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452A -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452A
KR20160038452A KR1020140131559A KR20140131559A KR20160038452A KR 20160038452 A KR20160038452 A KR 20160038452A KR 1020140131559 A KR1020140131559 A KR 1020140131559A KR 20140131559 A KR20140131559 A KR 20140131559A KR 20160038452 A KR20160038452 A KR 20160038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tra prediction
prediction mode
video coding
interne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연
장의선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31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8452A/ko
Publication of KR2016003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여 인터넷 비디오를 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은, 프레임의 타입을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신택스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된 신택스에 따라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P 프레임 및 B 프레임에 대해서도 8×8 인트라 예측 모드 및 16×16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VIDEO CODING}
본 발명은 인터넷 비디오 코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여 인터넷 비디오를 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존의 표준 보다 2배의 압축 성능으로 4K, 8K의 초고해상도(UHD) 비디오를 부호화할 수 있는 HEVC 표준이 만들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충실도, 스케일러빌리티 및 3D를 위한 HEVC 확장 표준으로 HEVC-RExt, SHVC, 3D-HEVC의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한편, 표준 비디오 코덱은 로열티가 요구되는 것으로, 인터넷 환경에서의 다양한 비디오 응용 서비스 확산과 일반 사용자들의 용이한 활용을 위하여 무료(royalty-free) 비디오 표준 코덱도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MPEG에서는 무료 비디오 부호화 표준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IVC(Internet Video Coding), WebVC(Web Video Coding), VCB(Video Coding for Browser)의 3 트랙으로 진행하고 있다.
기존의 H.264/AVC의 Constrained Baseline Profile을 무료 표준으로 하는 WVC와 Google의 VP8 코덱에 기반한 VCB와 달리 IVC는 특허가 만료된 MPEG 기술이나 공지된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다.
IVC는 I 프레임에 대해서 8×8과 16×16의 인트라 예측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Luma 블록에서는 8×8과 16×16 매크로블록에 대해 Vertical Prediction, Horizontal Prediction, DC Prediction, Down-Left Prediction 및 Down-Right Prediction의 5가지 인트라 예측 모드를 지원하고, Chroma 블록에서는 8×8 매크로블록에 대해 DC Prediction, Horizontal Prediction, Vertical Prediction 및 Plane Prediction의 4가지 인트라 예측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P 또는 B프레임에 대해서는 8×8 인트라 예측모드만 선택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여 인터넷 비디오를 코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여 인터넷 비디오를 코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은, 프레임의 타입을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신택스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된 신택스에 따라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는, 8×8 인트라 예측 모드 및 16×16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신택스는, mb_trans_type 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신택스는, 매크로블록 비트스트림 별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은, 결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장치는, 프레임의 타입을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으로 구분하는 프레임 식별부와,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신택스를 판독하는 신택스 판독부와, 판독된 신택스에 따라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터넷 비디오 코딩 장치는, 결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인트라 예측 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는 P 프레임 및 B 프레임에 대해서도 8×8 인트라 예측 모드 및 16×16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P 프레임 및 B 프레임에 대해서도 8×8 인트라 예측 모드 및 16×16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I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P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b는 종래의 B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을 저-지연 시나리오에 적용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을 랜덤-액세스 시나리오에 적용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후술할 영상 부호화 장치(Video Encoding Apparatus), 영상 복호화 장치(Video Decoding Apparatus)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TV 응용 서버와 서비스 서버 등 서버 단말기일 수 있으며, 각종 기기 또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이거나 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거나 부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해 화면간 또는 화면내 예측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부호화 장치에 의해 비트스트림으로 부호화된 영상은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인터넷, 근거리 무선 통신망, 무선랜망, 와이브로망, 이동통신망 등의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거나 케이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송되어 영상 복호화 장치에서 복호화되어 영상으로 복원되고 재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동영상은 일련의 픽처(Picture)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픽처들은 블록(Block)과 같은 소정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영상의 영역이 블록으로 분할되는 경우에는 분할된 블록은 부호화 방법에 따라 크게 인트라 블록(Intra Block), 인터 블록(Inter Block)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인트라 블록은 화면내 예측 부호화(Intra Prediction Coding)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되는 블록을 뜻하는데, 화면내 예측 부호화란 현재 부호화를 수행하는 현재 픽처 내에서 이전에 부호화되고 복호화되어 복원된 블록들의 화소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화소를 예측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하고 현재 블록의 화소와의 차분값을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인터 블록은 화면간 부호화(Inter Prediction Coding)를 사용하여 부호화되는 블록을 뜻하는데, 인터 예측 부호화란 하나 이상의 과거 픽처 또는 미래 픽처를 참조하여 현재 픽처 내의 현재 블록을 예측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하고 현재 블록과의 차분값을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현재 픽처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데 참조되는 프레임을 참조 프레임(Reference Frame)이라고 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된 "픽처(picture)"이라는 용어는 영상(image), 프레임(frame) 등과 같은 동등한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로 대치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I 프레임은 화면내 예측만이 수행되는 프레임을 의미하고, P 프레임은 화면내 예측뿐만 아니라 화면간 예측이 수행되고 하나의 참조 프레임 리스트에서 참조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방향 예측만이 수행되는 프레임을 의미하며, B 프레임은 화면내 예측뿐만 아니라 화면간 예측이 수행되고 두 개의 참조 프레임 리스트에서 참조 프레임을 선택하는 양방향 예측도 수행될 수 있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I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P 또는 B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는 휘도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신택스(intra_luma_pred_mode) 및 색차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신택스(intra_chroma_pred_mode)를 포함한다. 특히, I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는 mb_trans_type를 포함하고 있어 8×8 인트라 예측 모드 및 16×16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P 또는 B 프레임은 인트라 예측, 인터 예측 및 스킵 모드 중 하나에 의해 예측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도 2a는 종래의 P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나타내고, 도 2b는 종래의 B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타나낸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종래의 P 또는 B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는 인트라 예측을 위한 신택스(intra_luma_pred_mode, intra_chroma_pred_mode) 와 인터 예측을 위한 신택스(reference_frame_index, mb_part_type, mb_diff_x, mb_diff_y)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P 또는 B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은 mb_trans_type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에는 P 또는 B 프레임은 8×8 인트라 예측 모드만을 선택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 또는 B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 또는 B 프레임은 인트라 예측, 인터 예측 및 스킵 모드 중 하나에 의해 예측 부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나타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타나낸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 또는 B 프레임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는 인트라 예측을 위한 신택스(intra_luma_pred_mode, intra_chroma_pred_mode) 와 인터 예측을 위한 신택스(reference_frame_index, mb_part_type, mb_diff_x, mb_diff_y)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 또는 B 프레임은 mb_trans_type를 포함하고 있어 8×8 인트라 예측 모드 및 16×16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은 프레임에 적용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레임의 타입을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S410). 즉, 인터넷 비디오를 구성하는 프레임 각각에 예측 부호화를 적용하여 비디오를 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I 프레임은 인트라 예측만이 수행되는 프레임을 의미하고, P 프레임은 인트라 예측과 단방향의 인터 예측만이 수행되는 프레임을 의미하며, B 프레임은 인트라 예측과 단방향 및 양방향의 인터 예측이 수행될 수 있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신택스를 판독할 수 있다(S420).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는 비트스트림 신택스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세하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은 도 1 및 도 3에 기재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따른 비트스트림 신택스는 mb_trans_type라는 신택스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mb_trans_type는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신택스일 수 있으며, 매크로블록 비트스트림 별로 할당될 수 있다.
판독된 신택스에 따라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S430). 즉,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에 8×8 인트라 예측 모드 및 16×16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S44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장치(100)는 프레임 식별부(110), 신택스 판독부(120), 모드 결정부(130)를 포함한다.
프레임 식별부(110)는 프레임의 타입을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I 프레임은 인트라 예측만이 수행되는 프레임을 의미하고, P 프레임은 인트라 예측과 단방향의 인터 예측만이 수행되는 프레임을 의미하며, B 프레임은 인트라 예측과 단방향 및 양방향의 인터 예측이 수행될 수 있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신택스 판독부(120)는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신택스를 판독할 수 있다.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는 mb_trans_type라는 신택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신택스 판독부(120)는 mb_trans_type에 기반하여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판독할 수 있다. 여기서, mb_trans_type는 매크로블록 비트스트림 별로 할당될 수 있다.
모드 결정부(130)는 판독된 신택스에 따라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을 위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는 mb_trans_type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모드 결정부(130)는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을 위하여 8×8 인트라 예측 모드 및 16×16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장치(100)는 인트라 예측 수행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수행부(140)는 결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 각각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을 저-지연 시나리오(low-delay scenario)에 적용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을 랜덤-액세스 시나리오(random-access scenario)에 적용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과 같은 결과를 얻기 위해 적용한 실험 환경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Test Sequences
- Class 0 (2560×1600): Traffic and PeopleOnStreet
- Class A (1920×1080): Kimono and ParkScene
- Class B (832×480): BasketballDrill, BQMall, PartyScene, and RaceHorsesC
- C (416×240): BasketballPass, BQSquare, BlowingBubbles, RaceHorses
- Class D (1280×720): FourPeople, Johnny and KristenAndSara
Software - ITM 9.0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을 적용하면 저-지연 시나리오에서 평균적으로 약 1.0%의 압축효율이 발생하고, 랜덤-액세스 시나리오에서는 평균적으로 약 0.7%의 압축효율이 발생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는 P 및 B 프레임을 위한 비스트스림 신택스에 mb_trans_type를 추가함으로써, P 프레임 및 B 프레임에 대해서도 8×8 인트라 예측 모드 및 16×16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인터넷 비디오 코딩 장치 110: 프레임 식별부
120: 신택스 판독부 130: 모드 결정부
140: 인트라 예측 수행부

Claims (10)

  1. 인터넷 비디오 코딩(Internet Video Coding)에 있어서,
    프레임의 타입을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I 프레임, 상기 P 프레임 및 상기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신택스를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된 신택스에 따라 상기 I 프레임, 상기 P 프레임 및 상기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는,
    8×8 인트라 예측 모드 및 16×16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는,
    mb_trans_typ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는,
    매크로블록 비트스트림 별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I 프레임, 상기 P 프레임 및 상기 B 프레임 각각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6. 인터넷 비디오 코딩(Internet Video Coding)에 있어서,
    프레임의 타입을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으로 구분하는 프레임 식별부;
    상기 I 프레임, 상기 P 프레임 및 상기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신택스를 판독하는 신택스 판독부; 및
    상기 판독된 신택스에 따라 상기 I 프레임, 상기 P 프레임 및 상기 B 프레임 각각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인터넷 비디오 코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는,
    8×8 인트라 예측 모드 및 16×16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비디오 코딩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는,
    mb_trans_typ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비디오 코딩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택스는,
    매크로블록 비트스트림 별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비디오 코딩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I 프레임, 상기 P 프레임 및 상기 B 프레임 각각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인트라 예측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 비디오 코딩 장치.
KR1020140131559A 2014-09-30 2014-09-30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KR20160038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559A KR20160038452A (ko) 2014-09-30 2014-09-30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559A KR20160038452A (ko) 2014-09-30 2014-09-30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452A true KR20160038452A (ko) 2016-04-07

Family

ID=5578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559A KR20160038452A (ko) 2014-09-30 2014-09-30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84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656A1 (ko) * 2016-06-15 2017-12-21 주식회사 에벤에셀케이 동영상 압축방법, 장치 및 이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656A1 (ko) * 2016-06-15 2017-12-21 주식회사 에벤에셀케이 동영상 압축방법, 장치 및 이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384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230232000A1 (en) Sub-partition intra prediction
TWI788331B (zh) 視頻寫碼中之內濾波旗標
CA2952279C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block copy
TWI479869B (zh) 色調片段位準量化系數偏移及解塊
AU2012267737B2 (en) Enhanced intra-prediction mode signaling for video coding using neighboring mode
WO2015138957A2 (en) Modifying bit depths in color-space transform coding
KR20160078493A (ko) 비디오 코딩을 위한 칼라 레지듀얼 예측
CN112204962B (zh) 图像预测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398920A (zh) 用于颜色格式支持的自适应环路滤波
CN111385572A (zh) 预测模式确定方法、装置及编码设备和解码设备
EP3114837B1 (en) Flicker detection and mitigation in video coding
US9848198B2 (en) Diagonal copy for palette mode coding
US20160366439A1 (en) Palette copy extension
WO202302319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coder-side intra mode derivation
KR20160038452A (ko) 인터넷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CN112055211B (zh) 视频编码器及qp设置方法
WO2020216294A1 (zh) 图像预测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901593A (zh) 一种图像划分方法、装置及设备
RU281012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считываемый компьютером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JP2023075158A (ja) インター予測方法及び装置、ビデオエンコーダ、並びにビデオデコーダ
WO2023034152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coder-side intra mode derivation
CN116647676A (zh) 基于屏幕内容区域特性的cu划分快速选择
CN117730531A (zh) 用于解码器侧帧内模式推导的方法和设备
CN112135129A (zh) 一种帧间预测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