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275A -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 Google Patents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275A
KR20160041275A KR1020140134871A KR20140134871A KR20160041275A KR 20160041275 A KR20160041275 A KR 20160041275A KR 1020140134871 A KR1020140134871 A KR 1020140134871A KR 20140134871 A KR20140134871 A KR 20140134871A KR 20160041275 A KR20160041275 A KR 20160041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late
fuel cell
cell stack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관
Original Assignee
(주) 백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백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백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34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1275A/ko
Publication of KR20160041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12Load carriers, e.g. hooks, slings, harness, gloves, modified for load car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스택 운반시 상부 턴테이블의 회전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 중량체인 연료전지 스택을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턴테이블의 회전각도를 탄력적으로 조정 및 유지함을 제공하도록, 상면이 평탄한 수평면을 이루되 상면에 복수 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일정한 폭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측벽판으로 구성되는 대차본체와; 상기 대차본체의 측벽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측벽판의 사이마다 배치되는 복수 개의 주행롤러와; 상기 대차본체의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부에 연료전지 스택을 적재지지토록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평행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수용홈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수직관통된 복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각도조정플레이트와;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수용홈 상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회전된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각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A Cart for Transporting the Fuel Cell Stack}
본 발명은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스택 운반시 상부 턴테이블의 회전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 중량체인 연료전지 스택을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운반하고, 턴테이블의 회전각도를 탄력적으로 조정 및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스택은 화학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미래의 청정 에너지원으로서 출력밀도 및 에너지 전환효율이 높아 무공해 자동차나 가정용 발전시스템, 이동통신장비, 의료기기, 군사용 장비, 우주사업용 장비 등과 같은 전자기기 분야에 적용토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다. 나아가 연료전지 스택의 경우 그 종류별로 저중량에서부터 고중량까지 다양한 부피 및 무게로 제작됨에 따라 연료전지 스택을 생산하는 제조공장에서나 연료전지 스택을 설비하기 위한 설비장소 등에서는 연료전지 스택의 이동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운반대차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운반대차의 구조는 상부에 정해진 넓이로 설계되어 중량체인 연료전지 스택이 적재될 수 있도록 적재판을 구비하고, 적재판의 하부에는 캐스터가 설치된 구조를 이루며, 필요에 따라 한쪽에 이동 손잡이가 세워져 설치된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운반대차의 경우 중량체인 연료전지 스택 중에서도 고중량의 연료전지 스택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적재판의 하부에 캐스터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캐스터 자체의 크기를 증가시켜 높은 하중의 연료전지 스택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중량물 운반과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60318호(2001.12.27.)에는 평평한 판재로 이루어지며, 중량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통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 좌우측에 베이스에 수직으로 설치된 측면판과; 상기 좌우측 측면판의 사이에 상기 베이스와 평행되게 결합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주위에 설치되며, 실린더형상을 이룬 다수개의 회전부재의 축에 링크가 결합되어 형성된 캐터필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자전과 상기 캐터필라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중량물의 운반이 용이하면서 설치비와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는 중량물 운반용 터프 롤러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859699호(2008.09.17.)호에는 몸체와, 상기 몸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운반하고자 하는 중량물을 안착지지하는 회전판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바퀴와 축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측면에 구비되는 기어부와, 상기 몸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판에는 중량물의 하부에 고정되는 잭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잭볼트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드를 수용하는 수용판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슬릿홈이 형성됨에 따라 중량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중량물을 회전시켜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중량물 운반대차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문헌 중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60318호의 경우에는 상부에 중량물을 적재한 후 운반가능한 구조로서 중량물이 적재되는 적재판의 역할인 베이스가 단순히 고정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운반작업시 직선운동만이 가능하여 방향전환이 곤란하고, 운반대차에 적재된 중량물을 하차하는 작업과정에서 중량물에 대한 하차 위치나 방향 등의 조정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기한 선행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859699호의 경우에는 중량물이 지지하기 위한 적재판이 360°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는 회전형을 이루어 운반작업시 방향전환이 수월하지만 적재판이 무분별하게 회전되기 때문에 중량물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작업이 불안정하고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에는 적재판 상부에 위치한 중량물에 대해 볼트 결합하여 중량물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구조적으로 연료전지 스택의 운반에 적합하지 못하여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603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96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량물인 연료전지 스택이 적재되는 상부 턴테이블을 고정상태 및 회전상태로 설정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운반작업시 방향전환이 용이함은 물론 작업이 간편하고, 턴테이블을 고정상태로 운반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턴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조정한 후 고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턴테이블의 탄력적인 각도조정으로 연료전지 스택의 하차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는 상면이 평탄한 수평면을 이루되 상면에 복수 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일정한 폭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측벽판으로 구성되는 대차본체와; 상기 대차본체의 측벽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측벽판의 사이마다 배치되는 복수 개의 주행롤러와; 상기 대차본체의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부에 연료전지 스택을 적재지지토록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평행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수용홈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수직관통된 복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각도조정플레이트와;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수용홈 상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회전된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각도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2개가 한 쌍을 이루되 총 4쌍의 수용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토록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대각선방향으로 대응하는 2쌍의 상기 수용홈에 상기 각도고정부재가 각각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본체에는 전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고 상기 측벽판 상에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구성되는 연결지지바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바에 일단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걸리도록 결합하는 걸이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단의 반대편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게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대차본체의 주행방향을 회전전환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과 대응하는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의 회전경로를 따라 각도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조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의 내주연 상에 암나사를 형성하되 상기 각도고정부재의 하부에 상하길이방향으로 수나사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는 나사결합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에 의하면 연료전지 스택이 적재된 각도조정플레이트가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구성하므로, 연료전지 스택을 운반하는 작업과정에서 이동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연료전지 스택의 상/하차작업 및 운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운반작업에 따른 작업이 안정성을 확보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파손이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운반작업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는 연료전지 스택을 적재하여 회전가능한 구조의 각도조정플레이트의 다양한 각도에서 베이스플레이트와 결속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연료전지 스택의 하차 위치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한 후 작업할 수 있어 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대차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정수단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각도고정부재로부터 나사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본 발명은 상면이 평탄한 수평면을 이루되 상면에 복수 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일정한 폭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측벽판으로 구성되는 대차본체와; 상기 대차본체의 측벽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측벽판의 사이마다 배치되는 복수 개의 주행롤러와; 상기 대차본체의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부에 연료전지 스택을 적재지지토록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평행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수용홈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수직관통된 복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각도조정플레이트와;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수용홈 상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회전된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각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2개가 한 쌍을 이루되 총 4쌍의 수용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토록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대각선방향으로 대응하는 2쌍의 상기 수용홈에 상기 각도고정부재가 각각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차본체에는 전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고 상기 측벽판 상에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구성되는 연결지지바를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바에 일단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걸리도록 결합하는 걸이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단의 반대편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게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대차본체의 주행방향을 회전전환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과 대응하는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의 회전경로를 따라 각도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조로 형성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의 내주연 상에 암나사를 형성하되 상기 각도고정부재의 하부에 상하길이방향으로 수나사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는 나사결합형으로 이루어지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차본체(10)와, 주행롤러(20)와, 턴테이블(30)과, 각도조정플레이트(40)와, 각도고정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본체(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플레이트(11) 및 측벽판(13)으로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는 지면과 평행을 이루되 상면이 평탄한 수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는 상부에 상기 턴테이블(30)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되 상기 턴테이블(30)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면에 오목한 형태의 안내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수용홈(12)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홈(12)은 상기 각도고정부재(50)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고정부재(50)의 하부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 및 깊이로 형성한다.
상기 수용홈(12)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 상에 수직으로 관통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용홈(1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 상에 2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 상에 총 4쌍 즉 8개의 수용홈(12)을 구비하고, 4쌍의 상기 수용홈(12)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토록 구성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대각선방향으로 2쌍이 서로 대응될 수 있게 배치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수용홈(12)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하는 상기 각도고정부재(50)의 경우에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대각선방향으로 대응하는 2쌍의 상기 수용홈(12)에 상기 각도고정부재(50)가 각각 끼움 결합하여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1)의 대각방향 위치에서 각도고정부재(50)에 의해 각도조정플레이트(40)를 고정토록 구성하면, 각도조정플레이트(40)의 고정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측벽판(13)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고정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 상에 일정한 폭 간격을 두고 복수 개(도 1에는 4개)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대차본체(10)에는 복수 개의 상기 측벽판(13)을 모두 연결토록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구성되는 연결지지바(15)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지지바(15)는 상기 대차본체(10)의 전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토록 구성하되 바람직하게는 전후방 모두에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지지바에는 상기 대차본체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전방 또는 후방 상측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이루는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정수단(60)은 상기 대차본체(10)의 주행방향을 회전전환할 수 있도록 작업자로부터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정수단(60)은 상기 연결지지바(15)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상호 분리형으로 구성한다. 즉 상기 조정수단(6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지지바(15)에 일단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걸리도록 결합하는 걸이단(61)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단(61)의 반대편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게 손잡이(63)를 구비한다.
상기 걸이단(61)은 상기 연결지지바(15)에 원활하게 걸 수 있도록 한쪽 면이 개방된 구조로서,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걸이단(61)이 구비된 조정수단(60)을 구성하게 되면, 대차본체(10)로부터 조정수단(60)의 탈착이 용이하여 작업이 간편하고 대차본체(10)에 조정수단(60)을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주행롤러(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접하여 구름 작용하므로 연료전지 스택이 적재된 상기 대차본체(10)를 주행가능토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주행롤러(20)는 상기 대차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측벽판(13)에 축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주행롤러(20)는 상기 측벽판(13)의 사이마다 배치하되 상기 대차본체(10)의 베이스플레이트(11) 면적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주행롤러(20)가 배열 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턴테이블(30)은 연료전지 스택이 적재된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대차본체(10)가 상기 턴테이블(30)을 기준으로 주행방향을 전환토록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턴테이블(30)은 원형의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차본체(10)의 베이스플레이트(11)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연료전지 스택을 적재하여 지지하게 충분한 면적을 갖는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턴테이블(3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는 도 6에서처럼 연료전지 스택이 안착되는 적재영역(C1)과, 상기 적재영역(C1)의 전후방에서 각각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을 갖으며 회전각도조절을 도모하는 각도조절영역(C2)을 형성한다.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의 상면에는 연료전지 스택을 적재할 때 안전성과 면접촉력을 높여 미끄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신축성과 탄력으로부터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시트 형태의 재질(예를 들면, 고무, 우레탄발포 등)로 형성된 패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에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수직관통된 관통홀(42)을 구비한다. 즉 상기 관통홀(42)은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의 각도조절영역(C2) 내에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수용홈(12) 위치와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게 수직관통된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관통홀(42)은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 상에 복수 개(도 6에는 14개)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관통홀(42)은 상기 턴테이블(30)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12)과 대응하는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의 회전경로를 따라 각도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조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14개의 관통홀(42)이 구비된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의 경우 상기 턴테이블(30)에 의해 회전하되 14개의 관통홀(42) 모두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수용홈(12)에 대응될 수 있도록 위치하므로 상기 각도고정부재(50)를 이용해 설정각도의 위치에서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는 상기 관통홀(42)과 상기 수용홈(12) 상에 상기 각도고정부재(50)가 끼움 결합함에 따라 각도를 설정 고정하되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는 상기 턴테이블(30)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1~90°각도범위 내에서 각도설정가능하게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홀(42)을 배열 배치한다.
상기에서 관통홀(42)은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 상에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15°의 각도마다 구비하여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의 회전각도를 15°씩마다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각도고정부재(50)는 상기 턴테이블(30)로부터 회전된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의 회전 및 고정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각도고정부재(50)는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40)의 관통홀(42)에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수용홈(12) 상에 삽입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각도고정부재(50)는 상기 관통홀(42) 및 상기 수용홈(12) 상에 단순히 삽입고정되도록 핀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각도고정부재(50)를 핀 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관통홀(42) 및 수용홈(12)을 향한 고정작업이 수월하여 작업을 간편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도고정부재(5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42)을 거친 상기 수용홈(12) 상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결합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수용홈(12)의 내주연 상에 암나사를 형성하되 상기 각도고정부재(50)의 하부에 상하길이방향으로 수나사를 형성하여 상호 나사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각도고정부재(50)를 나사결합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각도고정부재(50)와 수용홈(12)과의 결속력을 높여 상호 고정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에 의하면, 연료전지 스택이 적재된 각도조정플레이트가 회전 및 고정가능하게 구성하므로, 연료전지 스택을 운반하는 작업과정에서 이동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연료전지 스택의 상/하차작업 및 운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운반작업에 따른 작업이 안정성을 확보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파손이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운반작업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을 적재하여 회전가능한 구조의 각도조정플레이트의 다양한 각도에서 베이스플레이트와 결속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연료전지 스택의 하차 위치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한 후 작업할 수 있어 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대차본체 11 : 베이스플레이트 12 : 수용홈
13 : 측벽판 15 : 연결지지바 20 : 주행롤러
30 : 턴테이블 40 : 각도조정플레이트 42 : 관통홀
50 : 각도고정부재 60 : 조정수단 61 : 걸이단
63 : 손잡이 C1 : 적재영역 C2 : 각도조절영역

Claims (6)

  1. 상면이 평탄한 수평면을 이루되 상면에 복수 개의 수용홈을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일정한 폭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측벽판으로 구성되는 대차본체와;
    상기 대차본체의 측벽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측벽판의 사이마다 배치되는 복수 개의 주행롤러와;
    상기 대차본체의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부에 연료전지 스택을 적재지지토록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평행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수용홈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수직관통된 복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각도조정플레이트와;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의 관통홀에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수용홈 상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회전된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각도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2개가 한 쌍을 이루되 총 4쌍의 수용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토록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대각선방향으로 대응하는 2쌍의 상기 수용홈에 상기 각도고정부재가 각각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본체에는 전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고 상기 측벽판 상에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구성되는 연결지지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바에 일단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걸리도록 결합하는 걸이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단의 반대편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게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대차본체의 주행방향을 회전전환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과 대응하는 상기 각도조정플레이트의 회전경로를 따라 각도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조로 형성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주연 상에 암나사를 형성하되 상기 각도고정부재의 하부에 상하길이방향으로 수나사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는 나사결합형으로 이루어지는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KR1020140134871A 2014-10-07 2014-10-07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KR20160041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71A KR20160041275A (ko) 2014-10-07 2014-10-07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71A KR20160041275A (ko) 2014-10-07 2014-10-07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275A true KR20160041275A (ko) 2016-04-18

Family

ID=5591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871A KR20160041275A (ko) 2014-10-07 2014-10-07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127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027A (ko) * 2017-07-20 2019-01-30 성재우 병렬 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
CN109532988A (zh) * 2018-12-06 2019-03-29 湖州平坦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输送货物装卸推车
KR102043730B1 (ko) * 2018-05-09 2019-11-1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고중량 가전 이동 및 회전 장치
CN110606112A (zh) * 2019-08-29 2019-12-24 浙江百世技术有限公司 快递车
US20200398303A1 (en) * 2018-07-26 2020-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in chuck jig and method of lifting spin chuck using the same
KR20210106732A (ko) * 2020-02-21 2021-08-31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물건 운반용 카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027A (ko) * 2017-07-20 2019-01-30 성재우 병렬 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
KR102043730B1 (ko) * 2018-05-09 2019-11-1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고중량 가전 이동 및 회전 장치
US20200398303A1 (en) * 2018-07-26 2020-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in chuck jig and method of lifting spin chuck using the same
US11958071B2 (en) * 2018-07-26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in chuck jig and method of lifting spin chuck using the same
CN109532988A (zh) * 2018-12-06 2019-03-29 湖州平坦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输送货物装卸推车
CN110606112A (zh) * 2019-08-29 2019-12-24 浙江百世技术有限公司 快递车
KR20210106732A (ko) * 2020-02-21 2021-08-31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물건 운반용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1275A (ko) 발전용 연료전지 스택 운반용 대차
US10807848B2 (en) Modular powered mover attachment
EP2449303B1 (en) Fast transfer tire work station
JP6138580B2 (ja) 圃場内利用ローラコンベア搬送装置
KR100905861B1 (ko) 선박블록 운반용 지지장치
KR102040440B1 (ko) 육묘상자 이송 컨베이어용 고정 및 이동장치
CN111791931A (zh) 一种用于机械制造的转运推车及其工作方法
JP2017108523A (ja) 搬送台車及び配電盤の据付方法
US10351156B1 (en) Two-wheele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ommercial and industrial appliance units
CN104261316B (zh) 一种旋转下沉式气瓶支架
US9470109B2 (en) Turbine blade insertion tool
KR101410863B1 (ko)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안전곤돌라
KR101764168B1 (ko) 정밀설비 운반트롤리용 커넥터
KR101564849B1 (ko) 적재물의 선회 반경이 가변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CN108408573B (zh) 一种用于大型板块垂直运送的装置及其应用方法
KR200464351Y1 (ko) 정밀설비용 높이조절식 안전운반트롤리
CN203864728U (zh) 一种齿轮储运工装
KR101291786B1 (ko) 정밀설비물류용 전동부일체형 안전운반트롤리
CN211940819U (zh) 装配工装
KR101307977B1 (ko)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작동식 안전운반트롤리
CN114955285B (zh) 一种无人机部件在集装箱侧壁的滑动及固定装置和方法
CN204606838U (zh) 变压器场地长距离输送装置
CN211110866U (zh) 一种气动升降小车
US20160257166A1 (en) Tire Handler
CN219312820U (zh) 一种用于转运零部件的转运小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39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726

Effective date: 201801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