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511A -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511A
KR20160050511A KR1020140148871A KR20140148871A KR20160050511A KR 20160050511 A KR20160050511 A KR 20160050511A KR 1020140148871 A KR1020140148871 A KR 1020140148871A KR 20140148871 A KR20140148871 A KR 20140148871A KR 20160050511 A KR20160050511 A KR 20160050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power
electronic device
integrated remote
remotely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014B1 (ko
Inventor
김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너스
Priority to KR1020140148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0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by means of mobile telephon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5Adjustabl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operation, e.g.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센서; 적어도 둘 이상의 전자 기기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작 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해당 동작 센서가 구비된 공간의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을 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consolidated remote controller)를 구성한다. 상술한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사람이 소정 시간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주변의 전자 기기의 방치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의 입력이 소정 시간동안 없는 경우 전력 차단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람이 있는 동안 방치되는 전력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FOR SHUTTING OFF NEGLECTED POWER USING CONSOLIDATE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치 전력의 차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가정과 같은 최종적인 전력의 소비처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의 낭비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강구되고 있다.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로 콘센트에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있는 상태에서도 낭비되는 것을 줄이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의 제조 업체에서도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제품에 구현하여 전력의 낭비를 줄이고 있다.
그러나, 사람의 부주의나 낭비 습관에 의해 낭비되는 전력은 이러한 노력과 수단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다.
이는 대기 전력이 아니라 소위 방치 전력이라 부를 수 있으며, 텔레비전을 보지 않으면서 켜놓는다든가 텔레비전을 켜놓고 자는 동안 소비되는 전력이다. 또한, 방에 아무도 없지만 전등을 켜놓고 집을 비우는 경우도 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방치 전력은 대기 전력에 비해서 그 전력 소모량도 많을 뿐더러 이를 적시에 차단할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은,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센서; 상기 동작 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해당 동작 센서가 구비된 공간의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을 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consolidated remote controller)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자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성되며, 소정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는, 소정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전원 차단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방법은, 동작 센서가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가 상기 동작 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 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가 해당 동작 센서가 구비된 공간의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을 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에 소정의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에 소정의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전원 차단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된 알람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전원 차단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사람이 소정 시간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주변의 전자 기기의 방치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의 입력이 소정 시간동안 없는 경우 전력 차단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람이 있는 동안 방치되는 전력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이하,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이라 함)(100)은 동작 센서(110) 및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100)은 동작 센서(110)에 의해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거나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입력 조작 여부를 감지하여 방치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 센서(110)는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자 기기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예를 들어, 전등(10), 텔레비전(20), 컴퓨터(30), 에어컨디셔너(40)의 전원을 원격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동작 센서(11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판단 결과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해당 동작 센서(110)가 구비된 공간의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을 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소정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전원 차단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차단 명령이 있으면,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전자 기기의 전력 차단을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동작 센서(110)가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S101).
다음으로,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동작 센서(11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판단한다(S102a).
판단 결과 동작 센서(11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해당 동작 센서(110)가 구비된 공간의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전등(10), 텔레비전(20), 컴퓨터(30),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4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원격 제어한다(S103a). 또는 전자 기기의 플러그가 꽂힌 콘센트를 원격 제어하여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판단 결과 동작 센서(11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지는 않는 경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소정의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지 판단한다(S102b).
이때, 판단 결과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전등(10), 텔레비전(20), 컴퓨터(30), 에어컨디셔너(40) 전원을 차단하도록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판단 결과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전원 차단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한다(S103b).
그리고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알람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전원 차단 입력이 있는 경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해당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원격 제어한다(S104b).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동작 센서
120: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

Claims (6)

  1.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센서;
    적어도 둘 이상의 전자 기기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작 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해당 동작 센서가 구비된 공간의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을 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consolidated remote controller)를 포함하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는,
    소정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는,
    소정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전원 차단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
  4. 동작 센서가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consolidated remote controller)가 상기 동작 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동작 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가 해당 동작 센서가 구비된 공간의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을 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에 소정의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에 소정의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없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전원 차단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표시된 알람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전원 차단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전자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방법.
KR1020140148871A 2014-10-30 2014-10-30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64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871A KR101664014B1 (ko) 2014-10-30 2014-10-30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871A KR101664014B1 (ko) 2014-10-30 2014-10-30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11A true KR20160050511A (ko) 2016-05-11
KR101664014B1 KR101664014B1 (ko) 2016-10-10

Family

ID=5602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871A KR101664014B1 (ko) 2014-10-30 2014-10-30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358B1 (ko) * 2018-05-04 2020-01-28 (주)알트온 통합 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018B1 (ko) * 2006-09-21 2008-06-17 박세현 전력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기반 홈네트워크서비스 방법
KR20080100911A (ko) * 2007-05-15 2008-11-21 강판규 타이머 기능 및 전력 조정 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 및그의 제어방법
KR100970143B1 (ko) * 2008-04-29 2010-07-14 주식회사 포스코 절전용 자동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018B1 (ko) * 2006-09-21 2008-06-17 박세현 전력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기반 홈네트워크서비스 방법
KR20080100911A (ko) * 2007-05-15 2008-11-21 강판규 타이머 기능 및 전력 조정 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 및그의 제어방법
KR100970143B1 (ko) * 2008-04-29 2010-07-14 주식회사 포스코 절전용 자동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014B1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0577B2 (en) Prospective determination of processor wake-up conditions in energy buffered HVAC control unit having a preconditioning feature
EP2575289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EP2769277B1 (en) Smart-home device that self-qualifies for away-state functionality
US20110282509A1 (en) Occupancy based switching with advance notification
US20150019893A1 (en) Standby power interception apparatus for computer and computer peripheral device
KR101330212B1 (ko) 모니터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U2012325677A1 (en) PC power monitoring
KR20150137429A (ko) 멀티 콘센트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4014B1 (ko)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33297B1 (ko) 전자 디바이스의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WO2024041223A1 (zh) 3d全息显示屏的显示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20111210A (ko) 대기 전력 제어 시스템과 이의 동작 방법
KR20110009530A (ko) 소비전력 감지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
WO2016061962A1 (zh) 机顶盒状态控制方法、装置及机顶盒
KR20160050512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JP6220922B1 (ja) 電力監視処理システム
KR101472887B1 (ko) 대기전력 자동 차단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60054807A (ko) 복합 센서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562481B1 (ko) 절전 및 환경 감시 시스템
KR200469313Y1 (ko) 다기능 스위치장치
KR20150138612A (ko) 대기전력 차단용 초절전 멀티탭
TW200721002A (en) External storage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computer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301240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CN109101182A (zh) 一种触控方法及相关装置
KR101499617B1 (ko) 사용자 의도 파악에 기반한 대기전력 자동 인가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