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126A - 소작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기 - Google Patents

소작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126A
KR20160038126A KR1020140129968A KR20140129968A KR20160038126A KR 20160038126 A KR20160038126 A KR 20160038126A KR 1020140129968 A KR1020140129968 A KR 1020140129968A KR 20140129968 A KR20140129968 A KR 20140129968A KR 20160038126 A KR20160038126 A KR 20160038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needle
cautery
skin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혁기
최연식
조영창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2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8126A/ko
Publication of KR2016003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61B18/0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67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using more than two electrodes on a single pro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소작전극 조립체는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과 상기 니들의 반대 편에 전원이 연결되는 통공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작전극들로 구성된 전극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전극모듈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및 고정하며, 상기 전극모듈들을 전기 소작기 몸체에 한번에 결합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모듈들은 순차적으로 일정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어 한 번에 하나의 전극모듈에만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작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기{Cautery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ical cauter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소작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소작기는 전류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파장 및 주파수를 가지는 특정 전류를 생성하고, 이를 전기소작기 끝단에 형성된 프로브 형태나 블레이드 형태의 소작전극을 이용하여 인체 조직에 국부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소작전극 주변의 조직을 열 에너지로 파괴하는 장치이다.
전기소작기는 부드러운 조직의 일부분을 제거하거나 변형 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는 조직들을 결합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고, 수술용 칼 또는 날카로운 도구들을 대체하여 자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소작된 부분은 응고괴사로 인해 육아조직으로 뒤덮이게 되며, 수술시에는 작은 출혈의 지혈이 쉽기 때문에 장기 절제 등과 같이 출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수술에 사용할 수 있다.
전기소작기에서 소작전극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는 특정 영역의 조직에만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전기소작기는 힘을 가해 자르는 것이 아니라, 표면 접촉 전류에 의한 열에 의해 생체 조직을 녹이거나 눌어 붙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처치가 어려운 부드러운 조직에도 수술 및 치료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출혈을 쉽게 통제할 수 있다. 또한, 반흔 조직들이 치료 동안 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기소작기를 이용한 시술 과정에서 소작전극을 피부의 주름진 곳에 위한 모공 등에 삽입하여 전류를 인가할 경우, 주름진 부분이 펴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기존의 전기소작기의 경우 하나의 전극 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름제거를 위한 시술을 수행할 경우, 여러 번 전기 소작기의 소작전극을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0514호(2012.05.21.)
본 실시예는 주름제거 시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기 소작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주름제거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소작기의 오류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 소작기의 소작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작전극 조립체는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과 상기 니들의 반대 편에 전원이 연결되는 통공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작전극들로 구성된 전극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전극모듈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및 고정하며, 상기 전극모듈들을 전기 소작기 몸체에 한번에 결합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모듈들은 순차적으로 일정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어 한 번에 하나의 전극모듈에만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전극모듈은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1 니들과 상기 제 1 니들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통공을 가지는 제 1 소작전극;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2 니들과 상기 제 2 니들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통공을 가지는 제 2 소작전극; 및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3 니들과 상기 제 3 니들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제 3 통공을 가지는 제 3 소작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극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극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는 고주파의 교류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소작기 몸체; 상기 소작기 몸체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인가 받아 접촉된 신체 조직을 소작하는 복수 개의 소작전극들을 구비하는 소작전극 조립체; 상기 소작전극 조립체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소작전극 조립체가 소작한 조직을 흩뜨러뜨리는 분사유닛; 상기 소작전극 조립체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소작전극 조립체가 소작한 조직을 흡입하는 흡입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소작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작전극 조립체는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과 상기 니들의 반대 편에 전원이 연결되는 통공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전극모듈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및 고정하며, 상기 전극모듈들을 전기 소작기 몸체에 한번에 결합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모듈들은 순차적으로 일정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어 한 번에 하나의 전극모듈에만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모듈은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1 니들과 상기 제 1 니들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통공을 가지는 제 1 소작전극;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2 니들과 상기 제 2 니들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통공을 가지는 제 2 소작전극; 및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3 니들과 상기 제 3 니들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제 3 통공을 가지는 제 3 소작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극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소작전극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인가하기 때문에, 소작 과정 중에 피부조직 융착 등과 같은 다양한 사유로 소작전극의 임피던스가 변경 되더라도, 한 번에 하나의 소작전극에만 전류가 인가되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낮은 소작전극 쪽으로만 전류가 흘러 균일하게 소작 시술이 수행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소작전극을 쌍으로 구성하여 시술하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개의 소작전극들을 사용하는 주름제거 시술을 수행할 수 있어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의 사용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소작전극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작전극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의 개략적인 제어 블록도, 그리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의 소작전극에 순차적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 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소작전극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기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의 사용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소작전극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작전극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의 개략적인 제어 블록도, 그리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의 소작전극에 순차적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 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는 전기 소작기 몸체(10)와 소작전극 조립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소작기 몸체(10)는 사용자의 손(h)이 파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립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유선형상으로 오목부 등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전기 소작기 몸체(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스위치들(1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들을 통해 전기 소작기를 조작 제어할 수 있다.
전기 소작기 몸체(10)의 일측 단부에는 후술할 소작전극 조립체(1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구조는 뒤에 다시 설명한다. 이때, 소작전극 조립체(100)의 설치 위치 주변에는 분사유닛(20)과 흡입유닛(30)이 설치될 수 있다.
분사유닛(20)은 소정의 블로워 등을 이용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양압을 분사하는 것으로, 분사유로(21)를 통해 불활성 기체를 환부에 분사할 수 있다. 분사유닛(20)에 의해 분사된 불활성 기체는 소작전극 조립체(100)에 의해 소작되는 피와 연기, 신체조직 등을 불어내어, 소작된 신체조직이 소작전극 조립체(100)에 들러 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분사유닛(20)을 통해 양압을 형성하는 기체는 불활성 기체뿐만 아니라, 일반 공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입유닛(30)은 부압을 형성할 수 있는 소정의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흡입유로(31)를 통해 환부 주변의 공기와 상기 분사유닛(20)에서 분사된 불활성 기체들을 태워진 조직들과 함께 흡입하여, 상기 분사유닛(20)에서 미쳐 불어내지 못한 피부조직 및 이물질 등을 빨아들일 수 있다.
한편, 분사유로(21)와 흡입유로(31)는 파이프 또는 튜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들이 전기 소작기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유로클립(40)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유로클립(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전기 소작기 몸체(10)의 다양한 위치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소작전극 조립체(100)는 전기 소작기 몸체(10)의 일측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삽입되는 단부에는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케이블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단자 형태로 삽입 결합을 통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작전극 조립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작전극 조립체(100)는 전극모듈(110)과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모듈(110)은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과 상기 니들의 반대 편에 전원이 연결되는 통공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전극모듈(110)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모듈(110)은 제 1 내지 제 3 소작전극(111)(112)(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소작전극(111)은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1 니들(111a)과, 제 1 니들(111a)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미도시된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통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니들(111a)은 끝단이 바늘 형상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피부속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 제 1 니들(111a)을 통해 전원이 인가될 경우, 주변 피부조직들을 소작할 수 있다.
제 2 소작전극(112)은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2 니들(112a)과, 제 2 니들(112a)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미도시된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통공(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니들(112a)은 끝단이 바늘 형상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피부속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 제 2 니들(112a)을 통해 전원이 인가될 경우, 주변 피부조직들을 소작할 수 있다.
제 3 소작전극(113)은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3 니들(113a)과, 제 3 니들(113a)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미도시된 전원과 연결되는 제 3 통공(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3 니들(113a)은 끝단이 바늘 형상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피부속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 제 3 니들(113a)을 통해 전원이 인가될 경우, 주변 피부조직들을 소작할 수 있다.
상기한 제 1 내지 제 3 니들(111a~113a)들은 피부에 삽입되어, 모공 주변의 조직을 소작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시술을 통해 주름진 피부를 평평하게 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제 1 내지 제 3 소작전극(111)(112)(113)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총 3쌍의 소작전극들(111~113)의 끝단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3 니들(111a~113a)에서 일정 시차를 두고 전기 소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소작전극(111~113)은 서로 동일하게 그 끝단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3 니들(111a~113a)의 각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2 니들(112a)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 1 및 제 3 니들(111a)(113a)은 상기 제 2 니들(112a)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 1 및 제 2 니들(111a)(113a)의 기울어진 각도는 상호 대칭일 수도 있고, 일정한 방향으로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니들(111a~113a)은 하우징(120)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 니들(111a)이 손상될 경우, 제 1 니들(111a)만을 뽑아 내고, 새로운 니들로 교체할 수도 있다. 물론, 제 1 내지 제 3 니들(111a~113a)을 한꺼번에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소작전극(111~113)들은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이격 거리는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그러나 너무 멀리 떨어질 경우, 의도하는 전기 소작에 따른 주름제거 성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격 거리는 1mm를 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내지 제 3 소작전극(111~113)은 고주파의 교류전압을 발생하는 미도시된 전원공급장치에서 교류전류를 공급받아 신체조직과 접촉하는 미소한 부위에 접촉저항에 의한 열을 발생시킨다. 이때 처치부위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입력되는 전류를 귀환시키는 2차 접지점을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의 전압, 전류, 교류주파수 등을 조절함으로써 접촉부위의 통전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고 강한 열로 조직을 도려내는 절단 작업이나, 약한 열로 조직을 눌어붙도록 하는 지혈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물리적 힘은 최소화 되므로 약하고 물렁한 조직에도 정교한 작업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상기한 분사유닛(20)과 흡입유닛(30)의 동작을 통해 피부조직의 피와 기타 액체들이 상기한 소작전극들(111~113)에 눌러 붙지 않도록 불어내거나, 흡입하여 소작전극들(111~113)의 제 1 내지 제 3 니들(111a~113a)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분사유닛(20)과 흡입유닛(30)은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내지 제 3 니들(111a~113a)의 구성을 유지하면서, 3개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니들들의 숫자는 필요할 경우, 기기의 크기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하우징(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소작전극(111~113)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하면서, 이들을 동시에 전기 소작기 몸체(10)에 삽입 결합시킬 수 있다. 하우징(120)은 제 1 내지 제 3 소작전극(111~113)들을 전기적으로 절연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제 1 통부(121) 내지 제 3 통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부(121)에는 제 1 및 제 3 소작전극(111)(113)이 설치되고, 제 2 통부(122)에는 제 2 소작전극(11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통부(122)는 제 1 통부(121)의 대략 중앙 부근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통부(121)가 원통형으로 마련될 경우, 제 2 통부(122)의 지름은 제 1 통부(12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 3 통부(123)는 제 2 통부(122)와 반대 위치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통부(122) 측에는 제 1 내지 제 3 니들(111a~113a)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통부(123) 측에는 제 1 내지 제 3 통공(111b~113b)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3 소작전극(111)(113)은 각각의 측벽이 상기 제 2 및 제 3 통부(122)(123)의 측면과 면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는 상기한 제 1 내지 제 3 소작전극(111~113)에 순차적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작동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제어 블록도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는 전원(P)을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조작 명령에 따라, 전기 소작기의 사용 모드에 따라 전극모듈(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전기 소작 모드로 사용할 경우에는 복수 개의 소작전극들(111~113)에 동시에 전류를 인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주름제거 등을 위하여, 환자의 주름진 피부 부위에 사용할 경우에는 스위칭 유닛(SW)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소작전극들(111~113)에 도 6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순차적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 유닛(SW)은 제 1 내지 제 3 소작전극(111~113)에 각각 개별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스위치(SW1~SW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소정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는 한 번에 1개의 소작전극에만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즉, 제 1 소작전극(111)에 전류가 인가되면, 나머지 제 2 및 제 3 소작전극(112)(113)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며, 제 2 소작전극(112)과 제 3 소작전극(113)에 전류가 각각 인가될 때에도, 다른 소작전극들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한번에 하나의 소작전극에만 전류가 인가되면, 모든 소작전극들(111~113)에 한꺼번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어느 하나의 소작전극의 임피던스가 다른 소작전극들에 비해 낮을 때, 낮은 임피던스를 가지는 소작전극만이 작동하여 소작 기능을 수행하는 오류를 해소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임피던스가 낮은 어느 하나의 소작전극 측에만 전원이 인가될 경우, 해당 소작전극에만 소작기능이 집중되면서, 균일한 소작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소작전극들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작동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오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소작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전류를 인가하기 때문에, 소작 과정 중에 피부조직 융착 등과 같은 다양한 사유로 소작전극의 임피던스가 변경 되더라도, 한 번에 하나의 소작전극에만 전류가 인가되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낮은 소작전극 쪽으로만 전류가 흘러 균일하게 소작 공정이 수행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소작전극을 쌍으로 구성하여 시술하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개의 소작전극들을 사용하는 주름제거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전기 소작기 몸체 20; 분사유닛
21; 분사유로 30; 흡입유닛
31; 흡입유로 40; 유로클립
100; 소작전극 조립체 110; 전극모듈
111; 제 1 소작전극 111a; 제 1 니들
111b; 제 1 통공 112; 제 2 소작전극
112a; 제 2 니들 112b; 제 2 통공
113; 제 3 소작전극 113a; 제 3 니들
113b; 제 3 통공 120; 하우징

Claims (6)

  1.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과 상기 니들의 반대 편에 전원이 연결되는 통공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작전극들로 구성된 전극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전극모듈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및 고정하며, 상기 전극모듈들을 전기 소작기 몸체에 한번에 결합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모듈들은,
    순차적으로 일정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어 한 번에 하나의 전극모듈에만 전류가 인가되는 소작전극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모듈은,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1 니들과 상기 제 1 니들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통공을 가지는 제 1 소작전극;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2 니들과 상기 제 2 니들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통공을 가지는 제 2 소작전극; 및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3 니들과 상기 제 3 니들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제 3 통공을 가지는 제 3 소작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극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소작전극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극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지지하는 소작전극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모듈은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작전극 조립체.
  5. 고주파의 교류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소작기 몸체;
    상기 소작기 몸체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인가 받아 접촉된 신체 조직을 소작하는 복수 개의 소작전극들을 구비하는 소작전극 조립체;
    상기 소작전극 조립체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소작전극 조립체가 소작한 조직을 흩뜨러뜨리는 분사유닛;
    상기 소작전극 조립체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소작전극 조립체가 소작한 조직을 흡입하는 흡입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소작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작전극 조립체는,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과 상기 니들의 반대 편에 전원이 연결되는 통공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모듈; 및
    상기 복수 개의 전극모듈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및 고정하며, 상기 전극모듈들을 전기 소작기 몸체에 한번에 결합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모듈들은,
    순차적으로 일정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어 한 번에 하나의 전극모듈에만 전류가 인가되는 전기 소작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모듈은,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1 니들과 상기 제 1 니들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제 1 통공을 가지는 제 1 소작전극;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2 니들과 상기 제 2 니들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제 2 통공을 가지는 제 2 소작전극; 및
    피부 속으로 삽입되는 제 3 니들과 상기 제 3 니들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제 3 통공을 가지는 제 3 소작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전극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전기 소작기.

KR1020140129968A 2014-09-29 2014-09-29 소작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기 KR20160038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968A KR20160038126A (ko) 2014-09-29 2014-09-29 소작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968A KR20160038126A (ko) 2014-09-29 2014-09-29 소작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26A true KR20160038126A (ko) 2016-04-07

Family

ID=5578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968A KR20160038126A (ko) 2014-09-29 2014-09-29 소작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812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948A1 (ko) * 2016-07-04 2018-01-11 주식회사 파나시 피부 시술용 고주파 핸드피스
CN110123445A (zh) * 2019-06-06 2019-08-16 北京佰仁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高频高压电路分时复用控制装置及多电极射频消融系统
KR102021266B1 (ko) * 2019-04-12 2019-09-16 최보환 전기수술용 핸드피이스
KR102020179B1 (ko) * 2019-04-09 2019-11-05 최보환 전기수술 핸드피이스용 전도성 전극
CN116509535A (zh) * 2023-03-14 2023-08-01 武汉金柏威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医用高频电刀
KR102584613B1 (ko) * 2023-01-12 2023-10-05 서울대학교병원 액체 및 기체 흡입타입 소작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948A1 (ko) * 2016-07-04 2018-01-11 주식회사 파나시 피부 시술용 고주파 핸드피스
US20190224478A1 (en) * 2016-07-04 2019-07-25 Panace Co., Ltd. High-frequency handpiece for skin treatment
KR102020179B1 (ko) * 2019-04-09 2019-11-05 최보환 전기수술 핸드피이스용 전도성 전극
KR102021266B1 (ko) * 2019-04-12 2019-09-16 최보환 전기수술용 핸드피이스
CN110123445A (zh) * 2019-06-06 2019-08-16 北京佰仁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高频高压电路分时复用控制装置及多电极射频消融系统
CN110123445B (zh) * 2019-06-06 2024-01-12 北京佰仁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高频高压电路分时复用控制装置及多电极射频消融系统
KR102584613B1 (ko) * 2023-01-12 2023-10-05 서울대학교병원 액체 및 기체 흡입타입 소작기
CN116509535A (zh) * 2023-03-14 2023-08-01 武汉金柏威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医用高频电刀
CN116509535B (zh) * 2023-03-14 2024-01-23 武汉金柏威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医用高频电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0109B2 (ja) 電気手術用導電性ガスによる焼痂を改善するための切開ならびに血管および組織のシーリングを可能に成す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60038126A (ko) 소작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기
ES2651687T3 (es) Sistema electroquirúrgico con un módulo de memoria
US831778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movable suction sheath
US5009656A (en)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IE921822A1 (en) Electrosurgical and ultrasonic surgical system
CN110603000A (zh) 电外科系统和方法
US20140148801A1 (en) Surgical device
US20160051313A1 (en) Attachment for Electrosurgical System
US11419664B2 (en) Ultrapolar telescopic electrosurgery pencil with argon beam capability
KR102020179B1 (ko) 전기수술 핸드피이스용 전도성 전극
EP2531131B1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KR102028413B1 (ko) 다중 전극 구조의 공진형 수술 장치
JP7039054B2 (ja) アルゴンビーム機能を有する超極性伸縮および非伸縮電気外科用ペンシルならびに超極性電気外科用ブレードアセンブリ
KR20160029015A (ko) 전기수술 장치, 특히, 인간 또는 동물 환자의 몸으로부터 조직 덩어리를 절제하기 위한 전기수술 장치
JP6660638B2 (ja) Rf電極を有する空洞形成超音波外科用吸引装置
JP2019532770A (ja) 電気外科システム用のアタッチメント
GB2514231A (en) Fine dissection electrosurgical device
US20230293225A1 (en) Smog suction structure for electrosurgical handpiece
US20030225404A1 (en) Low power electr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