타난 상기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ositive peak)의 차이의 절대값인 것인 후각 기능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comprises:
Wherein when the magnitude of amplitude fluctuation of the brain wave exceeds a predetermined amplitude variation value after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ponse of the brain wave to the olfactory stimulus is activated,
Wherein the magnitude of the amplitude fluctuation of the EEG includes a negative peak of the EEG occurring within a first time range after the olfactory stimulation point and a negative peak of the EEG occurring within a second time range after the occurrence of the negative direction peak, Wherei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of the positive peak is an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of the positive pea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범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기준 300 ms 내지 500 ms의 시간범위이고, 상기 제2 시간범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기준 450 ms 내지 700 ms의 시간범위인 것인 후각 기능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time range is a time range of 300 ms to 500 ms and the second time range is a time range of 450 ms to 700 ms based on the olfactory stimulus time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각 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 대상자의 뇌 부위에서, 상기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되는 제1 활성영역과 상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혈류가 활성화되는 제2 활성영역이 상호 중첩될수록 상기 인지 능력에 대한 평가 신뢰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인 후각 기능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comprises:
The evaluation reliability of the cognitive ability is set to be higher as the first active region in which the reaction of the brain waves is activated and the second active region in which the cerebral blood flow is activated overlap each other in the brain region of the evaluation subject / RTI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영역 및 상기 제2 활성영역은 소정의 시간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상기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의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확인되는 것인 후각 기능 평가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active region and the second active region are identified based on a generation time point of a positive directional peak of the EEG occurring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범위는 450 ms 내지 700 ms의 시간범위인 것인 후각 기능 평가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range is a time range of 450 ms to 700 m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영역은, 상기 뇌파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분석법을 적용하여 3차원적으로 확인되는 것인 후각 기능 평가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active region is verified three-dimensionally by applying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to the EEG measurement result.
제1항에 따른 후각 기능 평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A computer-readable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s recorded. 후각 기능 평가 장치에 있어서,
시간에 따라 평가 대상자의 뇌 부위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
상기 뇌파 측정부의 뇌파 측정과 동시에 상기 뇌 부위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생성하는 fMRI 촬영부; 및
평가 대상자에게 후각 자극을 가하면서 이루어진 상기 뇌파의 측정 결과와 상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생성 결과를 후각 자극 시점을 기준으로 대비하여, 상기 평가 대상자의 후각 기능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이후에 상기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되고 상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혈류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평가 대상자가 상기 후각 자극에 대한 인지 능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는 것인 후각 기능 평가 장치.
In th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A brain wav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brain waves of the brain region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ime;
An fMRI photographing unit for generating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of the brain region simultaneously with the brain wave measurement of the brain wave measuring unit; And
And a controller for evaluating the olfactory function of the evaluation subject by comparing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brain waves and the result of generation of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made with the olfactory stimulus to the evaluation subject based on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ing,
Wherein the controller evaluates that the subject to be evaluated has cognitive ability to the olfactory stimulus when the reaction of the brain waves is activated after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and the cerebral blood flow is determined to be activated in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이후 소정의 시간범위 내에서 상기 뇌파의 양의 방향 최대 피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후각 자극에 대하여 상기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후각 기능 평가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response of the brain waves to the olfactory stimulus is activated when a maximum peak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brain waves occur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after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범위는 450 ms 내지 700 ms의 시간범위인 것인 후각 기능 평가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range is a time range of 450 ms to 700 m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이후 제1 시간범위 내에서 상기 뇌파의 음의 방향 피크가 발생하고, 상기 음의 방향 피크 발생 이후 제2 시간범위 내에서 상기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후각 자극에 대하여 상기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후각 기능 평가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negative direction peak of the brain wave occurs within a first time range after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and a positive direction peak of the brain wave occurs within a second time range after the negative direction peak occurs , And determines that the reaction of the brain waves is activated with respect to the olfactory stimulu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범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기준 300 ms 내지 500 ms의 시간범위이고, 상기 제2 시간범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기준 450 ms 내지 700 ms의 시간범위인 것인 후각 기능 평가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time range is a time range of 300 ms to 500 ms and the second time range is a time range of 450 ms to 700 ms based on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e poi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이후에 상기 뇌파의 진폭 변동 크기가 소정의 진폭 변동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후각 자극에 대하여 상기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뇌파의 진폭 변동 크기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이후 제1 시간범위 내에서 나타난 상기 뇌파의 음의 방향 피크(negative peak)와, 상기 음의 방향 피크 발생 이후 제2 시간범위 내에서 나타난 상기 뇌파의 양의 방향 피크(positive peak)의 차이의 절대값인 것인 후각 기능 평가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response of the brain waves to the olfactory stimulus is activated when the magnitude of amplitude fluctuation of the brain wave exceeds the predetermined amplitude variation value after the time of the olfactory stimulation,
Wherein the magnitude of the amplitude fluctuation of the EEG includes a negative peak of the EEG occurring within a first time range after the olfactory stimulation point and a negative peak of the EEG occurring within a second time range after the occurrence of the negative direction peak, Wherei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of the positive peak is an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of the positive peak.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범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기준 300 ms 내지 500 ms의 시간범위이고, 상기 제2 시간범위는 상기 후각 자극 시점 기준 450 ms 내지 700 ms의 시간범위인 것인 후각 기능 평가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irst time range is a time range of 300 ms to 500 ms and the second time range is a time range of 450 ms to 700 ms based on the olfactory stimulation time poi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가 대상자의 뇌 부위에서, 상기 뇌파의 반응이 활성화되는 제1 활성영역과 상기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혈류가 활성화되는 제2 활성영역이 상호 중첩될수록 상기 인지 능력에 대한 평가 신뢰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인 후각 기능 평가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evaluation reliability of the cognitive ability is set to be higher as the first active region in which the reaction of the brain waves is activated and the second active region in which the cerebral blood flow is activated overlap each other in the brain region of the evaluation subject Olfactory function evaluation device.
KR1020140150399A 2014-10-31 2014-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olfactory function KR101630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399A KR101630747B1 (en) 2014-10-31 2014-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olfactory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399A KR101630747B1 (en) 2014-10-31 2014-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olfactory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038A true KR20160051038A (en) 2016-05-11
KR101630747B1 KR101630747B1 (en) 2016-06-15

Family

ID=5602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399A KR101630747B1 (en) 2014-10-31 2014-10-31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olfactory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747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141A (en) * 2018-03-27 2019-10-0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Odor evaluation device for multi sample suction module
GB2574663A (en) * 2018-06-15 2019-12-18 Johan Lundstroem An EEG signal processor, and associated methods
KR20190140706A (en) * 2018-06-12 2019-12-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Radio-frequency coil device with all-in-one stimulation device
CN112493998A (en) * 2020-12-09 2021-03-16 北京意图科技有限公司 Olfactory senso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N113100780A (en) * 2021-03-04 2021-07-13 北京大学 Automatic processing method for synchronous brain electricity-function magnetic resonance data
CN114449949A (en) * 2019-08-29 2022-05-06 皇家飞利浦有限公司 System for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data acquisition
CN114531847A (en) * 2019-09-27 2022-05-24 爱设株式会社 Dementia inspection device, dementia diagnosis device, and dementia diagnosis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9808A (en) * 2006-11-01 2008-05-07 강만희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examinee's response, apparatus for testing aptitude
JP2012177112A (en) * 2011-02-24 2012-09-13 Takasago Internatl Corp Method for measuring response to olfactive stimulus
WO2014022926A1 (en) * 2012-08-10 2014-02-13 Valorisation-Recherche, Limited Partnership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a stimulus property perceived by a subje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9808A (en) * 2006-11-01 2008-05-07 강만희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examinee's response, apparatus for testing aptitude
JP2012177112A (en) * 2011-02-24 2012-09-13 Takasago Internatl Corp Method for measuring response to olfactive stimulus
WO2014022926A1 (en) * 2012-08-10 2014-02-13 Valorisation-Recherche, Limited Partnership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a stimulus property perceived by a subjec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141A (en) * 2018-03-27 2019-10-0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Odor evaluation device for multi sample suction module
KR20190140706A (en) * 2018-06-12 2019-12-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Radio-frequency coil device with all-in-one stimulation device
GB2574663A (en) * 2018-06-15 2019-12-18 Johan Lundstroem An EEG signal processor, and associated methods
CN114449949A (en) * 2019-08-29 2022-05-06 皇家飞利浦有限公司 System for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data acquisition
CN114531847A (en) * 2019-09-27 2022-05-24 爱设株式会社 Dementia inspection device, dementia diagnosis device, and dementia diagnosis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2493998A (en) * 2020-12-09 2021-03-16 北京意图科技有限公司 Olfactory senso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N113100780A (en) * 2021-03-04 2021-07-13 北京大学 Automatic processing method for synchronous brain electricity-function magnetic resonance data
CN113100780B (en) * 2021-03-04 2022-07-26 北京大学 Automatic processing method for synchronous brain electricity-function magnetic resonance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747B1 (en)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7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olfactory function
Hernandez-Pavon et al. TMS combined with EEG: Recommendations and open issues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Bergmann et al. Combining non-invasive transcranial brain stimulation with neuroimaging and electrophysiology: current approaches and future perspectives
Farzan et al. Characterizing and modulating brain circuitry through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combined with electroencephalography
Siebner et al. Consensus paper: combining transcranial stimulation with neuroimaging
Phillips et al. Convergent evidence for hierarchical prediction networks from human electrocorticography and magnetoencephalography
Johnson et al. Task-dependent changes in cortical excitability and effective connectivity: a combined TMS-EEG study
Moeller et al. Representation and propagation of epileptic activity in absences and generalized photoparoxysmal responses
Shpaner et al. Disambiguating the roles of area V1 and the lateral occipital complex (LOC) in contour integration
Hartwigsen et al. Modeling the effects of noninvasive transcranial brain stimulation at the biophysical, network, and cognitive level
JP20205030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treatment outcome
McDermott et al. tDCS modulates behavioral performance and the neural oscillatory dynamics serving visual selective attention
Oya et al. Mapping effective connectivity in the human brain with concurrent intra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BOLD-fMRI
Papadelis et al. MEG’s ability to localise accurately weak transient neural sources
Calhoun et al. Aberrant processing of deviant stimuli in schizophrenia revealed by fusion of fMRI and EEG data
Britz et al. Perceptual reversals during binocular rivalry: ERP components and their concomitant source differences
Rosanova et al. Combining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with electroencephalography to study human cortical excitability and effective connectivity
Qian et al. Fast presurgical functional mapping using task-related intracranial high gamma activity
Barnes et al. Electrophysiological measures of resting 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working memory capacity in childhood
Campanella et al. BOLD response to deviant face detection informed by P300 event-related potential parameters: A simultaneous ERP–fMRI study
Kerr et al. Physiology-based modeling of 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s
Tarantino et al. The neural bases of event monitoring across domains: A simultaneous ERP-fMRI study
US20190053734A1 (en) Rapid mapping of language function and motor function without subject participation
Fu et al.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in Neuroergonomics.
Milner et al. Towards neural correlates of auditory stimulus processing: a simultaneous auditory evoked potentials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study using an odd-ball paradig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