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92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929A
KR20160047929A KR1020140144487A KR20140144487A KR20160047929A KR 20160047929 A KR20160047929 A KR 20160047929A KR 1020140144487 A KR1020140144487 A KR 1020140144487A KR 20140144487 A KR20140144487 A KR 20140144487A KR 20160047929 A KR20160047929 A KR 20160047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vent
events
uicc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4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7929A/ko
Publication of KR20160047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1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는 단말이 모니터 해야 할 복수개의 이벤트가 포함되는 단계;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이벤트를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이벤트 중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가 있는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해서 셋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METHOD FOR PERFORMING USIM APPLICATION TOOLKI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 USER EQUIPMENT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USAT 수행 중 오류를 방지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그룹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eNode B; 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44, 3,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 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 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또는 액세스 장치에 있는 전송 장비는 셀(cell)이라고 하는 지리적 영역 에 걸쳐 신호를 전송한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보다 진보된 장비가 도입되었다. 이 진보된 장비는, 예를 들어,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B (eNB), 기지국 또는 기타 시스템 및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보된 또는 차세대 장비는 종종 LTE (long-term evolution, 롱텀 에볼루션) 장비라고 하며, 이러한 장비를 사용하는 패킷 기반 네트워크는 종종 EPS(evolved packet system, 진화된 패킷 시스템)라고 할 수 있다. 액세스 장치는 통신 시스템 내의 다른 구성요소에 액세스할 수 있는, UE(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 또는 ME(mobile equipment, 이동 장비) 등의 UA(user agent, 사용자 에이전트)를 제공할 수 있는 종래의 기지국 또는 LTE eNB(Evolved Node B, 진화된 노드 B) 등의 임의의 구성요소이다.
E-UTRAN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장치는 하나 이상의 UA로의 무선 액세스를 제공한다. 액세스 장치 는 액세스 장치와 통신하는 모든 UA 간에 상향링크(UL) 및 하향링크(DL)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패킷 스케줄러를 포함한다. 스케줄러의 기능은, 그 중에서도 특히, 이용가능한 공중 인터페이스 용량을 UA 간에 분할하는 것, 각각의 UA의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자원(예컨대, 부반송파 주파수 및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 및 패킷 할당 및 시스템 부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스케줄러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 및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물리 계층 자원을 할당하고, 스케줄링 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UA로 송신한다. UA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의 타이밍, 주파수, 데이터 블록 크기, 변조 및 코딩을 위해 스케줄링 정보를 참조한다.
특정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범용 직접 회로 카드)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ISIM(IMS(IP(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SIM), 및 USIM(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SIM)]이 ME(mobile equipment)에 의해 제어되는 IMS(Internet Protocol (IP) multimedia subsystem)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예컨대, 3GPP TS 22.101을 참조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도 2는 UICC 애플리케이션이 피어를 세션에 초대하는 동작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UICC-IMS간 채널
설정 동작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UICC-IMS간 통신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 ISIM(IMS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존재하는 경우 IMS UICC 사용자 개시 등록이 수행된다.
현재 스펙에 있는 USAT 과정을 따르면, UICC가 셋팅하기를 원하는 EVENT 중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ENT가 있는 경우, UICC가 원하는 모든 EVENT를 셋팅하지 않고, 응답 메시지를 보내고 있어, UICC는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ENT에 대해서 정확히 알 수가 없어서, 동일한 EVENT들을 셋팅하도록 보내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다 보면, 처리 시간이 길어지거나, 적절한 EVENT를 셋팅하지 못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 수행 시 오류를 줄이는 제어 방법을 제안하는 USAT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에 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는 단말이 모니터 해야 할 복수개의 이벤트가 포함되는 단계;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이벤트를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이벤트 중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가 있는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해서 셋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RF, Radio Frequency) 모듈; 및 상기 무선 주파수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는 단말이 모니터 해야 할 복수개의 이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이벤트를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복수개의 이벤트 중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가 있는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해서 셋팅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해서 셋팅에 성공했다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이벤트 중 단말이 지원할 수 없는 이벤트가 있는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만 설정하고, 지원할 수 없는 이벤트에 대해서는 리스트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지원할 수 없는 이벤트에 대해서 셋팅하지 않았다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2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커맨드 메시지는 상기 리스트를 반영하여 상기 단말이 모니터 해야 할 제2 복수개의 이벤트가 포함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를 통해 셋팅된 이벤트와 상기 제2 복수개의 이벤트가 상이한 경우, 제2 복수개의 이벤트로 셋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EVENT 세팅 요청 중에서, 단말이 지원하지 않은 EVENT에 대한 셋팅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제외하고 지원하는 EVENT만을 셋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셋팅 미처리로 인한 처리 지연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UICC가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ENT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어, 후추 EVENT 셋팅 시 이를 참고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셋팅 오류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의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나타낸다.
도 2 는 UICC가 피어를 세션에 초대하는 동작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UICC와 IMS 채널 설정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IMS 데이터 전송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 은 USAT 처리 과정에서의 단말이 지원하는 EVENT에 대한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가 있는 경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0 은 USAT 처리 과정에서의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ENT에 대한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가 있는 경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는 단말이 USAT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UICC 및 단말을 예시한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서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 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안테나 포트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 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 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 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 2 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 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 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ed)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eNB)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1.4, 3,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ETSI TS 102 223 스펙에 따르면, SET UP EVENT LIST 처리 과정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SET UP EVENT LIST
UICC 는 단말의 특정 EVENT 세트의 적용을 위해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를 이용한다. 이러한 EVENT 세트는 해당 단말이 모니터 해야 할 EVENT 목록을 의미한다.
2차적으로 전송되는 “SET UP EVENT LIST” command는 1차적으로 전송된 “SET UP EVENT LIST” command 내에 적용되고 있었던 현재 EVENT 리스트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SET UP EVENT LIST” command는 단말 내에 적용되고 있었던 현재 EVENT 리스트를 제거할 수도 있다. 단말의 전원이 꺼지거나, UICC가 제거되거나, reset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전송된 “SET UP EVENT LIST” command에서 UICC에 의해 제공된 EVENT 리스트들은 제거되어야 한다.
SET UP EVENT LIST는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at00001
EVNET 리스트가 ‘0’ 데이터 (null data object: i.e. length=’00’ 및 no value part) 인 경우에는, 단말로 하여금 단말 내에 존재하는 EVENT 리스트를 제거하라는 지시로 볼 수 있다.
각각의 EVENT 리스트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리스트 내의 각각의 byte가 EVENT가 무엇인지 정의한다. 각각의 EVENT 타입은 리스트 내의 하나 이상 표시되지 않는다. EVENT 리스트 코딩은 다음과 같다.
● '00' = MT call;
● '01' = Call connected;
● '02' = Call disconnected;
● '03' = Location status;
● '04' = User activity;
● '05' = Idle screen available;
● '06' = Card reader status;
● '07' = Language selection;
● '08' = Browser termination;
● '09' = Data available;
● '0A' = Channel status;
● '0B' = Access Technology Change (single access technology);
● '0C' = Display parameters changed;
● '0D' = Local connection;
● '0E' = Network Search Mode Change;
● '0F' = Browsing status;
● '10' = Frames Information Change;
● '11' = reserved for 3GPP (I-WLAN Access Status);
● '12' = reserved for 3GPP (Network Rejection);
● '13' = HCI connectivity event;
● '14' = Access Technology Change (multiple access technologies);
● '15' = reserved for 3GPP (CSG cell selection);
● '16' = Contactless state request;
● '17' = reserved for 3GPP (IMS Registration);
● '18' = reserved for 3GPP (IMS Incoming data);
● '19' = Profile Container;
● '1A' = Void.
TERMINAL RESPONSE
단말이 성공적으로 command를 받아드리거나, EVENT 리스트를 제거하게 되면, 단말은 “TERMINAL RESPONSE (OK)”를 UICC에게 보낼 수 있다.
반면, 단말이 성공적으로 command를 받아드리지 않았거나, EVENT 리스트를 제거하지 않은 경우, 단말은 “TERMINAL RESPONSE (Command beyond terminal’s capability)”를 UICC에게 보낼 수 있다.
TERMINAL RESPONSE 에 대한 command 파라미터/데이터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pat00002
어떠한 일이 있어도 UICC는 TERMINAL RESPONSE를 무기한으로 기다리게 해서는 안된다.
RESULT
단말은 UICC의 command에 대한 result의 코딩은 다음과 같다.
● '00' = Command performed successfully;
● '01' = Command performed with partial comprehension;
● '02' = Command performed, with missing information;
● '03' = REFRESH performed with additional EFs read;
● '04' = Command performed successfully, but requested icon could not be displayed;
● '05' = Command performed, but modified by call control by NAA;
● '06' = Command performed successfully, limited service;
● '07' = Command performed with modification;
● '08' = REFRESH performed but indicated NAA was not active;
● '09' = Command performed successfully, tone not played;
● '10' = Proactive UICC session terminated by the user;
● '11' = Backward move in the proactive UICC session requested by the user;
● '12' = No response from user;
● '13' = Help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 '14' = reserved for GSM/3G.
● Results '0X' and '1X' indicate that the command has been performed:
● '20' = terminal currently unable to process command;
● '21' = Network currently unable to process command;
● '22' = User did not accept the proactive command;
● '23' = User cleared down call before connection or network release;
● '24' = Action in contradiction with the current timer state;
● '25' = Interaction with call control by NAA, temporary problem;
● '26' = Launch browser generic error code;
● '27' = MMS temporary problem.
● Results '2X' indicate to the UICC that it may be worth re-trying the command at a later opportunity:
● '30' = Command beyond terminal's capabilities;
● '31' = Command type not understood by terminal;
● '32' = Command data not understood by terminal;
● '33' = Command number not known by terminal;
● '34' = reserved for GSM/3G;
● '35' = reserved for GSM/3G;
● '36' = Error, required values are missing;
● '37' = reserved for GSM/3G;
● '38' = MultipleCard commands error;
● '39' = Interaction with call control by NAA, permanent problem;
● '3A' = Bearer Independent Protocol error;
● '3B' = Access Technology unable to process command;
● '3C' = Frames error;
● '3D' = MMS Error.
도 6 내지 도 8 은 USAT 처리 과정에서의 단말이 지원하는 EVENT에 대한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가 있는 경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EVENT 세팅 과정을, 도 7 은 EVENT 교체 과정을, 도 8은 EVENT 제거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에 따르면, 처음에 단말에는 아무런 EVENT가 설정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S601). 단말은 MT call (00), Call Conneted (01), Location Status (03), Access Technology Change (0B)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가정한다).
단말은 UICC로부터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를 수신한다 (S603). SET UP EVENT LIST 의 EVENT 리스트는 03, 0B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단말은 UICC가 모니터하기 원하는 EVENT들이 자신이 지원을 하는 EVENT들인지 확인 후 Event List를 셋팅을 수행한다 (S605).
가정에서 단말은 03과 0B를 지원한다고 했으므로, 정상적으로 해당 Event 리스트를 셋팅할 수 있다. 셋팅 후, UICC로 정상적으로 셋팅 되었음을 알리는 Result (‘00’: Command performed successfully)를 포함한 Terminal response를 전송을 한다 (S607).
도 7은 도 6에 이어 진행한다고 가정한다.
도 7에 따르면, 도 6에 의해서, 단말은 03과 0B EVENT가 기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S701). 03과 0B EVENT가 기 설정된 단말은 UICC로부터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를 수신한다 (S703). UICC가 Monitor하기 원하는 EVENT들이 이미 셋팅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 셋팅 되어 있는 EVENT들을 변경하기 위하여 새로운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를 전송하는 것이다.
S703 command에는 00, 01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단말은 UICC가 모니터하기 원하는 EVENT들이 자신이 지원을 하는 EVENT들인지 확인 후 EVENT 리스트를 셋팅을 수행한다 (S705).
상술한 가정에서 가정에서 단말은 00, 01를 지원한다고 했으므로, 기 셋팅된 EVENT 대신에 새로운 EVNET 리스트를 셋팅할 수 있다. 셋팅 후, UICC로 정상적으로 셋팅 되었음을 알리는 Result (‘00’: Command performed successfully)를 포함한 Terminal response를 전송을 한다 (S707).
도 8은 도 7에 이어 진행한다고 가정한다.
도 8에 따르면, 도 7에 의해서, 단말은 00과 01 EVENT가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S801). UICC가 모니터하기 원하는 EVENT들이 이미 셋팅이 되어 있는 경우에 기 셋팅 되어 있는 EVENT들을 삭제하기 위하여 새로운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S803).
이 때,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의 EVENT 리스트 TLV중 Length field는 ‘0’이고, EVENT 리스트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null data).
이 경우, 단말은 EVENT 리스트 TLV의 Length field의 값이 ‘0’임을 확인하고, 기 셋팅 되어 있는 EVENT 리스트를 제거한다 (S805).
이 후, 정상적으로 EVENT 리스트를 제거를 하면, UICC로 정상적으로 EVENT들이 제거되었음을 알리는 Result (‘00’: Command performed successfully)를 포함한 Terminal response를 전송을 한다 (S807).
도 9 내지 도 10 은 USAT 처리 과정에서의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ENT에 대한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가 있는 경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따르면, 처음에 단말에는 아무런 EVENT가 설정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S901). 단말은 MT call (00), Call Conneted (01), Location Status (03), Access Technology Change (0B)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가정한다).
단말은 UICC로부터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를 수신한다 (S903). 이 때, SET UP EVENT LIST 의 EVENT 리스트는 03, 0B, OE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단말은 UICC가 모니터하기 원하는 EVENT들이 자신이 지원을 하는 EVENT들인지 확인한다 (S905).
가정에서 단말은 03과 0B를 지원한다고 했으므로, 0E에 대해서는 단말이 지원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해당 EVENT 리스트를 셋팅하지 않는다 (S907). 이 후, UICC로 단말이 지원하지 않은 EVENT들 임을 알리는 Result (‘30’: Command beyond terminal’s capabilities)를 포함한 Terminal response를 전송을 한다 (S909).
EVENT SETTING 과정뿐만 아니라, EVENT REPLACE 과정 역시 동일하다.
도 10에 따르면, 단말은 03과 0B EVENT가 기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S1001). 03과 0B EVENT가 기 설정된 단말은 UICC로부터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를 수신한다 (S1003). UICC가 Monitor하기 원하는 EVENT들이 이미 셋팅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 셋팅 되어 있는 EVENT들을 변경하기 위하여 새로운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를 전송하는 것이다.
S1003 command에는 00, 01, 0E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단말은 UICC가 모니터하기 원하는 EVENT들이 자신이 지원을 하는 EVENT들인지 확인한다 (S1005).
가정에서 단말은 03과 0B를 지원한다고 했으므로, 0E에 대해서는 단말이 지원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해당 EVENT 리스트로 교체하지 않는다 (S1007). 이 후, UICC로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ENT들 임을 알리는 Result (‘30’: Command beyond terminal’s capabilities)를 포함한 Terminal response를 전송을 한다 (S1009).
도 9 및 도 10과 같이 UICC가 셋팅 하기 원하는 EVNENT들 중 단말이 지원 하지 않는 EVNENT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UICC가 원하는 모든 EVNENT들을 셋팅 하지 않고 Result (‘30’: Command beyond terminal’s capabilities)를 포함한 Terminal response를 전송을 하게 된다.
그러면 UICC 는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ENT들에 대해서 정확히 알 수가 없어서 동일한 EVNENT들을 셋팅 하도록 보내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다 보면, 처리 시간이 길어지거나 EVNENT를 셋팅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 를 이용하여 UICC 가 3가지 (‘03’:Location Status, ‘0B’:Access Technology Change, ‘0E’: Network Search Mode Change) EVENT들을 셋팅 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단말은 UICC card가 셋팅 하기를 원하는 EVENT들 중 1가지(‘0E’: Network Search Mode Change)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Result(‘30’: Command beyond terminal’s capabilities)를 포함한 Terminal response를 UICC로 전송을 하게 되고, EVENT들을 모두 셋팅이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UICC는 단말이 지원을 하지 않는 EVENT들이 무엇인지 알 수 가 없게 된다.
이 후, 또 다시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를 이용하여 UICC card가 2가지(‘03’:Location Status, ‘0E’: Network Search Mode Change) EVENT들을 셋팅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했을 때에도 단말은 (‘0E’: Network Search Mode Change) EVENT를 지원하지 않기에 EVENT들은 셋팅이 되지 않고, Result (‘30’: Command beyond terminal’s capabilities)를 포함한 Terminal response를 UICC 로 전송을 하게 된다.
따라서 UICC 는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ENT들을 알지 못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들을 반복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수단을 제안한다. UICC가 셋팅 하기 원하는 EVENT들 중 단말이 지원 하지 않는 EVENT들이 포함이 되어 있는 경우, UICC가 원하는 모든 EVENT들 중 단말이 지원을 하는 EVENT들은 셋팅을 하고, 지원을 하지 않는 EVENT들은 Result (‘30’: Command beyond terminal’s capabilities) 와 지원하지 않는 EVENT 리스트를 포함한 Terminal response를 전송을 하도록 동작을 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UICC는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ENT들에 대해서 정확히 파악이 가능하고 다음 번 EVENT 리스트를 셋팅 하는 경우,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ENT들을 제외한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는 단말이 USAT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1에 따르면, 처음에 단말에는 아무런 EVENT가 설정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S1101). 단말은 앞선 예제와 같이 MT call (00), Call Conneted (01), Location Status (03), Access Technology Change (0B)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UICC는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 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S1103). UICC가 3가지(‘03’:Location Status, ‘0B’:Access Technology Change, ‘0E’: Network Search Mode Change) EVENT들을 셋팅 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한다.
단말은 UICC가 모니터하기 원하는 EVENT들이 자신이 지원을 하는 EVENT들인지 확인한다 (S1105).
단말은 UICC가 셋팅 하기를 원하는 EVENT들 중 1가지(‘0E’: Network Search Mode Change)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그 EVENT를 제외한 (‘03’:Location Status, ‘0B’:Access Technology Change) EVENT를 셋팅 한다 (S1107).
그 후, Result(‘30’ \: Command beyond terminal’s capabilities) 와 지원하지 않는 EVENT (‘0E’: Network Search Mode Change)를 포함한 Terminal response를 UICC로 전송을 한다 (S1109).
UICC는 Terminal response의 Result와 EVENT 리스트값을 확인하여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ENT들과 현재 셋팅이 된 EVENT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S1111).
이 후, 또 다시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를 이용하여 EVENT를 셋팅 하도록 할 때, UICC는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ENT를 제외한 EVENT들을 셋팅 하도록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S1113). 예를 들어, S1113 단계에서 00, 01 EVENT를 포함한다고 하면, 상술한 가정에서 단말은 00, 01를 지원한다고 했으므로, 기 셋팅된 EVENT 대신에 새로운 EVNET 리스트를 셋팅할 수 있다 (S1115).
셋팅 후, UICC로 정상적으로 셋팅 되었음을 알리는 Result (‘00’: Command performed successfully)를 포함한 Terminal response를 전송을 한다 (S1117).
도 11에 따르면, UICC가 SET UP EVENT LIST Proactive command를 통하여 EVNET 들을 셋팅 할 경우, 셋팅하려는 EVNET 들 중 단 1개의 EVNET라도 단말이 지원을 하지 않는 경우, 모든 EVNET 들이 셋팅 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의 시나리오대로 동작을 한다면 지원을 하지 않는 EVNET 만 셋팅이 되지 않고, 그 외 지원하는 EVNET 들은 셋팅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UICC가 다시 EVNET 를 셋팅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NET 들을 UICC에 Terminal response를 통하여 전달하므로 UICC가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EVNET 들이 무엇인지 파악을 할 수 있게 되면, 추후 EVNET 셋팅 시, 참고하여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UICC 및 단말을 예시한다.
도 12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UICC (1210) 및 사용자 기기(UE, 1220)을 포함한다. UICC (1210) 은 프로세서(1212), 메모리(1214)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121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14)는 프로세서(121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1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216)은 프로세서(121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사용자 기기(1220)은 프로세서(1222), 메모리(1224) 및 RF 유닛(122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2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624)는 프로세서(122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2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226)은 프로세서(122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UICC(1210) 및/또는 사용자 기기(122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210: UICC
1212: 프로세서
1214: 메모리
1416: RF 유닛
1220: 단말
1222: 프로세서
1224: 메모리
1226: RF 유닛

Claims (1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는 단말이 모니터 해야 할 복수개의 이벤트가 포함되는 단계;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이벤트를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이벤트 중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가 있는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해서 셋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해서 셋팅에 성공했다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이벤트 중 단말이 지원할 수 없는 이벤트가 있는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만 설정하고,
    지원할 수 없는 이벤트에 대해서는 리스트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지원할 수 없는 이벤트에 대해서 셋팅하지 않았다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제2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커맨드 메시지는 상기 리스트를 반영하여 상기 단말이 모니터 해야 할 제2 복수개의 이벤트가 포함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를 통해 셋팅된 이벤트와 상기 제2 복수개의 이벤트가 상이한 경우, 제2 복수개의 이벤트로 셋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RF, Radio Frequency) 모듈; 및
    상기 무선 주파수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는 단말이 모니터 해야 할 복수개의 이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이벤트를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복수개의 이벤트 중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가 있는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해서 셋팅하는,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해서 셋팅에 성공했다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이벤트 중 단말이 지원할 수 없는 이벤트가 있는 경우,
    지원할 수 있는 이벤트만 설정하고, 지원할 수 없는 이벤트에 대해서는 리스트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원할 수 없는 이벤트에 대해서 셋팅하지 않았다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커맨드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커맨드 메시지는 상기 리스트를 반영하여 상기 단말이 모니터 해야 할 제2 복수개의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맨드 메시지를 통해 셋팅된 이벤트와 상기 제2 복수개의 이벤트가 상이한 경우, 제2 복수개의 이벤트로 셋팅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단말.
KR1020140144487A 2014-10-23 2014-10-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KR20160047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87A KR20160047929A (ko) 2014-10-23 2014-10-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87A KR20160047929A (ko) 2014-10-23 2014-10-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929A true KR20160047929A (ko) 2016-05-03

Family

ID=5602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487A KR20160047929A (ko) 2014-10-23 2014-10-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79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15102A (zh) * 2022-10-31 2023-04-0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USAT特性更新方法、eUICC、终端、设备及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15102A (zh) * 2022-10-31 2023-04-0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USAT特性更新方法、eUICC、终端、设备及介质
CN115915102B (zh) * 2022-10-31 2024-03-2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USAT特性更新方法、eUICC、终端、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4084B2 (en) Method for registering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81250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EDT
CN110663284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服务请求过程的方法和设备
CN109964509B (zh) 在无线通信系统中选择网络节点的方法及其设备
US11160134B2 (en) Method for performing RRC connection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7433488B2 (ja)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通知エリア(rna)更新の拒否時の構成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0741658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报告用户设备的位置信息的方法和装置
KR102165454B1 (ko)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및 기지국과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
KR101901953B1 (ko) 보고 수신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그리고 보고 수행 방법 및 기지국
US9295088B2 (en) RRC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296837B2 (ja) マルチモード端末機でローミング中に通信サービスを制限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09644388B (zh) 使用中继ue的接入控制的方法及其装置
CN114051745A (zh) 5g网络中的双sim ue操作的系统和方法
US20220264697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network
KR201600479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sat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KR101783613B1 (ko) 멀티 모드 단말기에서 로밍 중 통신 서비스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