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911A - Power window device - Google Patents

Power window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911A
KR20160050911A KR1020140150070A KR20140150070A KR20160050911A KR 20160050911 A KR20160050911 A KR 20160050911A KR 1020140150070 A KR1020140150070 A KR 1020140150070A KR 20140150070 A KR20140150070 A KR 20140150070A KR 20160050911 A KR20160050911 A KR 20160050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control unit
power window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0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6370B1 (en
Inventor
조길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370B1/en
Publication of KR2016005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9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3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window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technology to reduce the number of pins in a communications terminal and an enable terminal in a power window device to automatically control vehicle door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window device comprises: a power module switch outputting a signal to enable a power window to be individually moved up and down;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ower window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power module switch, wherein an enable signal and a communications signal are inputted through one common terminal.

Description

파워 윈도우 장치{Power window device}Power window device

본 발명은 파워 윈도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도어 글라스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 통신단과 인에이블 단의 핀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window device and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number of pin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nable terminal in a power window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trols a door glass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 글라스는 글라스 레귤레이터(Glass Regulator)에 의해 상하로 개폐되며, 수동식과 파워 윈도우(Power Window)로 구분된다. 파워 윈도우는 도어나 콘솔박스에 부착된 스위치에 의해 모터로 개폐되는 것이다. Generally, automobile door glass is opened and closed up and down by a glass regulator, and it is divided into a manual type and a power window. The power window is opened and closed by the motor by a switch attached to the door or console box.

도어 글라스는 개폐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구동모터로 작동되며 구동모터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신호를 받아 작동 및 정지하게 된다. 즉, 차량의 파워 윈도우 장치는 도어 모듈에 ECU가 내장되어 윈도우 스위치의 입력을 인식하고, 구동수단을 통해 윈도우의 상승/하강(UP/DOWN)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The door glass is operated as a driving motor by the operation of an opening / closing switch, and the driving motor is operated and stopped by receiving a signal from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is, the power window device of the vehicle is a device which recognizes the input of the window switch by the built-in ECU in the door module and controls the up / down (UP / DOWN) of the window through the driving means.

파워 윈도우 장치의 도어 모듈에 내장되는 ECU에는 세이프티(Safety) 기능이 적용되어 윈도우를 상승시키는 상태에서 사람의 팔이나 머리가 끼이는 경우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으므로 낌 발생시 안전을 위해 윈도우를 특정 길이만큼 드롭(Drop)시킨다.The ECU built in the door module of the power window unit has a safety function, so there is a risk of injury if a person's arm or head is caught while the window is raised. Drop.

그런데, 종래의 도어 모듈에 구비된 ECU는 윈도우 스위치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인에이블 단자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전용 단자를 별도의 핀으로 구비한다. 이에 따라, ECU의 회로 사이즈가 증가되고 와이어 설치로 인간 재료비가 증가하게 된다. However, the ECU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door module has an enable terminal for enabling the window switch and a communication dedicated terminal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as separate pins. As a result, the circuit size of the ECU is increased and the human material cost is increased by wire installation.

본 발명은 차량 도어 글라스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 하나의 핀을 통해 통신 전용단과 인에이블 단을 공용으로 사용하여 ECU(Electronic Control Unit) 회로의 사이즈를 줄이고 와이어 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window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vehicle door glass, in which a communication-dedicated stage and an enable stage are jointly used via one pin to reduce the size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circuit and reduce the number of wires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장치는, 파워 윈도우를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모듈스위치; 및 파워모듈스위치의 출력에 대응하여 파워 윈도우를 제어하고, 인에이블신호와 통신신호가 하나의 공통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ower window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module switch for outputting a signal for raising or lowering a power window, respectively; And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window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power module switch and the enable signal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being inputted through one common terminal.

본 발명은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 도어 모듈에 내장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한정된 입출력 단자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커넥터 사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와이어링의 삭제에 따라 원가절감 및 중량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utilize limited input / output terminals of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built in a door module in a power window device, minimizing connector specifications and reducing cost and weight by eliminating wiring to provide.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도 1의 세이프티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상세 회로도.
도 3은 도 도 2의 도 2의 MCU(Micro Control Unit)에 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도 2의 MCU(Micro Control Unit)에 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window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safety ECU (Electronic Control Unit) of Fig.
FIG.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CU (Micro Control Unit) of FIG. 2 of FIG. 2;
FIGS.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operations relating to the MCU (Micro Control Unit) of FIG. 2;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장치의 회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window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세이프티(Safety)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10~40)과, 복수의 파워모듈스위치(50~80)를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afety electronic control units (ECUs) 10 to 40 and a plurality of power module switches 50 to 80.

여기서, 복수의 세이프티 ECU(10~40)는 각각 전원단자 B+(PWR), 공통 단자 EN/LIN, 스위칭 단자 SW, 태일 단자 TAIL, 그라운드 단자 GND를 포함한다. Here, the plurality of safety ECUs 10 to 40 include a power terminal B + (PWR), a common terminal EN / LIN, a switching terminal SW, a tail terminal TAIL, and a ground terminal GND.

전원단자 B+(PWR)는 SBJ(Smart Junction Box)로부터 배터리 전원이 인가되는 단자이다. 공통 단자 EN/LIN는 인에이블신호의 입력단자를 통해 차체제어모듈(BCM; Body Control Module)로부터 인가되는 린 통신 신호가 동일 핀을 통해 입력되는 공통 단자이다. Power terminal B + (PWR) is a terminal to which battery power is supplied from the SBJ (Smart Junction Box). The common terminal EN / LIN is a common terminal through which a lean communication signal applied from a body control module (BCM) is inputted through the same pin through an input terminal of an enable signal.

스위칭 단자 SW는 복수의 파워모듈스위치(50~80)로부터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이다. 여기서, 스위칭 단자 SW는 조수석 윈도우를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태일 단자 TAIL는 조수석 또는 뒷자석 윈도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이다. 여기서, 태일 단자 TAIL는 다이오드 파워모듈스위치(60~80)의 다이오드 D2~D4를 거쳐 그라운드 단자 GND와 연결될 수 있다. The switching terminal SW is a terminal to which a switching signal is inputted from a plurality of power module switches 50 to 80. Here, the switching terminal SW may receive a switching signal for wirelessly controlling the passenger seat window. TAIL terminal TAIL is a terminal for inputting signals for controlling the passenger seat or rear magnet window. Here, the tail terminal TAIL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GND via the diodes D2 to D4 of the diode power module switches 60 to 80.

그리고, 복수의 파워모듈스위치(50~80)는 운전석 파워모듈스위치(50)와 조수석 파워모듈스위치(60), 뒷자석좌측 파워모듈스위치(70) 및 뒷자석우측 파워모듈스위치(8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ower module switches 50 to 80 are constituted by the driver's seat power module switch 50, the passenger's seat power module switch 60, the rear magnet left power module switch 70 and the rear magnet right power module switch 80 .

여기서, 운전석 파워모듈스위치(50)는 운전석 측 도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DDM(Driver Door Module)에 해당한다. 운전석 파워모듈스위치(50)은 뒷좌석 윈도우를 수동으로 상승/하강시킬 수 있는 뒷좌석 제어용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수석 파워모듈스위치(60)는 조수석 측 도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ADM(Assit Door Module)에 해당한다. Here, the driver's seat power module switch 50 corresponds to a DDM (Driver Door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on the driver's seat side. The driver's seat power module switch 50 may include a rear seat control switch that can manually raise / lower the rear seat window. The passenger-seat power module switch 60 corresponds to an ADM (Assit Door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side door.

그리고, 복수의 파워모듈스위치(50~80)는 각각 일측이 그라운드로 연결되는 수동 상승 스위치(UP), 수동 하강 스위치(DOWN), 자동 상승 스위치(AUTO UP) 및 자동 하강 스위치(AUTO DOWN)를 포함한다. 각 스위치의 다른 일측은 복수의 세이프티 ECU(10~40)의 스위칭 단자 SW에 연결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module switches 50 to 80 includes a manual up switch UP, a manual down switch DOWN, an automatic up switch AUTO UP and an automatic down switch AUTO DOWN . The other side of each switch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terminal SW of the plurality of safety ECUs 10-40.

또한, 파워모듈스위치(50)는 수동 상승 스위치(UP), 수동 하강 스위치(DOWN), 자동 상승 스위치(AUTO UP) 및 자동 하강 스위치(AUTO DOWN)와 연결된 복수의 저항 R1~R4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저항 R1~R4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파워모듈스위치(60)는 수동 상승 스위치(UP), 수동 하강 스위치(DOWN), 자동 상승 스위치(AUTO UP) 및 자동 하강 스위치(AUTO DOWN)와 연결된 복수의 저항 R5~R8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저항 R5~R8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The power module switch 50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R1 to R4 connected to a manual up switch UP, a manual down switch DOWN, an automatic up switch AUTO UP and an automatic down switch AUTO DOWN. Here, the plurality of resistors R1 to R4 may have different resistance values. The power module switch 60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R5 to R8 connected to a manual up switch UP, a manual down switch DOWN, an automatic up switch AUTO UP and an automatic down switch AUTO DOWN. Here, the plurality of resistors R5 to R8 may have different resistance values.

또한, 파워모듈스위치(70)는 수동 상승 스위치(UP), 수동 하강 스위치(DOWN), 자동 상승 스위치(AUTO UP) 및 자동 하강 스위치(AUTO DOWN)와 연결된 복수의 저항 R9~R12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저항 R9~R12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파워모듈스위치(80)는 수동 상승 스위치(UP), 수동 하강 스위치(DOWN), 자동 상승 스위치(AUTO UP) 및 자동 하강 스위치(AUTO DOWN)와 연결된 복수의 저항 R13~R16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저항 R13~R16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The power module switch 70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R9 to R12 connected to a manual up switch UP, a manual down switch DOWN, an automatic up switch AUTO UP and an automatic down switch AUTO DOWN. Here, the plurality of resistors R9 to R12 may have different resistance values. The power module switch 80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R13 to R16 connected to a manual up switch UP, a manual down switch DOWN, an automatic up switch AUTO UP and an automatic down switch AUTO DOWN. Here, the plurality of resistors R13 to R16 may have different resistance values.

따라서, 세이프티 ECU(10~40)는 복수의 파워모듈스위치(50~80)로부터 각각의 입력단을 통해 검출된 신호에 따라 윈도우의 상승 또는 하강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운전석 세이프티 ECU(10)는 운전석 파워모듈스위치(50)의 출력을 하나의 스위칭 입력단 SW으로 입력받아 저항값의 비율로 선택된 동작을 구별한 다음 선택된 구동을 실행시킨다.Therefore, the safety ECUs 10 to 40 execute the rising or falling of the window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s detected through the respective input terminals from the plurality of power module switches 50 to 80. For example, the driver's seat safety ECU 10 inputs the output of the driver's seat power module switch 50 to one switching input SW, distinguishes the operation selected by the ratio of resistance values, and then executes the selected driver.

그리고, 전원공급부는 차량의 세이프티 ECU(10~40)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 또는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의 일례로는 SJB(Smart Junction Box)가 될 수 있다. Then,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or releases power to each of the safety ECUs 10 to 40 of the vehicle.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 Smart Junction Box (SJB) in this embodiment.

SJB는 자동차 배선을 보호하기 위한 복수의 퓨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 자동차의 경우 고전압 배터리(B+)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SJB는 복수의 세이프티 ECU(10~40) 중 이상이 발생한 ECU와 연결된 퓨즈를 단선시키는 방식으로 해당 전자장치를 보호한다.The SJB consists of a plurality of fuses to protect the car wiring, and electric cars can be powered by a high voltage battery (B +). The SJB protects the electronic device by disconnecting the fuse connected to the ECU in which the abnormality of the plurality of safety ECUs 10 to 40 has occurred.

차체제어모듈(BCM; Body Control Module)의 대부분의 입력신호는 멀티 펑션(M/F; Multi-Function) 스위치로부터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통해서 입력받는다. 멀티 펑션 스위치가 BCM에 신호를 전송하여 BCM이 모터 일체형 세이프티(Safety)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제어하고, 린(LIN; Local Interface Network) 통신을 이용한다.Most of the input signals of the Body Control Module (BCM) are input through a 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communication from a multi-function (M / F) switch. The multifunction switch transmits a signal to the BCM, which controls the motor-integrated safety ECU (Electronic Control Unit) and uses the LIN (Local Interface Network) communication.

최근, 자동차에 적용되는 전자장치들이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전자장치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전자장치들 간의 통신을 위한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및 플렉스레이(flexray)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Recently, electronic devices that are applied to automobiles are increasing. As th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applied to automobiles increase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controller area network (CAN), 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and flexray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se electronic devices have also been developed .

자동차에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는, 바디 도메인(body domain), 멀티미디어 도메인, 파워트레인 도메인 및 샤시 도메인별로 각 도메인 특성에 맞게 다른 통신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다수의 자동차용 네트워크는, 캔, 린, 플렉스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캔, 린 및 플렉스레이 뿐만 아니라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Communication networks applied to automobiles employ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according to respective domain characteristics for a body domain, a multimedia domain, a power train domain, and a chassis domain. A plurality of automotive networks can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cans, liners, and flex lanes,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network in which communication is possible as well as cans, lean and flex rail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여러 가지 통신 방식 중에서 BCM이 세이프티 ECU와 린(LIN) 방식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그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the BCM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safety ECU through the LIN method.

도 2는 도 1의 세이프티 ECU(Electronic Control Unit)(10~40)의 상세 회로도이다. 세이프티 ECU(Electronic Control Unit)(10~40)의 공통 단자 EN/LIN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석 측 세이프티 ECU(Electronic Control Unit)(10)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safety ECU (Electronic Control Unit) 10 to 40 of FIG. The common terminal EN / LIN constructions of the safety ECUs (Electronic Control Units) 10 to 40 are all the same, and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safety ECU (electronic control unit) 10 on the driver's seat si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운전석 측 세이프티 ECU(Electronic Control Unit)(10)는 공통 단자 EN/LIN을 통해 차체제어모듈(BCM; Body Control Module)로부터 린 통신 신호가 인가되거나 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즉, 운전석 측 세이프티 ECU(10)는 린 통신단과 인에이블 단을 동일한 핀을 통해 공용으로 사용한다. A safety ECU (Electronic Control Unit) 10 on the driver's seat side can apply a lean communication signal or an enable signal from a body control module (BCM) via a common terminal EN / LIN. That is, the driver's seat side safety ECU 10 commonly uses the lean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nable terminal via the same pin.

이러한 운전석 측 세이프티 ECU(10)는 복수의 저항 R17~R20과, 복수의 커패시터 C1,C2를 포함한다. The driver's side safety ECU 10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R17 to R20 and a plurality of capacitors C1 and C2.

여기서, 저항 R17은 공통 단자 EN/LIN와 고전압 배터리 단자 B+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저항 R18은 공통 단자 EN/LIN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Micro Control Unit, 100)의 통신단자(LIN)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저항 R19는 공통 단자 EN/LIN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Micro Control Unit, 100)의 인에이블단자(EN)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저항 R20은 저항 R19와 그라운드단 GND 사이에 연결된다. Here, the resistor R17 is connect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EN / LIN and the high voltage battery terminal B +. The resistor R18 is connect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EN / LIN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LIN of the micro control unit (MCU) 100. In addition, the resistor R19 is connected between the common terminal EN / LIN and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microcontrol unit (MCU) 100. The resistor R20 is connected between the resistor R19 and the ground GND.

또한, 커패시터 C1는 저항 R17~R19의 일단과 그라운드단 GND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커패시터 C2는 저항 R20과 병렬 연결되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의 인에이블단자(EN)와 그라운드단 GND 사이에 연결된다. Also, the capacitor C1 is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resistors R17 to R19 and the ground GND. The capacitor C2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or R20,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enable terminal EN of the micro control unit 100 and the ground GND.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인에이블신호가 입력되는 인에이블단자(EN)와 린 통신 신호가 인가되는 통신단자(LIN)를 포함한다. 세이프티 ECU(Electronic Control Unit)(10)는 하나의 핀으로 구성된 공통 단자 EN/LIN를 통해 인에이블신호 또는 린 통신 신호가 인가되지만, 그 내부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입력 소스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단을 갖는다. The micro control unit 100 includes an enable terminal EN to which an enable signal is input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LIN to which a lean communication signal is applied. In the safety ECU (Electronic Control Unit) 10, an enable signal or a lean communication signal is applied through a common terminal EN / LIN constituted by one pin, but the micro control unit 100 therein has a function They have different inputs.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공통 단자 EN/LIN로부터 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1)의 경로를 통해 인에이블단자(EN)로 신호를 입력받는다. 공통 단자 EN/LIN로부터 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1)의 경로를 통해 하이 전압이 지속적으로 인에이블단자(EN)에 입력된다. 공통 단자 EN/LIN로부터 하이 전압 레벨을 갖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저항 R19, R20과 그라운드단 GND을 거친 하이 레벨의 신호가 인에이블단자(EN)로 입력된다. The micro control unit 100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mmon terminal EN / LIN to the enable terminal EN through the path of (1) when the enable signal is applied. When the enable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mmon terminal EN / LIN, the high voltage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enable terminal EN through the path of (1). Upon receiving a signal having a high voltage level from the common terminal EN / LIN, a high-level signal passing through the resistors R19 and R20 and the ground terminal GND is input to the enable terminal EN.

반면에,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공통 단자 EN/LIN로부터 린 통신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2)의 경로를 통해 통신단자(LIN)로 신호를 입력받는다. 공통 단자 EN/LIN로부터 린 통신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2)의 경로를 통해 펄스폭변조신호(PWM; Pulse Width Modulation)가 통신단자(LIN)에 입력된다. 즉, 공통 단자 EN/LIN로부터 인가되는 펄스폭변조신호 PWM가 고전압 배터리 B+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대응하여 저항 R17, R18과 그라운드단 GND을 거쳐 통신단자(LIN)로 입력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icro control unit 100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LIN through the path of (2) when a lean communica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mmon terminal EN / LIN. When a lean communica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mmon terminal EN / LIN,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pulse is inpu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LIN through the path of (2). That is,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PWM applied from the common terminal EN / LIN is inpu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LIN through the resistors R17 and R18 and the ground terminal GND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ied from the high voltage battery B +.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 2의 MCU(Micro Control Unit)에 관한 동작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MCU (Micro Control Unit) of FIG. 2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전원이 인가된 후 초기 입력 값을 모니터링하여 공통 단자 EN/LIN로부터 인가된 신호가 인에이블신호인지 린 통신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공통 단자 EN/LIN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펄스폭변조신호(PWM)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The micro control unit 100 monitors the initial input value after power is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ommon terminal EN / LIN is an enable signal or a lean communication signal. That is, the micro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ommon terminal EN / LIN is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PWM (step S1)

만약, 공통 단자 EN/LIN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펄스폭변조신호(PWM)가 아닌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공통 단자 EN/LIN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인에이블 신호라고 판단한다.(단계 S2) 이후에,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인에이블단자(EN)를 통해 하이 전압이 인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I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ommon terminal EN / LIN is not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PWM, the micro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ommon terminal EN / LIN is the enable signal. (Step S2 ), The micro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a high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enable terminal EN (step S3)

만약, 인에이블단자(EN)를 통해 하이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시스템을 온 시키고(단계 S4), 하이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시스템을 오프 시킨다.(단계 S5) If a high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enable terminal EN, the system is turned on (step S4). If a high voltage is not applied, the system is turned off (step S5)

한편,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공통 단자 EN/LIN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펄스폭변조신호(PWM)인 경우, 공통 단자 EN/LIN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린 통신 신호라고 판단한다.(단계 S6) 이후에,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통신단자(LIN)를 통해 입력된 펄스폭변조신호 PWM가 활성화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ommon terminal EN / LIN is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PWM, the micro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ommon terminal EN / LIN is a lean communication signal (step S6) Thereafter, the micro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PWM inpu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LIN is active (step S7)

만약, 펄스폭변조신호 PWM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시스템을 온 시키고(단계 S8), 펄스폭변조신호 PWM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시스템을 오프 시킨다.(단계 S9) If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PWM is active, the system is turned on (step S8). If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PWM is in the inactive state, the system is turned off (step S9)

도 4 및 도 5는 도 2의 MCU(Micro Control Unit)에 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S.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CU (Micro Control Unit) of FIG.

세이프티 ECU(Electronic Control Unit)(10~40)는 초기의 전원 인가시 인에이블 상태로 자동 셋업 된다. 그리고, 시동스위치를 통해 전원이 인가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이그니션 전원단(IG)이 그라운드 레벨로 천이한 후 다시 하이 레벨로 천이하게 된다. Safety ECUs (Electronic Control Units) 10 to 40 are automatically set up in an enabled state at the time of initial power-on. Th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ignition switch, the ignition power supply terminal IG transits to the ground level and then to the high level again.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플래그 신호가 그라운드 전압 GND 레벨인 구간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이그니션 전원단(IG)이 다시 하이 레벨로 천이되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인에이블신호가 인에이블단자(EN)에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이때,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인에이블단자(EN)가 동작중이지만, 통신단자(LIN)의 입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When the micro control unit 100 senses that the ignition power supply terminal IG transits to the high level again in the period in which the flag signal is at the ground voltage GND level, the enable signal is outputted to the enable terminal EN,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micro control unit 100 continuously monitors the inpu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LIN while the enable terminal EN is in operation.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통신단자(LIN)를 통해 미리 약속된 신호(예를 들면, 0X555501xxxxx)가 인가되면 인에이블 플래그 신호를 무시하고 통신단자(LIN)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The micro control unit 100 ignores the enable flag signal and activates the communication terminal LIN when a predetermined signal (for example, 0X555501xxxxx) is appli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LIN.

즉, 이그니션 전원단(IG)이 하이 레벨인 상태에서 인에이블 플래그 신호가 로우 레벨인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통신단자(LIN)를 통해 펄스폭변조신호 PWM를 입력받는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100)은 이그니션 전원단(IG)이 로우 레벨로 천이하기 이전까지 린 통신 모듈을 실행하여 해당하는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게 된다. That is,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PWM is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LIN irrespective of whether the enable flag signal is at the low level in the state where the ignition power supply terminal IG is at the high level. The microcontroller 100 executes the lean communication module until the ignition power source IG transits to the low level to drive the corresponding software.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Claims (9)

파워 윈도우를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모듈스위치; 및
상기 파워모듈스위치의 출력에 대응하여 상기 파워 윈도우를 제어하고, 인에이블신호와 통신신호가 하나의 공통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
A power module switch for outputting a signal for raising or lowering the power window, respectively; And
And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window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power module switch and for receiving the enable signal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one comm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단자에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차체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 The power window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ody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to the comm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공통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가 상기 인에이블신호인지 상기 통신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micro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applied through the common terminal is the enable signal or the communication sig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는 인에이블단자; 및
상기 통신신호가 인가되는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
The micro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icro control unit
An enable terminal to which the enable signal is applied; And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communication signal is appli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공통 단자를 통해 하이 전압 레벨이 일정시간 인가되는 경우 상기 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
The micro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icro control unit
And determines that the enable signal is applied when the high voltage level is a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common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은
상기 공통 단자를 통해 펄스폭 변조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통신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
The micro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icro control unit
And determines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applied when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comm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는 린(LIN) 통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 The power window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signal is a LIN communication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모듈스위치는
상기 파워 윈도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스위치와 연결된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
The power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module switch
A plurality of switches for raising or lowering the power window, and a plurality of resistor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witche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저항의 출력을 스위칭 입력단으로 입력받아 저항값의 비율로 선택된 동작을 구별하고 선택된 구동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장치.
10.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And an output of the plurality of resistors is input to a switching input terminal to discriminate an operation selected as a ratio of a resistance value and to execute the selected driving.
KR1020140150070A 2014-10-31 2014-10-31 Power window device KR101646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070A KR101646370B1 (en) 2014-10-31 2014-10-31 Power window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070A KR101646370B1 (en) 2014-10-31 2014-10-31 Power window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911A true KR20160050911A (en) 2016-05-11
KR101646370B1 KR101646370B1 (en) 2016-08-05

Family

ID=5602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070A KR101646370B1 (en) 2014-10-31 2014-10-31 Power window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3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3635A (en) * 2022-10-26 2023-01-0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window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094A (en) * 2001-07-30 2003-02-1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Apparatus for controlling safety power windows in vehicles
KR20100063169A (en) * 2008-12-03 2010-06-11 영화테크(주) Window control device of automotive vehicles
KR20130031698A (en) * 2011-09-21 2013-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window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094A (en) * 2001-07-30 2003-02-1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Apparatus for controlling safety power windows in vehicles
KR20100063169A (en) * 2008-12-03 2010-06-11 영화테크(주) Window control device of automotive vehicles
KR20130031698A (en) * 2011-09-21 2013-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wer window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3635A (en) * 2022-10-26 2023-01-0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window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370B1 (en)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6451A (en) Distributed airbag firing system and interface circuit therefor
US201000231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mulating vehicle ignition-switched power
US20180248361A1 (en) Electric vehicle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circuit thereof
CN201245121Y (en) Automobile vehicle body controller
CN104742822A (en) Method of recognizing trailer of tractor vehicle
CN105159287A (en) Electric vehicle controller testing device and system, and use method
CN106660487B (en) Outside rearview mirror system
CN114165132A (en) Motor module, management module, and in-vehicle device control system
KR101646370B1 (en) Power window device
CN112654525A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wake-up signal and charging interface
CN208046660U (en) Novel on-vehicle system based on vehicle-mounted Ethernet
US7647147B2 (en) Multi-platform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self-recognizing and self-learning of the host vehicle
US202300857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vehicle door systems from back electromotive force (emf) voltage
US20130179033A1 (en) Vehicle control circuit
JP4466327B2 (en) Vehicle power supply
CN210912302U (en) Remote control device
KR10077940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afety power windows in vehicles
JP2023521862A (en) Sensor Communication Discrete Control Considering EMC Compliance of Restraint Control Module
CN111051143B (en) Travel tool, system and device for evaluating signals of an airbag control device
JP2013071632A (en) Load control device
TWI703061B (en) In-vehicle terminal
JP2015160489A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vehicle
CN108891351A (en) Automotive ignition based reminding method and automotive ignition alarm set
US20230035309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216927808U (en) Lane control mainboard, parking post equipment and par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