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024A -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024A
KR20160037024A KR1020140129560A KR20140129560A KR20160037024A KR 20160037024 A KR20160037024 A KR 20160037024A KR 1020140129560 A KR1020140129560 A KR 1020140129560A KR 20140129560 A KR20140129560 A KR 20140129560A KR 20160037024 A KR20160037024 A KR 20160037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list
item
information
medica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9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7024A/ko
Priority to US14/862,383 priority patent/US20160092635A1/en
Publication of KR20160037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장치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체크 리스트 생성부와,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여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항목 수행 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edical treatment based on personalized checklist}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의료진은 환자와의 문진을 통해 획득한 정보와 과거 검사 기록 등을 확인하여 초음파 진료 시 꼭 확인하여야 할 사항과 주의해야 할 사항 등을 스스로 결정한 후 진료를 시작한다.
이 경우, 의료진은 초음파 진료 시 빼놓지 않고 검사하여야 하는 부위, 환자가 통증을 호소한 부위, 및 과거 초음파 기록 등에서 미세석회화 등의 비정상적인 부위가 있었다면 미세석회화가 나타났던 부위 등을 모두 확인하고, 필요한 영상을 저장한 후에 초음파 진료를 끝내야 한다. 그러나, 의료진의 피로도와 상황 등에 따라 부주의 또는 실수로 프로브를 이용하여 반드시 확인하여야 할 특정 위치나 부위를 확인하지 않거나, 후에 추적 관찰을 하기 위해 또는 환자에게 설명을 하기 위해 필요한 영상을 저장하지 않고 진료를 끝내는 경우가 있다.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장치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체크 리스트 생성부와,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여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항목 수행 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크 리스트는 진료시 수행 또는 확인하여야 할 항목, 및 진료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의료 정보는 문진 정보 및 과거 검사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크 리스트 생성부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분석하여 제1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1 체크 리스트 생성부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2 체크 리스트 생성부와, 제1 체크 리스트 및 제2 체크 리스트를 통합하는 체크 리스트 통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양상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장치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텍스트,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크 리스트 생성부는 입력 받은 의료 정보의 형태에 따라 텍스트 마이닝 기법, 음성 인식 기법 및 영상 인식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항목 수행 확인부는 진료시 사용되는 프로브의 위치 정보, 프로브의 스캔 정보, 사용자와 환자의 음성 정보,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 외부 카메라에 의해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행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여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 양상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체크 리스트를 수정하는 체크 리스트 수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양상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장치는 생성된 체크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표시부는 항목 수행 확인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수행 완료된 항목을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는, 수행 완료된 항목을 마킹하거나, 수행 완료된 항목의 색깔 또는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수행 완료된 항목을 체크 리스트 상에서 삭제함으로써, 수행 완료된 항목을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방법은,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여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크 리스트는 진료시 수행 또는 확인하여야 할 항목, 및 진료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의료 정보는 문진 정보 및 과거 검사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분석하여 제1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1 체크 리스트 및 제2 체크 리스트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양상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방법은, 환자의 의료 정보를 텍스트,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 받은 의료 정보의 형태에 따라 텍스트 마이닝 기법, 음성 인식 기법 및 영상 인식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진료시 사용되는 프로브의 위치 정보, 프로브의 스캔 정보, 사용자와 환자의 음성 정보,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 외부 카메라에 의해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행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여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 양상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체크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양상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방법은 항목 수행 확인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수행 완료된 항목을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하는 단계는, 수행 완료된 항목을 마킹하거나, 수행 완료된 항목의 색깔 또는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수행 완료된 항목을 체크 리스트 상에서 삭제함으로써, 수행 완료된 항목을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고, 진료 과정을 분석하여 체크 리스트의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마킹함으로써, 진료 시간을 절약하고 사용자가 초음파 영상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진료시 확인하여야 할 사항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실수로 인한 의료 사고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의료 진료 지원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의료 진료 지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제1 체크 리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제2 체크 리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통합된 체크 리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수행 완료된 항목을 마킹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수행 완료된 항목의 색깔을 변경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수행 완료된 항목을 리스트 상에서 삭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의료 진료 지원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 생성 과정(52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은 의료 진료 지원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의료 진료 지원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장치(100)는 초음파 진단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의료 진료 지원 장치(100)는 초음파 진료시 수행해야 할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는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진료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실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 진료 지원 장치(100)는 입력부(110), 체크 리스트 생성부(120) 및 항목 수행 확인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진료하고자 하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부(110)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텍스트, 음성, 및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의료 정보는 진료시 참조할 수 있는 환자에 관한 정보로서, 환자와의 문진을 통한 문진 정보, 및 과거 검사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문진 정보는 환자와의 문진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로서, 통증의 위치, 멍울이 만져지는 위치, 환자의 나이, 치밀성 유방인지 여부, 가족력, 수술 여부, 다른 질환이 있는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과거 검사 기록은 환자에 대하여 과거에 행하여진 다양한 검사 기록으로서, X-ray 검사 기록(예컨대, 유방 촬영술(mammography) 검사 기록 등), 초음파 검사 기록,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 검사 기록,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검사 기록,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검사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리스트 생성부(120)는 입력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체크 리스트는 진료시 수행 또는 확인하여야 할 항목 및 진료시 주의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크 리스트 생성부(120)는 제1 체크 리스트 생성부(121), 제2 체크 리스트 생성부(122) 및 체크 리스트 통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크 리스트 생성부(121)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환자의 의료 정보를 분석하여 제1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체크 리스트 생성부(121)는 의료 정보가 입력되는 형태(예컨대, 텍스트, 음성 및 영상 등)에 따라 텍스트 마이닝 기법, 음성 인식 기법 및 영상 인식 기법 등을 이용하여 제1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환자와의 문진을 통하여 왼쪽 가슴 3시 방향으로 유두에서 2cm 거리에 위치한 부위에 통증이 있다는 통증 부위 정보를 획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획득된 통증 부위 정보가 텍스트, 음성, 및 영상 등으로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면, 제1 체크 리스트 생성부(121)는 입력된 통증 부위 정보를 바탕으로 "왼쪽 가슴 3시 방향 유두에서 2cm 거리 통증 부위 확인"이라는 체크 리스트의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환자의 과거 초음파 진료 기록에 왼쪽 가슴 9시 방향으로 유두에서 3cm 거리에 위치한 부위에서 섬유 선종을 검출한 기록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과거 초음파 진료 기록이 텍스트, 음성 및 영상 등으로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면, 제1 체크 리스트 생성부(121)는 입력된 과거 초음파 진료 기록을 바탕으로 "왼쪽 가슴 9시 방향 유두에서 3cm 거리 종양 추적 관찰"이라는 제1 체크 리스트의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크 리스트 생성부(121)는 필요에 따라 "추적 관찰 시 초음파 영상 저장" 및 "종양 크기 확인"이라는 체크 리스트의 항목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환자와의 문진을 통하여 왼쪽 가슴 겨드랑이 쪽에 멍울이 만져진다는 의료 정보를 획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획득된 의료 정보가 텍스트, 음성, 및 영상 등으로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면, 제1 체크 리스트 생성부(121)는 입력된 의료 정보를 바탕으로 "왼쪽 가슴 겨드랑이 쪽 멍울 부위 확인"이라는 체크 리스트의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환자와의 문진을 통하여 치밀성 유방이라는 의료 정보를 획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획득된 의료 정보가 텍스트, 음성, 및 영상 등으로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면, 제1 체크 리스트 생성부(121)는 입력된 의료 정보를 바탕으로 "치밀성 유방 주의"라는 진료시 주의 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체크 리스트 생성부(122)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의료 진료 지원 장치(100)에 저장된 디폴트 체크 리스트의 항목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한 경우, 제2 체크 리스트 생성부(2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을 포함하는 제2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확인 또는 진료하고 싶은 부분이나 진료시 주의 사항 등을 음성 또는 텍스트로 입력한 경우, 제2 체크 리스트 생성부(22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바탕으로 제2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체크 리스트 통합부(123)는 제1 체크 리스트와 제2 체크 리스트를 통합하여 통합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체크 리스트 통합부(123)는 제1 체크 리스트와 제2 체크 리스트를 비교한 결과 중복된 내용의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기 설정된 조건(예컨대, 더 구체적인 설명을 포함하는 항목 선택 등) 등에 따라 둘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제1 체크 리스트와 제2 체크 리스트를 통합할 수 있다.
항목 수행 확인부(130)는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여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목 수행 확인부(130)는 진료 시 사용되는 프로브의 위치 정보, 프로브의 스캔 정보, 사용자와 환자의 음성 정보,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 외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행동 정보 등을 기초로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체크 리스트의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목 수행 확인부(130)가 프로브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프로브가 과거에 종양이 있었던 부위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물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과거 종양 확인 항목을 수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항목 수행 확인부(130)는 프로브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프로브가 멍울/통증 부위에서 반복적으로 움직였다고 판단한 경우, 멍울/통증 부위 확인 항목을 수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항목 수행 확인부(130)는 사용자가 환자에게 한 멍울/통증/과거 종양 부위의 종양에 대한 설명(음성)을 분석하여, 멍울/통증/과거 종양 확인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항목 수행 확인부(130)는 프로브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브가 지나온 궤적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가슴 스캔을 모두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의료 진료 지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장치(200)는 도 1의 의료 진료 지원 장치(100)에서 체크 리스트 수정부(210), 표시부(220), 통신부(230), 및 알림부(24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리스트 수정부(210)는 체크 리스트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예컨대, 체크 리스트 수정부(210)는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의 각 항목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삭제, 추가, 변경 등을 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생성된 체크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220)는 제1 체크 리스트 및 제2 체크 리스트를 구별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부(220)는 제1 체크 리스트와 제2 체크 리스트가 통합되어 생성된 체크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항목 수행 확인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수행 완료된 항목과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이 구별되도록 수행 완료된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220)는 수행 완료된 항목을 마킹하거나, 수행 완료된 항목의 색깔 또는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수행 완료된 항목을 리스트 상에서 삭제함으로써, 수행 완료된 항목과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표시부(220)는 수행 완료된 항목과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을 구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생성된 체크 리스트 및 항목 수행 확인부(130)의 판단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의료 진료 지원 장치(200)는 통신부(230)를 통하여 생성된 체크 리스트 및 항목 수행 확인부(130)의 판단 결과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외부 장치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수신된 체크 리스트 및 항목 수행 확인부(130)의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알림부(240)는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부(240)는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에 대한 알림을 영상, 소리, 진동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부(240)는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에 대한 알림을 체크 리스트 상에서 깜박임(blinking), 색깔 변화, 글자 크기 변화 및 밑줄 긋기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알림부(240)는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을 포함하는 알림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알림부(240)는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소리 또는 진동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제1 체크 리스트 및 제2 체크 리스트를 통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자세하게는, 도 3a는 제1 체크 리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제2 체크 리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c는 통합된 체크 리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체크 리스트 생성부(121)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분석하여 제1 체크 리스트(310)를 생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체크 리스트(310)는 환자와의 문진을 통하여 획득한 통증 부위 정보와 멍울 부위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항목(312, 314)과 과거 검사 기록을 통하여 획득한 종양 부위 정보와 미세석회화 부위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항목(311, 313)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체크 리스트(310)는 환자와의 문진 또는 과거 검사 기록을 통하여 획득한 치밀성 유방이라는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진료시 주의 사항(315)을 포함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2 체크 리스트 생성부(122)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체크 리스트(330)를 생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2 체크 리스트(330)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폴트 항목(331, 332)과 사용자가 입력한 항목(333, 334)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체크 리스트는 사용자가 입력한 진료시 주의 사항(335)을 포함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체크 리스트 통합부(123)는 제1 체크 리스트(310)와 제2 체크 리스트(330)를 통합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체크 리스트(310)의 항목들(320) 및 제2 체크 리스트(330)의 항목들(340)는 서로 중복된 내용의 항목들이다. 따라서, 체크 리스트 통합부(123)는 서로 중복된 내용의 항목들(320, 340) 중 더 구체적인 설명을 포함하는 항목(340)을 선택하여 제1 체크 리스트(310)와 제2 체크 리스트(330)를 통합한다.
도시된 예에서, 통합된 체크 리스트(350)는 제1 체크 리스트(310)의 항목(311, 312, 313, 314) 및 주의 사항(315)과 제2 체크 리스트(330)의 항목(331, 332) 및 주의 사항(335)를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표시부(220)가 항목 수행 확인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수행 완료된 항목과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이 구별되도록 수행 완료된 항목을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세하게는 도 4a는 수행 완료된 항목을 마킹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수행 완료된 항목의 색깔을 변경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c는 수행 완료된 항목을 리스트 상에서 삭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표시부(220)는 항목 수행 확인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수행 완료된 항목과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이 구별되도록 수행 완료된 항목을 마킹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부(220)는 항목 수행 확인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수행 완료된 항목과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이 구별되도록 수행 완료된 항목의 색깔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표시부(220)는 항목 수행 확인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수행 완료된 항목과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이 구별되도록 수행 완료된 항목을 리스트 상에서 삭제할 수 있다.
도 5는 의료 진료 지원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방법(500)은, 먼저, 진료하고자 하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입력 받는다(510). 예컨대, 의료 진료 지원 장치(100, 200)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텍스트, 음성, 및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의료 정보는 진료시 참조할 수 있는 환자에 관한 정보로서, 환자와의 문진을 통한 문진 정보, 및 과거 검사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진 정보는 환자와의 문진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로서 통증의 위치, 멍울이 만져지는 위치, 환자의 나이, 치밀성 유방인지 여부, 가족력, 수술 여부, 다른 질환이 있는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과거 검사 기록은 환자에 대하여 과거에 행하여진 다양한 검사 기록으로서, X-ray 검사 기록(예컨대, 유방 촬영술(mammography) 검사 기록 등), 초음파 검사 기록,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 검사 기록,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검사 기록,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검사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입력된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한다(520). 이때, 체크 리스트는 진료시 수행 또는 확인하여야 할 항목 및 진료시 주의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 생성 과정(52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그 후,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여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530). 예컨대, 의료 진료 지원 장치(100, 200)는 진료 시 사용되는 프로브의 위치 정보, 프로브의 스캔 정보, 사용자와 환자의 음성 정보,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 외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행동 정보 등을 기초로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체크 리스트의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 생성 과정(52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 생성 과정(520)은, 먼저 입력 받은 환자의 의료 정보를 분석하여 제1 체크 리스트를 생성한다(610). 예컨대, 의료 진료 지원 장치(100, 200)는 의료 정보가 입력되는 형태(예컨대, 텍스트, 음성 및 영상 등)에 따라 텍스트 마이닝 기법, 음성 인식 기법 및 영상 인식 기법 등을 이용하여 제1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체크 리스트를 생성한다(620). 예컨대, 의료 진료 지원 장치(100, 200)는 기 저장된 디폴트 체크 리스트의 항목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또는 확인 또는 진료하고 싶은 부분이나 진료시 주의 사항 등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을 바탕으로 제2 체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제1 체크 리스트와 제2 체크 리스트를 통합하여 통합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한다(630). 예컨대, 의료 진료 지원 장치(100, 200)는 제1 체크 리스트와 제2 체크 리스트를 비교한 결과 중복된 내용의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기 설정된 조건(예컨대, 더 구체적인 설명을 포함하는 항목 선택 등) 등에 따라 둘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제1 체크 리스트와 제2 체크 리스트를 통합할 수 있다.
도 7은 의료 진료 지원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진료 지원 방법(700)은 도 5의 의료 진료 지원 방법(500)에서 체크 리스트 출력 과정(710), 체크 리스트 수정 과정(720), 수행 항목 표시 과정(730), 및 알림 과정(740)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리스트 출력 과정(710)에서, 생성된 체크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한다. 예컨대, 의료 진료 지원 장치(200)는 제1 체크 리스트 및 제2 체크 리스트를 구별하여 화면에 출력하거나, 제1 체크 리스트와 제2 체크 리스트가 통합되어 생성된 체크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체크 리스트 수정 과정(720)에서, 생성된 체크 리스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정한다. 예컨대, 의료 진료 지원 장치(200)는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의 각 항목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삭제, 추가, 변경 등을 할 수 있다.
수행 항목 표시 과정(730)에서, 항목 수행 여부 판단 과정(5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수행 완료된 항목과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이 구별되도록 수행 완료된 항목을 표시한다. 예컨대, 의료 진료 지원 장치(200)는 수행 완료된 항목을 마킹하거나, 수행 완료된 항목의 색깔 또는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수행 완료된 항목을 리스트 상에서 삭제함으로써, 수행 완료된 항목과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을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알림 과정(740)에서,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의료 진료 지원 장치(200)는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에 대한 알림을 영상, 소리, 진동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의료 진료 지원 장치
110: 입력부
120: 체크 리스트 생성부
121: 제1 체크 리스트 생성부
122: 제2 체크 리스트 생성부
123: 체크 리스트 통합부
130: 항목 수행 확인부

Claims (20)

  1.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체크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여 상기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항목 수행 확인부; 를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리스트는 진료시 수행 또는 확인하여야 할 항목, 및 진료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는 문진 정보 및 과거 검사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리스트 생성부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분석하여 제1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1 체크 리스트 생성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2 체크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제1 체크 리스트 및 상기 제2 체크 리스트를 통합하는 체크 리스트 통합부; 를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를 텍스트,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입력 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리스트 생성부는 입력 받은 의료 정보의 형태에 따라 텍스트 마이닝 기법, 음성 인식 기법 및 영상 인식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의료 진료 지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수행 확인부는 진료시 사용되는 프로브의 위치 정보, 상기 프로브의 스캔 정보, 사용자와 환자의 음성 정보,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 외부 카메라에 의해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행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여 상기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의료 진료 지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생성된 체크 리스트를 수정하는 체크 리스트 수정부; 를 더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체크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항목 수행 확인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수행 완료된 항목을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의료 진료 지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행 완료된 항목을 마킹하거나, 상기 수행 완료된 항목의 색깔 또는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상기 수행 완료된 항목을 상기 체크 리스트 상에서 삭제함으로써, 상기 수행 완료된 항목을 상기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의료 진료 지원 장치.
  11. 환자의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여 상기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리스트는 진료시 수행 또는 확인하여야 할 항목, 및 진료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는 문진 정보 및 과거 검사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분석하여 제1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체크 리스트 및 상기 제2 체크 리스트를 통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를 텍스트,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입력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 받은 의료 정보의 형태에 따라 텍스트 마이닝 기법, 음성 인식 기법 및 영상 인식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의료 진료 지원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진료시 사용되는 프로브의 위치 정보, 상기 프로브의 스캔 정보, 사용자와 환자의 음성 정보,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 외부 카메라에 의해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행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진료 과정을 분석하여 상기 체크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항목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의료 진료 지원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생성된 체크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수행 확인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수행 완료된 항목을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의료 진료 지원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행 완료된 항목을 마킹하거나, 상기 수행 완료된 항목의 색깔 또는 투명도를 변경하거나, 상기 수행 완료된 항목을 상기 체크 리스트 상에서 삭제함으로써, 상기 수행 완료된 항목을 상기 수행 완료되지 않은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의료 진료 지원 방법.
KR1020140129560A 2014-09-26 2014-09-26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37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560A KR20160037024A (ko) 2014-09-26 2014-09-26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4/862,383 US20160092635A1 (en) 2014-09-26 2015-09-23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edical examination based on personalized checkli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560A KR20160037024A (ko) 2014-09-26 2014-09-26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024A true KR20160037024A (ko) 2016-04-05

Family

ID=5558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560A KR20160037024A (ko) 2014-09-26 2014-09-26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92635A1 (ko)
KR (1) KR201600370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850A (ko) * 2019-06-26 2021-01-06 오채수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0463A (zh) * 2018-06-28 2018-12-07 厦门安盟网络股份有限公司 医疗检查项目的预约方法、介质、终端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4694A1 (en) * 1992-01-16 1993-08-05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tumors
US8636648B2 (en) * 1999-03-01 2014-01-28 West View Research, Llc Endoscopic smart probe
US20030144885A1 (en) * 2002-01-29 2003-07-31 Exscribe, Inc. Medical examination and transcriptio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US10930400B2 (en) * 2012-06-28 2021-02-23 LiveData, Inc. Operating room checklist system
US9757507B2 (en) * 2012-11-13 2017-09-12 Karl Storz Imaging, Inc. Configurable control for operating room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850A (ko) * 2019-06-26 2021-01-06 오채수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92635A1 (en)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2802B2 (en) Generating a report based on image data
CN110140178B (zh) 用于知道上下文的图像质量收集和反馈的闭环系统
KR101533353B1 (ko) 환자 정보와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의료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6036486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Image Analytics Using Graphical Reporting Associated with Clinical Images
CN110993063B (zh) 用于便于由放射科医师和人工智能算法进行联合解释的扫描仪处的医学图像预处理
CN106663136B (zh) 用于基于书面推荐对健康护理随诊预约进行排程的系统和方法
US20180166162A1 (en) Medical system
US201700836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logy Structured Report Creation Based on Patient-Specific Image-Derived Information
JP2003242257A (ja) 患者データの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KR20100117530A (ko) 촬영 정보처리장치 및 촬영 정보처리방법
JP7416183B2 (ja) 情報処理装置、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8352185A (zh) 用于伴随发现的纵向健康患者简档
JP2017534316A (ja) 画像レポート注釈同定
US20230368893A1 (en) Image context aware medical recommendation engine
US112389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08161532A (ja) 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90019A1 (en) Context Based Medical Documentation System
JP2013041428A (ja) 医療診断支援装置及び医療診断支援方法
JP2015170312A (ja) 患者用説明資料作成装置、患者用説明資料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0577A (ja) 医療診断支援装置及び医療診断支援方法
EP33629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correct radiological recommendations
KR20160037024A (ko) 개인화된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의료 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6198278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30098B1 (ko) 의료 영상과 관련된 장치들 간에 송수신되는 의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0135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operat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for operat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