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635A -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quality thereof - Google Patents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quality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635A
KR20160043635A KR1020140137950A KR20140137950A KR20160043635A KR 20160043635 A KR20160043635 A KR 20160043635A KR 1020140137950 A KR1020140137950 A KR 1020140137950A KR 20140137950 A KR20140137950 A KR 20140137950A KR 20160043635 A KR20160043635 A KR 2016004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ma curve
transparent
display panel
transmissive por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9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8376B1 (en
Inventor
신홍섭
김재홍
임경호
박선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376B1/en
Publication of KR2016004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6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3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display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quality thereof. The transparent display includes: a calculation unit which analyzes an input image and calculates proportions of a transmission unit and a non-transmission unit in a display panel; and a gamma curve selection unit which selects a first gamma curve when the transmission unit becomes larger and selects a second gamma curve when the transmission unit becomes smaller to modulate data of the input image. The transparent display can improve picture quality without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와 그 화질 제어 방법{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QUALITY THEREOF}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QUALITY THEREOF [0002]

본 발명은 투과부와 비투과부의 비율에 따라 감마 커브를 다르게 적용한 투명 디스플레이와 그 화질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display in which gamma curves are differently appli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the non-transmissive port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quality.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함께, 그 투명 표시패널의 뒤에 존재하는 후방의 배경을 함께 보여 줄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쇼윈도우나 냉장고 도어, 광고판, 공공 디스플레이(Public display)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 만의 장점 때문에 미래 디스플레이로서 주목을 받고 있지만 투과도 개선, 시인성 확보 등 화질을 개선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The transparent display may show an imag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together with a background behind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Transparent displays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show windows, refrigerator doors, billboards, and public displays. Because of the merits of such a transparent display only, there is a problem to improve picture quality such as improvement of transparency and securing visibility although it is receiving attention as a future display.

SID 2014에 개시된 논문 "Optimal Tone Curve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Display for Preferred Image Reproduction(Youngshin Kwak, UNIST)"에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일반 디스플레이의 2.2 감마(Gamma) 보상 방법과 유사한 밝기를 얻기 위하여 1.6 감마승의 감마 보상 방법을 제안하였다. 저자는 일반 디스플레이 10% 투과율을 갖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시뮬레이션하여 1.5 ~ 2.3 범위의 감마 커브 값으로 입력 영상을 조절하여 감마 커브 각각에 대한 선호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저자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1.6 감마 커브가 일반 디스플레이의 2.2 감마 커브와 유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1.6 감마 커브를 제안하였다. Youngshin Kwak (UNIST), published in SID 2014, entitled " Optimal Tone Curve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Display for Preferred Image Reproduction " Method. The authors simulated a transparent display with a 10% transmittance of a typical display and compared input images with gamma curve values ranging from 1.5 to 2.3 to evaluate the preference for each of the gamma curves. As a result, the authors proposed a 1.6 gamma curve in a transparent display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similar to the 2.2 gamma curve of a typical display, with a 1.6 gamma curve in a transparent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는 일반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입력 영상의 계조 보다 투명 표시패널에서 재현되는 출력 영상의 계조 밝기가 높아지고, 일반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각 계조에서 높은 밝기로 영상을 재현한다.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1.6 감마 커브를 적용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투명 디스플레이에 1.6 감마 커버를 적용하면 입력 계조 대비 출력 계조가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시인성(visibility), 명암비(contrast ratio), 색감(colorfulness)이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Transparent display has higher gray scale brightness of the output image reproduced i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than gray level of the input image as compared with the general display, and reproduces the image with high brightness in each gray level as compared with the general display. Experimental results using 1.6 gamma curves in such a transparent display show that applying a 1.6 gamma cover to a transparent display increases the output gradation relative to the input gradation so that the visibility, contrast ratio,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ness was lowered.

본 발명은 화질을 향상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와 그 화질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arent display capable of improving picture quality and a picture quality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표시패널, 계산부, 감마 커브 선택부, 및 표시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transpar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 calculation unit, a gamma curve selection unit, and a display panel drive unit.

상기 계산부는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표시패널에서 투과부와 비투과부의 비율을 계산한다. The calculation unit analyzes the input image and calculates the ratio of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the non-transmissive portion in the display panel.

상기 감마 커브 선택부는 상기 투과부가 커질 때 제1 감마 커브를 선택하고 상기 투과부가 작아질 때 제2 감마 커브를 선택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데이터를 변조한다. The gamma curve selection unit selects a first gamma curve when the transmission unit is larger and selects a second gamma curve when the transmission unit is smaller, thereby modulating the data of the input image.

상기 표시패널 구동부는 변조된 픽셀 데이터를 표시패널의 픽셀들에 기입한다. The display panel driver writes the modulated pixel data to the pixels of the display panel.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화질 제어 방법은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표시패널에서 상기 투과부와 상기 비투과부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투과부가 커질 때 제1 감마 커브를 선택하고 상기 투과부가 작아질 때 제2 감마 커브를 선택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및 변조된 픽셀 데이터를 표시패널의 픽셀들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comprising: analyzing an input image and calculating a ratio of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the non-transmissive portion in the display panel; Selecting a first gamma curve when the transmissive portion is large and modulating data of the input image by selecting a second gamma curve when the transmissive portion is small; And writing the modulated pixel data to the pixels of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 영역과 비투과 영역의 비율에 따라 감마 커브를 최적화하여 인간의 밝기 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재현되는 영상과 후방 이미지의 시인성, 명암비, 색감 등을 개선하여 소비 전력 증가 없이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gamma curve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transmissive area and the non-transmissive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to improve the visibility, contrast, color and the like of the reproduced image and the rear image in consideration of human brightness perception characteristics, The image qua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의 화질 제어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투과부와 비투과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투과부와 비투과부의 크기가 달라지는 예를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비투과부 비율(RTA)에 따라 선택되는 감마 커브들의 일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는 S 감마 커브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낮은 감마 커브에서 저계조 값에 따라 다른 감마 커브가 선택되는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 제어 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투명 LCD의 픽셀 구성을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11은 투명 OLED 표시장치의 픽셀 구성을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picture quality of a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transparent portion and a non-transparent portion in a transparent display. FIG.
FIG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examples in which the size of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the non-transmissive por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 are different.
4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gamma curves selected according to the non-transmissive ratio (RTA) of the transparent display.
5 is a diagram showing an S gamma curve.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other gamma curve is selected according to a low gradation value in a low gamma curv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n image qualit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ixel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LCD.
1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ixel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OL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인간의 밝기 인지 특성을 기반으로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 영역과 비투과 영역의 비율을 고려하여 감마 커브를 조정함으로써 소비 전력 증가 없이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시인성, 명암비, 색감 등을 개선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visibility, the contrast ratio, and the color tone in the transparent display without increasing the power consumption by adjusting the gamma curve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of the transmissive area and the non-transmissive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based on human brightness perception characteristic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자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substantially identical constituent ele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의 화질 제어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투과부와 비투과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투과부와 비투과부의 크기가 달라지는 예를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picture quality of a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transparent portion and a non-transparent portion in a transparent display. FIG. FIG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examples in which the size of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the non-transmissive por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 are different.

본 발명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투명 LCD는 백라이트가 필요한 비발광 소자이다. 투명 OLED는 자발광 소자이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표시패널에는 터치 스크린이 결합될 수 있다. The transpar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 transparent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transparent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Transparent LCDs are non-luminous devices that require backlighting. Transparent OLEDs are self-luminous devices. The display panel of the transparent display can be combined with a touch scree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는 표시패널(21)에 입력 영상의 이미지를 재현함과 아울러, 표시패널(21)에서 빛을 투과하여 표시패널(21)의 후방에 존재하는 이미지(후방 이미지)를 보여 준다. 후방 이미지는 실물 이미지, 인쇄물의 이미지, 다른 표시패널에서 재현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1 to 3, the transparent display reproduces an image of the input image on the display panel 21, transmits light from the display panel 21, Rear image). The rear image may be a real image, an image of a printed matter, or an image reproduced in another display panel.

비투과부(21a)는 표시패널(21)에서 재현되는 입력 영상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비투과부(21a)에는 후방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투과부(21b)는 비투과부(21a)에 비하여 후방 이미지가 더 잘 보이는 영역이다. 투과부 영상은 적색(R), 녹색(G), 청색(B) 등의 순색 계조의 영상이거나 백색 계조의 영상일 수 있다. The non-transmissive portion 21a is an area where an image of the input image reproduced on the display panel 21 is displayed. The non-transparent portion 21a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rear im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is an area where the rear image is more visible than the non-transmissive portion 21a. The transmitted portion image may be an image of a pure color tone such as red (R), green (G), blue (B), or a white t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의 화질 제어 방법은 수신된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비투과부 비율(Ration of non-transparent Area, 이하 "RTA"라 함)을 계산한다(S1 및 S2). The image quality control method of th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received input image and calculates Ratio of Non-transparent Area (RTA) (S1 and S2).

RTA는 표시패널 내에서 투과부(21a)와 비투과부(21b)의 비율로서, 입력 영상의 계조로 판단될 수 있다. RTA는 투과부 비율이 클 경우 작고, 투과부 비율이 작을 경우 큰 값을 갖는다. RTA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RTA is a ratio of the transmissive portion 21a and the non-transmissive portion 21b in the display panel, and can be determined as the grayscale of the input image. RTA is small when the ratio of the transmission part is large, and large when the transmission part ratio is small. RTA is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Graytp는 투과부(21a)로 판단되는 영역의 계조이다. Grayin은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 계조이다. Grayth(LCD)는 투명 LCD에서 투과부(21a)와 비투과부를 구별하는 기준 계조이다. Grayth(OLED)는 투명 OLED에서 투과부(21a)와 비투과부를 구별하는 기준 계조이다. Grayth(LCD)는 Grayth(OLED) 보다 높다. Here, Gray tp is the gray level of the region judged as the transmissive portion 21a. Gray in is the pixel data gradation of the input image. The gray th (LCD) is a reference tone for distinguishing the transmissive portion 21a from the non-transmissive portion in a transparent LCD. Gray th (OLED) is a reference gradation that distinguishes the transmissive portion 21a from the non-transmissive portion in a transparent OLED. Gray th (LCD) is higher than Gray th (OLED).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가 0~255를 표현하는 8 bit 데이터일 때 Grayth(LCD)는 250 일 수 있고, Grayth(OLED)는 50일 수 있다. Grayth(LCD)와 Grayth(OLED)는 표시장치의 제조사, 표시패널 특성, 표시패널의 구동 방법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When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is 8-bit data representing 0 to 255, Grayth (LCD) may be 250 and Grayth (OLED) may be 50. The gray th (LCD) and the gray th (OLED) can be experimentally determined because they depend on the maker of the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panel.

투명 LCD에서,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가 250 이상의 계조 값이면 그 픽셀 데이터는 투과부 데이터로서 판단된다. 반면에, 250 보다 작은 계조 값이면, 그 픽셀 데이터는 비투과부 데이터로서 판단된다. In a transparent LCD, if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is a gradation value of 250 or more, the pixel data is judged as transmission portion data. On the other hand, if the gradation value is smaller than 250, the pixel data is judged as non-transparent portion data.

투명 OLED에서,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가 50 이하의 계조 값이면 그 픽셀 데이터는 투과부 데이터로서 판단된다. 반면에, 50 보다 큰 계조 값이면, 그 픽셀 데이터는 비투과부 데이터로서 판단된다.In the transparent OLED, if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is a gradation value of 50 or less, the pixel data is judged as the transmission portion data. On the other hand, if the gradation value is larger than 50, the pixel data is judged as non-transparent portion data.

Grayin은 RGB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이거나 휘도값(Y)일 수 있다. 휘도값(Y)은 수학식 2와 같다. RTA가 휘도값(Y)을 바탕으로 계산되면 수학식 3과 같다.Gray in may be any one of the RGB data or the luminance value (Y). The luminance value (Y) is expressed by Equation (2). If RTA is calculated based on the luminance value (Y), it is expressed by Equation (3).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R은 적색 서브 픽셀의 데이터, G는 녹색 서브 픽셀의 데이터, B는 청색 서브 픽셀의 데이터를 각각 의미한다. Here, R means data of red subpixel, G means data of green subpixel, and B means data of blue subpixel.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Ytp는 투과부(21a)로 판단되는 영역의 픽셀 휘도이다. Yin은 입력 영상의 픽셀 휘도이다. YLCD _ th(LCD)는 투명 LCD에서 투과부(21a)와 비투과부를 구별하는 기준 휘도이다. YOLED _ th(OLED)는 투명 OLED에서 투과부(21a)와 비투과부를 구별하는 기준 휘도이다. YLCD _ th(LCD)는 YOLED _ th(OLED) 보다 높다. Here, Y tp is the pixel luminance of the region judged as the transmissive portion 21a. Y in is the pixel luminance of the input image. Y _ th LCD (LCD) is a reference brightness to distinguish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ion (21a) and cucurbit widow on the transparent LCD. Y _ th OLED (OLED) is a reference brightness to distinguish between the transmission portion (21a) and cucurbit widow in a transparent OLED. Y LCD _ th (LCD) is higher than Y OLED _ th (OLED).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가 0~255를 표현하는 8 bit 데이터일 때 YLCD _ th(LCD)는 250 일 수 있고, YOLED _ th(OLED)는 50일 수 있다. When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is in the 8 bit data representing 0 ~ 255 _ th Y LCD (LCD) 250 may be, Y _ th OLED (OLED) may be 50 days.

투명 LCD에서, 입력 영상의 픽셀 휘도값(Y)이 250 이상이면 그 픽셀 데이터는 투과부 데이터로서 판단된다. 반면에, 250 보다 작으면, 그 픽셀 데이터는 비투과부 데이터로서 판단된다. In a transparent LCD, if the pixel luminance value Y of the input image is 250 or more, the pixel data is judged as the transmission portion data. On the other hand, if it is smaller than 250, the pixel data is judged as non-transparent data.

투명 OLED에서, 입력 영상의 픽셀 휘도값(Y)이 50 이하이면 그 픽셀 데이터는 투과부 데이터로서 판단된다. 반면에, 50 보다 크면, 그 픽셀 데이터는 비투과부 데이터로서 판단된다.In a transparent OLED, if the pixel luminance value Y of the input image is 50 or less, the pixel data is judged as transmission portion data. On the other hand, if it is larger than 50, the pixel data is judged as non-transparent portion data.

투명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인 2.2 감마 커브(도 4, 43)의 영상을 입력하면 시인성과 명암비의 저하로 인하여 화질이 열화된다.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투과부와 비투과부의 비율에 따라 감마 커브를 변경함으로써 고계조 뭉침을 방지하면서 영상을 밝게 하여 투명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향상시킨다.In the case of a transparent display, when the image of a typical 2.2 gamma curve (FIGS. 4 and 43) is input, the image quality deteriorates due to a decrease in visibility and contrast rati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image quality of the transparent display by brightening the image while preventing the high gradation accumulation by changing the gamma curve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the non-transmissive portion in the transparent display.

투과부 비율이 클 경우, 표시패널의 비투과부(21a)에 표시된 정보 보다 투과부(21b)를 통해 보여지는 표시패널 뒤의 후방 이미지가 관찰자에게 더 잘 보인다. 본 발명은 투과부 비율이 클 때 높은 감마 커브를 선택하여 투명 LCD에서 투과부 픽셀들의 밝기를 높여 픽셀들의 투과도를 높일 수 있고, 비투과부 픽셀들의 밝기를 높여 상대적으로 잘 보이지 않는 비투과부를 더욱 잘 보이게 한다. When the transmission portion ratio is large, the rear image behind the display panel seen through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is more visible to the observer tha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non-transmissive portion 21a of the display panel. In the present invention, a high gamma curve may be selected to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transparent pixels in the transparent LCD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the pixels, and to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non-transmissive pixels, thereby making the non-transmissive portion less visible .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투과부 비율이 작은 경우, 투과부(21b) 보다는 비투과부(21a)에서 재현되는 영상이 더 눈에 띄므로 영상의 화질을 열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고계조를 강조함으로써 입력 영상의 밝은 부분을 강조하여 비투과부 영상을 더 밝게 보이게 한다. In the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age reproduced by the non-transmissive portion 21a is more conspicuous than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when the transmission portion ratio is small, the high gradation is emphasized within a range not deteriorating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Emphasize bright areas to make non-through-vision images brighter.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투과부(21b)가 커지면 비투과부(21a)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본원 발명자들은 비투과부(21a)와 투과부(21b)의 비율이 달라질 때 피실험자가 인지하는 인지하는 화질을 평가한 실험을 반복하여 투과부(21b)의 크기가 달라질 때 비투과부(21a)에 표시된 영상의 시인성, 명암비, 색감이 달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본원 발명자들은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RTA가 달라지더라도 관찰자가 인지하는 비투과부 영상의 시인성, 명암비, 색감 등이 저하되지 않도록 RTA에 따라 감마 커브를 변경한다. In the transparent display, when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is enlarged, the non-transmissive portion 21a is relatively small.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repeatedly carried out an experiment for evaluating the perceived image quality of a subject when the ratio of the non-transmissive portion 21a to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is changed. When the size of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is changed, Visibility, contrast ratio, and color. The present inventors changed the gamma curve according to RTA so that the visibility, contrast ratio, color tone and the like of the non-osseous part image recognized by the observer do not deteriorate even if the RTA is changed in the transparent display.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도 3a와 같이 투과부(21b)가 크면 높은 감마 커브(도 4, 41)를 선택하는 반면, 도 3b와 같이 투과부(21b)가 작으면 낮은 감마 커브(도 4, 42)를 선택한다.(S3). 4 and 41) is selected when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is large as shown in FIG. 3A in the transparent display, whereas when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is small as shown in FIG. 3B, the low gamma curve (FIGS. (S3).

투과부(21b)가 커지면, 투과부(21b)의 밝기로 인하여 비투과부(21a)의 시인성, 명암비, 색감 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투과부(21b)가 커지면 제2 감마 커브 대비 출력 계조를 더 높일 수 있는 제1 감마 커브(41)를 선택하여 픽셀의 밝기를 더 높임으로써 비투과부 영상의 시인성, 명암비, 색감 등을 향상시킨다. 제1 감마 커브(41)를 바탕으로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면 투과부(21b)의 투과율이 더 높아진다. 따라서, 제1 감마 커브(41)는 투과부(21b)의 후방 이미지와 비투과부(21a)에서 재현된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is enlarged, the visibility, contrast ratio, color tone, etc. of the non-transmissive portion 21a are lowered due to the brightness of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Accordingly, when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is enlarged, the first gamma curve 41 capable of further increasing the output gradation compared to the second gamma curve is selected to further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pixel,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contrast, . When the pixel data is modulated based on the first gamma curve 41, the transmissivity of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becomes higher. Therefore, the first gamma curve 41 can improve the image quality of the rear image of the transmission portion 21b and the image reproduced by the non-transmission portion 21a.

본 발명은 투과부(21b)가 작아지면 제2 감마 커브(42)를 선택한다. 제2 감마 커브(42)는 중간 계조 이하 저계조에서 제1 감마 커브(41) 대비 출력 계조를 낮춤으로써 픽셀의 밝기를 낮추고, 고계조에서 입력 계조 대비 출력 계조를 높인다. 제2 감마 커브(42)는 고계조에서 픽셀의 밝기를 높여 재현 영상을 밝게 하면서 중간 계조 이하의 저계조를 입력 계조 대비 낮춤으로써 영상의 명암비를 높여준다.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second gamma curve 42 when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becomes smaller. The second gamma curve 42 lowers the brightness of the pixel by lowering the output grad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gamma curve 41 at a low gradation below the middle gradation and increases the output gradation with respect to the input gradation at a high gradation. The second gamma curve 42 increases the contrast of the image by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pixel at a high gradation, brightening the reproduced image, and lowering the gradation below the intermediate gradation to the input gradation.

본 발명은 선택된 감마 커브로 변조된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표시패널(21)에 기입하여 입력 영상을 표시패널(21)에 재현한다(S4). The present invention writes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modulated with the selected gamma curve to the display panel 21 to reproduce the input image on the display panel 21 (S4).

감마 커브(41, 42) 각각은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LUT)로 구현될 수 있다. Each of the gamma curves 41 and 42 may be implemented as a look-up table (LUT).

감마 커브(41, 42) 각각은 도 5와 같은 S 감마 커브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감마 커브(41)는 높아진 출력 계조에서 명암비와 채노들 높이기 위하여 S 감마 커브가 선택된다. S 감마 커브는 수학식 4와 같이 저계조 구간(0≤Din≤a)의 입/출력 계조를 정의하는 오목 커브와, 고계조 구간(a≤Din≤255)의 입/출력 계조를 정의하는 볼록 커브로 나뉘어질 수 있다. 오목 커브와 볼록 커브는 변곡점(a)을 경유하여 연결된다. 도 5에서 NP는 변곡점(a)이다. Each of the gamma curves 41 and 42 may be implemented by an S gamma curve as shown in FIG. In the first gamma curve 41, an S gamma curve is selected to increase the contrast ratio and the color gamut in the output gradation. S gamma curve defines a concave curve defining an input / output gradation of a low gradation period (0? D in? A ) and an input / output gradation of a high gradation period (a? D in ? The convex curve can be divided into a convex curve. The concave curve and the convex curve are connected via the inflection point (a). In Fig. 5, NP is the inflection point (a).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학식 2에서, a는 오목 커브와 볼록 커브 사이의 변곡점(도 4, NP)으로서, 채도 보상량을 조절하는 파라미터이다. α(alpha)는 저계조 강조 파라미터, β(beta)는 고계조 강조 파라미터이다. In Equation (2), a is an inflection point (FIG. 4, NP) between the concave curve and the convex curve, and is a parameter for adjusting the saturation compensation amount. α (alpha) is the low grayscale enhancement parameter, and β (beta) is the high grayscale enhancement parameter.

S 감마 커브는 2.2 감마 커브에 비하여 저계조에서 출력 계조(Dout)를 더 낮추고, 고계조에서 출력 계조(Dout)를 더 높인다. 따라서, S 감마 커브는 계조 표현력이나 계조 뭉침 없이 저계조에서 픽셀의 밝기를 어둡게 하고 고계조에서 픽셀의 밝기를 높이므로 명암비와 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S 감마 커버의 적정 범위는 표 1과 같다. The S gamma curve further lowers the output gradation (Dout) at low gradations and further increases the output gradation (Dout) at high grades compared to the 2.2 gamma curve. Therefore, the S gamma curve can improve the contrast ratio and saturation by darkening the brightness of the pixel at low gradation and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the pixel at high gradation without gradation expression or gradation accumulation. The appropriate range of S gamma cover is shown in Table 1.

α(alpha)alpha (alpha) 0.9 ~ 1.50.9 to 1.5 β(beta)beta (beta) 1.2 ~ 1.81.2 to 1.8 a(NP)a (NP) 150 ~ 250150 ~ 250

제2 감마 커브(42)를 S 감마 커브로 적용하는 경우에, 중간 계조 이하의 저계조 값에 따라 S 감마 커브의 파라미터들을 변경할 수 있다. 저계조에서 출력 계조 값이 기존의 2.2 감마 커브(43) 보다 낮을 때 α(alpha)를 작게 하고 β(beta)를 크게 한 S 감마 커브(422)를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저계조에서 출력 계조 값이 기존의 2.2 감마 커브(43) 보다 높을 때 α(alpha)를 크게 하고 β(beta)를 작게 한 S 감마 커브(421)를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gamma curve 42 is applied with the S gamma curve, the parameters of the S gamma curv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low gradation value below the intermediate grada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S gamma curve 422 in which α (alpha) is decreased and β (beta) is increased when the output gradation value is lower than the existing 2.2 gamma curve 43 in the low grad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output gradation value is higher than the existing 2.2 gamma curve 43 in the low grada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S gamma curve 421 in which alpha alpha is increased and beta beta is decreas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화질 제어 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7 shows a transparent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block diagrams showing an image quality control device.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표시패널(100), 및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에 기입하는 표시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7 to 9, the transparent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and a display panel driver for writing pixel data of an input image to a pixel array of the display panel 100. [

표시패널 구동부는 데이터 구동부(102), 게이트 구동부(104), 타이밍 콘트롤러(Timing controller)(110),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시스템(Host system) 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panel driving unit includes a data driving unit 102, a gate driving unit 104, a timing controller 110, a host system (not shown), and the like.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에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11)과 다수의 스캔 라인들(또는 게이트 라인들)(12)이 교차된다.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픽셀들을 포함한다. 픽셀들 각각은 R 서브 픽셀, G 서브 픽셀, 및 B 서브 픽셀을 포함한다. 픽셀들 각각은 백색(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data lines 11 and a plurality of scan lines (or gate lines) 12 are intersected with the pixel array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pixel array of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to display an input image. Each of the pixels includes an R subpixel, a G subpixel, and a B subpixel. Each of the pixels may further include a white (W) sub-pixel.

데이터 구동부(102)는 타이밍 콘트롤러(110)로부터 수신된 픽셀 데이터를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을 발생하고 그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들(11)로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02)에 입력되는 픽셀 데이터는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이다.The data driver 102 converts the pixel data receiv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10 into an analog gamma compensation voltage to generate a data voltage and outputs the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s 11. [ The pixel data input to the data driver 102 is digital video data of the input video.

게이트 구동부(104)는 타이밍 콘트롤러(110)의 제어 하에 데이터 구동부(102)의 출력 전압에 동기되는 스캔 펄스(또는 게이트 펄스)를 스캔 라인들(12)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104)는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시프트시켜 데이터가 기입되는 픽셀들을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The gate driver 104 supplies the scan lines 12 with a scan pulse (or gate pulse) synchronized with the output voltage of the data driver 102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10. The gate driver 104 sequentially shifts the scan pulses to sequentially select pixels to which data is written, in units of lines.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와, 그와 동기되는 타이밍 신호들을 수신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02)로 전송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와 동기되어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들을 바탕으로 데이터 구동부(102)와 게이트 구동부(104)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 신호들은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포함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타이밍 신호들을 바탕으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와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데이터 구동부(102)와 게이트 구동부(104)를 동기시킨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데이터 구도부(102)의 동작 타이밍과 출력 타이밍을 정의한다.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구동부(104)의 동작 타이밍과 출력 타이밍을 정의한다. The timing controller 110 receives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from the host system and the timing signals synchronized with the pixel data. The timing controller 110 transmits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to the data driver 102. The timing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peration timings of the data driver 102 and the gate driver 104 based on the timing signals in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The timing signals include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 data enable signal DE, and the like. The timing controller 110 generates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and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timing signals to synchronize the data driver 102 and the gate driver 104.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efines the operation timing and the output timing of the data composition unit 102.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defines the operation timing and the output timing of the gate driver 104.

호스트 시스템은 TV(Television) 시스템,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폰 시스템(Phone system)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The host system may be implemented by any one of a TV system, a set-top box, a navigation system, a DVD player, a Blu-ray player, a personal computer (PC), a home theater system, and a phone system.

호스트 시스템, 타이밍 콘트롤러(110), 데이터 구동부(102) 중 어느 하나에 도 8 및 도 9와 같은 화질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8 and 9 in any one of the host system, the timing controller 110, and the data driver 102.

화질 제어 장치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RTA 계산부(70)와, 다수의 룩업 테이블(71a, 71b, 71c), 감마 커브 선택부(72) 등을 포함한다. The image quality control apparatus includes an RTA calculation unit 70, a plurality of lookup tables 71a, 71b and 71c, a gamma curve selection unit 72, and the like, as shown in FIGS.

RTA 계산부(71)는 입력 영상의 계조를 바탕으로 RTA를 계산한다. RTA 계산부(71)는 RTA 계산 결과에 따라 감마 커브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발생한다. The RTA calculation unit 71 calculates the RTA based on the gray level of the input image. The RTA calculation unit 71 generates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gamma curve according to the RTA calculation result.

룩업 테이블들(LUT) 각각은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에 대응하여 감마 커브(41, 42)에서 정의된 출력 계조를 출력함으로써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여 데이터 구동부(102)로 전송한다. Each of the lookup tables LUT modulates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by outputting the output gradation defined by the gamma curves 41 and 42 corresponding to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and transmits the modulated pixel data to the data driver 102.

제1 룩업 테이블(71a)은 도 4에서 제1 감마 커브(41)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1 룩업 테이블(71a)은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입력 받아 그 픽셀 데이터의 계조가 지시하는 어드레스에 미리 저장된 제1 감마 커브(41)의 출력 계조값을 출력함으로써 픽셀 데이터를 변조한다. The first lookup table 71a stores data of the first gamma curve 41 in FIG. The first lookup table 71a receives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and modulates the pixel data by outputting the output gradation value of the first gamma curve 41 stored in advance at the address indicated by the gradation of the pixel data.

제2 룩업 테이블(71b)은 도 4에서 제2 감마 커브(42)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1 룩업 테이블(71a)은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입력 받아 그 픽셀 데이터의 계조가 지시하는 어드레스에 미리 저장된 제2 감마 커브(42)의 출력 계조값을 출력함으로써 픽셀 데이터를 변조한다. The second lookup table 71b stores data of the second gamma curve 42 in Fig. The first lookup table 71a receives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and modulates the pixel data by outputting the output gradation value of the second gamma curve 42 previously stored at the address indicated by the gradation of the pixel data.

감마 커브 선택부(7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투과부(21b)가 커질 때 제1 감마 커브(41)를 선택하고 투과부(21b)가 작아질 때 제2 감마 커브(42)를 선택한다. 이 감마 커브 선택부(721)는 RTA 계산부(70)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룩업 테이블(71a, 71b)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 MUX)로 구현될 수 있다. The gamma curve selection unit 72 selects the first gamma curve 41 when the transmission unit 21b becomes larger and the second gamma curve 42 when the transmission unit 21b becomes smaller as described above. The gamma curve selection unit 721 is implemented by a multiplexer (MUX) that selects any one of the outputs of the first and second lookup tables 71a and 71b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from the RTA calculation unit 70 .

낮은 감마 커브(41)는 중간 계조 이하의 저계조 값에 따라 도 6과 같이 감마 커브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9와 같이 낮은 감마 커브(41)를 선택하는 투과부(21b)가 작을 때 선택되는 룩업 테이블들(71b, 71c)의 개수가 증가한다.The low gamma curve 41 can change the gamma curve a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the low gradation value of the intermediate gradation or les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the number of lookup tables 71b and 71c selected when the transmissive portion 21b for selecting the low gamma curve 41 is small increases.

데이터 구동부(102)는 감마 커브 선택부(72)에 의해 변조된 데이터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11)을 통해 픽셀들에 공급한다. The data driver 102 converts the data modulated by the gamma curve selector 72 into data voltages and supplies the data voltages to the pixels through the data lines 11. [

투명 OLED 표시장치의 픽셀은 도 10과 같이, 스위치 TFT(SWTFT), 구동 TFT(DRTFT),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 등을 포함한다. The pixel of the transparent OLED display device includes a switch TFT (SWTFT), a driving TFT (DRTFT),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storage capacitor (Cst), and the like,

스위치 TFT(SWTFT)는 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전압(DATA)을 구동 TFT(DRTFT)의 게이트에 공급한다. 구동 TFT(DRTFT)는 픽셀 전원(ELVDD)이 공급되는 전원 배선과, OLED 사이에 접속되어 자신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OLED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한다. OLED는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등의 유기 화합물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OLED는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할 때 빛을 발생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TFT(DRTFT)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Vgs)을 1 프레임 기간 동안 유지한다. The switch TFT (SWTFT) supplies the data voltage (DATA) to the gate of the drive TFT (DRTFT) in response to the gate pulse. The driving TFT DRTFT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line to which the pixel power ELVDD is supplied and the OLED, and controls the current flowing in the OLED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applied to the gate of the driving TFT DRTFT. The OLED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 Have been stacked on one another. OLEDs emit light when electrons and holes are combined in a light emitting layer. The storage capacitor Cst holds the gate-source voltage Vgs of the driving TFT DRTFT for one frame period.

픽셀에는 내부 보상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보상회로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들과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동 TFT(DRTFT)의 게이트를 초기화한 후에 구동 TFT(DRTFT)의 문턱 전압과 이동도를 센싱하여 데이터 전압(DATA)을 보상한다. 내부 보상회로는 공지된 어떠한 것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The pixel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compensation circuit. The internal compensation circuit includes one or more switch TFTs and one or more capacitors to initialize the gate of the drive TFT DRTFT and then sense the threshold voltage and mobility of the drive TFT DRTFT to compensate the data voltage DATA. The internal compensation circuit is applicable to any known circuit.

투명 LCD의 픽셀은 도 11과 같이, 액정셀(Clc),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TFT(Thin Film Transistor) 등을 포함한다. 액정셀(Clc)은 TFT를 통해 데이터 전압(DATA)이 인가되는 화소전극과, 공통전압(Vcom)이 인가되는 공통전극 간의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분자들을 이용하여 광의 위상을 지연시켜 데이터에 따라 투과율을 조정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액정셀(Clc)의 전압을 1 프레임 기간 동안 유지시킨다. TFT는 게이트 라인(12)으로부터의 게이트펄스(또는 스캔펄스, SCAN))에 응답하여 턴-온(turn-on)되어 데이터 라인(11)으로부터의 데이터전압을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공급한다. The pixel of the transparent LCD includes a liquid crystal cell Clc, a storage capacitor Cst, a TFT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The liquid crystal cell Clc delays the phase of light by using liquid crystal molecules driven by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to which the data voltage DATA is applied through the TFT and the common electrode to which the common voltage Vcom is applied, Adjust the transmittance. The storage capacitor Cst holds the voltage of the liquid crystal cell Clc for one frame period. The TFT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gate pulse (or scan pulse, SCAN) from the gate line 12 to apply the data voltage from the data line 11 to the pixel electro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Clc Supply.

액정표시장치는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등 알려져 있는 어떠한 액정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과 백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any known liquid crystal mode such as TN (Twisted Nematic) mode, VA (Vertical Alignment) mode, IPS (In Plane Switching) mode, FFS (Fringe Field Switching) Furth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backlight unit and a backlight driving unit.

백라이트 유닛은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또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패널(100)의 배면 아래에 배치되어 그 표시패널(100)에 빛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구동부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들에 전류를 공급하여 그 광원들을 발광시킨다. 광원들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백라이트 구동부는 조도에 따라 선택된 PWM 제어로 광원들의 휘도를 조정한다. The backligh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n edge-type backlight unit or a direct-type backlight unit. The backlight unit is disposed under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rradiates the display panel 100 with light. The backlight driver supplies current to the light sources of the backlight unit and emits the light sources. The light sources may be implemented with LED (Light Emitting Diode). The backlight driver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s with the PWM control selecte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표시패널 102 : 데이터 구동부
104 : 게이트 구동부 106 : 타이밍 콘트롤러
70 : RTA 계산부 71a, 71b, 71c : 룩업 테이블
72 : 감마 커브 선택부
100: display panel 102: data driver
104: Gate driver 106: Timing controller
70: RTA calculation unit 71a, 71b, 71c: lookup table
72: gamma curve selection unit

Claims (5)

입력 영상이 재현되는 비투과부와 후방 이미지가 보이는 투과부를 갖는 표시패널;
상기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표시패널에서 상기 투과부와 상기 비투과부의 비율을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투과부가 커질 때 제1 감마 커브를 선택하고 상기 투과부가 작아질 때 제2 감마 커브를 선택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감마 커브 선택부; 및
상기 감마 커브 선택부에 의해 변조된 픽셀 데이터를 표시패널의 픽셀들에 기입하는 표시패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A display panel having a non-transparent portion in which an input image is reproduced and a transparent portion in which a rear image is displayed;
A calculator for analyzing the input image to calculate a ratio of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the non-transmissive portion in the display panel;
A gamma curv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first gamma curve when the transmission unit is enlarged and selecting a second gamma curve when the transmission unit is small, and modulating data of the input image; And
And a display panel driver for writing the pixel data modulated by the gamma curve selector to the pixels of the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마 커브는 상기 제2 감마 커브에 비하여 입력 계조 대비 출력 계조를 더 높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gamma curve further increases the output gradation relative to the input gradation compared to the second gamma curv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감마 커브는,
저계조 구간의 입출력 계조를 정의하는 오목 커브와, 고계조 구간의 입출력 계조를 정의하는 볼록 커브, 및 오목 커브와 볼록 커브 사이의 변곡점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amma curves include:
A transparent display including a concave curve defining an input / output gradation of a low gradation section, a convex curve defining an input / output gradation of a high gradation section, and an inflection point between a concave curve and a convex cur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이 투명 LCD와 투명 OLED 중 어느 하나인 투명 디스플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panel is one of a transparent LCD and a transparent OLED.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표시패널에서 상기 투과부와 상기 비투과부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투과부가 커질 때 제1 감마 커브를 선택하고 상기 투과부가 작아질 때 제2 감마 커브를 선택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및
변조된 픽셀 데이터를 표시패널의 픽셀들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화질 제어 방법.
Analyzing an input image to calculate a ratio of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the non-transmissive portion in the display panel;
Selecting a first gamma curve when the transmissive portion is large and modulating data of the input image by selecting a second gamma curve when the transmissive portion is small; And
And writing the modulated pixel data to the pixels of the display panel.
KR1020140137950A 2014-10-13 2014-10-13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quality thereof KR1022483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950A KR102248376B1 (en) 2014-10-13 2014-10-13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qualit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950A KR102248376B1 (en) 2014-10-13 2014-10-13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quality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635A true KR20160043635A (en) 2016-04-22
KR102248376B1 KR102248376B1 (en) 2021-05-10

Family

ID=5591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950A KR102248376B1 (en) 2014-10-13 2014-10-13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quality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3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752A (en) * 2016-01-12 2017-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the same
CN112859405A (en) * 2021-01-18 2021-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029A (en) * 2005-06-24 2007-0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Trans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70070915A (en) * 2005-12-29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019907A (en) * 2010-08-27 2012-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Gamma correction device and gamma correction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of display using the same
US20130314453A1 (en) * 2012-05-28 2013-11-28 Acer Incorporate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ransparency adjustment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029A (en) * 2005-06-24 2007-0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Trans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70070915A (en) * 2005-12-29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019907A (en) * 2010-08-27 2012-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Gamma correction device and gamma correction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of display using the same
US20130314453A1 (en) * 2012-05-28 2013-11-28 Acer Incorporate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transparency adjustment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752A (en) * 2016-01-12 2017-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the same
CN112859405A (en) * 2021-01-18 2021-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CN112859405B (en) * 2021-01-18 2024-04-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ransparent display modul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376B1 (en)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590B1 (en) Method and device for expanding a dynamic range of display device
KR102554379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odule for high dynamic range (hd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4715737B (en) Display device and its brightness control method
US9378684B2 (en) Method of compensating for pixel data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1113295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83299B1 (en) Display device and luminance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2217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local dimming thereof
KR10130353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990878B2 (en) Data clipping method using red, green, blue and white data,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1026738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0282089A (en) Video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KR101356370B1 (en) Method of Correcting Data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102083297B1 (en) Display device and luminanc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71707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923735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2654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9058784A (en) Display device
KR20120038180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988525B1 (en) Brightness and gamma compens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248376B1 (en)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quality thereof
KR101862408B1 (en) Method of local dimm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2106559B1 (en) Gamma compens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438248B1 (en) Dimming control circuit,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dimming control circuit, and dimming control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KR10223549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of
KR10202263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mming control method of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