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182A -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182A
KR20160050182A KR1020140147630A KR20140147630A KR20160050182A KR 20160050182 A KR20160050182 A KR 20160050182A KR 1020140147630 A KR1020140147630 A KR 1020140147630A KR 20140147630 A KR20140147630 A KR 20140147630A KR 20160050182 A KR20160050182 A KR 20160050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ozone
unit
supplied
pre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074B1 (ko
Inventor
김학준
김용진
한방우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7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0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는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내부에 포함되는 황을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유동경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배기가스에 습식 오존을 공급하여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황산화물을 일부 제거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공급되며, 해수를 분무하여 상기 배기가스 내의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오존이 공급되는 유입단과, 상기 유입단에 연결되며 상기 처리부로 공급되는 습식오존의 압력이 낮아지며 상기 습식오존과 상기 배기가스와의 접촉시간이 증가하도록 상기 유입단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배기가스 처리시 1차적으로 배기가스를 습식 오존에 의하여 전처리하여, 하전부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황산화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며, 전처리시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APPARATUS FOR DESULFURIZING MARINE EXHAUST GAS}
본 발명은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가스 처리시 1차적으로 배기가스를 습식 오존에 의하여 전처리하여,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며 황산화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선박 또는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하여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야기되어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선박용 배기가스에는 NOx 와 SOx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된다. 이때, 질소산화물(NOx)의 경우, 배출량 기준으로 규제를 실시하기 때문에, 향후 선택적 환원 촉매(Selective Catalytic Reduction:SCR),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xhaust Gas Recirculation:EGR) 등과 같은 엔진 또는 후처리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반면, 황산화물(SOx)의 경우에는 현재 육상용 디젤엔진에서 적용되는 황함유량 규제와 같이, 연료 내 포함되어 있는 황함유량을 기준으로 규제를 하고 있다. 하지만, 황함유량 규제를 3.5, 1, 0.1%S 등으로 강화시킬 경우, 초저유량의 연료를 사용하거나, Global 및 ECA 지역별 엔진 연료를 변환하는 등의 방식으로 선박을 운전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있다. 이로 인해 2020년까지도 여전히 3.5%S 이상의 고유황 연료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MEPC(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에서는 협의사항을 2009 Guidelines for exhaust gas cleaning systems을 통해 협의사항을 공개하여, SOx 후처리 장치를 설치하여 배기가스 조성이 제어되는 경우 동등한 황함유량의 연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이와 같은 배기규제 추세에 부합하기 위하여, 선박용 SOx 처리 장치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배기가스 내에 포함되는 오염물 중 황산화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보통 습식 스크러버 방식의 포집 방법과 건식 오존을 이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배기가스 탈황을 위한 스크러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스크러버(10)는 배기가스 유입구 측에 설치되는 전처리 스크러버인 벤츄리 스크러버(11)와 2차 스크러버(12)를 포함한다. 이때, 벤츄리 스크러버(11)는 벤츄리관의 직경이 좁아지는 영역에서 압력 손실이 발생하여 처리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직경이 좁아지는 영역에서 배압이 많이 걸리게 되어 처리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제트 스크러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종래의 벤츄리 스크러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종래의 사이클론 스크러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스크러버의 경우에도, 도 1의 스크러버(10)와 같이 관의 직경이 좁아지는 벤츄리 형상으로 마련되며, 관의 직경 변화에 따라 배압이 많이 걸려 처리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건식 오존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배기가스 처리에 효과는 있으나, 배기가스의 양에 따라 장치가 대형화가 되며, 산소 발생기, 냉각기 및 오존 발생기의 가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기가스 처리시 1차적으로 배기가스를 습식 오존에 의하여 전처리하여, 하전부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황산화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며, 전처리시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습식 오존 공급시 압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기가스와의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져 배기가스 탈황효율이 높아지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내부에 포함되는 황을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유동경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배기가스에 습식 오존을 공급하여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황산화물을 일부 제거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공급되며, 해수를 분무하여 상기 배기가스 내의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오존이 공급되는 유입단과, 상기 유입단에 연결되며 상기 처리부로 공급되는 습식오존의 압력이 낮아지며 상기 습식오존과 상기 배기가스와의 접촉시간이 증가하도록 상기 유입단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가스에 오존수를 분무하거나 또는 오존수와 스팀을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입단에는, 오존이 공급되는 제1노즐; 스팀이 공급되는 제2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2노즐의 단부에서 상기 오존과 상기 스팀이 혼합되어 상기 팽창부 측으로 공급되는 오존 공급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입단에는, 오존이 공급되는 액체 노즐; 스팀이 분사되며, 상기 스팀을 상기 오존의 토출경로 상에서 상기 오존과 혼합시켜 습식오존을 공급하는 기체노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처리부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제공되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해수를 분무하는 분무부; 상기 분무부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분무부로부터 분무되는 해수의 유동속도를 감소시켜 해수와 배기가스와의 접촉시간을 증대시키는 패킹(packing)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처리부와 상기 처리부는 테프론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입단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내의 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가스 처리시 1차적으로 배기가스를 습식 오존에 의하여 전처리하여, 하전부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황산화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며, 전처리시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유입단의 폭보다 크게 마련되는 팽창부를 포함함으로써, 전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압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부는 테프론 코팅됨으로써, 전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부식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테프론 코팅됨으로써, 탈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식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를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하여 배기가스의 오염물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처리부 전단에는 전기 집진부가 설치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먼지를 먼저 제거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탈황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기가스 탈황을 위한 스크러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제트 스크러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벤츄리 스크러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사이클론 스크러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의 유입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의 유입단의 변형례이다.
도 9는 도 1의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의 처리부를 통해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는 배기가스 처리시 1차적으로 배기가스를 습식 오존에 의하여 전처리하여, 하전부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황산화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며, 전처리시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100)는 전처리부(110)와, 전처리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처리부(120)를 포함한다.
유입단(111)은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며 황산화물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습식 오존이 유입되는 구성이다. 이때, 습식 오존은 오존수 또는 오존과 스팀의 혼합물 또는 미스트화 된 오존수가 공급된다. 오존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유입단(111)에 직접 오존수가 공급되며, 오존수를 미스트화 하거나 스팀과 혼합하는 경우에는 유입단(111)에 별도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유입단(111)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존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의 유입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입단(111)을 통하여 습식 오존을 공급하기 위하여 유입단(111)에 설치되는 오존 공급부(111a)가 도시된다. 오존 공급부(111)는 오존이 공급되는 제1노즐과, 스팀이 공급되는 제2노즐을 포함한다. 제1노즐과 제2노즐은 각각 별개의 유로를 가지며, 제1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오존과 제2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은 각 노즐의 단부에서 혼합되어 팽창부(112) 측으로 공급된다. 즉, 유입단(111)에는 오존과 스팀의 혼합물 또는 미스트화 된 오존수가 공급되도록 2유체노즐 등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의 유입단의 변형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유입단에는 오존이 공급되는 액체노즐과 스팀이 공급되는 기체노즐이 설치된다. 액체노즐은 외부로부터 오존이 공급되어 유동하는 통로로서, 팽창부(112) 측으로 오존을 토출하는 구성이다. 기체노즐은 스팀이 분사되는 것으로서, 기체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스팀을 오존의 토출경로 상에서 오존과 혼합시킴으로써, 오존과 스팀의 혼합물 또는 미스트화 된 오존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다만, 습식 오존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은 상술한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기가스와 반응하여 전처리를 할 수 있도록 습식오존을 공급할 수 있다면, 또다른 변형례도 가능하다.
팽창부(112)는 전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압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입단(111)에 연결되며, 유입단(111)의 폭 보다 큰 폭을 갖는 챔버 형상으로 마련된다. 유입단(111)을 통과한 오존 및 배기가스는, 단면적이 보다 넓은 팽창부(112)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베르누이 정리에 따라 속력이 낮아지게 되고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기존의 벤츄리관을 이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압력손실이 방지되며, 오존과 배기가스의 이동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오존과 배기가스의 접촉 시간이 보다 증대되어 전처리 효율이 향상된다. 즉, 팽창부(112)는 유입단(111)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벤츄리관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압력손실이 최소화되며, 또한, 배기가스와의 반응시간이 증가되어 전처리의 효율이 매우 높아진다.
한편, 전처리부(110)는 테프론(teflon) 코팅된다. 오존 또는 오존과 배기가스의 반응에 따라 전처리부(110)의 구성이 부식될 수 있으나, 테프론 코팅됨으로써 부식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전처리부(110)는 습식 오존을 주입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며 처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배기가스 내의 황산화물은 아래의 식에 의하여 제거된다.
Figure pat00001
이때, SO2 에서 SO3 로의 반응은 일정 온도 이하에서 반응된다. 그러나,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상술한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에 비하여 높으므로, 배기가스의 온도가 배출시 온도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처리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습식 오존을 공급하여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술한 일정 온도 이하로 낮춤으로써 처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건식 오존을 주입하는 경우 오존 발생기 및 산소 발생기의 가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습식 오존을 주입함으로써 배기가스 처리시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1의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처리부를 통해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처리부(120)는 전처리부(110)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내부로 제공받아 전처리부(110)에서 제거되지 않은 황산화물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입부(121)와, 분무부(122)와 패킹(packing) 부재(123) 및 배출부(125)를 포함한다.
유입부(121)는 전처리부(110)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통로이다.
분무부(122)는 배기가스 측으로 해수를 분사함으로써,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황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분무부(122)는 해수를 하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의 형태로 마련되며, 이때, 분무부(122)로 제공되는 해수는 선박 운항시 바다에서부터 직접 공급되는 것이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선박에 미리 저장된 해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배기가스는 분무부(122)로부터 분사되는 해수와 반응하여 최종적으로 제거된다.
패킹부재(123)는 처리부(130) 내부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배기가스와 분무부(122)로부터 분사되어 하측으로 유동하는 해수들이 접촉하는 공간으로서, 배기가스 또는 해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동속도를 감속시켜 해수와 배기가스의 접촉시간을 향상시키고 해수와 배기가스가 접촉되는 공간을 확대하는 구성이다.
즉,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황산화물의 제거효율이 향상되도록 해수와 배기가스 간의 충분한 반응시간이 확보되도록 패킹부재(123)를 통해 해수와 배기가스의 접촉공간을 협소하게 유도함으로써 접촉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유체가 패킹부재(123)를 따라 유동하므로 패킹부재(123)가 마련된 공간 내에서 유동속도가 크게 축소하여 배기가스와 반응할 수 있는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분무부(122)와 패킹 부재(133)는 복수 개의 층으로 마련되어 배기가스의 처리가 복수 회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 처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배출부(125)는 황산화물 이 처리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영역으로서,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처리부(120)의 상부에 마련된다.
한편, 처리부(120)는 분무부(123)로부터 제공되는 해수의 pH농도를 조절하여 배기가스 처리효율이 향상되도록 pH조절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황산화물 등의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는 먼저 전처리부(110)의 유입단(111)으로 공급된다. 이때, 유입단(111)에는 오존수 또는 오존과 스팀의 혼합물 또는 미스트화된 오존수 등의 습식 오존도 공급되어 배기가스와 접촉된다.
배기가스와 습식 오존은 이후 팽창부(112)로 유입된다. 팽창부(112)는 유입단(111)의 폭보다 크게 마련되므로 팽창부(112)로 유입된 배기가스와 습식 오존의 속도는 낮아진다. 이로 인해, 팽창부(112) 내부에서의 압력이 증가되어 압력 손실이 방지되며 배기가스와 오존의 접촉시간이 증대되어 전처리의 효율이 향상된다.
전처리부(110)에서의 배기가스와 오존의 반응을 통하여, 배기가스의 온도가 낮아지게되며, 이때 배기가스는 약 60℃가 되고, 배기가스 내의 황산화물의 일부가 제거된다.
전처리부(110)에서 황산화물의 일부가 제거되고 온도가 낮아진 배기가스는 처리부(120) 내부로 공급된다. 배기가스는 처리부(120) 상측에 마련된 배출부(125)를 향하여 유동하며, 유동하는 과정에서 패킹부재(123)를 통과한다. 패킹부재(123)가 형성된 영역에서 분무부(132)를 통해 분무되는 해수와 반응한다. 이때, 배기가스 내에 포함되는 황산화물은 해수에 녹음으로써, 배기가스의 황산화물이 최종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패킹부재(123)는 접촉면적이 넓게 마련되고, 패킹부재(123) 사이의 공극이 최소화하도록 마련되므로 분무부(122)로부터 분무되는 해수는 패킹부재(123)의 외면을 따라 유동하기 때문에 유동 속도가 크게 감소한다.
해수가 패킹부재(123)를 통과하는 동안에 유동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반응하는 배기가스의 양이 많아지므로 동일한 영역에서 더 많은 배기가스와 해수를 반응시킬 수 있다. 즉, 패킹부재(123)를 통해 황산화물 또는 입자상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무부(122) 및 패킹부재(123)를 통과하면서 황산화물 등이 제거된 배기가스는 최종적으로 배출부(125) 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배기가스 처리시 1차적으로 배기가스를 습식 오존에 의하여 전처리하여, 하전부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황산화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며, 전처리시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는, 전처리부에서 배기가스가 전처리되기 전에 전기 집진부에 의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먼지가 제거되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는 전처리부(110)와 전처리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처리부(130) 및 전처리부(130)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기집진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처리부(110)와, 처리부(120)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전기집진부(미도시)는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황산화물을 제거하기 전에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전기집진부는 방전극과 집진판으로 마련되어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극으로부터의 코로나 방전 등에 의해 하전된 먼지가 집진판에서 집진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면 다른 변형례도 가능하다.
즉, 배기가스는 전기집진부(미도시)에서 먼지가 제거된 뒤 전처리부(110)로 공급됨으로써, 배기가스의 탈황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가스 처리시 1차적으로 배기가스를 습식 오존에 의하여 전처리하여, 하전부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황산화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며, 전처리시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스크러버 20 : 제트 스크러버
30 : 벤츄리 스크러버 40 : 사이클론 스크러버
100 :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110 : 전처리부
120 : 처리부

Claims (7)

  1.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내부에 포함되는 황을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유동경로 상에 마련되며, 상기 배기가스에 습식 오존을 공급하여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황산화물을 일부 제거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공급되며, 해수를 분무하여 상기 배기가스 내의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오존이 공급되는 유입단과, 상기 유입단에 연결되며 상기 처리부로 공급되는 습식오존의 압력이 낮아지며 상기 습식오존과 상기 배기가스와의 접촉시간이 증가하도록 상기 유입단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배기가스에 오존수를 분무하거나 또는 오존수와 스팀을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단에는, 오존이 공급되는 제1노즐; 스팀이 공급되는 제2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2노즐의 단부에서 상기 오존과 상기 스팀이 혼합되어 상기 팽창부 측으로 공급되는 오존 공급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단에는, 오존이 공급되는 액체 노즐; 스팀이 분사되며, 상기 스팀을 상기 오존의 토출경로 상에서 상기 오존과 혼합시켜 습식오존을 공급하는 기체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처리부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제공되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해수를 분무하는 분무부; 상기 분무부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분무부로부터 분무되는 해수의 유동속도를 감소시켜 해수와 배기가스와의 접촉시간을 증대시키는 패킹(packing)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와 상기 처리부는 테프론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단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내의 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KR1020140147630A 2014-10-28 2014-10-28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KR101630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630A KR101630074B1 (ko) 2014-10-28 2014-10-28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630A KR101630074B1 (ko) 2014-10-28 2014-10-28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182A true KR20160050182A (ko) 2016-05-11
KR101630074B1 KR101630074B1 (ko) 2016-06-14

Family

ID=5602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630A KR101630074B1 (ko) 2014-10-28 2014-10-28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0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275A (ko) * 2017-06-22 2019-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크러버
KR20190032738A (ko) * 2017-09-20 2019-03-28 휴켐스주식회사 습도조절 기능이 부가된 습식세정탑 및 이를 이용한 폐가스 정화방법
WO2018236161A3 (ko) * 2017-06-22 2019-04-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크러버
KR102129824B1 (ko) * 2020-03-06 2020-07-03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분무노즐을 이용한 선회류 2단 약액세정탑
KR102308946B1 (ko) * 2021-03-15 2021-11-03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건식 및 습식을 이용한 악취 저감 시스템
KR20220142153A (ko) * 2021-04-14 2022-10-21 한국과학기술원 용해성 유해 가스 분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754B1 (ko) 2017-11-06 2020-07-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중공사 분리막을 이용한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1876163B1 (ko) * 2018-05-14 2018-08-02 신송미 다중의 공기정화부를 구비한 공기정화장치
KR102308612B1 (ko) 2020-11-03 2021-10-05 주식회사 유니온 선박용 폐세정수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404A (ko) * 2007-02-09 2008-08-13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존산화 습식 스크러버
JP2010264386A (ja) * 2009-05-14 2010-11-25 Osaka Prefecture Univ 排気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1334914B1 (ko) * 2013-05-03 2013-12-05 한국기계연구원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140094976A (ko) * 2013-01-23 2014-07-31 주식회사에스티엑스종합기술원 배가스 유입속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습식 세정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404A (ko) * 2007-02-09 2008-08-13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존산화 습식 스크러버
JP2010264386A (ja) * 2009-05-14 2010-11-25 Osaka Prefecture Univ 排気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20140094976A (ko) * 2013-01-23 2014-07-31 주식회사에스티엑스종합기술원 배가스 유입속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습식 세정설비
KR101334914B1 (ko) * 2013-05-03 2013-12-05 한국기계연구원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275A (ko) * 2017-06-22 2019-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크러버
KR20190000280A (ko) * 2017-06-22 2019-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크러버
KR20190000281A (ko) * 2017-06-22 2019-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크러버
WO2018236161A3 (ko) * 2017-06-22 2019-04-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크러버
KR20200029429A (ko) * 2017-06-22 2020-03-18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스크러버
KR20210047281A (ko) * 2017-06-22 2021-04-2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스크러버
KR20190032738A (ko) * 2017-09-20 2019-03-28 휴켐스주식회사 습도조절 기능이 부가된 습식세정탑 및 이를 이용한 폐가스 정화방법
KR102129824B1 (ko) * 2020-03-06 2020-07-03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분무노즐을 이용한 선회류 2단 약액세정탑
KR102308946B1 (ko) * 2021-03-15 2021-11-03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건식 및 습식을 이용한 악취 저감 시스템
KR20220142153A (ko) * 2021-04-14 2022-10-21 한국과학기술원 용해성 유해 가스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074B1 (ko) 201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074B1 (ko)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KR101117677B1 (ko) 선박용 배기가스의 탈황 탈질 처리장치
KR101835259B1 (ko) 고농도로 황 성분을 함유하는 저질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용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
RU2584217C2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оксидов азота и оксидов серы в выхлопном газе из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01456611B1 (ko) 선박의 배기가스 내 PM, SOx, NOx 제거 장치
KR101784938B1 (ko) 배기 오염물질 저감장치
CN105289241A (zh) 一种船舶柴油机联合脱硫脱硝装置及方法
CN110621853A (zh) 配备扩散部的排放气体处理装置
KR101608720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140073279A (ko) 선박용 배기 가스 정화장치
CN104437084A (zh) 一种船舶内燃机尾气脱硫脱硝方法
CN107456856B (zh) 一种基于海水法船舶尾气脱硫脱硝一体化去除装置及方法
CN107427767A (zh) 用于从工艺气流中部分去除污染物的方法和设备
KR200479610Y1 (ko) 배기가스를 이용한 플룸 제거장치
CN204412068U (zh) 一种船舶内燃机尾气脱硫脱硝装置
KR102098232B1 (ko)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KR20180046739A (ko) 배기가스 배출장치
KR101924167B1 (ko) 배기 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498007B1 (ko) 선박의 배기가스 내 PM, SOx, NOx 제거 방법
An et al. New application of seawater and electrolyzed seawater in air pollution control of marine diesel engine
Kuroki et al. Performance of a Wet-type Nonthermal Plasma Reactor for NO x, SO x, and Wastewater Treatment
KR102099885B1 (ko) 과산화수소의 열분해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 내 NOx와 SOx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N107511075A (zh) 一种新型喷淋塔同时脱除船舶尾气NOx和SO2的装置及方法
KR102275428B1 (ko) 에어버블 세정장치를 구비한 스크러버
US20210268434A1 (en) An apparatus for cleaning exhaust smo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