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575A -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575A
KR20160042575A KR1020140136666A KR20140136666A KR20160042575A KR 20160042575 A KR20160042575 A KR 20160042575A KR 1020140136666 A KR1020140136666 A KR 1020140136666A KR 20140136666 A KR20140136666 A KR 20140136666A KR 20160042575 A KR20160042575 A KR 20160042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sion
divided
assigning
dividing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재우
위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컴퍼니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컴퍼니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컴퍼니위
Priority to KR102014013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2575A/ko
Publication of KR2016004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2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sectional

Abstract

본 발명은 지구를 포함하는 구형 행성의 물리적 위치를 하나의 소수 형태의 숫자를 이용하여 표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행성의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균일한 크기의 윗면과 아랫면이 평행한 사각형의 형태로 구획하고 각 구획에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제1 단계, 상기 구획된 영역 중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균등하게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에 주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제2 단계, 상기 균등하게 분할된 영역 중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제2 단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균등하게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에 상기 주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위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영역이 기 결정된 크기 이하로 될 때까지 상기 제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구획번호, 주 분할번호, 및 하위 분할번호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대상 위치를 표시한다.

Description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Method of Displaying Subject Location in Globular-Shaped Planet}
본 발명은 지구를 포함하는 구형 행성의 물리적 위치를 식별하고, 표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면을 하나의 소수 형태의 숫자를 이용하여 표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GPS나 네비게이션 또는 지도 애플리케이션 등에서는 지도상의 특정 좌표를 가리키기 위하여 위도와 경도를 사용하고 있고, 위도 및 경도 체계는 특정 위도선과 특정 경도선이 만나는 하나의 점을 기준으로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위도는 적도를 기준으로 북극과 남극 방향으로 90도씩 총 180도로 나눈 가로 방향의 좌표선이고, 경도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좌우로 총 360도로 나눈 세로 방향의 좌표선이다.
위도와 경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도, 분, 초를 사용하는데, 시간처럼 60진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지구상의 특정의 위치를 표기하기 위해서 위도와 경도의 조합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광화문의 위치는 위도가 37.571619, 경도가 126.97643600000004로 표시된다.
이와 같은 위도와 경도를 사용하여 지구상의 특정 위치를 표기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단점이 존재한다.
먼저, 이러한 방식으로는 자산(건물, 토지, 재산권, 사람)이 점유하는 공간을 표시하는데 적합하지 않고, GPS 등의 도구를 통해서만 위치 식별이 가능(GPS를 통하여 위도, 경도를 파악한 다음에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위치를 식별함)하므로 GPS 없이 지도만으로 현재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고, 실생활(예로서, 도로 주행, 위치 찾기 등)에서는 정확한 위치보다는 직관적으로 대략적 위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현행 위도 및 경도의 조합 방식으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또한, 도로 기준의 주소체계(예로서, 한국과 미국의 경우의 도로명 주소체계)에서 도로 관리 체계가 완전하게 구성되지 못한 경우 또는 새로운 건물이 생기는 등으로 주소체계의 변동사항이 발생하는 경우에 실제 물리적인 위치를 즉각적이고도 신속하게 파악해야 하는데 현행 위도 및 경도의 조합 방식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현행 주소체계는 도로를 기준으로 도로에 연결된 건물을 찾는 방식이므로 도로 이름 및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주소를 찾지 못할 위험이 있다. 특히, 도시계획하에서 개발되지 않고, 자연적으로 발전해온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도로명 주소 체계를 적용하는데 많은 장애 요인이 있어 이를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우리나라와 일본은 측량원점(동경)을 사용하여 세계 표준과 약 365m나 차이가 나며, 현재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15% 정도가 지적도와 일치하지 않고 있어, 토지 분쟁에 들어가는 사회적 비용만 연간 3,800억 원으로 추산되고, 잘못된 토지 경계로 인한 이웃 간의 분쟁으로 사회적 갈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지적으로 세계 표준에 맞추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오류의 시정이 많은 분쟁을 일으킬 수 있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인이 GPS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지도 또는 표지석만으로 목적하는 대상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찾아갈 수 있도록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대상 위치 표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정보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하나의 숫자 표기 방법을 제공하여 지도 및 표지석을 통하여 쉽게 대상 위치를 파악하고 찾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구와 같은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행성의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균일한 크기의 윗면과 아랫면이 평행한 사각형의 형태로 구획하고 각 구획에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제1 단계, 상기 구획된 영역 중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균등하게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에 주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제2 단계, 상기 균등하게 분할된 영역 중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제2 단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균등하게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에 상기 주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위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영역이 기 결정된 크기 이하로 될 때까지 상기 제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구획번호, 주 분할번호, 및 하위 분할번호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대상 위치를 표시한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구획번호를 정수로, 주 분할번호 및 하위 분할번호를 소숫점 이하의 수로 차례로 표시하는 소수 표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행성의 전체 표면을 구획하는 경우 북극점을 기준으로 위도 1도 간격 및 경도 1도 간격에 의하여 구획하고, 위도 0도, 경도 0도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구획번호를 순차로 부여하고, 동일 위도상에서 구획번호를 모두 부여하면 아래쪽 구획으로 이동하여 다시 시계 방향으로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모든 구획에 대하여 구획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행성의 표면의 일부 영역을 구획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하는 기준점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동일 세로 간격 및 동일 가로 간격으로 구획하고, 기준점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정하는 순서로 구획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계의 분할은 상기 제1 단계에서 구획된 영역을 윗면과 아랫면에서 동일한 분할 개수로 균등하게 분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 개수는 1 또는 2로 구성하여, 면을 4 분할 또는 9 분할로 균등하게 반복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르면, 대상 지점을 구획번호와 반복적 분할번호에 의하여 구성된 하나의 소수 형태의 숫자로 표시할 수 있고, 또한 분할번호의 부여 방식이 즉각적으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지도, 지적도, 자동차 및 선박의 네비게이션에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보다 쉽게 목표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응용할 경우 토지 권리자(소유자 및 점유자)가 쉽게 부동산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지적도와 비교할 수 있어 향후 디지털 지적으로 전환시 사용자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위도, 경도와 같은 절대적 위치 정보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인 기준점(예로서, 서울 측량 원점)을 사용하여 구획번호를 부여하고, 연속 분할법을 통하여 토지에 일련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지역특화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주소체계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건물 및 토지의 절대적 위치를 지도에서 찾기가 용이하고 실제 현장에서 기준점을 파악한 후 찾고자하는 건물 및 토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물류, 안전, 교통, 도시관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택배 등의 배달 사업자가 배달 대상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정보를 기준으로 에너지, 물류, 문화, 상권 등을 연계해야 하는 경우 종래에는 위도, 경도의 조합에 의한 특정 지점에 데이터를 연계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면에 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으므로 위치 기반 데이터 분석에 용이하다.
또한, 실내 위치 표지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위치 기반 마케팅뿐만 나이라, 화재 발생 등의 안전사고시 신속한 위치 파악에 의하여 대피 및 구조 활동이 가능하다. 위치 기반 마케팅의 경우, 예를 들면, 조명 기구 등에 본 발명에서 정의한 위치 태그를 부착하여 마케팅에 활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절대적 위치를 추정할 수 있어 넓은 쇼핑몰 등에서의 마케팅 분석 도구로 활용 가능하며, 화재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위치 정보 전달이 용이하여 인명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실제 경계선과 지적도 불일치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위도 및 경도를 기준으로 구획된 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소수로 표현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4분할로 분할된 분할 면에 대하여 분할번호가 시계 방향으로 부여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9분할로 분할된 분할 면에 대하여 분할번호가 시계 방향으로 부여되는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숫자를 이용하여 지구를 포함하는 구형 행성의 물리적 위치를 식별하고, 표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지구의 예를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지구 이외의 구형 행성에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i) 지구의 위도선과 경도선으로 구획되는 면을 기준점(예로서, 북극)으로부터 특정 방향(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획번호를 지정하여 정수로 표시하고, ii)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면을 일정한 방식으로 균등하게 분할 및 분할 번호를 지정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각 차수의 분할번호를 소숫점 이하의 숫자로 차례로 표시함으로써 (정수.소수점 이하의 숫자)의 하나의 소수의 형태로 대상 위치를 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획번호의 지정 예로서, 예를 들면, 지구의 북극을 시작점으로 하여 위도 1도, 경도 1도를 단위 면적으로 구획하면, 지구는 총 64800개의 구획으로 분리된다. 여기에서 북극을 시작 기준점으로 정한 것은 하나의 예로서, 북극 또는 남극을 시작점으로 정한 후 위도와 경도의 기준각도(1도 또는 N도, 0.N도, N.N 등)에 따라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것을 표준 명명 규칙으로 정하여 두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기준점, 기준각도, 및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방향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북극을 기준점으로, 특정의 위도 및 경도의 기준각도로 지구의 표면을 구획한 하나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예로서,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특정의 구획 내에서, 예로서 4 분할한 후 각 사분면마다 일정한 규칙에 따라 분할번호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상단면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것을 표준 명명 규칙으로 정할 수 있다.
1차적으로 분할번호가 부여되면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사분면을 다시 동일한 방식으로 2차적으로 분할 및 분할번호를 부여한다.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사분면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동일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대상 위치를 정밀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구획번호가 128인 경우로서, 대상 위치를 128.3141이라는 소수의 형태로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구획번호 128의 면은 1차적으로 가로 2등분 및 세로 2등분으로 4개의 균등한 면으로 분할되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분할번호를 차례로 1, 2, 3, 4로 지정하고, 각 1차 분할 면은 구획번호 128을 소수점 앞자리에 배치하고 분할번호를 소수점 뒷자리에 배치하여 차례로 128.1, 128.2, 128.3, 128.4의 소수의 형태로 표현된다. 다음에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사분면인 128.3의 분할 면은 다시 1차 분할 및 분할번호 부여와 동일한 방식으로 2차 분할 및 분할번호 부여가 수행된다. 따라서 각 2차 분할 면은 차례로 128.31, 128.32, 128.33, 128.34의 소수의 형태로 표현되고,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사분면인 128.31의 분할 면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다시 128.311, 128.312, 128.313, 128.314의 3차 분할 면으로 분할되고,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사분면인 128.314의 분할 면이 다시 분할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반복은 대상 위치를 표현하는 충분한 정도의 정밀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것이다. 도 5는 9분할로 분할된 분할 면에 대하여 분할번호가 부여되는 예를 도시한다. 0 내지 9까지의 분할번호가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부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분할번호가 9인 것은 면의 중심 영역임을 직감시킬 수 있으므로 숫자로부터 대상 위치가 어디에 존재하는지를 추정하기가 매우 수월할 것이다.
상술한 바의 본 발명의 내용을 다시 정리하면, 본 발명은 지구와 같은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행성의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균일한 크기로 구획하고 각 구획에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제1 단계, 상기 구획된 영역 중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균등하게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에 주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제2 단계, 상기 균등하게 분할된 영역 중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제2 단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균등하게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에 상기 주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위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영역이 기 결정된 크기 이하로 될 때까지 상기 제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구획번호, 주 분할번호, 및 하위 분할번호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대상 위치를 표시한다.
상기 제1 단계는 행성의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균일한 크기로 구획하고 각 구획에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행성은 주로 지구를 말하지만, 천문학적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지구 이외의 구형 행성도 포함한다. 구획되는 대상은 지구의 표면으로서 전 지구적 규모의 체계에 적용되는 경우 지구 전체를 구획하게 되지만, 특정 나라 또는 지역을 대상으로 이용되는 경우라면 대상이 되는 일부 지역만을 구획하게 될 것이다. 또한, 구획되는 면은 실제로는 곡면을 이루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개략적인 평면으로 취급하여 설명한다. 구획되는 형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전 지구적 규모의 체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위도, 경도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위도 및 경도에 따른 수평선 및 수직선에 의하여 지구 전체를 구획할 수 있다. 다만, 불규칙하게 이루어진 나라 또는 지역 경계선으로 둘러싸인 일부 지역을 구획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정해진 구획 방법에 의하여 균일한 크기 및 형태로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한 구획의 경우에도 기본적으로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태로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방법은 전체 표면을 구획하는지 또는 일부 표면을 구획하는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전체 표면을 구획하는 경우 북극점을 기준으로 위도 1도 간격 및 경도 1도 간격에 의하여 구획하고, 위도 0도, 경도 0도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구획번호를 순차로 부여하고, 동일 위도상에서 구획번호를 모두 부여하면 아래쪽 구획으로 이동하여 다시 시계 방향으로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모든 구획에 대하여 구획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구 표면의 일부 영역을 구획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하는 기준점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동일 세로 간격 및 동일 가로 간격으로 구획하고, 기준점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정하는 순서로 구획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구획된 영역 중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서로 대칭인 분할 면으로 균등하게 분할하고 각 분할된 면에 1차로 분할번호를 부여한다.(이하에서 1차로 부여된 분할번호를 '주 분할번호'라고 명명한다.) 구획된 영역을 균등하게 분할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구획된 영역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직선을 그어 다수의 분할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구획된 영역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경우 대응하는 두 변의 이등분점을 연결하는 하나의 직선에 의하여 두 개의 균등한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정사각형의 경우 가로 또는 세로변의 길이가 같기 때문에 어느 변을 선택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직사각형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반복적 세분 과정에서 면의 형태가 한 방향으로 길게 좁아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길이가 긴 장변에 대하여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서로 대응하는 두 꼭지점을 연결하는 하나의 직선에 의하여 두 개의 균등한 부분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직선에 의하여 구획을 주 분할하는 경우 분할번호의 부여는 왼쪽 방향, 오른쪽 방향, 아래쪽 방향, 위쪽 방향 등과 같이 하나의 방향을 선택하여 부여할 수 있다.
주 분할은 두 개 이상의 직선을 이용하여 구획을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두 개 이상의 직선이 가로 및 세로 변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구성되는 경우 분할이 진행되면서 한쪽 방향으로의 누적된 형태의 변형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게는 가로 및 세로 변을 각각 동일한 개수의 직선으로 균등하게 분할한다. 예를 들면, 대응하는 두 변의 이등분점을 연결하는 가로 및 세로의 두 직선에 의하여 4개의 균등한 부분으로 4분할할 수 있다. 다른 4분할의 예로서, 서로 대응하는 두 꼭지점을 연결하는 서로 방향이 반대로 기울어진 두 개의 대각선에 의하여 4개의 균등한 부분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가로 및 세로 변을 각각 삼등분하여 9개의 균등한 부분으로 분할하는 9분할도 가능하고 그 이상으로 분할하는 것도 모두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로 및 세로 변을 동일한 개수로 등분하여 분할하는 방식은 최초의 구획의 형태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경우에 주 분할된 면이 계속하여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실제 적용에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가로 및 세로 변을 동일한 개수의 직선으로 분할하는 경우 분할번호의 부여는 하나 이상의 방향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분할의 경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분할번호를 부여하거나, Z자 또는 N자 등 임의의 형태로 분할번호를 부여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계 방향에 의한 분할번호의 부여가 매우 단순한 형태로서 바람직할 것이다. 9분할의 경우에는 한 번의 회전으로 분할번호가 모두 정해지지 않으므로 이때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번호를 지정하되, 하나의 예로서, 한 회전의 종점에서는 내측으로 이동하여 계속 회전하는 방식으로 분할번호를 모두 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제2 단계에 의하여 균등하게 분할된 영역 중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제2 단계에서와 동일한 개수의 서로 대칭인 균등한 분할 면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면에 상기 주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위 분할번호를 부여한다. 제2 단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분할된 면 중에서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면은 제3 단계에서 분할이 이루어지는데, 기본적으로는 제2 단계의 분할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분할되지만, 제2 단계에서 분할된 분할 면의 형태에 따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은 방식으로 분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계의 구획된 면이 정사각형인데 제2 단계에서 하나의 직선에 의하여 분할되어 분할 면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경우 제3 단계에서는 동일한 분할이 이루어질 수 없고, 이때는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직사각형의 장변에 수직으로 분할하여 두 개의 정사각형의 분할 면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단계의 구획된 면이 정사각형이고 제2 단계에서 하나의 대각선에 의하여 분할되어 분할 면이 직각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제3 단계에서 직각 삼각형의 분할 면의 장변에 수직으로 분할하여 다시 두 개의 직각 삼각형의 형태의 분할 면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분할번호의 부여는 분할 면의 배치된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지정할 수 있다.
다만, 제1 단계의 구획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경우로서 제2 단계에서 가로 및 세로 변을 동일한 개수의 직선으로 분할하는 경우와 같이 구획의 형태에 변형이 생기지 않는 분할의 경우 제3 단계에서의 분할은 제2 단계에서의 분할의 형태와 동일하게 되고, 분할번호의 부여도 제2 단계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분할된 영역이 기 결정된 크기 이하로 될 때까지 상기 제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대상 위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정밀도에 맞추어 정확하게 위치 표시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확정된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분할 면은 구획번호, 주 분할번호, 및 하위 분할번호가 부여될 것이고, 이들을 조합하여 대상 위치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들을 조합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구획번호를 정수로, 주 분할번호 및 하위 분할번호를 소숫점 이하의 수로 차례로 표시하는 소수 표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구획번호가 128이고, 주 분할번호가 3, 하위 분할번호가 차례로 1, 4, 1이면, 이들을 조합하여 128.3141이라는 하나의 소수의 형태를 만들어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숫자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와 같이 64700.111111이라는 소수로 표현된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64700은 지구 규모의 구획 일련번호인 구획번호(10)이고 소수점 이하의 부분인 111111은 구획 내의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사분면의 위치를 나열한 분할번호(20)이다. 분할번호(20)는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1차 분할의 분할 면(21), 2차 분할의 분할 면(22), 3차 분할의 분할 면(23), 4차 분할의 분할 면(24) 등과 같이 나열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을 응용하여 관리 대상 면을 표준 규칙에 의하여 구획화하고, 해당 구획을 반복적으로 분할하여 관리 대상 면을 포함하는 모든 분할 면에 대하여 면번호를 생성하여 이들의 집합으로 관리 대상 면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대상 면에 속하는 모든 면 번호를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대신에 관리 대상 면의 경계를 포함하는 모든 면에 대한 면 번호만을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구획번호 및 분할번호(주 분할번호, 하위 분할번호)의 예로서 아라비아 숫자를 이용하였으나, '번호'라는 명칭에 불구하고 아라비아 숫자 이외의 표기, 예를 들면, 알파벳의 나열과 같이 정해진 순서를 갖는 문자의 나열을 이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6)

  1. 지구와 같은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행성의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균일한 크기로 구획하고 각 구획에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제1 단계;
    상기 구획된 영역 중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을 서로 대칭인 분할 면으로 균등하게 분할하고 각 분할 면에 주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제2 단계;
    상기 균등하게 분할된 분할 면 중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분할 면을 상기 제2 단계에서와 동일한 개수의 서로 대칭인 분할 면으로 균등하게 분할하고 각 분할 면에 상기 주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위 분할번호를 부여하는 제3 단계;
    상기 분할된 면이 기 결정된 크기 이하로 될 때까지 상기 제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구획번호, 주 분할번호, 및 하위 분할번호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번호를 정수로, 주 분할번호 및 하위 분할번호를 소숫점 이하의 수로 차례로 표시하는 소수 표기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행성의 전체 표면을 구획하는 경우 북극점을 기준으로 위도 1도 간격 및 경도 1도 간격에 의하여 구획하고,
    위도 0도, 경도 0도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구획번호를 순차로 부여하고, 동일 위도상에서 구획번호를 모두 부여하면 아래쪽 구획으로 이동하여 다시 시계 방향으로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모든 구획에 대하여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행성의 표면의 일부 영역을 구획하는 경우 사용자가 정하는 기준점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동일 세로 간격 및 동일 가로 간격으로 구획하고,
    기준점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정하는 순서로 구획번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의 분할은 상기 제1 단계에서 구획된 영역을 윗면과 아랫면에서 동일한 분할 개수로 균등하게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개수는 1 또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KR1020140136666A 2014-10-10 2014-10-10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KR20160042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66A KR20160042575A (ko) 2014-10-10 2014-10-10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66A KR20160042575A (ko) 2014-10-10 2014-10-10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575A true KR20160042575A (ko) 2016-04-20

Family

ID=5591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666A KR20160042575A (ko) 2014-10-10 2014-10-10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257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1510B2 (en) * 2015-09-11 2017-05-02 I-Ting Shen Control system operable by mobile devices
KR20210049468A (ko)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코업컴퍼니 구형 표면을 동일면적의 격자로 분할하는 방법
WO2021206434A1 (ko) * 2020-04-07 2021-10-14 송은하 소유권자를 특정할 수 없거나 소유권이 존재하지 않는 자산에 대한 지분분할과 지적도 및 주소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206433A1 (ko) * 2020-04-07 2021-10-14 송은하 소유권자를 특정할 수 없거나 소유권이 존재하지 않는 자산의 지분에 대한 등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37975A (ko) * 2020-11-18 2021-11-18 송은하 소유권자 불특정 자산의 블록체인 상 지분분할과 지적도 및 주소생성 시스템
KR20210140811A (ko) * 2020-11-18 2021-11-23 송은하 소유권 부존재 자산의 지분에 대한 블록체인 등록 시스템
KR20220100148A (ko) * 2021-01-07 2022-07-15 (주)웨이버스 새로운 주소 체계에서 참조 주소 자동 생성 장치, 참조 주소 자동 생성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1510B2 (en) * 2015-09-11 2017-05-02 I-Ting Shen Control system operable by mobile devices
KR20210049468A (ko)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코업컴퍼니 구형 표면을 동일면적의 격자로 분할하는 방법
WO2021206434A1 (ko) * 2020-04-07 2021-10-14 송은하 소유권자를 특정할 수 없거나 소유권이 존재하지 않는 자산에 대한 지분분할과 지적도 및 주소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206433A1 (ko) * 2020-04-07 2021-10-14 송은하 소유권자를 특정할 수 없거나 소유권이 존재하지 않는 자산의 지분에 대한 등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4881A (ko) * 2020-04-07 2021-10-15 송은하 소유권자를 특정할 수 없거나 소유권이 존재하지 않는 자산에 대한 지분분할과 지적도 및 주소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124880A (ko) * 2020-04-07 2021-10-15 송은하 소유권자를 특정할 수 없거나 소유권이 존재하지 않는 자산의 지분에 대한 등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37975A (ko) * 2020-11-18 2021-11-18 송은하 소유권자 불특정 자산의 블록체인 상 지분분할과 지적도 및 주소생성 시스템
KR20210140811A (ko) * 2020-11-18 2021-11-23 송은하 소유권 부존재 자산의 지분에 대한 블록체인 등록 시스템
KR20220100148A (ko) * 2021-01-07 2022-07-15 (주)웨이버스 새로운 주소 체계에서 참조 주소 자동 생성 장치, 참조 주소 자동 생성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2575A (ko) 구형 행성 표면의 임의의 대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Shekhar et al. Spatial computing
EP2737279B1 (en) Variable density depthmap
US10048077B2 (en) Method and system of generating an indoor floor plan
EP2343659B1 (en) Techniques for density mapping
Iachini et al. The effects of familiarity and gender on spatial representation
WO2017019668A1 (en) Mapping dynamic spaces and way finding related to the mapping
CN106780416B (zh) 一种矢量地形图用于路径规划的方法及装置
ITTO20080310A1 (it) Applicativo di identificazione, geo-localizzazione e gestione di punti di interesse (poi)
KR101499006B1 (ko) 보존적 물리량을 위도-경도 좌표계로부터 회전된 육면체구 좌표계로 변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하드웨어 장치
CN115525642A (zh) 逆地理编码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H0667605A (ja) 地図処理装置及び地図処理方法
WO2010092680A1 (ja) 地図情報処理装置、地図情報処理方法、地図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393541B2 (en) Aircraft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aircraft navigation
CN112418821B (zh) 生态红线自动定位显示系统及电网项目选址选线方法
Mora et al. Looking ahead: a vision-based software for predicting pedestrian movement
KR102000683B1 (ko) 격자와 단어조합을 이용한 위치표시장치
CN107154066B (zh) 一种平行线缓冲区巡逻路线的二维显示方法
JP2008286687A (ja) 電子機器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umar et al. Enhancement Of Navigation Technology Using Augmented Reality
Mardana et al. Applications to determine the shortest tower BTS distance using Dijkstra algorithm
Zagrebin et al. The definition of scale series for atlas maps depending on the density of mapped objects
Lee et al. A study on viewshed frequency analysis for establishing viewpoints
Villard et al. CorText Geospatial Exploration Tool
Hamhoum et al. Scalable navigation support for crowds: personalized guidance via augmented sign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