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855A -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855A
KR20160042855A KR1020160042431A KR20160042431A KR20160042855A KR 20160042855 A KR20160042855 A KR 20160042855A KR 1020160042431 A KR1020160042431 A KR 1020160042431A KR 20160042431 A KR20160042431 A KR 20160042431A KR 20160042855 A KR20160042855 A KR 20160042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ll quality
access point
access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536B1 (ko
Inventor
이정호
김향식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42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5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통화 품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위치별 통화 품질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이용한 이동 통신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은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의 이동 통신 통화 품질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 품질 데이터 수신부, 상기 통화 품질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이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통화 품질 정보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수평적 위치 정보 및 수직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LL QUALITY INFORMATION USING ACCESS POINT}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통화 품질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의 위치별 통화 품질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과 이에 따른 이동 단말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 단말의 기능이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유무선 융합 기술인 FMC(Fixed Mobile Convergence)을 적용한 FMC 폰 등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단말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이동 통신 서비스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때와 장소에 관계 없이 언제나 높은 품질의 이동 통신 서비스, 즉 높은 품질의 통화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들은 전 지역에 걸쳐 기지국을 설치하였으며,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전력 레벨을 측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통화 품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동 통신 사업자는 위치별 통화 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지국과 이동 단말 사이에 송수신하는 신호의 세기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이를 통화 품질 데이터에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통화 품질 측정 방법은 망 사업자가 망 측정 장비를 가지고 직접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전 지역에 걸쳐 기지국을 증설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부담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라 통화 품질을 측정하는 경우, 이동 단말에 GPS가 탑재되지 않는 한, 이동 단말의 위치가 기지국의 커버리지 단위로 측정되므로 이동 단말의 수평적 위치만 측정되어 이동 단말의 수직적 위치에 대한 통화 품질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이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에 따른 통화 품질을 측정하고, 특히 이동 단말이 건물 내에 위치하는 경우, 높이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도 측정하여 수평적 위치뿐만 아니라 수직적 위치에 따른 통화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의 이동 통신 통화 품질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 품질 데이터 수신부, 상기 통화 품질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이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통화 품질 정보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수평적 위치 정보 및 수직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이용한 이동 통신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a)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에 대한 이동 통신 통화 품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통화 품질 정보에 포함된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통화 품질 측정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화 품질 정보 및 상기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매칭하여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는 수평적 위치 정보 및 수직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이용한 이동 통신 통화 품질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동 단말에 대해 통화 품질을 측정할 때, 이동 단말이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다 정확한 위치에 대한 통화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AP)가 위치한 상세한 주소를 포함하고, 특히 건물에 위치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가 위치한 층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므로, 높이에 따른 통화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이용한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품질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이용한 통화 품질 관리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기술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통화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이용한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100)은 이동 통신 시스템(200)을 통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300)을 통해 무선 인터넷, 무선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스마트폰, 셀룰러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FMC(Fixed Mobile Convergence) 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이동 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기지국(210)을 통해 통화 품질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통화 품질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이동 단말(100)의 이동 통신 통화 품질을 측정하고 통화 품질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이동 단말(100)이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수신 신호 강도 지수(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포함하는 통화 품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생성한 통화 품질 정보를 이동 통신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통화 품질 정보는 전술한 수신 신호 강도 지수(RSSI)뿐만 아니라 Ec/Io(Energy per Chip over the Interface noise) 지수 등 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생성한 통화 품질 정보를 기지국(210)를 통해 통화 품질 측정 서버(220)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 단말(100)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300)을 통해 무선 인터넷, 무선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310)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액세스 포인트(AP)(310)에 접속할 때, 이동 단말(100)의 정보,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주소, MAC 주소, 사용자의 식별 정보 등을 액세스 포인트(AP)(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200)은 이동 단말(100)에 음성 통화 등을 제공하며, 기지국(210) 및 통화 품질 측정 서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품질 측정 서버(22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이동 단말(100)의 통화 품질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통화 품질 측정 서버(220)가 저장하는 통화 품질 정보는 전화 번호 등의 이동 단말(100)의 식별 정보, 사용자의 식별 정보, 통화 품질 측정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300)은 이동 단말(100)에 무선 랜(WLAN, Wireless LAN) 등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제공하며, 액세스 포인트(AP)(310)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리 서버(320)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AP)(31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이동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100)의 인증을 수행한다. 액세스 포인트(AP)(310)는 이동 단말(100)의 식별 정보, 접속 시간, 액세스 포인트(AP)(310)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리 서버(320)로 전송한다.
액세스 포인트(AP)(310)의 커버리지는 일반적으로 50 내지 100 미터이며, 건물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310)는 이동 단말(100)과 동일한 건물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의 사용자의 주거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리 서버(320)는 액세스 포인트(310)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저장한다.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리 서버(320)는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31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310)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검색한 위치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베이스(330)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는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AP)(310)가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에 액세스 포인트(AP)(31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리 서버(320)는 특정 이동 단말이 특정 주소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화 품질 관리 서버(400)는 통화 품질 측정 서버(220)로부터 이동 단말(100)의 통화 품질 정보를 수신하고,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리 서버(320)로부터 이동 단말(100)의 액세스 포인트(AP)(310)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
통화 품질 관리 서버(400)는 수신한 통화 품질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통화 품질 관리 서버(400)는 수신한 통화 품질 정보로부터 통화 품질의 대상이 되는 이동 단말(100)의 식별 정보 및 통화 품질 측정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로부터 추출한 이동 단말(100)의 식별 정보 및 통화 품질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추출한다.
통화 품질 관리 서버(400)는 추출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로부터 이동 단말(100)이 통화 품질을 측정한 시간에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 예를 들어 주소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 정보에 통화 품질 측정값을 매칭하여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생성한다.
통화 품질 관리 서버(400)는 생성한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3차원 지리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에 맵핑하여 통화 품질 지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통화 품질 지도를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품질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품질 관리 서버(400)는 통화 품질 정보 수신부(410), 통화 품질 데이터베이스(411),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신부(420), 액세스 포인트 접속 데이터베이스(421), 정보 매칭부(430), 이동 단말 데이터베이스(431), 위치별 통화 품질 산출부(440) 및 통화 품질 지도 생성부(450)를 포함한다.
통화 품질 정보 수신부(410)는 통화 품질 측정 서버(도시 생략)로부터 이동 단말의 이동 통신 통화 품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통화 품질 정보를 통화 품질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한다.
통화 품질 정보 수신부(410)는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에 대한 통화 품질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통화 품질 정보를 각각의 이동 단말에 대응하도록 통화 품질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할 수 있다.
통화 품질 정보 수신부(410)가 수신한 통화 품질 정보는 이동 단말의 통화 품질 지수, 예를 들어, 수신 신호 강도 지수(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Ec/Io(Energy per Chip over the Interface noise) 지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 접속 정보 수신부(420)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리 서버(도시 생략)로부터 이동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접속 데이터베이스(421)에 저장한다.
액세스 포인트(AP) 접속 정보 수신부(420)는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각각의 이동 단말에 대응하도록 액세스 포인트 접속 데이터베이스(421)에 저장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 수신부(420)가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는 이동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이동 단말이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 접속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매칭부(430)는 통화 품질 정보 수신부(410)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 수신부(420)에 의해 수신된 통화 품질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매칭한다.
즉, 정보 매칭부(430)는 통화 품질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로부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통화 품질 측정 시간 정보, 액세스 포인트 접속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 정보 매칭부(430)는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가 대응하고 통화 품질 측정 시간과 액세스 포인트 접속 시간이 대응하는 통화 품질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통화 품질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매칭한다.
예를 들어, 제 1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제 1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 및 MAC 주소가 각각 '01012345678'인 경우, 정보 매칭부(430)는 임의의 통화 품질 정보, 예를 들어 제 1 통화 품질 정보로부터 제 1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인 '010-1234-5678' 및 통화 품질 측정 시간 정보, 예를 들어 '2010-03-15 15:30'를 추출할 수 있다.
정보 매칭부(430)는 추출한 제 1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 데이터베이스(431)에서 제 1 이동 단말의 정보를 검색하여 제 1 이동 단말의 MAC 주소인 '00-1A-2B-3C-4D-5E'를 획득한다.
정보 매칭부(430)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 수신부(420)에 의해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 중에서 제 1 이동 단말의 MAC 주소인 '00-1A-2B-3C-4D-5E'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검색하여 제 1 이동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이 경우, 제 1 이동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에 1회 이상 접속할 수 있으므로, 정보 매칭부(430)는 하나 이상의 제 1 이동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 매칭부(430)는 획득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분석하여 액세스 포인트 접속 시간이 '2010-03-15 15:30'에 대응하는 제 1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 1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와 제 1 통화 품질 정보를 매칭한다.
위치별 통화 품질 산출부(440)는 정보 매칭부(430)에 의해 매칭된 통화 품질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에 따른 통화 품질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한다.
즉, 위치별 통화 품질 산출부(440)는 통화 품질 정보로부터 통화 품질의 측정값을 획득하고,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당시의 이동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여 위치에 따른 통화 품질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는 수평적 위치뿐만 아니라 높이에 따른 수직적 위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위치별 통화 품질 산출부(440)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동 단말이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통화 품질 측정 당시의 이동 단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동 단말이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수평적 위치 및 수직적 위치 정보 또는 액세스 포인트(AP)가 위치한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품질 지도 생성부(450)는 위치별 통화 품질 산출부(440)가 생성한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수평적 위치뿐만 아니라 수직적 위치, 즉 높이까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3차원 지도에 맵핑하여 위치별 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지도를 생성한다.
통화 품질 지도 생성부(450)는 매쉬업(mash up) 방법을 이용하여 통화 품질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매쉬업은 서로 다른 컨텐츠를 조합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도에 관련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매쉬업 방법을 적용하면, 기본 지도 데이터(base map data)를 포함하는 기본 지도(base map) 계층에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계층이 오버레이(overlay)되어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가 생성될 수 있다.
즉, 통화 품질 지도 생성부(450)는 3차원 좌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본 지도 데이터(base map data)에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위치에 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를 오버레이시켜 위치별 통화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품질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통화 품질 지도 생성부(450)에 의해 생성되는 통화 품질 지도에 대하여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이용한 통화 품질 관리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S105)에서,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 통신 통화 품질 정보를 수신한다. 통화 품질 정보는 통화 품질 측정의 대상이 되는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통화 품질 측정 데이터, 통화 품질을 측정한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화 품질 정보에 포함되는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화 품질 측정 데이터는 수신 신호 강도 지수(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Ec/Io(Energy per Chip over the Interface noise) 지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0)에서,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 접속 정보는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한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는 이동 단말이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5)에서,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단계(S105)에서 수신한 통화 품질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단계(S110)에서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에서 검색한다.
즉,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통화 품질 정보에 포함된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통화 품질 측정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통화 품질 정보에 포함된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가 '010-1234-5678'인 경우,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010-1234-5678'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전화 번호가 '010-1234-5678'인 이동 단말의 MAC 주소가 '00-1A-2B-3C-4D-5E'인 경우,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00-1A-2B-3C-4D-5E'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가 대응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검색한 후,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통화 품질 정보에 포함된 통화 품질 측정 시간이 '2010-03-15 15:30'인 경우,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00-1A-2B-3C-4D-5E'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 중에서 '2010-03-15 15:30'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단계(S115)에서의 검색 수행 결과, 통화 품질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25)에서는, 단계(S120)에서 통화 품질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단계(S115)에서 통화 품질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가 검색된 경우, 단계(S115)에서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에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단계(S115)에서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는 이동 단말이 통화 품질을 측정하던 시기에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단계(S115)에서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당시에 이동 단말이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단계(S125)에서 검출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와 통화 품질 정보를 매칭한다. 즉,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단계(S125)에서 검출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와 통화 품질 정보에 포함된 통화 품질 측정 데이터, 예를 들어 수신 신호 강도 지수(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Ec/Io(Energy per Chip over the Interface noise) 지수 등을 매칭시킨다.
또한,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 및 통화 품질 측정 데이터와 함께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도 또한 매칭시킬 수 있다.
단계(S125)에서 검출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는 통화 품질을 측정하던 당시에 이동 단말이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며, 액세스 포인트(AP)의 커버리지가 일반적으로 50 내지 100 미터이며, 인빌딩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AP)의 커버리지는 이보다 더 좁아진다.
따라서, 단계(S125)에서 검출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는 통화 품질을 측정한 이동 단말의 위치로 판단될 수 있다.
단계(S135)에서는, 단계(S120)에서 통화 품질 측정 시간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통화 품질 정보에 포함된 통화 품질 측정 데이터를 매칭한다.
단계(S140)에서, 단계(S130)에서 매칭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 정보 및 통화 품질 측정 데이터 또는 단계(S135)에서 매칭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와 통화 품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S125)에서 검출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위치는 통화 품질을 측정한 이동 단말의 위치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단계(S140)에서 생성되는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는 통화 품질을 측정 당시의 이동 단말의 위치에 대한 통화 품질 측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단계(S145)에서, 단계(S140)에서 생성된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지도에 맵핑하여 통화 품질을 표시하는 통화 품질 지도를 생성한다. 특히,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수평적 위치뿐만 아니라 수직적 위치, 즉 높이까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3차원 지도에 맵핑하여 단순히 평면에서의 통화 품질이 아니라 높이에 따른 통화 품질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화 품질 지도를 생성한다.
통화 품질 지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매쉬업(mash up)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3차원 좌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본 지도 데이터(base map data)에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가 매칭되고, 매칭된 위치에 통화 품질을 나타내는 표시를 오버레이되어 위치별 통화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품질 지도가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통화 품질 관리 방법에 따르면 통화 품질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이동 단말이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화 품질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을 주기로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따른 통화 품질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의 (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통화 품질 측정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통화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품질 관리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통화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위치별 통화 품질을 나타내고 있으며, 통화 품질의 수준은 양호(A), 보통(B) 및 불량(C)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통화 품질 지도는 종래의 수평적 위치에 따라 측정된 통화 품질 정보를 지도에 맵핑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a)의 통화 품질 지도는 수평적 위치에 따른 통화 품질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서 제 1 건물(610)에서는 양호(A) 및 불량(C)의 통화 품질이 동시에 표시되고, 제 2 건물(620)에서는 양호(A), 보통(B) 및 불량(C)의 통화 품질이 동시에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건물에 다양한 종류의 통화 품질이 측정되므로, 측정된 통화 품질이 건물의 어느 높이에서의 통화 품질인지를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비해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품질 관리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통화 품질 정보를 포함하므로, 도 4의 (b)는 수평적 위치뿐만 아니라 수직적 위치에 따른 통화 품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b)에서, 도 4의 (a)와 마찬가지로 제 1 건물(610)에서는 양호(A) 및 불량(C)의 통화 품질이 동시에 표시되고, 제 2 건물(620)에서는 양호(A), 보통(B) 및 불량(C)의 통화 품질이 동시에 표시되지만, 도 4의 (a)와 달리 통화 품질이 수직적 위치, 즉 높이에 따라 표시된다.
즉, 제 1 건물(610)의 고층에서 불량(c)의 통화 품질이 표시되고, 제 1 건물(610)의 저층에서 양호(A)의 통화 품질이 표시된다. 이를 통해 제 1 건물(610)의 고층에서의 통화 품질은 불량이며, 저층에서의 통화 품질은 양호하다는 것이 직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제 2 건물(620)의 저층, 중간층 및 고층 각각에서 양호(A), 보통(B) 및 불량(C)의 통화 품질이 표시되며, 이를 통해 제 2 건물(620)의 높이에 따른 통화 품질이 직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된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 및 통화 품질 지도를 통해 통화 품질 관리자는 수평적 위치뿐만 아니라 수직적 위치에 따른 통화 품질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통화 품질 측정 서버가 수신 신호 강도 지수(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Ec/Io(Energy per Chip over the Interface noise) 지수 등의 통화 품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통화 품질 측정 데이터를 통화 품질 정보와 함께 통화 품질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AP)가 수신 신호 강도 지수(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Ec/Io(Energy per Chip over the Interface noise) 지수 등의 통화 품질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화 품질 측정 데이터가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와 함께 통화 품질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통화 품질 관리 서버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리 서버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뿐만 아니라 통화 품질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화 품질 정보에 포함된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와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가 서로 상이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화 품질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 정보는 동일하게 이동 단말의 가입자의 정보 등을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동 단말, 220 : 통화 품질 측정 서버,
310 :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320 :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리 서버,
400 : 통화 품질 관리 서버

Claims (10)

  1.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리 서버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이동 단말의 정보,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접속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주소 정보 및 건물 층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접속 시간을 포함하는 것인,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정보,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접속 정보를 통화 품질 측정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 관리 방법.
  4. 위치별 통화 품질을 측정하는 서버에 있어서,
    통화 품질 측정 서버로부터 이동 단말의 통화 품질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 품질 정부 수신부;
    액세스 포인트 접속 관리 서버로부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접속 정보 수신부;
    상기 이동 단말의 통화 품질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 중 상기 이동 단말이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 매칭부;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별 통화 품질 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주소 정보 및 건물 층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통화 품질 측정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품질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번호, 통화 품질 정보 및 통화 품질 측정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복수의 이동 단말의 식별 번호,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접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통화 품질 측정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매칭부는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 중 상기 통화 품질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 중 상기 통화 품질 측정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정보를 검색하는 것인, 통화 품질 측정 서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별 통화 품질 산출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및 상기 통화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수평적 위치 정보 및 수직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통화 품질 측정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3차원 좌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본 지도(base map) 데이터 및 상기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에 기초하여 3차원 통화 품질 지도를 생성하는 통화 품질 지도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통화 품질 측정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품질 지도 생성부는 매쉬업(mash up)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지도 데이터에 상기 생성된 위치별 통화 품질 데이터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상기 3차원 통화 품질 지도를 생성하는 통화 품질 측정 서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품질 지도 생성부는 상기 3차원 통화 품질 지도에 건물의 높이에 따른 통화 품질을 표시하는 것인, 통화 품질 측정 서버.
KR1020160042431A 2016-04-06 2016-04-06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86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431A KR101686536B1 (ko) 2016-04-06 2016-04-06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431A KR101686536B1 (ko) 2016-04-06 2016-04-06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118A Division KR101771205B1 (ko) 2010-04-14 2010-04-14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855A true KR20160042855A (ko) 2016-04-20
KR101686536B1 KR101686536B1 (ko) 2016-12-14

Family

ID=5591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431A KR101686536B1 (ko) 2016-04-06 2016-04-06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5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974A1 (ko) * 2016-09-05 2018-03-08 주식회사 케이티 액세스 포인트의 공인 아이피 주소를 통한 3차원 건물 무선 품질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KR20190017249A (ko) * 2017-08-10 2019-02-20 주식회사 키위플러스 저전력 측위 방법, 단말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441A (ja) * 2002-03-13 2003-09-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ビル内位置検出システム
KR20070056326A (ko) * 2005-11-29 2007-06-04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gps정보를 이용한 통화품질 분석방법
KR20080043558A (ko) * 2006-11-14 2008-05-19 (주) 엘지텔레콤 존설정기를 이용한 통화품질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278210A (ja) * 2008-05-13 2009-11-26 Shimizu Corp 位置情報管理装置および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441A (ja) * 2002-03-13 2003-09-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ビル内位置検出システム
KR20070056326A (ko) * 2005-11-29 2007-06-04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gps정보를 이용한 통화품질 분석방법
KR20080043558A (ko) * 2006-11-14 2008-05-19 (주) 엘지텔레콤 존설정기를 이용한 통화품질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278210A (ja) * 2008-05-13 2009-11-26 Shimizu Corp 位置情報管理装置および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974A1 (ko) * 2016-09-05 2018-03-08 주식회사 케이티 액세스 포인트의 공인 아이피 주소를 통한 3차원 건물 무선 품질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KR20180026866A (ko) * 2016-09-05 2018-03-14 주식회사 케이티 액세스 포인트의 공인 아이피 주소를 통한 3차원 건물 무선 품질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단말
KR20190017249A (ko) * 2017-08-10 2019-02-20 주식회사 키위플러스 저전력 측위 방법, 단말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536B1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920B1 (ko) 이동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법
US8805403B2 (en) Automatic data accuracy maintenance in a Wi-Fi access point location database
JP4979813B2 (ja) 端末装置の位置を測位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747195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stimating a user position in a WLAN positioning system based on user assigned access point locations
US8428098B2 (en) Geo-locating end-user devices on a communication network
US9729504B2 (en) Method of near real-time automated global geographical IP address discovery and lookup by execut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stored o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302607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dentification
US8744409B2 (en) Lo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cure user plane location enabled terminal
EP1992179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stimating a user position in a wlan positioning system based on user assigned access point locations
CN106685891A (zh) 一种接入网络的认证方法及装置
KR101686536B1 (ko)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2932734B (zh) 一种确定终端之间距离的方法、装置及系统
US202301046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nstallation information of network access device
KR101771205B1 (ko)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통화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2278973A (ja) 位置情報管理装置および位置情報参照端末
KR100835649B1 (ko) 이동통신 교환국 간의 경계지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6358284B (zh) 一种位置信息确定方法及装置
US9203710B2 (en) Location of equipment by its IP address
CA26281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network survey, location and management
JP6652254B2 (ja) 通信端末及び方法
US11956326B2 (en) Method of determining a location of a client in a private network and communication network
KR101431527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로그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고객 단말기, 및 그 로그정보 제공/조회 방법
KR20180114735A (ko)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통신 품질 확인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48690B1 (ko)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6753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측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