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507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507A
KR20160040507A KR1020160040486A KR20160040486A KR20160040507A KR 20160040507 A KR20160040507 A KR 20160040507A KR 1020160040486 A KR1020160040486 A KR 1020160040486A KR 20160040486 A KR20160040486 A KR 20160040486A KR 20160040507 A KR20160040507 A KR 20160040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ub
drum
deterg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4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민규
김동원
김나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0507A/en
Publication of KR2016004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5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es: a cabinet having a front cover having an inlet where laundry enters, having an upper panel forming an upper surface; a drum providing a space to store the laundry and having a drum opening connected to the inlet; a door provided to be rotated to the front cove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a detergent input unit providing the space to store the detergent supplied to the drum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panel; and a control panel provided to the door.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0001]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세제의 투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세제 디스펜서의 장착구조를 개선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mproved in a mounting structure of a detergent dispenser which is positioned below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llows a user to easily insert the detergent.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 중 특히 세탁기는 세탁을 위하여 세제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세탁기에는 일반적으로 세제 투입을 위한 세제 디스펜서를 구비된다. 따라서, 세제 디스펜서는 특히 세탁기에 있어서는 자명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Generally,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dryer for drying laundry,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laundry, and the like. Among thes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a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uses a detergent or the like for washing. To this end, the washing machine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detergent dispenser for injecting the detergent. Therefore, the detergent dispenser can be said to be self-evident in a washing machin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 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디스펜서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ventional detergent dispenser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처리장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rment disposal pla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형을 형성하고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투입되는 세탁물이 수납되어 세탁되는 드럼(30)과,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40) 및 세탁을 완료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60)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cabinet 10 having an outer shape and a door for inputting laundry, a tub 20 provided in the cabinet 10 and storing wash water, A drum 30 which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20 and is washed by receiving the laundry to be charged, a water supply unit 40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tub 20, And a drainage unit 60 for draining the water.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0)에 의해 세탁되는 세탁물의 세탁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터브(20) 및 드럼(30)으로 세탁수와 세제를 동시에 투입하기 위한 세제 디스펜서(50)가 구비된다.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includes a detergent dispenser 50 for simultaneously introduc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detergent into the tub 20 and the drum 30 to improve the washing effect of the laundry to be washed by the drum 30.

이러한 세제 디스펜서(50)는 통상적으로 의류처리장치(1)의 전방으로 일부가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세제 투입부(52)를 구비하며, 인출된 세제 투입부(52)에 세제를 투입하고, 세제 투입부(52)를 세제 디스펜서(50)에 수납하면 세탁수와 같이 터브(20) 및 드럼(30)으로 공급되어 드럼(30)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세제 디스펜서(50)는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부(52)를 갖고, 세제 투입부(52)로 투입된 세제는 세탁수와 함께 세탁을 위한 공간인 터브(20) 또는 드럼(30)으로 공급된다. The detergent dispenser 50 has a drawer-type detergent input part 52, which is typically drawn out frontward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 and the detergent is put into the detergent input part 52, When the detergent dispensing unit 52 is received in the detergent dispenser 50, the detergent dispenser 50 is provided to the tub 20 and the drum 30 to wash laundry by the drum 30 as washing water. That is, the detergent dispenser 50 has a detergent input portion 52 into which the detergent is input, and the detergent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input portion 52 is supplied to the tub 20 or the drum 30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제 디스펜서(50)의 경우 세제공급의 용이성 및 설치의 용이성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1)의 상부 일측에 위치된다. 이에 의류처리장치(1)의 사용자는 세제를 의류처리장치(1)의 상부위치까지 들어 올려 세제 투입부(52)에 세제를 투입하여 사용하는 불편한 점이 발생한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detergent dispenser 5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detergent dispenser 50 is generally locat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for ease of detergent supply and ease of installation. Accordingly, the user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nconveniently uses the detergent into the detergent dispensing unit 52 by lifting the detergent up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nd using it.

한편, 최근에는 비교적 낮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1)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받침대 구조를 더 추가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의류 투입구(구체적으로 도어(12))위 위치를 상향시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의류처리장치(1)에 받침대 구조를 더 추가하여 사용할 경우 세제 투입부의 위치는 더욱 상향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이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which is relatively low in recent years,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1 is further provided with a pedestal structure so that the garment inlet (specifically, the door 12) ), The above position is raised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However,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s additionally used with a pedestal structure, the position of the detergent dispensing unit is further raised, which inconveniences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세제 디스펜서의 위치를 하향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세제 디스펜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rment dispenser which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of a user by lowering the position of a detergent dispens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된 전면커버 및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이 구비된 캐비닛;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개구부가 구비된 드럼; 상기 전면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상부패널을 통해 외부에 노출 가능한 세제투입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inet having a front cover provided with a mouth for entering and leaving clothes and an upper panel forming an upper surface; A drum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clothing, and having a drum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charging port; A door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cove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 detergent dispenser for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detergent supplied to the drum, the detergent dispenser being capable of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panel; And a control panel provided on the door.

상기 세제투입부는 상기 상부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세제투입부를 개폐하는 투입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gent dispense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door provided on the upper pane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tergent dispenser.

상기 세제투입부는 상기 드럼의 상부에 위치하여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도어에 의해 상기 상부패널의 외부에 노출되는 컨테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gent dispenser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rum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the detergent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anel by the dispenser door.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컨테이너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tub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drum is accommodated; And a water supply line for supplying water to the container.

본 발명은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터브공급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ub supply line provided to connect the container and the tub.

상기 터브공급라인은 상기 터브의 상부 원주면과 상기 컨테이너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tub supply line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container with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상기 컨트롤패널은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입력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nput control command.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경우에도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door is closed.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의 전방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의 전방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may b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oor.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may be provided inside the door.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may be fixed to the door to rotate with the door.

본 발명은 상기 도어에서 상기 드럼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드럼 개구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door toward the drum and inserted into the drum opening, and the control panel may be positioned on the protrusion.

상기 도어의 하단은 상기 도어의 상단보다 상기 드럼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door may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door towar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rum.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과 상기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tub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drum is accommodated; A stator fixed to a rear surface of the tub and positioned outside the tub; A rotor rotating by the stator; And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tub to connect the drum and the rotor.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위치하며,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제2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ocessing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capable of washing or drying clothes.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투입구가 향하는 방향을 향해 인출 가능한 드로워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with a drawer that can be drawn out toward the loading por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부와; 상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전면커버의 하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전면커버를 지지하고, 상기 터브로 액상세제를 공급하는 액상세제공급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abinet including a front cover; A water supply unit to which washing water is supplied; A tub for storing the wash wate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a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front cover and which supports the front cover and supplies the liquid detergent to the turbine.

상기 캐비닛은 전면 상부에 상기 전면커버의 상단이 거치되는 상무설치면 및 전면 하부에 상기 액상세제공금모듈이 설치되는 하부설치면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binet may further include a frame having a front mounting surface on which an upper end of the front cover is mounted, and a lower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liquid detergent dispensing module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상기 액상세제공급모듈은 상기 하부설치면에 체결되며 상기 액상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펌프를 구비하는 모듈패널과, 상기 모듈패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제펌프로 공급되는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액상세제컨테이너를 구비하는 힌지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includes a module panel having a detergent pump connected to the lower mounting surface and supplying the liquid detergent, a liquid phase detergent pump rotatably coupled to the module pump, And a hinge cover having a detergent container.

상기 힌지커버와 상기 모듈패널의 사이 하부에는 상기 힌지커버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모듈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hinge portion for pivoting the hinge cov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between the hinge cover and the module panel, and the hinge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odule panel.

상기 힌지커버는 상기 힌지커버가 회동될 때 상기 캐비닛에 소정의 탄성력으로 가압되어 상기 힌지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hinge cover further includes a fixing unit for pressing the cabinet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restrict rotation of the hinge cover when the hinge cover is rotated.

상기 전면커버는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ront cover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lower portion protrudes forward.

상기 캐비닛은 양측면에 사각형태의 측면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측면패널의 전방과 상기 전면커버의 사이에 공간을 폐쇄하는 측면보조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abinet further includes a side surface auxiliary panel for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front side of the side panel and the front cover.

상기 캐비닛은 양측면에 측면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측면패널은 전방부가 상기 전면커버의 경사면을 따라 돌출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abinet has side panels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side panel has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a front portion protrudes alo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front cover.

상기 모듈패널은 상기 터브의 세탁수가 배수될 때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배수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dule panel further includes a drain filt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hen washing water is drained from the tub.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힌지커버의 개폐에 따라 노출 및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rain filter is exposed and shield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hinge cover.

상기 모듈패널은 상기 세탁수를 강제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dule panel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ump for forcibly draining the wash water.

상기 힌지커버는 상기 전면커버의 외측면과 연장되는 연장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nge cover preferably has an extended surface exten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상기 터브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세탁수 및 투입되는 분말세제를 상기 터브로 혼합하여 공급하는 분말세제투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powder detergent dispenser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for mixing and supply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powdered detergent into the tub.

상기 액상세제공급모듈은 상기 분말세제투입부로 상기 액상세제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supplies the liquid detergent to the powder detergent input part.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 디스펜서의 위치를 하향함으로써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할 때 발생하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that occurs when the user puts the detergent by lowering the position of the detergent dispenser for supplying the deterg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제 디스펜서의 일부를 모듈화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제조시 공정을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dulates a part of the detergent dispenser,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처리장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칭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액상세제공급모듈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액상세제공급모듈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세제공급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rment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iquid detergent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s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the terms used herein conflict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re as defined herein.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상부에 위치하여 세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제 1처리장치(100a)와, 제 1처리장치(100a)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제 2처리장치(100b)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처리장치(100a) 및 제 2처리장치(100b)가 같이 구비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제 1처리장치(100a)만이 단독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4,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that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and processes washing and drying laundry, And a second processing device 100b for washing and drying laundry. Her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and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100b as shown in the drawing, but alternatively,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May be provided alone.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원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제 1처리장치(100a)와 제 2처리장치(100b)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ing both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and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100b.

이하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제 1처리장치(100a)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처리장치(100a)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30), 터브(13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140), 터브(130)의 후방에 구비되어 드럼(14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70), 터브(130)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160), 터브(130)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부(180), 제 1처리장치(100)의 하부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터브(130)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공급하는 액상세제공급모듈(200)을 구비한다. Hereinafter,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includes a cabinet 110 that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cabinet 110, a tub 130 that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0 to store wash water, and a tub 130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130, A drum 140 and a driving unit 170 disposed behind the tub 130 for rotating the drum 140. A water supply unit 160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tub 130 and a water supply unit 160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tub 130, And a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200 for supplying the detergent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to the tub 130 while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

상기 캐비닛(110)은 제 1처리장치(100a)의 외관을 형성한다. 캐비닛(110)은 전면커버(112), 백패널(미도시), 측면패널(116), 상부패널(119)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캐비닛(110)은 상술한 전면커버(112), 백패널, 측면패널(116), 상부패널(119)이 결합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111, 도 8참조)을 구비하며, 프레임(111)은 각 전면커버(112), 백패널, 측면패널(116), 상부패널(119)이 체결됨에 따라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The cabinet 1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The cabinet 110 may include a front cover 112, a back panel (not shown), a side panel 116, and an upper panel 119. In addition, the cabinet 110 includes a separate frame 111 (see FIG. 8) for coupling the front cover 112, the back panel, the side panel 116 and the upper panel 119 described above, The front panel 112, the back panel, the side panel 116, and the upper panel 119 are fastened together, so that they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여기서 프레임(111)은 각 전면커버(111), 백패널, 측면패널(116), 상부패널(119)이 설치되는 설치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면 상측에는 전면커버(112)의 상부가 결합되는 상부설치면(111a)이 형성되고, 전면 하측에는 액상세제공급모듈(200)이 설치되는 하부설치면(111b)이 형성된다. Here, the frame 111 forms an installation surface on which the front cover 111, the back panel, the side panel 116, and the upper panel 119 are installed, An installation surface 111a is formed and a lower installation surface 111b on which a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200 is installed is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한편, 전면커버(112)는 하측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전면커버(112)의 중앙부에는 세탁물을 드럼(140)에 투입하거나 드럼(140)에서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13)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커버(112)는 상단부가 상부설치면(111a)의 상부에 체결되고, 하단부는 액상세제공급모듈(200)의 외측면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전면커버(112)는 제 1처리장치(100a)의 하측이 노출되는 상태로 체결되며, 전면커버(112)의 하부로 노출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하부설치면(111b)에 액상세제공급모듈(200)이 체결되면서 전면커버(112)와 액상세제공급모듈(200)에 의해 제 1처리장치(100a)의 전면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cover 112 is formed so that the lower side portion thereof has an inclined surface projecting forward. At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112, a charging port 113 for charging the laundry into the drum 140 or discharging the laundry from the drum 140 is formed. The front cover 112 is installed such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installation surface 111a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positioned on the extens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200. That is, the front cover 112 is coupled to the lower installation surface 111b, which is located in a space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cover 112,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is expose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is formed by the front cover 112 and the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200 while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 is fastened.

그리고, 측면패널(116)은 프레임(111)의 양측면에 체결되여 제 1처리장치(100a)의 양측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측면패널(116)은 사각형상의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전면커버(112)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형태에 따라 측면패널(116)의 전방측이 전면커버(112)의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ide panels 116 ar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111 to form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The front side of the side panel 116 corresponds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2 according to the shape in which the front cover 112 is inclined. As shown in Fig.

한편, 측면패널(116)이 사각형상의 판형태로 형성될 경우 측면패널(116)의 전방과 전면커버(11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측면패널(116)의 전방과 전면커버(11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측면보조패널(11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보조패널(117)은 전면커버(112)의 측면에 결합되며, 측면패널(116)의 외측면이 연장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ide panel 116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of the side panel 116 and the front cover 112. A side auxiliary panel 114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side of the side panel 116 and the front cover 112 may be further provided. Here, the side surface sub-panel 117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cover 11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panel 116 can be coupled in an extended form.

다르게는 측면보조패널(117)은 전면커버(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면커버(112)의 양측면에서 측면패널(116)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측면보조패널(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커버(112)의 설치시 측면보조패널(114)이 같이 설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ide surface sub-panel 11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cover 112. [ That is, the side sub-panel 11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cover 112 to the side panel 116 side. In this case, when the front cover 112 is installed, the side auxiliary panel 114 is installed together.

이때, 측면보조패널(117)은 전면커버(112)의 양측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액상세제공급모듈(200) 및 도어(1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At this time, the side sub-panel 117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cover 112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200 and the door 12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전면커버(112)의 외측에는 투입구(113)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20)가 구비된다. 추가적으로, 도어(120)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패널(122)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door 1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ading slot 113 is provided outside the front cover 112. In addition, the door 120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122 for operating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그리고 상부패널(119)은 제 1처리장치의 상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부패널(119)의 상면에 분말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분말세제투입부(190)가 구비된다. 분말세제투입부의 일측에는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160)가 구비된다.And the upper panel 119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A powder detergent injecting unit 190 for injecting a powder detergent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nel 119 is provided. A water supply part 160 for supplying wash wate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owder detergent input part.

여기서, 분말세제투입부(190)는 상부패널(119)의 일측에 위치하며, 개폐 가능한 투입도어(192)와, 투입도어(192) 하부에 위치하여 투입되는 분말세제와 세탁수를 혼합하는 분말세제컨테이너(194)가 구비된다.The powder detergent injecting unit 19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upper panel 119 and includes an inlet door 192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a powder for mixing laundry detergent, A detergent container 194 is provided.

여기서, 분말세제컨테이너(19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부(160)의 급수라인(162)이 연결되며 급수라인(162)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와 분말세제컨테이너(194)에 공급된 분말세제가 혼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분말세제컨테이너(194)의 하부에는 혼합된 세탁수 및 분말세제를 터브(130)로 공급하기 위한 터브공급라인(196)이 구비된다. 이에 분말세제컨테이너(194)에서 혼합된 세탁수와 분말세제는 터브공급라인(196)을 통하여 터브의 내부로 공급된다.The powder detergent container 194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162 of the water supply unit 160 and is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supply line 162 and the powder detergent container 194 supplied to the powder detergent container 194, Thereb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mixture is mixed. A tub supply line 196 for supplying mixed washing water and powder detergent to the tub 130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powder detergent container 194. The washing water and the powder detergent mixed in the powder detergent container 194 ar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 through the tub feeding line 196.

한편, 분말세제투입부(190) 및 액상세제공급모듈(200)의 구조 및 연결관계에 대해서는 제 1처리장치(100a) 및 제 2처리장치(100b)에 대한 설명을 마친 후 설명하도록 한다. The structures and connection relationships of the powder detergent dispensing unit 190 and the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after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and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100b is completed.

그리고, 급수부(160)는 별도의 급수원(미도시)에서 세탁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라인(162)과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급수밸브(164)를 구비한다. The water supply unit 160 includes a water supply line 162 for receiving wash water from a separate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and a water supply valve 164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sh water.

한편, 터브(130)에는 전면커버(112)의 투입구(113)에 대응하는 터브 개구부(132)가 구비되고, 드럼(140)에는 투입구(113) 및 터브 개구부(132)에 대응하는 드럼 개구부(142)가 구비된다. 여기서, 터브(130)와 드럼(140)은 캐비닛(110)의 내부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120)를 열어 투입구(113)를 개방한 뒤 터브 개구부(132) 및 드럼 개구부(142)를 통해 세탁물을 드럼(140)에 투입하거나 드럼(140)에서 인출할 수 있다.The tub 130 has a tub opening 132 corresponding to the inlet 113 of the front cover 112 and a drum opening 140 corresponding to the inlet 113 and the tub opening 132 142 are provided. Here, the tub 130 and the drum 1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0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user can open the door 120 to open the loading port 113 and then load the laundry into the drum 140 or draw the laundry from the drum 140 through the tub opening 132 and the drum opening 142. [

그리고, 전면커버의 투입구(113)와 터브 개구부(132) 사이에는 가스켓(150)이 구비된다. 가스켓(150)은 터브(130)의 진동이 캐비닛(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터브(130) 내부의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 gasket 150 is provided between the inlet 113 of the front cover and the tub opening 132. The gasket 150 prevents the vibration of the tub 13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abinet 110 and also prevents the wash water from leaking from the inside of the tub 130.

한편, 터브(130)의 터브 개구부(132), 드럼(140)의 드럼 개구부(142) 및 투입구는 전면커버(112)의 경사면에 대하여 각각 평행상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면(수평선)을 기준으로 한 터브(130)와 드럼(140)의 경사각은 지면에 수직한 직선에 대한 캐비닛(110)의 전면커버(경사면)가 형성하는 경사각과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어(120)는 경사면에 힌지결합되어 투입구(113), 터브 개구부(132) 및 드럼 개구부(142)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tub opening 132 of the tub 130, the drum opening 142 of the drum 140, and the inlet may be formed in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ront cover 112, respectively.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ub 130 and the drum 140 with respect to the ground (horizontal line) may be the same as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front cover (sloped surface) of the cabinet 110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 At this time, the door 120 may be hinged to the inclined surface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13, the tub opening 132, and the drum opening 142.

그리고, 터브(130)의 후방에는 드럼(14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70)가 구비된다. 구동부(170)는 터브(130)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 스테이터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로터로 마련된다. 한편, 드럼(140)의 후방에는 회전축(144)이 구비되며, 회전축(144)은 터브(130)의 후방을 관통하여 터브(130)의 배면에 설치된 구동부(170)의 로터에 연결된다.A driving unit 170 for rotating the drum 140 is provided behind the tub 130. The driving unit 170 is provided with a stator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tub 130 and a rotor provided to surround the stator. A rotating shaft 144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rum 140 and the rotating shaft 144 is connected to the rotor of the driving unit 170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ub 130 through the rear of the tub 130.

한편, 제 2처리장치(100b)는 제 1처리장치(100a)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 2처리장치(100b)는 전방으로 인출되며 별도의 터브 및/또는 드럼을 구비하는 드로워 형태로 마련되어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 탈수, 건조하는 장치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100b may be provided below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100b may be a device that draws forward and is provided in a drawer shape having a separate tub and / or drum to wash, dewater, and dry a small amount of laundry.

또한 다르게는 제 2처리장치(100b)는 단순 드로워 형태로 구비되어 세탁물 또는 세탁에 필요한 세제 등을 보관하는 수납공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르게는 제 2처리장치(100b)는 제 1처리장치(100a)의 설치 높이를 상향시키기 위한 단순 받침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처리장치(100b)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lternatively,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100b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imple drawer,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torage space for storing laundry or detergent necessary for washing. Alternatively,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100b may be provided as a simple pedestal for eleva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Since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100b can be variously configur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액상세제공급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liquid detergent supply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to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액상세제공급모듈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액상세제공급모듈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세제공급모듈(200)은 제 1처리장치(100a)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As shown in FIGS. 5 to 7, the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100a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이러한, 액상세제공급모듈(200)은 프레임(111)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설치면(111b)에 설치되는 모듈패널(210)과, 양측 하부가 모듈패널(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커버(220)와, 힌지커버(220)의 내측에 힌지커버와 같이 회동되는 액상세제컨테이너(223) 및 유연제컨테이너(226)를 구비한다.The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200 includes a module panel 210 mounted on a lower mounting surface 111b located at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ame 111 and a module panel 210 having both lower portions thereof rotatably coupled to the module panel 210 A liquid detergent container 223 and a softener container 226 which rotate inside the hinge cover 220 together with the hinge cover.

여기서, 모듈패널(210)은 캐비닛(110)의 하부설치면(111b)에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모듈패널(210)에는 액상세제컨테이너(223) 및 유연제컨테이너(226)에 저장된 액상세제 및 유연제의 공급을 위한 세제펌프(211) 및 유연제펌프(213)가 설치되며, 터브(130)에서 세탁을 완료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배수필터(216)와, 세턱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2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module panel 210 is fastened to the lower mounting surface 111b of the cabinet 110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 detergent pump 211 and a softening agent pump 213 for supplying liquid detergent and softening agent stored in the liquid detergent container 223 and the softener container 226 are installed in the module panel 210, A drainage filter 216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laundered water that has been laundered, and a drain pump 215 for draining three lines of water.

여기서, 배수펌프(215)는 모듈패널(210)의 내측에 위치하며, 배수필터(216)는 모듈패널(210)의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배수필터(216)는 힌지커버(220)가 개방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배수필터(216)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게 구비된다.Here, the drain pump 215 is located inside the module panel 210, and the drain filter 216 is installed toward the outside of the module panel 210. Here, the drain filter 216 is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hinge cover 220 being opened, so that the drain filter 216 can be easily clean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

한편, 모듈패널(210)의 내측에는 액상세제컨테이너(223) 및 유연제컨테이너(226)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130)로 공급하기 위한 세제펌프(211) 및 유연제를 터브(130)로 공급하기 위한 유연제펌프(213)가 구비된다. A detergent pump 211 for supplying the detergent stored in the liquid detergent container 223 and the detergent stored in the softener container 226 to the tub 130 and a detergent pump 211 for supplying the detergent to the tub 130 are provided inside the module panel 210, A softening agent pump 213 is provided.

그리고 힌지커버(220)는 모듈패널(210)의 외측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힌지커버(220)의 회동을 위하여 힌지커버(220)의 하부와 모듈패널(210)의 하부에는 힌지커버(220)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부(230)가 구비된다. 이러한 힌지부(230)는 힌지커버(220)에 설치되며, 모듈패널(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모듈패널(210)이 하부설치면(111b)에 설치된 힌지커버에 결합된 힌지부(230)가 모듈패널(210)에 결합됨으로써 힌지커버(220)와 모듈패널(210)이 결합된다. The hinge cover 220 is pivotal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panel 210. A hinge part 230 for rotating the hinge cover 22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inge cover 220 an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dule panel 210 in order to rotate the hinge cover 220. The hinge part 230 is installed on the hinge cover 220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dule panel 210. The hinge cover 220 is coupled to the module panel 210 by coupling the hinge portion 230 coupled to the hinge cover provided on the lower installation surface 111b of the module panel 210 to the module panel 210.

한편, 힌지커버(220)의 양측 상단에는 모듈패널(210)의 양측 상단에 거치되어 힌지커버(220)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2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정부(222)는 힌지커버(220)의 양측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구비되어 폐쇄시 탄성력에 의해 힌지커버(220)를 고정하고 힌지커버(220)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고정부(222)의 탄성력이 극복되면서 힌지커버(220)가 개방된다.On both sides of the hinge cover 220, a fixing portion 222 is detachably mounted on both upper ends of the module panel 210 to fix the hinge cover 220 in a detachable manner. The fixing part 22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cover 220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o that the hinge cover 220 is fixed by the elastic force when the hinge cover 220 is closed. When the hinge cover 220 receives an external force, The hinge cover 220 is opened while the elastic force is overcome.

또한 힌지커버(220)에 구비되는 액상세제컨테이너(223) 및 유연제컨테이너(226)는 각각 상부에 세제투입구(224) 및 유연제투입구(227)가 형성된다. 액상세제컨테이너(223) 및 유연제컨테이너(226)의 하부에는 각각 세제펌프(211) 및 유연제펌프(213)에 연결되는 세제연결라인(212) 및 유연제연결라인(228)이 구비된다. The liquid detergent container 223 and the softener container 226 provided in the hinge cover 220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detergent inlet 224 and a softener inlet 227 at the top. Below the liquid detergent container 223 and the softener container 226 are provided a detergent connection line 212 and a softener connection line 228 connected to the detergent pump 211 and the softener pump 213, respectively.

여기서, 액상세제컨테이너(223) 및 유연제컨테이너(226)는 각기 별도로 구비되거나 내부에 격벽에 의해 각기 분리되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액상세제컨테이너(223) 및 유연제컨테이너(226)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Here, the liquid detergent container 223 and the softener container 226 may be separately formed or formed into a single bod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partition wall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detergent container 223 and the softener container 226 are formed as a single body.

한편, 모듈패널(210)에 구비되는 세제펌프(211) 및 유연제펌프(213)의 토출구에는 분말세제컨테이너(194)로 액상세제 및 유연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라인(212) 및 유연제공급라인(214)이 마련된다. 이에 세제공급라인(212) 및 유연제급라인(214)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세제 및 유연제는 분말세제컨테이너(194)에서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130)로 공급된다. The detergent pump 211 and the softening agent pump 213 provided in the module panel 210 are provided with a detergent supply line 212 and a softening agent supply line 212 for supplying liquid detergent and softener to the powder detergent container 194, 214 are provided. The liquid detergent and the softening agent supplied through the detergent supply line 212 and the softening agent supply line 214 are mixed with the washing water in the powder detergent container 194 and supplied to the tub 13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조과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세제공급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liquid detergent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 1처리장치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터브(130), 드럼(140) 등의 내부구성의 경우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와 유사한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캐비닛(110) 및 액상세제공급모듈(200)의 설치과정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며 다른 부가적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Meanwhi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onfiguration of the tub 130, the drum 140, and the like is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e, only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cabinet 110 and the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200, which are the main constitu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other additional components will be omitted.

먼저, 캐비닛의 프레임 내측으로 제 1처리장치의 터브(130), 드럼(140), 제어부(미도시), 구동부(170) 등의 구성부를 설치한다(S110). 이후, 캐비닛(110)의 프레임(111) 양측면에 측면패널(116)을 각각 설치한다(S120). First, the tub 130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the drum 140, the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driving unit 170 are provided inside the frame of the cabinet (S110). Subsequently, the side panels 116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111 of the cabinet 110 (S120).

이후, 프레임(111)의 전면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설치면(111b)에 액상세제공급모듈(200)의 모듈패널(210)을 설치한다(S130). 여기서, 모듈패널(210)에는 별도의 조립과정을 통하여 세제펌프(211), 유연제펌프(212), 배수펌프(215), 배수필터(216) 등이 먼저 조립된 상태에서 하부설치면(111b)에 별도의 체결수단(예를 들어 볼트, 미도시)에 의해 설치된다.Thereafter, the module panel 210 of the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200 is installed on the lower installation surface 111b located at the lower front of the frame 111 (S130). The module panel 210 is assembled with the lower mounting surface 111b through a separate assembly process in a state where the detergent pump 211, the softener pump 212, the drain pump 215, the drain filter 216, (For example, a bolt, not shown).

그리고, 프레임(111)의 상부설치면(111a)에는 전면커버(112)가 거치되는 형태로 결합된다(S140). 여기서, 전면커버(112)는 그 상단부가 프레임(111)의 상부설치면(111a)에 거치되는 상태로 지지되며, 그 하단부는 하부설치면(111b)에 설치된 모듈패널(210)의 상부에 각각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전면커버(112)의 양측면 상단에는 전면커버(112)의 고정 상태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1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재(114)는 전면커버(112)의 양측면 및 측면패널(116)의 전방부에 고정됨으로써 전면커버(112)의 결합상태를 보강할 수 있다.Then, the front cover 112 is coupled to the upper mounting surface 111a of the frame 111 (S140).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2 is supported on the upper mounting surface 111a of the frame 111 and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11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panel 210 provided on the lower mounting surface 111b. And fixed by separate fastening means (not shown). In addition, a reinforcing member 114 for reinforcing the fixed state of the front cover 112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end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cover 112. The reinforcing member 114 is fixed to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cover 112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ide panel 116 to reinforce the engagement of the front cover 112.

이후, 전면커버(112)의 설치가 완료되면 양 측면패널(116)의 전방 및 전면커버(1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측면보조패널(114)을 설치한다(S150). 측면보조패널(114)은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전면커버(112)와 사각형태의 측면패널(11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패널(116) 및 전면커버(112)의 설치 후에 설치된다.Subsequently, when the front cover 112 is installed, the side auxiliary panel 114 is install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side of the both side panels 116 and the front cover 112 (S150). The side surface sub-panel 114 is provided to close a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surface cover 112 and the square surface side surface panel 116, 112).

한편, 상술한 전면커버(112)의 보강부재(114)는 결합되는 측면보조패널(114)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측면보조패널(114)이 결합됨에 따라 측면보조패널(114)에 의해 차폐되어 외측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member 114 of the front cover 112 described above is positioned inside the coupled side sub-panel 114, so that the side sub-panel 114 is shielded by the side sub- And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이후, 프레임(111)의 상부에 상부패널(119)을 설치한다(S160). 여기서, 상부패널(119)을 설치하기 전에 프레임(111)의 내측에 설치되는 터브(130), 드럼(140), 구동부(170), 급수부(160), 배수부(180) 및 분말세제투입부(190)의 분말세제컨테이너(194) 등의 설치를 완료한 이후에 상부패널(119)을 설치한다. Then, the upper panel 119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11 (S160). Before the upper panel 119 is installed, the tub 130, the drum 140, the driving unit 170, the water supply unit 160, the drainage unit 180, and the powder detergent input unit The upper panel 119 is installe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powder detergent container 194 and the like of the unit 190 is completed.

또한, 모듈패널(210)에 설치되는 세제펌프(211) 및 유연제펌프(213)와 분말세제컨테이너(194) 사이의 세제공급라인(212), 유연제급라인(214) 등의 유로 연결을 완료한 상태에서 상부패널(119)을 설치한다. The connection of the detergent pump 211 installed in the module panel 210 and the detergent supply line 212 and the softening agent supply line 214 between the softening agent pump 213 and the powdery detergent container 194 is completed The upper panel 119 is installed.

이후, 측면보조패널(114)이 설치된 이후에는 모듈패널(210)의 전방으로 힌지커버를 설치한다(S170). 여기서 모듈패널과 힌지커버는 모듈패널과 힌지커버의 하부에 각각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되는 힌지부의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힌지커버의 상단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부는 측면보조패널의 내측면을 가압하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후 전면커버의 투입구 외측으로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처리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S180). Then, after the side surface sub-panel 114 is installed, a hinge cover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module panel 210 (S170). Here, the module panel and the hinge cover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portion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dule panel and the hinge cover. The fixing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hinge cover are provid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while press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auxiliary panel. Thereafter, the door is rotatably installed to the outside of the inlet of the front cover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S18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herefore, modifica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의류처리장치 100a : 제 1처리장치
100b : 제 2처리장치 110 : 캐비닛
111 : 프레임 11a, 11b : 상, 하부설치면
112 : 전면커버 113 : 투입구
116 : 측면패널 117 : 측면보조패널
119 : 상부패널 120 : 도어
122 : 컨트롤패널 130 : 터브
132 : 터브 개구부 140 : 드럼
142 : 드럼 개구부 144 : 회전축
150 : 가스켓 160 : 급수부
162 : 급수라인 164 : 급수밸브
170 : 구동부 180 : 배수부
190 : 분말세제투입부 192 : 투입도어
194 : 분말세제컨테이너 196 : 터브공급라인
200 : 액상세제공급모듈 210 : 모듈패널
211 : 세제펌프 212 : 세제공급라인
213 : 유연제펌프 214 : 유연제공급라인
215 : 배수펌프 216 : 배수필터
220 : 힌지커버 230 : 힌지부
222 : 고정부 223 : 액상세제컨테이너
224 : 세제투입구 225 : 세제연결라인
226 : 유연제컨테이너 227 : 유연제투입구
228 : 유연제연결라인
100: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100a:
100b: second processing apparatus 110: cabinet
111: frames 11a, 11b: upper and lower mounting surfaces
112: front cover 113: inlet
116: side panel 117: side auxiliary panel
119: upper panel 120: door
122: Control Panel 130:
132: tub opening 140: drum
142: Drum opening 144:
150: gasket 160: water supply part
162: water supply line 164: water supply valve
170: driving part 180: drainage part
190: powder detergent input part 192: input door
194: powder detergent container 196: tub supply line
200: liquid detergent supply module 210: module panel
211: Detergent pump 212: Detergent supply line
213: softening agent pump 214: softening agent supply line
215: Drain pump 216: Drain filter
220: hinge cover 230: hinge part
222: fixing part 223: liquid detergent container
224: Detergent inlet 225: Detergent connection line
226: softener container 227: softener inlet
228: Softener connection line

Claims (17)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된 전면커버 및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이 구비된 캐비닛;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개구부가 구비된 드럼;
상기 전면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상부패널을 통해 외부에 노출 가능한 세제투입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 front cover having an input port through which the clothes enter and exit and an upper panel forming an upper surface;
A drum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clothing, and having a drum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charging port;
A door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cover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 detergent dispenser for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detergent supplied to the drum, the detergent dispenser being capable of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panel;
And a control panel provided on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투입부는 상기 상부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세제투입부를 개폐하는 투입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gent dispenser further comprises an inlet door provided on the upper pane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tergent dispen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투입부는 상기 드럼의 상부에 위치하여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투입도어에 의해 상기 상부패널의 외부에 노출되는 컨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tergent dispenser further comprises a container positioned above the drum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the detergent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anel by the dispenser do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컨테이너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tub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drum is accommodated;
And a water supply line for supplying water to the contain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터브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tub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container and the tub.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공급라인은 상기 터브의 상부 원주면과 상기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ub supply line connects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to th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입력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panel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nput control comm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경우에도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panel is expos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door closes the open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의 전방면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pane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front surface of the do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의 전방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panel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o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panel is provided inside the do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도어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panel is fixed to the door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do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서 상기 드럼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드럼 개구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door toward the drum and inserted into the drum opening,
Wherein the control panel is positioned above the proj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단은 상기 도어의 상단보다 상기 드럼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lower end of the door protrudes toward a direction away from the drum from an upper end of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과 상기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ub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drum is accommodated;
A stator fixed to a rear surface of the tub and positioned outside the tub;
A rotor rotating by the stator;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shaft that passes through the tub and connects the drum and the r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위치하며,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제2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processing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capable of washing or drying cloth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투입구가 향하는 방향을 향해 인출 가능한 드로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drawer which can be pulled out toward a direction in which the loading port faces.
KR1020160040486A 2016-04-01 2016-04-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600405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86A KR20160040507A (en) 2016-04-01 2016-04-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86A KR20160040507A (en) 2016-04-01 2016-04-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842A Division KR101938245B1 (en) 2012-09-17 2012-11-22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507A true KR20160040507A (en) 2016-04-14

Family

ID=5580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486A KR20160040507A (en) 2016-04-01 2016-04-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050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6106C1 (en) Linen processing device
US7805964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10199322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147143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US20060053842A1 (en) Washing machine
KR10159001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248937B1 (en) Washing machine
KR20150025084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010698B1 (en) Washing machine
KR10193824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00066909A (en) Washing machine
KR10193824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60040507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2075686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98989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ing Method
KR10193929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2075687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801575B1 (en) Washing machine
KR10159001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