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912A -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912A
KR20160047912A KR1020140144442A KR20140144442A KR20160047912A KR 20160047912 A KR20160047912 A KR 20160047912A KR 1020140144442 A KR1020140144442 A KR 1020140144442A KR 20140144442 A KR20140144442 A KR 20140144442A KR 20160047912 A KR20160047912 A KR 20160047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z
reading
providing
charact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택
Original Assignee
(주)웅진씽크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웅진씽크빅 filed Critical (주)웅진씽크빅
Priority to KR102014014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7912A/ko
Publication of KR2016004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북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독후 활동으로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 하는 장치에 있어서, 서버가 제공하는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접속부; 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독서 퀴즈에 사용되는 캐릭터를 설정하는 캐릭터 설정부; 회원의 독서 정보를 토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하기 위한 퀴즈 그룹을 선택하는 그룹 선택부; 선택된 퀴즈 그룹에 따른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퀴즈 제공부; 및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DING QUIZ SERVICE}
본 발명은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전자북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독후 활동으로 배틀 방식의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수업은 다양한 이미지와 소리가 결합 된 멀티미디어 방식을 이용하여 쉽고 재미있게 개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효율을 높이기 위한 온라인 학습지의 경우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해당 사이트에서 문제를 제공받아 푸는 즉시 채점을 받을 수 있고, 틀린 부분은 전화와 이메일 등을 통해 보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문제별 난이도에 의해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을 그래프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라인 상에서 학년별, 교과과정별, 수준별로 수업 및 학습지를 받을 수 있어,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한편, 논술, 심층구술, 면접이 대학입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포함되면서, 독서지도, 글쓰기, 논술 등의 교육이 매우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여 독후감 쓰기, 독서신문 만들기, 독서편지쓰기, 동시 및 생활문 쓰기 등의 다양한 독서 체험활동을 전개하여 사이버 독서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이 밖에도 독서학습 발표회, 독서작품 전시회, 친구 또는 가족과 함께하는 독서활동을 전개하는 등 독서교육에 힘쓰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독서학습관리 시스템은 연령별, 분야별로 독서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가 없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3081호는 "독서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전자북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독후 활동으로 전자북 서비스에 등록된 도서와 관련된 퀴즈 문항을 제공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된 퀴즈 문항에서 총 정답 문항 수를 점수로 환산하여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한 퀴즈 그룹에 속하는 회원들의 순위를 정하여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전자북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독후 활동으로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 하는 장치에 있어서, 서버가 제공하는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접속부; 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독서 퀴즈에 사용되는 캐릭터를 설정하는 캐릭터 설정부; 회원의 독서 정보를 토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하기 위한 퀴즈 그룹을 선택하는 그룹 선택부; 선택된 퀴즈 그룹에 따른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퀴즈 제공부; 및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릭터 설정부는 회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캐릭터의 헤어, 바디, 의상 및 소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 설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룹 선택부는 상기 서버에서 저장된 회원의 독서 정보를 기반으로 독서량, 연령 및 독서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회원들을 분류하여 설정된 다수개의 퀴즈 그룹 중 하나의 퀴즈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원들의 독서 정보는 전자북 서비스 가입시 등록된 회원의 나이, 성별 및 학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및 전자북 서비스를 통해 회원이 읽은 도서의 도서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퀴즈 제공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북 서비스에 등록된 도서와 관련된 퀴즈 문항을 제공하고, 제공된 퀴즈 문항에 따라 회원 각자가 선택한 캐릭터를 답에 해당하는 아이콘으로 이동시켜 답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퀴즈 제공부는 오엑스(OX) 형 또는 다지선다 형으로 퀴즈 문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퀴즈 제공부는 제공된 퀴즈 문항과 관련된 도서를 읽은 회원의 캐릭터에는 해당 도서를 읽지 않은 회원의 캐릭터와 구분되도록 별도로 구분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과 표시부는 제공된 퀴즈 문항별 결과를 각각 표시하되, 오답 문항의 경우 해당 문항의 답과 관련된 도서의 페이지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과 표시부는 총 정답 문항 수를 점수로 환산하여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동일한 독서 퀴즈를 수행한 퀴즈 그룹에 속하는 회원들의 순위를 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독서 퀴즈 결과에 따라 캐릭터의 의상 및 소품을 변경 또는 전자북 서비스의 유료 컨텐츠 이용 시 또는 독서 퀴즈 참가 시 사용되는 포인트를 부여하는 포인트 부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전자북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독후 활동으로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속부를 통해, 서버가 제공하는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캐릭터 설정부를 통해, 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독서 퀴즈에 사용되는 캐릭터를 설정하는 단계; 그룹 선택부를 통해, 회원의 독서 정보를 토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하기 위한 퀴즈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퀴즈 제공부를 통해, 선택된 퀴즈 그룹에 따른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 및 결과 표시부를 통해,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회원의 독서 정보를 토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하기 위한 퀴즈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저장된 회원의 독서 정보를 기반으로 독서량, 연령 및 독서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회원들을 분류하여 설정된 다수개의 퀴즈 그룹 중 하나의 퀴즈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택된 퀴즈 그룹에 따른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북 서비스에 등록된 도서와 관련된 퀴즈 문항을 제공하고, 제공된 퀴즈 문항에 따라 회원 각자가 선택한 캐릭터를 이동시켜 답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택된 퀴즈 그룹에 따른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공된 퀴즈 문항과 관련된 도서를 읽은 회원의 캐릭터에는 해당 도서를 읽지 않은 회원의 캐릭터와 구분되도록 구분별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공된 퀴즈 문항별 결과를 각각 표시하되, 오답 문항의 경우 해당 문항의 답과 관련된 도서의 페이지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총 정답 문항 수를 점수로 환산하여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한 퀴즈 그룹에 속하는 회원들의 순위를 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독서 퀴즈 결과에 따라 캐릭터의 의상 및 소품을 변경 또는 전자북 서비스의 유료 컨텐츠 이용 시 또는 독서 퀴즈 참가 시 사용되는 포인트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전자북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독후 활동으로 전자북 서비스에 등록된 도서와 관련된 독서 퀴즈를 제공함으로써, 독서 후 해당 도서의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된 퀴즈 문항에서 총 정답 문항 수를 점수로 환산하여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한 퀴즈 그룹에 속하는 회원들의 순위를 정하여 표시하는 배틀 방식의 독서 퀴즈를 제공함으로써, 독후 활동의 흥미를 고취시켜 독서태도에 긍정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독서 퀴즈에 사용되는 캐릭터를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회원들을 퀴즈 그룹별로 분류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퀴즈 문항과 관련된 도서를 읽은 회원의 캐릭터에는 해당 도서를 읽지 않은 회원의 캐릭터와 구분되도록 별도로 구분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출력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은 전자북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독후 활동으로 독서 퀴즈 서비스를 위한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10)와 서버(10)가 제공하는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10)는 전자북 서비스에 가입된 회원의 나이, 성별 및 학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및 전자북 서비스를 통해 회원이 읽은 도서의 도서 코드를 포함하는 도서 정보를 수집하고, 전자북 서비스에 등록된 도서와 관련된 퀴즈 문항을 구성하여 다수개의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제공한다. 또한, 서버(10)는 저장된 회원들의 독서 정보를 기반으로, 독서량, 연령 및 독서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회원들을 분류하여 다수개의 퀴즈 그룹을 생성하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비슷한 수준의 회원들끼리 그룹화하여 동일한 독서 퀴즈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100)는 서버(10)와 통신하며 전자북 서비스 및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할 수 있는 회원들이 각자 소지한 개인용 컴퓨터(PC), 개인휴대단말기(PDA), 전자북 머신(eBOOK machine) 및 무선 단말기(mobile phone)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수개의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100)가 서버(10)에 접속하게 되면, 전자북 서비스에 가입된 회원들은 배틀 방식으로 독서 퀴즈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100)는 크게 접속부(110), 캐릭터 설정부(120), 그룹 선택부(130), 퀴즈 제공부(140), 결과 표시부(150) 및 포인트 부여부(160)를 포함한다.
접속부(110)는 서버가 제공하는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과의 접속을 수행한다.
접속부(110)는 미리 다운로드 된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회원으로부터 기 설정된 회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로그인 한다.
캐릭터 설정부(120)는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에 회원들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독서 퀴즈에 사용되는 캐릭터를 설정한다.
캐릭터 설정부(120)는 회원의 선택에 따라 캐릭터의 헤어, 바디, 의상 및 소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설정하여 표시한다.
그룹 선택부(130)는 회원의 독서 정보를 토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하기 위한 퀴즈 그룹을 선택한다.
그룹 선택부(130)는 서버에서 저장된 회원의 독서 정보를 기반으로 독서량, 연령 및 독서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회원들을 분류하여 설정된 다수개의 퀴즈 그룹 중 하나의 퀴즈 그룹을 선택한다. 이때, 회원들의 독서 정보는 전자북 서비스 가입시 등록된 회원의 나이, 성별 및 학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및 전자북 서비스를 통해 회원이 읽은 도서의 도서 코드인 것으로 한다.
퀴즈 제공부(140)는 선택된 퀴즈 그룹에 따른 독서 퀴즈를 제공한다. 즉, 퀴즈 제공부(140)는 동일한 퀴즈 그룹에 속한 회원들에게 동일한 독서 퀴즈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퀴즈 제공부(140)는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북 서비스에 등록된 도서와 관련된 퀴즈 문항을 제공하고, 제공된 퀴즈 문항에 따라 회원 각자가 선택한 캐릭터를 답에 해당하는 아이콘으로 이동시켜 답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독서 퀴즈를 제공한다.
퀴즈 제공부(140)는 오엑스(OX) 형 또는 다지선다 형으로 퀴즈 문항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오엑스(OX) 형의 퀴즈 문항을 제공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퀴즈 제공부(140)는 제공된 퀴즈 문항과 관련된 도서를 읽은 회원의 캐릭터에는 해당 도서를 읽지 않은 회원의 캐릭터와 구분되도록 별도로 구분표시한다.
결과 표시부(150)는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한다.
결과 표시부(150)는 제공된 퀴즈 문항별 결과를 각각 표시하되, 오답 문항의 경우 해당 문항의 답과 관련된 도서의 페이지를 표시하여 준다.
그리고 결과 표시부(150)는 총 정답 문항 수를 점수로 환산하여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한 퀴즈 그룹에 속하는 회원들의 순위를 정하여 표시한다.
포인트 부여부(160)는 독서 퀴즈 결과에 따라 캐릭터의 의상 및 소품을 변경 또는 전자북 서비스의 유료 컨텐츠 이용 시 또는 독서 퀴즈 참가 시 사용되는 포인트를 부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독서 퀴즈에 사용되는 캐릭터를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회원들을 퀴즈 그룹별로 분류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퀴즈 문항과 관련된 도서를 읽은 회원의 캐릭터에는 해당 도서를 읽지 않은 회원의 캐릭터와 구분되도록 별도로 구분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접속부에 의해, 서버가 제공하는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과의 접속을 수행한다(S100).
S100 단계는, 미리 다운로드 된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시킨 후 회원으로부터 기 설정된 회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로그인 한다.
다음, 캐릭터 설정부에 의해,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에 회원들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독서 퀴즈에 사용되는 캐릭터를 설정한다(S200).
S200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의 선택에 따라 캐릭터의 헤어, 바디, 의상 및 소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 그룹 선택부에 의해, 회원의 독서 정보를 토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하기 위한 퀴즈 그룹을 선택한다(S300).
S300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에서 저장된 회원의 독서 정보를 기반으로 독서량, 연령 및 독서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회원들을 분류하여 설정된 다수개의 퀴즈 그룹 중 하나의 퀴즈 그룹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원들의 독서 정보는 전자북 서비스 가입시 등록된 회원의 나이, 성별 및 학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및 전자북 서비스를 통해 회원이 읽은 도서의 도서 코드인 것으로 한다.
다음, 퀴즈 제공부에 의해, 선택된 퀴즈 그룹에 따른 독서 퀴즈를 제공한다(S400).
S400 단계는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북 서비스에 등록된 도서와 관련된 퀴즈 문항을 퀴즈 그룹별로 다르게 제공하고, 제공된 퀴즈 문항에 따라 회원 각자가 선택한 캐릭터를 답에 해당하는 아이콘으로 이동시켜 답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독서 퀴즈를 제공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퀴즈 문항이 제공되면 회원은 정해진 시간 내에 본인이 선택한 캐릭터를 답에 해당하는 하단의 오(O) 또는 엑스(X) 구역으로 옮기면 된다. 이때, 제공된 퀴즈 문항과 관련된 도서를 읽은 회원의 캐릭터에는 해당 도서를 읽지 않은 회원의 캐릭터와 구분되도록 별도로 구분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느낌표(!)로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 기호, 네모 모형과 같은 다양한 기호 또는 모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릭터에 구분표시하는 이유는 해당 도서를 읽지 않은 회원이 해당 도서를 읽은 회원 캐릭터 즉, 구분표시가 된 캐릭터의 이동을 참조하여 정답을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정답 확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다음, 결과 표시부에 의해,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한다(S500).
S500 단계는 제공된 퀴즈 문항별 결과를 각각 표시하되, 오답 문항의 경우 해당 문항의 답과 관련된 도서의 페이지를 표시하여 주거나 해당 페이지를 링크 표시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S500 단계는 총 정답 문항 수를 점수로 환산하여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한 퀴즈 그룹에 속하는 회원들의 순위를 정하여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포인트 부여부에 의해, 독서 퀴즈 결과에 따라 캐릭터의 의상 및 소품을 변경 또는 전자북 서비스의 유료 컨텐츠 이용 시 또는 독서 퀴즈 참가 시 사용되는 포인트를 부여한다(S600).
S600 단계는 회원들의 순위 또는 점수에 따라 포인트를 차등으로 부여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전자북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독후 활동으로 전자북 서비스에 등록된 도서와 관련된 퀴즈 퀴즈를 제공함으로써, 독서 후 해당 도서의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공된 퀴즈 문항에서 총 정답 문항 수를 점수로 환산하여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한 퀴즈 그룹에 속하는 회원들의 순위를 정하여 표시하는 배틀 방식의 독서 퀴즈를 제공함으로써, 독후 활동의 흥미를 고취시켜 독서태도에 긍정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10 : 접속부
120 : 캐릭터 설정부
130 : 그룹 선택부
140 : 퀴즈 제공부
150 : 결과 표시부
160 : 포인트 부여부

Claims (17)

  1. 전자북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독후 활동으로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 하는 장치에 있어서,
    서버가 제공하는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접속부;
    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독서 퀴즈에 사용되는 캐릭터를 설정하는 캐릭터 설정부;
    회원의 독서 정보를 토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하기 위한 퀴즈 그룹을 선택하는 그룹 선택부;
    선택된 퀴즈 그룹에 따른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퀴즈 제공부; 및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하는 결과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설정부는 회원의 선택 신호에 따라 캐릭터의 헤어, 바디, 의상 및 소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 설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선택부는 상기 서버에서 저장된 회원의 독서 정보를 기반으로 독서량, 연령 및 독서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회원들을 분류하여 설정된 다수개의 퀴즈 그룹 중 하나의 퀴즈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회원들의 독서 정보는 전자북 서비스 가입시 등록된 회원의 나이, 성별 및 학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및 전자북 서비스를 통해 회원이 읽은 도서의 도서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 제공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북 서비스에 등록된 도서와 관련된 퀴즈 문항을 제공하고, 제공된 퀴즈 문항에 따라 회원 각자가 선택한 캐릭터를 답에 해당하는 아이콘으로 이동시켜 답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 제공부는 오엑스(OX) 형 또는 다지선다 형으로 퀴즈 문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 제공부는 제공된 퀴즈 문항과 관련된 도서를 읽은 회원의 캐릭터에는 해당 도서를 읽지 않은 회원의 캐릭터와 구분되도록 별도로 구분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표시부는 제공된 퀴즈 문항별 결과를 각각 표시하되, 오답 문항의 경우 해당 문항의 답과 관련된 도서의 페이지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9. 제1에 있어서,
    상기 결과 표시부는 총 정답 문항 수를 점수로 환산하여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동일한 독서 퀴즈를 수행한 퀴즈 그룹에 속하는 회원들의 순위를 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독서 퀴즈 결과에 따라 캐릭터의 의상 및 소품을 변경 또는 전자북 서비스의 유료 컨텐츠 이용 시 또는 독서 퀴즈 참가 시 사용되는 포인트를 부여하는 포인트 부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1. 전자북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독후 활동으로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속부를 통해, 서버가 제공하는 독서 퀴즈 어플리케이션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캐릭터 설정부를 통해, 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독서 퀴즈에 사용되는 캐릭터를 설정하는 단계;
    그룹 선택부를 통해, 회원의 독서 정보를 토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하기 위한 퀴즈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
    퀴즈 제공부를 통해, 선택된 퀴즈 그룹에 따른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
    결과 표시부를 통해,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회원의 독서 정보를 토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하기 위한 퀴즈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저장된 회원의 독서 정보를 기반으로 독서량, 연령 및 독서장르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회원들을 분류하여 설정된 다수개의 퀴즈 그룹 중 하나의 퀴즈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선택된 퀴즈 그룹에 따른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북 서비스에 등록된 도서와 관련된 퀴즈 문항을 제공하고, 제공된 퀴즈 문항에 따라 회원 각자가 선택한 캐릭터를 이동시켜 답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선택된 퀴즈 그룹에 따른 독서 퀴즈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공된 퀴즈 문항과 관련된 도서를 읽은 회원의 캐릭터에는 해당 도서를 읽지 않은 회원의 캐릭터와 구분되도록 구분별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공된 퀴즈 문항별 결과를 각각 표시하되, 오답 문항의 경우 해당 문항의 답과 관련된 도서의 페이지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제공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총 정답 문항 수를 점수로 환산하여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독서 퀴즈를 수행한 퀴즈 그룹에 속하는 회원들의 순위를 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독서 퀴즈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독서 퀴즈 결과에 따라 캐릭터의 의상 및 소품을 변경 또는 전자북 서비스의 유료 컨텐츠 이용 시 또는 독서 퀴즈 참가 시 사용되는 포인트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40144442A 2014-10-23 2014-10-23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47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42A KR20160047912A (ko) 2014-10-23 2014-10-23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42A KR20160047912A (ko) 2014-10-23 2014-10-23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912A true KR20160047912A (ko) 2016-05-03

Family

ID=5602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442A KR20160047912A (ko) 2014-10-23 2014-10-23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79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608A1 (ko) * 2018-12-11 2020-06-18 이수민 디지털 라이브 북 제작 시스템
KR20240026638A (ko) 2022-08-22 2024-02-29 (주)웅진씽크빅 독후 활동 지원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608A1 (ko) * 2018-12-11 2020-06-18 이수민 디지털 라이브 북 제작 시스템
KR20240026638A (ko) 2022-08-22 2024-02-29 (주)웅진씽크빅 독후 활동 지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ckly et al. Current and future digital trends in ELT
Goodyear et al. Young people and their engagement with health-related social media: New perspectives
Abu-Al-Aish et al.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acceptance of m-learning: An investigation in higher education
Montgomery et al. Guiding the way: Mentoring graduate students and junior faculty for sustainable academic careers
KR101656830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진로 탐색 방법 및 장치
Zielezinski et al. Promising practices: A literature review of technology use by underserved students
Hughes-Roberts et al. Examining the potential impact of digital game making in curricula based teaching: Initial observations
Arango-Lopez et al. Using pervasive games as learning tools in educational contexts: A systematic review
Calvo-Ferrer Exploring digital nativeness as a predictor of digital game-based L2 vocabulary acquisition
Cherrstrom et al. Need tech? Nontraditional student perceptions of educational technology tools
Varanasi et al. Tag a teacher: A qualitative analysis of WhatsApp-based teacher networks in low-income Indian schools
Sattler et al. The learning experience: A literature review of the role of mobile technology
KR101801332B1 (ko) 가이드 타입의 수학 사전 시스템
JP7412012B2 (ja) 個別指導支援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aubenmire et al. Using the chemistry classroom as the starting point for engaging urban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families in pro-environmental behaviors
KR20160047912A (ko) 독서 퀴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22005A (ko)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 및 학습방법
US20140287398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Statistically Assessing Co-Scholastic Skills of a User
Khacharem et al. Which representation is best for communicating dynamic information?
KR102071133B1 (ko) 커뮤니티 기반의 운동예약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Motschnig et al. When Kids are challenged to solve real problems-Case study on transforming learning with interpersonal presence and digital technologies.
de Paula et al. A recommendation system to support the students performance in programming contests
Tran et al. Use of Selected Mobile Devices in Primary Education
Foley et al. Active Parenting Now and Active Parenting of Teens: An evaluation of two neo-Adlerian parenting programs
Ilic The impact of mobile phones on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