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908A -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908A
KR20160044908A KR1020140139987A KR20140139987A KR20160044908A KR 20160044908 A KR20160044908 A KR 20160044908A KR 1020140139987 A KR1020140139987 A KR 1020140139987A KR 20140139987 A KR20140139987 A KR 20140139987A KR 20160044908 A KR20160044908 A KR 20160044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ound
switch
reception sensitivity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4908A/ko
Priority to US14/721,815 priority patent/US20160112070A1/en
Publication of KR20160044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28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between a radiating element and gr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01Q5/371Branching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일면에 배치되는 메인 접지부, 상기 메인 접지부와 제1 스위치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접지 어레이부 및 상기 메인 접지부와 제2 스위치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2 접지 어레이부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안테나 패턴부에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감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접지 어레이부는 상기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배치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ANTENNA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이 2G, 3G에서 4G로 변화됨에 따라 기존 스마트 폰(smart phone)은 2G, 3G 주파수 대역 보다 넓은 다중 대역(multi-band)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스마트 폰에 적용되는 2G, 3G 및 4G 다중 대역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에는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과 안테나 패턴의 부하(load)에 가변 커패시터(variable capacitor)를 적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시프트(shift)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다만, 상기 두 가지 방법은 안테나의 멀티 밴드 공진 주파수 구현 외에 안테나의 방사 특성인 이득과 효율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안테나 패턴은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 점(feeding point) 부분에서 전류의 분포가 집중되어 안테나 방사 특성인 이득과 효율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6065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테나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감도에 따라 안테나 패턴의 접지를 조절하여 안테나의 방사 특성인 이득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일면에 배치되는 메인 접지부, 상기 메인 접지부와 제1 스위치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접지 어레이부 및 상기 메인 접지부와 제2 스위치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2 접지 어레이부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안테나 패턴부에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감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접지 어레이부는 상기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배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어방법은, 안테나 패턴부에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신호의 수신감도와 기준 신호의 수신감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의 메인 접지부와 제1 접지 어레이부 사이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메인 접지부와 제2 접지 어레이부 사이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접지 어레이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배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은, 주변 환경에 따라 최적화된 수신감도를 고려하여 접지를 조절함으로써 이득과 효율을 증가시켜 안테나 방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방사 특성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의 무선 통화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구성 간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안테나 모듈의 구성 중 인쇄 회로 기판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패턴부(100) 및 인쇄 회로 기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부(100)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200)은 메인 접지부(230), 제1 접지 어레이부(211) 및 제2 접지 어레이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접지부(230)와 제1 접지 어레이부(211)는 제1 스위치부(221)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 접지부(230)와 제2 접지 어레이부(212)는 제2 스위치부(22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 접지부(230) 및 제1 접지 어레이부(211)는 인쇄 회로 기판(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접지 어레이부(212)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200)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211)는 안테나 패턴부(100)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지 어레이부(211)는, 복수의 제1 스위치 소자(221b 내지 221d, 도 2)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접지부(211a 내지 211d, 도 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지 어레이부(212)는, 복수의 제1 스위치 소자(222b 내지 222d, 도 3)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접지부(212a 내지 212d, 도 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쇄 회로 기판(200)은 안테나 패턴부(100)에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감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부(221, 22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치부(221)는,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211)와 상기 메인 접지부(230) 사이의 신호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제1 메인 스위치 소자(221a, 도 2)와,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 소자(221b 내지 221d, 도 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치부(222)는, 상기 제2 접지 어레이부(212)와 상기 메인 접지부(230) 사이의 신호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제2 메인 스위치 소자(222a, 도 2)와,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 소자(222b 내지 222d, 도 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200)은 제어부(241), 수신감도 측정부(242) 및 메모리부(243)를 갖는 MCU(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243)는 데이터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등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신호의 수신감도를 저장할 수 있다.
수신감도 측정부(242)는 안테나 패턴부(100)로 제공된 신호의 수신감도 세기(RSSI)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신호의 수신감도를 제어부(241)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신호의 수신감도는 안테나 패턴부(100)에 의해 수신된 외부 신호를 커플링 한 것의 수신감도일 수 있으며, 또는 안테나 패턴부(100)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를 커플링 한 것의 수신감도일 수도 있다.
제어부(241)는 각 구성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수신감도 측정부(242)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감도와 메모리부(243)에 저장된 기준 신호의 수신감도를 비교할 수 있으며, 비교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 제어부(250)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200)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41)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안테나 패턴부(100)로 제공하거나, 안테나 패턴부(100)로 제공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어부(241)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부(100)에서 반사되는 송신 신호를 커플링하여 수신감도 측정부(241)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안테나 패턴부(100)에 제공되는 수신 신호를 커플링하여 수신감도 측정부(241)로 제공할 수도 있다.
스위치 제어부(250)는 제어부(241)로부터 제공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스위치부(221, 22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구성 간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안테나 모듈의 구성 중 인쇄 회로 기판(200)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200)의 일면(200a)에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점(111)이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부(100)는 또한, 상기 급전점(111)과 소정의 거리 이격된 곳에 배치되는 접지점(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부(100)는 급전점(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터브(113)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공받아 인쇄 회로 기판(200)에 인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패턴부(100)는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방사체(110) 및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방사체(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방사체(110, 120)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는 LTE 주파수 대역(5G)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는 2G와 3G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사체(110)는 PIFA(Planar Inverted-F Antenna)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방사체(120)는 급전 구조만 갖는 모노폴 타입(monopole type) 방사체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안테나 패턴부(100)는 출력 임피던스 변화로 인해 안테나 자체의 방사소자 공진 주파수 대역으로 맞추어 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부(2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200)은 일면(200a)에 메인 접지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접지부(230)와 제1 접지 어레이부(211)는 제1 메인 스위치 소자(221a)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접지 어레이부(211)는 복수의 제1 접지부(211a 내지 211d)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제1 접지부(211a, 도 2)가 제1 메인 스위치 소자(221a)를 통해 메인 접지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제1 접지부(211b 내지 211d)는 서로 복수의 제1 스위치 소자(221b 내지 221d)를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도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서는 복수의 제1 접지부(211a 내지 211d)가 4개의 제1 접지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제1 접지부의 수는 제1 방사체(11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접지부의 수에 따라 제1 스위치 소자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접지 어레이부(212)는 인쇄 회로 기판(200)의 일면(200a)에 대향하는 타면(200b)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인쇄 회로 기판(200)의 일면을 앞면(200a)이라고 하면, 제2 접지 어레이부(212)는 인쇄 회로 기판(200)의 뒷면(200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접지 어레이부(212)는 복수의 제2 접지부(212a 내지 212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치부(222)는 제2 메인 스위치 소자(222a) 및 복수의 제2 스위치 소자(222b 내지 222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접지부 중 하나의 제2 접지부(212a)는 인쇄 회로 기판(200)의 일면(200a)에 배치되는 메인 접지부(230)와 제2 메인 스위치 소자(222a)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제2 접지부(212b 내지 212d)는 제2 스위치 소자(222b 내지 222d)를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도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에서도 복수의 제2 접지부(212a 내지 212d)가 4개의 제2 접지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제2 접지부의 수에 따라 제2 스위치 소자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스위치부(221, 222)에 포함되는 스위치 소자는 RF 스위치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치 제어부(250)는 제어부(2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스위치부(221, 22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패턴부(100)로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감도가 메모리부(243)에 저장된 기준 신호의 수신감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241)는 수신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 제어부(25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 제어부(250)는 복수의 제1 스위치 소자(221b 내지 222d) 중 메인 스위치 소자(221a)와 가장 떨어져 있는 제1 스위치 소자(222d)부터 제1 메인 스위치 소자(221a)까지 순차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즉, 제1 방사체(110) 아래에 있는 제1 접지 어레이부(211)의 접지를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테나 패턴부(100)의 이득과 효율을 증가시켜 방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250)는 제2 메인 스위치 소자(222a)부터 복수의 제2 스위치 소자(222b 내지 222d) 중 메인 스위치 소자(222a)와 가장 멀리 있는 제2 스위치 소자(222d)까지 순차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즉, 인쇄 회로 기판(200)의 타면(200b)에 위치하는 제2 접지 어레이부(212)의 접지를 순차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테나 패턴부(100)의 이득과 효율을 증가시켜 방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패턴부(100)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신호의 수신감도에 따라, 제1 및 제2 스위치부(221, 222) 중 적어도 하나를 도통시키거나 차단시킴으로써 안테나 패턴부(100)의 접지를 가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방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제어방법은, 안테나 패턴부(1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외부 신호를 제공받는 단계(S100), 상기 외부 신호의 수신감도를 측정하는 단계(S200), 측정된 수신감도와 기준 신호의 수신감도를 비교하는 단계(S300) 및 측정된 수신감도가 기준 수신감도보다 늦은 경우 제1 및 제2 스위치부(221, 22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신감도 측정부(242)는 안테나 패턴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제어부(24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신호의 수신감도는 안테나 패턴부(100)에 의해 수신된 외부 신호를 커플링 한 것의 수신감도일 수 있으며, 또는 안테나 패턴부(100)에서 반사된 송신 신호를 커플링 한 것의 수신감도일 수도 있다.
제어부(241)에서는 메모리부(243)에 저장된 기준 신호의 수신감도와 상기 외부 신호의 수신감도를 비교(S300)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41)는 생성된 제어신호를 스위치 제어부(250)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패턴부(100)로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감도가 메모리부(243)에 저장된 기준 신호의 수신감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241)는 수신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 제어부(250)로 제공할 수 있다(S400).
이 경우, 스위치 제어부(250)는 복수의 제1 스위치 소자(221b 내지 222d) 중 메인 스위치 소자(221a)와 가장 떨어져 있는 제1 스위치 소자(222d)부터 제1 메인 스위치 소자(221a)까지 순차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즉, 제1 방사체(110) 아래에 있는 제1 접지 어레이부(211)의 접지를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테나 패턴부(100)의 이득과 효율을 증가시켜 방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250)는 제2 메인 스위치 소자(222a)부터 복수의 제2 스위치 소자(222b 내지 222d) 중 메인 스위치 소자(222a)와 가장 멀리 있는 제2 스위치 소자(222d)까지 순차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즉, 인쇄 회로 기판(200)의 타면(200b)에 위치하는 제2 접지 어레이부(212)의 접지를 순차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테나 패턴부(100)의 접지를 가변시킴으로써 이득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방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파의 환경 상황, 즉 신호의 이득(gain)에 따라, 스위치 제어부(250)는 제1 접지 어레이부(211)의 접지를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제2 접지 어레이부(212)의 접지를 순차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안테나 패턴부; 200: 인쇄 회로 기판;
211: 제1 접지 어레이부; 212: 제2 접지 어레이부;
221: 제1 스위치부; 222: 제2 스위치부;
230: 메인 접지부; 240: MCU
241: 제어부; 242: 수신감도 측정부;
243: 메모리부; 250: 스위치 제어부

Claims (10)

  1. 일면에 배치되는 메인 접지부, 상기 메인 접지부와 제1 스위치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접지 어레이부 및 상기 메인 접지부와 제2 스위치부를 통해 연결되는 제2 접지 어레이부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안테나 패턴부에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접지 어레이부는 상기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배치되는 안테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는, 복수의 제1 스위치 소자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접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지 어레이부는 복수의 제2 스위치 소자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접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와 상기 메인 접지부 사이의 신호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제1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는, 상기 제2 접지 어레이부와 상기 메인 접지부 사이의 신호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제2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안테나 패턴부에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측정하는 수신감도 측정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신호의 수신감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와 상기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신호의 수신감도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에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감도에 따라 상기 제1, 제2 메인 스위치 소자 및 복수의 제1, 제2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안테나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수신감도가 상기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신호의 수신감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도통시키는 안테나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방사체 및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는 상기 제1 방사체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안테나 모듈.
  7. 안테나 패턴부에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신호의 수신감도와 기준 신호의 수신감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의 메인 접지부와 제1 접지 어레이부 사이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메인 접지부와 제2 접지 어레이부 사이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접지 어레이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배치되는 안테나 모듈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는, 복수의 제1 스위치 소자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접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지 어레이부는 복수의 제2 스위치 소자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접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와 상기 메인 접지부 사이의 신호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제1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는, 상기 제2 접지 어레이부와 상기 메인 접지부 사이의 신호 경로를 도통 또는 차단하는 제2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신호의 수신감도가 상기 기준 신호의 수신감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치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차단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치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도통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방사체 및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 어레이부는 상기 제1 방사체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안테나 모듈의 제어방법.
KR1020140139987A 2014-10-16 2014-10-16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44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987A KR20160044908A (ko) 2014-10-16 2014-10-16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US14/721,815 US20160112070A1 (en) 2014-10-16 2015-05-26 Antenna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987A KR20160044908A (ko) 2014-10-16 2014-10-16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08A true KR20160044908A (ko) 2016-04-26

Family

ID=5574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987A KR20160044908A (ko) 2014-10-16 2014-10-16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12070A1 (ko)
KR (1) KR201600449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738A1 (ko) * 2019-01-24 2020-07-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에 접지 노드를 연결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1262227A1 (en) * 2020-06-26 2021-12-30 Intel Corporation Adding virtual receive antennas using switching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76345U (zh) * 2018-11-02 2019-04-01 大通電子股份有限公司 Interactive antenna system
CN113922060B (zh) * 2021-09-30 2023-06-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天线和电子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738A1 (ko) * 2019-01-24 2020-07-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에 접지 노드를 연결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92135A (ko) * 2019-01-24 2020-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에 접지 노드를 연결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729499B2 (en) 2019-01-24 202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ground node to camera module
WO2021262227A1 (en) * 2020-06-26 2021-12-30 Intel Corporation Adding virtual receive antennas using switching devices
US11881628B2 (en) 2020-06-26 2024-01-23 Intel Corporation Adding virtual receive antennas using switch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2070A1 (en)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733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350081B2 (en) Switchable multi-radiator high band antenna apparatus
TWI662747B (zh) 電子裝置及其多饋入天線
CA2802332C (en) Controlling a beamforming antenna using reconfigurable parasitic elements
EP2518822B1 (en) Reconfigurable mobile phone built-in antenna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US20230061805A1 (en) 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Beam Steering Applications
TWI514787B (zh) 射頻收發系統
US9461371B2 (en) MIMO antenna and methods
KR101852291B1 (ko) 다중 격리도 특성을 가지는 mimo 안테나 장치
KR102314602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 빔포밍 방법
CN104638344A (zh) 一种自适应切换的主、分集天线及通信终端
JP3211445U (ja) ダイバーシティ用途のための相関調整を有するモーダルアンテナ
US10840596B2 (en) Tunable antenna system for Bluetooth and Wi-Fi bands with electronically-reconfigurable and mechanically-identical antennas
KR2010001824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 패턴변경 방법
US9509047B2 (en) Self-configurable resonance antenna
KR20160044908A (ko)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US9225381B2 (en) Tunable quality factor
US20160190677A1 (en) Coupling-type grating antenna
CN103346393A (zh)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含有凸出地板的多频平面印制天线
KR101870760B1 (ko) 다중 대역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10193584B2 (en) Adjusting an antenn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5789828B (zh) 天线及移动终端
EP3364500A1 (en) Antenna unit and antenna array
US9774090B2 (en) Ultra-wide band antenna
KR20160047783A (ko) 다중대역 2포트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