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909A -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909A
KR20160041909A KR1020167002956A KR20167002956A KR20160041909A KR 20160041909 A KR20160041909 A KR 20160041909A KR 1020167002956 A KR1020167002956 A KR 1020167002956A KR 20167002956 A KR20167002956 A KR 20167002956A KR 20160041909 A KR20160041909 A KR 2016004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port
transmission
payloa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235B1 (ko
Inventor
나오히사 기타자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7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processes or methods for th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일로 구성되는 콘텐츠를 양호하게 전송한다.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한다. 이 전송 스트림을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측에 송신한다.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그 헤더에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삽입한다. 수신측에서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을 용이하고 또한 적확하게 취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본 기술은,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기술은, 파일로 구성되는 콘텐츠를 전송하는 송신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털 방송은 세계적으로 MPEG2-TS 방식의 시스템 사양에 기초하여 규정되고 운용되어 왔다. 운용을 개시한 후, 10-15년 경과되는 동안, 영상 부호화의 기술이 진화됨과 함께, 보다 고해상도·고화질화의 요구도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한편으로 인터넷의 보급과 고속화가 진행되어, 방송과 동등한 화질의 영상 신호를 통신로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그러한 상황에 있어서, 방송과 통신을 통합적으로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으며, 기술적으로도 방송과 통신의 배신 사양의 공통화, 통합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 결과, 방송 시스템 사양으로서, 종래의 MPEG2-TS 방식이 아니라, 통신과 마찬가지의 IP 방식으로 전송하는 방식이 새로운 방송 방식으로서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Study of ISO/IEC CD 23008-1 MPEG Media Transport, [online], [2013년 5월 7일 검색], 인터넷 <URL: http://mpeg.chiariglione.org/standards/mpeg-h/mpeg-media-transport>
본 기술의 목적은, 파일로 구성되는 콘텐츠를 양호하게 전송하는 데 있다.
본 기술의 개념은,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상기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전송 스트림 생성부와,
상기 전송 스트림을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측에 송신하는 전송 스트림 송신부와,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를 삽입하는 정보 삽입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에 있다.
본 기술에 있어서, 전송 스트림 생성부에 의하여,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전송 패킷은 MMT(MPEG Media Transport) 패킷이도록 되어도 된다. 전송 스트림 송신부에 의하여, 이 전송 스트림이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측에 송신된다.
정보 삽입부에 의하여,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이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제1 정보는, 소정의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자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정보는,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의 갱신을 나타내는 콘텐츠 버전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정보는, 소정의 콘텐츠의 전체를 소정 수의 패킷으로 분할했을 경우의 파트 수와, 각 파트를 식별하는 파트 식별자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기술에 있어서는,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그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삽입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용이하고 또한 적확하게 취득 가능해진다.
또한, 본 기술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정보 삽입부는 제2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2 정보를 삽입하도록 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정보는, 소정의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자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정보는,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의 갱신을 나타내는 콘텐츠 버전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정보는,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의 참조 정보를 포함하도록 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 참조 정보는, 예를 들어,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이도록 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정보는, 소정의 콘텐츠의 유효 기한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정보는 소정의 콘텐츠의 갱신 상정 일시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제2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삽입됨으로써, 수신측에서는, 전송 스트림에 포함되는 소정의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 그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정보 등을 용이하게 파악 가능해진다.
또한, 본 기술의 다른 개념은,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상기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을 송신측으로부터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는 전송 스트림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상기 제1 전송 패킷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취득하는 파일 데이터 취득부를 더 구비하는
수신 장치에 있다.
본 기술에 있어서, 전송 스트림 수신부에 의하여, 송신측으로부터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이 수신된다. 이 전송 스트림에는,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이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가 삽입되어 있다.
파일 데이터 취득부에 의하여,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가 취득된다. 이 경우, 제1 정보가 이용되어,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이 필터링되고, 이 필터링된 제1 전송 패킷으로부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가 취득된다.
이와 같이 본 기술에 있어서는,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그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삽입되어 있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가 취득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용이하고 또한 적확하게 취득 가능해진다.
또한, 본 기술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2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2 정보가 삽입되어 있고, 파일 데이터 취득부는, 제2 정보에 대응한 제1 정보를 갖는 제1 전송 패킷을 필터링하도록 되어도 된다.
본 기술에 따르면, 파일로 구성되는 콘텐츠를 양호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부가적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도 1은 실시 형태로서의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방송 신호 구성예를 도시하는 스택 모델이다.
도 3은 타임드 미디어(Timed Media)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방송 스트림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논타임드 미디어(Non-Timed Media)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방송 스트림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PA 메시지(Package Access Message) 및 MP 테이블(MPT: MMT Package Table)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PA 메시지의 주요한 파라미터의 설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MP 테이블의 주요한 파라미터의 설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파일 콘텐트 기술자(記述子)(file_content_descriptor)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파일 콘텐트 기술자의 주요한 파라미터의 설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페이로드에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MMT 패킷의 헤더(MMT Packet header)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MMT 패킷 헤더의 주요한 파라미터의 설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방송 송출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수신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디멀티플렉서에 있어서의 파일 취득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수신기에 있어서의 파일 수신 처리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 형태
2. 변형예
<1. 실시 형태>
[방송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실시 형태로서의 송수신 시스템(10)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송수신 시스템(10)은, 방송 송출 시스템(100)과, 수신기(20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방송 송출 시스템(100)은,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IP(Internet Protocol) 방식의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이 전송 미디어에는, 타임드 미디어(Timed Media)와 논타임드 미디어(Non-Timed Media)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타임드 미디어는 비디오, 오디오, 자막 등의 스트림 데이터이다. 또한, 예를 들어, 논타임드 미디어는 HTML 문서 데이터, 그 외의 데이터 등의 파일 데이터이다.
수신기(200)는, 방송 송출 시스템(100)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상술한 IP 방식의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기(200)는, 이 방송 신호로부터 비디오, 오디오 등의 전송 미디어를 취득하여, 화상, 음성 등을 제시한다.
도 2는, 방송 신호 구성예를 도시하는 스택 모델이다. 하위에 물리 레이어(PHY)가 있다. 이 물리 레이어에는, 변조 방식, 오류 정정 방식 등이 포함된다. 이 물리 레이어 상에, TLV(Type Length Value) 또는 GSE(Generic Stream Encapsulation)의 전송 패킷의 레이어가 있다.
이들 TLV 또는 GSE의 전송 패킷 상에 IP 패킷이 실린다. 이 IP 패킷 상에 UDP(User Datagram Protocol)가 더 실린다. 한편, TLV 또는 GSE의 전송 패킷 상에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로서의 전송 제어 신호도 실린다.
또한, UDP 상에 MMT 패킷이 실린다. 이 MMT 패킷의 페이로드부에는 MFU(MMT Fragment Unit) 또는 시그널링 메시지(Signaling Message)가 포함된다. 이 MFU로서, 비디오, 오디오 등의 스트림 데이터나, HTML 문서 데이터, 그 외의 데이터 등의 파일 데이터가 삽입된다.
도 3은, 타임드 미디어(Timed Media)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방송 스트림(방송 신호)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a)는, 비디오의 엘리멘터리 스트림(Video ES)을 도시하고 있다. 이 비디오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은 소정의 크기의 덩어리로 분할되어,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MFU의 페이로드에 배치된다.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MFU에 MMT 페이로드 헤더(MMT payload header)가 부가되어 MMT 페이로드(MMT payload)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MMT 페이로드에 MMT 패킷 헤더(MMT Packet header)가 더 부가되어 MMT 패킷(MMT packet)이 구성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페이로드에, 각 픽처의 제시 시각을 나타내는 PTS 등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포함하는 MMT 패킷도 존재한다.
도 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MMT 패킷에 UDP 헤더, IP 헤더 및 TLV 헤더가 부가되어, 방송 스트림을 구성하는 TLV 패킷(TLV packet)이 생성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TLV 패킷으로서는, 오디오, 자막 등의 그 외의 전송 미디어의 MMT 패킷을 더 포함하는 TLV 패킷도 존재한다.
도 4는, 논타임드 미디어(Non-Timed Media)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방송 스트림(방송 신호)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a)는, 파일 데이터(File data)를 도시하고 있다. F1, F2, F3, F4, F5의 각각이 하나의 파일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F1 내지 F4는 어느 프로그램에서 이용하는 파일 데이터이고, F5는 그 다음 프로그램에서 이용하는 파일 데이터이다.
F1 내지 F4의 파일 데이터는 각각 파일 크기가 작으므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MFU의 페이로드에 배치된다. 한편, F5의 파일 데이터는 파일 크기가 크므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 여기서는 2개의 덩어리로 분할되어, 각각이 MFU의 페이로드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페이로드에 파일 데이터가 배치되는 MFU의 헤더에는, 파일 ID를 나타내는 「item_ ID」의 32비트 필드가 존재한다. 여기서, F1 내지 F5의 파일 데이터가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각 MFU의 파일 ID는 상이한 값으로 된다. 또한, F5의 파일 데이터가 분할된 F5-1, F5-2의 파일 데이터가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2개의 MFU의 파일 ID는 동일한 값으로 된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MFU에 MMT 페이로드 헤더(MMT payload header)가 부가되어 MMT 페이로드(MMT payload)가 구성된다. 이 경우, F1 내지 F4의 파일 데이터를 갖는 MFU는 크기가 작으므로, 하나의 MMT 페이로드에 배치된다. 한편, F5-1, F5-2의 파일 데이터를 갖는 MFU는 각각 하나의 MMT 페이로드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MMT 페이로드에 MMT 패킷 헤더(MMT Packet header)가 더 부가되어 MMT 패킷(MMT packet)이 구성된다.
MMT 패킷에는, 페이로드에 시그널링 메시지를 포함하는 MMT 패킷도 존재한다. 이 시그널링 메시지의 하나로서, MP 테이블(MPT: MMT Package Table)을 포함하는 PA 메시지(Package Access Message)가 있다.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이 MP 테이블에, 파일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의 정보 등이 삽입된다. 또한, 페이로드에 시그널링 메시지가 포함될지, 또는 전송 미디어(스트림 데이터, 파일 데이터)가 포함될지는, MMT 페이로드 헤더에 존재하는 「Type」의 8비트 필드에 의하여 식별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프로그램에서는, F1 내지 F4의 파일 데이터가 MMT 패킷 스트림의 레이어로 반복하여 보내진다. 그리고 이 F1 내지 F4의 파일 데이터에 대응하여 보내지는 MP 테이블에는, 이 F1 내지 F4의 파일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그 다음 프로그램에서는, F5-1, F5-2의 파일 데이터, MMT 패킷 스트림의 레이어로 반복하여 보내진다. 그리고 이 F5-1, F5-2의 파일 데이터에 대응하여 보내지는 MP 테이블에는, 이 F5-1, F5-2의 파일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의 정보가 포함된다.
도 4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MMT 패킷에 UDP 헤더, IP 헤더 및 TLV 헤더가 부가되어, 방송 스트림을 구성하는 TLV 패킷(TLV packet)이 생성된다.
도 5는, PA 메시지(Package Access Message) 및 MP 테이블(MPT: MMT Package Table)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은, PA 메시지의 주요한 파라미터의 설명을 나타내고, 도 7은, MP 테이블의 주요한 파라미터의 설명을 나타내고 있다.
「message_id」는, 각종 시그널링 정보에 있어서, PA 메시지를 식별하는 고정값이다. 「version」은, PA 메시지의 버전을 나타내는 8비트 정수값이다. 예를 들어, MP 테이블을 구성하는 일부의 파라미터라도 갱신했을 경우에는 +1 인크리먼트된다. 「length」는, 이 필드의 직후부터 카운트되는, PA 메시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바이트 수이다.
「extention」의 필드에는, 페이로드(Payload)의 필드에 배치되는 테이블의 인덱스 정보가 배치된다. 이 필드에는, 「table_id」, 「table_version」, 「table_length」의 각 필드가 테이블 수만큼 배치된다. 「table_id」는 테이블을 식별하는 고정값이다. 「table_version」은 테이블의 버전을 나타낸다. 「table_length」는 테이블의 크기를 나타내는 바이트 수이다.
PA 메시지의 페이로드(Payload)의 필드에는, MP 테이블(MPT)과 소정 수의 그 외의 테이블(Other table)이 배치된다. 이하, MP 테이블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table_id」는, 각종 시그널링 정보에 있어서, MP 테이블을 식별하는 고정값이다. 「version」은, MP 테이블의 버전을 나타내는 8비트 정수값이다. 예를 들어, MP 테이블을 구성하는 일부의 파라미터라도 갱신했을 경우에는 +1 인크리먼트된다. 「length」는, 이 필드의 직후부터 카운트되는, MP 테이블의 크기를 나타내는 바이트 수이다.
「pack_id」는, 방송 신호로 전송되는 모든 신호, 파일을 구성 요소로 하는 전체의 패키지로서의 식별 정보이다. 이 식별 정보는 텍스트 정보이다. 「pack_id_len」은 그 텍스트 정보의 크기(바이트 수)를 나타낸다. 「MPT_descripors」의 필드는, 패키지 전체에 관련된 기술자(記述子)의 저장 영역이다. 「MPT_dsc_len」은 그 필드의 크기(바이트 수)를 나타낸다.
「num_of_asset」는, 패키지를 구성하는 요소로서의 애셋(신호, 파일)의 수를 나타낸다. 이 수만큼, 이하의 애셋 루프가 배치된다. 「asset_id」는 애셋을 유니크하게 식별하는 정보(애셋 ID)이다. 이 식별 정보는 텍스트 정보이다. 「asset_id_len」은 그 텍스트 정보의 크기(바이트 수)를 나타낸다.
「gen_loc_info」는, 애셋의 취득처의 로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 정보는 「loc_type」 및 「LOCATION」을 포함한다. 즉, 「LOCATION」에, 로케이션 타입마다 특정한 정보를 삽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케이션 타입은 MPT가 보내져 오는 채널 내에 있는 다른 패킷인 것을 나타내며, 그 패킷 ID(Packet_id)가 「LOCATION」에 배치된다. 이 패킷 ID와, 상술한 애셋 ID에 의하여 애셋의 특정이 행해진다.
「asset_descriptors」의 필드는, 애셋에 관련된 기술자의 저장 영역이다. 「asset_dsc_len」은 그 필드의 크기(바이트 수)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애셋이 파일 데이터인 경우, 이 「asset_descriptors」의 필드에 저장되는 기술자로서, 파일 콘텐트 기술자(file_content_descriptor)를 새로이 정의한다. 이 파일 콘텐트 기술자는, 애셋으로서 파일 데이터를 전송할 때, 어느 파일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는지 등을 나타낸다.
도 8은, 파일 콘텐트 기술자(file_content_descriptor)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9는, 그 기술자의 주요한 파라미터의 설명을 나타내고 있다. 「descriptor_tag」의 16비트 필드는 기술자 타입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파일 콘텐트 기술자인 것을 나타낸다. 「descriptor_length」의 16비트 필드는 기술자의 길이(크기)를 나타내며, 이후의 바이트 수를 나타낸다.
「content_id」의 24비트 필드는, 전송하는 파일 군 전체로서 특정 이용 단위로 되는 콘텐츠를 식별하는 ID(콘텐츠 ID)를 나타낸다. 「content_version」의 8비트 필드는, 특정한 콘텐츠 ID를 갖는 콘텐츠의 버전을 나타낸다. 콘텐츠를 구성하는 일부의 파일이라도 갱신했을 경우에는 +1 인크리먼트된다. 「content_type」은 콘텐츠의 타입(종류)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데이터 방송의 콘텐츠, 축적형 방송의 콘텐츠, 수신기 소프트웨어 갱신용 콘텐츠 등이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축적형 방송의 콘텐츠에서도, 영상 콘텐츠, 음악 콘텐츠, 게임 콘텐츠 등이 더 표시된다.
「number_of_Base_URI_byte」8비트 필드는 「Base_URI_byte」의 바이트 수를 나타낸다. 「Base_URI_byte」의 필드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파일 공통의 참조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나타낸다. 이 필드는 또한, 방송에서 취득하지 못한 경우의 통신 취득처도 나타낸다.
「number_of_files」의 8비트 필드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의 수를 나타낸다. 이 수만큼, 이하의 아이템 루프가 배치된다. 「item_ ID」의 16비트 필드는 파일(아이템)을 특정하는 ID이다. 상술한 MFU 헤더에 부여되는 값과 동일한 값으로 된다. 「item_version」의 8비트 필드는 파일의 버전을 나타낸다. 파일 내용을 갱신했을 경우에는 +1 인크리먼트된다.
「media_type」의 16비트 필드는, 파일 데이터의 미디어 분류와 부호화 방식을 나타낸다. 「item_size」의 32비트 필드는, 파일의 데이터 크기를 바이트 수로 나타낸다. 「number_of_URI_bytes」의 8비트 필드는 「item_URI_bytes」의 바이트 수를 나타낸다. 「item_URI_byte」의 필드는 파일마다의 URI를 나타낸다. Base_URI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Base_URI에 접속한 문자열에 의하여 파일의 URI를 얻는다.
「expire_date」의 40비트 필드는 콘텐츠로서의 유효 기한을 나타낸다. 이 기한 이후에 파일을 유지하는 것은 금지된다. 「estimated_update_time」의 40비트 필드는, 콘텐츠의 변경 또는 콘텐츠의 갱신이 다음에 발생할 상정 일시를 나타낸다. 동일한 콘텐츠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사례의 경우, 전송되고 있는 중, 1회만 취득한 후 동일한 것이 반복하여 전송되고 있는 동안에는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 이 상정 일시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업데이트되는 일시가 되면 수신하여 업데이트 후의 콘텐츠를 취득한다는 것이 가능하며, 콘텐츠 취득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페이로드에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MMT 패킷의 헤더, 즉, MMT 패킷 헤더(MMT Packet header)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12바이트의 확장부(header extension)가 마련되어 있다. 도 11은, 이 확장부에 있어서의 주요한 파라미터의 설명을 나타내고 있다. 「Type」의 16비트 필드는 이 확장부의 타입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파일 전송 파라미터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length」의 16비트 필드는 확장부의 크기를 나타내며, 이후의 바이트 수, 여기서는 8바이트를 나타낸다. 「content_id」의 24비트 필드는, 전송하는 파일 군 전체로서 특정 이용 단위로 되는 콘텐츠를 식별하는 ID(콘텐츠 ID)를 나타낸다. 「content_version」의 8비트 필드는, 특정한 콘텐츠 ID를 갖는 콘텐츠의 버전을 나타낸다. 콘텐츠를 구성하는 일부의 파일이라도 갱신했을 경우에는 +1 인크리먼트된다. 이 「content_id」, 「content_version」은, 상술한 파일 콘텐트 기술자의 「content_id」, 「content_version」에 대응하고 있다.
「Part_id」의 16비트 필드는, 콘텐츠 전체를 각 패킷으로 분할했을 경우의 분할된 각 파트를 식별하는 ID이다. 「Number_of_parts」의 16비트 필드는, 콘텐츠 전체를 각 패킷으로 분할했을 경우의 분할된 파트 수를 나타낸다. 이 「Part_id」, 「Number_of_parts」는, 수신측에서 콘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파일의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단서가 된다.
도 12는, 방송 송출 시스템(100)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방송 송출 시스템(100)은, 시계부(111)와, 신호 송출부(112)와, 비디오 인코더(113)와, 오디오 인코더(114)와, 캡션 인코더(115)와, 시그널링 발생부(116)와, 파일 인코더(117)를 갖고 있다. 또한, 이 방송 송출 시스템(100)은, TLV(GSE) 시그널링 발생부(118)와, N개의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 내지 119-N)와, TLV(GSE) 멀티플렉서(120)와, 변조/송신부(121)를 갖고 있다.
시계부(111)는, 도시하지 않은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로부터 취득된 시각 정보에 동기한 시각 정보(NTP 시각 정보)을 생성하고, 이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IP 패킷을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로 보낸다. 신호 송출부(112)는, 예를 들어, TV국의 스튜디오라든가 VTR 등의 기록 재생기이며, 타임드 미디어인 비디오, 오디오, 자막 등의 스트림 데이터, 논타임드 미디어인 HTML 문서 데이터 등의 파일 데이터를 각 인코더에 송출한다.
비디오 인코더(113)는, 신호 송출부(112)로부터 송출되는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고 또한 패킷화하여, 비디오의 MMT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을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로 보낸다. 오디오 인코더(114)는, 신호 송출부(112)로부터 송출되는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고 또한 패킷화하여, 오디오의 MMT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을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로 보낸다.
캡션 인코더(115)는, 신호 송출부(112)로부터 송출되는 자막 신호를 부호화하고 또한 패킷화하여, 자막의 MMT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을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로 보낸다. 또한, 시그널링 발생부(116)는, PA 메시지(도 5 참조) 등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발생시키고, 페이로드부에 이 시그널링 메시지가 배치된 MMT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을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로 보낸다.
파일 인코더(117)는, 신호 송출부(112)로부터 송출되는 파일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합성 또는 분할하여,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MMT 패킷을 생성하고(도 4의 (c), (d) 참조), 이 MMT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을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로 보낸다.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는, 각 인코더 등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IP 패킷의 시분할 다중화를 행한다. 이때,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는, 각 IP 패킷에 TLV(GSE) 헤더를 부가하여 TLV(GSE) 패킷으로 한다.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는, 하나의 트랜스폰더 내에 들어가는 하나의 채널 부분을 구성한다.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2 내지 119-N)는,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며, 그 하나의 트랜스폰더 내에 들어가는 다른 채널 부분을 구성한다.
TLV(GSE) 시그널링 발생부(118)는,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를 발생시키고, 이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를 페이로드부에 배치하는 TLV(GSE) 패킷을 생성한다. TLV(GSE) 멀티플렉서(120)는,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 내지 119-N) 및 TLV(GSE) 시그널링 발생부(118)에서 생성되는 TLV(GSE) 패킷을 다중화하여, 방송 스트림(도 3의 (e), 도 4의 (e) 참조)을 생성한다. 변조/송신부(121)는, TLV(GSE) 멀티플렉서(120)에서 생성되는 방송 스트림에 대하여 RF 변조 처리를 행하여, RF 전송로에 송출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방송 송출 시스템(10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시계부(111)에서는, NTP 서버로부터 취득된 시각 정보에 동기한 시각 정보가 생성되고, 이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IP 패킷이 생성된다. 이 IP 패킷은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로 보내진다.
신호 송출부(112)로부터 송출되는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인코더(113)에 공급된다. 이 비디오 인코더(113)에서는, 비디오 신호가 부호화되고 또한 패킷화되어, 비디오의 MMT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이 생성된다. 이 IP 패킷은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로 보내진다.
또한, 신호 송출부(112)로부터 송출되는 오디오 신호, 자막 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오디오 인코더(114)에서 생성되는 오디오의 MMT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이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로 보내지고, 자막 인코더(115)에서 생성되는 자막의 MMT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이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로 보내진다.
또한, 시그널링 발생부(116)에서는, 시그널링 메시지(PTS도 포함됨)가 발생되고, 페이로드부에 이 시그널링 메시지가 배치된 MMT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이 생성된다. 이 IP 패킷은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로 보내진다.
또한, 신호 송출부(112)로부터 송출되는 파일 데이터는 파일 인코더(117)에 공급된다. 파일 인코더(117)에서는, 파일 데이터가 필요에 따라 합성 또는 분할되어,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MMT 패킷이 생성되고, 또한, 이 MMT 패킷을 포함하는 IP 패킷이 생성된다. 이 IP 패킷은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로 보내진다.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에서는, 각 인코더 및 시그널링 발생부(116)로부터 보내져 오는 IP 패킷의 시분할 다중화가 행해진다. 이때, 각 IP 패킷에 TLV(GSE) 헤더가 부가되어, TLV(GSE) 패킷으로 된다. 이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에서는, 하나의 트랜스폰더 내에 들어가는 하나의 채널 부분의 처리가 행해지고,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2 내지 119-N)에서는, 그 하나의 트랜스폰더 내에 들어가는 다른 채널 부분의 처리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 내지 119-N)에서 얻어지는 TLV(GSE) 패킷은 TLV(GSE) 멀티플렉서(120)로 보내진다. 이 TLV(GSE) 멀티플렉서(120)에는 또한, TLV(GSE) 시그널링 발생부(118)로부터,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를 페이로드부에 배치하는 TLV(GSE) 패킷도 보내진다.
TLV(GSE) 멀티플렉서(120)에서는, IP 서비스 멀티플렉서(119-1 내지 119-N) 및 TLV(GSE) 시그널링 발생부(118)에서 생성되는 TLV(GSE) 패킷이 다중화되어, 방송 스트림이 생성된다. 이 방송 스트림은 변조/송신부(121)로 보내진다. 변조/송신부(121)에서는, 이 방송 스트림에 대하여 RF 변조 처리가 행해지며, 그 RF 변조 신호가 RF 전송로에 송출된다.
도 13은, 수신기(200)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수신기(200)는, 튜너/복조부(201)와, 디멀티플렉서(202)와, 시계부(203)와, 비디오 디코더(204)와, 오디오 디코더(205)와, 캡션 디코더(206)와,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 엔진(207)과, 시스템 제어부(208)와, 합성부(209)를 갖고 있다.
튜너/복조부(201)는, RF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처리를 행하여 방송 스트림(도 3의 (e), 도 4의 (e) 참조)을 얻는다. 디멀티플렉서(202)는, 이 방송 스트림에 대하여 디멀티플렉스 처리 및 디패킷화 처리를 행하여, NTP 시각 정보, PTS(제시 시각 정보), 시그널링 정보, 비디오, 오디오, 캡션의 부호화 신호, 나아가 파일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여기서는, 파일 데이터는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시스템 제어부(208)는, 디멀티플렉서(202)에서 얻어지는 시그널링 정보, 도시하지 않은 유저 조작부로부터의 조작 정보 등에 기초하여, 수신기(200)의 각 부를 제어한다. 시계부(203)는, 디멀티플렉서(202)에서 얻어지는 NTP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이 시각 정보에 동기한 시각 정보를 발생시킨다.
비디오 디코더(204)는, 디멀티플렉서(202)에서 얻어지는 부호화 비디오 신호의 복호화를 행하여, 기저 대역의 비디오 신호를 얻는다. 오디오 디코더(205)는, 디멀티플렉서(202)에서 얻어지는 부호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를 행하여, 기저 대역의 오디오 신호를 얻는다. 또한, 캡션 디코더(206)는, 디멀티플렉서(202)에서 얻어지는 부호화 자막 신호의 복호화를 행하여, 자막의 표시 신호를 얻는다.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 엔진(207)은, 디멀티플렉서(202)에서 얻어지는 파일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 방송의 표시 신호를 얻는다. 또한, 방송 스트림에서는, 동일한 콘텐츠의 파일 데이터가 반복하여 보내져 온다. 시스템 제어부(208)는, 디멀티플렉서(202)에 있어서의 필터링 동작을 제어하여, 이 디멀티플렉서(202)에 있어서 필요한 파일 데이터만이 취득되도록 한다.
시스템 제어부(208)는, 상술한 PA 메시지(PA message) 내의 MP 테이블(MPT: MMT Package Table)에 포함되는 파일 콘텐츠 기술자(file_content_descriptor)를 참조하여, 필터링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202)에 있어서의 파일 취득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추가로 후술한다.
시스템 제어부(208)는, 각 디코더에 있어서의 디코드 타이밍을 PTS(제시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비디오, 오디오, 자막의 제시 타이밍을 조정한다. 합성부(209)는, 기저 대역의 비디오 신호에 자막의 표시 신호 및 데이터 방송의 표시 신호를 합성하여, 영상 표시용 비디오 신호를 얻는다. 또한, 오디오 디코더(205)에서 얻어지는 기저 대역의 오디오 신호는, 음성 출력용 오디오 신호로 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수신기(20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튜너/복조부(201)에서는, RF 전송로를 통하여 보내져 오는 RF 변조 신호가 수신되고, 복조 처리가 행해져, 방송 스트림(도 3의 (e), 도 4의 (e) 참조)이 얻어진다. 이 방송 스트림은 디멀티플렉서(202)로 보내진다.
이 디멀티플렉서(202)에서는, 이 방송 스트림에 대하여 디멀티플렉스 처리 및 디패킷화 처리가 행해지고, NTP 시각 정보, PTS, 시그널링 정보, 비디오, 오디오, 캡션의 부호화 신호, 나아가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가 추출된다.
디멀티플렉서(202)에서 추출되는 NTP 시각 정보는 시계부(203)로 보내진다. 이 시계부(203)에서는, 이 NTP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이 시각 정보에 동기한 시각 정보가 생성된다. 즉, 이 시계부(203)에서는, 방송 송출 시스템(100)의 시계부(111)에서 생성되는 시각 정보에 맞는 시각 정보가 재생된다.
디멀티플렉서(202)에서 추출되는 부호화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디코더(204)로 보내져서 복호화되어, 기저 대역의 비디오 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디멀티플렉서(202)에서 추출되는 부호화 자막 신호는, 캡션 디코더(206)로 보내져서 복호화되어, 자막 표시 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디멀티플렉서(202)에서 추출되는 파일 데이터는,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 엔진(207)으로 보내져서 처리되어, 데이터 방송의 표시 신호가 얻어진다. 이 비디오 신호 및 표시 신호는 합성부(209)에서 합성되어, 영상 표시용 비디오 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디멀티플렉서(202)에서 추출되는 부호화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디코더(205)로 보내져서 복호화되어, 음성 출력용의 기저 대역의 오디오 신호가 얻어진다.
여기서, 도 14를 참조하여, 디멀티플렉서(202)에 있어서의 파일 취득 처리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4의 (a)는, MMT 패킷 스트림을 도시하고 있다. 이 MMT 패킷 스트림에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MMT 패킷이 존재하는 것 외에, 시그널링 메시지를 포함하는 MMT 패킷도 존재한다.
시그널링 메시지로서의 PA 메시지에는 MP 테이블(MPT)이 존재한다. 이 MP 테이블에는,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콘텐츠 애셋 기술이 존재한다. 이 파일 콘텐츠 애셋 기술에는, 파일 콘텐츠 애셋의 식별 정보(애셋 ID)와, 이 애셋, 즉,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MMT 패킷을 식별하는 패킷 ID(packet_id)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 파일 콘텐츠 애셋 기술에는 파일 콘텐트 기술자(file_content_discriptor)가 포함되어 있다(도 8 참조). 이 파일 콘텐트 기술자에는, 콘텐츠를 식별하는 ID(콘텐츠 ID)와, 그 콘텐츠의 버전의 기술이 존재하며, 그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파일(파일 데이터)의 정보가 더 존재한다.
먼저, 디멀티플렉서(202)에서는,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콘텐츠 애셋 기술의 패킷 ID에 기초하여, MMT 패킷 스트림으로부터 그것과 동일한 패킷 ID를 갖는 MMT 패킷이 필터링된다.
다음으로, 디멀티플렉서(202)에서는,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콘텐트 기술자의 콘텐츠 ID 및 콘텐츠 버전에 기초하여, MMT 패킷 헤더의 확장부에 그것과 동일한 콘텐츠 ID 및 콘텐츠 버전을 갖는 MMT 패킷이 필터링된다. 또한, 도 14의 (c)에 있어서, 「V0」은 콘텐츠 ID 및 콘텐츠 버전이 상이한 것을 나타내고, 「V1」은 콘텐츠 ID 및 콘텐츠 버전이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디멀티플렉서(202)에서는, MMT 패킷 헤더의 확장부의 「Part_id」, 「Number_of_parts」의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전체를 분해한 각 파트를 포함하는 MMT 패킷이 중복되지 않고 추출되어, 파일 콘텐트 기술자에 기재되어 있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파일의 데이터가 취득된다. 도시한 예는, 4개의 파트로 분해되어 있던 F1 내지 F5의 5개의 파일 데이터가 취득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수신기(200)에 있어서의 파일 수신 처리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수신기(200)는, 스텝 ST1에 있어서, 수신을 개시하고, 그 후에, 스텝 ST2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2에 있어서, PA 메시지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 수신기(200)는, 스텝 ST3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3에 있어서, 수신기(200)는, MP 테이블(MPT)을 해석한다. 그리고 수신기(200)는, 스텝 ST4에 있어서, 디멀티플렉서(202)의 필터 설정을 행한다.
다음으로, 수신기(200)는, 스텝 ST5에 있어서, 필터에 매치한 MMT 패킷을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했을 때, 수신기(200)는, 스텝 ST6에 있어서, 그 MMT 패킷을 저장한다. 그리고 수신기(200)는, 스텝 ST7에 있어서, 「Number_of_parts」로 나타나는 파트 분의 취득을 완료했는지 판단한다. 취득을 완료하지 않았을 때, 수신기(200)는, 스텝 ST8에 있어서, 「Part_id」를 +1 인크리먼트하고 스텝 ST4로 되돌아가, 그 다음 파트 분의 취득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T7에서, 「Number_of_parts」로 나타나는 파트 분의 취득을 완료했을 때, 수신기(200)는, 스텝 ST9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T9에 있어서, 수신기(200)는, 취득한 MMT 패킷을 연결하여 해석하고, 파일 군 및 콘텐츠로서 관리한다.
다음으로, 수신기(200)에 있어서, 스텝 ST10에 있어서, MP 테이블(MPT)의 갱신, 또한 콘텐츠 ID/콘텐츠 버전의 갱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도시한 흐름에 명기되어 있지는 않지만, 수신기(200)는, 시그널링 메시지의 수신을 계속적으로 행하고 있다. 갱신이 있을 때 스텝 ST4로 되돌아가,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송수신 시스템(10)에 있어서는,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MMT 패킷의 헤더가 확장되고, 그 확장부에 그 콘텐츠에 관한 정보(파일 전송 파라미터)가 삽입되는 것이다(도 10 참조). 그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예를 들어, 이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MMT 패킷을 용이하고 또한 적확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송수신 시스템(10)에 있어서는, PA 메시지에 포함되는 MP 테이블(MPT)에, 파일 콘텐츠 기술의 하나로서,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갖는 파일 콘텐트 기술자가 삽입되는 것이다(도 8, 도 14 참조). 그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예를 들어, 이 파일 콘텐트 기술자에 기초하여, 전송 스트림에 포함되는 소정의 콘텐츠의 콘텐츠 ID, 콘텐츠 버전, 또한 그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정보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2. 변형예>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PA 메시지에 포함되는 MP 테이블(MPT)에, 파일 콘텐츠 기술의 하나로서, 파일 콘텐트 기술자를 삽입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파일 콘텐트 기술자에 포함되는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측에서는 다른 방법으로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방송 송출 시스템(100)에 관련된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통신에 의하여 취득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1)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상기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전송 스트림 생성부와,
상기 전송 스트림을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측에 송신하는 전송 스트림 송신부와,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를 삽입하는 정보 삽입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2)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송신 장치.
(3)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의 갱신을 나타내는 콘텐츠 버전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송신 장치.
(4)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의 전체를 소정 수의 패킷으로 분할했을 경우의 파트 수와, 각 파트를 식별하는 파트 식별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5) 상기 정보 삽입부는, 상기 제2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2 정보를 삽입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6)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송신 장치.
(7)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의 갱신을 나타내는 콘텐츠 버전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송신 장치.
(8)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의 참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9) 상기 참조 정보는 URI인,
상기 (8)에 기재된 송신 장치.
(10)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의 유효 기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5)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11)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의 갱신 상정 일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5)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12) 상기 전송 패킷은 MMT 패킷인,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13)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상기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전송 스트림 생성 스텝과,
송신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 스트림을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측에 송신하는 전송 스트림 송신 스텝과,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를 삽입하는 정보 삽입 스텝을 갖는,
송신 방법.
(14)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상기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을 송신측으로부터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는 전송 스트림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상기 제1 전송 패킷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취득하는 파일 데이터 취득부를 더 구비하는,
수신 장치.
(15) 상기 제2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2 정보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파일 데이터 취득부는, 상기 제2 정보에 대응한 상기 제1 정보를 갖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필터링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수신 장치.
(16) 수신부에 의하여,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상기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을 송신측으로부터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는 전송 스트림 수신 스텝과,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상기 제1 전송 패킷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취득하는 파일 데이터 취득 스텝을 더 갖는,
수신 방법.
10: 송수신 시스템
100: 방송 송출 시스템
111: 시계부
112: 신호 송출부
113: 비디오 인코더
114: 오디오 인코더
115: 캡션 인코더
116: 시그널링 발생부
117: 파일 인코더
118: TLV(GSE) 시그널링 발생부
119: IP 서비스 멀티플렉서
120: TLV(GSE) 멀티플렉서
121: 변조/송신부
200: 수신기
201: 튜너/복조부
202: 디멀티플렉서
203: 시계부
204: 비디오 디코더
205: 오디오 디코더
206: 캡션 디코더
207: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 엔진
208: 시스템 제어부
209: 합성부

Claims (16)

  1.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상기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전송 스트림 생성부와,
    상기 전송 스트림을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측에 송신하는 전송 스트림 송신부와,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를 삽입하는 정보 삽입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의 갱신을 나타내는 콘텐츠 버전의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의 전체를 소정 수의 패킷으로 분할했을 경우의 파트 수와, 각 파트를 식별하는 파트 식별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삽입부는, 상기 제2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2 정보를 삽입하는
    송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의 갱신을 나타내는 콘텐츠 버전의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의 참조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정보는 URI인
    송신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의 유효 기한의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소정의 콘텐츠의 갱신 상정 일시의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패킷은 MMT 패킷인
    송신 장치.
  13.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상기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을 생성하는 전송 스트림 생성 스텝과,
    송신부에 의하여, 상기 전송 스트림을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측에 송신하는 전송 스트림 송신 스텝과,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를 삽입하는 정보 삽입 스텝을 갖는
    송신 방법.
  14.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상기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을 송신측으로부터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는 전송 스트림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상기 제1 전송 패킷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취득하는 파일 데이터 취득부를 더 구비하는
    수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2 정보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파일 데이터 취득부는, 상기 제2 정보에 대응한 상기 제1 정보를 갖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필터링하는
    수신 장치.
  16. 수신부에 의하여, 페이로드에 전송 미디어를 포함하는 제1 전송 패킷과, 페이로드에 상기 전송 미디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전송 패킷이 시분할적으로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을 송신측으로부터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하는 전송 스트림 수신 스텝과,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전송 미디어가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일 때, 상기 제1 전송 패킷의 헤더에 상기 소정의 콘텐츠에 관한 제1 정보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송 패킷을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상기 제1 전송 패킷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 데이터를 취득하는 파일 데이터 취득 스텝을 더 갖는
    수신 방법.
KR1020167002956A 2013-08-12 2014-07-11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KR102208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7605 2013-08-12
JP2013167605 2013-08-12
PCT/JP2014/068644 WO2015022827A1 (ja) 2013-08-12 2014-07-11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909A true KR20160041909A (ko) 2016-04-18
KR102208235B1 KR102208235B1 (ko) 2021-01-27

Family

ID=5246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956A KR102208235B1 (ko) 2013-08-12 2014-07-11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542074B2 (ko)
EP (1) EP3035690B1 (ko)
JP (1) JP6563337B2 (ko)
KR (1) KR102208235B1 (ko)
CN (1) CN105493509B (ko)
CA (1) CA2919970C (ko)
MX (1) MX353196B (ko)
WO (1) WO20150228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132A (ko) * 2016-06-20 2019-1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디어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3266A (ja) * 2013-09-06 2015-04-16 日本放送協会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限定受信システム
JP6382029B2 (ja) * 2013-09-20 2018-08-2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20150047082A (ko) * 2013-10-23 2015-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mt 페이로드 헤더 구성 장치 및 방법
US9729903B2 (en) * 2013-12-31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JP6478153B2 (ja) * 2014-02-27 2019-03-06 日本放送協会 データ送出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222781B2 (ja) * 2015-03-19 2017-11-01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制御方法
BR112017019754A2 (pt) * 2015-03-24 2018-05-29 Sony Corp dispositivos de transmissão e recepçao, e, métodos de transmissão e recepção
JP2016201765A (ja) * 2015-04-14 2016-12-0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映像出力方法
JP2017098678A (ja) * 2015-11-19 2017-06-01 日本放送協会 受信装置、送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94266B1 (ko) * 2016-06-02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6283145B2 (ja) * 2017-09-29 2018-02-21 マクセル株式会社 制御方法
JP6317861B1 (ja) * 2018-01-25 2018-04-25 マクセル株式会社 放送番組のコンテンツの送出、受信、および蓄積制御方法
CN109168032B (zh) * 2018-11-12 2021-08-27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视频数据的处理方法、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US11363330B2 (en) 2019-10-01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VPCC data
WO2024085635A1 (ko) * 2022-10-18 2024-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캐스트 신호 송신 방법, 멀티캐스트 신호 송신 장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및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1666A1 (en) * 2001-06-06 2004-09-16 Candelore Brant L. IP delivery of secure digital content
US20100269147A1 (en) * 2009-04-15 2010-10-21 Echostar Technologies Llc Video stream index generation at a video content transmitter
KR20130040149A (ko) * 2011-10-13 2013-04-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mt 전송 패킷의 설정 방법 및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8751B1 (en) * 1999-08-20 2003-09-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ublishing data with expiration times
US7298741B2 (en) * 2003-02-27 2007-11-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Robust MPEG-2 multiplex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adjustable time stamp
CN100525227C (zh) 2005-03-10 2009-08-05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网实现综合业务接入的方法
CN101895364A (zh) 2010-06-25 2010-11-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送时分复用业务的方法及装置
US9060151B2 (en) 2011-06-16 2015-06-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ervice,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US9319721B2 (en) * 2011-10-13 2016-04-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configuring and transmitting an MMT transport packet
KR101995314B1 (ko) * 2013-04-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Dvb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서 mpeg mmt를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1666A1 (en) * 2001-06-06 2004-09-16 Candelore Brant L. IP delivery of secure digital content
US20100269147A1 (en) * 2009-04-15 2010-10-21 Echostar Technologies Llc Video stream index generation at a video content transmitter
KR20130040149A (ko) * 2011-10-13 2013-04-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mt 전송 패킷의 설정 방법 및 전송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ntent Download System for Digital Broadcasting, v.2.2. ,ARIB STD-B45 x (2012.07.03.))* *
Study of ISO/IEC CD 23008-1 MPEG Media Transport, [online], [2013년 5월 7일 검색], 인터넷 <URL: http://mpeg.chiariglione.org/standards/mpeg-h/mpeg-media-transpo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132A (ko) * 2016-06-20 2019-1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디어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19970C (en) 2021-12-14
CN105493509B (zh) 2020-08-11
EP3035690B1 (en) 2022-12-28
CN105493509A (zh) 2016-04-13
US10542074B2 (en) 2020-01-21
MX2016001623A (es) 2016-07-07
US20160149994A1 (en) 2016-05-26
CA2919970A1 (en) 2015-02-19
MX353196B (es) 2018-01-05
JP6563337B2 (ja) 2019-08-21
WO2015022827A1 (ja) 2015-02-19
EP3035690A1 (en) 2016-06-22
JPWO2015022827A1 (ja) 2017-03-02
EP3035690A4 (en) 2017-06-28
KR102208235B1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235B1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JP7279767B2 (ja) 送信方法および送信装置
EP3131301B1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KR101476934B1 (ko) 미디어 파일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EP3026898B1 (en) Storage method, regeneration method, storage device, and regeneration device
JP7074178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WO2015050175A1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20170104462A (ko)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그리고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KR20180040571A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20170078613A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WO2014045614A1 (en) Video signal transmitting method, video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video signal receiving method
Park et al. File based hybrid broadcasting system for higher quality 3D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