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993A -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993A
KR20160050993A KR1020140150298A KR20140150298A KR20160050993A KR 20160050993 A KR20160050993 A KR 20160050993A KR 1020140150298 A KR1020140150298 A KR 1020140150298A KR 20140150298 A KR20140150298 A KR 20140150298A KR 20160050993 A KR20160050993 A KR 20160050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scue
time
si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형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0993A/ko
Publication of KR2016005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장치는, 구조요원에게 지급된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복수명의 구조요원에 대한 시간별 상황정보를 수신하고, 외부장치로부터 구조현장에 대한 현장정보 및 구조지휘처의 시간별 지휘명령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시간별 상황정보는 구조요원의 위치 정보, 신체변화상황정보, 환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구조대상의 나이, 성별, 신체변화상황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함-와, 입력부로부터 복기시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획득된 시간별 상황정보, 현장 정보 및 지휘명령을 시계열적인 순서에 따라 집계한 사실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실정보를 복기시켜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복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PLAYING RESCUE INFORMATION OF RESCUE WORK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환경이 급격히 다변화되면서, 화재, 폭발, 붕괴 등과 같은 각종 대규모 재난·사고의 발생 빈도 수 또한 대폭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재난시설(또는, 재난지역) 내에서, 인명을 실질적으로 구출/구호하고, 재난상황을 진압하는 소방관, 경찰관, 구급대원 등과 같은 재난구조요원의 위상 또한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재난시설 내에 투입된 재난구조요원들은 해당 재난시설의 곳곳으로 흩어져, 이에 고립되어 있던 구조대상자를 수색하고, 이들을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시키는 활동, 화재 등의 재난상황을 진압하는 활동 등을 주로 전개하게 된다.
그러나, 재난·사고가 발생한 재난시설은 일반적으로 전기의 공급이 강제로 끊겨, 매우 어두울 뿐만 아니라, 곳곳에 화염, 가스등의 위험인자가 폭 넓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구조대상자뿐만 아니라, 재난구조요원까지 위험에 처하게 되는 심각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열악한 고립환경 하에서, 각 재난구조요원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 이동경로, 위치 등을 정확하게 인지하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별도의 지휘/지시가 체계적으로 하달되지 아니하는 한, 각 재난구조요원들은 재난시설 곳곳을 효과적으로 수색하지 못하고, 여러 재난구조요원들이 일시에 한 곳에 몰리는 불합리한 움직임을 보일 수밖에 없거나, 나아가, 주변에 위험에 처한 동료 재난구조요원이 있다 하여도, 이를 적시에 구조하지 못하는 등의 불합리한 처지에 불가피하게 놓일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재난 구출/구조환경이 매우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재난구호 지휘소에서는 이에 대한 아무런 대비책 없이, 단지, 각 재난구조요원들과의 무전연락에 단편적으로 의존하여, 지휘명령을 하달하는 전통적인 재난구조패턴을 무모하게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각 재난구조요원들 측에서는 상술한 여러 문제점들을 심각하게 겪고 있으면서도, 이를 전혀 사전 회피·차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명세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재난구조정보를 분석하고 학습하기 위한 복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장치는, 구조요원에게 지급된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복수명의 구조요원에 대한 시간별 상황정보를 수신하고, 외부장치로부터 구조현장에 대한 현장정보 및 구조지휘처의 시간별 지휘명령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시간별 상황정보는 구조요원의 위치 정보, 신체변화상황정보, 환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함-와, 입력부로부터 복기시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획득된 시간별 상황정보, 현장 정보 및 지휘명령을 시계열적인 순서에 따라 집계한 사실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실정보를 복기시켜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복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장치에 의한 구조정보 복기방법으로서, 구조요원에게 지급된 단말로부터 복수명의 구조요원과 구조대상에 대한 시간별 상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시간별 상황정보는 구조요원의 위치 정보, 신체변화상황정보, 환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함-;와, 외부장치로부터 구조현장에 대한 현장정보 및 구조지휘처의 시간별 지휘명령를 획득하는 단계 및 입력부로부터 복기시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획득된 시간별 상황정보, 현장 정보 및 지휘명령을 시계열적인 순서에 따라 집계한 사실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실정보를 복기시켜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끝난 후에 구조상황을 복기시켜 봄으로써 사고시점의 구조 상황을 검토해보거나 또는 구조시 문제점 보안사항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구조정보를 다음 구조시 데이터베이스로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신뢰성 높은 보고자료 또는 보도자료를 작성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장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시스템에 이용되는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장치에서 제공하는 복기시작 화면의 일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장치에서 제공하는 복기화면의 일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장치에서 제공하는 구조현장 지도 상에 표시되는 복기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정보 복기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100)과 외부 장치(10) 및 구조정보 복기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100)은 대원의 신체 또는 소지품에 장착되어 상황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황정보는 구조요원의 위치 정보, 신체변화상황정보, 환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은 강도가 높고 충격에 강하며 화재 열기의 침투를 막고, 방염 처리가 되는 것이 좋다.
즉, 구조대원은 상기 단말(100)을 이용하여 자신의 상황정보, 구조현장의 정보 또는 그 이외의 정보(예컨대, 발견한 구조대상자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10)는 구조정보 복기장치(200)가 구조정보의 복기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일 수도 있고 복수개의 장치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장치로 설명한다.
구조정보 복기장치(200)는 단말(100)에서 확인된 정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신받고, 외부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시계열적으로 구조상황을 복기시켜 표시한다.
이러한 구조정보 복기장치(200)의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장치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정보 복기장치(200)는 데이터 획득부(210), 복기부(220), 표시부(230), 입력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30)는 구조정보 복기장치(200)와 일체형일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 요소일 수도 있으며, 표시부(230)와 입력부(240)가 터치패드와 같은 일체형일 수도 있다.
데이터 획득부(210)는 외부의 단말 및 장치와 통신하고, 수신되는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복기부(220)는 구조정보를 복기하기 위한 구조정보 복기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복기부(220)는 데이터 획득부(210)에서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시계열적인 순서에 따라 구조상황을 복기시켜 표시부(230)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입력부(240)의 입력에 따라 임의의 시점에서 가상 팩터를 삽입하여 구조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250)에는 데이터 획득부(2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고, 복기부(220)가 구조정보를 복기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시스템에 이용되는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은 통신부(110), 위치정보센서(120), 생체측정센서(130), 오염센서(140), 온습도센서(150), 열화상카메라(160), 입력부(170), 마이크(180) 및 출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단말 및 장치와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정보센서(120)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음영 지역에서는 수신된 GPS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자이로센서 및 비콘(Beacon)을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100)은 지그비 및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에 기반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생체측정센서(130)는 구조대원의 생체 신호 즉, 맥박, 체온, 심전도 및 혈류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한다.
오염센서(140) 및 온습도센서(150)는 구조대원 근처의 주위의 공기 오염도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 주위의 공기 오염도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공기통 잔량을 더 측정할 수도 있다.
열화상카메라(160)는 구조대원의 근처의 화상을 촬영하고, 원적외선 렌즈를 이용하면 빛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도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170)는 구조대원의 변화되는 이벤트 발생을 전달하기 위한 입력 장치이다.
마이크(180)는 입력부(170)의 일부로서, 구조대원의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조대원은 입력부(170)의 조작 예컨대 통화버튼을 누른 후, 이벤트 발생을 마이크(180)를 통해 전달할 수도 있다.
출력부(190)는 외부 장치(10) 예컨대 구조지휘처의 지휘명령 등을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위치정보센서(120), 생체측정센서(130), 오염센서(140), 온습도센서(150), 열화상카메라(160), 입력부(170), 마이크(180)와 전기적으로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구성요소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단말마다 고유하게 부여된 ID 및 시간정보를 함께 송신하고, 외부 단말로부터 예컨대, 구조지휘처의 장치 또는 다른 구조대원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복수의 단말(100)은 위치정보센서(120)를 포함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100)은 통신사의 위치 추적 서비스를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100)은 음영 지역에서는 수신된 GPS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자이로센서 및 비콘(Beacon)을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복수의 단말(100)은 지그비 및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에 기반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외에, 복수의 단말(100)은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현장 영상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10) 또는 구조정보 복기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정보 복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조정보 복기장치의 복기방법을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술한 구성요소들은 모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일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정보 복기장치는 구조요원의 시간별 상황정보를 수신한다(S100).
구조요원의 상황정보는 구조요원이 단말(도 1의 100)로부터 현장에서 수신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직접 수신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 구조지휘처의 장치를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
구조정보 복기장치는 현장 정보 및 지휘명령을 획득한다(S110).
현장 정보는 외부 장치(10)로부터 획득되는 예컨대 건조물의 설계도면이나 평면도, 지역 맵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또는 구조요원의 단말(100)로부터 획득되는 현장 이미지, 주변 온도 및 공기오염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지휘명령은 구조시에 구조요원의 단말(100)에 전송된 정보로서, 구조지휘처의 장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구조지휘처의 장치는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원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대원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원이 지정된 위치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대원에게 범위 이탈을 통지하고 다음 경로를 명령할 수 있다.
구조정보 복기장치는 입력부로부터 복기시작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획득된 정보를 복기시켜 표시부에 표시한다(S130).
정보를 복기시키기 위하여 시간별 상황정보, 현장 정보 및 지휘명령을 시계열적인 순서에 따라 집계하고, 집계된 사실정보를 복기시킨다. 상기 집계된 사실정보는 저장부에 저장하여 구조 데이터베이스로서 활용한다.
표시할 때는 구조현장의 맵을 획득하였는지 확인하여 구조현장의 맵이 확인되면 상기 맵상에 상기 구조요원의 위치 정보를 시계열적인 순서에 따라 연결선으로 연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계 130의 복기중 이벤트 시점에 도달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32).
이벤트 시점은 상기 구조요원에 대한 시간별 상황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부합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예컨대, 구조요원이 구조대상을 파악한 시점으로서, 구조요원과 파악된 구조대상의 위치정보가 장애물 없이 미리 정해진 범위 이내인 경우 일 수 있다. 또는 구조요원의 생체정보가 미리 정해진 한계값을 벗어나는 시점 예컨대, 체온이나 심박수가 급증하거나, 부상이 감지된 경우 일 수 있다.
단계 S132에서 이벤트 시점이 감지되면, 감지된 시점 이전의 정보를 통해서 시뮬레이션 하여 이후 구조요원의 다음 목적지까지의 최단경로와 최적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S134).
이와 같이 이벤트 시점 마다 구조가능한 최적경로와 구조가능한 최단경로를 각각 구별가능한 연결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복기할 정보가 남아있는지 확인하여 남아있는 경우 단계 S132 이전으로 돌아가고 남아있지 않은 경우 복기를 종료시킨다(S136).
도시된 각 단계들은 모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일부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장치에서 제공하는 복기시작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저장된 구조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재난명, 기간명 등을 조회하여 복기를 원하는 구조임무를 선택할 수 있고, 재현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복기가 시작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 장치에서 제공하는 복기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대원들의 실시간 위치가 표시되고 각 대원들의 생체정보가 표시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되고 이와 함께 이벤트 정보가 알람 현황에 제공된다.
이러한 화면에서 이벤트 시점이 되면 시뮬레이션 구동버튼이 화면에 제공되고 임의의 시간 예컨대 5초가 지나면 자동적으로 시뮬레이션 구동버튼은 비활성화되거나 사라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변형예에서 총 재생 시간을 바(bar) 형태로 제공하고 재생 시간 바에서 현재 복기되어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시점을 기호 또는 색을 이용하여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시간 바에 원하는 시점을 선택하여 해당 시점을 복기시킬 수 있다. 재생 시간 바에 원하는 시점을 선택하면 해당 시점의 시간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각 대원 들간의 거리가 실선으로 표시되고 각 대원간의 최단 거리가 부가정보로서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복기되어 표시되고 있는 시점과 시계열적으로 일치하는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구조현장의 동일한 시간의 전체적인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해볼 수 있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정보 복기장치에서 제공하는 구조현장 지도 상에 표시되는 복기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구조 현장의 지도 정보가 확인되면 해당 구조 현장의 지도 상에 구조 요원 의 위치 정보를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각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으로 해석되면 아니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에 의해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조합될 경우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생략될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복수의 단말
200 : 구조정보 복기장치
210 : 데이터 획득부
220 : 복기부
230 : 표시부
240 : 입력부
250 : 저장부

Claims (10)

  1. 구조요원에게 지급된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복수명의 구조요원에 대한 시간별 상황정보를 수신하고, 외부장치로부터 구조현장에 대한 현장정보 및 구조지휘처의 시간별 지휘명령을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시간별 상황정보는 구조요원의 위치 정보, 신체변화상황정보, 환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함-;
    입력부로부터 복기시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획득된 시간별 상황정보, 현장 정보 및 지휘명령을 시계열적인 순서에 따라 집계한 사실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실정보를 복기시켜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복기부
    를 포함하는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원에게 지급된 단말은,
    단말의 현 위치를 위도와 경도로 파악하는 위치정보센서;
    사용자의 맥박주위에 부착되어 생체정보인 맥박, 체온, 심전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생체측정센서;
    환경정보인 주위의 온도, 습도 및 가스분포 상황을 측정하는 오염 센서와 온습도센서;
    원적외선 렌즈로부터 입력되는 광화상을 광전 변환하여 열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구조요원에 의해 발견된 구조대상에 대한 상황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또는 마이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기부는 시계열적인 순서에 따라 상기 현장정보에 포함된 구조현장의 맵에 상기 구조요원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연결선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기부는 이벤트 시점 마다 구조가능한 최적경로와 구조가능한 최단경로를 각각 구별가능한 연결선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시점은 상기 구조요원에 대한 시간별 상황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부합하는 시점으로서, 상기 구조요원의 위치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내가 되는 시점, 구조요원의 생체정보가 미리 정해진 한계값을 벗어나는 시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6. 구조정보 복기장치에 의한 구조정보 복기방법으로서,
    구조요원에게 지급된 단말로부터 복수명의 구조요원에 대한 시간별 상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시간별 상황정보는 구조요원의 위치 정보, 신체변화상황정보, 환경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함-;
    외부장치로부터 구조현장에 대한 현장정보 및 구조지휘처의 시간별 지휘명령를 획득하는 단계; 및
    입력부로부터 복기시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획득된 시간별 상황정보, 현장 정보 및 지휘명령을 시계열적인 순서에 따라 집계한 사실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실정보를 복기시켜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원에게 지급된 단말기로부터 복수명의 구조요원과 구조대상에 대한 시간별 상황정보는, GPS로부터 파악된 현 위치의 위도와 경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및, 생체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맥박, 체온, 심전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체변화상황정보, 오염 센서와 온습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주위의 온도, 습도 및 가스분포 상황 정보와,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 신호 입력부 또는 마이크를 통해 구조요원에 의해 입력받은 상황정보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실정보를 복기시켜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현장정보에 포함된 구조현장의 맵에 상기 구조요원의 위치 정보를 시계열적인 순서에 따라 연결하는 연결선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실정보를 복기시켜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이벤트 시점 마다 구조가능한 최적경로와 구조가능한 최단경로를 각각 구별가능한 연결선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시점은 상기 구조요원에 대한 시간별 상황정보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부합하는 시점으로서, 상기 구조요원과 구조대상의 위치정보가 미리 정해진 범위 이내가 되는 시점, 구조요원의 생체정보가 미리 정해진 한계값을 벗어나는 시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방법.





KR1020140150298A 2014-10-31 2014-10-31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및 방법 KR20160050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298A KR20160050993A (ko) 2014-10-31 2014-10-31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298A KR20160050993A (ko) 2014-10-31 2014-10-31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993A true KR20160050993A (ko) 2016-05-11

Family

ID=5602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298A KR20160050993A (ko) 2014-10-31 2014-10-31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09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5051A (zh) * 2016-11-23 2017-03-22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救援人员室内搜救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5051A (zh) * 2016-11-23 2017-03-22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救援人员室内搜救方法
CN106525051B (zh) * 2016-11-23 2019-03-26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救援人员室内搜救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510B1 (ko) 소방관 팀의 자동화된 감지
CN102760341B (zh) 健康信息监测系统及方法
JP2016034490A (ja) 盲導モバイル装置位置決め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US10408629B2 (en) Navigation system, client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296063B1 (en) Emergency rescue system and method having video and IMU data synchronization
CN103037089A (zh) 一种移动装置的求助系统
KR102086564B1 (ko) IoT 기반의 지능형 피난 유도 시스템
KR20150122415A (ko) 재난 현장 무선 통합 지휘 시스템
KR101513896B1 (ko) 위급 상황 판별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CN102125742A (zh) 一种数字化消防火场救援系统
KR20160050994A (ko) 재난현장 의사결정방법 및 장치
CN106370187A (zh) 一种用于火灾中的导航设备
CN104161502A (zh) 随身宝监测系统及其组合使用和监测方法
CN207833650U (zh) 一种基于人员定位的室内火灾报警系统
CN108460963A (zh) 远程消防监控平台
KR20120044747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비상 알림시스템
TWI755834B (zh) 視覺圖資定位系統
KR20160050993A (ko) 구조대원의 구조정보 복기장치 및 방법
KR20150016687A (ko) 독거인용 케어 시스템
CN111351484A (zh) 室内紧急疏散导航系统
TWI656502B (zh) 隨身安全照護方法、裝置及系統
CN114283555A (zh) 消防应急精确疏散系统和方法
CN211409038U (zh) 一种消防员空呼压力与生命体征在线监测预警系统
US11087613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n emergency event
TWI637362B (zh) 火災救援系統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