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584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photographed im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photographed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584A
KR20160038584A KR1020140131841A KR20140131841A KR20160038584A KR 20160038584 A KR20160038584 A KR 20160038584A KR 1020140131841 A KR1020140131841 A KR 1020140131841A KR 20140131841 A KR20140131841 A KR 20140131841A KR 20160038584 A KR20160038584 A KR 20160038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pecial effect
user interface
processing
spe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12437B1 (en
Inventor
김현태
Original Assignee
김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태 filed Critical 김현태
Priority to KR1020140131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437B1/en
Publication of KR20160038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5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4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 captured image, in which division and special effect setting precedes image capturing for single screen output. The device for processing a captured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for imaging a subject; an interfacing unit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partial image division and special effect application to each divided region; a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producing a separate image signal through image division following shape and region designa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 special effect processing unit applying a special effect designated in the user interface to each image signal divided by the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each image signal to which the special effect is applied by the special effect processing unit at a pre-division position so that the image signal appears not to have been divided.

Description

촬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photographed imag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graphe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촬영 영상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촬영 이전에 화면 분할 및 특수 효과 설정을 한 후에 촬영을 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촬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cessing of a photographed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hotographed image that can be shot and output to a single screen after screen division and special effects are set prior to shooting.

사진 영상은 물체에 반사되는 빛 신호를 표현한 것이다. 그런데 빛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라서 이를 표현한 사진 영상도 당연히 아날로그 신호다.A photographic image represents a light signal reflected on an object. However, the light signal is an analog signal.

아날로그 신호는 조작이 쉽지 않고 영구 보관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사진처럼 아날로그 영상을 조작해 변형하거나 영구적으로 보관하는 작업을 할 때는 특수한 장비와 아주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다.Analog signals are not easy to operate and hard to keep permanently. So when working with analog images like a photo, transforming or permanently storing them, special equipment and very specialized skills are needed.

이와 달리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에 비해 장점이 많고, 아날로그 신호에서도 쉽게 얻을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로 구성된 사진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게 바로 디지털 영상이다.Digital signals, on the other hand, have many advantages over analog signals and are easily obtained from analog signals. It is digital image that converted the photographic image composed of analog signal into digital signal.

디지털 영상처리는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획득한 디지털 영상을 원하는 목적에 맞게 조작하는 것이다. 원래 영상보다 품질이 높은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오래되거나 전송 중에 변질 또는 훼손된 영상을 복원할 수도 있다.Digital image processing is the manipulation of digital images acquired by a scanner, a digital camera, etc. to a desired purpose. It can be converted into an image of higher quality than the original image, and it is also possible to restore an image which has been altered or damaged during transmission or transmission.

또한 디지털 영상 내의 특징을 추출하여 활용할 수도 있고, 영상의 일부분만으로도 새로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디지털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압축해 편리하게 저장과 전송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features in a digital image can be extracted and used, or a new image can be generated using only a part of the imag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digital image data can be compressed and conveniently stored and transmitted.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은 영상 개선, 영상 복원, 영상 변환, 영상 분석, 영상 인식, 영상 압축으로 분류된다.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is divided into image improvement, image restoration, image conversion, image analysis, image recognition, and image compression.

그리고 구현 알고리즘은 화소 점 처리, 영역 처리, 기하학적 처리, 프레임 처리로 분류할 수 있다.Implementation algorithms can be classified into pixel point processing, region processing, geometric processing, and frame processing.

디지털 영상을 처리하여 응용하려는 목적에 맞게 고치는 작업을 디지털 영상의 개선(Digital Image Enhancement)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생성한 디지털 영상의 밝기가 너무 어둡거나 밝을 때 밝기를 조정하는 작업이 여기에 해당된다.Digital image enhancement is the process of fixing the digital image to suit the purpose of processing it. For example, adjusting the brightness when the brightness of the generated digital image is too dark or too bright.

디지털 영상에서 가장 어두운 값과 가장 밝은 값의 차이를 명암이라고 하는데, 이 명암에 따라 디지털 영상의 특징이 결정된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darkest value and the brightest value in a digital image is called contras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image are determined by this contrast.

명암 값이 크면 디지털 영상이 좀더 선명하게 보이고, 명암 값이 작으면 디지털 영상의 선명도가 줄어든다. 이렇게 명암을 조정하는 것도 디지털 영상 개선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If the contrast value is large, the digital image becomes clearer, and if the contrast value is small, the sharpness of the digital image is reduced. Adjusting the contrast is an example of digital image enhancement.

이 밖에 디지털 영상을 개선하는 기술에는 평활화(Equalization), 첨예화(Sharpening), 잡음제거 등 여러 가지가 있다.Other technologies for improving digital images include equalization, sharpening, and noise reduction.

그리고 디지털 영상 복원(Digital Image Restoration)은 훼손되거나 오류 때문에 왜곡된 디지털 영상을 원래의 디지털 영상과 가장 가까운 형태로 복원하는 과정을 말한다.Digital Image Restora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restoring distorted digital images to their closest form to the original digital image due to corruption or errors.

그리고 디지털 영상의 데이터 정보를 다른 형태로 표현하면 더 효율적으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와 색의 크기 정보를 밝기와 색이 변화하는 정도로 표현하여 더 효율적으로 영상을 처리한다. 이처럼 디지털 영상의 데이터를 다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을 디지털 영상 변환(Digital Image Transformation)이라고 한다.Also, if the data information of the digital image is represented in another form, the image can be processed more efficiently. For example, brightness and color size information is expressed by the degree of change in brightness and color, thereby processing images more efficiently. The conversion of data from digital image data to other types of data is called digital image transformation.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해 디지털 영상을 분류하거나 판독할 수 있다. 이것을 하려면 디지털 영상이 지닌 속성을 수치화하거나 디지털 영상에서 특정 영역 등을 추출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 작업을 디지털 영상 분석(Digital Image Analysis)이라고 한다.And computers can be used to sort or read digital images.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digitize the attributes of a digital image or to extract a specific area, etc. from a digital image. This operation is called digital image analysis.

그리고 디지털 영상 인식(Digital Image Understanding)은 인식하려는 객체나 형상에서 주요 속성을 추출하여 식별할 수 있는 클래스나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기술을 말한다. 디지털 영상 인식을 수행하려면 디지털 영상 입력, 전처리, 영상 분할, 특징 추출, 인식의 처리 단계 과정을 거쳐야 한다.Digital Image Understanding refers to a technique of classifying a major attribute in an object or a shape to be recognized into a class or category that can be identified and identified. Digital image recognition requires digital image input, preprocessing, image segmentation, feature extraction, and recognition processing steps.

그리고 디지털 영상 압축(Digital Image Compression)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거나 전송하려고 불필요하거나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하는 작업이다.And Digital Image Compression is the task of eliminating unnecessary or redundant data to efficiently store or transmit data.

그리고 디지털 영상처리 알고리즘은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화소점 처리, 영역 처리, 기하학적 처리, 프레임 처리로 분류한다.Digital image processing algorithms are classified into pixel point processing, region processing, geometric processing, and frame processing, which are concrete methods for implementing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디지털 영상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화소는 아주 작은 점으로 보여서 화소 점이라고도 한다. 이 화소 점의 원래 값이나 위치를 기준으로 화소 값을 변경하는 알고리즘을 화소 점 처리(Point Processing) 알고리즘이라고 한다.A pixel, which is a basic unit of a digital image, is called a pixel point because it is seen as a very small point. An algorithm for changing the pixel value based on the original value or position of the pixel point is called a pixel point processing algorithm.

그리고 화소 점 처리에서는 화소 값이나 위치를 이용해 화소 값 하나를 변경한다. 반면, 영역 처리(Area Processing)에서는 화소의 원래 값과 이웃하는 화소 값을 기준으로 값을 변경한다.In the pixel point processing, one pixel value is changed using a pixel value or a posi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area processing, the value is changed based on the pixel value neighboring the original value of the pixel.

즉, 화소 여러 개가 서로 관계하여 새로운 화소 값 하나를 생성하는 것이다. That is, several pixels are related to each other to generate a new pixel value.

디지털 영상의 세세한 부분까지 제거하여 디지털 영상을 흐리게 만드는 블러링(Blurring)과 디지털 영상에서 세세한 부분을 더욱 강조하여 대비 효과를 내는 샤프닝(Sharpening)은 대표적인 영역 처리 방법이다.Blurring, which removes even the smallest detail of a digital image to blur a digital image, and sharpening that emphasizes detail in a digital image to produce contrast, is a typical area processing method.

이 밖에 디지털 영상 내의 객체 테두리를 검출하는 윤곽선 검출(Edge Detection)과 주변에 있는 화소의 중간 값을 찾아서 새로운 화소 값을 만드는 미디언 필터링(Median Filtering)도 있다.In addition, Edge Detection detects object edges in digital images and Median Filtering creates new pixel values by finding intermediate values of neighboring pixels.

그리고 기하학적 처리(Geometric Processing)는 디지털 영상 화소의 위치나 화소의 모임인 배열을 변화시키는 방법이다.Geometric processing is a method of changing the position of a digital image pixel or the arrangement of a group of pixels.

그리고 프레임 처리(Frame Processing)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디지털 영상으로 각종 연산 등을 조합하여 새로운 화소 값을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Frame processing refers to the generation of new pixel values by combining various operations with two or more different digital images.

이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및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의 합성 기술, 모핑(Morphing), 워핑(Warping) 기술을 적용하여 디지털 영상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By us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nd image processing algorithm, it is possible to utilize various digital images by applying digital image synthesis technique, morphing, and warping technology.

예를 들어,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하나인 디지털 카메라는 라이브-뷰 모드,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수효과의 하나인 스티커 메뉴에 있는 스티커 영상이 재생 영상에 합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digital camera, which is a typic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performs a live-view mode, a shooting mode, and a playback mode. In the playback mode, the sticky image in the sticky menu, which is one of the special effects, can be composited into the playback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스티커 메뉴에 있는 스티커 영상들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미리 형성되어 있고, 촬영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촬영 영상과 스티커 영상이 합성되는 것이다.However, 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sticker images in the sticker menu are formed in advanc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sticker image are synthesized in the state of being photographed.

따라서, 촬영중에 실시간으로 촬영 영상에 특수 효과 설정을 하지 못하여 최적의 특수 효과를 갖는 영상의 획득이 어렵다.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t the special effect on the photographed image in real time during shooting, and it is difficult to acquire the image having the optimum special effec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7491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7749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1706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17062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특수 효과 영상 처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 전부터 다수의 특수효과를 적용한 채로 사진과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그 특수효과를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만큼 원하는 위치와 원하는 영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촬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pecial effect image process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photograph a picture and a moving picture while applying a large number of special effects from before the photographing.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hotographed imag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카메라로 들어오는 실시간 영상 혹은 기 촬영된 영상물의 특정 화면 영역(1개 이상)에 특수 효과를 적용하고, 별도의 자막이나 스티커까지 함께 합성한 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 촬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captured by a smartphone camera, in which a special effect is applied to a specific screen area (one or more) of a real-time image or a previously captured image and a separate caption or sticker The purpose of the method is to provide.

본 발명은 GPU에서 입력받은 스마트폰의 카메라나 기 촬영된 영상을 OSL(OpenGL Shading Language)를 통해 구현된 다양한 특수 효과(카툰, 모자이크, 흑백 효과 등)을 전체 영상 또는 다수개의 영역에 적용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촬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various special effects (cartoons, mosaics, black-and-white effects, etc.) implemented through an OSL (OpenGL Shading Language) to a camera or a captured image of a smart phone input from a GPU And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hotographed image.

본 발명은 분할되어 특수 효과가 적용된 영상을 스마트폰 APP 프로그램에서 다시 하나의 전체 영상으로 합쳐서 하나의 영상에 부분적으로 여러 개의 특수 효과가 적용된 것처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촬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shot image by combining an image obtained by segmenting and applying a special effect into a whole image again in a smartphone APP program,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special effects partially applied to one image It has its purpos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손가락(Touch User Interface)을 이용해 특수 효과 영역을 이동 혹은 크기를 조정하거나 특수효과 영역 개수를 조정하고, 다른 특수효과를 지정하는 등 편리하게 특수효과와 그 영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촬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smartphone user to conveniently use the Touch User Interface to move or resize a special effect area, adjust the number of special effect areas, specify other special effects, And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hotographed imag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손가락(Touch User Interface)을 이용해 특수 효과 영역을 지정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이러한 영상 위에 문자나 스티커 등 특별한 이미지까지 더해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 촬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aptured image that allows a smartphone user to capture an image by specifying a special effect area using a finger (Touch User Interface), and to add a special image such as a character or a sticker to the captured image It has its purpos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영상의 일부 영역을 분할하고 각각에 특수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싱부;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지정한 모양과 영역으로 영상을 분할하여 별도의 영상 신호로 만드는 화면 분할 처리부;화면 분할 처리부에서 분리된 각 영상 신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지정한 특수효과를 적용하는 특수효과 처리부;특수효과 처리부에서 특수 효과가 적용된 각 영상 신호를 분할되기 전 위치에 표시하여 분할되지 않은 것처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mage, comprising: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 interface unit for dividing a partial area of the image and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pplying a special effect; A special effect processor for applying a special effect specified in a user interface to each video signal separated by the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a special effect processor for applying a special effect in the special effect processor,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each applied video signal at a position before being divided and displaying it as if it is not divided.

여기서, 촬영 전부터 다수의 특수효과를 적용한 채로 사진과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특수효과를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만큼 원하는 위치와 원하는 영역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plurality of special effects are applied to a photo and a moving image before photographing, and the special effect is applied to a desired position and a desired area by a desired number of the user.

그리고 특수 효과가 적용된 각 영상 신호를 하나의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합성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torage unit for synthesizing each of the video signals to which the special effect is applied into one picture or moving picture.

그리고 촬영 전부터 다수의 특수효과를 적용한 채로 사진과 동영상으로 촬영하면서, 이러한 영상 위에 문자나 스티커 이미지를 더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pecial effects are applied from the time of photographing, and photographs and moving images are photographed, and a character or a sticker image is added to the image to perform photographing.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싱부를 통한 특수 효과의 적용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손가락(Touch User Interface)을 이용해 특수 효과 영역을 이동 혹은 크기를 조정하거나 특수효과 영역 개수를 조정하고, 다른 특수효과를 지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lication of the special effect through the interfacing unit is performed by a smartphone user moving or resizing a special effect area using a finger (Touch User Interface), adjusting the number of special effect areas, and specifying other special effects .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영상 스트림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영상을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화면에 보이는 영상의 영역 분할 및 적용할 특수 효과의 모양, 크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하는 단계;화면 분할 처리부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설정에 따라 크기와 영역, 모양으로 별도의 영상 신호를 만드는 단계;특수 효과 처리부에서 만들어진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특수 효과 처리를 하는 단계;각 영상 신호를 위치가 분리되기 전에 지정된 영역에 그대로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을 하는 단계;촬영에 의한 각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하나의 영상 신호로 합쳐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cessing a captured image, the method including displaying a user interface and an image on a screen together with a video stream input through a camera, A step of setting a size through a user interface, a step of creating a separate image signal in size, area, and shape according to a setting through a user interface in a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a special effect processing A step of photographing each video signal in a state in which the video signals are displayed in a designated area as they are before the positions are separated, and a step of combining the video signals obtained by photographing into one video signal displayed on the screen .

여기서, 각 영상 신호를 위치가 분리되기 전에 지정된 영역에 그대로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을 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시 설정 신호가 입력되면 분할된 영상들의 위치나 영역 혹은 특수효과를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n the step of photographing while each image signal is displayed in the designated area before the position is separated, when the setting signal is inputted again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position, area or special effect of the divided images is changed and applied .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되는 특수 효과는, OSL(OpenGL Shading Language)를 통해 구현되는 카툰, 모자이크, 흑백 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ecial effects se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clude cartoons, mosaics, and monochrome effects implemented through OSL (OpenGL Shading Languag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촬영 이전에 화면 분할 및 특수 효과 설정을 한 후에 촬영을 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어 최적의 특수 효과를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다.First, you can set the screen split and special effect before shooting, and then shoot it and output it to one screen, so you can apply the optimum special effect in real time.

둘째, 스마트폰 카메라로 들어오는 실시간 영상 혹은 기 촬영된 영상물의 특정 화면 영역(1개 이상)에 특수 효과를 적용하고, 별도의 자막이나 스티커까지 함께 합성한 채로 저장할 수 있어 편리성을 높인다.Second, special effects can be applied to a specific screen area (one or more) of real-time images coming from a smartphone camera or a previously captured image, and the separate captions and stickers can be stored together as synthesized to improve convenience.

셋째, 스마트폰의 카메라나 기 촬영된 영상을 OSL(OpenGL Shading Language)를 통해 구현된 다양한 특수 효과(카툰, 모자이크, 흑백 효과 등)을 전체 영상 또는 다수개의 영역에 적용하여 출력할 수 있어 다양한 특수 효과의 사용이 가능하다.Third, various special effects (cartoons, mosaics, black-and-white effects, etc.) implemented through OSL (OpenGL Shading Language) can be applied to a whole image or a plurality of areas by outputting a camera or a captured image of a smartphone, Effects can be used.

넷째, 분할되어 특수 효과가 적용된 영상을 스마트폰 APP 프로그램에서 다시 하나의 전체 영상으로 합쳐서 하나의 영상에 부분적으로 여러 개의 특수 효과가 적용된 것처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특수 효과 응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application range of special effect application by dividing the special effect into an entire image in the smartphone APP program and display it as if several special effects are partially applied to one image.

다섯째, 스마트폰 사용자가 손가락(Touch User Interface)을 이용해 특수 효과 영역을 이동 혹은 크기를 조정하거나 특수효과 영역 개수를 조정하고, 다른 특수효과를 지정하는 등 편리하게 특수효과와 그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Fifth, smartphone users can use the Touch User Interface to move or resize special effect areas, adjust the number of special effect areas, specify other special effects, etc., and conveniently change special effects and their area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에 의해 획득된 영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structure obtained by the photographed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cessing a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에 의해 획득된 영상 구성도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mage configuration diagram obtained by an image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촬영 이전에 화면 분할 및 특수 효과 설정을 한 후에 촬영을 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take a picture after dividing a screen and setting special effects before shooting, and outputting the same to a single screen.

즉, 본 발명은 촬영 전부터 다수의 특수효과를 적용한 채로 사진과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그 특수효과를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만큼 원하는 위치와 원하는 영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photographs and moving pictures while applying a plurality of special effects from before shooting, and can apply the special effects to a desired position and a desired area by a desired number of users.

이를 위하여, 다수의 특수효과를 하나의 영상으로 만들기 위해 영상 신호를 여러 개로 분리하고 모양과 영역을 가공하고, 촬영 시 그것을 다시 분리 전의 모양으로 합쳐서 완성하는 것이다.To accomplish this,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video signal into a plurality of video signals in order to make a plurality of special effects into one video, to process shapes and regions, and to combine the video signals into a shape before separation.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가 손가락(Touch User Interface)을 이용해 특수 효과 영역을 이동 혹은 크기를 조정하거나 특수효과 영역 개수를 조정하고, 다른 특수효과를 지정하는 등 편리하게 특수효과와 그 영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smartphone users can use the Touch User Interface to move or resize special effect areas, adjust the number of special effect areas, specify other special effects, It is.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스마트폰의 카메라나 기 촬영된 영상을 기기 내의 GPU가 처리하는데, GPU에서는 입력받은 영상을 OSL(OpenGL Shading Language)를 통해 구현된 다양한 특수 효과(카툰, 모자이크, 흑백 효과 등)을 적용하여 출력한다.As shown in FIG. 1, a GPU in a device processes a camera or a photographed image of a smartphone. The GPU processes a variety of special effects (cartoons, mosaics, etc.) implemented through OSL (OpenGL Shading Language) Black-and-white effect, etc.).

이와 같은 특수 효과의 적용은 전체 영상에 대해서 적용 가능하고, 영상의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특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of such a special effect can be applied to the whole image, and a special effect can be applied by dividing a partial area of the image.

여기서, 영상의 일부 영역을 분할하여 특수 효과를 적용하는 것은 한 개가 아닌 다수의 영역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Her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dividing a partial area of an image and applying a special effect can be applied to a plurality of areas instead of one.

분할되어 특수 효과가 적용된 영상은 스마트폰 APP 프로그램에서 다시 하나의 전체 영상으로 합쳐서 하나의 영상에 부분적으로 여러 개의 특수 효과가 적용된 것 처럼 디스플레이 된다.The divided image of the special effect is combined into one full image in the smartphone APP program and displayed as if several special effects are partially applied to one imag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특수 효과의 구현 수단을 '스마트폰 APP 프로그램'으로 기재하였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Here, the means for implementing the special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smartphone APP progra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대상이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폰과 같이 카메라가 삽입된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 확대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at is, the object to which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not limited to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a smart phone or a smart phone, but may be extended to a mobile device having a camera such as a smart phone and a program used in the corresponding mobile device It is natural to be able to.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에 의해 획득된 영상의 일 예이다.2 is an example of an image obtained by the photographed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특수 효과의 적용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손가락(Touch User Interface)을 이용해 특수 효과 영역을 이동 혹은 크기를 조정하거나 특수효과 영역 개수를 조정하고, 다른 특수효과를 지정하는 등 편리하게 특수효과와 그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These special effects can be used by smartphone users to move or resize the special effect area using the touch user interface, adjust the number of special effect areas, specify other special effects, The area can be changed.

물론, 이와 같이 스마트폰 사용자가 손가락(Touch User Interface)을 이용해 특수 효과 영역을 지정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이러한 영상 위에 문자나 스티커 등 특별한 이미지까지 더해 촬영을 할 수 있다.Of course, a smartphone user can acquire an image by specifying a special effect area using a finger (Touch User Interface), and add a special image such as a character or a sticker on the image to capture the image.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카메라부(31) 및 제어부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싱부(32), 화면 분할 처리부(33) 및 특수효과 처리부(34)와, 표시부(35) 및 저장부(36)를 포함한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unit 32, a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33 and a special effect processing unit 34 constituting a camera unit 31 and a control unit, a display unit 35 and a storage unit 36 ).

구체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31)와, 영상의 일부 영역을 분할하고 각각에 특수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싱부(32)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지정한 모양과 영역으로 영상을 분할하여 별도의 영상 신호로 만드는 화면 분할 처리부(33)와, 화면 분할 처리부(33)에서 분리된 각 영상 신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지정한 특수효과를 적용하는 특수효과 처리부(34)와, 특수효과 처리부(34)에서 특수 효과가 적용된 각 영상 신호를 분할되기 전 위치에 표시하여 분할되지 않은 것처럼 표시하는 표시부(35)와, 특수 효과가 적용된 각 영상 신호를 하나의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합성하여 저장하는 저장부(36)를 포함한다.Specifically, a camera section 31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 interfacing section 32 for dividing a partial area of the image and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pplying a special effect to each part, A special effect processor 34 for applying a special effect specified in the user interface to each video signal separated by the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33, A display unit 35 for displaying each video signal to which the special effect has been applied at a position before being divided by the effect processor 34 and displaying the video signal as if it has not been divided; And a storage unit 36 for storing the data.

여기서, 카메라부(31)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현재에도 디지털 카메라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카메라 장치가 출시되고 있으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camera unit 31 is for taking an image of a subject, and may include a lens or the like. At present, a portable camer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having a digital camera function has been introduced as well as a digital camera,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카메라부(3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인코딩되어 저장부(36)에 저장될 수 있으며, LCD 등으로 구현되는 표시부(35)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표시부(35)는 스마트폰과 같이 손가락으로 직접 터치하여 제어부에 사용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31 can be encod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6 and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5 implemented by an LCD or the like. So that a user comm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용 촬영 장치는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통상 촬영된 영상은 JPG, GIF, MP4, MOV 등의 포맷을 갖는 영상 파일로 저장되며, 휴대용 촬영 장치는 저장된 영상에 특수효과 삽입 등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A portable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provides a function of editing a photographed image. Normally, the photographed image is stored as an image file having a format such as JPG, GIF, MP4, or MOV. The portable photographing device provides an editing function for editing special effects such as insertion of a special effect into a stored ima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촬영 후 저장된 영상에 특수효과를 주는 것이 아니라, 촬영 이전에 미리 카메라부(31)를 통해 표시부(35)에 비춘 화면 전체 영역의 일부분(1 군데 이상)의 영역을 별도의 영상 신호로 분할하고, 각 영상신호에 특수효과를 적용한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give a special effect to the image stored after the photographing but a part (one or more) of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5 through the camera unit 31 Area is divided into separate video signals, and a special effect is applied to each video signal.

그리고 그 영상을 마치 하나의 영상이었던 것처럼 다시 하나의 영상 신호로 합쳐 촬영 및 저장한다.Then, the video is combined into one video signal as if it were a single video, and the video is captured and stored.

즉, 저장된 영상에 특수효과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하기 전에 어떤 특수효과를 어느 위치에 어떤 크기로 몇 군데에 줄 것인지 사용자 입력을 받아서 미리 여러 개의 영상 신호를 준비해두었다가, 차후 촬영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한 영상 신호가 하나의 영상으로 합쳐져 저장되는 것이다.That is, instead of applying a special effect to a stored image, a user inputs how many special effects are to be given in which position, size, and size before storing, and a plurality of image signals are prepared in advance, The video signals are combined and stored as one video.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화면의 일부분을 어떠한 특수효과를 어떤 위치에 어떤 크기로 몇 개나 적용할지에 대한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전 실행 상태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편집용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예를 들어 저장된 영상을 편집하는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APP)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Data on how many special effects are applied to which position and size of a part of th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camera can be set in the execution state before shooting as described above or a separate editing screen is displayed (For example, a conventional digital camera or a smartphone APP for editing a stored imag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는 이미 촬영된 영상에 특수효과 또는 이미지를 합성하는 하거나, 전체화면에 특수효과를 적용한 채로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촬영된 영상에 적용할 부분적 특수효과 처리를 촬영 이전에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hotograph the already-captured image with the special effect or the image synthesized or apply the special effect to the entire screen, but does not perform the partial special effect processing to be applied to the photographed image .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장치에서의 특수 효과를 영역을 구분하여 적용하여 촬영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separately photographing the special effects in the photographe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cessing a photographed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카메라를 통해 영상 스트림이 입력되면(S40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영상이 표시부(35)에 같이 디스플레이된다.(S402)First, when a video stream is inputted through the camera (S401), the user interface and the video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5 (S402)

그리고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조절하여 표시부(35)에 보이는 영상의 일부분을 몇 개로 나눌 것이며, 각각에 어떤 특수효과를 줄 것인지, 또 그 영역을 어떠한 모양과 어떠한 사이즈로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지 선택한다.(S403)Then, the user adjusts the interface to divide a part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5 into a plurality of images, and selects which special effect is to be given to each of the images, and in which shape and size of the area the image is to be positioned. )

이어, 사용자가 표시부(35)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면 화면 분할 처리부(33)는 표시부(35)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 스트림을 사용자가 조작한 크기와 영역, 모양으로 별도의 영상 신호를 만든다.(S404)When the user operates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5, the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33 creates a separate video signal in the size, area, and shape of the video stream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5 by the user. (S404)

그리고 특수 효과 처리부(34)에서 만들어진 영상 신호 각각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특수효과 처리를 한다.(S405)Then, the special effect processing unit 34 performs special effect processing, which is designa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 step S405.

이어, 이렇게 처리된 각 영상신호를 표시부(35)에 표시하되, 각 영상 신호가 표시부(35)에 표시되는 그 위치가 분리되기 전에 지정된 영역에 그대로 표시되어 마치 분리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게 한다.(S406)Then, each image signal thus process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5, and each image signal is displayed as it is in the designated area before its posi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5 is separated, so that it appears as if it is not separated. )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표시부(35)에 표시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분할된 영상들의 위치나 영역 혹은 특수효과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S407)In this state, the user can manipulate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5 to change the position, area, or special effect of the divided images and apply them. (S407)

그리고 사용자가 사진 촬영이나 영상 녹화를 하면(S408), 각 영상 신호를 표시부(35)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처럼 하나의 영상 신호로 합쳐서(S409) 저장하게 된다.(S410)When the user performs photographing or video recording (S408), each video signal is combined into one video signal as the video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5 (S409) and stored (S41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촬영 전부터 다수의 특수효과를 적용한 채로 사진과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그 특수효과를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만큼 원하는 위치와 원하는 영역에 적용하는 것이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ots a photograph and a moving image while applying a plurality of special effects from before the photographing, and applies the special effect to a desired position and a desired area by a desired number of the user.

즉, 다수의 특수효과를 하나의 영상으로 만들기 위해 영상 신호를 여러 개로 분리하고 모양과 영역을 가공하고, 촬영 시 그것을 다시 분리 전의 모양으로 합쳐서 완성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make a number of special effects into one image, the image signal is divided into several parts, the shape and the area are processed, and the image is combined with the shape before separation.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an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at all such difference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a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It should be interpreted.

31. 카메라부 32. 인터페이싱부
33. 화면 분할 처리부 34. 특수 효과 처리부
35. 표시부 36. 저장부
31. Camera section 32. Interfacing section
33.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34. Special effect processing unit
35. Display section 36. Storage section

Claims (8)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영상의 일부 영역을 분할하고 각각에 특수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싱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지정한 모양과 영역으로 영상을 분할하여 별도의 영상 신호로 만드는 화면 분할 처리부;
화면 분할 처리부에서 분리된 각 영상 신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지정한 특수효과를 적용하는 특수효과 처리부;
특수효과 처리부에서 특수 효과가 적용된 각 영상 신호를 분할되기 전 위치에 표시하여 분할되지 않은 것처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영상 처리 장치.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 interfacing part for dividing a part of an image and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pplying a special effect to each part;
A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for dividing an image into a shape and an area specified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converting the divided image into a separate image signal;
A special effect processor for applying the special effect specified in the user interface to each video signal separated by the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each image signal to which the special effect is applied in a special effect processing unit at a position before division and displaying it as if it is not di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 전부터 다수의 특수효과를 적용한 채로 사진과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특수효과를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만큼 원하는 위치와 원하는 영역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영상 처리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are performed while a plurality of special effects are applied, and the special effects are applied to a desired position and a desired region by a desired number of times. 제 1 항에 있어서, 특수 효과가 적용된 각 영상 신호를 하나의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합성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영상 처리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ynthesizing each image signal to which a special effect has been applied, into one image or moving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 전부터 다수의 특수효과를 적용한 채로 사진과 동영상으로 촬영하면서, 이러한 영상 위에 문자나 스티커 이미지를 더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영상 처리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pecial effects are applied to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photographed image is photographed while adding a character or a sticker image to the photographed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부를 통한 특수 효과의 적용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손가락(Touch User Interface)을 이용해 특수 효과 영역을 이동 혹은 크기를 조정하거나 특수효과 영역 개수를 조정하고, 다른 특수효과를 지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영상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pplication of the special effect through the interfac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smartphone user is configured to move or resize the special effect area using a finger (Touch User Interface), adjust the number of special effect areas, and specify other special effects.
카메라를 통해 영상 스트림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영상을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
화면에 보이는 영상의 영역 분할 및 적용할 특수 효과의 모양, 크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하는 단계;
화면 분할 처리부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설정에 따라 크기와 영역, 모양으로 별도의 영상 신호를 만드는 단계;
특수 효과 처리부에서 만들어진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특수 효과 처리를 하는 단계;
각 영상 신호를 위치가 분리되기 전에 지정된 영역에 그대로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을 하는 단계;
촬영에 의한 각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하나의 영상 신호로 합쳐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영상 처리 방법.
Displaying a user interface and an image together on a screen when a video stream is inputted through a camera;
A step of dividing a reg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setting the shape and size of a special effect to be applied through a user interface;
Creating a separate video signal in size, area, and shape according to the setting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 the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Performing a special effect process for each of the video signals generated by the special effect processor;
Capturing each video signal in a state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displayed in a designated area before the position is separated;
And a step of combining the image signals obtained by photographing into one image signal displayed on the screen and storing the combined image signals.
제 6 항에 있어서, 각 영상 신호를 위치가 분리되기 전에 지정된 영역에 그대로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을 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시 설정 신호가 입력되면 분할된 영상들의 위치나 영역 혹은 특수효과를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영상 처리 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in the step of photographing while each of the video signals is displayed in a designated area before the position is separated,
Wherein when the reset signal i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position, area, or special effect of the divided images is changed and applied.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되는 특수 효과는,
OSL(OpenGL Shading Language)를 통해 구현되는 카툰, 모자이크, 흑백 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영상 처리 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pecial effects,
A cartoon, a mosaic, and a black-and-white effect implemented through OSL (OpenGL Shading Language).



KR1020140131841A 2014-09-30 2014-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photographed image KR101612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841A KR101612437B1 (en) 2014-09-30 2014-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photographed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841A KR101612437B1 (en) 2014-09-30 2014-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photographed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584A true KR20160038584A (en) 2016-04-07
KR101612437B1 KR101612437B1 (en) 2016-04-14

Family

ID=5578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841A KR101612437B1 (en) 2014-09-30 2014-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photographed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4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6940A (en) * 2019-06-21 2019-10-15 深圳市茄子咔咔娱乐影像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nd system shooting synthesis special efficacy based on dual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0561B2 (en) 2002-09-05 2007-02-1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Display system
KR101112056B1 (en) * 2010-10-18 2012-0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image of camera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6940A (en) * 2019-06-21 2019-10-15 深圳市茄子咔咔娱乐影像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nd system shooting synthesis special efficacy based on dual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437B1 (en)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9956B2 (en) Image adjustment using texture mask
US9591237B2 (en) Automated generation of panning shots
US84013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based compression of light-field images
EP4030379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smar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DE102011078662B4 (en) Acquiring and generating images with a high dynamic range
JP5413002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KR1016632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JP455681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EP3644599B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264230B2 (en) Kinetic object removal from camera preview image
WO2016019770A1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icture synthesis
KR1013496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and synthesizing image
CN113508416B (en) Image fusion processing module
JP2011170838A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3428427A (en) Image resizing method and image resizing apparatus
US20100225785A1 (en) Image processor and recording medium
JP4752941B2 (en) Image composition apparatus and program
US10726524B2 (en) Low-resolution tile processing for real-time bokeh
EP3354037A1 (en) Camera preview
TWI520604B (en)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review system and image preview method thereof
JP201902891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11294522A (en) HDR image imag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8971636B2 (en) Image creating device, image cre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6124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photographed image
US883786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