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796A - Flexible battery, supplementary battery and watch strap comprising the flexible battery - Google Patents

Flexible battery, supplementary battery and watch strap comprising the flexible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796A
KR20160042796A KR1020150141823A KR20150141823A KR20160042796A KR 20160042796 A KR20160042796 A KR 20160042796A KR 1020150141823 A KR1020150141823 A KR 1020150141823A KR 20150141823 A KR20150141823 A KR 20150141823A KR 20160042796 A KR20160042796 A KR 20160042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ttern
flexible battery
electrode assembl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8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6836B1 (en
Inventor
노승윤
최원길
조현우
남지현
장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ublication of KR20160042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7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8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plate-like electrodes
    • H01M2/0275
    • H01M2/0287
    • H01M2/168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A flexible battery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battery comprises: an electrode assembly; and a cladding encapsulating the electrode assembly with an electrolyte, and having an insulating layer, provided in on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for blocking a heat movement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attery.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ladding individually have a pattern for contraction and relaxation in a lengthwise direction when bending, which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rectivity. Accordingly, the flexible battery has excellent heat movement blocking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lexible battery, and excellent durability while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thereby being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requiring a flexible battery such as a wearable device of a smart watch, a watch strap, etc., as well as a rollable display or the like.

Description

플렉서블 배터리,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및 시계줄{Flexible battery, supplementary battery and watch strap comprising the flexible batter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battery,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flexible battery,

본 발명은 플렉서블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내부 및 외부 간 열이동 차단성이 우수하고, 배터리의 유연성이 매우 뛰어난 동시에 내구성이 우수한 플렉서블 배터리,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및 시계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battery which is excellent in flexibility in blocking heat transfer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a flexible battery, has excellent flexibility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

전자제품의 디지털화와 고성능화 등으로 소비자의 요구가 바뀜에 따라 시장 요구도 박형 및 경량화와 고에너지 밀도에 의한 고용량을 지니는 전원 공급 장치의 개발로 흐름이 바뀌고 있는 상황이다.As consumers' demands have changed due to digitization and high performance of electronic products, market demand is chang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power supply devices with high capacity due to thinness and light weight and high energy density.

최근,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 모바일 전자기기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두루마리형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전자종이(flexible e-paper), 플렉서블 액정표시장치(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flexible-LCD),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flexible-OLED) 등이 적용된 플렉서블 모바일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모바일 전자기기를 위한 전원 공급 장치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어야 한다.In recent years, demand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portable telephones, notebooks, digital cameras, and the like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Especially, the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rolled-up displays, flexible e-paper,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flexible OLEDs), and the like have been increasingly interested in flexible mobil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ly, a power supply for a flexible mobile electronic device should also be required to have flexible characteristics.

이와 같은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 중 하나로 플랙서블 배터리가 개발되고 있다.Flexible batteries are being developed as one of the power supply devices capable of reflecting such characteristics.

플랙서블 배터리는 플랙서블한 성질을 지닌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는 납 축전지와,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니켈-아연 배터리 등 다른 배터리와 비교하여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활용도를 갖는다.Flexible batteries include flexible nickel-cadmium batteries, nickel-metal hydride batteries, nickel-hydrogen batteries, and lithium-ion batteries. In particular, lithium-ion batteries have high utilization because they have a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and rapid charging as compared to lead batteries and other batteries such as nickel-cadmium batteries, nickel-hydrogen batteries and nickel-zinc batteries.

상기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데, 주로 금속캔을 용기로 하여 용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금속캔을 용기로 사용하는 원통형 리튬이온 배터리는 형태가 고정되므로 전기 제품의 디자인을 제한하는 단점이 있고 부피를 줄이는데 어려움이 있다.The lithium-ion battery uses a liquid electrolyte, and is mainly used as a metal can as a container. However, a cylindrical lithium ion battery using a metal can as a container has a disadvantage of restricting the design of the electric appliance because of its fixed shape, and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volume.

특히, 앞서 언급했듯이 모바일 전자기기는 발전되어 박막화되고 소형화될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하여, 기존의 금속캔을 사용한 리튬이온 배터리나, 각형 구조의 배터리는 상기와 같은 모바일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as mentioned above, mobile electronic devices are developed to be thin and miniaturized as well as being flexible. Thus, a lithium ion battery using a conventional metal can or a battery having a square structure is not easy to apply to mobile electronic devices have.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전해질을 두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파우치에 넣고 실링하여 사용하는 파우치형 배터리가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structural problem, a pouch type battery in which an electrolyte is sealed in a pouch containing two electrodes and a separator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파우치형 배터리는 가요성(flexible)을 갖는 소재로 제작되어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며, 높은 질량당 에너지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uch a pouch-type battery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nd has an advantage that an energy density per mass can be realized.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형 배터리(1)는 외장재(10)의 내부에 전극조립체(20)가 봉지 된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외장재(10)는 내부 수지층, 금속층 및 외부 수지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 중 금속층은 방습 등을 위한 외장재의 필수 구성 요소로서, 금속층은 밀도가 조밀하여 습기 및 전해액이 통과할 수 없어 외장재의 외부에서 외장재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장재 내부에 위치되는 전해액이 외장재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pouch-type battery 1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assembly 20 sealed inside the casing 10, and the casing 10 has an inner resin layer, a metal layer, Layer structure. The metal layer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exterior material for moisture-proofing and the like. The metal layer is densely dense to prevent moisture and electrolytic solution from passing therethrough, thereby preventing moisture from permeating into the exterior material from the exterior of the exterior material.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olyte solution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층은 탄성 복원력이 부족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어려움에 따라 상기 외장재가 사용된 플렉서블 배터리에 크랙(crack)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metal layer has a problem that cracks are caused in the flexible battery in which the outer casing is us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flexibility higher than a certain level due to insufficient elastic restoring force.

더욱이, 상기 파우치형 배터리(1)가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현되어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우치형 배터리(1)는 단순한 플렉서블 형태로 구현되기 때문에 사용과정 중에서 반복적인 밴딩이 일어나게 되면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가 반복적인 수축 및 이완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거나 성능이 최초 설계치에 비하여 상당한 수준으로 감소되어 배터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다.Further, the pouch type battery 1 may be embodied in a flexible form and applied to a product.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ouch-type battery 1 is implemented in a simple flexible form, if the repeated bending occurs during the use process, the casing and the electrode assembly are repeatedly damaged due to shrinkage and relaxation, or the performance is considerably higher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exercising its function as a battery.

한편, 플렉서블 배터리는 장시간 배터리 사용 시 발열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만일 플렉서블 배터리가 전자기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발열은 배터리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전자부품의 기능,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배터리가 시계줄 등에 응용될 때 발열의 문제는 이를 착용하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더불어 플렉서블 배터리는 배터리의 보호를 위하여 별도의 부재에 내장되어 전자기기에 구비되거나 시계줄 등으로 응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배터리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폴리머로 인서트 몰딩되어 성형물 내부에 내장될 수 있는데, 상기 인서트 몰딩 공정은 사용되는 몰딩재료의 융점에 따라 온도가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150℃ 이상의 고온에서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공정 중 가해지는 열이 플렉서블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을 팽창시켜 누액을 발생시키거나 전극조립체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점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성형체 내부에 플랙서블 배터리를 삽입시키는 경우 성형체와 배터리 외부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고, 상기 유격은 플랙서블 배터리의 밴딩과정에서 소음을 발생시키고 성형물 외부 표면에 주름을 발생시켜 시계줄 외관의 미감을 현저히 저해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배터리를 하우징함에 있어서 인서트 몰딩 방법을 채용하는 것은 플렉서블 배터리 자체의 특성(가요성) 및 적용처(시계줄, 롤러블 디바이스 등)를 고려했을 때 필수적으로 채택되어야 공정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exible battery may cause a heat generation problem when the battery is used for a long time. If the flexible battery is provid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the heat generated may deteriorate the function and durability of the electronic component disposed adjacent to the battery. In addition, when a flexible battery is applied to a wristband or the like, a problem of heat generation may be uncomfortable to a wearer. In addition, the flexible battery is installed in a separate member for protecting the battery, and can be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or a watch band. Specifically, the flexible battery may be insert molded into a polymer such as polyurethane and embedded in the molding. The insert molding process may vary in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melting point of the molding material us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applied during the process expands the electrolyte in the flexible battery to cause leakage or damages the electrode assembly. Further,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when a flexible battery is inserted into a separately manufactured molded body, a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molded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and the clearance generates noise during the bending process of the flexible battery, The wrinkle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wristwatch, which can significantly impair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of the wristwatch. Therefore, the adoption of the insert molding method in the housing of the flexible battery may be a process that must be adopted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flexibility) of the flexible battery itself and the application (such as a wristwatch or a rollerbing device).

이에 따라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지연, 차단시키고, 나아가 인서트 몰딩시 플렉서블 배터리에 가해지는 고열에도 열이 플렉서블 배터리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이 지연, 차단됨에 따라서 플렉서블 배터리의 내구성 저하가 방지되며, 유연성이 향상되어 밴딩이 가능한 동시에 잦은 밴딩에도 내구성이 유지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As a result, the heat generated in the flexible battery is delayed and blocked from being moved to the outside, and furthermore, the heat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inside of the flexible battery even in the high temperature applied to the flexible battery in the insert molding,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a flexible battery in which flexibility is improved to enable bending while maintaining durability with frequent bending.

KRKR 10-2012-002349110-2012-0023491 A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에 각각 형성되는 소정의 패턴을 통하여 밴딩이 발생하더라도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exible battery which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cracks even if banding occurs through a predetermined pattern formed on the casing and the electrode assembly.

또한, 본 발명은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에 각각 형성되는 패턴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반복적인 밴딩이 발생하더라도 배터리로서 요구되는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battery capable of preventing or minimizing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a battery even if repetitive banding occurs because the patterns formed on the casing and the electrode assembly are form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나아가, 본 발명은 플렉서블 배터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외부에서 플렉서블 배터리에 가해지는 열의 이동이 차단되어 플렉서블 배터리 외부의 사용자 또는 전자부품을 보호하고, 플랙서블 배터리 내부 전해액의 열팽창 등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flexible battery or the movement of heat applied to the flexible battery from the outside is blocked to protect the user or the electronic part outside the flexible battery, and the flexible batter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battery which can prevent a decrease in durability.

더불어, 본 발명은 유연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고 열에 의한 내구성 저하가 방지됨에 따라서 하우징과 일체화되도록 제조될 수 있어서 밴딩에 의한 소음발생이 방지되고, 밴딩시 하우징의 외표면에 주름, 굴곡이 발생하지 않아 미감이 우수하며,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아 사용자 및 전자제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보조배터리, 시계줄 및 헤드폰용 헤어밴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durability and is prevented from deterioration in durability due to heat, it can be manufactured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housing, so that noise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by the banding and wrinkles and bends do not occu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a watch band and a hair band for a headphone that does not transmit heat generated from the flexible battery to the outside and does not affect the user and the electronic produc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며, 배터리의 내부와 외부간의 열 이동을 차단시키는 단열층을 외부에 노출되는 일면에 구비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는 밴딩시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각각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 covering member sealing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and having a heat insulating layer on one side exposed to the outside to block heat transfer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attery, And the patterns for shrinkage and relaxation are formed to have the same directionality, respectively.

또한, 상기 패턴은 상기 외장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 및 상기 전극조립체에 상기 제1패턴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attern may include a first pattern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asing, And a second pattern formed on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pattern, and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may be arrang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패턴은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산부 및 골부는 호형단면, 다각단면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ter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hill portions and the valleys are alternate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ill portions and the valleys may have arc-shaped cross-sections, polygonal cross-sections, and mutually-combined cross-sections.

또한, 상기 패턴은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ttern may be formed entirely or parti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sing, and each of the crests and valleys may be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sing. .

이때, 서로 이웃하는 복수 개의 산부 또는 골부간의 간격은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등간격과 부등간격이 상호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패턴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neighboring mountains or valleys may be formed to have equal intervals or unequal intervals, or alternatively, the equal intervals and the unequal intervals may be mutually combined, and the pattern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continuously formed.

또한, 상기 외장재는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중 외장재에 형성되는 패턴은 상기 제1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The casing may include a first region for forming a housing portion for hous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nd a second region surrounding the first region to form a sealing portion, May be formed only in the first region.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는, 집전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활물질이 코팅되어 구성되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 섬유를 함유한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물질은 크랙을 방지하고 집전체로부터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PTFE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ectrode assembly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formed by coating an active material on part or all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 separator may include a porous nonwoven fabric layer having micropores,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include a nanofiber web layer containing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on one side or both sides thereof. At this time, the active material may include PTFE to prevent cracking and to prevent peeling from the current collector.

또한, 상기 외장재는 제1수지층, 금속층 및 단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지층은 PPa(acid modified 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lyp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 중 선택된 1종의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2종 이상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구리, 인청동(phosphorbronze, PB), 알루미늄청동(aluminium bronze), 백동, 베릴륨-구리(Berylium-copper), 크롬-구리, 티탄-구리, 철-구리, 코르손 합금 및 크롬-지르코늄 구리 합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지층은 평균두께가 20㎛ ~ 80㎛일 수 있고, 상기 금속층은 두께가 5㎛ ~ 10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ior material may include a first resin layer, a metal layer, and a heat insulating layer sequentially laminated. The first resin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cid-modified polypropylene (PPa), cast polyprolypene (CPP),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cetate (EVA), an epoxy resin, and a phenol resin, or may be formed by stacking two or more kinds thereof. In addition, the metal layer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aluminum, copper, phosphor bronze (PB), aluminum bronze, white copper, beryllium-copper, And chromium-zirconium copper alloys. At this time, the first resin layer may have an average thickness of 20 탆 to 80 탆, and the metal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5 탆 to 100 탆.

또한, 상기 외장재는 금속층과 단열층 사이에 개재된 제2 수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지층은 나일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Cyclo olefin polymer), PI(polyimide) 및 불소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수지층은 평균두께가 10㎛ ~ 50 ㎛일 수 있다.The exterior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sin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layer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cycloolefin polymer (COP), polyimide And the second resin layer may have an average thickness of 10 mu m to 50 mu m.

또한, 상기 금속층 및 제1수지층 사이 개재되는 제1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은 실리콘, 폴리프탈레이트, PPa(acid modified polypropylene) 또는 PEa(acid modified polyethyl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e, polyphthalate, acid modified polypropylene (PPa), and acid modified polyethylene (PEa).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layer and the first resin layer. can do.

또한, 상기 금속층 및 제2 수지층 사이에 개재되는 드라이 라미네이트층(dry lamination layer) 및 상기 제2 수지층과 단열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dry lamination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resin layer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전해액은 겔 폴리머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lytic solution may include a gel polymer electrolytic solution.

또한, 상기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른 늘어난 표면적 비율(Sdr)이 0.5 ~ 40.0을 만족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ion where the pattern is formed may include a region having an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Sdr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0.5 to 40.0.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이때, 상기 패턴이 형성된 일영역의 표면적은 가로길이가 Lx(㎜), 세로길이가 Ly(㎜)인 배터리 일영역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표면적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surface area of one region o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means the surface area based on one area of the battery having a width Lx (mm) and a length Ly (mm).

또한, 상기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른 θ가 5.0° ~ 47°를 만족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ion i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may include a region where? According to Equation (2) satisfies 5.0 deg. To 47 deg.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h는 플렉서블 배터리에 형성된 패턴에서 인접하는 산과 골의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의 평균 수직거리(㎜)이며, 상기 p는 인접하는 두 개 산 각각의 최고점 사이의 평균 수평거리(㎜)를 의미한다.(H) is the average vertical distance (mm) between the highest point and the lowest point of adjacent mountains and valleys in the pattern formed on the flexible battery, and p is the average horizontal distance (mm) between the highest points of the adjacent two mountains.

또한,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는 밴딩시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각각 형성되며, 상기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른 θ가 5.0° ~ 47°를 만족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outer casing that encapsulates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sing are formed such that the shrinkage and relaxation patter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ime of bending have the same directionality, And a region satisfying the following expression (2): &thetas; satisfies 5.0 DEG to 47 DEG.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상기 h는 플렉서블 배터리에 형성된 패턴에서 인접하는 산과 골의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의 평균 수직거리(㎜)이며, 상기 p는 인접하는 두 개 산 각각의 최고점 사이의 평균 수평거리(㎜)를 의미한다.(H) is the average vertical distance (mm) between the highest point and the lowest point of adjacent mountains and valleys in the pattern formed on the flexible battery, and p is the average horizontal distance (mm) between the highest points of the adjacent two mountains.

또한, 상기 단열층은 상기 단열층은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미세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기재 및 단열필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는 섬유웹,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섬유는 유기섬유 및 무기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웹은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된 나노섬유웹이며, 상기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복합나노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합나노섬유는 모노사 내에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가 6:4 ~ 8.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나노섬유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insulating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ous substrate and a heat insulating film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pores capable of receiving air are formed. The porous substrate includes at least one substrat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ibrous web, a nonwoven fabric, a fabric, and a knitted fabric, and the fibers forming the substrate may include one or more fibers of organic fibers and inorganic fibers. Also, the fibrous web is a nanofiber web formed through electrospinning, and the nanofibers forming the nanofiber web include polyacrylonitrile nanofiber, polyvinylidene fluoride nanofiber, polyacrylonitril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Rid < / RTI > composite nanofibers. In this case, the composite nanofiber may be a composite nanofiber in which polyacrylonitril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6: 4 to 8.5: 1.5 in a mono yarn.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은 평량이 2 ~ 6g/㎡이며, 기공도가 40%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nanofiber web may have a basis weight of 2 to 6 g / m 2 and a porosity of 40% or more.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플렉서블 배터리; 및 상기 외장재의 표면을 덮는 연질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충전 대상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부가 구비되는 보조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flexible battery as described above. And a soft housing that covers the surface of the casing, and the housing may be implemented as an auxiliary battery having at least one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harging target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플렉서블 배터리; 및 상기 외장재의 표면을 덮는 연질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시계줄 또는 헤드폰용 헤어밴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above-described flexible battery; And a soft housing for covering the surface of the casing.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보조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auxiliary battery.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에 모두 형성됨으로써 밴딩이 발생하더라도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여 배터리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ttern for shrinking and relax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both the casing and the electrode assemb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racks even if the banding occurs, thereby securing the required physical properties as the battery.

또한, 본 발명은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에 각각 형성되는 패턴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반복적인 밴딩이 발생하더라도 배터리로서 요구되는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s formed on the casing and the electrode assembly are form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even when repetitive banding occurs,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as a battery can be prevented or minimized.

나아가, 배터리의 장시간 사용에 따라 배터리 내부에서의 발생하는 열이 배터리 외부공간으로 이동이 지연 및 차단되어 이를 착용하는 사용자나 인접하는 전자부품에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Further, as the battery is used for a long time, heat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is delayed and blocked from moving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battery, thereby minimizing the influence on the wearer or neighboring electronic parts.

더불어, 배터리의 보호, 외관의 미감향상 등을 위해 배터리 외부를 인서트몰딩을 통해 하우징하더라도 인서트몰딩 시 가해지는 열에 의해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 팽창에 따른 누액발생이나 전극조립체의 열손상이 방지되어 배터리의 품질, 성능의 유지가 가능하고, 플렉서블 배터리가 인서트몰딩을 통해 일체로 하우징에 구비됨에 따라서 밴딩시 소음의 발생 방지 및 하우진 외부면의 주름이나 굴곡발생이 방지될 수 있으며, 하우징과 플렉서블 배터리간에 부착력이 현저히 우수해 잦은 벤딩에도 외부 하우징과 배터리 간에 이격이나 들뜸이 방지됨에 따라서 이를 통해, 스마트 워치, 시계줄, 헤드폰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물론 롤러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배터리의 유연성 확보가 요구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if the battery is housed through insert molding to protect the battery and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external appearance, leakage caused by expansion of the electrolyte inside the battery and heat damage to the electrode assembly are prevented by heat applied during insert molding, The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and the flexible battery can be integrally provided in the housing through the insert molding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during bending and to prevent the wrinkle or bending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wear and tear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battery from frequent bending. Therefore,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 watch, watch strap, and headphone, as well as various electronic devices It is applicable.

도 1은 종래의 배터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전체개략도이고 b)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를 나타낸 전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를 나타낸 전체개략도로서, 제1패턴이 외장재의 수용부 측에만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전극조립체와 외장재에 적용되는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서로 이웃하는 골부 또는 산부들간의 다양한 간격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전극조립체와 외장재에 적용되는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패턴이 전체길이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 적용되는 패턴의 다양한 단면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도로써, 도 10a는 제1수지층, 금속층, 제2수지층 및 단열층 순으로 적층된 외장재를 구비한 플렉서블 배터리를 나타내며, 도 10b는 외장재 중 단열층이 2개층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0c 및 도 10d는 각각 도 10a 및 도 10b의 외장재에서 제2 수지층이 생략된 외장재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의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a)는 밴딩 전후 배터리 용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접힌 부분에 순간적인 외력을 가했을 경우 시간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가 하우징에 내장되어 보조배터리로 구현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일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및 이로 제조되고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사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의 단면 모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attery, in which a) is an overall schematic view, b) is a sectional view,
2 is a general schematic view of a flexible batter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pattern is formed only on the receiving portion side of the casing,
FIG. 4 is a view showing various patterns applied to an electrode assembly and a casing of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various intervals between neighboring valleys or peaks,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patterns applied to an electrode assembly and a facing material in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patterns are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with respect to the entire length.
6 to 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of a pattern applied to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10A shows a flexible battery having an exterior material laminated in the order of a first resin layer, a metal layer, a second resin layer, , Fig. 10B shows a case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layer is provided in two layers, Fig. 10C and Fig. 10D show the exterior material in which the second resin layer is omitted in the case materials in Figs. 10A and 10B,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performance of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battery capacity before and after banding, and b) A graph showing a change in voltage of the battery,
FIG.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de in which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in a housing and is implemented as an auxiliary battery;
FIG. 13 is a view showing a device used in a method of forming a pattern on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graph of a flexible battery being manufactured therefrom, and
14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전해액과 함께 외장재(120)의 내부에 봉지된다.The flexible batter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10 and a casing 120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electrode assembly 110 includes an electrolyte 12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는 밴딩시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19,124)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외장재(120)에 형성되는 제1패턴(124)과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형성되는 제2패턴(119)이 서로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구비된다.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sheath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patterns 119 and 124 for shrinking and relax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ime of bending and the first pattern 124 And the second pattern 119 formed on the electrode assembly 110 have the same directionality.

이와 같은 패턴(119,124)은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100)의 밴딩시 휘어지는 부분에서 곡률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길이변화량을 상쇄하여 줌으로써 기재 자체가 수축되거나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게 된다.The patterns 119 and 124 may prevent or minimize the shrinkage or relaxation of the substrate itself by canceling the length variation caused by the curvature change in the bent portion of the flexible battery 100. [

이를 통해,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를 구성하는 기재 자체의 변형량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므로 반복적인 밴딩이 일어나더라도 휘어지는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기재 자체의 변형량이 최소화됨으로써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가 밴딩에 의해 국부적으로 파손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substrate itself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sing member 120 is prevented or minimized,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substrate itself, which may occur locally in the bent portion, is minimized even if repetitive banding occurs, 110 and the jacket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cally broken or degraded in performance by banding.

이때, 상기 제1패턴(124) 및 제2패턴(119)은 서로 동일한 방향성뿐만 아니라 제1패턴(124)과 제2패턴(119)이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1패턴(124)과 제2패턴(119)이 항상 동일한 거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밴딩이 일어난 후 원상태로 복귀된다 하더라도 항상 제1패턴(124)과 제2패턴(119)이 최초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first pattern 124 and the second pattern 119 are arranged so that the first pattern 124 and the second pattern 119 coincide with each other, as well as the same directionality. This is because the first pattern 124 and the second pattern 119 can always have the same behavior so that the first pattern 124 and the second pattern 119 are always initialized 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of FIG.

이는, 도 11의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is can be confirmed by the graph of FIG.

즉, 온도 25℃, 습도 65%의 환경에서 플렉서블 배터리의 양 단부측에 힘을 가하여 굽혀진 부분에서의 곡률이 25mm가 되도록 밴딩시키고 100회의 충방전을 수행하게 되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100')의 경우 밴딩하지 않았을 때의 용량(135mAh)에 비하여 대략 15% 감소된 용량(116mAh)을 나타내었고 100회가 수행되더라도 성능이 유지되었으나(실시예1), 외장재 측에만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형성한 플렉서블 배터리의 경우 최초대비 대략 60% 감소된 용량(52mAh)에서 서서히 떨어지는 성능을 나타내었고 50회가 넘어갈 경우 충방전이 불가능 하였으며(비교예 1),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 모두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단순 판상의 형태로 구비되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경우 최초대비 대략 80% 감소된 용량(26mAh)의 저하가 발생하였고 30회가 넘어갈 경우 충방전이 불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비교예 2).That is, when a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flexible battery in an environment of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humidity of 65%, and the curvature at the bent portion is made to be 25 mm and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performed 100 times, The capacity of the flexible battery 100 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capacity (116 mAh) reduced by about 15% compared to the capacity without the bending (135 mAh), and the performance was maintained even after 100 times of operation (Example 1) In the case of the flexible battery having the pattern for shrinkage and relaxation only on the side of the casing, the capacity gradually dropped from the initial capacity of about 60% (52 mAh). When the number of cycles exceeded 50, In the case of a flexible battery having a simple plate shape in which no pattern is formed in both the casing and the electrode assembly, a reduction in capacity (26 mAh) of about 80% It was confirmed that charging and discharging were impossible in case of exceeding 30 times (Comparative Example 2).

한편, 온도 25, 습도 65%의 환경에서 플렉서블 배터리의 길이 중간을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시킨 후 시간에 따른 배터리에서의 전압을 측정한 결과,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100')의 경우에는 전압값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나(실시예1), 외장재 측에만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형성한 플렉서블 배터리와(비교예 1),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 모두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단순 판상의 형태로 구비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비교예 2)는 전압값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nvironment of the temperature 25 and the humidity 65%,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flexible battery wa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in the fully folded state, and the voltage in the battery was measured with time.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batteries 100 and 100 ', no change in the voltage value occurred (Example 1), a flexible battery in which a pattern for shrinkage and relaxation was formed only on the exterior material side (Comparative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flexible battery (Comparative Example 2) provided in the form of a simple plate not formed was deteriorated.

달리 말하면, 외장재(120) 및 전극조립체(110)에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19,124)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밴딩이 발생하더라도 성능의 저하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반면에 외장재 측에만 패턴을 형성하거나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에 모두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밴딩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거나 전해액의 누액이 발생하여 배터리로서의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where the external electrodes 1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10 are formed so that the patterns 119 and 124 for shrinkage and relaxa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even if banding occurs, the degradation of the performance does not occur largely, Cracks are generated by bending or leakage of electrolyte occurs, and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deteriorat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 100')는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에 밴딩시 발생되는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19,124)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밴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전극조립체(110)와 외장재(120)가 전체 길이에 대하여 항상 균일한 간격 또는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전극조립체(110)와 함께 봉지되는 전해액이 전체 길이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포됨으로써 배터리로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lexible batteries 100 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such that the patterns 119 and 124 for shrinking and relax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are generated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sing 120 are bent,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sing member 120 can always maintain a uniform gap or contact state with respect to the entire length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so that the electrolyte solution sealed with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uniform The performance as a battery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이를 위해, 상기 제1패턴(124) 및 제2패턴(119)은 각각의 산부 및 골부가 상기 외장재(120) 및 전극조립체(110)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장재(120) 및 전극조립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 및 골부가 교대로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1패턴(124) 및 제2패턴(119)을 구성하는 산부 및 골부는 산부는 산부끼리, 골부는 골부끼리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패턴(124) 및 제2패턴(119)이 서로 합치되도록 한다.The first pattern 124 and the second pattern 119 ar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ing member 1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rests and valleys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he first pattern 124 and the second pattern 119 are formed such that the peak and the valley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peak and the valley, 119 are aligned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패턴(124) 및 제2패턴(119)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120) 및 전극조립체(110)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산부 및 골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된다(도 2 및 도 3 참조).The protrusions and valleys of the first pattern 124 and the second pattern 119 ar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ing member 1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10 , And the crests and valleys are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e Figs. 2 and 3).

이때, 상기 패턴(119,124)은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도 4 참조),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길이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5 참조).In this case, the patterns 119 and 124 may be continuously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sing 120, or may be formed discontinuously (see FIG. 4) 110 and the sheath 120 and may be partially formed for a portion of the length (see FIG. 5).

여기서, 상기 산부 및 골부는 반원을 포함하는 호형단면, 삼각이나 사각을 포함하는 다각단면 및 호형단면과 다각단면이 상호 조합된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산부 및 골부는 동일한 피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피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도 6 내지 도 9 참조).The crests and valleys may be formed to have arcuate cross-sections including semicircles, polygonal cross-sections including triangular or rectangular cross-sections, and cross-sections of various shapes in which arc-shaped cross-sections and polygonal cross-sections are mutually combined. Pitch and width, but they may be provided to have different pitches and widths (see FIGS. 6 to 9).

이를 통해, 외장재(120) 및 전극조립체(110)가 반복적인 밴딩에 의해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더라도 상기 패턴(119,124)을 통해 수축 및 이완의 변화량이 상쇄됨으로써 기재 자체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shrinkage and relaxation of the outer casing 1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10 repeatedly occu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e to repetitive banding, the variation amounts of the shrinkage and relaxation are canceled through the patterns 119 and 124, Thereby reducing fatigue.

한편, 상기 제1패턴(124) 및 제2패턴(119)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산부간의 간격 또는 골부간의 간격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간격이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pattern 124 and the second pattern 119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equal intervals and different intervals.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100')가 시계줄과 같은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전체길이에 대하여 상기 패턴(119,124)을 구성하는 산부 및 골부간의 간격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시계줄을 착용하거나 착용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밴딩이 일어나는 결합부위 측에 형성되는 산부와 골부간의 간격을 가깝게 함으로써 상기 패턴(119,124)에 의해 상쇄되는 수축 및 이완의 변화량을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flexible battery 100 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roduct such as a wristwatch, the intervals between the hill and valleys constituting the patterns 119 and 124 with respect to the entire length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eak and the valley formed on the side of the bonding site where the banding occurs relatively frequently during the process of worn a line or releasing the wear, the change amount of contraction and relaxation canceled by the patterns 119 and 124 It may be relatively large.

더불어, 상기 외장재(120)에 형성되는 제1패턴(124)은 상기 외장재(120)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ttern 124 formed on the exterior material 12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120, but may be partially formed.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는 상기 제1패턴(124)이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영역(S1)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3, the flexible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gion 124 in which the first pattern 124 forms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an electrolyte, As shown in Fig.

이는, 전해액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부를 구성하는 제2영역(S2) 측에는 상기 제1패턴(124)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패턴(124)을 따라 전해액이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고 제1외장재(121)와 제2외장재(122) 간의 접합력을 향상시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first pattern 124 is not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region S2 constituting the sealing portion in order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cas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122 to increase airtightness.

여기서, 상기 제1패턴(124)이 제1영역(S1)에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패턴(124)은 제1영역(S1)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면적과 일치하는 면적에 해당하는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Here, when the first pattern 124 is formed only in the first region S1, the first pattern 124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region S1, It may be formed only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에 각각 구비되는 패턴(119,124)이 형성된 영역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른 늘어난 표면적 비율(Sdr)이 0.5 ~ 40.0을 만족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잦은 구부림, 비틀림 및 이들의 복원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의 크랙을 방지하고 보다 향상된 유연성을 발현할 수 있으며, 밴딩시 패턴의 산과 산 또는 골과 골이 부딪침 등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방지되어 사용자에게 소음에 의한 불쾌감을 예방할 수 있다.The area where the patterns 119 and 124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sing 120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has an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Sdr of 0.5 to 40.0 , Which can prevent frequent bending, twisting, and cracking of the facer and / or electrode assembly that may occur during their restoration and can provide more enhanced flexibility, Or the noise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bone and the bone can be prevented, and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uncomfortable due to the noise.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수학식 1에서 Lx, Ly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턴이 형성된 일영역의 가로, 세로 길이를 의미하며, 상기 일영역은 도 2와 같이 패턴이 형성된 플렉서블 배터리의 영역 중 일부만 해당될 수 있고, 도 3과 같이 패턴이 형성된 플렉서블 배터리의 전체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Lx and Ly in Equation (1) represent the width and length of one region in which a pattern is formed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one region is a region of a flexible battery in which a pattern is formed And may correspond to the entire area of the flexible battery i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as shown in FIG.

또한 이때, 패턴이 형성된 플렉서블 배터리 일영역의 표면적이란 패턴이 형성된 일영역에서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Lx, Ly일 때 당해 영역의 표면적을 의미한다. 즉, 만일 플렉서블 배터리가 패턴의 형성 없이 평평할 경우 상기 수학식 1의 늘어난 표면적 비율은 그 값이 0 이 되고, 패턴의 높이가 높고 패턴의 피치가 짧을수록 늘어난 표면적 비율 값은 증가할 수 있으며, 늘어난 표면적 비율을 통해 일정영역에 포함된 패턴의 높이 및/또는 피치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Also, the surface area of one region of the flexible battery i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means the surface area of the region when the width and the length are Lx and Ly in one region where the pattern is formed. That is, if the flexible battery is flat without forming a pattern,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of Equation (1) becomes 0,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value can be increased as the height of the pattern is higher and the pitch of the pattern is shorter,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can be used to gauge the height and / or pitch of the pattern contained in the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는 상술한 것과 같은 늘어난 표면적 비율(Sdr) 파라미터 값이 0.5 ~ 40.0을 만족하는 패턴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 3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 ~ 23.0을 만족하는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목적하는 물성을 구현하기에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만일 늘어난 표면적 비율이 0.5 미만일 경우 배터리의 가요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밴딩시 잘 구부려지지 않아 플렉서블 배터리의 용도로 적합하지 못할 수 있고, 배터리의 구부림/복원의 반복에 의해 외장재, 특히 외장재의 금속층 및/또는 전극조립체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어 배터리의 내구성의 현저한 저하 또는 배터리 자체의 성능을 상실시킬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만일 늘어난 표면적 비율이 40.0을 초과하는 경우 밴딩시 소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음에 따라서 제품으로 실제 판매되기 어려우며, 밴딩시 외장재 및/또는 전극조립체가 끊어지는 촉감이 느껴지고, 심할 경우 외장재의 금속층 및/또는 전극조립체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어 플렉서블 배터리의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 또는 기능상실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The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ttern area where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Sdr) parameter value as described above satisfies 0.5 to 40.0, more preferably 1.8 to 30.0, Contains an area that satisfies 3.0 to 23.0, so that it is easier to realize th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If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is less than 0.5, the flexibility of the battery is considerably reduced, so that it is not bent at the time of bending, so that it may not be suitable for use in a flexible battery, and the bending / Or cracks may occur in the electrode assembly, which may lead to a significant degradation of the durability of the battery or a fatal problem that may caus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itself to be lost. In addition, if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exceeds 40.0, noise may occur during bending, which may cause an uncomfortable feeling to the us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ctually sell the product as a product, and a feeling of tearing of the outer packaging material and / A crack may be generated in the metal layer and / or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exterior material,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flexible battery may significantly decrease or the function may be lost.

한편, 플렉서블 배터리가 부분 또는 전체에 패턴을 구비하더라도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서의 일부 영역에 본 발명에 따른 늘어난 표면적 비율을 만족하지 않는 패턴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를 구부렸을 때 배터리의 위치별로 상이한 압축력/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는데, 압축력/인장력이 높은 부분은 본 발명에 따른 늘어난 표면적 비율 값을 만족해야 목적한 수준의 가요성을 얻을 수 있는 반면에, 압축력/인장력이 낮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외장재의 금속층이나 전극조립체가 견뎌야 하는 외력이 작기 때문에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패턴이 형성되더라도 당해 부분의 늘어난 표면적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수학식 1의 값을 만족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flexible battery has a pattern partially or entirely, a pattern region that does not satisfy the enlarged surface area rat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some regions of the patterned portion. This is because a different compressive force / tensile force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bent, and the portion having a high compressive force / tensile strength must satisfy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tal layer of the facer or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relatively small external force to be applied to the portion having low compressive force / tensile force,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of the portion satisfies the value of Equatio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에 각각 구비되는 패턴(119,124)이 형성된 영역은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른 θ가 5.0° ~ 47°를 만족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 31°를 만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는 잦은 구부림, 비틀림 및 이들의 복원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의 크랙을 방지하고 보다 향상된 유연성을 발현할 수 있으며, 밴딩시 패턴의 산과 산 또는 골과 골이 부딪침 등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방지되어 사용자에게 소음에 의한 불쾌감을 예방할 수 있다.In the region where the patterns 119 and 124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se 120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Satisfies? Region, and may preferably satisfy 5.0 to 31 DEG. Accordingly, the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racks of the casing and / electrode assembly that may occur during frequent bending, twisting, and restoration thereof, and can exhibit improved flexibil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ise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mountain or the bone with the bone,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feeling uncomfortable due to the noise.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 수학식 2에 대하여 도 7(b) 및 도 8(a)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h는 플렉서블 배터리에 형성된 패턴의 평균높이에 해당하며, 인접하는 산과 골의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의 평균 수직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p는 인접하는 두 개 산 각각의 최고점 사이의 평균 수평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2의 θ값을 통해서 일정영역에 포함된 패턴의 높이 및/또는 피치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B and FIG. 8A, h represents the average height of the pattern formed on the flexible battery. The averag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highest point and the lowest point of adjacent mountains and bones Distance (mm). In addition, p represents the average horizontal distance (mm) between the peaks of each of two adjacent mountains. The height and / or the pitch of a pattern included in a certain region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value of? In Equation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는 상술한 것과 같은 수학식 2에 따른 θ 값이 5 ~ 47°를 만족하는 패턴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31°를 만족하는 영역을 포함함을 통하여 목적하는 물성을 구현하기에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만일 상기 θ가 5°미만일 경우 배터리의 유연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구부림, 비틀림 및 이들의 복원과정에서 외장재에 구비된 금속층이나 전극조립체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크랙이 발생한 배터리는 배터리의 성능을 현저히 저하 또는 배터리 기능을 상실시키는 등 목적하는 배터리의 물성을 구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θ가 47°를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에 높이와 피치를 가지는 패턴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배터리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패턴에서 인접하는 산과 산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고, 높이가 증가하는 패턴이 구현됨에 따라 배터리를 구부릴 때, 인접하는 산과 산 또는 인접하는 골과 골이 접촉하여 구부림을 방해하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등 플렉서블 배터리의 목적하는 물성을 구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The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ttern area having a θ value of 5 to 47 degrees according to Equation (2) as described above, more preferably a region having a 5 to 31 degree May be easier to implement to achieve th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If the angle? Is less than 5 degrees, the flexibility of the battery may be considerably reduced, causing bending, twisting, and cracking of the metal layer or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casing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thereof. Or may fail to implement th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of the battery such as the loss of battery function. Also, if the angle? Exceeds 47, cracks may occur in the battery in the process of forming a pattern having a height and a pitch in the battery, an interval between the adjacent mountains and mountains in the pattern is narrowed, As the pattern is embodied, when the battery is bent,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desired properties of the flexible battery can not be realized, for example, the adjacent acid and the acid or the adjacent bone and the bon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interfere with bending, have.

한편, 플렉서블 배터리가 부분 또는 전체에 패턴을 구비하더라도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서의 일부 영역에 본 발명에 따른 수학식 2의 θ값을 만족하지 않는 패턴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를 구부렸을 때 배터리의 위치별로 상이한 압축력/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는데, 압축력/인장력이 높은 부분은 본 발명에 따른 늘어난 표면적 비율 값을 만족해야 목적한 수준의 가요성을 얻을 수 있는 반면에, 압축력/인장력이 낮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외장재의 금속층이나 전극조립체가 견뎌야 하는 외력이 작기 때문에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패턴이 형성되더라도 당해 부분의 본 발명에 따른 수학식 2의 θ값은 5.0 ~ 47°를 벗어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flexible battery has a pattern partially or entirely, a pattern area which does not satisfy the? Value of the formula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a part of the area where the pattern is formed. This is because a different compressive force / tensile force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bent, and the portion having a high compressive force / tensile strength must satisfy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tal layer of the outer casing or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small external force to withstand the compressive force / tensile force, the θ value of the formula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0 to 47 ° You can escap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패턴의 높이(h)는 0.072 ~ 1.5mm, 인접하는 두 개 산 각각의 최고점 사이의 평균 수평거리(p)는 0.569 ~ 1.524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형성되는 패턴의 구체적인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Also, the height (h) of the pattern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72 to 1.5 mm, and the average horizontal distance (p) between the peaks of the adjacent two mountains is 0.569 to 1.524 mm, But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pecific shape of the pattern to be formed.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상기 외장재(120)의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봉지되는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12), 음극(116) 및 분리막(114)을 포함한다.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encapsulated with an electrolytic solution in the casing 120 and includes an anode 112, a cathode 116 and a separator 114 as shown in FIG.

상기 양극(112)은 양극집전체(112a) 및 양극 활물질(112b)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116)은 음극집전체(116a) 및 음극 활물질(116b)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집전체(112a) 및 음극집전체(116a)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시트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anode 112 includes a cathode current collector 112a and a cathode active material 112b and the cathode 116 includes a cathode current collector 116a and a cathode active material 116b.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112a And the anode current collector 116a may be realized in the form of a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area.

즉, 상기 양극(112) 및 음극(116)은 각각의 집전체(112a, 116a)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활물질(112b, 116b)이 압착 또는 증착되거나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물질(112b, 116b)은 집전체(112a, 116a)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일부 면적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at is, the positive electrode 112 and the negative electrode 116 can be pressed, deposited, or coated with the active material 112b or 116b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s 112a and 116a. At this time, the active materials 112b and 116b may be provided for the entire area of the current collectors 112a and 116a, or may be partially provided for some areas.

여기서, 상기 음극집전체(116a) 및 양극집전체(112a)는 박형의 금속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티타늄, 크롬, 망간, 철, 코발트, 아연, 몰리브덴, 텅스텐, 은, 금 및 이들이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6a and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may be made of a thin metal foil and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copper, aluminum, stainless steel, nickel, titanium, chromium, manganese, iron, cobalt, zinc, molybdenum, tungsten, Silver, gold, and a mixture thereof.

또한, 상기 양극집전체(112a) 및 음극집전체(116a)는 각각의 몸체로부터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음극단자(118a) 및 양극단자(118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극단자(118b) 및 음극단자(118a)는 상기 양극집전체(112a) 및 음극집전체(116a)로부터 연장되어 외장재(120)의 일측에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외장재(120)의 표면상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112a and the anode current collector 116a may be formed with an anode terminal 118a and a cathode terminal 118b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from each body.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8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8a may exten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2a and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16a and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ase member 120, 120, respectively.

한편, 상기 양극 활물질(112b)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양극 활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LiCoO2, LiNiO2, LiNiCoO2, LiMnO2, LiMn2O4, V2O5, V6O13, LiNi1 -x- yCoxMyO2(0 ≤ x≤ 1, 0 ≤y ≤ 1, 0 ≤ x+y ≤ 1, M은 Al, Sr, Mg, La 등의 금속)와 같은 리튬-전이 금속 산화물, NCM(Lithium Nickel Cobalt Manganese)계 활물질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이 1종 이상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12b) is and reversi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pable of migration intercalation and de-intercalation of lithium ions, and a typical example of suc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LiCoO 2, LiNiO 2, LiNiCoO 2, LiMnO 2, LiMn 2 O 4 , V 2 O 5 , V 6 O 13 , LiNi 1 -x- y Co x M y O 2 (0 ≤ x ≤ 1, 0 ≤y ≤ 1, 0 ≤ x + y ≤ 1, M is Transition metal oxides such as Al, Sr, Mg, La and the like, or lithium nickel cobalt manganese (NCM) -based active materials, and mixtures of at least one of them may be used.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116b)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음극 활물질로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의 탄소, 탄소 섬유, 또는 탄소 복합체의 탄소계 음극 활물질, 주석 산화물, 이들을 리튬화한 것, 리튬, 리튬합금 및 이들이 1종 이상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탄소는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와이어, 탄소나노섬유, 흑연, 활성탄, 그래핀 및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16b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pable of reversibly intercalating and deintercalating lithium ions. Exampl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clude carbon, carbon fiber, carbon composite of crystalline or amorphous carbon, Based anode active material, tin oxide, lithiated lithium, lithium, lithium alloy, and mixtures of at least one of these. Here, the carbo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nanotubes, carbon nanowires, carbon nanofibers, graphite, activated carbon, graphene and graphite.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양극 활물질 및 상기 음극 활물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However,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to be noted that the commonly use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all be used.

이때, 본 발명에서는 양극 활물질(112b) 및 음극 활물질(116b)에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는, 밴딩시 상기 양극 활물질(112b) 및 음극 활물질(116b)이 각각의 집전체(112a, 116a)로부터 박리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12b and the anode active material 116b may contain a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component. This is to prevent peeling or cracking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12b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16b from the current collectors 112a and 116a during bending.

이와 같은 PTFE 성분은 양극 활물질(112b) 및 음극 활물질(116b) 각각의 총중량에서 0.5 ~ 20 wt%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wt% 이하일 수 있다.The PTFE component may be 0.5 to 20 wt%, preferably 5 wt% or less, of the total weight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 112b and the anode active material 116b.

한편, 상기 양극(112)과 음극(116)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114)은 부직포층(114a)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나노섬유웹층(114b)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on membrane 114 disposed between the anode 112 and the cathode 116 may include a nanofiber web layer 114b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114a.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웹층(114b)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섬유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나노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나노섬유일 수 있다.Here, the nanofiber web layer 114b may be a nanofiber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crylonitrile nanofiber and polyvinylidene fluoride nanofi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섬유웹층(114b)은 방사성 및 균일한 기공형성을 확보하기 위해 폴리아크릴니트릴 나노섬유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는 평균직경 0.1 ~ 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1.0㎛일 수 있다.Preferably, the nanofiber web layer 114b may consist solely of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to ensure radioactive and uniform pore formation. Here, the polyacrylonitrile nanofiber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0.1 to 2 탆, and preferably 0.1 to 1.0 탆.

이는,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이 0.1㎛ 미만이면 분리막이 충분한 내열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를 초과하면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는 우수하나 분리막의 탄성력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I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is less than 0.1 mu m, the separator may not have sufficient heat resistance. If the average diameter exceeds 2 mu m,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separator is excellent, but the elasticity of the separator is reduced It is because.

또한, 상기 분리막(114)은 전해액으로 겔 폴리머 전해액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겔 폴리머 전해액의 함침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복합 다공성 분리막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el polymer electrolyte is used as the electrolytic solution, the separation membrane 114 may be a composite porous separator to optimize the impregnation of the gel polymer electrolyte.

즉, 상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은 지지체(matrix)로서 사용되며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부직포와, 방사 가능한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어 전해액을 함침하고 있는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composite porous separator may include a porous nonwoven fabric having micropores used as a matrix and a porous nanofiber web formed of a spinnable polymer material and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여기서,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PP 부직포, PE 부직포, 코어로서 PP 섬유의 외주에 PE가 코팅된 이중 구조의 PP/PE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PP/PE/PP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PE에 의해 셧다운 기능을 갖는 부직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이루어진 PET 부직포, 또는 셀룰로즈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E 부직포는 융점이 100 ~ 120℃일 수 있고, PP 부직포는 융점이 130 ~ 150℃일 수 있으며, PET 부직포는 융점이 230 ~ 250℃일 수 있다.Here, the porous nonwoven fabric is composed of a PP nonwoven fabric, a PE nonwoven fabric, a three-layer structure of PP / PE / nonwoven fabric made of double structure PP / PE fiber coated with PE on the outer periphery of PP fiber as a core and PP / PE / PP, A nonwoven fabric having a shutdown function by the low PE, a PET nonwoven fabric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bers, or a nonwoven fabric made of cellulose fibers can be used. The PE nonwoven fabric may have a melting point of 100 to 120 ° C. The PP nonwoven fabric may have a melting point of 130 to 150 ° C, and the PET nonwoven fabric may have a melting point of 230 to 250 ° C.

이때,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두께가 10 내지 40㎛ 범위로 설정되고, 기공도가 5 내지 55%, 걸리값(Gurley value)은 1 내지 1000 sec/100cc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rous nonwoven fabric preferably has a thickness in the range of 10 to 40 mu m, a porosity of 5 to 55%, and a Gurley value of 1 to 1000 sec / 100 cc.

한편, 상기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각각 전해액에 팽윤이 이루어지는 팽윤성 고분자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팽윤성 고분자에 내열성을 강화할 수 있는 내열성 고분자가 혼합된 혼합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rous nanofiber web may be a mixed polymer in which a swelling polymer swelling in an electrolytic solution is used alone or a heat-resistant polymer capable of enhancing heat resistance of a swelling polymer is mixed.

이와 같은 상기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단일 또는 혼합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시켜 방사용액을 형성한 후, 방사용액을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여 방사하면 방사된 나노섬유가 콜렉터에 축적되어 3차원 기공 구조를 갖는 다공성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게 된다.The porous nanofiber web may be prepared by dissolving a single or mixed polymer in a solvent to form a spinning solution, spinning the spinning solution using an electrospinning device, and spinning nanofibers are accumulated in the collector to form a three-dimensional pore structure Thereby forming a porous nanofiber web.

여기서, 상기 다공성 나노섬유 웹은 용매에 용해되어 방사용액을 형성한 후 전기방사방법으로 방사되어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폴리머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폴리머는 단일 폴리머 또는 혼합 폴리머일 수 있으며, 팽윤성 폴리머, 비팽윤성 폴리머, 내열성 폴리머, 팽윤성 폴리머와 비팽윤성 폴리머가 혼합된 혼합 폴리머, 팽윤성 폴리머와 내열성 폴리머가 혼합된 혼합 폴리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porous nanofiber web may be any polymer that is dissolved in a solvent to form a spinning solution, and then can be spinned by an electrospinning method to form nanofibers. For example, the polymer may be a single polymer or a mixed polymer, and may include a swellable polymer, a non-swellable polymer, a heat-resistant polymer, a mixed polymer in which a swellable polymer and a non-swellable polymer are mixed, a mixed polymer in which a swellable polymer and a heat- .

이때, 상기 다공성 나노섬유 웹이 팽윤성 폴리머와 비팽윤성 폴리머(또는 내열성 폴리머)의 혼합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팽윤성 폴리머와 비팽윤성 폴리머는 9:1 내지 1:9 범위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8:2 내지 5:5 범위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porous nanofiber web uses a mixed polymer of a swellable polymer and a non-swellable polymer (or a heat-resistant polymer), the swellable polymer and the non-swellable polymer have a weight ratio in the range of 9: 1 to 1: 9, 2 to 5: 5.

통상적으로, 비팽윤성 폴리머의 경우 일반적으로 내열성 폴리머인 것이 많으며 팽윤성 폴리머와 비교할 때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융점도 상대적으로 높다. 이에 따라, 비팽윤성 폴리머는 융점이 180℃ 이상인 내열성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팽윤성 폴리머는 융점이 150℃이하, 바람직하게는 100~150℃ 범위 내의 융점을 가지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Generally, non-swelling polymers are generally heat-resistant polymers, and their melting points are relatively high because they have a larger molecular weight than swellable polymers. Accordingly, the non-swelling polymer is preferably a heat-resistant polymer having a melting point of 180 ° C or higher, and the swelling polymer is preferably a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150 ° C or lower, preferably 100-150 ° C.

한편,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팽윤성 폴리머는 전해액에 팽윤이 일어나는 수지로서 전기 방사법에 의하여 초극세 나노섬유로 형성 가능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wellable polymer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esin capable of swelling in an electrolytic solution and capable of being formed into ultrafine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일례로, 상기 팽윤성 폴리머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풀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스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시메틸렌-올리 고-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 중 1종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wellable polym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 (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erfluoropolymers, polyvinyl chloride or polyvinylidene chloride, Polyethylene glycol derivatives including polyethylene glycol dialkyl ethers and polyethylene glycol dialkyl esters, polyoxides including poly (oxymethylene-oligo-oxyethylene), polyethylene oxide and polypropylene oxide, polyvinyl acetate, poly Polyacrylonitrile copolymers including polystyrene and polystyrene acrylonitrile copolymers, polyacrylonitrile methyl methacrylate copolymers, polymethylmeth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copolymers and polyacrylonitrile copolymers, Mixtures of one or more of these are used .

또한, 상기 내열성 폴리머 또는 비팽윤성 폴리머는 전기방사를 위해 유기용매에 용해될 수 있고 유기 전해액에 포함되는 유기 용매에 의해 팽윤성 폴리머보다 팽윤이 더디게 일어나거나 팽윤이 일어나지 않으며, 융점이 180 이상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The heat-resistant polymer or the non-swellable polymer may be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for electrospinning and may be swollen more slowly or swell than the swellable polymer due to the organic solvent contained in the organic electrolytic solution, and a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180 or more may be used .

일례로, 상기 내열성 폴리머 또는 비팽윤성 폴리머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디페녹시포스파젠, 폴리{비스[2-(2-메톡시에톡시)포스파젠]} 같은 폴리포스파젠류,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t-resistant polymer or non-swellable poly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crylonitrile (PAN), polyamide, polyimide, polyamideimide, poly (meta-phenylene isophthalamide), polysulfone, polyetherketone, Aromatic polyesters such as 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sters such as polytetrafluoroethylene, polydiphenoxaphospazene and poly {bis [2- (2-methoxyethoxy) Polyurethane copolymers including phosphazenes, polyurethanes and polyether urethanes, cellulose acetate, cellulose acetate butyrat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and the like.

한편, 상기 부직포층(114a)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polyethylene ox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 methylmethacrylate)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layer 114a may b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cellulose acetate, polyvinyl alcohol (PVA), polysulfone, polyimide, polyetherimide, polyamide, polyethylene oxide (PEO),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urethane (PU),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 (methylmethacrylate), and polyacrylonitrile.

여기서, 상기 부직포층은 무기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기첨가제는 SiO, SnO, SnO2, PbO2, ZnO, P2O5, CuO, MoO, V2O5, B2O3, Si3N4, CeO2, Mn3O4, Sn2P2O7, Sn2B2O5, Sn2BPO6, TiO2, BaTiO3, Li2O, LiF, LiOH, Li3N, BaO, Na2O, Li2CO3, CaCO3, LiAlO2, SiO2, Al2O3 및 PTF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further include inorganic additives such as SiO, SnO, SnO 2 , PbO 2 , ZnO, P 2 O 5 , CuO, MoO, V 2 O 5 , B 2 O 3 , Si 3 N 4 , CeO 2 , Mn 3 O 4 , Sn 2 P 2 O 7 , Sn 2 B 2 O 5 , Sn 2 BPO 6 , TiO 2 , BaTiO 3 , Li 2 O, LiF, LiOH, Li 3 N, It may include BaO, Na 2 O, Li 2 CO 3, CaCO 3, LiAlO 2, SiO 2, Al 2 O 3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PTFE.

그리고 상기 무기첨가제인 무기물 입자는 평균입경이 10 ~ 50 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30 nm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nm일 수 있다. The inorganic particles as the inorganic additive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0 to 50 nm, preferably 10 to 30 nm, and more preferably 10 to 20 nm.

더불어, 상기 분리막의 평균두께는 10 ~ 1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50㎛일 수 있다. 이는, 분리막의 평균두께가 10㎛ 미만이면 분리막이 너무 얇아서 배터리의 반복적인 구부러짐 및/또는 펴짐에 의한 분리막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을 수 있고, 100㎛를 초과하면 플렉서블 배터리의 박육화에 불리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평균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10 to 100 mu m, preferably 10 to 50 mu m.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eparator is less than 10 mu m, the separator may be too thin to ensure long-term durability of the separator due to repeated bending and / or spreading of the battery. If the average thickness exceeds 100 mu m, It is preferable to have an average thickness within the above range.

그리고 상기 부직포층은 평균두께 10 ~ 30㎛으로, 바람직하게는 15~ 30㎛로 형성시키고, 상기 나노섬유웹층은 평균두께 1 ~ 5㎛를 갖는 것이 좋다.The non-woven fabric layer may have an average thickness of 10 to 30 탆, preferably 15 to 30 탆, and the nanofiber web layer may have an average thickness of 1 to 5 탆.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상기 외장재(120)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전해액을 수용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상기 전극조립체(11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the outer casing 120, which is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force by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electrolyte therein. To protect it.

이를 위해, 상기 외장재(120)는 한 쌍의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로 구비되고,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통해 밀봉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해액 및 전극조립체(1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For this purpose, the casing member 1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casing members 121 and a second casing member 122,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electrode assembly 110 housed therein are sealed with an adhesive along the rim, And prevents leakage to the outside.

즉, 상기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는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영역(S1)과, 상기 제1영역(S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전해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밀봉부를 형성하는 제2영역(S2)을 포함한다.That is, the first cas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122 include a first region S1 for forming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nd a second region S1 surrounding the first region S1, And a second region S2 forming a sealing portion for preventing leakage to the outside.

이러한 외장재(120)는 상기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가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후 상기 밀봉부를 구성하는 테두리측이 모두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고,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접혀진 후 맞접하는 나머지 부분이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가 맞닿는 면에 열 접착이 가능한 수지층을 구비한 외장재를 사용하는 경우 열 및 압력을 가해 밀봉시킬 수도 있다. In this case 120, the first cas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casing member 122 are made of two members, and then the side of the frame constituting the sealing member may be sealed with an adhesive, The remaining portion that is folded in half along the width or length direction and then abutted may be sealed through the adhesive. In the case of using an exterior material having a resin layer that can be thermally adhered to the surface where the first exterior material 121 and the second exterior material 122 abut each other without any additional adhesive, heat and pressure may be applied to seal the exterior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외장재(121, 122)는 배터리 내부와 외부간의 열 이동을 차단시키는 단열층(121d, 122d)을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봉지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외장재(121, 122) 일면에 구비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의 장시간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배터리 외부공간으로 방출시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배터리와 인접배치 되는 전자부품에 영향을 주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배터리는 물리적 충격에 의한 보호 및 배터리 내부로 가스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더욱 방지시키고, 시계줄이나 헤드폰의 헤드밴드와 같이 제품의 외부에 플렉서블 배터리가 배치되도록 응용될 경우 제품 외관의 미감, 사용자 피부에 닿았을 때의 촉감 등을 고려하여 성형부재로 인서트몰딩 시킬 때 인서트 몰딩시 가해지는 고열이 플렉서블 배터리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기능저하나 불량발생을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xterior materials 121 and 122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f insulating materials 121d and 122d for blocking heat transfer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attery, 121 and 122,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for a long period of tim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pace of the battery,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feeling uncomfortable or affecting the electronic parts disposed adjacent to the battery. In addition, the flexible battery further protects against physical shock and penetration of gas or moisture into the battery, and when applied to place a flexible battery outside the product, such as a headband of a watch or a headphone, , The touch of the user touches the skin, the insert molding with a molding member to prevent the high heat applied during insert molding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flexible battery to prevent the function of the battery to prevent malfunction or failure d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 대한 하우징 방법에서 인서트몰딩 공정이 필요한 이유는 배터리의 가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형성된 패턴에 의해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부면은 굴곡이 존재할 수밖에 없고, 상기 굴곡 부분까지 몰딩되도록 하우징 되어야 하며, 하우징 내부면과 배터리의 외부면이 일체로 접착되도록 하우징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일 외부면에 굴곡이 존재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부가 존재하도록 별도로 제조된 하우징에 삽입 시 별도의 고열이 플렉서블 배터리에 가해지지 않아도 됨에 따라서 열에 의한 플렉서블 배터리의 불량발생이나 기능저하의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부면에 형성된 굴곡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상기 굴곡의 역상에 해당하는 패턴을 별도로 제조한 하우징 내부의 수용부 표면에 형성시키지 않고서는 상기 수용부 표면과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부면 간에는 유격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 상기 유격은 플렉서블 배터리의 밴딩시 소음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플렉서블 배터리를 고정시키지 못하여 배터리가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격이 발생하는 부분의 하우징 외표면은 배터리의 밴딩시에 울거나 주름이 생기는 문제가 있고 이는 외관의 미감을 심하게 해칠 수 있다. 더 나아가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부면에 형성된 굴곡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상기 굴곡의 역상에 해당하는 패턴을 별도로 제조한 하우징 내부의 수용부 표면에 형성시키는 것은 공정 자체가 매우 어렵고 제조비용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외장재의 일표면에는 단열층을 구비함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시키는 인서트 몰딩의 방법으로 플렉서블 배터리를 하우징시켜도 플렉서블 배터리의 기능저하나 불량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housing method for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 molding process is required because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battery has a curvature due to the pattern formed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battery, And the housing should be housed such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are integrally adhered to each other. If a flexible battery having a curvature on the outer surface is inserted into a separately manufactured housing so that a receiving portion is not provided, a problem of defective or deteriorated function of the flexible battery due to heat is not caused. It may not occur at the origin. However, a flexible battery having a curved shap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battery and having a curved shap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inside the housing, A clearance necessarily arises betwee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The clearance causes noise during bending of the flexible battery, and the flexible batter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can not be fixed, thereby causing the battery to move inside the housing.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where the clearance is generated has a problem of crying or wrinkling when the battery is bent, which may severely impair the beauty of the appearance. Furthermore,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a patte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nside the housing, which has a ben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battery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phase of the bend having the same shape and size, There is a problem.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insulating layer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a casing, thereby preventing a malfunction or a failure of the flexible battery even if the flexible battery is housed by the insert molding method.

상기 단열층(121d, 122d)은 박막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인서트몰딩시 가해지는 고열, 예를 들어 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에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내열성을 갖춘 공지된 단열부재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상기 단열층(121d, 122d)은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미세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기재 및/또는 단열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layers 121d and 122d may be formed as a thin film and may be a known heat insulating member having heat resistance capable of maintaining the shape at a high temperature applied at the time of insert molding, for example, at 150 ° C or higher, preferably 180 ° C or higher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s. For example, the heat insulating layers 121d and 122d may include a porous substrate and / or a heat insulating film having a plurality of micropores capable of receiving air.

상기 다공성 기재는 상기 다공성 기재는 섬유웹,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성기 직물 및 편물은 섬유가 방향성 및/또는 규칙성을 가지고 배열된 통상의 원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섬유웹 및 부직포는 섬유가 방향성을 가지지 않고 집합되어 형성된 기재를 의미하며, 상기 섬유웹은 방사와 동시에 별도의 접착공정이나 접착제의 투입 없이도 섬유간 융착에 의해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기재를 의미하며, 상기 부직포는 단섬유 간을 별도의 접착제나 열 등을 통해 부착시켜 제조하는 통상의 부직포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다공성 기재를 형성하는 섬유는 셀룰로오스계, 단백질, 폴리에스테르계(PET, PBT 등), 폴리아미드계(나일론6, 나일론66 등), 아크릴계(폴리아크릴로니트릴, 모다아크릴 등), 올레핀계(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비닐계(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등) 및 불소계(PVDF, PCTFE, PTFE 등)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유기섬유 및/또는 유리섬유, 암면섬유 등의 무기섬유일 수 있다.The porous substrate may include at least one substrat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ibrous web, a nonwoven fabric, a fabric, and a knitted fabric. The genital fabric and the knitted fabric mean conventional fabrics in which the fibers are arranged with directional and / or regularity. Further, the fibrous web and the nonwoven fabric means a substrate formed by gathering fibers without having directionality, and the fibrous web forms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by fusion between the fibers at the same time as the spinning, And the nonwoven fabric means a conventional nonwoven fabric prepared by adhering short fibers through a separate adhesive or heat. The fibers forming the porous substrat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protein, polyester (PET, PBT), polyamide (nylon 6, nylon 66, etc.), acrylic (polyacrylonitrile, Inorganic fibers such as known organic fibers and / or glass fibers, rock wool fibers, including vinyl (polyvinyl alcohol, polyvinyl chloride) and fluorine (PVDF, PCTFE, PTFE, etc.) Fi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단열층(121d, 122d)은 섬유웹일 수 있으며, 일예로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된 나노섬유웹일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는 인서트몰딩시 가해지는 고열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추기 위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 자체가 접착성을 발현하여 내구성,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복합나노섬유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열성 및 접착성을 통한 내구성, 기계적강도를 동시에 발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복합나노섬유는 모노사 내에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가 6:4 ~ 8.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나노섬유일 수 있다. 만일 PAN과 PVDF가 6:4 비율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되어 단열효과를 발현하는 도중에 나노섬유웹의 용융이 발생함에 따라 나노섬유웹의 기공이 현저히 감소하여 단열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만일 PAN과 PVDF가 8.5:1.5 비율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기계적 강도, 내구성을 발현시키기 어려우며, PAN의 비율이 높아 전기방사시에 방사성이 현저히 떨어져 생산성이 좋지 않을 수 있고, 목적하는 수준의 기공도와 공경 등을 구현하기 어려워 충분한 단열효과를 발현하는 나노섬유웹을 제조하기 어렵다. 나아가 나노섬유웹과 인서트몰딩으로 제조되는 외부하우징과 플렉서블 배터리의 부착력이 감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heat insulating layers 121d and 122d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ibrous web, for example, a nanofiber web formed through electrospinning. The nanofibers forming the nanofiber web may include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to provide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the high heat applied during insert molding. In addition, the nanofiber itself forming the nanofiber web may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nanofibers in order to exhibit adhesiveness to improve dur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Alternatively, the nanofibers may be composite nanofibers of polyacrylonitril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through which heat resistance, durability through adhesiveness, and mechanical strength can be simultaneously exhibited. In this case, the composite nanofiber may be a composite nanofiber in which polyacrylonitril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6: 4 to 8.5: 1.5 in a mono yarn. If the PAN and PVDF are contained in a ratio of less than 6: 4, the heat resistance is lowered and the pores of the nanofiber web are significantly decreased due to the melting of the nanofiber web during the adiabatic effect, This can be. In addition, if PAN and PVDF are contained in excess of the ratio of 8.5: 1.5, it is difficult to exhibit mechanical strength and durability, and since the proportion of PAN is high, the productivity may be poor due to remarkable radioactivity during electrospinning, It is difficult to fabricate a nanofiber web that exhibits sufficient adiabatic effect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alize pores and pores.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hesion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flexible battery made of the nanofiber web and the insert molding may be reduced.

또한,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은 0.1㎛ ~ 2㎛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0.1㎛ ~ 1.0㎛일 수 있으며, 이때,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이 0.1㎛ 미만이면 충분한 다공성을 확보하지 못해서 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를 초과하는 경우, 나노섬유에 의해 형성된 공극이 너무 커서 오히려 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The average diameter of the nanofibers forming the nanofiber web may be 0.1 to 2 μm, preferably 0.1 to 1.0 μm. I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nanofibers is less than 0.1 μm, sufficient porosity is secure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is deteriorated. If it exceeds 2 탆,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void formed by the nanofiber is too large and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is deteriorated.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은 평량이 2 ~ 6 g/㎡이며, 기공도가 40% 이상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80%일 수 있고, 또한, 평균공경은 300 ~ 400㎛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목적하는 단열효과를 더욱 더 향상되도록 발현시킬 수 있다. 만일 기공도가 80% 초과 및/또는 평균공경 400㎛ 초과하는 경우 나노섬유웹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 단열층으로써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수 있In addition, the nanofiber web may have a basis weight of 2 to 6 g / m 2, a porosity of 40% or more, more preferably 40 to 80%, and an average pore size of 300 to 400 μm , Whereby the desired adiabatic effect can be expressed to be further improved. If the porosity exceeds 80% and / or the average pore size exceeds 400 탆,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nanofibrous web may be weak and it may not be able to function properly as a heat insulating layer

또한, 상기 단열필름은 공지된 단열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필름 내부에 공기주머니를 구비하는 필름이거나 필름 내부에 공기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단열효과를 발현하는 공지의 단열필름인 경우 본 발명에서 특별히 구체적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인서트 몰딩의 온도를 고려해서 융점이 130℃, 바람직하게는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및 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인 재질로 형성된 단열필름일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film may be a known heat insulating film, a film having an air bag inside the film, or a known heat insulating film exhibiting an adiabatic effect in a state in which air is not contained in the film,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 specific kind. However, it may preferably be an insulating film formed from a material having a melting point of 130 캜, preferably 150 캜, more preferably 180 캜, and still more preferably 200 캜 or more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insert molding.

한편, 단열층으로 섬유웹, 구체적으로 나노섬유웹을 사용할 경우 단열효과 이외에 인서트몰딩을 통한 하우징과 플렉서블 배터리간의 부착력을 더욱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인서트몰딩 되어 몰딩재료가 플렉서블 배터리에 형성된 패턴의 굴곡부를 매립시킴에 따라 몰딩재료와 플렉서블 배터리의 밀착력이 좋으나, 인서트 몰딩 후, 플렉서블 배터리의 잦은 밴딩 시 몰딩재료와 플렉서블 배터리 간의 접착력 약화에 따른 유격, 들뜸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관의 미감저해, 소음발생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단열층으로 나노섬유웹을 사용할 경우 외부 하우징과 플렉서블 배터리간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잦은 벤딩에도 하우징 들뜨거나 떨어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fiber web, specifically a nanofiber web, is used as a heat insulating layer, the adhes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lexible battery through the insert molding is further remarkably improved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adiabatic effect. That is, as the molding material is embedded in the bent portion of the pattern formed on the flexible battery, the adhesion between the molding material and the flexible battery is good. However, the frequent bending of the flexible battery after the insert molding results in the weakening of adhesion between the molding material and the flexible battery There may be problems such as noise, noise, and noise. However, when the nanofiber web is used as a heat insulating lay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dhesion between the outer housing and the flexible battery can be improved, and the housin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ifted or dislodged even with frequent bending.

또한, 상기 단열층(121d, 122d)은 평균두께 10 ㎛ ~ 50 ㎛, 바람직하게는 평균 두께 15 ㎛ ~ 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 35 ㎛로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이때, 단열층은 평균두께 10 ㎛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의 단열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50㎛를 초과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며, 슬림화된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insulating layers 121d and 122d have an average thickness of 10 占 퐉 to 50 占 퐉, preferably an average thickness of 15 占 퐉 to 40 占 퐉, and more preferably 15 占 퐉 to 35 占 퐉. At this time,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is less than 10 mu 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red heat insulating effect can not be exhibited. If the heat insulating layer is more than 50 mu m, it is not economical and it may be undesirable for manufacturing a slimmed flexible batter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포함되는 단열층(123d)은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단열층(123d1) 및 제2 단열층(123d2)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단열층(123d1)은 상술한 나노섬유웹일 수 있고, 제2 단열층(123d2)은 부직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섬유웹의 두께는 3 ~ 10㎛일 수 있고, 부직포의 두께는 10 ~ 4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직포는 그 자체가 단열층의 기능을 하는 동시에 적층되는 나노섬유웹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시켜 단열층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insulating layer 123d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123d 1 and the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123d 2 are laminated as shown in FIG. 10B, The heat insulating layer 123d 1 may be the above-described nanofiber web, and the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123d 2 may be a nonwoven fabric.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web may be 3 to 10 mu m, and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may be 10 to 40 mu m. At this time, the nonwoven fabric may function as a heat insulating layer, and at the same time, it may serv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by supplement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laminated nanofiber web.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외장재는 상술한 단열층(121d, 122d, 123d)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제2 수지층(121c, 122c, 123c), 금속층(121b, 122b, 123b) 및 제1 수지층(121a, 122a, 123a)이 적층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즉, 상기 외장재(120, 123)는 상기 제1수지층(121a, 122a, 123a)은 내측에 배치되어 전해액과 접하고 상기 단열층(121d, 122d, 123d)은 외부로 노출된다.The exterior material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cond resin layers 121c, 122c, and 123c, 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and the second resin layers 121b, 122b, and 123b sequentially below the heat insulating layers 121d, The first resin layers 121a, 122a and 123a are dispos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resin layers 121 and 122a and 123a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The heat insulating layers 121d, 122d, and 123d are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제1수지층(121a, 122a)은 외장재(121, 122) 간을 서로 실링시켜 배터리 내부에 구비되는 전해액이 외부로 누액되지 않도록 밀봉시킬 수 있는 접합부재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제1수지층(121a, 122a)은 통상적으로 배터리용 외장재에 구비되는 접합부재의 재질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PPa(acid modified 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lyp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 중 하나의 단일층 구조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Pa(acid modified polypropylene), CPP (casting polyprolyp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 중 2종 이상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resin layers 121a and 122a seal the outer sheathing materials 121 and 122 to each other to serve as a bonding member capable of sealing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battery so as not to leak to the outside. The first resin layers 121a and 122a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n acid modified polypropylene (PPa), a cast polyprolypene (CPP), a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 A single layer structure of one of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eth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propylene, ethylene vinyl acetate (EVA), epoxy resin and phenol resin or a laminated structure thereof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f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id modified polypropylene (PPa), cast polyprolypene (CPP),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Or two or more of them may be laminated.

그리고, 상기 제1수지층(121a, 122a)은 평균두께가 20㎛ ~ 8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평균두께가 20㎛ ~ 60㎛일 수 있다.The first resin layers 121a and 122a may have an average thickness of 20 to 80 占 퐉, and preferably an average thickness of 20 to 60 占 퐉.

이는, 상기 제1수지층(121a, 122a)의 평균두께가 20㎛ 미만이면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의 테두리 측을 밀봉하는 과정에서 서로 맞접하는 제1수지층(121a, 122a)간의 접합력 이 떨어지거나 전해액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성을 확보하는데 불리할 수 있고, 평균두께가 80㎛를 초과하게 되면 비경제적이며 박형화에 불리하기 때문이다.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rst resin layers 121a and 122a is less than 20 占 퐉, the first resin layer 121a and the second resin layer 122,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sealing the edg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asing materials 121 and 122, And 122a, or to secure airtightness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If the average thickness exceeds 80 m, it is uneconomical and disadvantageous to thinning.

상기, 금속층(121b, 122b, 123b)은 외부로부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의 수용부 측으로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해액이 수용부에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are for preventing moisture from permeating from the outside into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receiving portion sid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preventing the electrolyte solution from leaking to the outside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이를 위해, 상기 금속층(121b, 122b, 123b)은 습기 및 전해액이 통과할 수 없도록 밀도가 조밀한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포일(foil)류의 금속박판이나 후술할 제2수지층(121c, 122c, 123c)상에 통상의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스퍼터링, 화학기상증착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금속증착막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금속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패턴 형성시 금속층의 크랙이 방지되어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고, 외부로부터의 투습을 방지할 수 있다.For this, 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may be formed of a dense metal layer so that moisture and an electrolyte can not pass therethrough. The metal layer is formed on a foil-like metal thin plate or a second resin layer 121c, 122c, or 123c to be described later by a commonly known method such as sputtering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it may be formed of a thin metal plate. Through this, cracks of the metal layer can be prevented during pattern formation, and the electrolyte can be leaked to the outside, and moisture permeation from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일례로, 상기 금속층(121b, 122b, 123b)은 알루미늄, 구리, 인청동(phosphorbronze, PB), 알루미늄청동(aluminium bronze), 백동, 베릴륨-구리(Berylium-copper), 크롬-구리, 티탄-구리, 철-구리, 코르손 합금 및 크롬-지르코늄 구리 합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aluminum, copper, phosphor bronze (PB), aluminum bronze, white copper, beryllium- Iron-copper, corson alloy, and chromium-zirconium copper alloy.

이때, 상기 금속층(121b, 122b, 123b)은 선팽창 계수가 1.0×10-7 ~ 1.7×10-7/℃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10-7 ~ 1.5×10-7/℃일 수 있다. 이는, 선팽창 계수가 1.0×10-7/℃ 미만이면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없어 밴딩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고, 선팽창 계수가 1.7×10-7/℃를 초과하게 되면 강성이 저하되어 형태의 변형이 심하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may have a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of 1.0 × 10 -7 to 1.7 × 10 -7 / ° C, preferably 1.2 × 10 -7 to 1.5 × 10 -7 / have. This is because the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and can result in 1.0 × 10 -7 / ℃ than when not possible to ensure sufficient flexibility cracks (crack) by an external force generated during bending,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exceeds the 1.7 × 10 -7 / ℃ The rigidity is reduced and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may be severely caused.

이와 같은 금속층(121b, 122b, 123b)은 평균두께는 5㎛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 10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50㎛일 수 있다.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may be 5 占 퐉 or more, preferably 5 占 퐉 to 100 占 퐉, and more preferably 30 占 퐉 to 50 占 퐉.

이는, 금속층의 평균두께가 5㎛ 미만이면 수용부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거나 수용부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누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is less than 5 占 퐉, moisture may permeate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or the electrolyte inside the housing may leak outside.

상기 제2수지층(121c, 122c, 123c)은 외장재(120, 123)의 노출면 측에 위치하여 외장재의 강도를 보강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물리적인 접촉에 의하여 외장재에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resin layers 121c, 122c and 123c are positioned on the exposed surface side of the casing materials 120 and 123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asing material and damage such as scratches to the casing material due to physical contact externally applied .

이와 같은 제2수지층(121c, 122c, 123c)은 나일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Cyclo olefin polymer), PI(polyimide) 및 불소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또는 불소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sin layers 121c, 122c and 123c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cycloolefin polymer (COP), polyimide (PI) Nylon or a fluorine-based compound.

여기서,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PTFE(polytetra fluoroethylene), PFA(perfluorinated acid), FEP(fluorinated ethelene propylene copolymer), ETFE(polyethylene tetrafluoro 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ECTFE(Ethylene Chlorotrifluoroethylene) 및 PCTFE(polychlorotrifluoroethyl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luorine-based compou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erfluorinated acid (PFA), fluorinated etheylene propylene copolymer (FEP), polyethylene tetrafluoroethylene (ETF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ethylene chlorotrifluoroethylene (ECTFE), and polychlorotrifluoroethylen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이때, 상기 제2수지층(121c, 122c, 123c)은 평균두께가 10㎛ ~ 5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평균두께가 15㎛ ~ 4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35㎛일 수 있다.The second resin layers 121c, 122c, and 123c may have an average thickness of 10 占 퐉 to 50 占 퐉, preferably an average thickness of 15 占 퐉 to 40 占 퐉, more preferably 15 占 퐉 to 35 占 퐉, Lt; / RTI >

이는, 상기 제2수지층(121c, 122c, 123c)의 평균두께가 10㎛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50㎛를 초과하는 것은 기계적 물성의 확보에는 유리하나 비경제적이고 박형화에 불리하기 때문이다.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econd resin layers 121c, 122c, and 123c is less than 10 mu m, mechanical properties can not be secured.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second resin layers 121c, 122c, and 123c is more than 50 mu m, it is advantageous in securing mechanical properties, to b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100')는 상기 금속층(121b, 122b, 123b)과 제1수지층(121a, 122a, 123a) 사이에 제1 접착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lexible battery 100 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not shown) between 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and the first resin layers 121a, 122a and 123a.

상기 제1 접착층은 금속층(121b, 122b, 123b)과 제1수지층(121a, 122a, 123a) 간의 접착력을 높여주는 역할과 함께, 외장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액이 외장재의 금속층(121b, 122b, 123b)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산성의 전해액으로 금속층(121b, 122b, 123b)이 부식되고 및/또는 제1수지층(121a, 122a, 123a)과 금속층(121b, 122b, 123b)이 박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배터리(100, 100')의 사용과정 중에 이상 과열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플랙서블 배터리가 팽창하는 경우에도 전해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나아가, 외장재에는 배터리에 가요성을 향상시키는 패턴이 형성되는데, 상기 패턴을 외장재에 형성시킬 때 제1 수지층(121a, 122a, 123a)에 크랙이 발생하여 전해액의 누액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접착층은 패턴형성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1 수지층(121a, 122a, 123a)의 크랙을 방지시킬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serves to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and the first resin layers 121a, 122a and 123a. In addition, the electrolyte solution contained in the exterior material is applied to the metal layers 121b, 122b, The first resin layers 121a, 122a and 123a and 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are peeled off by the acidic electrolytic solution to prevent 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from corroding and /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flexible battery 100 or 100 'is in use, troubles such as abnormal overheating may occur,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the electrolyte even when the flexible battery expands, thereby providing reliability for safety. In addition, a pattern for improving the flexibility of the battery is formed on the exterior material. When the pattern is formed on the exterior material, cracks are generated in the first resin layers 121a, 122a, and 123a to cause leakage of the electrolyte. 1 adhesive layer can prevent cracks of the first resin layers 121a, 122a, and 123a that may occur during pattern formation.

이와 같은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제1수지층(121a, 122a, 123a)과의 상용성에 따른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제1수지층(121a, 122a, 123a)과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접착층은 실리콘, 폴리프탈레이트, 산 변성 폴리프로필렌(PPa, acid modified polypropylene) 및 산 변성 폴리에틸렌(Pea, acid modified polyethyl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may be made of a material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resin layers 121a, 122a, and 123a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first resin layers 121a, 122a, and 123a. For example,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e, polyphthalate, acid modified polypropylene (PPa), and acid modified polyethylene (PEA).

이때, 상기 제1 접착층은 평균두께가 5㎛ ~ 3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20㎛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접착층의 평균두께가 5㎛를 초과하면 안정적인 접착력 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30㎛를 초과하면 박형화에 불리하다.At this time,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have an average thickness of 5 탆 to 30 탆, and preferably 10 탆 to 20 탆. This is because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exceeds 5 mu m, it may be difficult to stably secure the adhesive strength, and if it exceeds 30 mu m, it is disadvantageous for thinn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 100')는 상기 금속층(121b, 122b, 123b)과 제2수지층(121c, 122c, 123c) 사이에 드라이 라미네이트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lexible battery 100 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y laminate layer (not shown) between 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and the second resin layers 121c, 122c and 123c have.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층은 상기 금속층(121b, 122b, 123b)과 제2수지층(121c, 122c, 123c)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공지된 수성 및/또는 유성의 공지된 유기용제형 접착제를 건조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The dry laminate layer serves to bond 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to the second resin layers 121c, 122c, and 123c, and drys a known aqueous and / or oily known organic solvent- .

이때,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층은 평균두께 1㎛ ~ 7㎛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 5㎛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3.5㎛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y laminate layer may have an average thickness of 1 탆 to 7 탆, preferably 2 탆 to 5 탆, and more preferably 2.5 탆 to 3.5 탆.

이는,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층의 평균두께가 1㎛ 미만이면 접착력이 너무 약해서 금속층(121b, 122b, 123b)과 제2수지층(121c, 122c, 123c)간의 박리가 발생할 수 있고, 7㎛를 초과하면 불필요하게 드라이 라미네이트층의 두께가 두꺼워져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는데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dry laminate layer is less than 1 占 퐉, the adhesive force is too weak to cause peeling between the metal layers 121b, 122b, and 123b and the second resin layers 121c, 122c, and 123c, The thickness of the dry laminate layer becomes unnecessarily large, which may adversely affect formation of a pattern for shrinkage and relax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 100')는 상기 제2수지층(121c, 122c, 123c) 및 단열층(121d, 122d, 123d)사이에 제2 접착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2수지층(121c, 122c, 123c) 및 단열층(121d, 122d, 123d)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공지된 수성 및/또는 유성의 공지된 유기용제형 접착제를 건조시켜 형성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제2 접착층의 두께는 2 ~ 12㎛일 수 있다. 만일 제2접착층의 두께가 2㎛미만일 경우 외장재로부터 단열층이 박리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제2접착층의 두께가 12㎛를 초과하는 경우 단열층으로 다공성 기재를 사용하는 경우 다공성 기재의 기공 내부로 상기 제2접착층이 침투하여 기공을 막음에 따라서 단열층의 기공도가 감소하여 목적하는 수준의 단열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The flexible batteries 100 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dhesive layer (not shown) between the second resin layers 121c, 122c and 123c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s 121d, 122d and 123d have. The second adhesive layer serves to bond the second resin layers 121c, 122c, and 123c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s 121d, 122d, and 123d, and dries a known aqueous and / or oily known organic solvent-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2 to 12 占 퐉.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less than 2 mu m,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insulating layer peels off from the casing.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exceeds 12 mu m, if the porous substrate is used as the heat insulating lay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rosity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decreases as the second adhesive layer penetrates and blocks the pores, so that the heat insulating effect of the desired level can not be exhibi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외장재(124, 125)는 도 10c 및 도 10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수지층을 생략하여 배터리의 외부에서 내부층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단열층(124d, 125d), 금속층(124b, 125b) 및 제1 수지층(124a, 125a)이 적층된 형태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외장재의 두께를 슬림화시키는 동시에 생략되는 제2 수지층의 두께만큼 단열층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보다 향상된 단열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단열층(124d, 125d) 및 금속층(124b, 125b) 사이에는 상술한 제2 접착층이 더 형성되어 단열층(124d, 125d)과 금속층(124b, 125b)을 접착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C and FIG. 10D, the exterior materials 124 and 125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t insulating layer 124d and 125d sequentially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to the inner layer, The metal layers 124b and 125b and the first resin layers 124a and 125a may be laminat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acer material is reduced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increased by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sin lay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ore improved adiabatic effect can be exhibited. At this time,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layers 124d and 125d and the metal layers 124b and 125b to adhere the heat insulating layers 124d and 125d and the metal layers 124b and 125b.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110)와 함께 수용부에 봉지되는 전해액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상의 전해액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a liquid electrolyte which is commonly used can be used as the electrolyte solution seal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together with the electrode assembly 110.

일례로, 상기 전해액은 상기 전해액은 비수성 유기용매와 리튬염의 용질이 포함된 유기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로는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또는 케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카보네이트(EPC), 메틸에틸 카보네이트(ME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로는 부티로락톤(BL),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발레로락톤(valerolactone),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카프로락톤(caprolactone), n-메틸 아세테이트, n-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테르로는 디부틸에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케톤으로는 폴리메틸비닐케톤이 있으나, 본 발명은 비수성 유기용매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electrolytic solution may be an organic electrolytic solution containing a non-aqueous organic solvent and a solute of a lithium salt. Here, as the non-aqueous organic solvent, a carbonate, an ester, an ether, or a ketone may be used. Examples of the carbonate include dimethyl carbonate (DMC), diethyl carbonate (DEC), dipropyl carbonate (DPC), methyl propyl carbonate (MPC), ethyl propyl carbonate (EPC), methyl ethyl carbonate (MEC) Propylene carbonate (PC), butylene carbonate (BC)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ester. Examples of the ester include butyrolactone (BL), decanolide, valerolactone, mevalonolactone Caprolactone, n-methyl acetate, n-ethyl acetate, n-propyl acetat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ether, dibutyl ether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ketone, polymethyl vinyl ket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kind of the non-aqueous organic solvent.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해액은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튬염은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기본적인 리튬 전지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그 예로는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CF3SO3, LiN(CF3SO2)2, LiN(C2F5SO2)2, LiAlO4, LiAlCl4, LiN(CxF2x + 1SO2)(CyF2x + 1SO2)(여기서, x 및 y는 유리수이다.) 및 LiSO3C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lyte solu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thium salt. The lithium salt acts as a source of lithium ions in the battery to enable operation of a basic lithium battery. Examples thereof include LiPF 6 , LiBF 4 , LiSbF 6, LiAsF 6, LiClO 4 , LiCF 3 SO 3, LiN (CF 3 SO 2) 2, LiN (C 2 F 5 SO 2) 2, LiAlO 4, LiAlCl 4, LiN (C x F 2x + 1 SO 2 ) (C y F 2x + 1 SO 2 ) (where x and y are rational numbers), and LiSO 3 CF 3 .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100')에 사용되는 전해액은 통상의 액상 전해액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겔 폴리머 전해질이 사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액상의 전해액을 구비한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밴딩시 가스 누출 및 누액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lyte used in the flexible batteries 100 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ventional liquid electrolyte, but preferably a gel polymer electrolyte can be used, which can occur in a flexible battery having a liquid electroly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gas and the occurrence of leakage at the time of bending.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은 비수성 유기용매와 리튬염의 용질, 겔 폴리머 형성용 모노머와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유기 전해액을 겔화 열처리시켜 겔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겔 폴리머 전해질은 상기 유기 전해액을 단독으로 열처리할 수도 있지만, 플렉서블 배터리의 내부에서 구비된 분리막에 상기 유기 전해액을 함침시킨 상태에서 열처리하여 모노머를 in-situ 중합하여 겔 상태의 겔 폴리머가 분리막(114)의 기공에 함습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배터리내에서 in-situ 중합 반응은 열 중합을 통해 진행되며, 중합 시간은 대략 20분~12시간 정도 소요되고, 열 중합은 40 내지 90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gel polymer electrolyte may be formed by gelation heat treatment of an organic electrolyte solution containing a non-aqueous organic solvent and a solute of a lithium salt, a monomer for forming a gel polymer,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However, the gel polymer electrolyte may be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lone, but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organic electrolyte solution is impregnated in the separation membrane provided inside the flexible battery to in-situ polymerize the monomer, (114). The in-situ polymerization reaction in the flexible battery proceeds through thermal 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time takes about 20 minutes to 12 hours, and the thermal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at 40 to 90 hours.

이때, 상기 겔 폴리머 형성용 모노머는 중합 개시제에 의해 중합 반응이 이루어지면서 중합체가 겔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라면 어떤 것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PO),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메타크릴레이트(P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그 중합체에 대한 모노머나,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와 같은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el polymer forming monomer may be any monomer as long as the polymer forms a gel polymer upon polymerization reaction by a polymerization initiator. (PMA), polyacrylonitrile (PAN),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methacrylate (PMA), polyvinylidene fluoride (PMMA) or a polymer thereof, or a polyacrylate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polyethylene glycol acrylate.

또한, 상기 중합 개시제의 예로는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퍼옥사이드(Acetyl peroxide), 디라우릴퍼옥사이드(Dilauryl peroxide), 디-터트부틸퍼옥사이드(Di-tertbutylperoxide), 큐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yl hydroperoxide), 하이드로겐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등의 유기과산화물류나 히드로과산화물류와, 2,2-아조비스(2-시아노부탄)(2,2-Azobis(2-cyanobutane)),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나이트릴)(2,2-Azobis(Methylbutyronitrile)) 등의 아조화합물류 등이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열에 의해 분해되어 라디칼을 형성하고,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모노머와 반응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 즉 겔 폴리머를 형성한다.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yl peroxide, acetyl peroxide, dilauryl peroxide, di-tertbutylperoxide, cumyl hydroperoxide ( 2-azobis (2-cyanobutane), 2, 2-azobis (2-cyanobutane), cumene hydro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And azo compounds such as 2-azobis (methylbutyronitrile) and the like.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decomposed by heat to form a radical, and reacts with the monomer by free radical polymerization to form a gel polymer electrolyte, that is, a gel polymer.

상기 겔 폴리머 형성용 모노머는 유기 전해액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의 함량이 1 미만이면 겔형의 전해질이 형성되기 어렵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명 열화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제는 상기 겔 폴리머 형성용 모노머에 대하여 0.0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The gel polymer forming monomer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organic electrolytic solution. When the content of the monomer is less than 1, gel electrolyte is difficult to form. When the content of the monomer is more than 10%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life.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gel polymer forming monom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재(120)의 표면을 덮는 하우징(13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30)은 충전 대상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부(132)가 구비됨으로써 보조배터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30)은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같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실리콘이나 가죽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연질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인서트 몰딩이 가능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12, the flexible battery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30 that covers the surface of the casing 120, And at least one terminal portion 132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auxiliary battery 130. [ Here, the housing 130 may be made of a rigid material such as plastic or metal, but a flexible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 or leather may be used, and preferably a material capable of insert molding may be used.

여기서, 상기 보조배터리는 팔찌, 발찌와 같은 악세사리, 시계줄, 헤드폰용 헤어밴드 등으로 구현되어 상기 충전 대상기기의 충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패션용품으로 사용하고, 상기 충전 대상기기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단자부(132)를 통하여 충전대상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충전 대상기기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auxiliary battery is implemented as an accessory such as a bracelet, a bracelet, a watch band, a hair band for a headphone, etc., and is used as a fashion article when charging of the charging target device is unnecessary. The main battery of the charging object device can be charged regardless of the location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object device through the terminal portion 132. [

여기서, 상기 단자부(131)가 하우징(130)의 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자부(131)의 위치는 하우징(130)의 측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하우징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131)는 음극단자와 양극단자가 분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USB등과 같이 양극과 음극이 통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Although the terminal portions 131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housing 130 in a pai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erminal portions 131 may be provided at the side of the housing 130, Such as a top surface or a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Also, it is noted that the terminal unit 131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separating the negative terminal and the positive terminal, or may be provided in an integrated form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such as USB.

또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배터리는 플렉서블을 요하는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디바이스의 메인 배터리나 보조 배터리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는 스마트 워치의 시계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전자기기 등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Further, the flexibl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ain battery or an auxiliary battery of an electrical and / or electronic device requiring flexibility. For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mart wristwatch, a flexible display,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는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에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19,124)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전극조립체(110)가 외장재(120)에 봉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를 동시에 가압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flexible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sing 120 so that the patterns 119 and 124 for contraction and relaxation can be formed in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sing 120, And simultaneously pressing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sing 120 in a sealed state.

일례로, 일정패턴이 외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롤러 사이에 판상의 플렉서블 배터리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패턴(119,124)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패턴(119,124)를 구성하는 골부와 산부가 교번적으로 각각 형성되고, 맞물림시 어느 하나의 롤러에 형성된 산부측이 다른 하나의 롤러에 형성된 골부측과 서로 치합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patterns 119 and 124 can be formed by passing a sheet-like flexible battery between a pair of rollers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pair of rollers may be formed by alternately forming a valley portion and a crest portion that constitute the patterns 119 and 124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espectively, and a crest portion formed on one of the rollers at the time of engagement, So that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를 통해, 판상의 플렉서블 배터리를 한 쌍의 롤러사이로 통과시키게 되면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가 한 쌍의 롤러를 통해 동시에 가압됨으로써 산부와 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 각각에 서로 일치하는 패턴이 형성된다(도 13참조).Accordingly, when the plate-shaped flexible battery is pass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sing 120 are simultaneously pressed through the pair of rollers, whereby the crests and valleys are alternately form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tter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formed on each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casing member 120 (refer to FIG. 13).

여기서, 상기 전극조립체(110)와 함께 외장재(120)를 통해 봉지되는 전해액은 상기 한 쌍의 롤러를 통과시켜 패턴을 형성한 후 외장재(120)의 내부로 주입할 수도 있고, 상기 한 쌍의 롤러를 통과시키기 전에 외장재(120)의 내부에 주입될 수도 있다.The electrolyte solution sealed through the casing member 120 together with the electrode assembly 110 may be injected into the casing member 120 after passing through the pair of rollers to form a pattern, May be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acings material 120 before passing through.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의 제조방법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장재(120) 및 전극조립체(110)에 각각 제1패턴(124)과 제2패턴(119)을 개별적으로 형성한 후 제1패턴(124)과 제2패턴(119)이 일치하도록 합지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Howev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pattern 124 and the second pattern 119 may be separately formed on the sheathing member 1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10, 1 pattern 124 and the second pattern 119 may be made to coincide with each other.

<실시예 1> &Lt; Example 1 >

먼저 두께가 30㎛인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층을 준비하고, 상기 금속층의 일면에 CPP(casting polypropylene)로 구성된 두께가 40㎛인 제1 수지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금속층의 타면에 두께가 10㎛인 나일론 필름으로 구성된 제2 수지층을 형성시켰으며, 이때, 상기 제1수지층과 금속층 사이에 아크릭산의 함량이 공중합체내 6중량%로 함유한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층을 5㎛로 개재시켰고, 제2 수지층과 금속층 사이에는 드라이라미네이트층을 3㎛ 개재시켰다. 이후 상기 제2 수지층 상부에 PAN(DOLAN, N-PAN, 중량평균분자량 85,000g/mol)과 PVDF(Solvary/Solef 5130)가 8:2의 중량비로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제조한 두께가 25㎛이고, 평량이 4.6 g/㎡이며, 기공도가 65%이고, 평균공경이 330 ㎛인 나노섬유웹을 제2 접착제(3M, 아크릴계 접착제)를 5㎛로 개재시켜 총 두께가 98㎛인 외장재를 제조하였다.First, a metal layer of aluminum having a thickness of 30 탆 is prepared, a first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0 탆 composed of CPP (casting polypropylen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etal layer, and a nylon The acid-modified polypropylene layer containing 6 wt% of acrylic acid in the copolymer wa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metal layer at 5 mu m, and the second resin layer composed of the second A dry laminate layer of 3 μm was interposed between the resin layer and the metal layer. Thereafter, a solution prepared by electrospinning a spinning solution mixed with PAN (DOLAN, N-PAN,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85,000 g / mol) and PVDF (Solvary / Solef 5130) at a weight ratio of 8: (3M, acrylic adhesive) having a basis weight of 4.6 g / m 2, a porosity of 65% and an average pore size of 330 탆 was interposed at 5 탆 in a total thickness of 98 탆 Was prepared.

다음으로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양극조립체 및 음극조립체를 준비했다. 양극조립체는 두께가 20㎛인 알루미늄 재질의 양극집전체에 NCM(Lithium Nickel Cobalt Manganese)계 양극활물질을 최종 두께가 120㎛이 되도록 양극집전체의 양면에 캐스팅하여 양극조립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음극조립체는 두께가 15㎛인 구리재질의 음극집전체에 그라파이트 음극활물질을 최종 두께가 115㎛가 되도록 음극집전체의 양면에 캐스팅하여 음극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PET/PEN 재질의 두께 20㎛의 분리막을 준비하여, 양극조립체, 분리막 및 음극조립체를 교호적층시켜 양극조립체 3개, 분리막 6개, 음극조립체 4개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제조하였다. Next, in order to manufacture an electrode assembly, a cathode assembly and a cathode assembly were first prepared. The positive electrode assembly was prepared by casting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luminum having a thickness of 20 탆 on both sides of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such that a final thickness of 120 탆 was formed by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NCM (Lithium Nickel Cobalt Manganese). Also, the negative electrode assembly was made by casting a graphit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copper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having a thickness of 15 탆 on both sides of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so as to have a final thickness of 115 탆. Then, a 20 mu m thick PET / PEN separator was prepared, and the positive electrode assembly, the separa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ssembly were alternately laminated to prepare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ree positive electrode assemblies, six separators, and four negative electrode assemblies.

이후, 준비된 외장재의 제1 수지층이 안쪽면이 되도록 접은 뒤 전극조립체를 접펴진 외장재의 제1 수지층이 전극조립체에 접하도록 외장재의 내부에 배치시키되, 전해액이 투입될 수 있는 일부분만을 남기고 150℃의 온도로 10초간 열압착시켰다. 이후, 상기 일부분에 통상의 리튬 이온 2차 전지용 전해액을 투입시키고 전해액이 주입된 부분을 150℃의 온도로 10초간 열압착시켜 배터리를 제조하였다. 이후 도 13과 같은 제조장치에 배터리를 투입하여 도 8과 같은 물결무늬의 패턴을 형성시켜 하기 표 2와 같이 수학식 1에 따른 늘어난 표면적 비율(Sdr) 12.524이고, 수학식 3에 따른 θ가 26.224°인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플렉서블 배터리에 대한 구체적 스펙은 하기 표 1과 같다.Thereafter, the first resin layer of the outer casing is folded to be an inner surface, and then the first resin layer of the outer casing, which is folded up with the electrode assembly, is disposed inside the casing so as to contact the electrode assembly. Lt; 0 &gt; C for 10 seconds. Then, an electrolyte solution for a convention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as charged into the above portion, and the portion into which the electrolyte solution was injected was thermally compressed for 10 seconds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produce a battery. Then, a battery was charged into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13 to form a pattern of a wavy pattern as shown in FIG. 8, and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Sdr according to Equation 1 was 12.524, Inch flexible battery. Specific specifications of the manufactured flexible battery are shown in Table 1 below.

단면두께(㎜)Section thickness (mm) 1.1±0.5 1.1 ± 0.5 폭(㎜)Width (mm) 26.0±2.026.0 ± 2.0 길이(㎜, 외부돌출 단자부 제외)Length (mm, excluding the outer projecting terminal) 84.0±2.084.0 ± 2.0 무게(g)Weight (g) 4.7±0.54.7 ± 0.5 공칭용량(nominal capacity, mAh)Nominal capacity (mAh) 135135 공칭전압(nominal Voltage, V)Nominal Voltage (V) 3.73.7

<실시예 2 ~ 12> &Lt; Examples 2 to 12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배터리의 구비된 패턴의 늘어난 표면적 비율 등을 하기 표 3 또는 표 4와 같이 변경시켜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조하였다. The flexible battery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of the pattern of the battery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3 or Table 4 below.

이때, 실시예 12는 양극조립체를 5개, 분리막 10개, 음극조립체를 6개로 변경하여 제조하였고, 제조된 플렉서블 배터리의 공칭용량은 530 mAh, 공칭전압은 3.7V이었다.At this time, in Example 12, 5 pieces of anode assembly, 10 pieces of separator, and 6 pieces of cathode assembly were changed. The produced flexible battery had a nominal capacity of 530 mAh and a nominal voltage of 3.7V.

<비교예 1> &Lt; Comparative Example 1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준비된 외장재만을 도 13과 같은 제조장치에 투입하여 패턴을 형성시켰다(1100). 이후,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전극조립체(1000)를 패턴이 형성된 외장재로 밀봉시켜 도 14와 같은 단면구조를 갖는 하기 표 5와 같은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조하였다.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to prepare a facade, and the facade was put into a manufactur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13 to form a pattern (1100). Thereafter, the electrode assembly 1000 in which no pattern was formed was sealed with a casing having a pattern formed thereon to produce a flexible battery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5 having a sectional structure as shown in Fig.

<비교예 2> &Lt; Comparative Example 2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배터리의 외장재 및 전극조립체 모두에 패턴을 형성시키지 않고 도 1과 같은 형상의 하기 표 4와 같은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조하였다.A flexible battery as shown in Table 4 below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no pattern was formed on both the casing and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battery.

<비교예 3 ~ 4> &Lt;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배터리에 구비된 패턴의 늘어난 표면적 비율을 하기 표 5와 같이 변경시켜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조하였다.The flexible battery was fabri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of the patterns provided in the battery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5 below.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제조된 플렉서블 배터리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평가한 후 표 3 내지 5에 나타내었다.The following properties of the fabricated flexible batteries were evaluated and are shown in Tables 3 to 5.

1. 수학식 1 및 수학식 2의 만족여부1. Satisfying Equations 1 and 2

하기와 같은 수학식 1 및 수학식 2의 만족여부를 확인하여 만족하는 경우 ○, 불만족 하는 경우 ×로 표시하였다.The following expressions (1) and (2) are satisfied, and when they are satisfied, they are marked with &amp; cir &amp;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수학식 2]&Quot; (2) &quot;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2. 벤딩 상태에서의 충전 효율 평가2. Evaluation of charging efficiency in bending state

온도 25, 습도 65%의 환경에서 완전방전된 플렉서블 배터리의 양 단부측에 힘을 가하여 굽혀진 부분에서의 곡률이 25㎜가 되도록 밴딩시킨 상태에서 완전 충전하여 충전용량을 측정 후 다시 완전 방전시키고, 재충전하는 과정을 총 100번 실시하여 평균 충전용량을 측정하였다. 다만, 100회 실시 전 충전용량이 0mAh가 되는 경우 최초 0mAh으로 측정되었을 때까지 측정된 충전용량의 평균을 계산하였다.Under the environment of temperature 25 and humidity 65%, a force was applied to both ends of a fully discharged flexible battery, and the battery was fully charged in the bending state so as to have a curvature of 25 mm at the bent portion, The recharge process was performed 100 times in total to measure the average charge capacity. However, if the charge capacity was 0 mAh before 100 runs, the average of the charge capacities measured until the first 0 mAh was measured was calculated.

이때, 충전 및 방전 조건은 하기 표 2와 같다.The charging and discharging condition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충전조건Charging conditions Normal CurrentNormal Current 0.2C0.2C Max. CurrentMax. Current 0.5C0.5 C CC-CVCC-CV 4.2V4.2V Cut-OffCut-Off 0.05C0.05C 방전조건
Discharge condition
Normal CurrentNormal Current 0.2C0.2C
Max. CurrentMax. Current 0.5C0.5 C Cut-off VoltageCut-off Voltage 2.8V2.8V

3. 내구성3. Durability

플렉서블 배터리의 벤딩 및 원상태로의 복원을 1 세트로 하여 500세트 진행 후 배터리의 외관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전해액의 누액 발생, 외장재에 실금발생 등 외관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평가하였고, 평가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를 0, 비교예 1의 평가결과를 5로 기준해서 이상 여부가 심한 정도에 따라서 1 ~ 4로 평가했다.After 500 sets of bending and restoration of the flexible battery were performed as one set, the appearance of the battery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nd it was evaluated whether or not appearance abnormality such as leakage of electrolyte and incidence of incontinence occurred in the casing was evaluated. Was evaluated as 0, and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was evaluated as 5, and it was evaluated as 1 to 4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abnormality.

4. 완전폴딩 후 배터리 성능발휘 여부 평가4. Evaluate battery performance after complete folding

온도 25, 습도 65%의 환경에서 완전 충전된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배터리 길이방향에 대하여 1/2 지점을 접어서 유압램(Hydraulic Ram)으로 0.8kN/24㎠(=26㎜ ×91.5㎜) 하중을 가해 완전 폴딩시킨 후 다시 편 후, 120초 동안 전압을 측정하였고, 측정 후 120초가 되었을 때의 전압을 표에 나타내었다.In the environment of temperature 25 and humidity 65%, a fully charged flexible battery is folded 1/2 point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battery, and a load of 0.8 kN / 24 cm 2 (= 26 mm × 91.5 mm) is applied to the hydraulic ram, After folding and folding, the voltage was measured for 120 seconds, and the voltage at 120 seconds after the measurement was shown in the table.

5. 소음발생 여부5. Noise Is Occurred

플렉서블 배터리를 벤딩 및 이의 복원 과정을 반복하는 도중 삐걱거리는 소음이 발생했는지 여부에 대해 평가했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0, 소음의 발생 정도가 심할수록, 및/또는 발생횟수가 많을수록 1 ~ 5로 나타내었다.The evaluation was made as to whether creaking noise occurred during the bending and restoring process of the flexible battery. It was evaluated as 0 when no noise occurred, 1 when noise generation was severe, and / 5.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구체적으로 상기 표 3 내지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Specifically, as shown in Tables 3 to 5,

패턴의 늘어난 표면적 비율이 본 발명에 따른 범위를 만족하는 외장재로 봉지된 경우에도 전극조립체에는 패턴이 구비되지 않은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대비하여 벤딩 상태에서의 평균 충전용량 및 내구성이 현저히 감소되어 플렉서블 배터리에는 부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11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약 56회 충방전 후 배터리 성능이 상실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전극조립체의 파단에 의해 상실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Even in the case where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of the pattern is sealed with the exterior material satisfying the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pattern is not provi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significantly reduces the average filling capacity and durability in the bending state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not suitable for a flexible battery. In particular, as can be seen from FIG. 11A, it can be seen that the battery performance is lost after about 56 charge / discharge cycles, which can be expected to be lost due to the breakage of the electrode assembly.

또한, 외장재와 전극조립체 모두에 패턴이 전혀 구비되지 않은 비교예 2는 벤딩상태에서의 평균충전용량은 실시예 1보다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고, 내구성도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1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약 30회 충방전 후 배터리 기능이 완전 상실되어 내구성이 없음을 더더욱 잘 확인할 수 있다.In Comparative Example 2 in which no pattern was formed on both the casing and the electrode assembly,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charging capacity in the bending stat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Example 1, and the durability was also remarkably decreased. As you can see, after 30 charge / discharge cycles, the battery function is completely lost and you can see that it is not durability.

또한, 플렉서블 배터리가 구비하는 패턴이 본 발명에 따른 늘어난 표면적 비율을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경우 실시예 보다도 배터리의 벤딩상태에서의 평균충전용량, 내구성, 완전폴딩 후 성능 및/또는 소음발생 방지 측면에서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비교예 3의 경우 실시예 1보다 패턴의 높이가 높고, 피치가 짧게 패턴이 형성됨에 따라서 유연성은 좋으나 삐걱이는 소리가 현저하고, 과도한 패턴형성으로 전극조립체의 파손에 따라 충전용량이 실시예 1보다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the pattern provided by the flexible battery does not satisfy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charging capacity, durability, performance after complete folding and / Or in terms of prevention of noise generation. Howeve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since the pattern height is higher than that of Example 1 and the pattern is formed with a shorter pitch, flexibility is good, but a squeaking sound is remarkable, and excessive charging of the battery due to damage to the electrode assembly due to excessive pattern forma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Example 1.

한편, 실시예 중에서도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늘어난 표면적 비율인 3.0 ~ 23.0을 만족하는 실시예 1 및 3 내지 10 이 실시예2 및 실시예 11보다 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mong Examples, Examples 1 and 3 to 10, which satisfied the more preferable surface area ratio of 3.0 to 23.0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uperior in physical properties to Examples 2 and 11.

또한, 전극조립체의 개수를 증가시켜 플렉서블 배터리의 두께가 실시예 1보다 증가한 실시예 12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늘어난 표면적 비율을 만족함으로써 우수한 유연성, 내구성을 발현하고 소음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Example 12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battery is increased as the number of the electrode assemblies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electrode assemblies, the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atisfied, thereby demonstrating excellent flexibility and durability and no noise.

<실시예 13 ~ 14>&Lt; Examples 13 to 14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단열층으로 사용된 나노섬유웹의 PAN, PVDF 함량을 하기 표 6과 같이 변경하여 외장재를 제조하였고, 이를 통해 하기 표 6과 같은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조하였다.The PAN and PVDF contents of the nanofiber web used as a heat insulating layer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PAN and PVDF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6 below to prepare a flexible battery as shown in Table 6 below.

<비교예 5>&Lt; Comparative Example 5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단열층을 생략하여 외장재를 제조하여 이를 통해 이를 통해 하기 표 6과 같은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조하였다.Except that the heat insulating layer was omitted, and a flexible battery as shown in Table 6 was manufactured through the procedure.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실시예 1, 실시예 13, 실시예 14 및 비교예 5를 통해 제조된 플렉서블 배터리에 대해서 인서트몰딩 재료로 폴리우레탄을 통상의 사출성형기의 호퍼에 투입 후 185℃로 용융시켜 도 12와 같이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부면에 두께가 0.5㎜가 되도록 하우징을 플렉서블 배터리와 일체로 형성시켰다. 제조된 인서트 몰딩된 플렉서블 배터리가 인서트몰딩의 공정을 수행함에 따른 성능변화 유무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물성을 평가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Polyurethane was injected into a hopper of an ordinary injection molding machine as an insert molding material for the flexible battery manufactured through Examples 1, 13, 14, and 5, and then melted at 185 캜 to obtain a flexible battery The housing wa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exible battery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housing was 0.5 mm. Table 6 shows the properties of the produced insert-molded flexible battery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or not there is a change in performance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insert molding process.

1. 충전 효율 평가1. Evaluation of charging efficiency

온도 25, 습도 65%의 환경에서 완전방전된 플렉서블 배터리를 완전 충전하여 충전용량을 측정 후 다시 완전 방전시키고, 재충전하는 과정을 총 100번 실시하여 평균 충전용량을 측정하였다. 다만, 100회 실시 전 충전용량이 0mAh가 되는 경우 최초 0mAh으로 측정되었을 때까지 측정된 충전용량의 평균을 계산하였다. 이때, 충전 및 방전 조건은 상기 표 2와 같다.The total charge capacity of the flexible battery was measured after charging the fully discharged flexible battery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humidity of 65%, measuring the charge capacity, completely discharging the battery, and recharging the battery 100 times. However, if the charge capacity was 0 mAh before 100 runs, the average of the charge capacities measured until the first 0 mAh was measured was calculated. At this time, charging and discharging conditions are shown in Table 2 above.

2. 내구성2. Durability

인서트몰딩된 플렉서블 배터리의 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전해액의 누액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고, 평가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를 ○, 누액이 발생한 경우 × 로 평가했다.The cross section of the insert-molded flexible battery was observ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to evaluate whether leakage of the electrolyte occurred. The evaluation results were evaluated as &quot; o &quot;, and when leakage occurred, &quot; x &quot;

3. 외부하우징과 플렉서블 배터리 간의 접착력 평가3. Evaluation of adhesion between outer housing and flexible battery

인서트 몰딩된 플렉서블 배터리를 벤딩 및 원상태로의 복원을 1 세트로 하여 500세트 진행 후 하우징의 외관변화 및 플렉서블 배터리의 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하우징과 플렉서블 배터리 간의 들뜸현상이 있는지 평가하였고, 평가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를 0, 이상의 정도가 심할수록 1 ~ 4로 평가했고, 이상의 정도가 심한지 여부는 비교예 5의 평가결과를 5로 기준하여 평가했다.After 500 sets of bending and restoring of the insert-molded flexible battery as one set, the appearance change of the housing and the section of the flexible battery were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to evaluate whether there was lifting phenomen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lexible battery. And the degree of abnormality was evaluated as 1 to 4. The degree of the abnormality was evaluate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of Comparative Example 5 as 5.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상기 표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PAN과 PVDF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내의 중량비로 혼합된 방사용액으로 전기방사된 나노섬유웹을 단열층으로 구비하는 실시예 1은 인서트몰딩 전의 플렉서블 배터리의 평균충전용량과 대비했을 때 인서트 몰딩 후 평균충전용량에서 거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도 11a를 참조(No-Bending시 실시예 1의 평균충전용량 약 125 mAh)했을 때 확인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6, Example 1 in which a nanofiber web electrospun with a spinning solution in which PAN and PVDF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within the preferred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as a heat insulating layer, 11A (no-bending, the average charge capacity of Example 1 is about 125 mAh), and that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charge capacity after insert molding does not occur.

이에 반하여 PAN이 더 많이 방사용액에 포함되어 제조된 단열층을 구비하는 실시예 13은 평균충전용량이 실시예 1에 비해 현저히 감소했는데, 이는 PAN의 전기방사성이 좋지 않아 섬유길이가 매우 짧거나 액적과 같은 상태로 섬유가 전기방사됨에 따라 제조된 나노섬유웹층의 기공도가 높게 제조되지 않고, 평균공경도 매우 작아서 단열효과가 실시예 1에 비해 현저히 저하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실시예 13의 경우 내구성 평가결과 누액의 발생은 없었으며, 다만 평균충전용량의 감소로 미루어 전극조립체에 이상이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외부하우징과 플렉서블 배터리간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잦은 벤딩 후 하우징과 배터리간의 들뜸, 이격이 발생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in Example 13 in which the PAN was more contained in the spinning solution than in Example 1, in which the insulating layer was prepared, the average charg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with Example 1, As the fibers are electrospun in the same state, the prepared nanofiber web layer is not produced with a high porosity and the average pore size is very small, which is interpreted as a result that the adiabatic effect is remarkably lowered than in Example 1. In the case of Example 13, the durability evaluation result showed no leakage, but it is expected that an abnormality occurred in the electrode assembly due to the decrease in the average charging capacity.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outer housing and the flexible battery is weakene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frequent lifting and separat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battery after bending.

한편, PVDF의 함량을 높인 나노섬유웹을 단열층으로 사용한 실시예 14의 경우 평균충전용량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13보다 현저히 저하되었는데, 이는 단열층의 PVDF가 인서트몰딩 공정에서 일부 용융되어 나노섬유웹의 기공을 막아 단열층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 14의 경우에도 누액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전극조립체에 심한 열손상에 따른 물성저하가 유발된 것으로 예상된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 14 using a nanofiber web having a higher PVDF content as a heat insulating layer, the average charge capac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Example 1 and Example 13 because the PVDF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was partially melted in the insert molding process, And it is possible to interpret it as a result of failing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insulating layer properly. However, even in the case of Example 14, it is expected that the leakage of the liquid does not occur, which may result in a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due to severe thermal damage to the electrode assembly.

또한, 단열층을 외장재에 구비하지 않은 비교예 5에 플렉서블 배터리는 인서트몰딩 공정후 평균충전용량이 21.3 mAh에 불과하고, 내구성 평가결과가 누액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좋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외장재에 단열층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인서트몰딩 공정 수행시에 플렉서블 배터리의 기능저하 및 불량이 발생한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In Comparative Example 5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layer was not provided on the exterior material, the average filling capacity of the flexible battery after the insert molding process was only 21.3 mAh. As a result of the durability evaluation, leakage occurred and the durability was remarkably poor. It is clearly shown that the function of the flexible battery is deteriorated and defective when the insert molding process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layer is not provid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100' : 플렉서블 배터리 110 : 전극조립체
112 : 양극 112a : 양극집전체
112b : 양극 활물질 114 : 분리막
114a : 부직포층 114b : 나노섬유웹층
116 : 음극 116a : 음극집전체
116b : 음극 활물질 118a : 음극단자
118b : 양극단자 119 : 제2패턴
120, 123, 124, 125 : 외장재 121 : 제1외장재
121a, 122a, 123a, 124a, 125a : 제1수지층
121b, 122b, 123b, 124b, 125b : 금속층
121c, 122c, 123c : 제2 수지층
121d, 122d, 123d, 124d, 125d : 단열층
124 : 제1패턴 130 : 하우징
132 : 단자부
100, 100 ': Flexible battery 110: Electrode assembly
112: positive electrode 112a: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112b: cathode active material 114: separator
114a: nonwoven fabric layer 114b: nanofiber web layer
116 cathode 116a anode collector
116b: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18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8b: positive terminal 119: second pattern
120, 123, 124, 125: exterior material 121: first exterior material
121a, 122a, 123a, 124a, and 125a:
121b, 122b, 123b, 124b, and 125b:
121c, 122c and 123c: the second resin layer
121d, 122d, 123d, 124d, 125d:
124: first pattern 130: housing
132: terminal portion

Claims (30)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며, 배터리의 내부와 외부간의 열 이동을 차단시키는 단열층을 외부에 노출되는 일면에 구비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는 밴딩시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각각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An electrode assembly; And
And a cover member sealing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and having a heat insulating layer on one side exposed to the outside to block heat transfer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attery,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sing are respectively formed such that patterns for shrinking and relax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ime of bending have the same directiona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외장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 및
상기 전극조립체에 상기 제1패턴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attern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asing; And
And a second pattern formed on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pattern,
Where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are arrang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산부 및 골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산부 및 골부는 호형단면, 다각단면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ttern is formed by alternately forming a plurality of peak portions and valley por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hill portions and the valleys are provided so as to have arc-shaped cross-sections, polygonal cross-sections, and mutually-combined cross-sections.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mountain and valley portions is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전극조립체 및 외장재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attern is formed entirely or partially i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sing.
제3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산부간의 간격 또는 골부간의 간격은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등간격과 부등간격이 상호 조합된 형태로 구비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pacing between the adjacent hills or between the valleys is formed to have an equal interval or an unequal spacing, or the equal interval and the unequal spacing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tern is form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중 외장재에 형성되는 패턴은 상기 제1영역에만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ior member includes a first region for forming a housing portion for hous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nd a second region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region and forming a sealing portion,
Wherein a pattern formed on the casing is formed only in the firs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집전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활물질이 코팅되어 구성되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 섬유를 함유한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formed by coating an active material on part or all of the collector,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Wherein the separation membrane comprises a porous nonwoven fabric layer having micropores and a nanofiber web layer containing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on one or both sides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크랙을 방지하고 집전체로부터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PTFE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ctive material includes PTFE to prevent cracking and to prevent peeling from the current coll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제1수지층, 금속층 및 단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ior material comprises a first resin layer, a metal layer, and a heat insulating layer sequentially lamina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층은 PPa(acid modified 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lyp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에폭시 수지 및 페놀 수지 중 선택된 1종의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2종 이상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resin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cid-modified polypropylene (PPa), cast polyprolypene (CPP),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EVA), an epoxy resin, and a phenol resin, or a laminate of two or more thereof.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구리, 인청동(phosphorbronze, PB), 알루미늄청동(aluminium bronze), 백동, 베릴륨-구리(Berylium-copper), 크롬-구리, 티탄-구리, 철-구리, 코르손 합금 및 크롬-지르코늄 구리 합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etal lay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copper, phosphor bronze (PB), aluminum bronze, white copper, beryllium-copper, chromium-copper, titanium- Zirconium copper alloy, and a zirconium copper allo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층은 평균두께가 20㎛ ~ 80㎛이고, 상기 금속층은 두께가 5㎛ ~ 100㎛인 플렉서블 배터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resin layer has an average thickness of 20 占 퐉 to 80 占 퐉 and the metal layer has a thickness of 5 占 퐉 to 100 占 퐉.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금속층과 단열층 사이에 개재된 제2 수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지층은 나일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Cyclo olefin polymer), PI(polyimide) 및 불소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xterior material further comprises a second resin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layer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
Wherein the second resin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cycloolefin polymer (COP), polyimide (PI), and a fluorine compoun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 및 제1수지층 사이 개재되는 제1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은 실리콘, 폴리프탈레이트, PPa(acid modified polypropylene) 또는 PEa(acid modified polyethyle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layer and the first resin layer,
Wherein the first adhesive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e, polyphthalate, acid modified polypropylene (PPa), and acid modified polyethylene (PE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지층은 평균두께가 20㎛ ~ 80㎛인 플렉서블 배터리.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econd resin layer has an average thickness of 20 占 퐉 to 80 占 퐉.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 및 제2 수지층 사이에 개재되는 드라이 라미네이트층(dry lamination layer) 및
상기 제2 수지층과 단열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16. The method of claim 15,
A dry lamination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resin layer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겔 폴리머 전해액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lytic solution comprises a gel polymer electrolytic 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른 늘어난 표면적 비율(Sdr)이 0.5 ~ 40.0을 만족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수학식 1]
Figure pat00012

이때, 상기 패턴이 형성된 일영역의 표면적은 가로길이가 Lx(㎜), 세로길이가 Ly(㎜)인 배터리 일영역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표면적을 의미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ea where the pattern is formed includes an area having an increased surface area ratio (Sdr)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0.5 to 40.0:
[Equation 1]
Figure pat00012

In this case, the surface area of one region o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means the surface area based on one area of the battery having a width Lx (mm) and a length Ly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른 θ가 5.0° ~ 47°를 만족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수학식 2]
Figure pat00013

상기 h는 플렉서블 배터리에 형성된 패턴에서 인접하는 산과 골의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의 평균 수직거리(㎜)이며, 상기 p는 인접하는 두 개 산 각각의 최고점 사이의 평균 수평거리(㎜)를 의미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ea i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includes an area satisfying the following equation (2) &amp;thetas; 5.0 DEG to 47 DEG:
&Quot; (2) &quot;
Figure pat00013

(H) is the average vertical distance (mm) between the highest point and the lowest point of adjacent mountains and valleys in the pattern formed on the flexible battery, and p is the average horizontal distance (mm) between the highest points of the adjacent two mountai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미세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기재 및 단열필름 중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insulating lay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rous substrate and a heat insulating film having a plurality of micropores capable of accommodating ai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기재는 섬유웹, 부직포, 직물 및 편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섬유는 유기섬유 및 무기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porous substrate comprises at least one substrat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fibrous web, a nonwoven fabric, a fabric and a knitted fabric, and the fibers forming the substrate include at least one of organic fiber and inorganic fiber.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웹은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된 나노섬유웹이며,
상기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복합나노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fibrous web is a nanofiber web formed through electrospinning,
Wherein the nanofiber forming the nanofiber web comprises at least one of a polyacrylonitrile nanofiber, a polyvinylidene fluoride nanofiber, and a composite nanofiber of polyacrylonitril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나노섬유는 모노사 내에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가 6:4 ~ 8.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플렉서블 배터리.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composite nanofiber is a mixture of polyacrylonitril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in a weight ratio of 6: 4 to 8.5: 1.5 in a mono yarn.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은 평량이 2 ~ 6 g/㎡이며, 기공도가 40% 이상인 플렉서블 배터리.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nanofiber web has a basis weight of 2 to 6 g / m &lt; 2 &gt; and a porosity of 40% or more.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렉서블 배터리; 및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부면을 덮도록 인서트 몰딩된 연질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충전 대상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부가 구비되는 보조배터리.
26.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6. And
And a flexible housing insert molded to cover an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battery,
Wherei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terminal portion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device to be charged.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렉서블 배터리; 및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부면을 덮도록 인서트 몰딩된 연질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시계줄.
26.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6. And
And a flexible housing insert mold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battery.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렉서블 배터리; 및
상기 플렉서블 배터리의 외부면을 덮도록 인서트 몰딩된 연질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헤드폰용 헤드밴드.
26.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6. And
And a flexible housing insert-mold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battery.
제27항에 따른 보조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29. A mobi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27.
KR1020150141823A 2014-10-10 2015-10-08 Flexible battery, supplementary battery and watch strap comprising the flexible battery KR1024068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6863 2014-10-10
KR1020140136863 2014-10-10
KR1020140149202 2014-10-30
KR20140149202 2014-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796A true KR20160042796A (en) 2016-04-20
KR102406836B1 KR102406836B1 (en) 2022-06-10

Family

ID=5591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823A KR102406836B1 (en) 2014-10-10 2015-10-08 Flexible battery, supplementary battery and watch strap comprising the flexible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83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554A (en)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A pouch cas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KR20200024805A (en) * 2018-06-12 2020-03-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lexibl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supplement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20200280045A1 (en) * 2017-11-22 2020-09-03 Libest Inc. Electrode assembly having improved safety of use by means of exterior material pattern structure,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KR20210084205A (en) * 2019-12-27 2021-07-07 고병지 Smart devices with active size adjustment
KR20220155739A (en) *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파이퀀트 Water quality inspec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355A (en) * 2007-07-05 2009-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employed with label of high strength for protecting the outside of pack
KR20110033502A (en) * 2009-09-25 2011-03-31 이홍희 Secondary batter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20023491A (en) 2010-09-02 2012-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ouch-type flexible rechargeable film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355A (en) * 2007-07-05 2009-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employed with label of high strength for protecting the outside of pack
KR20110033502A (en) * 2009-09-25 2011-03-31 이홍희 Secondary batter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20023491A (en) 2010-09-02 2012-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ouch-type flexible rechargeable film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554A (en)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A pouch cas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US20200280045A1 (en) * 2017-11-22 2020-09-03 Libest Inc. Electrode assembly having improved safety of use by means of exterior material pattern structure,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KR20200024805A (en) * 2018-06-12 2020-03-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lexibl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supplement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10084205A (en) * 2019-12-27 2021-07-07 고병지 Smart devices with active size adjustment
KR20220155739A (en) *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파이퀀트 Water quality insp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836B1 (en)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592B1 (en) Flexibl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supplement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680591B1 (en) Flexible batter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it and supplement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122296B1 (en) Battery and mobile electro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98315B1 (en) Flexible battery, supplementary battery and watch strap comprising the flexible battery
KR102406836B1 (en) Flexible battery, supplementary battery and watch strap comprising the flexible battery
KR102535891B1 (en) Flexibl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supplementary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90140415A (en) Flexibl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supplement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736814B1 (en) Flexibl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supplement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2021512464A5 (en)
KR20160090108A (en) Flexible battery and wearable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20160090104A (en) Electrode Assembly for Flexible battery and Flexible battery containing the same
KR102108903B1 (en) Flexibl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supplement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497816B1 (en) Watch strap having flexible battery
KR102497815B1 (en) Watch strap having flexible battery
KR102397710B1 (en) Flexible battery and supplement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00000002A (en) Flexibl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supplement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417446B1 (en) Flexible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supplement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455787B1 (en) Flexible battery and supplement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60042794A (en) electrode assembly for flexible battery and flexible battery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