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900A - Orthodontic bracket system - Google Patents

Orthodontic bracke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900A
KR20160050900A KR1020140150050A KR20140150050A KR20160050900A KR 20160050900 A KR20160050900 A KR 20160050900A KR 1020140150050 A KR1020140150050 A KR 1020140150050A KR 20140150050 A KR20140150050 A KR 20140150050A KR 20160050900 A KR20160050900 A KR 20160050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rees
bracket
angle
torque angle
prem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9717B1 (en
Inventor
박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4015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717B1/en
Publication of KR20160050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bracke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thodontic bracket system uses an arched wire (200) to straighten irregular teeth. The orthodontic bracket system comprises: a base (10) whose one surface (11) is arrayed on teeth; and a plurality of brackets (100)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13) of the base (10), and comprising wings (40) with a slot (30) into which the wire (200) is inserted, wherein the brackets (100) have a predetermined torque angle and are angula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orthodontic bracket system whose one lateral surface have the brackets arranged on an upper jaw and a lower jaw, and each bracket has a predetermined torque angle and is angulated.

Description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ORTHODONTIC BRACKET SYSTEM}[0001] ORTHODONTIC BRACKET SYSTEM [0002]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위 아래 턱의 치아가 정상적으로 맞물리지 않는 교합관계를 부정교합이라고 한다. 이러한 부정교합은 유전적, 환경적 영향뿐만 아니라, 좋지 않은 습관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부정교합은 심미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되므로, 원만한 사회생활에 악영향을 주고, 기능적인 측면에서도 저작작용이 원활하지 않아서 음식물을 분쇄하여 소화시키기 어렵고, 발음이 부정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 occlusal relationship in which the teeth are not arranged or the teeth of the upper and lower jaws are not normally engaged is called malocclusion. Such malocclusion is caused not only by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but also by bad habits. Malocclusion is a problem in terms of aesthetics, so it has a bad influence on smooth social life,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and digest foods because the chewing is not smooth in terms of function, and the pronunciation becomes inaccurat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하기 선행기술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교정용 브라켓이 고안되었다. 이러한 교정용 브라켓은 와이어를 통해서 치아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치아를 이동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교정용 브라켓은 치아(5)에 부착되는 베이스(1) 및 와이어(2)가 삽입되는 슬롯(3)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종래 교정용 브라켓이 동시에 치아(5) 교정에 사용된다. 따라서, 환자의 상악 및 하악 치아(5)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종래 교정용 브라켓은 와이어(2)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치아(5)에 힘을 가한다. 한편, 부정교합관계의 치아(5)는 순설측 즉,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좌우로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종래 교정용 브라켓의 슬롯(3)은 일정한 토크각과 앵귤레이션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토크각과 앵귤레이션 값을 갖는 종래 교정용 브라켓의 경우에, 치아를 뽑지 않고 교정을 하는 비발치 환자에게 적용하면, 교정효율이 확연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교정용 브라켓은 메탈로 형성되어,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orthodontic bracket has been devised a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These orthodontic brackets apply constant force to the teeth through the wire to move the teeth. 1, a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 includes a base 1 attached to a tooth 5 and a slot 3 into which a wire 2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s ar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a tooth 5) It is used for calibration. Accordingly, a plurality of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teeth 5 of the patien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wires 2, and exert a force on the teeth 5.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ooth 5 of the malocclusion-related state is in a tilted state, that is, tilted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or tilt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lot 3 of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 has a constant torque angle and an angula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generally known torque angle and an angulation valu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rthodontic efficiency is significantly lowered when applied to a nonpatient patient who performs correction without removing a tooth. Further, conventionally, the orthodontic bracket is formed of metal, which causes a deterioration of aesthetic sense.

따라서, 종래 교정용 브라켓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solution to the problem that arises in the conventional calibration bracket.

KRKR 10-135090110-1350901 B1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악 및 하악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브라켓을 구비하되, 각각의 브라켓은 소정의 토크각 및 앵귤레이션 값을 갖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brackets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mandible, each bracket having a predetermined torque angle and an angulation value For example.

또한, 본 발명이 다른 측면은 브라켓이 단결정 사파이어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심미감이 향상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cket system for orthodontic braces in which a bracket is formed of a single crystal sapphire ceramic to improve a sense of beau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은 아치형 와이어를 이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에 있어서,The bracket 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cket system for orthodontic bracket that corrects the teeth using an arched wire,

일면이 치아에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브라켓을 포함하되, 복수 개의 상기 브라켓 중에서,And a plurality of brackets project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and having wings formed with slots into which the wires are inserted,

상악의 중절치에 배치되는 상악 중절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6.5 ~ 7.5°, 앵귤레이션이 4.5 ~ 5.5°로 형성되고, 상기 상악의 측절치에 배치되는 상악 측절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2.5 ~ 3.5°, 앵귤레이션이 7.5 ~ 8.5°로 형성되며, 상기 상악의 견치에 배치되는 상악 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3.5 ~ -2.5°, 앵귤레이션이 6.5 ~ 7.5°로 형성되고, 상기 상악의 제1 소구치에 배치되는 상악 제1 소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7.5 ~ -6.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며, 상기 상악의 제2 소구치에 배치되는 상악 제2 소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7.5 ~ -6.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고,The maxillary incisor bracket disposed at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has a torque angle of 6.5 to 7.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4.5 to 5.5 degrees.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bracket disposed at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has a torque angle of 2.5 to 3.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7.5 And the maxillary canine bracket disposed at the maxillary canine is formed at a torque angle of -3.5 to -2.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6.5 to 7.5 degrees, The premolar tooth bracket has a torque angle of -7.5 to -6.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0.5 to 0.5 degrees. The upper second premolar tooth bracket disposed on the upper second premolar tooth has a torque angle of -7.5 to -6.5 degrees, Is formed at -0.5 to 0.5 degrees,

하악의 전치에 배치되는 하악 전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6.5 ~ -5.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며, 상기 하악의 견치에 배치되는 하악 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3.5 ~ -2.5°, 앵귤레이션이 6.5 ~ 7.5°로 형성되고, 상기 하악의 제1 소구치에 배치되는 하악 제1 소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12.5 ~ -11.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며, 상기 하악의 제2 소구치에 배치되는 하악 제2 소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17.5 ~ -16.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어 비발치 환자의 상기 치열을 교정한다.The mandibular incisor brackets disposed at the incisors of the mandible are formed with a torque angle of -6.5 to -5.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0.5 to 0.5 degrees and the mandible canine brackets disposed at the mandible canine have a torque angle of -3.5 to -2.5 And an angulation of 6.5 to 7.5 degrees.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bracket disposed at the first premolar of the mandible has a torque angle of -12.5 to -11.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0.5 to 0.5 degrees.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bracket disposed at the second premolar of the second premolar tooth is formed with a torque angle of -17.5 to -16.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0.5 to 0.5 degrees to correct the dentition of the nonpatient pati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와이어와 밀착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에 대응된다.In the orthodontic bracke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t corresponds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r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일면에서부터 타면을 향하는 소정의 높이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타면의 너비가 상기 베이스의 일면의 너비보다 작다.In the orthodontic bracke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s formed with a step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and the width of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one surface of the ba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측면은 일면에서부터 타면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점 작아지도록 곡면이 형성된다.In the orthodontic bracke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such that its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단결정 사파이어 세라믹으로 형성된다.Further, in the bracket system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is formed of a single crystal sapphire ceramic.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실리카(silica)로 코팅된다.
Further, in the bracket system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ts are coated with silica.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악 및 하악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브라켓을 구비하되, 각각의 브라켓이 소정이 토크각 및 앵귤레이션 값을 가짐으로써, 비발치 환자의 치열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rackets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mandibles,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brackets has a predetermined torque angle and an angulation value, thereby effectively correcting the dentition of the non-emergent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이 단결정 사파이어 세라믹으로 형성됨으로써, 투명성이 우수하여, 심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racket is formed of monocrystalline sapphire ceramic, it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improved in esthetics.

도 1은 종래 교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상악 및 하악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발치용 브라켓을 사용한 환자의 치아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토크각과 앵귤레이션에 따른 치아 각도의 변형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을 사용한 환자의 치아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system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is a plan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maxilla and mandible.
6 is a photograph showing a tooth condition of a patient using an extraction bracket;
Figs. 7 to 8 are graphs showing strain rates of the tooth angle according to the torque angle and the angulation.
9 is a photograph showing a tooth condition of a patient using the bracket system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thereto.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hich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system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은 아치형 와이어(200)를 이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에 있어서,2, the bracket system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cket system for orthodontics that corrects teeth using an arcuate wire 200,

일면(11)이 치아에 배치되는 베이스(10), 및 베이스(10)의 타면(13)으로부터 돌출되고 와이어(200)가 삽입되는 슬롯(30)이 형성된 날개(40)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브라켓(100)을 포함하되, 복수 개의 브라켓(100) 중에서,A base 10 on one side 11 of which is disposed on the teeth and a plurality of brackets 40 including a blade 40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13 of the base 10 and formed with a slot 30 into which the wire 200 is inserted. (100), wherein, among the plurality of brackets (100)

상악의 중절치에 배치되는 상악 중절치 브라켓(100)은 토크각이 6.5 ~ 7.5°, 앵귤레이션이 4.5 ~ 5.5°로 형성되고, 상악의 측절치에 배치되는 상악 측절치 브라켓(100)은 토크각이 2.5 ~ 3.5°, 앵귤레이션이 7.5 ~ 8.5°로 형성되며, 상악의 견치에 배치되는 상악 견치 브라켓(100)은 토크각이 -3.5 ~ -2.5°, 앵귤레이션이 6.5 ~ 7.5°로 형성되고, 상악의 제1 소구치에 배치되는 상악 제1 소구치 브라켓(100)은 토크각이 -7.5 ~ -6.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며, 상악의 제2 소구치에 배치되는 상악 제2 소구치 브라켓(100)은 토크각이 -7.5 ~ -6.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고,The maxillary incisor bracket 100 disposed at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has a torque angle of 6.5 to 7.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4.5 to 5.5 degrees and the maxillary incisor bracket 100 disposed at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has a torque angle of 2.5 to 3.5 And an angulation of 7.5 to 8.5 degrees. An upper canine bracket 100 disposed at the upper canine is formed with a torque angle of -3.5 to -2.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6.5 to 7.5 degrees, and a first premolar tooth The upper first premolar tooth bracket 100 disposed at the first premolar tooth bracket 100 has a torque angle of -7.5 to -6.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0.5 to 0.5 degrees and the upper second premolar tooth bracket 100 disposed at the second premolar tooth, A torque angle of -7.5 to -6.5 degrees and an angle of -0.5 to 0.5 degrees,

하악의 전치에 배치되는 하악 전치 브라켓(100)은 토크각이 -6.5 ~ -5.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며, 하악의 견치에 배치되는 하악 견치 브라켓(100)은 토크각이 -3.5 ~ -2.5°, 앵귤레이션이 6.5 ~ 7.5°로 형성되고, 하악의 제1 소구치에 배치되는 하악 제1 소구치 브라켓(100)은 토크각이 -12.5 ~ -11.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며, 하악의 제2 소구치에 배치되는 하악 제2 소구치 브라켓(100)은 토크각이 -17.5 ~ -16.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어, 비발치 환자의 치열을 교정한다.
The mandibular incisor bracket 100 disposed at the mandible's anterior teeth has a torque angle of -6.5 to -5.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0.5 to 0.5 degrees and the mandible canine bracket 100 disposed at the mandible's canine has a torque angle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bracket 100 disposed at the first premolar of the mandible has a torque angle of -12.5 to -11.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0.5 to 0.5 degrees, And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bracket 100 disposed at the second premolar of the mandible is formed with a torque angle of -17.5 to -16.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0.5 to 0.5 degrees to correct the dentition of the nonpatient patient .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은 환자의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교정기로서, 복수 개의 브라켓(100)을 포함한다.The orthodontic bracke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rackets 100 as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calibrating a patient's teeth.

여기서, 치열교정기는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악, 하악의 치아가 정상적으로 맞물리지 않는 부정교합을 교정하여, 치아의 교합관계를 정상적으로 만드는 장치이다. 이러한 치열교정기에는 브라켓(100)과 와이어(200)가 사용되는데, 브라켓(100)은 치아에 부착되는 장치이고, 와이어(200)는 브라켓(100)과 결합하여 브라켓(100)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이다. 여기서, 브라켓(100)은 상악 및 하악의 치아 각각에 배치되므로, 복수 개가 사용되고, 복수 개의 브라켓(100)은 와이어(20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치아는 좌측 어금니에서부터 우측 어금니까지 곡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와이어(200)도 치아의 배열에 대응하여 아치형으로 형성된다(도 1 참조). 이러한 와이어(200)가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100)에 힘을 가하여, 치조골을 개조하므로, 치아가 이동하여 치열이 교정된다.Here,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a device for correcting the occlusal relationship of the teeth by correcting the malocclusion in which the teeth are not aligned or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re not normally engaged. The bracket 100 and the wire 200 are attached to the tooth and the wire 200 is engaged with the bracket 100 to apply a constant force to the bracket 100. [ Elastic member. Here, since the bracket 100 is disposed in each of the teeth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 plurality of brackets 100 are used, and the plurality of bracket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wires 200.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eeth are arranged in a curved shape from the left molar to the right molar, the wires 200 are formed in an arcu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see FIG. Such a wire 200 applies a force to the bracket 100 attached to the tooth, and alters the alveolar bone, so that the tooth is moved and the teeth are calibrated.

구체적으로, 브라켓(100)은 베이스(10), 및 날개(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bracket 100 includes a base 10 and a wing 40. [

여기서, 베이스(10)는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11)이 치아에 배치된다. 이때, 베이스(10)는 치아의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치아의 전면은 입술을 바라보는 치아의 표면이고, 치아의 후면은 전면의 반대쪽 면으로서, 혀를 바라보는 치아의 표면을 의미한다. Here, the base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one surface 11 is disposed on the teeth. At this time, the base 1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as well as the front surface of the teeth. Here, the front surface of the tooth refers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hat looks at the lips, and the back surface of the tooth refers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tooth, which refers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hat looks at the tongue.

이때, 베이스(10)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의 일면(11)을 기준으로 타면(13) 방향의 소정의 높이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베이스(10)의 타면(13)의 너비가 베이스(10)의 일면(11)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교정 전문의는 베이스(10)를 용이하게 집어서 치아에 부착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a step may be formed on the base 10. More specifically, a step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urface 13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11 of the base 10 so that the width of the other surface 13 of the base 1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urface 11 . Thus, the orthodontist can easily pick up the base 10 and attach it to the teeth.

또한, 베이스(10)의 측면에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10)의 측면이 라운드(round)지게 형성됨으로써, 베이스(10)의 일면(11)에서부터 타면(13)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점 작아진다. 이렇게, 베이스(10)의 측면에 곡면이 형성되므로, 브라켓(100)이 치아에 배치된 때에, 환자가 이물감을 덜 느끼게 된다.Further,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10. That is, 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10 is rounded,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surface 11 of the base 10 toward the other surface 13. Thus, since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10, when the bracket 100 is placed on the teeth, the patient feels less sense of foreign body.

한편, 날개(40)는 베이스(10)의 타면(13)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와이어(200)가 결합되는 슬롯(30)을 구비한다. 여기서, 슬롯(30)은 날개(40)의 외면으로부터 베이스(10)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에 와이어(200)가 삽입되므로, 브라켓(100)과 와이어(200)가 서로 결합된다. 이때, 와이어(200)가 브라켓(100)에 힘을 가하므로, 슬롯(30)은 와이어(20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슬롯(30)의 벽면은 와이어(20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The wings 40 are protruded from the other surface 13 of the base 10 and have slots 30 to which the wires 200 are coupled. Here, the slot 30 is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10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40. Since the wire 200 is inserted into such a slit, the bracket 100 and the wir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Since the wire 200 exerts a force on the bracket 100 at this time, the slot 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200,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브라켓(100)은 치아에 부착되므로, 교정효과뿐만 아니라, 심미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브라켓(100)은 단결정 사파이어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결정 사파이어 세라믹은 투명성이 우수하므로, 시각적으로 외부에서 브라켓(100)을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단결정 사파이어 세라믹으로 형성된 브라켓(100)은 어떠한 치아와도 조화를 이루므로, 환자의 심미적 요구를 충족시킨다. 또한, 단결정 사파이어 세라믹은 내구성과 착색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므로, 장시간이 소요되는 치열교정단계에서 교체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Since the bracket 100 is attached to the teeth, not only a correcting effect but also aesthetics are required. Accordingly, the bracket 100 may be formed of a single crystal sapphire ceramic. Since the single crystal sapphire ceramic has excellent transparency, it is difficult to visually recognize the bracket 100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bracket 100 formed of a single crystal sapphire ceramic is compatible with any tooth, thereby satisfying the aesthetic requirement of the patient. In addition, since the single crystal sapphire ceramic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resistance to coloring, it can be continuously used without replacing it in the orthodontic correction step which takes a long time.

한편, 슬롯(30)은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실리카(silica)로 코팅될 수 있다. 와이어(200)가 브라켓(100)의 슬롯(30)에 삽입 배치되어 힘을 가하므로, 와이어(200)와 슬롯(30)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와이어(200)가 슬롯(30)에 밀착하여 가하는 힘은 베이스(10)를 거쳐서, 베이스(10)가 부착된 치아에 작용한다. 이때, 치아와 베이스(10) 사이의 본딩력보다 큰 힘이 베이스(10)에 작용하게 되면, 브라켓(100)이 치아에서 탈락된다. 따라서, 와이어(200)가 가하는 힘이 본딩력보다 클 때에, 와이어(200)가 슬롯(30)에서 미끄러지면서 그 힘이 상쇄되도록, 슬롯(30)에 실리카를 코팅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lot 30 may be coated with silica to reduce frictional force. A wire 200 is inserted and placed in the slot 30 of the bracket 100 so that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wire 200 and the slot 30. [ Here, the force applied by the wire 200 in close contact with the slot 30 acts on the tooth to which the base 10 is attached via the base 10. At this time, when a force larg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eeth and the base 10 acts on the base 10, the bracket 100 is dropped from the teeth. Therefore, when the force applied by the wire 200 is greater than the bonding force, the slot 30 is coated with silica so that the wire 200 slips in the slot 30 and the force is canceled.

브라켓(100)은 와이어(200)의 힘을 이용해서, 교정 시에 필요한 힘을 치아에 가하고, 이로 인해 치열교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치아의 교정효율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토크각(Torque)이고, 다른 하나는 앵귤레이션(Angulation, Ang)이다. 이하에서, 토크각과 앵귤레이션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bracket 100 uses the force of the wire 200 to apply the force required for the correction to the tooth, thereby correcting the orthodontic tooth. At this tim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correction efficiency of the teeth is torque torque and the other is Angulation (Ang). Hereinafter, the torque angle and the engagement will be described.

도 3은 도 2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평면도이며, 도 5는 상악 및 하악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발치용 브라켓을 사용한 환자의 치아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FIG. 4 is a plan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n upper and lower jaw, This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at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0)은 베이스(10)의 일면(11) 방향으로 함몰되되, 베이스(10)의 일면(11)에 대해서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롯(30)은 베이스(10)의 일면(11) 또는 그 일면(11)의 연장선(l1)에 수직인 세로축(l2)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데, 이때의 각도를 토크각(α)이라고 한다. 이러한 토크각(α)을 다르게 표현하면, 슬롯(30)의 바닥면과 베이스(10)의 일면(11) 사이의 각도이다. 이때, 베이스(10)의 일면(11)이 부착되는 치아의 표면을 기준으로 순측 즉, 입술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양(+)의 값을 갖고, 설측 즉, 혀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음(-)의 값을 갖는다.3, the slot 30 is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one surface 11 of the base 10,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11 of the base 10. That is, the slot 30 is torque, wherein the angle of maki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l 2)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line (l 1) of the one surface 11 or the one surface 11 of the base 10 It is called angle (α). In other words, the torque angle? Is an angl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ot 30 and one surface 11 of the base 10. In this case, when one surface 11 of the base 10 has a positive value when it is tilted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a tooth to which it is attached, that is, when tilted toward the lingual side, that is, toward the tongue,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0)은 가로축(l3)에 대해서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롯(30)은 복수 개의 치아(5)가 좌우로 배열되는 방향 즉, 가로축(l3)에 대해서 기울어질 수 있는데, 그 가로축(l3)과 슬롯(30)이 이루는 각도를 앵귤레이션(β)이라고 한다.
, The slot 30, as shown in Figure 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3 l). That is, the slot 30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direction, i.e., the horizontal axis (l 3) a plurality of teeth (5) are arranged from side to side, and the horizontal axis (l 3) and aenggyulreyisyeon the angular slot 30. The forming ( β).

한편, 복수 개의 브라켓(100)은 상악 및 하악의 치아에 각각 배치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은 중심에서부터 어금니 방향을 따라서, 중절치(U1), 측절치(U2), 견치(U3), 제1 소구치(U4), 제2 소구치(U4) 순으로 배치된다. 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은 중심에서부터 어금니 방향을 따라서, 전치(L1), 견치(L2), 제1 소구치(L3), 제2 소구치(L4) 순으로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brackets 100 are disposed in the teeth of the upper and lower mandible,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5 (a), the maxilla is divided into a central tooth U1, a lateral tooth U2, a canine U3, a first premolar U4, a second premolar U4 .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b), the mandible is disposed in the order of the anterior tooth L1, the canine tooth L2, the first premolar tooth L3, and the second premolar tooth L4 along the direction of the molar from the center .

이때, 복수 개의 브라켓(100)은 배치되는 치아에 따라서, 각각 특정한 토크각과 앵귤레이션을 갖는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크각과 앵귤레이션을 갖는 브라켓 시스템은 발치용 브라켓이므로, 대체적으로 교정 전에 발치가 선행된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brackets 100 have specific torque angles and angles,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teeth to be disposed. The most commonly used torque angle and angulation bracket system is the extraction bracket, so it is usually preceded by an extraction before calibration.

따라서, 비발치 환자에게 이러한 발치용 브라켓을 사용하면, 원하는 교정효과를 얻을 수 없다. 실험적으로, 비발치 환자에게 발치용 브라켓을 장착한 결과, 도 6의 (a)의 엑스레이 필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치아의 좌우 기울기가 크고, 도 6의 (b)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악의 중절치와 측절치가 과도하게 기울어진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치열교정용 브라켓은 치아를 뽑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치열을 교정할 수 있는 최적의 토크각과 앵귤레이션을 갖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f such an extraction bracket is used for a non-patient, the desired correction effect can not be obtained. Experimentally, as shown in the X-ray film of FIG. 6 (a), when the extraction bracket is attached to the patient who has not been subjected to an untreated patient, the left-right inclination of the teeth is large and, as shown in the photograph of FIG. 6 (b) We found that the central incisors and lateral incisors were excessively inclined. Therefore, the orthodontic bracket needs to be formed to have an optimum torque angle and an orientation that can effectively calibrate the teeth without removing the teeth.

이와 관련하여, 비발치 환자의 치열을 교정하기 위한 브라켓의 토크각과 앵귤레이션을 산출하기 위해서, 토크각과 앵귤레이션을 각각 변화시키면서 각도 변형률을 측정해 보았다. 여기서, 각도 변형률은 치아의 각도가 원래 위치에서부터 정상적인 위치를 향하여 얼마나 이동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원래 위치에서부터 치아기 이동할 때에 그 값은 점점 커지다가, 정상적인 위치에 다다르면 100%가 된다.
In this regard, in order to calculate the torque angle and the angle of the bracket for calibrating the dentition of the unexplored patient, the angular strain rate was measured while varying the torque angle and the angulation, respectively. Here, the angular strain rate indicates how much the angle of the tooth has mov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toward its normal position. When the tooth moves from its original position, its value gradually increases, but reaches 100% when it reaches a normal position.

도 7 내지 도 8은 토크각과 앵귤레이션에 따른 치아 각도의 변형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7의 (a)에서는 상악의 중절치에 배치되는 상악 중절치 브라켓의 토크각을 변화시키며 각도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사한 부정교합을 갖는 서로 다른 비발치 환자 실험군에게 토크각이 각각 다른 상악 중절치 브라켓을 장착하고, 동일한 교정시간이 흐른 뒤에, 처음과 나중의 사진을 대조해서 각도 변형률을 측정한 것이다. 이때, 토크각은 0.5°단위씩 차이를 두고, 각도 변형률을 측정했다. 그 결과, 토크각이 0에서부터 6°까지의 범위에서는 각도 변형률이 50%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는 부정교합 상태에서, 상악 중절치가 순측으로 심하게 기울어졌기 때문에 큰 토크각을 요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토크각이 8°에서부터 점점 커져도, 각도 변형률은 50 ~ 60%에 불과하였다. 이는 상악 중절치 브라켓의 토크각이 커지더라도, 측절치, 견치, 제1 및 제2 소구치에 배치된 각각의 브라켓이 서로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반하여, 토크각이 6°에서부터 각도 변형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6.5°에서부터 7.5°까지의 범위에서는 각도 변형률이 90% 이상을 유지한다. 다만, 7.5° 이후부터는 감소하였다. 결국, 상악 중절치 브라켓의 토크각이 6.5 °인 경우와 7.5°인 경우를 기준으로 현저한 작용효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s. 7 to 8 are graphs showing strain rates of the tooth angle according to the torque angle and the angulation. In FIG. 7 (a), the angular strain was measured by varying the torque angl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racket disposed i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Specifically, the angular strain rate was measured by comparing the first and the last photographs after mounting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brackets with different torque angles to different nonpatient patient groups with similar malocclusion and after the same correction time. At this time, the angular strain was measured with a torque angle difference of 0.5 degree increments. As a result, the angular strain can not reach 50% even when the torque angle ranges from 0 to 6 degrees. This is because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re heavily inclined to the forward side in the malocclusion state and therefore require a large torque angle. Even when the torque angle increases from 8 °, the angle strain is only 50 to 60%. This is because, even when the torque angl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racket becomes large, the lateral incisors, the canines, and the respective brackets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premolars affect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angular strain increases sharply from the torque angle of 6 °, and the angular strain is maintained at 90% or more in the range of 6.5 ° to 7.5 °. However, it decreased after 7.5 °.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on and effect occurred between the case where the torque angl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racket was 6.5 ° and the case where the torque angle was 7.5 °.

한편, 도 7의 (b)에서는 상악의 중절치에 배치되는 상악 중절치 브라켓의 앵귤레이션을 변화시키며 각도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이때, 각도 변형률은 앵귤레이션이 다른 브라켓을 장착한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앵귤레이션이 0에서부터 4°까지의 범위에서는 각도 변형률이 50%에도 미치지 못하고, 4°에서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4.5°에서부터 5.5°까지의 범위에서는 각도 변형률이 90%이상을 유지하고, 그 이후부터는 감소한다. 따라서, 상악 중절치 브라켓의 앵귤레이션이 4.5°인 경우와 5.5°인 경우를 기준으로 현저한 작용효과의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원인은 앵귤레이션이 4.5°미만일 때에는 치아를 움직이게 하는 힘이 부족하고, 앵귤레이션이 5.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치아에 배치된 브라켓의 영향을 받아서, 각도 변형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In FIG. 7 (b), the angular strain was measured by varying the angula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racket disposed at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t this time, the angle strain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brackets having different angulations were mounted. As a result, in the range of 0 to 4 degrees of angulation, the angle strain did not reach 50%, and the trend showed a rapid increase from 4 degrees. In the range of 4.5 to 5.5 degrees, the angle strain was maintained at 90% And decrease thereafter. Theref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4.5 ° and 5.5 ° i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racket. This is due to the lack of force to move the tooth when the angle is less than 4.5 ° and to the angular strain when the angle exceeds 5.5 ° due to the influence of the bracket placed on the other tooth.

한편, 도 8의 (a)에서는 하악의 견치에 배치되는 하악 견치 브라켓의 토크각을 변화시키며 각도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이때, 각도 변형률은 도 7의 (a)와 동일하게 측정한 것이다. 이하에서, "-"는 크기가 아니라,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토크각이 점점 커지는 것을 기준으로 즉, 토크각의 절대값이 점점 커질 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 결과를 보면, 토크각이 0°에서부터 -2°까지의 범위에서는 각도 변형률이 50%에도 못 미친다. 이는 견치의 기울기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토크각이 -2°를 넘어서면서 각도 변형률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2.5°에서부터 -3.5°까지의 범위에서는 각도 변형률이 90% 이상에 이른다. 다만, 토크각이 -3.5°을 초과하면, 각도 변형률이 급격히 하강한다. 이는 하악 견치 브라켓의 토크각이 커지더라도, 전치와 제1 및 제2 소구치에 배치된 각각의 브라켓의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결국, 하악 견치 브라켓의 토크각이 -2.5°인 경우와 -3.5°인 경우를 기준으로 현저한 작용효과의 차이가 있다.8 (a), the angular strain was measured by varying the torque angle of the mandible canine bracket disposed on the canine of the mandible. At this time, the angle strain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7 (a). Hereinafter, "-" indicates the direction, not the magnitude, and therefore, the reference will be made on the basis that the torque angle gradually increases, that is,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torque angle gradually increases. As a result, the angular strain is less than 50% when the torque angle ranges from 0 ° to -2 °. This is attributed to the inclination of the canine. On the other hand, the angular strain rate increases sharply as the torque angle exceeds -2 °, and the angular strain reaches 90% or more in the range from -2.5 ° to -3.5 °. However, if the torque angle exceeds -3.5 °, the angle strain rate sharply drops. This is because, even if the torque angle of the mandible canine bracket is increased, it is affected by the anterior teeth and the respective brackets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premolars. As a result, there is a remarkable difference in operation effect between the case where the torque angles of the mandible canine bracket are -2.5 ° and -3.5 °.

또한, 도 8의 (b)에서는 하악 견치 브라켓의 앵귤레이션을 변화시키면서 각도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각도 변형률은 도 7의 (b)와 동일하게 측정한 것이다. 그 결과, 앵귤레이션이 0에서부터 6°까지의 범위에서는 각도 변형률은 50%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에 반하여, 앵귤레이션이 6°에서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6.5°에서 7.5°의 범위에서는 각도 변형률이 90%이상을 유지하고, 그 이후부터는 감소한다. 따라서, 하악 견치 브라켓의 앵귤레이션이 6.5°인 경우와 7.5°인 경우를 기준으로 현저한 작용효과의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 이는 앵귤레이션이 6.5°미만일 때는 치아를 움직이게 하는 힘이 부족하고, 앵귤레이션이 7.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치아에 배치된 브라켓의 영향을 받아서, 각도 변형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8 (b), the angular strain was measured while varying the angulation of the lower canine bracket. The angle strain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7 (b). As a result, the angular strain is less than 50% in the range of 0 to 6 degrees of the ang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angulation shows a tendency to increase sharply from 6 °, while the angular strain is maintained above 90% in the range of 6.5 ° to 7.5 °, and thereafter decreases. Thu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between the angles of 6.5 ° and 7.5 ° in the mandible canine bracket. This results in insufficient force to move the teeth when the angulation is less than 6.5 °, and when the angulation exceeds 7.5 °, it is analyzed that the angle strain is decreas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bracket placed on the other tooth.

상술한 방법으로 산출된 브라켓의 최적의 토크각 및 앵귤레이션은 하기와 같다. 이때, 토크각 및 앵귤레이션은 각각의 브라켓이 서로 시스템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산출된 값이다.The optimum torque angle and the angle of the bracket calculat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re as follows. At this time, the torque angle and the angulation are calculated values in consideration of the systematic action of the respective brackets.

상악의 경우에는, 중절치에 배치되는 상악 중절치 브라켓의 토크각은 6.5 ~ 7.5°이고, 앵귤레이션은 4.5 ~ 5.5°이며, 측절치에 배치되는 상악 측절치 브라켓의 토크각은 2.5 ~ 3.5°이고, 앵귤레이션은 7.5 ~ 8.5°이다. 또한, 견치에 배치되는 상악 견치 브라켓의 토크각은 -3.5 ~ -2.5°이고, 앵귤레이션은 6.5 ~ 7.5°이며, 제1 소구치에 배치되는 상악 제1 소구치 브라켓의 토크각은 -7.5 ~ -6.5°이고, 앵귤레이션은 -0.5 ~ 0.5°이다. 또한, 제2 소구치에 배치되는 상악 제2 소구치 브라켓의 토크각은 -7.5 ~ -6.5°이고, 앵귤레이션은 -0.5 ~ 0.5°이다.In the case of the maxilla, the torque angl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racket disposed at the central incisor is 6.5 to 7.5 degrees, the angulation is 4.5 to 5.5 degrees, the torque angle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bracket disposed at the lateral incisors is 2.5 to 3.5 degrees, To 8.5 degrees. In addition, the torque angle of the maxillary canine bracket disposed on the canine is -3.5 to -2.5 degrees and the angulation is 6.5 to 7.5 degrees, and the torque angle of the maxillary first premolar bracket disposed on the first premolar is -7.5 to -6.5 degrees And the angulation is -0.5 to 0.5 degrees. In addition, the torque angle of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tooth bracket disposed at the second premolar is -7.5 to -6.5 degrees and the angulation is -0.5 to 0.5 degrees.

하악의 경우에는, 전치에 배치되는 하악 전치 브라켓은 토크각은 -6.5 ~ -5.5°이고, 앵귤레이션은 -0.5 ~ 0.5°이며, 견치에 배치되는 하악 견치 브라켓의 토크각은 -3.5 ~ -2.5°이고, 앵귤레이션은 6.5 ~ 7.5°이다. 또한, 제1 소구치에 배치되는 하악 제1 소구치 브라켓의 토크각은 -12.5 ~ -11.5°이고, 앵귤레이션은 -0.5 ~ 0.5°이며, 제2 소구치에 배치되는 하악 제2 소구치 브라켓의 토크각은 -17.5 ~ -16.5°이고, 앵귤레이션은 -0.5 ~ 0.5°이다.
In the case of the mandible, the mandibular incisor bracket placed in the anterior position has a torque angle of -6.5 to -5.5 °, an angulation of -0.5 to 0.5 °, and a torque angle of the mandibular canine bracket placed on the canine is -3.5 to -2.5 ° And the angulation is 6.5 to 7.5 degrees. Also, the torque angle of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bracket disposed at the first premolar is -12.5 to -11.5 degrees, the angulation is -0.5 to 0.5 degrees, and the torque angle of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bracket disposed at the second premolar - 17.5 to -16.5 DEG, and the angulation is -0.5 to 0.5 DEG.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을 사용한 환자의 치아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9 is a photograph showing a tooth condition of a patient using the bracket system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각각의 브라켓은 상술한 범위의 토크각 및 앵귤레이션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비발치 환자의 치열교정 효과를 증대시킨다. Each of the brackets is formed to have a torque angle and an angle 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reby enhancing the orthodontic effect of the non-patient.

이때, 각각의 브라켓이 시스템적으로 동시에 작용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시스템적으로 작용하여 95% 이상의 각도 변형률을 갖기 위해서는, 상악 중절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7°, 앵귤레이션이 5°로, 상악 측절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3°, 앵귤레이션이 8°로 형성된다. 이때, 상악 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3°, 앵귤레이션이 7°로, 상악 제1 소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7°, 앵귤레이션이 0°로, 상악 제2 소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7°, 앵귤레이션이 0°로 형성된다. 또한, 하악 전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6°, 앵귤레이션이 0°로, 하악 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3°, 앵귤레이션이 7°로, 하악 제1 소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12°, 앵귤레이션이 0°로, 하악 제2 소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17°, 앵귤레이션이 0°로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을 이용하여, 비발치 환자의 치열교정을 시행한 결과, 도 9의 (a)의 엑스레이 필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치아가 좌우로 가지런하고, 도 9의 (b)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악과 하악의 치아가 정상적으로 맞물리는 것을 확인했다.
In this case, each bracket must be operated simultaneously in a systematic manner. In order to have an angular strain of 95% or more in a systematic manner,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racket has a torque angle of 7 °, an angulation of 5 °, An angle of 3 DEG, and an angle of 8 DEG. At this time, the maxillary canine bracket has a torque angle of -3 °, an angulation of 7 °, a torque angle of -7 ° for an upper first premolar bracket, an angle of 0 °, and a torque angle of -7 ° for an upper second premolar bracket , And the angulation is formed at 0 DEG. In addition, the mandibular incisor bracket has a torque angle of -6 ° and an angle of 0 °, a mandibular canine bracket has a torque angle of -3 ° and an angulation of 7 °, a mandibular first premolar bracket has a torque angle of -12 °, At 0 °,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bracket is formed with a torque angle of -17 ° and an angle of 0 °. As a result of the orthodontic correction of the untreated patient using this bracket, as shown in the X-ray film of FIG. 9 (a), the teeth were arranged right and left, and as shown in the photograph of FIG. 9 (b) I confirmed that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were in normal engagement.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10: 베이스 2, 200: 와이어
3, 30: 슬롯 5: 치아
40: 날개 100: 브라켓
1, 10: base 2, 200: wire
3, 30: Slot 5: Tooth
40: wing 100: bracket

Claims (6)

아치형 와이어를 이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에 있어서,
일면이 치아에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브라켓;
을 포함하되,
복수 개의 상기 브라켓 중에서,
상악의 중절치에 배치되는 상악 중절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6.5 ~ 7.5°, 앵귤레이션이 4.5 ~ 5.5°로 형성되고,
상기 상악의 측절치에 배치되는 상악 측절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2.5 ~ 3.5°, 앵귤레이션이 7.5 ~ 8.5°로 형성되며,
상기 상악의 견치에 배치되는 상악 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3.5 ~ -2.5°, 앵귤레이션이 6.5 ~ 7.5°로 형성되고,
상기 상악의 제1 소구치에 배치되는 상악 제1 소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7.5 ~ -6.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며,
상기 상악의 제2 소구치에 배치되는 상악 제2 소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7.5 ~ -6.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고,
하악의 전치에 배치되는 하악 전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6.5 ~ -5.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며,
상기 하악의 견치에 배치되는 하악 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3.5 ~ -2.5°, 앵귤레이션이 6.5 ~ 7.5°로 형성되고,
상기 하악의 제1 소구치에 배치되는 하악 제1 소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12.5 ~ -11.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며,
상기 하악의 제2 소구치에 배치되는 하악 제2 소구치 브라켓은 토크각이 -17.5 ~ -16.5°, 앵귤레이션이 -0.5 ~ 0.5°로 형성되어,
비발치 환자의 상기 치열을 교정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
1. An orthodontic bracket system for calibrating a dentition using an arcuate wire,
A plurality of brackets including a base having one surface disposed on the teeth and a blade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and having a slot into which the wire is inserted;
≪ / RTI >
Among the plurality of brackets,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rackets, which are placed i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have a torque angle of 6.5 to 7.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4.5 to 5.5 degrees,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bracket disposed at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has a torque angle of 2.5 to 3.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7.5 to 8.5 degrees,
The upper canine bracket disposed at the upper canine is formed with a torque angle of -3.5 to -2.5 degrees and an angle of 6.5 to 7.5 degrees,
The maxillary first premolar tooth bracket disposed at the first premolar is formed with a torque angle of -7.5 to -6.5 degrees and an angle of -0.5 to 0.5 degrees,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tooth bracket disposed at the second premolar is formed with a torque angle of -7.5 to -6.5 degrees and an angle of -0.5 to 0.5 degrees,
The mandibular incisor brackets placed in the anterior teeth of the mandible have a torque angle of -6.5 to -5.5 ° and an angulation of -0.5 to 0.5 °,
The mandible canine bracket disposed at the canine of the mandible has a torque angle of -3.5 to -2.5 degrees and an angle of 6.5 to 7.5 degrees,
The mandibular first premolar bracket disposed at the first premolar of the mandible has a torque angle of -12.5 to -11.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0.5 to 0.5 degrees,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tooth bracket disposed at the second premolar of the mandible has a torque angle of -17.5 to -16.5 degrees and an angulation of -0.5 to 0.5 degrees,
An orthodontic bracket system for correcting the above-mentioned teeth of a non-pati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와이어와 밀착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ot is in contact with the wire and correspond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일면에서부터 타면을 향하는 소정의 높이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타면의 너비가 상기 베이스의 일면의 너비보다 작은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is formed with a step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and the width of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one surface of the b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측면은 일면에서부터 타면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점 작아지도록 곡면이 형성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단결정 사파이어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cket is formed of a single crystal sapphire ceramic.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실리카(silica)로 코팅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ot is coated with silica.
KR1020140150050A 2014-10-31 2014-10-31 Orthodontic bracket system KR101629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050A KR101629717B1 (en) 2014-10-31 2014-10-31 Orthodontic bracke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050A KR101629717B1 (en) 2014-10-31 2014-10-31 Orthodontic bracke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900A true KR20160050900A (en) 2016-05-11
KR101629717B1 KR101629717B1 (en) 2016-06-16

Family

ID=5602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050A KR101629717B1 (en) 2014-10-31 2014-10-31 Orthodontic bracke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71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577A (en) * 2017-08-18 2019-02-27 허정민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rthodontic Treatment Education
KR20200003465A (en) * 2018-07-02 2020-01-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Bracket unit for orthodontic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330A (en) * 2018-09-14 2020-03-24 정규림 Bracket Prescription Method, Method For Setting Up Bracket Position, And Bracket Ji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499A (en) * 1994-08-04 1996-07-02 Ormco Corp Manufacture,assembly and application of orthodontic apparatus,and group of standardized bracket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s
KR100845600B1 (en) * 2007-04-27 2008-07-10 강애리 A tooth bracket of tangled tooth for realignment
KR101297675B1 (en) * 2013-02-21 2013-08-21 휴비트 주식회사 Orthodontic bracket coated silica and coating method thereof
KR101350901B1 (en) 2013-10-07 2014-01-14 신수진 Orthodontic brack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499A (en) * 1994-08-04 1996-07-02 Ormco Corp Manufacture,assembly and application of orthodontic apparatus,and group of standardized bracket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s
KR100845600B1 (en) * 2007-04-27 2008-07-10 강애리 A tooth bracket of tangled tooth for realignment
KR101297675B1 (en) * 2013-02-21 2013-08-21 휴비트 주식회사 Orthodontic bracket coated silica and coating method thereof
KR101350901B1 (en) 2013-10-07 2014-01-14 신수진 Orthodontic brack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577A (en) * 2017-08-18 2019-02-27 허정민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rthodontic Treatment Education
KR20200003465A (en) * 2018-07-02 2020-01-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Bracket unit for orthodon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717B1 (en)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7064B2 (en) An orthodontic system with various sized archwire slots
US9615898B2 (en) Tube for orthodontics
KR101658318B1 (en) orthodontic archwire with variable cross sectional configuration
US20140272749A1 (en) Orthodontic appliances with tapered archwire slots
US9987104B2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TW201929787A (en) Orthodontic space closure device
US20210205050A1 (en) Orthodontic system
KR20140115520A (en) teeth retainer apparatus
KR101629717B1 (en) Orthodontic bracket system
CN108601633B (en) Tongue face orthodontic appliance
US11317993B2 (en) Orthodontic device for overbite correction
US20160051343A1 (en) Kit of self-ligating brackets
Goutham et al. G-technique: an effective and precise method for rapid derotation of teeth
US11160638B2 (en) Orthodontic system with variably-sized archwire slot
KR101644911B1 (en) Orthodontic bracket system
US20220218445A1 (en) Single arch mandibular advancer
AU2018272753B2 (en) Orthodontic system with variably-sized archwire slot
US20220257346A1 (en) Orthodontic appliance
KR20230164882A (en) Custom ready-made orthodontic bracket
KR20180001267A (en) Premanent dentition development guide device
Bhandari et al. Correction of scissor-bite using a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Weissheimer et al. An interview with: Antônio Carlos de Oliveira Ruellas
BR102021020468A2 (en) ORTHODONTIC DEVICE TO AID TO CORRECTION OF CLASS II OR CLASS III DENTAL WITH OR WITHOUT SKELETAL ANCHORAGE
JP2023545512A (en) orthodontic archwire
Pithon Antônio Carlos de Oliveira Ruell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