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946A - Portable apparatus for extraction for dutch coffee - Google Patents

Portable apparatus for extraction for dutch coff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946A
KR20160040946A KR1020140134517A KR20140134517A KR20160040946A KR 20160040946 A KR20160040946 A KR 20160040946A KR 1020140134517 A KR1020140134517 A KR 1020140134517A KR 20140134517 A KR20140134517 A KR 20140134517A KR 20160040946 A KR20160040946 A KR 20160040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coffee
upper chamb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1939B1 (en
Inventor
최윤순
Original Assignee
최윤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순 filed Critical 최윤순
Priority to KR102014013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939B1/en
Publication of KR2016004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9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9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xtracting dutch coffee, and more specifically, to a portable apparatus for extracting dutch coffee. The apparatus is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enough to be carried with ease, and by us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reservoir to which the apparatus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apparatus can extract dutch coffee faster. The apparatus for extracting dutch coffee comprises an upper chamber which receives water from an opening; a lower chamber, installed below the upper chamber, which receives coffee powder that is ground in the interior; and a tamping part which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interior of the upper chamber and transports the water received by the upper chamber to the lower chamber.

Description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 장치{PORTABLE APPARATUS FOR EXTRACTION FOR DUTCH COFFEE}[0001] PORTABLE APPARATUS FOR EXTRACTION FOR DUTCH COFFEE [0002]

본 발명은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 저장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공급된 물로서 보다 빠른 시간대에 더치커피(DUTCH COFFEE)가 추출가능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till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still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extracting DUTCH COFFEE at a faster time as water supplied directly to a water storag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최근, 찬물을 사용하여 장시간 커피 분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여 마시는 워터 드립 방식의 더치 커피(DUTCH COFFEE)가 커피 애호가들 사이에서 많이 애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DUTCH COFFEE, a water drip type coffee which uses cold water to extract and drink coffee liquid from coffee powder for a long time has been widely used among coffee lovers.

일반적인 커피는 드립 커피나 에스프레소 커피처럼, 하부필터에 커피 가루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붓는 방식을 말하지만, 더치 커피는 찬물이나 상온의 생수를 한 방울씩 떨어뜨려 오랜 시간 동안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 특징이다.Typical coffee is drip coffee or espresso coffee, which is a method of putting coffee powder into a lower filter and pouring hot water. However,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coffee is extracted for a long time by dropping cold water or cold water at room temperature.

이렇게, 찬물이나 상온의 생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뜨거운 물을 사용할 경우 날아갈 수 있는 커피 향이나 맛이 그대로 추출된다. 즉, 커피 본연의 깊은맛과 풍부한 아로마 그리고 쓴맛, 신맛, 단맛 등 뜨거운 커피에서 느끼지 못하는 미묘한 맛을 골고루 느낄 수 있다.In this way, since cold water or cold water is used, the coffee aroma and flavor that can be blown away when hot water is used is extracted as it is. In other words, you can feel the subtle taste that you can not feel in hot coffee such as deep taste of coffee, rich aroma and bitter, sour, sweet.

또한, 더치 커피는 카페인이 적고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다. 즉, 커피의 카페인은 80℃ 이상의 물과 만났을 때 발생하는데, 더치 커피는 찬물이나 상온의 생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카페인이 따뜻한 물로 추출한 커피에 비해 적게 발생한다.In addition, Dutch coffee is less caffeine and can be stored for long periods. In other words, coffee caffeine occurs when it is mixed with water above 80 ℃, and because it uses cold water or cold water at room temperature, caffeine is less than coffee extracted with warm water.

그러나 종래기술(예를 들면, 특허출원번호 10-2011-0024498호 "더치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더치 커피제조 방법")는 커피 가루에 물이 한 방울씩 떨어지는 과정에서 커피 가루가 담겨진 용기의 전체에서 중심부로만 물이 집중되어 떨어지므로 커피 가루의 전체에 물이 흡수되기 어려웠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for example,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24498 "Dutch appliance and Dutch coffee making method using the same"), in the process of dropping water in the coffee powder, As the water was concentrated, the water was not easily absorbed into the whole of the coffee powder.

또한 커피에 물을 공급할 때 상온에서의 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상온의 온도는 계절 또는 실내 냉난방 온도에 따라 바뀔 수 있으므로 항상 일정한 온도의 물이 공급되기 어렵기 때문에 항시 같은 맛과 향의 커피를 추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water is supplied to coffee, water is supplied at room temperature. Since the temperature of room temperatur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ason or indoor heating / cooling temperature, water of constant temperature is not always supplied. There was a difficulty in doing.

또한 종래기술은 더치 커피용 원두를 매우 오랜 시간에 걸쳐 드립하기 때문에 드립과 동시에 시식할 수 없어 이전에 드립했던 커피를 물이나 기타 식성에 따라 설탕등을 첨가하여 마실 수 있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drips the coffee bean for a very long time, it can not be sampled at the same time as dripping, which is inconvenient because it can be added with sugar or the like depending on water or other eating habits.

따라서 종래에는 등록특허공보 제10-1437136호(2014.08.27 등록)과 같이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가 제안되어 왔으나, 부피를 경량화하여 휴대에 간편하기 위한 구성을 제안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종래에서 제기된 제조시간의 장시간동안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여전히 해소할 수 없었다. Therefore, conventionally,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mechanism such as th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37136 (registered on Apr. 31, 2014) has been proposed. However, it has been focused on proposing a configuration for simplifying the portable body by making the volume lighter, The problem of long manufacturing time can not be solved.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는 정수기와 같이 일반적인 물 공급장치에 연결이 될 수 없기에 사용자가 컵에 물을 담아서 커피추출기구에 충전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n not be connected to a general water supply device like a water purifier, the user has to fill the cup with water and charge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626(2013.10.18일 등록)Registration Utility Model Bulletin No. 20-0469626 (Registered on October 18, 2013) 등록특허공보 제10-1437136호(2014.08.27 등록)Patent Registration No. 10-1437136 (Registered on Aug. 28, 20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고, 물공급장치에 연결 가능한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still coffee extracting apparatus which is portable and can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수용하는 상부챔버; 내측에서 분쇄된 커피가루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챔버의 하측에서 체결되는 하부챔버; 및 상기 상부챔버의 내측에서 승하강 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상부챔버에 수용된 물을 상기 하부챔버로 전달하는 템핑부를 포함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chamber for receiving water introduced from an inlet; A lower chamber which receives the ground coffee powder inside and is fastened below the upper chamber; And a tamp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chamber so as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upper chamber to transf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chamber to the lower chamb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핑부는 상기 상부챔버의 내면에 밀착되어 물이 아래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챔버에 수용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및 상기 상부판에 가해지는 물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하부챔버의 내측으로 하강되어 커피가루를 압착시키고, 상기 공급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커피가루와 면대면으로 접촉되도록 다 수개의 미세통공이 형성된 템핑필터가 구비된 하부판;을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hamber is provided with an upper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to block water from flowing downward;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to supply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chamber; And a plurality of microfluid hole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to press the coffee powder into contact with the coffee powder in a face-to- And a lower plate provided with a lower pl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중심부가 하향되는 깔때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plate is a funnel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to which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is downwar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테두리에서 상기 상부챔버의 내면과 밀착되어 틈새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밀착편을 더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plate further includes a contact piec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prevent a gap from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at a ri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는 상기 템핑부를 안내하도록 상면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hamber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so as to guide the templating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의 상면에서 개구되어 하향 연장되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커피가루가 수용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끝단에서 고체를 차단하고 액체만을 투과시키는 하부필터; 및 상기 하부필터에서 투과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ffee machine comprising: a storage part formed as an empty space which opens at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and extends downward; A lower filter for blocking solids at the end of the reservoir and transmitting only liquid;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liquid permeated in the lower filter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챔버의 외면에 밀착되는 거치구; 및 상기 거치구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다리부를 구비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mounting hole formed in a strip shape and closely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And a cradle having at least one leg fixed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ading po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의 상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물공급장치의 노즐이 삽입되는 유입구를 더 포함한다. 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inlet po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chamber to insert a nozzle of the water supply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는 외면에서 돌출되어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hamber further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nd extending in a strip sha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의 하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밀폐시키는 하부커버를 더 포함한다. 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lower cover fastened at a lower side of the lower chamber to seal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보조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over is an auxiliary cup.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어 밀폐시키는 삽입편을 더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over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piec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to seal the lower cover.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휴대가 간편하고, 물공급장치에 연결가능함에 따라 소비자의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ortabl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thereby making it easy for a consumer to carry and use.

또한 본 발명은 물과 기구의 자체 압력에 의해 압착된 커피가루에 면대면의 접촉방식으로 물을 주입함에 따라 물과 커피가루와의 접촉면적이 크기 때문에 제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time because the area of contact between water and the coffee powder is large as water is injected into the coffee powder pressed by the self-pressure of the water and the apparatus in a face-to-face contact man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서 하부필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서 템핑부(Tamping)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서 템핑부를 도시한 저면도.
도 6은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서 커피가루의 압착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lower filter in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a tamping part in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view of a templating part in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pressing a coffee powder in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의 측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는 휴대가 간편하고, 정수기 또는 기타 물공급장치로부터 물을 받아서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더치 커피(DUTCH COFFEE)의 추출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and can receive water from a water purifier or other water supply device to extract DUTCH COFFE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t was design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정수기의 노즐(60)이 끼움되는 유입구(21)가 형성되는 상부결합체(20)와, 커피가루(70)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결합체(20)에 체결되는 하부결합체(40)와, 상기 상부결합체(2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하부결합체에 물의 공급 및 커피가루(70)를 압착시키는 템핑부(30)(Tamping)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결합체(20)와 하부결합체(40) 및 템핑부(30)는 금속, 플라스틱 및 목재중 어느 하나로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n upper coupling unit 20 formed with an inlet 21 into which a nozzle 60 of a water purifier is inserted and a lower coupling unit 40 configured to receive the coffee powder 70 and to be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unit 20, And a tamping unit 30 fixed to the upper assembly 2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o pressurize the supply of water and the coffee powder 70 to the lower assembly. The upper joint body 20, the lower joint body 40, and the tempping body 30 may be made of any one of metal, plastic and woo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챔버(22)를 밀폐시키는 마개(10)와, 상기 하부결합체(40)에 형성된 배출구(44)를 밀폐시키도록 하부커버(50)를 더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p 10 for sealing the upper chamber 22 and a lower cover 50 for sealing the outlet 44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40.

상기 상부결합체(20)는 상기 템핑부(30)(Tamping)가 수용되는 상부챔버(22)와, 상기 상부챔버(22)의 상방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노즐(60)이 삽입되는 유입구(21)를 포함한다. The upper assembly 20 includes an upper chamber 22 in which the tamping portion 30 is accommodated and a lower chamber 22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chamber 22 to receive the inlet port 21 ).

상기 상부챔버(22)는 내측에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의 외면에서 상기 하부결합체(40)에 체결되도록 나사선(221)이 형성된다. The upper chamber 22 forms a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from the inside and a thread 221 is formed in the lower outer surface to be fastened to the lower assembly 40.

상기 유입구(21)는 상기 상부챔버(2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개구 형성되고, 외면에서 상기 마개(10)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선(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로 상기 유입구(21)는 내면에서 물 공급장치(예를 들면, 정수기의 노즐(60))이 끼움될 수 있도록 내면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판(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let 21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chamber 22 and is formed with a thread 211 so as to be screwed to the cap 10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Preferably, the inlet 21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late 212 having an elastic force on the inner surface so that the water supply device (for example, the nozzle 60 of the water purifier) can be inserted from the inner surface.

상기 탄성판(212)은 상기 노즐(60)이 끼움되면,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노즐(60)과 유입구(21)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When the nozzle (60) is inserted, the elastic plate (212) generates frictional forc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nozzle (60) and the inlet (21).

상기 하부결합체(40)는 상기 상부챔버(22)의 외면에 나사체결되는 하부챔버(41)와, 상기 하부챔버(41)의 내측에서 상하로 관통되어 커피가루(70)가 수용되는 공간을 이루는 저장부(42)와, 상기 저장부(42)의 하측에서 액체만을 투과시키는 하부필터(43)와, 상기 저장부(42)에 연통되어 상기 하부필터(43)에서 투과된 액체(커피)를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44)를 포함한다. The lower assembly 40 includes a lower chamber 41 which is screw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2 and a lower chamber 41 which penetrates vertically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chamber 41 to receive the coffee powder 70 A lower filter 43 for transmitting only the liquid at a lower side of the storage unit 42 and a liquid filter 43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42 and passed through the lower filter 43, And an outlet 44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상기 하부챔버(41)는 상기 저장부(42) 내지 배출구(44)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도록 높이와 직경을 갖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챔버(41)는 상측의 외면에서 상기 상부챔버(22)의 하측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선(221)에 체결되는 상측나사선(411)과 하측 외면에서 상기 하부커버(50)이 체결되는 하측 나사선(412)이 형성되고, 상면에서 상기 템핑부(30)(Tamping)와 상기 템핑부(30)에서 낙하된 물을 상기 저장부(42)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414)이 형성된다.  The lower chamber 41 is formed to have a height and a diameter so that the storage part 42 to the discharge port 44 can be formed on the inner side. The lower chamber 41 has an upper thread 411 fastened to a thread 221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2 on the upper outer side and a lower thread 418 fastened to the lower side A thread 412 is formed and an inclined surface 414 inclined downward to guide the water dropped from the temping portion 30 and the tamping portion 30 on the upper surface is guided to the storage portion 42 .

상기 상측나사선(411)은 상기 하부챔버(41)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벽면의 내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챔버(22)에서 나사선(221)이 형성된 하단은 상기 하부챔버(41)의 상측 내벽면에 밀착되어 체결된다. The upper thread 411 is formed inside the wall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chamber 41.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upper chamber 22 where the thread 221 is formed is tightly contacted with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41.

상기 경사면(414)은 상기 하부챔버(41)의 상단 벽면에서 상기 저장부(42)의 입구까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템핑부(30) 및 물을 안내한다. The inclined surface 414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41 to the entrance of the storage part 42 to guide the temping part 30 and the water.

또한 상기 하부챔버(41)는 외면에서 띠 형상으로 연장 및 돌출되어 후술되는 거치대(90)(도 7 참조)를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413)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chamber 41 may further include a latching protrusion 413 extending and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41 so as to support a cradle 90 (see FIG. 7).

상기 저장부(42)는 내측에서 빈공간을 이루어 커피가루(70)를 수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저장부(42)는 상기 하부챔버(41)의 상면에서 개구된 입구에서 상기 배출구(44)까지 하향 연장 형성된다. The storage part 42 has an empty space inside to receive the coffee powder 70. To this end, the reservoir 42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opening 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41 to the outlet 44.

상기 하부필터(43)는 도 3에 도시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서 하부필터(43)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The lower filter 4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wer filter 43 in the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필터(43)는 상기 저장부(42)의 하측에서 고정되어 고체(커피가루(70))가 배출되지 않고 액체만 투과되는 크기의 미세통공(431)이 다 수개 형성된다. 3, the lower filter 43 is fixed at a lower side of the storage part 42 and has a plurality of minute through-holes 431 of a size such that solid (coffee powder 70) .

여기서 상기 하부필터(43)는 1회용이 아닌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부필터(43)는 상기 저장부(42)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탈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lower filter 43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resin so that it can be used permanently, not as a disposable one. Therefore, the lower filter 43 may be integrated with the storage unit 42 or may be detachable.

예를 들면, 상기 하부필터(43)는 상기 하부챔버(41)와 일체형으로서 성형제작되거나, 또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저장부(42)의 끝단에 고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ower filter 43 may be molded integrally with the lower chamber 41, or fixed to the end of the storage part 42 by fastening means (not shown) such as screws .

또는 상기 하부필터(43)는 상기 저장부(42)의 내면에서 나사 체결 또는 억지끼움식 구조로 제작되어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착탈식 구조로 제작됨도 가능하며, 이는 동업종의 종사자라면 구현가능한 기술임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생략한다. Alternatively, the lower filter 43 may be manufactured in a screw-fastening or interference fit structur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42, and may be manufactured in a detachable structure that facilitates separation and coupling.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are omitted.

이와 같은 하부필터(43)의 체결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lower filter 43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배출구(44)는 상기 하부필터(43)를 투과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배출구(44)는 하측으로 연장될 수 록 그 직경이 점차로 축소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출구(44)의 단계적 직경 축소는 드립된 커피의 방향성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즉, 추출되는 커피가 소량임에 따라 배출구(44)의 직경이 클 경우에 방향성을 잃어버려 주변으로 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배출구(44)의 직경을 보다 작게 하여 비산을 방지한다. The discharge port 44 discharges the liq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ower filter 43 to the outsid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ort 44 is formed so that its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s it extends downward. Such stepped diameter reduction of the outlet 44 is intended to control the directionality of the dripped coffee. That is, when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ort 44 is large due to a small amount of coffee to be extracted, the directionality is lost and may be scattered to the periphery.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ort (44) is made smaller to prevent scattering.

상기 템핑부(30)(Tamping)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에서 템핑부(30)(Tamping)의 평면도, 도 5는 저면도이다. The tamp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Fig. 4 is a plan view of the tamping portion 30 (tamping) in the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ottom view.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템핑부(30)(Tamping)는 상기 유입구(21)로부터 유입된 물을 전달하는 상부판(31)과, 상기 상부판(31)에서 전달된 압력으로 커피가루(70)를 압착하고 면대면 접촉방식으로 물을 공급하는 하부판(33)과, 상기 상부판(31)과 하부판(33) 사이에서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31)의 상측으로 유입된 물을 하부판(33)의 내측으로 전달하는 공급관(32)을 포함한다. 4 and 5, the tamping unit 30 includes an upper plate 31 for transferring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21, A lower plate 33 for pressing the powder 70 and supplying water in a face-to-face contact manner; and a water supply unit 33 connected between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3 to supply water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31 And a supply pipe 32 for transferring the gas to the inside of the lower plate 33.

상기 상부판(31)은 상기 상부챔버(22)의 내부와 일치되는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는 플레이트(312)와, 상기 플레이트(312)의 중심부에서 상기 공급관(32)의 한쪽 끝단이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연결구(311)와, 테두리에서 탄성재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챔버(22)의 내면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키도록 밀착되는 밀착편(313)을 포함한다. The upper plate 31 has a plate 312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upper chamber 22 and a through hole 34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312 to connect one end of the supply pipe 32 And a contact piece 313 which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t the rim and is closely contacted to seal a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2.

상기 플레이트(312)는 상기 공급관(32)으로 물의 흐름이 원할하도록 상기 연결구(311)가 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플레이트(312)는 상기 연결구(311)를 통하여 상측에 유입구(21)가 형성되는 공급관(32)에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양측 테두리에서 중심부까지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The plate 312 has a funnel shap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 311 is positioned below the supply pipe 32 so that the flow of water is smooth. That is, the plate 312 is formed as a downwardly sloping surface from the side edges to the center so that water flows into the supply pipe 32 formed with the inlet 21 on the upper side through the connecting port 311.

상기 연결구(311)는 상기 공급관(32)의 한쪽 끝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플레이트(312)의 중심부에서 관통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32)은 상기 연결구(311)를 통하여 유입된 물을 하측으로 공급한다.The connection port 3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312 so that one end of the supply pipe 32 is inserted and fixed. Therefore, the supply pipe 32 supplies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on port 311 downward.

상기 밀착편(313)은 탄성력을 갖는 탄성재로 이루어져 상기 플레이트(312)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챔버(22)의 내면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킨다. 즉, 상기 밀착편(313)은 상기 상부챔버(22)에 유입된 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상부판(31)이 하강 되면, 상기 상부챔버(22)의 내면과 밀착되어 틈새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The contact piece 31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and is fixed to the rim of the plate 312 to seal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chamber 22. That is, when the top plate 31 is lowered by the load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upper chamber 22, the close contact piece 313 does not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2 to generate a gap.

상기 공급관(32)은 물을 전달하기 위하여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한쪽 끝단이 상기 상부판(31)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연결구에 삽입 고정되고, 중공의 반대쪽 끝단이 상기 하부판(33)의 상측에 연결되도록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공급관(32)은 상기 상부판(31)의 상측에 유입된 물을 상기 하부판(33)의 내측으로 공급한다. One end of the hollow is inserted and fixed in a connecting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1 and the other end of the hollow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33,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supply pipe (32) supplies the water introduc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31) to the inside of the lower plate (33).

상기 하부판(33)은 상기 상부판(31)에서 물의 하중을 받게 되면 하강되면서 상기 저장부(42)에 수용된 커피가루(70)를 압착하고, 상기 공급관(32)을 통하여 전달된 물을 상기 저장부(42)에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판(33)은 상측에서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내측에서 상기 공급관(32)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빈 공간을 형성하고, 바닥면에서 상기 저장부(42)에 수용된 커피가루와 면대면의 접촉되도록 물을 공급하는 템핑필터(331)를 포함한다. The lower plate 33 is lowered when a load of water is received from the upper plate 31 and presses the coffee powder 70 contained in the storage unit 42 and discharges the water delivered through the supply pipe 32 to the storage (42). For this, the lower plate 33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at the upper side to form an empty space for receiving water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32 from the inside, and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storage unit 42, And a templating filter 331 for supplying water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템핑필터(331)는 다 수개의 미세통공(332)가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32)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저장부(42)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템핑필터(331)에 의하여 공급된 물은 상기 저장부(42)에 수용된 커피가루와 면대면으로 접촉되어 주입된다. The plurality of fine holes 332 are formed in the temping filter 331 to supply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32 to the storage unit 42. Here, the water supplied by the temping filter 331 is injected into contact with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storage portion 42 in face-to-face contact.

따라서 상기 하부판(33)은 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저장부(42)의 내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커피가루(70)를 압착함과 동시에 커피가루와 물이 면대면으로 접촉되도록 물을 공급한다. Therefore, when the pressure due to the load of water is applied to the lower plate 33, the lower plate 33 presses the coffee powder 70 while desc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42, and at the same time, Supply.

상기 하부커버(50)는 바닥면(51)의 테두리에서 상향된 벽면(52)과, 상기 하부챔버(41)의 하측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하측나사선(412)에 체결되도록 상기 벽면(53)의 내측에 나사선(53)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챔버(41)의 배출구(44)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바닥면(51)에서 상향 돌출되는 삽입편(54)이 포함된다. The lower cover 50 includes a wall surface 52 upwardly protruding from the rim of the bottom surface 51 and a lower screw thread 412 formed along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41, A thread 53 is formed inside the lower chamber 41 and an insertion piece 54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51 is provide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44 of the lower chamber 41.

여기서 상기 하부커버(50)는 다른 실시예로서 내면에 상기 하부챔버(41)의 하측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하측나사선(412)에 일치되어 나사체결되되, 상하측 길이를 더 크게 제조하여 보조컵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함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lower cover 50 is screwed into the lower screw 5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41 along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41, It can also be manufactured for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achiev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사용자는 상기 마개(10)와 하부커버(50)을 회전시켜 상부결합체(20)와 하부결합체(40)를 분리시킨다. First, the user rotates the cap 10 and the lower cover 50 to separate the upper and lower assemblies 20 and 40 from each other.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저장부(42)에 분쇄된 커피가루를 충진시킨다. 여기서 커피가루는 사용자의 선호도와 인원수에 그 양이 조절되어 충진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저장부(42)에 충진된 커피가루(70)를 압착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착봉(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n, the user fills the storage portion 42 with the ground coffee powder. Here, the amount of coffee powder is adjusted to the user's preference and the number of people to be filled. In this cas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rod 80 as shown in FIG. 6 so as to press the coffee powder 70 filled in the storage part 42.

상기 압착봉(80)은 상기 저장부(42)의 내측과 동일한 형상 및 직경을 갖고 편평한 편으로 이루어져 커피가루(70)를 압착하는 압착판(81)과, 상기 압착판(81)의 상면에서 직립되는 손잡이(82)를 포함한다. The presser bar 80 includes a press plate 81 having the same shape and diameter as the inside of the storage section 42 and having a flat shape and pressing the coffee powder 70 thereon, And includes an upright handle 82.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82)를 잡고 상기 압착판(81)을 상기 저장부(42)로 인입시킨 뒤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저장부(42) 내의 커피가루(70)를 압착시킨다. The user grasps the handle 82 and pulls the compression plate 81 into the storage part 42 and applies a force to press the coffee powder 70 in the storage part 42.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상부챔버(22)의 내면에 상기 상부판(31)의 밀착편(313)을 밀착시키도록 삽입하고, 상기 상부챔버(22)의 외면 하측의 나사선(221)과 상기 하부챔버(41)의 상측나사선(411)을 일치시킨 뒤에 회전하여 결합한다. The user inserts the tight fitting piece 313 of the upper plate 31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22 to closely contact the screw 221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upper chamber 22, 4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rotating them.

이후 작업자는 상기 유입구(21)를 정수기의 노즐(60)에 연결하고, 상기 정수기의 노즐(60)을 개방시켜 상부챔버(22)에 물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노즐(60)은 상기 유입구(21)의 내면에 형성된 탄성판(212)과의 마찰에 의한 억지 끼움식으로 체결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노즐(60)을 유입구(21)에 삽입한 뒤에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다. 이때 공급된 물은 상기 상부판(31)의 상측 공간으로 수용되며, 상기 상부판(31)과 밀착편(313)에 의하여 공급관(32)을 제외한 다른 영역으로 유출되지 않고 수용된다. The operator then connects the inlet 21 to the nozzle 60 of the water purifier and opens the nozzle 60 of the water purifier to supply water to the upper chamber 22. [ The nozzle 60 is fastened to the elastic plate 21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flow port 21 by friction so that the user inserts the nozzle 60 into the inflow port 21, . The supplied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plate 31 and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plate 31 and the adjacent plate 313 without flowing out to other areas except the supply pipe 32.

그러므로 상기 상부판(31)은 상기 유입구(21)를 통하여 유입된 물의 하중에 의하여 점차로 하강 되며, 상기 하부판(33)은 상기 공급관(32)을 통하여 전달된 압력으로 상기 저장부(42)의 내면을 따라 하강 되면서 상기 커피가루(70)를 압착시키면서 상기 공급관(32)에 의해 전달된 물을 커피가루와 면대면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공급한다. The upper plate 31 is gradually lowered by the load of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1 and the lower plate 33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42 by the pressure transmitted through the supply pipe 32. [ So that the water delivered by the supply pipe 32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ffee powder in face-to-face contact while the coffee powder 70 is squeez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압착봉(80)을 구비하였다. 하지만, 상기 압착봉(80)이 없더라도 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커피가루(70)를 압착함도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bar 80 is provide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pressurize the coffee powder 70 with the pressure caused by the load of water even if there is no pressing bar 80.

이때 상기 공급관(32)은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판(31)의 중심부에 형성된 연결구(311)를 통하여 유입된 물을 상기 하부판(33)에 물을 공급한다. At this time, the supply pipe 32 supplies water to the lower plate 33 through the connection port 3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unnel-shaped upper plate 31.

따라서 상기 저장부(42)에서 압착된 커피가루(70)는 상기 하부판(33)의 템핑필터(331)을 통하여 유입된 물과 면대면으로 접촉되면서 혼합되어 커피가 추출된다. Therefore, the coffee powder 70 compressed in the storage part 42 is mix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heating filter 331 of the lower plate 33 in a face-to-face manner to extract the coffee.

그리고 상기 저장부(42)는 커피가루와 면대면으로 접촉되는 물이 혼합되면서커피가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는 중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저장부(42)의 배출구(44)를 통하여 배출된다. The coffee is extracted by mixing the coffee powder with the water contacted with the face-to-face contact, and the extracted coffee is moved downward by the gravity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4 of the storage part 42 do.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사용을 편리하기 위하여 거치대(9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radle 90 for convenient use of the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90)는 띠 형상의 테두리로 이루어져 내측이 빈공간을 이루어진 거치구(91)와, 상기 거치구(91)에서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다리부(92)로 이루어진 거치대(90)를 더 포함한다. 7, the cradle 90 includes a cradle 91 having a band-like rim and having an inside space, a leg 92 fixed to the cradle 91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90). ≪ / RTI >

상기 거치구(91)는 내면이 상기 하부챔버(4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413)에 의해 걸림된다. The mounting hole 91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41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91 is engag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41,

상기 다리부(92)는 하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거치구(91)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At least one of the legs 92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fixed to be rotatable in the fitting 91.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거치구(91)가 상기 걸림턱(413)에 의해 걸림될 때까지 상기 거치구(91)를 상기 하부챔버(41)의 외면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거치구(91)가 상기 걸림턱(413)에 의해 걸림되면, 상기 다리부(92)를 회전시켜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리부(92)는 상기 하부챔버(41)의 배출구(44)와 지면 사이에 커피를 받을 수 있는 머그잔이나 컵이 놓일 수 있는 높이를 고려하여 그 길이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user moves the loading port 91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41 until the loading port 91 is locked by the locking tab 413. [ The user rotates the leg portion 92 to be supported on the ground when the attachment 91 is caught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413.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leg portion 92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height at which a mug or cup capable of receiving coffee can be placed between the outlet 44 of the lower chamber 41 and the ground.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정수기에서 물을 받아 상기 상부챔버(22)에 물을 채운 뒤에 상기 거치대(90)를 이용하여 테이블이나 바닥에 고정시키고, 배출구(44)의 하측에 자신의 잔을 위치시켜 제조된 더치커피를 받을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to fill the upper chamber 22 with water, fixes the water on the table or the floor using the cradle 90, and places his / her cup on the lower side of the outlet 44 You can get a Dutch coffe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가 간단하고, 제조시간이 짧기에 실내 또는 야외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더욱이 거치대(90)를 이용하여 제조과정에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기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because it can be used indoors or outdoors because it is simple to carry and has a short manufacturing time, and furthermore, the cradle 90 can be used to facilitate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마개 20 : 상부결합체
21 : 유입구 22 : 상부챔버
30 : 템핑부 31 : 상부판
32 : 공급관 33 : 하부판
40 : 하부결합체 41 : 하부챔버
42 : 저장부 43 : 하부필터
44 : 배출구 50 : 하부커버
51 : 바닥면 52 : 벽면
53 : 나사선 54 : 삽입편
60 : 노즐 70 : 커피가루
80 : 압착봉 81 : 압착판
82 : 손잡이 90 : 거치대
91 : 거치구 92 : 다리부
331 : 템핑필터 332 : 미세통공
10: cap 20: upper joint
21: inlet 22: upper chamber
30: a tamping portion 31: a top plate
32: supply pipe 33:
40: Lower coupling body 41: Lower chamber
42: storage part 43: lower filter
44: Outlet 50: Lower cover
51: bottom surface 52: wall surface
53: thread 54:
60: Nozzle 70: Coffee powder
80: Crimp bar 81:
82: Handle 90: Cradle
91: fixture 92: leg
331: Temping filter 332:

Claims (12)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수용하는 상부챔버;
내측에서 분쇄된 커피가루를 수용하여 상기 상부챔버의 하측에서 체결되는 하부챔버; 및
상기 상부챔버의 내측에서 승하강 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상부챔버에 수용된 물을 상기 하부챔버로 전달하는 템핑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장치.
An upper chamber for receiving water entering from the inlet;
A lower chamber which receives the ground coffee powder inside and is fastened below the upper chamber; And
And a tamp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chamber so as to move upward and downward to transf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chamber to the lower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핑부는
상기 상부챔버의 내면에 밀착되어 물이 아래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챔버에 수용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및
상기 상부판에 가해지는 물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하부챔버의 내측으로 하강되어 커피가루를 압착시키고, 상기 공급관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커피가루와 면대면으로 접촉되도록 다 수개의 미세통공이 형성된 템핑필터가 구비된 하부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An upper pl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and blocks water from flowing downward;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to supply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chamber; And
And a plurality of microfluid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so as to contact the coffee powder wit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A portable Dutch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중심부가 하향되는 깔때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top plate
And a funnel shap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to which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is downwardly dire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테두리에서 상기 상부챔버의 내면과 밀착되어 틈새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밀착편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top plate
Further comprising a contact piec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prevent a gap from being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chamber at a ri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는
상기 템핑부를 안내하도록 상면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chamber
And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so as to guide the templating portion.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의 상면에서 개구되어 하향 연장되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커피가루가 수용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끝단에서 고체를 차단하고 액체만을 투과시키는 하부필터; 및
상기 하부필터에서 투과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A storage part formed as an empty space which is opened at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and extends downward to receive coffee powder;
A lower filter for blocking solids at the end of the reservoir and transmitting only liquid; And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liquid permeated from the lower filter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챔버의 외면에 밀착되는 거치구; 및
상기 거치구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다리부를 구비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ounting hole formed in a strip shape and closely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chamber; And
Further comprising a cradle having at least one leg fixed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ading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의 상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물공급장치의 노즐이 삽입되는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The portable instant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let protruding upward from above the upper chamber to insert a nozzle of the water suppl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는
외면에서 돌출되어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chamber
And a hooking jaw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nd extending in a strip sha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의 하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밀폐시키는 하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The portable instant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lower cover fastened at a lower side of the lower chamber to seal the discharge po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보조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lower cover
Wherein the auxiliary coffee cup is an auxiliary cup.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어 밀폐시키는 삽입편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lower cover
And an insertion piec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to seal the portable terminal.

KR1020140134517A 2014-10-06 2014-10-06 Portable apparatus for extraction for dutch coffee KR1016519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517A KR101651939B1 (en) 2014-10-06 2014-10-06 Portable apparatus for extraction for dutch coff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517A KR101651939B1 (en) 2014-10-06 2014-10-06 Portable apparatus for extraction for dutch coff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946A true KR20160040946A (en) 2016-04-15
KR101651939B1 KR101651939B1 (en) 2016-08-29

Family

ID=55801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517A KR101651939B1 (en) 2014-10-06 2014-10-06 Portable apparatus for extraction for dutch coff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93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388A (en) * 2020-04-22 2021-11-01 주식회사 지에프팩토리 Portable coffee drip-brewer
KR102361645B1 (en) * 2021-05-26 2022-02-14 마켓브릿지 주식회사 Aotomatic type drip coffee maker
US20230404315A1 (en) * 2023-07-26 2023-12-21 Lingyun (Ningbo) Technology Co., Ltd Brewing Arrangement and Portable Coffee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293B1 (en) * 2018-06-08 2019-04-17 주식회사 유디엔 Disposable dutch coffee capsu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2503B2 (en) * 2002-12-24 2006-04-25 Household Technology Group Llc Brew station for coffee drinks
JP2007307357A (en) * 2006-04-17 2007-11-29 Masaki Suzuki Coffee maker
US20130213240A1 (en) * 2012-02-17 2013-08-22 Espressi, Inc. Portable brewing device
KR200469626Y1 (en) 2013-01-02 2013-10-29 조준형 A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KR20140053423A (en) * 2012-10-19 2014-05-08 김은균 All in one portable espresso extracting machine that can grind coffee bean
KR101437136B1 (en) 2013-08-28 2014-09-02 최지영 Portable dripping tool of duch coffee bea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2503B2 (en) * 2002-12-24 2006-04-25 Household Technology Group Llc Brew station for coffee drinks
JP2007307357A (en) * 2006-04-17 2007-11-29 Masaki Suzuki Coffee maker
US20130213240A1 (en) * 2012-02-17 2013-08-22 Espressi, Inc. Portable brewing device
KR20140053423A (en) * 2012-10-19 2014-05-08 김은균 All in one portable espresso extracting machine that can grind coffee bean
KR200469626Y1 (en) 2013-01-02 2013-10-29 조준형 A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KR101437136B1 (en) 2013-08-28 2014-09-02 최지영 Portable dripping tool of duch coffee bea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388A (en) * 2020-04-22 2021-11-01 주식회사 지에프팩토리 Portable coffee drip-brewer
KR102361645B1 (en) * 2021-05-26 2022-02-14 마켓브릿지 주식회사 Aotomatic type drip coffee maker
US20230404315A1 (en) * 2023-07-26 2023-12-21 Lingyun (Ningbo) Technology Co., Ltd Brewing Arrangement and Portable Coffee Machine
US11986121B2 (en) * 2023-07-26 2024-05-21 Lingyun (Ningbo) Technology Co., Ltd Brewing arrangement and portable coffe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939B1 (en) 201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939B1 (en) Portable apparatus for extraction for dutch coffee
US9717365B2 (en) Pump coffee brewer
US7337705B1 (en) Press and sip device
US20080302252A1 (en) Portable Brew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nd Operating
US9402501B1 (en) Adjustable tamper coffee apparatus, brewing machine utilizing such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coffee
EP3087014B1 (en) Brewable beverage making cup adaptor for cartridge type coffee making machines
US20050268790A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espresso coffee and the like
US201402057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coffee and the like
US8671826B2 (en) Brew through lid, assembly of a thermal carafe and a brew through lid as well as a coffee maker including such an assembly
KR101520300B1 (en) Dutch coffee capsule
US20060086761A1 (en) Food seasoning quantitative dispenser
KR101860740B1 (en) Capsule for cold brew
US20070295220A1 (en) Clamshell coffee and tea packet beverage brewer
WO2022152197A1 (en) Small volume manual coffee maker
RU2761273C2 (en) Device and methods based on infusion for brewing beverage
KR20230070121A (en) Dutch Coffee Dripper
KR101661489B1 (en) Dutch coffee beans
US11330933B2 (en) Cold brew coffee brewing machine
US10765253B2 (en) Brew basket for automated beverage brewing apparatus
CN207755078U (en) A kind of two-in-one coffee machine
KR102361645B1 (en) Aotomatic type drip coffee maker
CN219895382U (en) Filter device and coffee machine
RU2607052C2 (en)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
TW201127329A (en) Leaching-type beverage brewing cup fo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O2011097831A1 (en) Leaching-type beverage brewing cup for beverage preparation machi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