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931A - 그래픽 타일 합성 제어 - Google Patents
그래픽 타일 합성 제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2931A KR20160042931A KR1020167005836A KR20167005836A KR20160042931A KR 20160042931 A KR20160042931 A KR 20160042931A KR 1020167005836 A KR1020167005836 A KR 1020167005836A KR 20167005836 A KR20167005836 A KR 20167005836A KR 20160042931 A KR20160042931 A KR 201600429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e
- input graphic
- tiles
- flag data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40—Filling a planar surface by adding surface attributes, e.g. colour or textur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05—General purpose rendering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그래픽 처리장치(2)는, 타일 기반 합성동작을 행한다. 타일 메타데이터는, 플래그 데이터(tfd), 이를테면,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이 대응한 출력 그래픽 타일에 대해 소정의 제1 기여의 역치레벨미만 또는 소정의 제2 기여의 역치레벨초과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투명도 및/또는 강도 플래그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입력 그래픽 타일이 투명한 경우, 메모리(6)로부터의 판독 및/또는 이후의 처리는 억제되어도 된다.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이 불투명한 경우, 흐릿한 임의의 기본 입력 그래픽 타일들은, 그들의 판독 및/또는 또 다른 처리를 억제시켜도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래픽 처리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풀 프레임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서 화상을 따로따로 차례로 처리된 다수의 타일로 분할하는 타일 기반 그래픽 처리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대역폭 요구사항을 줄일 목적으로 타일 기반 그래픽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대량의 그래픽 데이터를 주 메모리에 및 주 메모리로부터 판독 및 기록할 때 소비된 에너지와 시간을 고려 가능할 수도 있다. 그래픽 데이터의 출력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서, 메모리 트래픽의 양이나 실행된 처리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이 바람직하다.
일 측면에서 본 본 발명은, 출력 그래픽 프레임을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출력 그래픽 타일을 생성하기 위해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이 장치는,
공통 타일 에어리어가 자신을 위한 출력 그래픽 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을 조합하는 합성 회로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각 타일이 연관된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갖고,
상기 공통 타일 에어리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에 대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판독하고, 타일 플래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조작을 제어하는 동작 수정 회로소자를 더 구비한다.
본 기술에 의해 안 것은, 타일 플래그 데이터가 연관된 입력 그래픽 타일을 표시함으로써 그것들의 타일들의 조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플래그 데이터는, 그것들의 타일들의 처리를 수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과 연관된 아주 다양한 다른 특성을 가리킬 수도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주어진 입력 타일이 제1 기여의 역치레벨미만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출력 그래픽 타일이 그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거나, 무시 가능한 정도로 영향을 받음에 따라서, 그 입력 그래픽 타일의 조작이 변경되기도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보적으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이 제2 기여의 역치레벨을 초과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이 그래픽 타일은, 대응한 출력 그래픽 타일의 콘텐트를 독립되게 하거나, 그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에 의해 중첩된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콘텐트에 약간만 의존되게 하는, 효과를 갖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 그것들의 그 밖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조작은, 출력 그래픽 타일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반영하도록 수정되어도 좋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은 메모리에 기억되고, 타일 판독 회로소자는 그 메모리에 결합되어 그 그래픽 타일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동작 수정의 일례는, 상기 타일 판독 회로소자에 결합되어 공통 타일 에어리어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타일 플래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 중 각 타일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는지 아닌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타일 판독 억제 회로소자에 의해 제공되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출력 그래픽 타일에 아무런 또는 거의 영향이 없는 입력 그래픽 타일은, 메모리로부터 반입되어서 메모리 대역폭, 처리(예를 들면, 어떠한 조작과 합성 자체 양쪽), 에너지 및 시간을 절감하는 것이 억제되기도 한다.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 형태의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화소마다 투명도의 정도를 지정하는 화소별 투명도 데이터에 부가하여 제공된다. 화소별 단위의 상기 투명도 데이터를, 때때로 알파 플레인 데이터라고 한다.
또한,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부가적(예를 들면, http://rbwhitaker.wikidot.com/additive -sprites 참조) 또는 곱셈적 혼합을 사용한 합성동작일 경우에, 타일 판독이나 그 밖의 처리를 제어하는데 사용된 강도 플래그 데이터의 형태이어도 된다. 이 사용된 혼합에 따라, 타일 판독의 억제는, 상기 타일 강도가 제1의 소정값 이하 또는 제2의 소정값 초과인 경우 일어나도 된다. 상기 화소들의 색공간은, RGB, sRGD 및 YUV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입력 그래픽 타일은, 색성분 화소값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타일 판독 억제 회로소자는, 입력 그래픽 타일이 출력 그래픽 타일에 아무런 또는 거의 영향이 없을 때 소정의 강도미만의 색성분 값의 판독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일부의 실시예는, 어떤 특정색이 투명한 것으로서 취급되어야 하는 크로마키(chroma-key) 동작을 지원하여도 된다.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는, 크로마키 색을 갖는 타일이 투명하고 그에 따라서 판독 및/또는 처리될 필요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이 거의 기여하지 않는 것, 예를 들면, 제1 투명도의 역치레벨을 초과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데이터는, 판독 억제 회로소자를 제어하여 그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의 적어도 일부의 판독을 억제하는데 사용되어도 된다.
입력 그래픽 타일은, 그 입력 그래픽 타일이 서로 중첩하는 상대적 순서를 나타내는 각각의 연관된 우선순위 값을 가져도 좋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이것은 z깊이 값이어도 되지만, 그 밖의 실시예에서는, 간이 묘화순서이어도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판독 억제 회로소자는, 상기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에 의해 중첩된 것을 나타내는 우선순위 값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입력 그래픽 타일의 대응한 부분의 판독을 억제하기 위해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의 제2 기여의 역치레벨초과를 나타내는 타일 플래그 값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불투명하거나 거의 불투명한 입력 그래픽 타일이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입력 그래픽 타일과 중첩하면, 그것들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그래픽 타일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는 것은, 이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입력 그래픽 타일들이 상기 생성되는 출력 그래픽 타일에 아무런 또는 거의 영향이 없을 것이기 때문에 억제되어도 된다.
상기 합성 회로소자는, 입력 그래픽 타일을 조합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수의 다른 기능도 행하여도 좋다. 상기 합성 회로소자에서 행한 가능한 기능은 입력 그래픽 타일의 회전 기능과 입력 그래픽 타일의 크기 조정(scaling)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동작은, 유저가 보유한 것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방위가 검출되어 그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상에서 일반적인 것이다.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각각에 대한 메타데이터로서 간편하게 기억되어도 된다. 이 메타데이터는, 입력 그래픽 타일의 전체 데이터를 판독할 필요 없이 판독되어 작용되어도 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의 계층내에 배치되어도 되고, 이때의 그 계층내의 각 레벨은 출력 그래픽 프레임내에서 크기를 증가시키는 영역들을 나타낸다. 따라서, 타일 플래그 메타데이터는, 입력 그래픽 타일의 주어진 프레임에 대한 각 타일마다, 각 영역마다 또는 각 프레임마다 제공되어도 된다.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는, 입력 그래픽 타일들이 생성될 때 간편하게 생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그 메타데이터는, 입력 그래픽 타일과 계속 연관되어 있고, 보다 큰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서 그 입력 그래픽 타일의 조작/처리를 수정하는데 사용되어도 된다.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연관된 입력 그래픽 타일에 대해서, 상기 타일이 제1 기여의 역치레벨미만을 갖는 것, 상기 타일이 제2 기여의 역치레벨초과를 갖는 것, 또는 상기 타일이 상기 제1 기여의 역치레벨미만도 상기 제2 기여의 역치레벨초과도 아닌 것 중 하나를 나타내는 2비트 데이터이어도 된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는, 연관된 완전한 입력 그래픽 타일의 기여를 나타내거나, 그 입력 그래픽 타일의 다른 부분들이 타일 데이터 플래그에 의해 나타낸 것처럼 그 타일들이 갖는 기여의 레벨에 의존하여 각기 다른 형태의 처리/조작이 이루어지면서 그 입력 그래픽 타일의 복수의 부분(영역)과 연관된 기여를 따로따로 나타내어도 된다.
상술한 것처럼, 일부의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 수정 회로소자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입력 그래픽 타일의 판독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 수정 회로소자는,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에 대한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들의 타일 플래그 데이터에 따라 각각의 입력 그래픽 타일에 대한 적어도 일부의 처리동작에서 선택적으로 억제하는데 사용하도록 구성된 처리 억제 회로소자를 구비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본 발명은, 출력 그래픽 프레임을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출력 그래픽 타일을 생성하기 위해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이 장치는,
공통 타일 에어리어가 자신을 위한 출력 그래픽 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을 조합하는 합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각 타일이 연관된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갖고,
상기 공통 타일 에어리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에 대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판독하고, 타일 플래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조작을 제어하는 동작 수정수단을 더 구비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본 발명은, 출력 그래픽 프레임을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출력 그래픽 타일을 생성하기 위해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공통 타일 에어리어가 자신을 위한 출력 그래픽 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각 타일이 연관된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갖고,
상기 공통 타일 에어리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에 대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
타일 플래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조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아래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다수의 출력 그래픽 타일을 포함하는 출력 그래픽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층의 입력 그래픽 타일을 조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입력 그래픽 타일을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전부 상기 출력 프레임내의 공통 에어리어와 연관된 출력 그래픽 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입력 그래픽 타일 3개를 합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타일 플래그 데이터(예를 들면,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입력 그래픽 타일의 반입을 억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별개의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각각의 부분과 연관시킨 입력 그래픽 타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레벨이 하나의 타일, 하나의 영역 및 하나의 프레임에 각각 대응한 메타데이터의 계층내에 메타데이터 형태의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그래픽 처리장치에 의해 메모리로부터 반입된 입력 그래픽 타일에 관해 행해진 처리 동작을 억제하는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출력 그래픽 타일을 포함하는 출력 그래픽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층의 입력 그래픽 타일을 조합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입력 그래픽 타일을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전부 상기 출력 프레임내의 공통 에어리어와 연관된 출력 그래픽 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입력 그래픽 타일 3개를 합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타일 플래그 데이터(예를 들면,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입력 그래픽 타일의 반입을 억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별개의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각각의 부분과 연관시킨 입력 그래픽 타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레벨이 하나의 타일, 하나의 영역 및 하나의 프레임에 각각 대응한 메타데이터의 계층내에 메타데이터 형태의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그래픽 처리장치에 의해 메모리로부터 반입된 입력 그래픽 타일에 관해 행해진 처리 동작을 억제하는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복수의 입력 그래픽 타일로 각각 이루어진 복수의 입력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예에서, 입력 그래픽 타일은, 16*16화소를 갖는다. 각 화소는 투명도(또는 알파 플레인) 값과 함께 연관된 빨강, 녹색 및 청색 화소값을 갖는다. 일부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소 색성분 값에, 상기 연관된 투명도 값을 사전 곱셈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동작 수정 회로소자(예를 들면, 판독 억제 회로소자)는, 사전 곱셈된 색성분 값들이 상기 출력 프레임내의 대응한 화소들에 거의 또는 아무런 기여(영향)를 하지 않으므로 소정의 강도미만과 그 사전 곱셈된 색성분 값들의 판독이나, 그 밖의 처리를 억제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도 1에는, 입력 프레임들의 상대적 순서가 도시되어 있음에 따라서, 입력 프레임 2가 입력 프레임 1(후에 적어도 묘화되는 의미에서)에 중첩하고 나서, 입력 프레임 0에 중첩한다. 이러한 순서는, 각 입력 프레임과 연관된 우선순위 값으로 나타내어져도 된다.
입력 프레임들은, 각 타일마다 합성동작에서 조합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로 표시된) 각각의 대응한 입력 그래픽 타일들은, #로도 표시된 공통 에어리어에 대한 출력 그래픽 타일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공통 에어리어에 대응할 때 조합된다. 다른 층/표면들은, 사이즈가 같을 필요는 없거나, 서로 완전히 중첩할 필요는 없다. 상기 타일들은 층간에 정렬될 필요가 없고, 하나의 출력 타일은 같은 층내의 몇몇의 인접한 입력 타일에 의존하여도 된다.
도 2는 그래픽 처리장치(4)와 메모리(6)로 이루어진,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 메모리(6)에는, 입력 그래픽 타일들(8), (타일 투명도 데이터 및/또는 타일 강도 데이터 등의 플래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타일 메타데이터(10), 및 (출력 프레임을 함께 형성하는) 출력 타일들(12)이 기억되어 있다. 상기 그래픽 처리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것들이외의 또 다른 다수의 회로소자를 구비한다. 이것들의 또 다른 회로소자는, 간략을 기하기 위해 도 2에서 생략된 본 기술분야의 회로소자에 익숙한 것이다.
그래픽 처리장치(4)는, 타일 판독 회로소자(14), 합성 회로소자(16) 및 판독 억제 회로소자(18)를 구비한다. 동작상, 상기 타일 판독 회로소자(1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합성될 입력 그래픽 타일들(8)에 대한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타일 메타데이터(10)를 판독한다. 그 판독 억제 회로소자(18)는, 그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해석하여,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의 조작이 효율성을 높이도록 수정되어도 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이 제1 투명도의 역치레벨초과를 갖는(예를 들면, 완전히 투명하거나 약간만 불투명한) 것을 나타내는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가지면, 상기 메모리(6)로부터의 그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의 판독은 억제되어도 된다. 또 다른 형태의 판독 억제는,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이 제2 투명도의 역치레벨(예를 들면, 완전히 또는 거의 불투명한)보다 큰 것을 나타내는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가질 때 일어나기 때문에, 그 불투명하거나 거의 불투명한 그래픽 타일에 의해 중첩되는(이전에 묘화되는) 임의의 또 다른 입력 그래픽 타일의 판독은 억제되어도 된다.
상기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는, 크로마키 데이터를 나타낸다, 즉 하나의 타일의 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크로마키 색에 일치하고 투명한 것으로서 처리/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타일은, 그 크로마키 색에 일치할 때 식별되어 이렇게 하여 상기 타일이 생성될 때 셋업된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가져도 된다. 타일은, 투명도의 역치레벨보다 큰, 그 크로마키 색에 일치하는 화소와 그 나머지 화소가 일부 있어도 되기 때문에, 그 화소들 중 아무것도 출력 타일에 기여하지 않아서 그 타일의 반입이 억제되기도 한다.
상기 판독 억제 회로소자(18)가 입력 그래픽 타일들(8)을 판독하였는지를 식별하였을 때, 상기 타일 판독 회로소자(14)는, 그 메모리(6)로부터 이것들의 입력 그래픽 타일들을 반입하여, 상기 메모리(6)에 기억된 출력 그래픽 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그들의 우선순위와 그들의 화소별 투명도의 각각의 다른 레벨에 따라 조합되어 출력 그래픽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기 합성 회로소자(16)에 공급한다. 다른 합성 방식은, 그 합성된 프레임이 상기 메모리(6)에 기록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합성 디스플레이 제어기로서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직접 보내지는 방식일 것이다.
도 3은 상기 출력 그래픽 프레임내의 공통 에어리어에 전부 대응한 대응 출력 그래픽 타일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 그래픽 타일 3개에 관해 행해진 합성처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각 입력 그래픽 타일은,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 tfd0, tfd1, tfd2로 이루어진 각각의 타일당 메타데이터를 갖는다. 이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는, 상기 대응 타일이 제1 투명도의 역치레벨초과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제1 비트와, 그 입력 그래픽 타일이 제2 투명도의 역치레벨미만을 갖는지(예를 들면, 불투명한지)를 나타내는 제2 비트로 이루어진 2비트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들 플래그 중 어느 쪽도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 입력 그래픽 타일의 처리는 정상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그렇지만, 이들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 비트 중 어느 한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 비트를 사용하여 그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갖는 입력 그래픽 타일이나 그 공통 에어리어의 하나 이상의 그 밖의 입력 그래픽 타일 중 한쪽에 대한 처리를 제어한다.
전체적으로 불투명하거나 또는 투명하지 않은 알파 플레인 투명도 값(예를 들면, 0 또는 255)은 중첩된 타일/층의 강도를 감소시킬 것이다. 또한, 주어진 투명도 값의 상기 타일의 색값들은 그 투명도 값만큼 감소되어서(곱해져서), 이들 색값들의 일부는, 그 출력 타일에 대한 그들의 영향이 너무 작아서 무시될 수 있고 그 색 데이터의 판독이 억제될 수 있도록, 매우 작아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는, 그 결과로 얻어진 색성분 값들이 역치레벨이하일 때 색 데이터의 판독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들을 포함하여도 된다.
투명도 값에 따른 알파 혼합과 함께, 본 기술도 부가적 및 곱셈적 혼합 등의 그 밖의 합성모드를 사용한 실시예들에 적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제1 강도의 역치레벨미만 및/또는 제2 강도의 역치레벨초과인 강도의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강도 플래그 데이터이어도 된다. 강도의 역할(블랙 및 화이트)은, 부가적 혼합, 즉 고강도 화이트가 크게 기여하는 경우에 투명도의 역할과 유사하고, 곱셈적 혼합일 경우에는 반전된다. 강도 값들은, 일부이지만 전부는 아닌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역치와 비교하기 전에 대응한 투명도 값들에 의해 변조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중간 강도 타일도, 이 타일의 반입이 억제되는 충분히 낮은 강도 기여를 야기하는 고 투명도를 가질 수도 있다. 그 강도 플래그 값은, 상기와 같은 투명도 처리 전이나 후의 강도에 의존하기도 한다.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 및/또는 강도 플래그 데이터는, 입력 그래픽 타일의 대응한 출력 그래픽 타일에 대한 기여 레벨을 나타낸다. 이 기여 레벨은, 입력 타일 판독이나 그 밖의 타일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메모리(6)로부터 입력 그래픽 타일의 판독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다. 단계 20에서는, 형성 가능한 출력 그래픽 타일이 있을 때까지 처리를 대기한다. 단계 22에서는, 출력 그래픽 타일이 형성되는 상기 공통 타일 에어리어에 대응한 입력 그래픽 타일 전부에 대한 상기 투명도 플래그 메타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단계 24에서는, 그 입력 그래픽 타일 중 어느 하나가 제1 투명도의 역치레벨초과를 나타내는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갖는지를 식별한다. 단계 26에서는, 제1 투명도의 역치레벨을 초과하는 임의의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을 "반입 금지"로서 표시한다. 그 후, 단계 28에서는, 그 입력 그래픽 타일 중 어느 하나가 제2 투명도의 역치레벨미만을 나타내는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갖는지를 판정한다. 그 입력 그래픽 타일 중 어느 하나가 제2 투명도의 역치레벨미만을 나타내는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갖는 경우, 단계 30은, 단계 30에서 (예를 들면, 각각의 우선순위 값이나 Z깊이 값 등으로 나타낸 것처럼) 상기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에 의해 중복된 임의 입력 그래픽 타일을 "반입 금지"로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단계 32에서는, 상기 판독 회로소자(14)는, "반입 금지"로서 표시되지 않으면 합성처리를 위해 전체 입력 그래픽 타일을 상기 메모리(6)로부터 반입한다. 그리고, 단계 34는, 그 출력 그래픽 타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반입된 타일들에 관해 합성처리를 행한다.
도 5는 타일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갖지 않거나, 또는 타일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갖는 것에 더하여, 하나의 타일이,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 값이 정사각형 타일의 각 부분과 연관된 부분당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가져도 되는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들의 부분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 값 tfdp0, tfdp1, tfdp2, tfdp3은, 상술한 기술들에 따라 상기 부분의 화소값의 처리, 이를테면, 이러한 화소값을 메모리(6)로부터 반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처리를 제어하는데 사용되어도 된다.
도 6은 상기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가 입력 프레임의 메타데이터의 계층내에 어떻게 설치되는지를 도시한 것이다. 이 계층은, (버텍스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갖는 이 타일당 레벨이하의 가능성이 있는) 타일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갖는 타일당 레벨에서 시작한 후, 다수의 타일로 이루어진 구역(region)에 대한 구역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로 진행한다. 끝으로, 예를 들면, 전체 입력 프레임이 투명하였거나 완전히 불투명한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가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일 메타데이터의 일부로서 판독된 상기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는, 처리 억제 회로소자(36)에 의해, 투명하거나(또는 소정의 제1 투명도의 역치레벨을 초과하는) 입력 그래픽 타일들이나, 하나의 입력 그래픽 타일이 불투명하거나 소정의 제2 투명도의 역치레벨미만인 것을 나타내는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를 갖는 상기 하나의 입력 그래픽 타일 아래에 놓여 있는 중첩된(흐릿한) 입력 그래픽 타일들에 대해서, 처리 회로소자(38)가 행한 처리동작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데 사용된다. 특정한 입력 그래픽 타일에 대해 선택적으로 억제된 처리 회로소자(38)는, 회전 및/또는 크기 조정 등의 처리 동작을 행하여도 된다. 이 회전 및/또는 크기 조정은, 그 타일이 너무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타일에 의해 중첩되는 경우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처리 활동의 억제는, 에너지와 시간을 절약한다. 또한, 상기 합성 회로소자(16)의 동작(처리)도 그 타일들에 대해 억제될 수 있다.
Claims (25)
- 출력 그래픽 프레임을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출력 그래픽 타일을 생성하기 위해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공통 타일 에어리어가 자신을 위한 출력 그래픽 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을 조합하는 합성 회로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각 타일이 연관된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갖고,
상기 공통 타일 에어리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에 대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판독하고, 타일 플래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조작을 제어하는 동작 수정 회로소자를 더 구비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된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i)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이 상기 출력 그래픽 타일에 대해 제1 기여의 역치레벨미만이 되는 것; 및
(ii)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이 상기 출력 그래픽 타일에 대해 제2 기여의 역치레벨초과가 되는 것의,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입력 그래픽 타일들을 기억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들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도록 구성된 타일 판독 회로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 수정 회로소자는, 상기 타일 판독 회로소자에 결합되어, 상기 공통 타일 에어리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들에 대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판독하고 타일 플래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각각의 타일들이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타일 판독 억제 회로소자를 구비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i)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의 적어도 일부의 제1 투명도의 역치레벨초과; 및
(ii)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의 적어도 일부의 제2 투명도의 역치레벨미만의,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투명도 플래그 데이터인,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들의 적어도 하나는 화소마다 투명도의 정도를 독립적으로 지정하는 화소별 투명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도의 정도는 상기 합성 회로소자에 의해 입력 그래픽 타일들의 혼합을 제어하는 것인,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별 투명도 데이터는, 입력 그래픽 타일의 화소마다 별개의 알파 플레인 데이터로서 기억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i)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들의 적어도 일부의 제1 강도의 역치레벨미만; 및
(ii)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들의 적어도 일부의 제2 강도의 역치레벨초과의,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강도 플래그 데이터인,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 내의 화소들의 강도 값들은, 상기 제1 역치레벨 및 상기 제2 역치레벨과의 비교 전에 투명도 값들에 의해 변조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들은 색성분 화소 값들을 포함하고, 상기 타일 판독 억제 회로소자는 제1 소정의 강도미만과 제2 소정의 강도초과 중 한쪽의 색성분 값들을 갖는 타일들의 판독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값들은, RGB, sRGB 및 YUV 중 하나인 화소 색공간에 있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억제 회로소자는, 제1의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의 적어도 일부의 판독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제1의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1 기여의 역치레벨미만을 나타내는 타일 플래그에 응답하도록 구성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이 서로 중첩하는 상대적 순서를 나타내는 각각의 연관된 우선순위 값을 갖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억제 회로소자는, 제2의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는 것을 나타내는 우선순위 값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의 판독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제2의 주어진 입력 그래픽 타일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2 기여의 역치레벨초과를 나타내는 타일 플래그 값에 응답하도록 구성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회로소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에 관한 회전동작과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에 관한 크기 조정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이 색이 크로마키 색과 일치하는 적어도 일부의 화소를 가짐에 따라서 상기 제1 기여의 역치레벨미만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의 화소 전부가 상기 크로마키 색과 일치하는 색을 갖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각각에 대해 메타데이터로서 기억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들에 대한 색 데이터는 반입되어 처리될 필요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각각에 대한 상기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의 계층의 일부이고, 상기 계층에서의 각 레벨은 상기 출력 그래픽 프레임내에서 크기를 증가시키는 구역들에 해당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7 항, 제 18 항 또는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입력 그래픽 타일들이 생성될 때 생성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i) 상기 제1 기여의 역치레벨미만;
(ii) 상기 제2 기여의 역치레벨초과; 및
(iii) 상기 제1 기여의 역치레벨미만도 상기 제2 기여의 역치레벨초과도 아닌 것 중,
하나를 나타내는 2비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는,
(i) 완전한 입력 그래픽 타일; 및
(ii) 입력 그래픽 타일의 복수의 부분 중,
하나의 기여를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정 회로소자는, 상기 공통 타일 에어리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에 대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각각의 타일들이 적어도 일부의 처리동작으로부터 제외되는지 아닌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처리 억제 회로소자를 구비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출력 그래픽 프레임을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출력 그래픽 타일을 생성하기 위해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공통 타일 에어리어가 자신을 위한 출력 그래픽 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을 조합하는 합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각 타일이 연관된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갖고,
상기 공통 타일 에어리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에 대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판독하고, 타일 플래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조작을 제어하는 동작 수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장치.
- 출력 그래픽 프레임을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출력 그래픽 타일을 생성하기 위해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공통 타일 에어리어가 자신을 위한 출력 그래픽 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각 타일이 연관된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갖고,
상기 공통 타일 에어리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에 대한 상기 타일 플래그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와,
타일 플래그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그래픽 타일의 조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1314556.0A GB2517185B (en) | 2013-08-14 | 2013-08-14 | Graphics tile compositing control |
GB1314556.0 | 2013-08-14 | ||
PCT/GB2014/051847 WO2015022482A1 (en) | 2013-08-14 | 2014-06-16 | Graphics tile compositing contro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2931A true KR20160042931A (ko) | 2016-04-20 |
KR102224038B1 KR102224038B1 (ko) | 2021-03-08 |
Family
ID=4926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5836A KR102224038B1 (ko) | 2013-08-14 | 2014-06-16 | 그래픽 타일 합성 제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472008B2 (ko) |
KR (1) | KR102224038B1 (ko) |
CN (1) | CN105453137B (ko) |
GB (1) | GB2517185B (ko) |
TW (1) | TWI619090B (ko) |
WO (1) | WO201502248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618029B (zh) * | 2016-07-26 | 2018-03-11 | 聯發科技股份有限公司 | 圖形處理裝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961230A2 (en) * | 1998-05-29 | 1999-12-01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US20070040851A1 (en) * | 1999-05-10 | 2007-02-22 | Brunner Ralph T | Rendering translucent layers in a display system |
US20130063473A1 (en) * | 2011-09-12 | 2013-03-14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layering using tile-based renderers |
US20140072244A1 (en) * | 2012-09-07 | 2014-03-13 | Altek Corporation | Image processing and recor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69636A (en) * | 1985-08-14 | 1988-09-06 | Hitachi, Ltd. | Display control method for multi-window system |
US5638499A (en) * | 1994-05-27 | 1997-06-10 | O'connor; Michael | Image compos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storing and reproducing image data using absorption, reflection and transmission properties of images to be combined |
US5867166A (en) * | 1995-08-04 | 1999-02-02 | Microsoft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mages using Gsprites |
US6049339A (en) * | 1997-12-22 | 2000-04-11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Blending with planar maps |
AU779154B2 (en) * | 1998-09-11 | 2005-01-06 | Canon Kabushiki Kaisha | Compositing objects with opacity for fast rasterised rendering |
US7268779B2 (en) * | 2002-12-24 | 2007-09-11 | Intel Corporation | Z-buffering techniques for graphics rendering |
EP1759380B1 (en) * | 2004-05-14 | 2011-11-16 | NVIDIA Corporation | Low power programmable processor |
GB0426170D0 (en) * | 2004-11-29 | 2004-12-29 | Falanx Microsystems As | Processing of computer graphics |
GB0823254D0 (en) * | 2008-12-19 | 2009-01-28 | Imagination Tech Ltd | Multi level display control list in tile based 3D computer graphics system |
WO2011124271A1 (en) * | 2010-04-09 | 2011-10-13 | Tomtom International B.V. | Method of generating a route |
-
2013
- 2013-08-14 GB GB1314556.0A patent/GB2517185B/en active Active
-
2014
- 2014-06-16 CN CN201480043831.5A patent/CN105453137B/zh active Active
- 2014-06-16 WO PCT/GB2014/051847 patent/WO201502248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6-16 KR KR1020167005836A patent/KR10222403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6-19 US US14/309,487 patent/US9472008B2/en active Active
- 2014-07-15 TW TW103124290A patent/TWI619090B/zh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961230A2 (en) * | 1998-05-29 | 1999-12-01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US6556210B1 (en) * | 1998-05-29 | 2003-04-29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US20070040851A1 (en) * | 1999-05-10 | 2007-02-22 | Brunner Ralph T | Rendering translucent layers in a display system |
US20130063473A1 (en) * | 2011-09-12 | 2013-03-14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layering using tile-based renderers |
US20140072244A1 (en) * | 2012-09-07 | 2014-03-13 | Altek Corporation | Image processing and recor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472008B2 (en) | 2016-10-18 |
TW201508693A (zh) | 2015-03-01 |
CN105453137B (zh) | 2019-11-05 |
WO2015022482A1 (en) | 2015-02-19 |
US20150049118A1 (en) | 2015-02-19 |
GB2517185B (en) | 2020-03-04 |
CN105453137A (zh) | 2016-03-30 |
TWI619090B (zh) | 2018-03-21 |
KR102224038B1 (ko) | 2021-03-08 |
GB2517185A (en) | 2015-02-18 |
GB201314556D0 (en) | 2013-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8852B1 (ko) |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위한 스마트 클리퍼 | |
CN105574918B (zh) | 一种3d模型的材质添加方法、装置及终端 | |
US11902613B2 (en) | Video transparent playing processing method, intelligent television, and storage medium | |
CN108701351B (zh) | 一种图像显示增强方法及装置 | |
US11398195B2 (en) | Backlight brightness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backlight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storage medium | |
KR20150093592A (ko) | 디스플레이용 오버드라이브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
CN105022580B (zh) | 图像显示系统 | |
KR101136195B1 (ko) | 평판 디스플레이에서의 결함 화소 관리 | |
CN104182194A (zh) | 投影显示中无缝边缘融合处理方法与系统 | |
WO2020215207A1 (zh) | 处理图层的方法和装置 | |
JP2010026426A (ja) |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表示制御方法 | |
CN112204619B (zh) | 处理图层的方法和装置 | |
CN104392419A (zh) | 一种为图像添加暗角效果的方法 | |
EP3474539B1 (en)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superimposed image generation method | |
JP2013505854A (ja) | 印刷可能なラスタ画像ファイルを作成する方法 | |
KR102224038B1 (ko) | 그래픽 타일 합성 제어 | |
US9872005B2 (en) | Moving image reproducing apparatus | |
JP2008112133A (ja) | 電子機器 | |
CN104715735A (zh) | 一种背光调整的方法和装置 | |
CN102103849A (zh) | 一种osd控制器 | |
CN109766069B (zh) | 辅助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103024294B (zh) | 色键实现方法和装置 | |
JP4946370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US20200258279A1 (en) |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
US20190149760A1 (en) |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