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517A -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물질분자 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물질분자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517A
KR20160049517A KR1020160046642A KR20160046642A KR20160049517A KR 20160049517 A KR20160049517 A KR 20160049517A KR 1020160046642 A KR1020160046642 A KR 1020160046642A KR 20160046642 A KR20160046642 A KR 20160046642A KR 20160049517 A KR20160049517 A KR 20160049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fluid material
molecules
fluidic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102016004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9517A/ko
Publication of KR2016004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A23L1/01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물과 바닷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와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성 물질분자들을 분리하여 처리하거나 수집하여 재사용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특징으로하고, 민물과 바닷물과 우유와 술과 음료와 같은 유체성 식품과, 기호성 식품과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물질분자 분리기{Nature friendly purification facility for separating polluted sludge}
본 발명은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우유, 술, 음료를 포함하는 유체성 식품, 기호성 식품 및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닷물, 민물, 술, 음료, 혈액, 우유 등과 같은 유동성 액체 등으로 구성되는 유체 속에 함유된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성 물질분자들과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하여 깨끗한 유체성 물질로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이용함으로써 유체성 물질분자의 고유 성분들을 얻기 위한 것이다.
바닷물, 민물, 술, 음료, 혈액, 우유 등과 같은 물질 분자들 속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 분자들이 함유되어 있으나 이들 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주지 못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우유 속에는 젖소를 사육하면서 젖소의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서 사료 속에 다량의 방부제를 투입하여 젖소를 사육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젖소가 질병에 걸렸을 때에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다량의 항생제를 투여하고 있는데 이들 방부제와 항생제가 우유를 통하여 우유를 음용하는 인간에게 방부제 성분들과 항생제 성분들이 전이되고 있는 것을 오래전부터 공지되어온 사실들이다.
또한, 바닷물에서 리튬이나 나트륨 성분과 같은 화학 물질들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가열 방식을 주로 이용하다 보니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오염된 기체 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성 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분리해 내지 못하기 때문에 오염된 기체를 대기 중으로 방출함으로 인해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들이 환경의 중요 이슈가 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종래문헌인 등록특허 제10-1418040호, 제10-1067023호, 제10-1346104호 및 10-1291054호 등을 참조하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가공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1) KR10-1418040 B
(특허문헌 1) KR10-1067023 B
(특허문헌 1) KR10-1346104 B
(특허문헌 1) KR10-1291054 B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오염된 기체를 투입하여 오염된 기체를 가공하여 주게 되면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된 오염물질성 물질분자가 자연스럽게 기체에서 이탈되는 물질해탈작용에 의해 오염된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자연스럽게 정화하여 주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이용하게 되면 간단한 과정을 통하여 대량의 나트륨 성분들을 용이하게 추출하여 민물과 바닷물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닷물, 민물, 술, 음료, 혈액, 우유 등과 같은 물질 분자들 속에 함유된 오염물질 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닷물과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먹을 수 있는 민물로 만들거나 바닷물로부터 추출해낸 오염물질 분자들을 건조하여 소금을 생산하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의 과제로 한다.
또한, 오염된 기체 속에 함유된 오염물질성 물질분자들을 분리해 내어 오염된 기체를 깨끗하게 정화하는 것을 본 발명의 과제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오염된 바닷물, 민물, 술, 음료, 혈액, 우유와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 속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직접 타격하여 가공하거나 공기를 분사하여 타격하는 공기분사 타격장치를 이용하여 타격하거나 진동력을 이용하여 타각한 후 중력의 작용을 역으로 이용하여 이들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오염물질분자들을 제거하여 물질분자 고유의 순수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친환경 공법을 이용하여 생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닷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분자들과 미립자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바닷물을 직접 타격하여 가공하거나 공기를 분사하여 타격하는 공기분사 타격장치를 이용하여 타격한 한 후 중력의 작용을 역으로 이용하여 바닷물과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먹을 수 있는 민물로 만들거나 바닷물로부터 추출해낸 오염물질분자들을 건조하여 친환경 공법을 이용하여 소금을 생산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오염된 바닷물, 민물, 술, 음료, 혈액, 우유와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 속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직접적으로 타격하여 가공하거나 공기를 이용하여 타격한 후 이들 유체성물질분자들과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들을 중력의 작용을 역으로 이용하여 완벽하게 제거하여 가공함으로 인해서 이들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안심하고 음용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든 물질분자들은 모두가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질량에 따라 발생하는 중력의 작용을 과학적인 현상을 이용하여 바닷물 성분들과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분자들을 제거하여 음용할 수 있는 민물로 정수하거나 바닷물에서 추출된 물질분자들을 건조하여 소금을 생산해 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닷물에서 미량의 나트륨 성분을 가진 소금 성분을 분리 추출하여 건조한 후 소금을 생산하거나 분리 추출해낸 소금성분들과 또다른 물질들을 혼합하여 용이하게 연소하는 에너지로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에너지를 무한대로 생산해 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물질분자 분리기를 이용하여 오염된 기체 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성 물질분자들을 가공하는 경우에, 타격장치와 진동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충돌작용, 물질마찰작용, 물질타격작용, 물질충격 작용 등에 의해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들이 기체성 물질분자 속에서 이탈되어 나옴과 동시에 물질분자가 공기 속으로 유입되는 물, 알콜 또는 또 다른 물질분자들과 결합하여 분리되거나 중화되는 중화작용이 발생한다. 이와 동시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비중이 가벼운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또다른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로 이동하여 재가공됨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물질분자과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은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구성되어 있는 하단배출구와 상단배출구로 분리 배출되는 과정을 통하여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된 오염물질성 물질분자들이 자동으로 추출분리되는 과정을 통하여 오염된 기체성 물질분자가 깨끗하게 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혈액 투석기는 필터를 이용하여 혈액 속에 함유된 유해물질성 물질분자들을 분리한 후 재투석하고 있으나, 혈액과 결합된 오염물질들을 완벽하게 분리해내지 못하기 때문에 1주일에 2회 정도의 투석을 하여 주어야 하는 결점이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정화시켜주게 되면 물질충격작용, 물질마찰작용, 물질타격작용, 및 중력 작용에 의해서 순수한 혈액과 결합된 오염물질성 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분리시켜서 환자들에게 순수한 혈액을 수혈시켜 줌으로 인해서 질병의 치유 효과를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 제10-1291054호로 등록받은 오염된 유체를 정화하는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되어 공개된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130949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우측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상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상단부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상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상단부 부분 상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유체성 물질분자를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내부로 분사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출봉의 부분 상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전면가공판을 분해하여 도시한 전면 가공판의 상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전면가공판의 상단부분 상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전면가공판과 결합되는 마찰봉을 결합하기 전의 상단부분 상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전면가공판과 결합 되는 마찰봉의 상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후면가공판을 분해하여 도시한 후면 가공판의 상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후면 가공판 상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후면 가공판의 부분 상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후면 가공판과 결합되는 회전축과 결합 후렌지와 회전 하우징을 도시한 부분 상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구성되는 후면 가공판의 전면부와 결합되는 회전축과 후렌지 결합 볼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 상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구성되는 후면 가공판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회전축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상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양측면부에 구성되는 ㄷ형 결합대와 상단부에 구성되는 여과막과 상판 상부 후레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상단 부분의 상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양측면부에 구성되는 ㄷ형 결합대와 하단부에 구성되는 하단 공기 분출구와 기초좌대 프레임과 바이브레이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하단 부분의 상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전면판과 후면판과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파이프와 공기 주입파이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전면 판을 분리하여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구성되는 회전타격장치 겸 공기 분사 타격장치의 중간 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전면 판을 분리하여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단계별로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다단계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몸통과 부속 시설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성한 후 전면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정회전 고정타격봉과 역회전 회전타격봉의 부분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9는 생수병을 흔들었을 때에 생수병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기포의 형상을 촬영한 생수병 속의 기포 발생 상태를 나타낸 생수병 사진,
도 40은 겨울철 아침에 하천에서 태양과 물이 접촉하면서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이 발생되면서 수중기가 생성되는 현상을 촬영한 사진,
도 41은 냄비 속에 음식 재료와 물을 넣고 가스 불로 음식을 가열하였을 때에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거품이 발생되는 현상을 촬영한 사진,
도 42는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판에 구성되는 마찰봉을 휘어지게 구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진,
도 43은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전극봉과 +전극봉의 구성예를 도시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과학적 원리에 대하여 실증적이고 논리적인 작용들에 대해서 증거에 입각해서 설명한다.
하기의 논리는 본 발명자가 30 여년을 연구하여 오면서 각종 특허를 등록받으면서 밝혀낸 작용과 논리들은 학계와 특허청 심사관으로부터 인정 받아 특허를 등록받으면서 제시한 내용들을 정리 요약한 것이다.
중력 가속도 작용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모든 물질들은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지배를 받는다. 또한, 유체성 물질분자들도 중력의 작용에 따라 중력 가속도 작용을 한다. 그러나, 대기권에 떠 있는 구름도 중력의 지배를 받는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한 학자들이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유체성 물질분자들도 중력 가속도 작용을 역으로 이용하면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중력 가속도 작용이란 물질이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를 하면 속도가 높아지면서 무게도 커진다는 논리이다.
그러므로, 비중이 높은 깨끗한 유체성물질분자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높이가 5m~80m 정도의 높이로 높게 구성된 함체 형태의 유체성 물질분자가공기를 구성하여 유체성 물질분자를 분리가공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역으로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물질폭발작용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화약만 폭발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기체성 물질분자들은 물질분자 고유의 성분들과 또 다른 성분을 가지고 있는 물질분자가 접촉하면 물질폭발작용이 발생하면서 기체를 발생시킨다.
이는 하기의 내용을 통해 입증 가능하다.
첫째, 인분으로 만들어 내는 메탄가스를 들 수 있다.
둘째, 수돗물을 생수병에 넣고 흔들어 주면 생수병 속에서 기체성 기포가 생성되는 현상으로서 공기는 물보다도 가볍기 때문에 절대로 생수병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지 못한다는 증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작용에 대한 내용이다.
셋째, 바다에서 파도가 치면 거품이 발생되는 현상으로서 바닷물 속에 함유된 물질분자 A와 물질분자 B가 접촉하면서 물질폭발 작용에 의해 거품을 발생시키는 현상이다.
네째, 비누와 물이 접촉하면서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거품을 발생시키는 현상이다.
다섯째, 좌변기에 소변을 보면 좌변기 속에 있던 물과 소변이 접촉하는 순간 기포성 거품이 발생되는 것은 물 분자와 소변 속에 함유된 또 다른 물질분자가 접촉하면서 물질폭발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포성 거품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물질마찰작용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첫째, 처마 밑의 낙수물에 의해 돌이 파이는 현상이다.
물질밀림 작용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첫째, 모든 물질분자들은 물질 고유의 질량과 그에 따른 비중의 작용을 지배를 받는다는 뉴턴의 자연 법칙이다.
둘째, 물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모든 물질분자들은 중력의 작용과 질량과 비중에 따라서 분리가 가능하다는 뉴턴의 법칙이다.
모든 물질분자들은 분리가 된다라는 논리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첫째,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은 지구 상에서 증발된 물질분자의 결합물이다라는 것이다.
모든 물질들은 중력의 지배를 받는다는 논리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첫째, 모든 물질들은 크기에 관계 없이 모두 중력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지구의 지표면에 밀착해서 존재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민물, 바닷물, 우유, 술, 음료 등과 같은 유체성 식품, 기호성 식품 및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비중이 지구 상에 존재하는 모든 액체로 구성되는 물질분자들과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여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만을 따로 분리추출할 수 있게 한다.
[제1 실시 예]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더욱더 크게 발휘하도록 5m 내지 50m 정도의 높이로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는 네개의 회전바퀴(1503)와 결합되는 기초좌판(1502); 기초좌판(1502) 상에 배치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펌핑하는 동시에 액체 유입구(1509)와 결합되는 제1 펌프(1516); 기초좌판(1502) 상에 배치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 등을 펌핑하여 주는 동시에 공기 유입구(1510)와 결합되는 제2 펌프(1515); 기초좌판(1502)의 중앙에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기초좌대 프레임(1517); 기초좌대 프레임(1517)의 일측과 타측에 대향되게 구성되는 ㄷ형 결합대(1519); 기초좌대 프레임(1517)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바이브레이타(1585); ㄷ형 결합대(1519)의 전면부에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전면판(1518); ㄷ형 결합대(1519)에 구성되어 있는 후면 결합구(1556)와 후면판(1513)에 구성되어 있는 후면판 결합구(1533)를 볼트로 결합하는 후면판(1513); 하단 공기 분출구(1555)의 전면부 하단부분에 배치되며 제2 펌프(1515)에 발생시킨 공기 또는 매연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파이프 결합구(1553); 공기 주입파이프 결합구(1553)를 통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 등을 주입하는 공기 주입파이프(1506); 제1 펌프(1516)와 연결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물과 같은 액체로 구성되어 있는 다양한 액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키는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파이프(1508);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파이프(1508)에 연결되며 상단배출구(1501)의 하측에 연통되는 원뿔형 분출봉(1520); 전면판(1518)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마찰봉(1530); 후면판(1513)에 배치되는 마찰판(1550);을 포함한다.
ㄷ형 결합대(1519)는 그 전면 부분에 전면 결합구(1557)를 포함하고, 그 후면 부분에 후면 결합구(1556)를 포함하고, 그 하단 부분에 구성되는 하단 공기 분출구(155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단 공기 분출구(1555)의 타측에 물질분자 분리칸(1560)을 구성하고,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와 결합된 저층수 취수구(1558)를 구비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제2 펌프(1515)에서 펌핑하는 공기 또는 매연 등과 썩이지 않도록 분리시킨다.
ㄷ형 결합대(1519)는 그 상단부 상에 장공의 형태로 상판여과막(1523)이 구성되고, ㄷ형 결합대(1519)의 상단부 전후면에는 판재 형태로 상판 상부 제1 후렌지(1526)가 각각 구성된다. 상판 상부 제1후렌지(1526)에는 다수개의 상판 상부 후렌지 제1 결합구(1527)가 구성되며, 상판 상부 제1 후렌지(1526)의 상단부에는 상판 상부 제2 후렌지(1522)가 구성되고, 상판 상부 제2 후렌지(1522)의 상단부에는 ㄱ자 형태로 상단배출구(1501)가 구성된다.
원뿔형 분출봉(1520)은 다수개의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분출하여 주는 고압 분출구(1521)를 통해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파이프(1508)로 유입되는 유입 총량인 100WT% 보다도 1WT% 내지 20WT% 정도로 작은 배출량을 유지시킨다. 이를 통해, 고압으로 분출되도록 고압분출구(1521)의 총 배출량 크기를 작게 구성한다.
전면판(1518)은 그 하단 상부에 저층수 배출파이프 결합구(1531)를 구비하고, 저층수 배출파이프 결합구(1531)에는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를 연결시킴으로써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펌핑하거나 중력의 작용에 의해 자동적으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외부로 배출하게 한다. 또한,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저층수 취수구(1558)의 위치는 하단 공기 분출구(1555)의 상단 부분과 3cm 내지 25cm 정도의 사이가 되도록 한다.
저층수 취수구(1558)의 끝단부 형태는 하단 공기 분출구(1555)에서 분출되는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이 저층수 취수구(1558)의 입구로 곧바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ㄴ자 형태로 구성시킨다.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의 중간 부분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정량화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외부로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우선적으로 펌핑하여 배출하도록 작용하는 배출펌프(1507)를 구성한다.
전면판(1518)의 외주면 상에는 전면판 결합구(1528)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전면판 결합구(1528)는 ㄷ형 결합대(1519)에 구성되어 있는 전면 결합구(1557)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전면판(1518)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 사이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마찰시켜서 입자의 크기를 작게 분쇄하여 주거나 가공하여 주도록 작용하는 마찰봉 결합구(1529)를 다수개 구성한다. 마찰봉 결합구(1529)에는 다수개의 마찰봉(1530)을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전면판(1518)의 전면판 결합구(1529) 및 ㄷ형 결합대(1519)의 전면 결합구(1557)를 결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전면 부분을 완성한다.
ㄷ형 결합대(1519)의 후면부에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후면판(1513)은 그 외주면에 다수개의 후면판 결합구(1533)를 포함하고, 후면판(1513)의 상단 부분에서 하단 부분 사이에는 다수개의 후렌지 결합구(1536)와 축 결합구(1535)가 각각 구비된다.
후면판(1513) 상에는 두개의 베어링(미도시)이 삽입되어 회전이 용이하도록 회전축(1512)과 결합된 각각의 회전 하우징(1537)이 결합 후렌지(1511)를 통해 결합된다. 마찰판(1550)에 결합되는 회전축(1512)의 일측 끝단부에는 마찰판(1550)을 각각 결합하여 지지시켜주는 축 나사와 축 볼트(1539)가 배치된다.
회전축(1512)과 마찰판(1550)을 회전시켜주는 회전 수단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바 이하 상세한 구조를 생략한다. 즉, 회전 수단은 공지되어 있는 기구들과 변경 수단들이 매우 다양한바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투입량에 따라서 수시로 변경구성이 가능하다.
후면판(1513)는 후렌지 결합구(1536), 축 결합구(1535)가 형성되고, 볼트 등을 통해 상기 후면판(1513)의 후면부에 결합되는 결합 후렌지(1511)와 회전 하우징(1537)을 결합하게 한다.
회전축(1512)과 결합된 마찰판(1550)을 회전시켜 주는 회전 수단은 회전 모타를 직접 결합하여 회전하게 하거나, 회전 모타와 연결되는 구동 폴리와 종동 폴리를 벨트 등으로 연결 구성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마찰판(1550)의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타격홈(1552)이 형성된다. 마찰판(1550)은 회전축(1512)에 구성되어 있는 축나사와 축 볼트(1539)에 의해 회전축(1512)과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는, 액체 유입구(1509), 제1 펌프(1516) 및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파이프(1508)와 연결되는 원뿔형 분출봉(1520)을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키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전면판(1518)에 구성되는 마찰봉(1530)과 후면판(1513)에 구성되는 마찰판(1550), 타격봉(1551), 타격홈(1552)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가공하는 과정을 통해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자동분리되도록 가공한다.
또한, 기초좌판(1502)에 구성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타(1585)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가공함과 동시에 공기 유입구(1510), 제2 펌프(1515), 공기 주입파이프(1506)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고압의 압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가공한다.
또한, 원뿔형 분출봉(1520)를 통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음료, 혈액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연속적으로 유입시켜서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 물질충돌작용, 물질마찰작용, 물질폭발작용을 통해 분리되도록 가공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 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 WT% 내지 90 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1558)와 결합된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와 배출펌프(150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중력 작용과 질량과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저층수 취수구(1558)로 배출되지 못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상단부로 부상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은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배출구(1501)로 분리 배출시킨 후 수집하여 사용하거나 재가공하게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행하게 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하는 것이다.
[제2 실시 예]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민물, 바닷물, 술, 우유, 음료와 같은 기호식품 등을 가공할 때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로 유입되는 유입총량 100 WT% 대비 0.01 WT% 내지10 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상부 타측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배출구(1501)로 배출되도록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의 크기를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파이프(1508)의 크기보다도 0.01% ~ 10% 정도 더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민물, 바닷물, 술, 우유, 음료와 같은 기호식품을 가공할 때에 복수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를 복수의 단계를 통해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일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와 다른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에 구성되어 있는 액체 유입구(1509)를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각각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에서 배출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복수의 개소로 구성되는 각각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에 구성되어 있는 액체 유입구(1509)로 이송한다.
이후, 각각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에 구성되어 있는 원뿔형 분출봉(1520)을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여러차례 반복적으로 재투입 및 재가공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성 물질분자들과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별도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복수의 단계에 걸쳐 설치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재가공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4 실시 예]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더욱더 크게 발휘하도록 5m~60m 정도의 높이로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는 네개의 회전바퀴(108)와 결합되는 기초좌판(109); 중앙 하단부에 배치되는 바이브레이타(107);하단부 상부에 구비되는 하단판(121); 하단판(121)의 상부에는 구성되는 공기확산구(122); 공기 확산구(122)의 상단부에서 내부로 공기를 확산시켜주는 공기 분출구(113);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공기 펌프(116)를 포함한다.
공기 펌프(116)와 공기 확산구(122)의 사이에는 공기를 이송시켜주는 공기 공급 파이프(115)가 결합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공급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타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106)가 구비된 저층수 배출파이프(103)가 배출펌프(105)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상단부 일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로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구(111)가 조절밸브(112)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상부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던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상단 배출구(110)가 구비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는 그 타측과 일측에 파이프 형태로 다수개 구성되는 회전축(101)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회전축(101)은 회전축 하우징(100)과 결합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된다.
회전축(101)의 내부에는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킨는 유입홀(103)이 결합되고 회전축(101)의 끝 단부에는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확산시켜서 공급하여 주는 확산 공급구(119)와 결합되는 마찰판(102)이 구비된다.
마찰판(102)의 일단부에는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출하여 주는 분출구(118)와 마찰날개(117)가 결합된다.
회전축(101)과 결합된 마찰판(102)을 회전시켜주는 회전 수단은 회전 모타를 직접 결합하여 회전시켜 주거나 회전 모타와 연결되는 구동 폴리와 종동 폴리를 벨트 등으로 연결구성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는,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구(111)를 통하여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는 다수의 회전축(101)과 결합된 유입홀(103)과 분출구(118)를 통하여 고압의 압력으로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회전축(101)과 결합되어 있는 마찰판(102)과 마찰날개(1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 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오염물질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분리 가공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는 기초좌판(109)에 구성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타(10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가공함과 동시에 공기 펌프(116)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에 고압의 압력으로 공기를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로 유입되는 기체 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가공한다.
이와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구(111)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로 민물, 바닷물, 술, 우유, 음료, 혈액을 연속적으로 유입시켜서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가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유입총량 100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106)와 결합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파이프(133)와 배출펌프(105)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중력의 작용, 질량과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저층수 취수구(106)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상단부로 부상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배출구(110)로 분리 배출시킨 후 수집하여 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공한다.
[제5 실시 예]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더욱더 크게 발휘하도록 5m 내지 70m 정도의 높이로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는, 네개의 회전바퀴(108)와 결합되는 기초좌판(109),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중앙 하단부에 배치되는 바이브레이타(107), 하단부에 배치되는 하단판(211), 하단판(211)의 상단부 상에서 중간판(206)을 결합하여 조성된 물질분자 분리칸(205),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일측 상부에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내부로 유입시켜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공급 파이프(207)와 연결되어 결합되는 원뿔형 분출봉(1520)을 포함한다.
물질분자 분리칸(205)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중력의 작용과 질량과 비중의 작용을 이용하여 비중의 차이 별로 분리시켜주는 중간판(206)을 결합한다. 중간판(206)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자유롭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다수개의 장공이 형성된다.
중간판(206)의 상부에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걸러 주도록 여과막(203)을 구성한다.
원뿔형 분출봉(152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내부로 고압의 압력을 분출시켜 주도록 다수개의 고압분출구(1521)가 결합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타측면에는 물질분자 분리칸(205)의 하단부로 모아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배출파이프(201)가 ∩자 형태로 결합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내부 끝단부에는 저층수 취수구(202)가 결합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타측면 상부에는 중력의 작용과 비중의 차이와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상부로 부상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주는 상단배출구(209)가 배출량 조절밸브(210)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내부로 원뿔형 분출봉(1520)을 통하여 고압의 압력으로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유입총량 대비 100wt%를 주입시킴과 동시에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타(1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를 진동시켜줌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배출구(209)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210)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총량 대비 100wt% 중에서 0.01wt%~10wt% 정도만 상단배출구(209)로 배출되도록 배출량 조절밸브(210)를 조절하여 배출시킨후 처리하거나 별도로 수집한 후 재사용한다.
중력의 작용과 질량과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상단배출구(209)로 배출되지 못하고 물질분자 분리칸(205)으로 모아지는 비중이 무거운 90wt%~99.99wt%의 유체성 물질분자들은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물질분자 분리기(200)와 결합된 저층수 취수구(202)와 저층수 배출파이프(201)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외부로 자동 배출시켜서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6 실시 예]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는 원형의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더욱더 크게 발휘하도록 5m~80m 정도의 높이로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는, 장방형의 기초 판재(312),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내부로 유입시켜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공급 파이프(305)와 연결되어 결합되는 원뿔형 분출봉(1520), 원뿔형 분출봉(1520)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내부에 고압의 압력으로 분출시켜주는 다수개의 고압분출구(1521)를 포함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타측 상부에는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상부로 부상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외불 배출하여 주는 상단 배출구(302)가 배출량 조절밸브(303)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하단부 타측에는 중력의 작용과 질량의 차이와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외부로 배출하여주는 저층수 배출파이프(307)가 ∩자 형태로 결합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내부 끝단부에는 저층수 배출파이프(307)와 연결 구성되는 저층수 취수구(308)가 결합된다.
기초 판재(312)의 타단부에는 저층수 배출파이프(307)와 결합되는 저수탱크(301)가 결합되고, 저수탱크(301)의 일단부에는 하단 고압펌프(312)와 결합되고된다.
하단 고압펌프(312)는 저층수 배출파이프(307)로부터 공급받은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주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하단 제1 배출파이프(310)가 제1 하단배출량 조절밸브(316)와 결합된다.
하단 제1배출파이프(310)의 끝단부는 단계별로 구성되는 또 다른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 공급 파이프(305)와 연결된다.
저수탱크(301)의 타단부에는 단계별로 설치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를 통과하면서 가공이 완료된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저층수 배출파이프(307)로부터 공급받아 보관하고 있는 저수탱크(301)를 통과한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제2 하단 배출파이프(315)를 제2 배출량 조절밸브(317)와 연결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 복수개를 단계적으로 연결 설치한 후 후방 측에 배치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하단 제1 배출파이프(310)를 전방 측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 공급 파이프(305)와 연결구성한 후 하단 고압펌프(312)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내부에 오염된 민물 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투입한 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제1 하단 배출파이프(310)와 결합되어 있는 제1 하단배출량 조절밸브(316)를 조절하여 1단계 유체성 물질분리기(3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총량 100wt% 대비 90wt%~99.99wt%정도를 제1 하단 배출파이프(310)로 배출시킨 후 배출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전방 측의 유체성 물질분리기(30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 공급 파이프(305)로 이송시킨후 물질분자 공급 파이프(305)와 결합되어 있는 원뿔형 분출봉(1520)에 구성되어 있는 고압분출구(1521)를 통하여 고압의 압력으로 후속하는 유체성 물질분리기(300)의 내부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공급하여 분사하는 연속적인 가공과정을 수행한다.
즉,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단계별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유체성 물질분리기(300)의 하단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유체성 물질분리기(300)의 상단부로 부상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 0.01wt%~10wt%는 각각의 유체성 물질분리기(30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 배출구(302)로 배출시킨 후 수집하여 처리하거나 수집하여 재사용한다.
[제7 실시 예]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는 그 몸체 형상을 직사각형의 함체 형태로 구성하여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처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된다.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몸체 형상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하며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로 변경 구성 가능하다.
[제8 실시 예]
도28은 본 발명 제 1실시예 ~ 제8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정회전 고정타격봉과 역회전 회전타격봉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29는 본 발명 제8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더욱더 크게 발휘하도록 5m~90m 정도의 높이로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는 그 중앙 하단부 상에 구성되는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그 하단부 상부에는 구비되는 하단판(121), 하단판(12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122), 그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기체 주입펌프(720)를 포함한다.
기체주입펌프(72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720)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가 구비된다.
기체주입펌프(720)와 공기 확산구(122)의 사이에는 공기를 이송시켜주는 공기 공급 파이프(115)가 결합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공급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타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하단부로 모여 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711)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712)와 1자 형태로 구비된다.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712)의 상부에는 함체 형태로 2차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통(729)이 구비되고, 2차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통(729)의 상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제2 배출파이프(717)가 제2 배출 조절밸브(719)와 결합된다.
2차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통(729)의 일측에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 주는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가 배출량 조절밸브(715)와 결합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상단부 일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내부로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체성물질분자 유입 파이프(716)가 조절밸브(112)와 결합되어 구성되고, 유체성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끝단부에는 유체성물질분자 확산구(718)가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상부 타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던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상단 배출구(706)가 배치된다.
상단 배출구(706)의 상측에는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하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상측으로 부상하는 유체성 거품 성분들에게 액상의 유체성 성분을 분사하여 거품성분을 액체로 변형시켜주는 작용을 발휘하는 액상 분사구(705)가 구비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는 그 일측에 배치되어 유체성 물질분자를 회전시켜서 충돌시키는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을 발휘하도록 나선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정회전 고정타격봉(710); 그 내부 타측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회전체(701)와 결합되는 회전타격판(708); 상기 회전타격판(708)에 유체성 물질분자를 회전시켜서 충돌시키는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을 발휘하도록 나선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회전타격봉(709)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720)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는 그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함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에 다수개 구성된 회전타격판(708)과 결합되어 있는 회전탁격봉(709)을 회전시켜서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 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충돌하면서 질량과 비중이 비슷한 물질분자끼리 분리되도록 가공한다.
이를 통해서,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711)와 결합되어 있는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712)와 2차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통(729)과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과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715)를 조절하여 배출시킨다.
한편,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0.1WT%~3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 배출구(706)를 통하여 배출시킨 후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9 실시 예]
도30은 본 발명 제9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는, 기초좌판(109)의 상부에는 직사각형의 함체 형태로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는 기초좌판(109)과 결합되는 네개의 회전바퀴(703); 중앙 하단부에 배치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하단 상부에 구비되는 하단판(121); 하단판(12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122);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720); 기체주입펌프(720)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720)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를 포함한다.
기체주입펌프(720)와 공기 확산구(122)의 사이에는 공기를 이송시켜주는 공기 공급 파이프(115)가 결합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공급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타측에는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711)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712)와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가 ∩자 형태로 구성된다.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712)의 상부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752)가 구비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상단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 주는 상단 배출구(755)를 배출량 조절밸브(753)와 결합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상단부 타측에는 내부로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 파이프(738)를 1차 배출량 조절펌프(759)와 결합하여 구성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 파이프(738)의 상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수집하는 1차 물질분자 분리통(739)를 구성시킨 후 1차 물질분자 분리통(739)의 일측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 주는 1차배출 파이프(750)를 1차 배출량 조절밸브(756)와 결합하여 구성한다.
1차 물질분자 분리통(739)의 타측에는 싸이폰 상승 파이프(735)를 구성시키고, 싸이폰 상승 파이프(735)의 일측에는 개폐가 가능한 함체 형태로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를 구성시킨다.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는, 그 하단부 네 방향 상에 구비되는 이동용 바퀴겸용 탄성체(736);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하단부에 진동을 발생시켜주는 진동바이브레타(737);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주입펌프(732); 주입펌프(732)의 후면부와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상부로 부상하는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등을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내부로 다시 유입시켜주는 연결 파이프(758);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하단부 바닥부분에 주입펌프(732)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분사하여 주는 공기확산구(757);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상부 타측에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내부로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공급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파이프(731)를 포함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 및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를 통한 처리 과정은 하기와 같다.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내부에 오염된 물질(732)을 투입하는 과정;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내부와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내부에 물 또는 바닷물을 연속적으로 주입하는 과정;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와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에 구성되어 있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연속적으로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로 유입되는 물 또는 바닷물 또는 오염물질들을 진동시킴과 동시에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내부에 적재된 오염물질과 물 또는 바닷물을 연속적으로 진동시키는 과정;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와 결합되어 있는 기체주입펌프(720)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내부에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싸이폰 상승 파이프(735)를 통과한 물 또는 바닷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1차 물질분자 분리통(739)과 결합되어 있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756)를 조절함에 의해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를 통하여 1차 물질분자 분리통(739)으로 유입된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총량 100wt% 대비 0.01wt%~10wt%를 1차배출 파이프(750)를 통하여 배출시킨 후 별도로 수집하여 사용하거나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로 재유입시켜서 재가공한다.
동시에 1차 물질분자 분리통(739)으로 유입된 나머지 유체성 물질분자 90wt%~99.99wt%는 1차 배출량 조절펌프(759)와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 파이프(738)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내부로 이송시켜서 가공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1차 물질분자 분리통(739)과 결합된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 파이프(738)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총량 100wt% 대비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 0.01wt%~1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 배출구(755)를 통하여 배출시키고 나머지 9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하단부 일측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711)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712)와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752)를 조절한다.
이를 통해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 추출가공한 후 분리 추출된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10 실시 예]
본 발명 제10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소금 50wt%~95wt%와 물 5wt%~50wt%를 희석하여 액상 소금물을 제조하는 과정;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내부에 미리 준비한 액상 소금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한 후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제2 하단 배출파이프(315),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30), 상기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 저층수 배출파이프(201) 또는 저층수 배출파이프(133)를 통하여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로 유입되는 액상 소금물 유입총량 100wt% 대비 90wt%~99.99wt%를 배출시켜서 수집하여 사용하거나 재가공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동시에 비중, 질량,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제2 하단 배출파이프(315),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30),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 저층수 배출파이프(201), 저층수 배출파이프(133)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 분자 0.01wt%~1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킨후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11 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 제 11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청구항 1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1은 본 발명 제 11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더욱더 크게 발휘하도록 5m~30m 정도의 높이로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는 네개의 회전바퀴(703); 상부 일측에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 일측에 진동 흡수용 고무패드(981)와 결합되어 있는 초음파 진동기(980); 중앙 하단부에 배치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일측 하부에는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 상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를 포함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는 그 타측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91)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28)와 ㅅ자 형태로 구비된다.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28)의 상부 일측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715)가 결합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타측 상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가 결합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는 그 중앙 하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축 지지구(992), 그 상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체(920); 회전축 지지구(992)와 회전체(920) 사이에 결합되는 회전축(921);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 상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유체 이동홈(926)이 구성되어 있는 고정 마찰판(925); 고정 마찰판(925)에 마찰력을 높여주도록 작용하는 요철홈(996); 회전축(921)에 고정 마찰판(925)의 사이사이에 다수개 구성되는 회전마찰판(922); 회전 마찰판(922)에 마찰력을 높여주도록 작용하는 요철홈(995); 회전 마찰판(922)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유체이동홈(923)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함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초음파 진동기(980)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가공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함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모타와 같은 회전체(92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회전체(920)와 고정 마찰판(925)의 사이에 다수개 구성되는 회전마찰판(922)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믹서하여 분쇄시켜서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충돌하면서 질량과 비중이 비숫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한다.
이를 통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91)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28)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715)를 조절하여 배출시킨 후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28)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0.1WT%~3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를 통하여 배출시킨 후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 12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 제12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청구항 1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2는 본 발명 제 12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더욱더 크게 발휘하도록 5m~60m 정도의 높이로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는 네개의 회전바퀴(703);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중앙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타측에는 그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01)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02);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02)의 하단부 일측에 배출량을 조절하며 힌지축(905)과 결합되는 배출량 조절밸브(903); 타측 상부에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10);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10)의 하단부 상에 거품 형태로 배출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로 변형시켜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보관함(911)을 포함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보관함(911)의 내부에는 바닷물 또는 일반적인 민물(913)들이 수납되어 거품형태로 유입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로 변형시켜 주도록 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보관함(911)의 상부 타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보관함(911)의 내부로 거품형태로 유입된 상태에서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로 변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제2 잉여물질분자 배출파이프(912)가 구비된다.
제2 잉여물질분자 배출파이프(912)의 유입구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보관함(911)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우선적으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발휘하도록 유체성 물질분자 보관함(911)의 하단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는 모타와 같은 회전체(906)와 결합되는 다수개 회전축(985); 회전축(985)에 구비되는 회전판(907); 회전판(907) 상에서 직선방향이 아닌 대각선방향 또는 뉘어진 형태로 구성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불특정 방향으로 타격하여주는 작용을 발휘하여 주는 다수개의 대각선 타격봉(908)을 포함한다.
대각선 타격봉(908)에는 회오리 바람을 발생시켜주는 나사산이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하단부 중간중간에는 충격을 흡수하여 주는 충격흡수재와 결합되는 초음파 타격기(986)가 지지축(987)과 결합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주는 작용을 발휘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를 진동시키고,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초음파 진동기(986)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가공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함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모타와 같은 회전체(906)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회전축(985)과 결합되어 있는 대각선 타격봉(908)을 이용하여 회오리바람을 발생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믹서하면서 분쇄시키거나 타격하여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충돌하면서 질량과 비중이 비숫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한다.
이를 통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01)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02)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03)를 조절하여 배출시킨다.
다음으로,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02)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 0.1WT%~3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10)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보관함(911)으로 이동시킨 후 유체성 물질분자 보관함(91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바닷물 또는 민물(913)의 액상화 작용을 이용하여 거품 형태로 배출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액상화시킨 후 제2 잉여물질분자 배출파이프(912)로 2차 배출시켜서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 13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 제13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청구항 1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3은 본 발명 제 13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더욱더 크게 발휘하도록 5m~90m 정도의 높이로 네개의 회전바퀴(703)의 상부에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는 그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결합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중앙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하단부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포함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중간에 역삼각형의 형태로 층층으로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구(935,948,949,955);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구(935,948,949,955)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각각의 배출구(957,959,946,932); 각각의 배출구(957,959,946,932)에 구성되는 각각의 조절밸브(933,947,960,958); 층층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구(935,948,949,955)의 일측에 구비되어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가벼운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 주는 잉여물질분자 배출구(937,939,941,943); 각각의 잉여물질분자 배출구(937,939,941,943)에 구성되어 배출량을 조절하여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8,940,942,945)가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는 각각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구(935,948,949,955)의 사이에 구비되는 모타와 같은 회전체(951)와 결합되는 회전축(956); 회전축(956)에서 대각선 방향과 비스듬이 뉘어진 형태로 구비되는 대각선 경사 타격봉(950); 대각선 경사 타격봉(950)에 회전할 때에 소용돌이와 회오리 바람을 발생시켜 주는 나선형의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는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모타와 같은 회전체(951)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회전축(956)과 결합되어 있는 대각선 경사 타격봉(950)을 이용하여 소용돌이와 회오리바람을 발생시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믹서하면서 분쇄시키거나 타격하여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충돌하면서 질량과 비중이 비숫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한다.
이를 통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배출시킨다.
한편,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 0.1WT%~3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타측 상부에 층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각각의 잉여물질분자 배출구(937,939,941,943)로 배출시켜서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 14 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 실시 예 14에 따라 구성되는 청구항 1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4는 본 발명 제 14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사시도 이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더욱더 크게 발휘하도록 5m~100m 정도의 높이로 구성되며, 네개의 회전바퀴(703)의 상부에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는 그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결합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중앙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 하단부 타측에 배치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01)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02);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하단부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포함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는 그 내부에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전기 분해하여 주는 -전극봉(1005)과 + 전극 봉(1006)이 전기 분해 장치(1007)와 결합되어 각각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중간에는 모타와 같은 회전체(1001)와 회전축(1003)과 결합되는 다수개의 대각선 경사 타격봉(1002)이 뉘어진 형태로 구성된다. 다각선 경사 타격봉(1002)의 표면 구조는 회오리 바람과 소용돌이를 용이하게 발생시켜주는 나사산 형태의 요철돌기가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타측 상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가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한다.
또한, 전기분해장치(1007)를 이용하여 -전극봉(1005)와 +전극봉(1006)에 전기를 흐르게 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무릴분자들을 분해내는 작용을 발생시키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모타와 같은 회전체(1001)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회전축(1003)과 결합되어 있는 대각선 경사 타격봉(1002)을 이용하여 소용돌이와 회오리바람을 발생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믹서하면서 분쇄시키거나 타격하여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충돌하면서 질량과 비중이 비숫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한다.
또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01)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02)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715)를 조절하여 배출시켜서 재활용하거나 재사용한다.
한편,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02)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 0.1WT%~3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타측 상부에 층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로 배출시켜서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 15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 제 15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청구항 16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 15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이다.
네쌍의 회전바퀴(703)의 상부에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는 하단부 함체(833); 하단부 함체(833)의 상단부 방향으로 ∧자 형태로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의 상단부 방향으로 ∨자 형태로 넓어지도록 구성되는 상단부 함체(835);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의 상부에 구비되는 마찰 발생용 여과막(832); 상단부 함체(835)의 상단부 일측에 오염된 공기 또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여 주는 다수개의 기체 주입용 파이프(830); 기체 주입용 파이프(830)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기체분출구(837);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결합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하단부함체(833)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가로 구조물 지지대(825)와 결합되어 있는 좌우방향 진동기(826); 하단부함체(833)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가로 구조물 지지대(827)와 결합되어 있는 상하 방향 진동기(828);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중앙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를 포함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타측에는 하단부로 모여 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일측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가 결합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 상단부함체(835)의 타측 상부에 결합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 하단부함체(833)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회전체(821); 회전축(821)에 구비되는 회전마찰판(836); 회전마찰판(836)에 결합되어 불특정 방향과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어 구성되는 회전마찰봉(823); 회전마찰봉(823)에 나선형의 나사 형태로 구성되는 회전돌기; 하단부함체(833)의 일측과 타측에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여 주는 전후 방향 진동기(820,829); 하단부함체(833)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를 포함한다.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를 구성시켜 주는 이유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들을 제처 놓고 우선적으로 하단부 방향으로 배출되는 작용을 발휘시키기 위해서 하단부 함체(833)의 상단부 방향으로 ∧자 형태로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하단부함체(833),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 및 상단부 함체(835)의 전체 높이 길이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가로 방향의 넓이와 세로 방향 넓이 대비 1000%~10000%가 더 큰 5m~90m가 더 큰 높이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와 전후 방향 진동기(820,829)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하단부함체(833)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좌우방향 진동기(826)와 상하 방향 진동기(828)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가공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는, 마찰 발생용 여과막(832)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내부으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가공함과 동시에 기체 주입용 파이프(830)에 구성되어 있는 기체 분출구(837)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주입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내부으로 유입되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가공함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함과 동시에 하단부함체(833)에 구성되어 있는 회전체(821)와 회전마찰판(836)과 회전마찰봉(823)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면서 믹서하여 분쇄시켜서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충돌하면서 질량과 비중이 비숫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분리되면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배출시킨다.
한편,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0.1WT%~3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를 통하여 배출시킨후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 16 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 제 16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청구항 1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6은 본 발명 제 16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는 하단부 함체(838) 및 하단부 함체(838)가 배치되는 네개의 회전바퀴(703), 하단부 함체(838)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회전식 나선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의 하단부 내부에 구비되는 마찰 발생용 여과막(839);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의 중간 하단부 내부에 구비되어 물질마찰작용과 물질충격 작용을 발생시켜주는 작용을 발휘하도록 마찰 발생용 요철홈(841);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구비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하단부 함체(838)의 중앙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하단부 함체(838)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를 포함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하단부 타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일측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가 결합되고,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의 타측 상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가 결합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는 하단부함체(838)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회전체(821); 회전축(821)에 구비되는 회전마찰판(836); 회전마찰판(836)에 구비되어 불특정 방향과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어 구성되는 회전마찰봉(823)을 포함한다.
회전마찰봉(823)은 나선형의 나사 형태로 회전돌기가 구성되고, 회전마찰봉(823)의 상부에는 하단부함체(838)의 내부로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켜주는 고압 분사구(996)가 유입파이프(997)와 결합된다.
하단부함체(838)의 일측과 타측에는 - 자석 봉(840)과 + 자석봉(839)이 구성되어 하단부함체(838)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에게 자력을 접촉시키는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하단부함체(838)의 일측 하부에 기체 주입펌프(917)가 구비되며,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는 공기확산구(918)가 구성되고,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가 구비된다.
하단부 함체(838)의 내부에 하단부 함체(838)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회오리 바람식으로 회전시켜서 믹서함과 동시에 충돌시켜서 물질마찰작용과 물질충돌작용을 발생시켜주는 회전돌기식 회전체(999)가 하단부 함체(838)의 외부에 구성되는 모타와 같은 회전체(998)와 결합된다.
회전 나선형의 형태로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를 구성시켜주는 이유는 중력 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질분자들을 제처 놓고 하단부 방향으로 우선 배출되는 작용을 발휘시키기 위해서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를 나선형의 스프링 형태로 구성시킨다.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와 하단부 함체(838)의 전체 높이에 대한 길이의 구성비율은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와 하단부 함체(838)를 구성하는 가로 방향의 넓이와 세로 방향 넓이 대비 1000%~10000%보다도 더 큰 5m~100m의 높이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마찰 발생용 여과막(839)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내부으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가공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함과 동시에 - 자석 봉(840)과 + 자석봉(839)에 자력을 입력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에 포함된 금속성분들을 분리해내고, 하단부함체(838)에 구성되어 있는 회전체(821)와 회전마찰판(836)과 회전마찰봉(823)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면서 믹서함과 동시에 미세하게 분쇄시켜서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충돌하면서 질량과 비중이 비숫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분리되면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배출시킨다.
한편,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0.1WT%~3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를 통하여 배출시킨 후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를 구성하는 방식은 사각형 방식, 직사각형 방식, 원형, 타원형의 방식으로 구성되는 나선형 돌기를 구성할 수 있다.
나선 돌기의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프링이 감겨 있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돌기 사이는 자유롭게 늘리거나 좁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돌기의 각도 또한 매우 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돌기식 회전체(999)의 형태는 타격봉의 형식 또는 선풍기 날개 형식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물레방아식, 터보압축식, 회전나사식 등으로 요철돌기를 구성하여 하단부 함체의 내부에 고압의 회오리 압력을 가하여 하단부 함체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거나 믹서하여 주도록 구성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계 변경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회전돌기의 형태는 스프링이 감겨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파이프 구조재인 엘보를 이어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를 원형으로 벤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17 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 제17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청구항 18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8은 본발명 제 17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는 네개의 회전바퀴(703); 네쌍의 회전바퀴(703) 상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며 상단부는 하광 상협의 형태로 구성되는 하단부 함체(510); 하단부 함체(5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단부는 상과 하협의 형태이면서 상단부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는 상단부 함체(508);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와 상단부 함체(508)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질마찰작용과 충격 발생용 요철 돌기(512); 하단부 함체(5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찰 발생용 여과막(503); 하단부 함체(510)의 좌,우면에는 구비되는 좌,우방향 진동바이브레이타(505,506); 상단부 함체(508)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혈액이나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포함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는 인체로부터 채혈한 혈액 등을 공급하여 주는 혈액 공급장치와 결합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는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이 결합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는, 하단부 함체(51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질소 또는 산소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여 주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918)를 포함한다.
기체 주입펌프(917)는 질소 또는 산소 또는 수소를 유입시켜주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여주도록 작용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하단부 타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일측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가 결합된다.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끝단부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에서 정화되는 혈액을 공급받아 인체 또는 동물들에게 수혈하여주는 혈액 공급 파이프와 결합되는 주사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타측 상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가 결합된다.
좌,우방향 진동바이브레이타(505,506)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와 마찰 발생용 여과막(503)을 좌,우방향으로 진동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자연스럽게 분리되는 물질분리작용을 발생시킨다.
상단부 함체(508), 하단부 함체(510), 마찰 발생용 여과막(503)과 결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전체 높이에 대한 길이의 구성비율은 상단부 함체(508), 하단부 함체(510), 마찰 발생용 여과막(503)을 구성하는 가로 방향의 넓이와 세로 방향 넓이 대비 1000%~10000%보다도 더 큰 1m~10m의 높이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는 좌,우방향 진동바이브레이타(505,506)와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에 질소 또는 산소를 연속적으로 주입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들의 응고를 방지시켜주면서 부패되는 현상을 방지시켜주도록 작용시키고, 혈액과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시키는 작용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마찰 발생용 여과막(503)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들의 응고를 방지시켜주면서 부패되는 현상을 방지시켜주도록 작용한다.
또한, 혈액과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시키는 작용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인체로 부터 채혈한 혈액 또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하고,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충돌하면서 질량과 비중이 비숫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분리되면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한다.
이때,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배출시켜서 인체에 재수혈하거나 재활용한다.
한편,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0.1WT%~3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를 통하여 배출시킨 후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18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 제18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청구항 1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3은 본발명 제 18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사시도 이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기(6000)는 하단부에 배치되는 네개의 회전바퀴(703);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의 좌,우면에 배치되는 좌,우방향 진동바이브레이타(505,506);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혈액이나 물과 액체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에 결합되어 인체로부터 채혈한 혈액 등을 공급하여 주는 혈액 공급장치;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결합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질소 또는 산소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여 주는 기체 주입펌프(917); 하단부 타측에 구비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 타측 상부에 결합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 내부에 모래시계 방식으로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가 구성되어 있는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를 포함한다.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내부에는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과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걸러주는 작용을 발휘하는 마찰 발생용 여과막(503)이 구성된다.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의 내부에는 물질마찰작용과 충격 발생용 요철 돌기(512)가 구성되고,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하단부에는 기체 주입펌프(917)로부터 공급받는 산소 또는 질소와 같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확산시켜주는 공기확산구(918)가 구성된다.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각각의 부분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에 각각 별도로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와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와 기체 주입펌프(917)와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기체 주입펌프(917)에서 질소 또는 산소 또는 수소를 유입시켜 주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의 응고를 방지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의 전체 높이에 대한 길이의 구성비율은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를 구성하는 가로 방향의 넓이와 세로 방향 넓이 대비 100%~10000%보다도 더 큰 1m~10m의 높이로 구성된다.
좌,우방향 진동바이브레이타(505,506)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의 좌,우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와 마찰 발생용 여과막(503)을 좌,우방향으로 진동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자연스럽게 분리되는 물질분리작용을 발생시킨다.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끝단부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에서 정화되는 혈액을 공급받아 인체 또는 동물들에게 수혈하여 주는 혈액 공급 파이프와 결합되는 주사기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는 좌,우방향 진동바이브레이타(505,506)와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내부에 질소 또는 산소를 연속적으로 주입하여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들의 응고를 방지시켜 주면서 부패되는 현상을 방지시켜줌과 동시에 혈액과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시키는 작용을 발생시킨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는 마찰 발생용 여과막(503)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내부으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들의 응고를 방지시켜주면서 부패되는 현상을 방지시켜주도록 작용시킴과 동시에 혈액과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시키는 작용을 발생시키고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인체로부터 채혈한 혈액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한다.
이를 통해,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충돌하면서 질량과 비중이 비숫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분리되면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한다.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배출시켜서 인체에 재수혈하거나 재활용한다.
한편,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0.1WT%~30WT%는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를 통하여 혈액을 배출시킨후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 가공하는 자연친화적으로 혈액을 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형태는 매우 다향한 모양으로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모양이나 형태를 달리 구성하여 오염된 혈액을 가공하도록 구성한 것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19 실시 예]
다음 본 발명 제 19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청구항 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4는 본 발명 제 19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 이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는 ㄷ자 형태로 전면은 오픈된 형태로 구성되며 높이는 1m~60m의 높이로 구성되는 가이드 함체(857)의 내부에 물질마찰작용과 물질충돌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숙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1m~60m의 높이로 함체 형태로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는 그 내부에서 물질마찰작용과 물질충돌작용과 물질폭발 작용을 활발히 발휘하도록 작용시켜주면서 여과 기능을 발휘시켜주는 여과기 겸용 마찰부재(856); 전,후면과 좌,우면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가 상,하 작동을 할 때에 발생되는 마찰열의 발생을 방지시켜주는 마찰방지용 로울러(851);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상측에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를 상,하 방향으로 운동시켜주는 회전축연결구(855); 가이드 함체(857)의 타측에 구비되는 모타와 같은 회전체(852); 회전체(852)의 일측에 구비되어 중앙은 ∪자형태로 구성되는 일측과 타측에는 ㅡ자 형태로 회전봉(853); 회전축연결구(855)에 연결되어 ∪자형태로 구성되는 회전봉(853);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구비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를 포함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하단부 타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하단부로 모여 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일측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가 결합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타측 상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가 결합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는 그 하단부에 공기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여 주는 기체주입펌프(917); 기체주입펌프(917)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공기와 같은 기체를 분출시켜주는 공기확산구(918)를 포함한다.
회전봉(853)은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중앙에 구성되는 회전축연결구(855)와 결합되어 회전체(852)가 회전시켜주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를 상,하 작동시켜주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내부에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회전체(852)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를 상,하 작동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여과기 겸용 마찰부재(856)와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충돌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발생시킴과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한다.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질량과 비중이 비슷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분리되면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할 때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외부로 배출시켜서 재사용하거나 재활용한다.
한편,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0.1WT%~3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를 통하여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시킨후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여과기 겸용 마찰부재(856)를 구성하는 방법은 매우 광범위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내부에 구성하는 여과기 겸용 마찰부재(856)를 구성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이 여과기 겸용 마찰부재(856)와 접촉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촉매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발생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무거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가 분리되도록 여과기 겸용 마찰부재(856)를 구성하는 설계 변경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 20 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 제 20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청구항 2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5는 본 발명 제 21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 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는 직사각형의 함체 형태로 구성되며 높이는 1m~60m 정도의 높이로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는 고정대(580); 고정대(580)에 결합되는 모타와 같은 회전수단(581); 회전수단(581)에 구성되는 회전축에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 결합되는 회전타격봉(582); 고정대(580)에 결합되는 진동 바이브레이타(583);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구비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하단부 타측에 구비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일측에 구비되어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어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하단부를 통하여 공기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여 주는 기체주입펌프(917);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하단부에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분출시켜주는 공기확산구(918)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는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내부에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내부에 주입함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내부에 회전수단(581)과 결합되어 있는 회전타격봉(582)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시킴과 동시에 고정대(580)과 결합되어 있는 진동 바이브레이타(583)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함과 동시에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질량과 비중이 비슷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분리되면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한다.
이 때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외부로 배출시켜서 재사용하거나 재활용한다.
한편,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0.1WT%~3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를 통하여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시킨 후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 21 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 제21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청구항 2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6은 본 발명 제 21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단면 사시도 로써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는 일측과 타측을 가로 질러 구성되는 회전축((596)과 결합되어 ∪ 자 형태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596); 지지 프레임(596)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네개의 회전바퀴(703); 지지 프레임(596)의 하단부 중앙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회전축(596)에 구비되어 기체 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통과시켜주는 통공구(591); 회전축(596)의 일측에 구비되어 물이나 바닷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체 유입구(592); 타측에 구비되어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기체 등을 유입시켜주는 기체주입구(593); 회전축(596)의 외부에 구비되어 뉘운 형태로 회전타격봉(590); 회전축(596)의 타측에 구비되는 종동 폴리(592)를 포함한다. 종동 폴리(592)는 모타와 같은 회전수단(595)과 결합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의 함체는 회전축(596)을 기점으로 하여 구비되어 가로 뉘운 형태로 구성된다.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하단부 타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 및 저층수 취수구(936)와 결합되는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가 배치된다.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일측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가 결합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타측 상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가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유체 유입구(592)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내부에 오염된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바닷물이나 민물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켜줌과 동시에 타측에 구성되어 있는 기체주입구(593)를 통하여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기체등을 연속적으로 유입시키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타측에 구성되어 있는 회전수단(595)을 이용하는 동시에 회전축(596)과 결합되어 있는 회전타격봉(590)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된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함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된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질량과 비중이 비숫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분리되면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한다.
이 때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외부로 배출시켜서 재사용하거나 재활용한다.
한편,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0.1WT%~3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를 통하여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시킨 후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제시한다.
[제22 실시예]
상기 물질분자 분리기(30000)는 기초좌대(992)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의 고무타이어 등으로 구성되는 이동수단(991)이 구성되고;
이동수단(991)의 상부에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가 직립형태로 구성되고;
기초좌대(992)의 상단부에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흔들어 주도록 작용을 발휘하도록 바이브레터(990)가 구성되며;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하단부 일측에는 공기를 뿜어주는 공기 분사 타격장치(1102)가 공기 발생장치(1007)와 결합되는 공기파이프(1008)와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하단부 타 측 내부에 원형파이프 또는 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싸이폰 발생용 파이프(9930)를 대각선 형태로 구성시키고 ;
싸이폰 발생용 파이프(9930)의 상부는 L자 형태로 구성되는 저층수 배출파이프(9931)를 이용하여 싸이폰 발생용 파이프(9930)의 상단부와 연결하여 결합한 후 하단부 가로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파이프(9931)의 일단부에 배출량 조절밸브(9932)를 결합하여 구성시키는 저층수 배출시스템의 구조;
상기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중간에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주는 회전타격장치(2001)를 다수개 구성하여 주고;
회전타격장치(2001)의 일측에는 종동 폴리(2102)를 각각 구성하여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상단부 또는 일 측에 구성되는 회전모타(6102)와 결합 되는 구동폴리(6102)와 회전벨트로 결합 됨과 함께;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상단부 일측에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으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걸러주는 여과막(9820)이 여과막 지지대(9821)와 결합되고;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상측 상부에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입구(1300)가 유입조절밸브(1301)와 결합 되어 구성되는 구조;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상단부 타측에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 주는 오염물질분자 배출구(1112)를 조절밸브(1113)와 결합하여 구성시키고;
상기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하단부 타측에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 주는 하단부 배출구(101)를 하단 배출량 조절밸브(102)를 결합하여 구성시킴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유입구(1300)를 통하여 오염된 빗물과 오염된 하천수 또는 바닷물 또는 우유 또는 술이나 음료 또는 일반적인 민물을 구성하고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1차 유체성 물질분자 처리장(3700)으로 유입시킨후 1차 유체성 물질분자 처리장(3700)에 구성되어 있는 회전타격장치(2001)와 공기 발생장치(1007)와 바이브레터(990)를 가동하여 오염된 빗물과 오염된 하천수 또는 바닷물 또는 우유 또는 술이나 음료 또는 일반적인 민물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이들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오염된 빗물과 오염된 하천수 또는 바닷물 또는 우유 또는 술이나 음료 또는 일반적인 민물을 구성하고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구성하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과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질분자들을 분리시켜서 상기 1차 유체성 물질분자 처리장(3700)의 상단부로 부상시키는 작용을 연속적으로 시행함과 함께;
이러한 가공과정을 수행할 때에 싸이폰 발생용 파이프(9930)와 결합 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파이프(9931)의 일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932)를 조절하여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하단부로 이동되는 빗물 또는 하천수 또는 바닷물 또는 우유 또는 술이나 음료 또는 일반적인 민물을 구성하고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유입량 100Wt%대비 95Wt%~99.9Wt% 정도만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파이프(9931)를 통하여 외부 배출시킬 때에 비중의 차이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상단부로 부상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 0.1Wt%~5WT%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오염물질분자 배출구(1112)로 배출시켜서 수거하거나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를 이용하여 오염된 빗물과 오염된 하천수 또는 바닷물 또는 우유 또는 술이나 음료 또는 혈액이나 식초와 장류 같은 유체성 조미식품 또는 일반적인 민물을 구성하고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들 속에 함유된 비중이 가벼운 각종 오염물질들 제거하여 수집하거나 수집된 물질분자들을 재사용하거나 또 다른 물질들과 혼합하여 에너지로 사용하거나 깨끗한 유체성 물질분자로 가공하거나 정화하도록 작용하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하여 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분리공법에 적용되는 자연친화적인 물질분자분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저렴한 비용으로 오염된 빗물이나 오염된 하천수 또는 바닷물, 우유, 술, 음료, 일반적인 민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깨끗한 물질분자로 정화시켜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친환경 공법을 적용할 곳은 매우 다양하다.
또한, 혈액을 채취한 후 오염된 혈액을 깨끗하게 정화시켜 주도록 작용하는 본 발명의 친환경 공법의 시장은 매우 넓다 할 것이다.
또한, 약품 투입 없이도 오염된 민물을 깨끗한 수돗물로 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을 공법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시장은 무궁무진하다 할 것이다.
200,300,1000,1500: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1502: 기초 좌판 1513: 후면판

Claims (27)

  1.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회전바퀴와 결합되는 기초좌판의 상부에 구성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는 네개의 회전바퀴(1503)와 결합되는 기초좌판(1502); 기초좌판(1502) 상에 배치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펌핑하는 동시에 액체 유입구(1509)와 결합되는 제1 펌프(1516); 기초좌판(1502) 상에 배치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 등을 펌핑하여 주는 동시에 공기 유입구(1510)와 결합되는 제2 펌프(1515); 기초좌판(1502)의 중앙에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기초좌대 프레임(1517); 기초좌대 프레임(1517)의 일측과 타측에 대향되게 구성되는 ㄷ형 결합대(1519); 기초좌대 프레임(1517)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바이브레이타(1585); ㄷ형 결합대(1519)의 전면부에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전면판(1518); ㄷ형 결합대(1519)에 구성되어 있는 후면 결합구(1556)와 후면판(1513)에 구성되어 있는 후면판 결합구(1533)를 볼트로 결합하는 후면판(1513); 하단 공기 분출구(1555)의 전면부 하단부분에 배치되며 제2 펌프(1515)에 발생시킨 공기 또는 매연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파이프 결합구(1553); 공기 주입파이프 결합구(1553)를 통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 등을 주입하는 공기 주입파이프(1506); 제1 펌프(1516)와 연결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물과 같은 액체로 구성되어 있는 다양한 액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키는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파이프(1508);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파이프(1508)에 연결되며 상단배출구(1501)의 하측에 연통되는 원뿔형 분출봉(1520); 전면판(1518)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마찰봉(1530); 후면판(1513)에 배치되는 마찰판(1550);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는,
    액체 유입구(1509), 제1 펌프(1516) 및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파이프(1508)와 연결되는 원뿔형 분출봉(1520)을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키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전면판(1518)에 구성되는 마찰봉(1530)과 후면판(1513)에 구성되는 마찰판(1550), 타격봉(1551), 타격홈(1552)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가공하는 과정을 통해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자동분리되도록 가공하며,
    기초좌판(1502)에 구성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타(1585)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가공함과 동시에 공기 유입구(1510), 제2 펌프(1515), 공기 주입파이프(1506)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내부로 고압의 압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가공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 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 WT% 내지 90 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1558)와 결합된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와 배출펌프(150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중력 작용과 질량과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저층수 취수구(1558)로 배출되지 못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상단부로 부상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은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배출구(1501)로 분리 배출시킨 후 수집하여 사용하거나 재가공하게 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민물, 바닷물, 술, 우유, 음료와 같은 기호식품 등을 가공할 때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로 유입되는 유입총량 100 WT% 대비 0.01 WT% 내지10 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의 상부 타측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배출구(1501)로 배출되도록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의 크기를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파이프(1508)의 크기보다도 0.01% ~ 10% 정도 더 작은 크기로 구성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를 복수의 단계를 통해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제1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와 제2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에 구성되어 있는 액체 유입구(1509)를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각각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에서 배출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복수의 개소로 구성되는 각각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에 구성되어 있는 액체 유입구(1509)로 이송하고,
    각각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500)에 구성되어 있는 원뿔형 분출봉(1520)을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여러차례 반복적으로 재투입 및 재가공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성 물질분자들과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별도로 추출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4.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회전바퀴와 결합되는 기초좌판의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는, 중앙 하단부에 배치되는 바이브레이타(107); 하단부 상부에 구비되는 하단판(121); 하단판(121)의 상부에는 구성되는 공기확산구(122); 공기 확산구(122)의 상단부에서 내부로 공기를 확산시켜주는 공기 분출구(113);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공기 펌프(116)를 포함하고, 공기 펌프(116)와 공기 확산구(122)의 사이에는 공기를 이송시켜주는 공기 공급 파이프(115)가 결합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공급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타측에는 그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106)가 구비된 저층수 배출파이프(103)가 배출펌프(105)와 결합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상단부 일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로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구(111)가 조절밸브(112)와 결합되어 구성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상부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던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상단 배출구(110)가 구비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는 그 타측과 일측에 파이프 형태로 다수개 구성되는 회전축(101)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회전축(101)은 회전축 하우징(100)과 결합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며,.
    회전축(101)의 내부에는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킨는 유입홀(103)이 결합되고 회전축(101)의 끝 단부에는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확산시켜서 공급하여 주는 확산 공급구(119)와 결합되는 마찰판(102)이 구비되고, 마찰판(102)의 일단부에는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출하여 주는 분출구(118)와 마찰날개(117)가 결합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는, 다수의 회전축(101)과 결합된 유입홀(103)과 분출구(118)를 통하여 고압의 압력으로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회전축(101)과 결합되어 있는 마찰판(102)과 마찰날개(1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 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오염물질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분리 가공하고,
    기초좌판(109)에 구성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타(10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가공함과 동시에 공기 펌프(116)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에 고압의 압력으로 공기를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로 유입되는 기체 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가공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구(111)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내부로 민물, 바닷물, 술, 우유, 음료, 혈액을 연속적으로 유입시켜서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가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유입총량 100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106)와 결합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파이프(133)와 배출펌프(105)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외부로 배출하고,
    중력의 작용, 질량과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저층수 취수구(106)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상단부로 부상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배출구(110)로 분리 배출시킨 후 수집하여 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5.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회전바퀴와 결합되는 기초좌판의 상부에 구성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는, 중앙 하단부에 배치되는 바이브레이타(107), 하단부에 배치되는 하단판(211), 하단판(211)의 상단부 상에서 중간판(206)을 결합하여 조성된 물질분자 분리칸(205),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일측 상부에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내부로 유입시켜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공급 파이프(207)와 연결되어 결합되는 원뿔형 분출봉(1520)을 포함하고.
    물질분자 분리칸(205)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중력의 작용과 질량과 비중의 작용을 이용하여 비중의 차이 별로 분리시켜주는 중간판(206)을 결합한다. 중간판(206)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자유롭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다수개의 장공이 형성되고,
    중간판(206)의 상부에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걸러 주도록 여과막(203)을 구성하며
    원뿔형 분출봉(152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내부로 고압의 압력을 분출시켜 주도록 다수개의 고압분출구(1521)가 결합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타측면에는 물질분자 분리칸(205)의 하단부로 모아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배출파이프(201)가 ∩자 형태로 결합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내부 끝단부에는 저층수 취수구(202)가 결합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타측면 상부에는 중력의 작용과 비중의 차이와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상부로 부상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주는 상단배출구(209)가 배출량 조절밸브(210)와 결합되어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내부로 원뿔형 분출봉(1520)을 통하여 고압의 압력으로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유입총량 대비 100wt%를 주입시킴과 동시에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타(1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를 진동시켜줌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배출구(209)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210)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총량 대비 100wt% 중에서 0.01wt%~10wt% 정도만 상단배출구(209)로 배출되도록 배출량 조절밸브(210)를 조절하여 배출시킨후 처리하거나 별도로 수집한 후 재사용하고,
    중력의 작용과 질량과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상단배출구(209)로 배출되지 못하고 물질분자 분리칸(205)으로 모아지는 비중이 무거운 90wt%~99.99wt%의 유체성 물질분자들은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물질분자 분리기(200)와 결합된 저층수 취수구(202)와 저층수 배출파이프(201)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의 외부로 자동 배출시켜서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6.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회전바퀴와 결합되는 기초좌판의 상부에 구성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는,
    장방형의 기초 판재(312),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내부로 유입시켜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공급 파이프(305)와 연결되어 결합되는 원뿔형 분출봉(1520), 원뿔형 분출봉(1520)의 하단부 외주면 상에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내부에 고압의 압력으로 분출시켜주는 다수개의 고압분출구(1521)를 포함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타측 상부에는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상부로 부상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외불 배출하여 주는 상단 배출구(302)가 배출량 조절밸브(303)와 결합되어 구성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하단부 타측에는 중력의 작용과 질량의 차이와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외부로 배출하여주는 저층수 배출파이프(307)가 ∩자 형태로 결합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내부 끝단부에는 저층수 배출파이프(307)와 연결 구성되는 저층수 취수구(308)가 결합되며,
    기초 판재(312)의 타단부에는 저층수 배출파이프(307)와 결합되는 저수탱크(301)가 결합되고, 저수탱크(301)의 일단부에는 하단 고압펌프(312)와 결합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는,
    복수개를 단계적으로 연결 설치한 후 후방 측에 배치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하단 제1 배출파이프(310)를 전방 측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 공급 파이프(305)와 연결구성한 후 하단 고압펌프(312)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내부에 오염된 민물 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투입한 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제1 하단 배출파이프(310)와 결합되어 있는 제1 하단배출량 조절밸브(316)를 조절하여 1단계 유체성 물질분리기(3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총량 100wt% 대비 90wt%~99.99wt%정도를 제1 하단 배출파이프(310)로 배출시킨 후 배출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전방 측의 유체성 물질분리기(30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 공급 파이프(305)로 이송시킨후 물질분자 공급 파이프(305)와 결합되어 있는 원뿔형 분출봉(1520)에 구성되어 있는 고압분출구(1521)를 통하여 고압의 압력으로 후속하는 유체성 물질분리기(300)의 내부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공급하여 분사하는 연속적인 가공과정을 수행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는 그 몸체 형상을 직사각형의 함체 형태로 구성하여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처리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8.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는,
    중앙 하단부 상에 구성되는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하단부 상부에는 구비되는 하단판(121), 하단판(12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122), 그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기체 주입펌프(720), 기체주입펌프(7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720)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 기체주입펌프(720)와 공기 확산구(122)의 사이에는 구비되어 공기를 이송시켜주는 공기 공급 파이프(115), 그 일측에 배치되어 유체성 물질분자를 회전시켜서 충돌시키는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을 발휘하도록 나선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정회전 고정타격봉(710); 그 내부 타측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회전체(701)와 결합되는 회전타격판(708); 상기 회전타격판(708)에 유체성 물질분자를 회전시켜서 충돌시키는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을 발휘하도록 나선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회전타격봉(709)을 포함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타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711)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712)와 1자 형태로 구비되고,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712)의 상부에는 함체 형태로 2차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통(729)이 구비되고, 2차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통(729)의 상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제2 배출파이프(717)가 제2 배출 조절밸브(719)와 결합하며,
    2차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통(729)의 일측에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 주는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가 배출량 조절밸브(715)와 결합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상단부 일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내부로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체성물질분자 유입 파이프(716)가 조절밸브(112)와 결합되어 구성되고, 유체성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끝단부에는 유체성물질분자 확산구(718)가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720)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는 그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함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에 다수개 구성된 회전타격판(708)과 결합되어 있는 회전탁격봉(709)을 회전시켜서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 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충돌하면서 질량과 비중이 비슷한 물질분자끼리 분리되도록 가공하고,
    이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711)와 결합되어 있는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712)와 2차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통(729)과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과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715)를 조절하여 배출시키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9.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는, 중앙 하단부에 배치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하단 상부에 구비되는 하단판(121); 하단판(12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122);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720); 기체주입펌프(720)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720)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를 포함하고,
    기체주입펌프(720)와 공기 확산구(122)의 사이에는 공기를 이송시켜주는 공기 공급 파이프(115)가 결합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공급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타측에는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711)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712)와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가 ∩자 형태로 구성되며,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712)의 상부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752)가 구비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7000)의 상단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 주는 상단 배출구(755)를 배출량 조절밸브(753)와 결합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 파이프(738)의 상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수집하는 1차 물질분자 분리통(739)를 구성시킨 후, 1차 물질분자 분리통(739)의 타측에는 싸이폰 상승 파이프(735)를 구성시키고, 싸이폰 상승 파이프(735)의 일측에는 개폐가 가능한 함체 형태로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를 구성하며,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는, 그 하단부 네 방향 상에 구비되는 이동용 바퀴겸용 탄성체(736);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하단부에 진동을 발생시켜주는 진동바이브레타(737);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주입펌프(732); 주입펌프(732)의 후면부와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상부로 부상하는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등을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내부로 다시 유입시켜주는 연결 파이프(758);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하단부 바닥부분에 주입펌프(732)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분사하여 주는 공기확산구(757);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상부 타측에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내부로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공급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주입파이프(73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싸이폰 상승 파이프(735)를 통과한 물 또는 바닷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1차 물질분자 분리통(739)과 결합되어 있는 1차 배출량 조절밸브(756)를 조절함에 의해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를 통하여 1차 물질분자 분리통(739)으로 유입된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총량 100wt% 대비 0.01wt%~10wt%를 1차배출 파이프(750)를 통하여 배출시킨 후 별도로 수집하여 사용하거나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제1 물질분자 저장고(8000)로 재유입시켜서 재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소금 50wt%~95wt%와 물 5wt%~50wt%를 희석하여 액상 소금물을 제조하고,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내부에 미리 준비한 액상 소금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한 후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제2 하단 배출파이프(315),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30), 상기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 저층수 배출파이프(201) 또는 저층수 배출파이프(133)를 통하여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로 유입되는 액상 소금물 유입총량 100wt% 대비 90wt%~99.99wt%를 배출시켜서 수집하여 사용하거나 재가공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고,
    비중, 질량,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제2 하단 배출파이프(315),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13), 싸이폰 하강배출파이프(730), 저층수 배출파이프(1505), 저층수 배출파이프(201), 저층수 배출파이프(133)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 분자 0.01wt%~1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단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킨후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11.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는 네개의 회전바퀴(703); 상부 일측에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 일측에 진동 흡수용 고무패드(981)와 결합되어 있는 초음파 진동기(980); 중앙 하단부에 배치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일측 하부에는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 상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를 포함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는 그 타측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91)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28)와 ㅅ자 형태로 구비되며,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28)의 상부 일측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715)가 결합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타측 상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가 결합되고,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함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초음파 진동기(980)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가공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91)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28)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715)를 조절하여 배출시킨 후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28)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0.1WT%~30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를 통하여 배출시킨 후 수집하여 재사용하거나 재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12.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는,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중앙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타측에는 그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01)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02);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02)의 하단부 일측에 배출량을 조절하며 힌지축(905)과 결합되는 배출량 조절밸브(903); 타측 상부에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10);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10)의 하단부 상에 거품 형태로 배출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로 변형시켜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보관함(911)을 포함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하단부 중간중간에는 충격을 흡수하여 주는 충격흡수재와 결합되는 초음파 타격기(986)가 지지축(987)과 결합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를 진동시키고,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초음파 진동기(986)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가공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01)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02)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03)를 조절하여 배출시키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13.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는,
    그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결합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중앙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하단부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포함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중간에 역삼각형의 형태로 층층으로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구(935,948,949,955);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구(935,948,949,955)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각각의 배출구(957,959,946,932); 각각의 배출구(957,959,946,932)에 구성되는 각각의 조절밸브(933,947,960,958); 층층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구(935,948,949,955)의 일측에 구비되어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가벼운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 주는 잉여물질분자 배출구(937,939,941,943); 각각의 잉여물질분자 배출구(937,939,941,943)에 구성되어 배출량을 조절하여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8,940,942,945)가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3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배출시키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14.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는,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결합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중앙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 하단부 타측에 배치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01)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02);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하단부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포함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는 그 내부에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전기 분해하여 주는 -전극봉(1005)과 + 전극 봉(1006)이 전기 분해 장치(1007)와 결합되어 각각 구성되며,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는, 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하고,
    전기분해장치(1007)를 이용하여 -전극봉(1005)와 +전극봉(1006)에 전기를 흐르게 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무릴분자들을 분해내는 작용을 발생시키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회전체(1001)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회전축(1003)과 결합되어 있는 대각선 경사 타격봉(1002)을 이용하여 소용돌이와 회오리바람을 발생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믹서하면서 분쇄시키거나 타격하여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충돌하면서 질량과 비중이 비숫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98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01)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02)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715)를 조절하여 배출시켜서 재활용하거나 재사용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15.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는 하단부 함체(833); 하단부 함체(833)의 상단부 방향으로 ∧자 형태로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의 상단부 방향으로 ∨자 형태로 넓어지도록 구성되는 상단부 함체(835);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의 상부에 구비되는 마찰 발생용 여과막(832); 상단부 함체(835)의 상단부 일측에 오염된 공기 또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여 주는 다수개의 기체 주입용 파이프(830); 기체 주입용 파이프(830)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기체분출구(837);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결합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하단부함체(833)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가로 구조물 지지대(825)와 결합되어 있는 좌우방향 진동기(826); 하단부함체(833)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가로 구조물 지지대(827)와 결합되어 있는 상하 방향 진동기(828);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중앙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를 포함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와 전후 방향 진동기(820,829)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하단부함체(833)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좌우방향 진동기(826)와 상하 방향 진동기(828)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가공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10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배출시키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16.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는 하단부 함체(838) 및 하단부 함체(838)가 배치되는 네개의 회전바퀴(703), 하단부 함체(838)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회전식 나선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의 하단부 내부에 구비되는 마찰 발생용 여과막(839);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의 중간 하단부 내부에 구비되어 물질마찰작용과 물질충격 작용을 발생시켜주는 작용을 발휘하도록 마찰 발생용 요철홈(841); 상단부 회전나선형 함체(827)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구비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하단부 함체(838)의 중앙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하단부 함체(838)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918); 기체주입펌프(917)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매연을 기체공기펌프(917)로 주입시켜주는 공기 주입구(728)를 포함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는, 하단부함체(838)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회전체(821); 회전축(821)에 구비되는 회전마찰판(836); 회전마찰판(836)에 구비되어 불특정 방향과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어 구성되는 회전마찰봉(823)을 포함하고, 회전마찰봉(823)은 나선형의 나사 형태로 회전돌기가 구성되고, 회전마찰봉(823)의 상부에는 하단부함체(838)의 내부로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켜주는 고압 분사구(996)가 유입파이프(997)와 결합되며,
    하단부함체(838)의 일측과 타측에는 - 자석 봉(840)과 + 자석봉(839)이 구성되어 하단부함체(838)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에게 자력을 접촉시키는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마찰 발생용 여과막(839)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내부으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가공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고압의 압력으로 연속 유입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함과 동시에 - 자석 봉(840)과 + 자석봉(839)에 자력을 입력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에 포함된 금속성분들을 분리해내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20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배출시키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17.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는, 네개의 회전바퀴(703) 상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며 상단부는 하광 상협의 형태로 구성되는 하단부 함체(510); 하단부 함체(5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단부는 상과 하협의 형태이면서 상단부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는 상단부 함체(508);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와 상단부 함체(508)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질마찰작용과 충격 발생용 요철 돌기(512); 하단부 함체(5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찰 발생용 여과막(503); 하단부 함체(510)의 좌,우면에는 구비되는 좌,우방향 진동바이브레이타(505,506); 상단부 함체(508)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혈액이나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포함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는, 하단부 함체(51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질소 또는 산소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여 주는 기체 주입펌프(917); 기체 주입펌프(917)의 일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공기확산구(918)를 포함하고, 기체 주입펌프(917)는 질소 또는 산소 또는 수소를 유입시켜주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는, 좌,우방향 진동바이브레이타(505,506)와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에 질소 또는 산소를 연속적으로 주입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들의 응고를 방지시켜주면서 부패되는 현상을 방지시켜주도록 작용시키고, 혈액과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시키는 작용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마찰 발생용 여과막(503)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들의 응고를 방지시켜주면서 부패되는 현상을 방지시켜주도록 작용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0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배출시켜서 인체에 재수혈하거나 재활용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18.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기(6000)는, 하단부에 배치되는 네개의 회전바퀴(703);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의 좌,우면에 배치되는 좌,우방향 진동바이브레이타(505,506);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혈액이나 물과 액체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에 결합되어 인체로부터 채혈한 혈액 등을 공급하여 주는 혈액 공급장치;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결합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질소 또는 산소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여 주는 기체 주입펌프(917); 하단부 타측에 구비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일측에 결합되어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 타측 상부에 결합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 내부에 모래시계 방식으로 중력 가속도 발생용 여과구(831)가 구성되어 있는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를 포함하고,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내부에는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과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걸러주는 작용을 발휘하는 마찰 발생용 여과막(503)이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6000)는, 좌,우방향 진동바이브레이타(505,506)와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가동하여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진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내부에 질소 또는 산소를 연속적으로 주입하여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내부로 유입되는 혈액들의 응고를 방지시켜 주면서 부패되는 현상을 방지시켜줌과 동시에 혈액과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시키는 작용을 발생시키고,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착탈식 혈액 가공기(6002)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배출시켜서 인체에 재수혈하거나 재활용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19.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는,
    내부에서 물질마찰작용과 물질충돌작용과 물질폭발 작용을 활발히 발휘하도록 작용시켜주면서 여과 기능을 발휘시켜주는 여과기 겸용 마찰부재(856); 전,후면과 좌,우면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가 상,하 작동을 할 때에 발생되는 마찰열의 발생을 방지시켜주는 마찰방지용 로울러(851);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상측에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를 상,하 방향으로 운동시켜주는 회전축연결구(855); 가이드 함체(857)의 타측에 구비되는 모타와 같은 회전체(852); 회전체(852)의 일측에 구비되어 중앙은 ∪자형태로 구성되는 일측과 타측에는 ㅡ자 형태로 회전봉(853); 회전축연결구(855)에 연결되어 ∪자형태로 구성되는 회전봉(853);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구비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를 포함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하단부 타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하단부로 모여 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일측에는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가 결합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타측 상부에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가 결합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내부에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회전체(852)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를 상,하 작동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여과기 겸용 마찰부재(856)와 유체성 물질분자들이 충돌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발생시킴과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하고,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질량과 비중이 비슷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분리되면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할 때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8500)의 외부로 배출시켜서 재사용하거나 재활용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20.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는,
    고정대(580); 고정대(580)에 결합되는 모타와 같은 회전수단(581); 회전수단(581)에 구성되는 회전축에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 결합되는 회전타격봉(582); 고정대(580)에 결합되는 진동 바이브레이타(583);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구비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하단부 타측에 구비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일측에 구비되어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어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하단부를 통하여 공기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여 주는 기체주입펌프(917);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하단부에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분출시켜주는 공기확산구(918)를 포함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는, 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내부에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내부에 주입함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내부에 회전수단(581)과 결합되어 있는 회전타격봉(582)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시킴과 동시에 고정대(580)과 결합되어 있는 진동 바이브레이타(583)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함과 동시에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질량과 비중이 비슷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분리되면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외부로 배출시켜서 재사용하거나 재활용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21.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는,고정대(580); 고정대(580)에 결합되는 모타와 같은 회전수단(581); 회전수단(581)에 구성되는 회전축에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 결합되는 회전타격봉(582); 고정대(580)에 결합되는 진동 바이브레이타(583);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물과 액체 등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내부로 주입하여 주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의 중간에 구비되어 유입량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밸브(916); 하단부 타측에 구비되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의 일측에 구비되어 배출량을 조절하여 주는 배출량 조절밸브(931);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어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잉여 물질분자 배출파이프(927);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하단부를 통하여 공기와 같은 기체를 주입하여 주는 기체주입펌프(917);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하단부에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분출시켜주는 공기확산구(918)를 포함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는,상부에 구성되어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 유입파이프(716)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내부에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기체주입펌프(917)를 이용하여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내부에 주입함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내부에 회전수단(581)과 결합되어 있는 회전타격봉(582)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시킴과 동시에 고정대(580)과 결합되어 있는 진동 바이브레이타(583)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시켜서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이 분리되도록 가공함과 동시에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질량과 비중이 비슷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분리되면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800)의 외부로 배출시켜서 재사용하거나 재활용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22. 회전타격기, 공기분사 타격장치, 진동타격장치를 이용하여 민물, 바닷물, 술, 우유, 혈액,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기체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자연친화적으로 분리 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어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는,
    일측과 타측을 가로 질러 구성되는 회전축((596)과 결합되어 ∪ 자 형태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596); 지지 프레임(596)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네개의 회전바퀴(703); 지지 프레임(596)의 하단부 중앙에 구비되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 회전축(596)에 구비되어 기체 또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통과시켜주는 통공구(591); 회전축(596)의 일측에 구비되어 물이나 바닷물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체 유입구(592); 타측에 구비되어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기체 등을 유입시켜주는 기체주입구(593); 회전축(596)의 외부에 구비되어 뉘운 형태로 회전타격봉(590); 회전축(596)의 타측에 구비되는 종동 폴리(592)를 포함하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하단부 타측에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하단부로 모여지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주는 저층수 취수구(936) 및 저층수 취수구(936)와 결합되는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가 배치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측면에 구성되어 있는 유체 유입구(592)를 통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내부에 오염된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바닷물이나 민물들을 연속적으로 유입시켜줌과 동시에 타측에 구성되어 있는 기체주입구(593)를 통하여 신선한 공기 또는 오염된 기체등을 연속적으로 유입시키고,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타측에 구성되어 있는 회전수단(595)을 이용하는 동시에 회전축(596)과 결합되어 있는 회전타격봉(590)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된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함과 동시에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상,하방향 진동 바이브레이타(707)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된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충돌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질량과 비중이 비숫한 물질분자끼리 자연스럽게 상층부와 하층부로 분리되면서 이동이 되도록 가공하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총량 100WT% 대비 중력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비중과 질량의 차이에 의해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하단부로 이동하는 비중이 무거운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 70WT%~99.99WT%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일측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취수구(936)와 상승 싸이폰 흡입파이프(93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31)를 조절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5900)의 외부로 배출시켜서 재사용하거나 재활용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23.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로 유입되는 기체성 물질분자의 온도를 0도~ - 30도 정도 낮은 온도로 가공하여 만든 기체성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켜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력 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24.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가공할 때에 사용되는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구성할 때에 자력이 발생되지 않은 비철금속으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구성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혈액을 채혈한 후 재가공하여 깨끗한 혈액으로 만들어서 인체에 재 수혈함과 동시에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25.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가공할 때에 사용되는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구성할 때에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의 내부에 - 자석봉(530)과 + 자석봉(531)을 상,하로 각각 구성하여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가공하는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를 특징으로하는 혈액을 채혈한 후 재가공하여 깨끗한 혈액으로 만들어서 인체에 재 수혈함과 동시에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26.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에 구성되는 회전 타격 수단을 구성할 때에 1차 구성되는 회전타격 수단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으로 구성하고 2차 구성되는 회전타격 수단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3차 구성되는 회전타격 수단을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4차 구성되는 회전수단의 회전방향으로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5차 구성되는 회전수단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6차 구성되는 회전방향으로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7차 구성되는 회전수단의 회전방향으로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8차 구성되는 회전수단의 회전방향으로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9차 구성되는 회전수단의 회전방향으로 정방향으로 회전 되도록 구성하고 10차 구성되는 회전 수단의 회전방향으로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27. 상기 물질분자 분리기(30000)는 기초좌대(992)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의 고무타이어 등으로 구성되는 이동수단(991)이 구성되고;
    이동수단(991)의 상부에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가 직립형태로 구성되고;
    기초좌대(992)의 상단부에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흔들어 주도록 작용을 발휘하도록 바이브레터(990)가 구성되며;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하단부 일측에는 공기를 뿜어주는 공기 분사 타격장치(1102)가 공기 발생장치(1007)와 결합되는 공기파이프(1008)와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하단부 타 측 내부에 원형파이프 또는 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싸이폰 발생용 파이프(9930)를 대각선 형태로 구성시키고 ;
    싸이폰 발생용 파이프(9930)의 상부는 L자 형태로 구성되는 저층수 배출파이프(9931)를 이용하여 싸이폰 발생용 파이프(9930)의 상단부와 연결하여 결합한 후 하단부 가로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파이프(9931)의 일단부에 배출량 조절밸브(9932)를 결합하여 구성시키는 저층수 배출시스템의 구조;
    상기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중간에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주는 회전타격장치(2001)를 다수개 구성하여 주고;
    회전타격장치(2001)의 일측에는 종동 폴리(2102)를 각각 구성하여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상단부 또는 일 측에 구성되는 회전모타(6102)와 결합 되는 구동폴리(6102)와 회전벨트로 결합 됨과 함께;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상단부 일측에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으로 유입되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걸러주는 여과막(9820)이 여과막 지지대(9821)와 결합되고;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상측 상부에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유입시켜주는 유입구(1300)가 유입조절밸브(1301)와 결합 되어 구성되는 구조;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상단부 타측에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 주는 오염물질분자 배출구(1112)를 조절밸브(1113)와 결합하여 구성시키고;
    상기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하단부 타측에는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배출하여 주는 하단부 배출구(101)를 하단 배출량 조절밸브(102)를 결합하여 구성시킴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유입구(1300)를 통하여 오염된 빗물과 오염된 하천수 또는 바닷물 또는 우유 또는 술이나 음료 또는 일반적인 민물을 구성하고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1차 유체성 물질분자 처리장(3700)으로 유입시킨후 1차 유체성 물질분자 처리장(3700)에 구성되어 있는 회전타격장치(2001)와 공기 발생장치(1007)와 바이브레터(990)를 가동하여 오염된 빗물과 오염된 하천수 또는 바닷물 또는 우유 또는 술이나 음료 또는 일반적인 민물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이들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물질분자들을 타격하여 오염된 빗물과 오염된 하천수 또는 바닷물 또는 우유 또는 술이나 음료 또는 일반적인 민물을 구성하고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구성하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과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질분자들을 분리시켜서 상기 1차 유체성 물질분자 처리장(3700)의 상단부로 부상시키는 작용을 연속적으로 시행함과 함께;
    이러한 가공과정을 수행할 때에 싸이폰 발생용 파이프(9930)와 결합 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파이프(9931)의 일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밸브(9932)를 조절하여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하단부로 이동되는 빗물 또는 하천수 또는 바닷물 또는 우유 또는 술이나 음료 또는 일반적인 민물을 구성하고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들의 유입량 100Wt%대비 95Wt%~99.9Wt% 정도만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파이프(9931)를 통하여 외부 배출시킬 때에 비중의 차이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상단부로 부상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 0.1Wt%~5WT%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오염물질분자 배출구(1112)로 배출시켜서 수거하거나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0)를 이용하여 오염된 빗물과 오염된 하천수 또는 바닷물 또는 우유 또는 술이나 음료 또는 혈액이나 식초와 장류 같은 유체성 조미식품 또는 일반적인 민물을 구성하고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들 속에 함유된 비중이 가벼운 각종 오염물질들 제거하여 수집하거나 수집된 물질분자들을 재사용하거나 또 다른 물질들과 혼합하여 에너지로 사용하거나 깨끗한 유체성 물질분자로 가공하거나 정화하도록 작용하는 물질분자 분리기(3000)를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하여 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분리공법에 적용되는 자연친화적인 물질분자분리기
KR1020160046642A 2016-04-17 2016-04-17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49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642A KR20160049517A (ko) 2016-04-17 2016-04-17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물질분자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642A KR20160049517A (ko) 2016-04-17 2016-04-17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물질분자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517A true KR20160049517A (ko) 2016-05-09

Family

ID=5602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642A KR20160049517A (ko) 2016-04-17 2016-04-17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물질분자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95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670A (ko) * 2020-05-06 2021-11-16 한상관 음식물 쓰레기에 섞여 있는 미량의 소금 성분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분리 추출하여 깨끗하게 자연 정화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정수기 겸용 물질분자분리기 및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물질분자 분리가공 공법
KR102367548B1 (ko) * 2021-09-09 2022-02-25 한상관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여 추출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물질분자 분리기
CN115990375A (zh) * 2023-02-23 2023-04-21 安徽瑞柏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防堵塞功能的醋酸甲酯生产用废水处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670A (ko) * 2020-05-06 2021-11-16 한상관 음식물 쓰레기에 섞여 있는 미량의 소금 성분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질분자들을 분리 추출하여 깨끗하게 자연 정화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정수기 겸용 물질분자분리기 및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물질분자 분리가공 공법
KR102367548B1 (ko) * 2021-09-09 2022-02-25 한상관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여 추출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물질분자 분리기
CN115990375A (zh) * 2023-02-23 2023-04-21 安徽瑞柏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防堵塞功能的醋酸甲酯生产用废水处理装置
CN115990375B (zh) * 2023-02-23 2023-08-29 安徽瑞柏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防堵塞功能的醋酸甲酯生产用废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0906A (ko)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102105794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ES2636459T3 (es) Procedimiento para acondicionamiento y concentración de microalgas
US6299735B1 (en) Method for solid-liquid separation in water-based solutions
KR102209197B1 (ko) 음식물 쓰레기에 섞여 있는 미량의 소금 성분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광물성 물질 또는 오염된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 추출하여 깨끗하게 자연 정화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물질분자 분리가공 친환경공법 및 여기에 적용되는 정수기 겸용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물질분자 분리가공기
KR20160049517A (ko)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물질분자 분리기
CN107922226A (zh) 微纳米气泡和羟基自由基生成器以及使用所述生成器在没有化学品的情况下处理被污染的水的系统
KR101461658B1 (ko) 초음파 파동 추출기를 이용하여 유효성분 추출 및 수 분산화 기능을 향상시킨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WO2009116711A2 (en) Apparatus of generating microbubbles
CN103298750A (zh) 含油废水处理系统
JP2011062669A (ja) 飲料用水、飲料用水の利用方法、飲料用水の精製方法、及び、飲料用水生成装置
KR20150102889A (ko) 사람이 음용하는 모든 종류의 유체성 물질분자에 함유된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 가공하는 인체에 이로운 유체성 물질분자로 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CN106102857B (zh) 处理液体污泥的方法和设备以及利用这种方法获得的污泥饼
KR20160023748A (ko) 중력 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50130949A (ko) 비중과 질량과 중력의 작용과 물질충돌작용을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유체성 물질분자와 기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된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물질분자들을 물질분자분리기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물질분자분리기
KR20160040152A (ko) 비중과 질량에 따라 작용하는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50088214A (ko) 오염된 빗물과 초기우수와 바닷물과 우유와 술과 혈액이나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식초와 장류 같은 유체성 조미식품 또는 일반적인 민물을 구성하고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모든 결합 물질분자들과 부유물질들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화하거나 유체성 물질분자에서 추출한 오염물질분자들을 다른 물질들과 혼합하여 재사용하거나 깨끗하게 정화하여 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2459139B1 (ko) 바닷물이나 오염된 물 또는 오염된 공기 또는 오염된 광물성 물질 또는 오염된 유체성 물질분자들과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 추출하여 깨끗하게 자연 정화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물질분자 분리가공 친환경공법 및 여기에 적용되는 정수기 겸용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물질분자 분리가공기
KR20150116431A (ko) 모든 종류의 유체성 물질분자에 함유된 비중이 가벼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 가공하여 인체에 이로운 유체성 물질분자로 재 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60013220A (ko)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58735A (ko) 기체성 물질분자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60014A (ko) 오염된 기체성 물질분자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30494A (ko) 혈액을 채혈한 후 재가공하여 깨끗한 혈액으로 만들어서 인체에 재 수혈함과 동시에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27962A (ko)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50087162A (ko) 오염된 빗물과 초기우수와 바닷물과 우유와 술과 혈액이나 유체성 기호식품 또는 식초와 장류 같은 유체성 조미식품 또는 일반적인 민물을 구성하고 있는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모든 결합 물질분자들과 부유물질들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깨끗하게 정화하거나 유체성 물질분자에서 추출한 오염물질분자들을 다른 물질들과 혼합하여 재사용하거나 깨끗하게 정화하여 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