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783A - apparatus for rocking of loc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ocking of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783A
KR20160036783A KR1020140128796A KR20140128796A KR20160036783A KR 20160036783 A KR20160036783 A KR 20160036783A KR 1020140128796 A KR1020140128796 A KR 1020140128796A KR 20140128796 A KR20140128796 A KR 20140128796A KR 20160036783 A KR20160036783 A KR 20160036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
locking member
main bod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4563B1 (en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김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환 filed Critical 김용환
Priority to KR102014012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563B1/en
Publication of KR2016003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7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5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a lock. The locking device for a lock can reduce the size of a lock and save costs by being manufactured in a simple structure in the lock. The locking device for a lock enables a locking state of the lock to be stable and enables the lock to be easily locked and unlocked. To this end, the locking device for a lock comprises: a main body unit; a front plate including a key plate and a control unit; a hook; and a locking device.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a fixing member including a connection groov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unit; a locking member including a locking protruding unit locking and unlocking the other end of the hook; a mot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 winder winding or unwinding a wire while rotating by the motor; the wire pulling the locking member while being wound by the winder; and an elastic member returning the locking member to an initial position as both ends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Description

자물쇠의 록킹장치{apparatus for rocking of lock}Apparatus for rocking of lock

본 발명은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물쇠에서 록킹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제작함에 따라 상기 자물쇠의 크기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자물쇠의 잠금 상태가 견고함은 물론 상기 자물쇠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물쇠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king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in a lock,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lock and reduce the cost, as well as to secure the lock state of the lock, And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lock so as to facilitate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lock.

일반적으로, 자물쇠는 여닫게 되어 있는 물건이나 문고리 등을 잠그는 장치로서, 상기 자물쇠의 잠금 및 잠금 해제는 열쇠를 이용한 자물쇠, 번호를 누르는 누름식 자물쇠, 전자키 및 지문이나 홍채 인식 등을 이용한 자물쇠 등 다양한 방식의 자물쇠가 구비되어 있다. In general, a lock is a device for locking a closed object or a door handl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lock can be performed by using a lock using a key, a pushing-type lock that presses a number, a lock using an electronic key and fingerprint or iris recognition Various types of locks are provided.

상기 자물쇠에서 번호를 눌러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누름식 자물쇠를 위주로 설명하면, 상기 누름식 자물쇠는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1993-0002979호에서와 같이 자물쇠에서 암호번호를 누르고 나서 버튼을 누르면 괘해정판이 후퇴 및 쇄정봉이 상승하여 자물쇠는 해정되고, 누르던 외력을 제거하면 괘해정판이 원래의 상태로 전진하면서 버튼을 밀어냄에 따라 자물쇠는 잠금상태가 된다. The push-type lo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3-0002979 by depressing the password number in the lock and then pressing the button. And the lock bar is raised and the lock is unlock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to be depressed is removed, the lock is locked by pushing the button while the upper plate is moved forward to the original state.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물쇠는 상기 자물쇠를 잠금(괘정) 및 잠금 해제(해정)하기 위한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함에 따라 상기 자물쇠의 크기를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음은 물론 자물쇠의 제작이 어려워 생산성 저하 및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자물쇠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지지 않고 몇 번의 작업을 행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 자물쇠의 잠금 및 잠금 해제에 따른 작업이 불편한 문제가 있으며, 상기 자물쇠에서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구성들간의 유격 발생 및 이로 인한 구성들의 흔들림이나 유동으로 인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internal structur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lock is very complicated,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size of the lock, an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loc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locking and unlocking the lock is inconvenient because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the lock are not performed at once and several operations are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lowered due to the generation of clearances between the releasing structures and the fluctuation or flow of the structures.

국내 국내실용신안공보 제1993-0002979호(1993.05.27.)Korean 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3-0002979 (May.05, 199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체부와 키판이 구비된 전면판과 고리쇠가 구비된 자물쇠의 록킹장치를 모터와 줄감개와 와이어 및 록킹부재와 탄성부재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물쇠에서 록킹장치의 구조를 단순하면서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자물쇠의 크기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제작비용 및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자물쇠에서 고리쇠의 작동만으로도 자물쇠를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잠금할 수 있고, 상기 자물쇠의 록킹장치에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록킹부재가 고리쇠와 분리되면서 록킹 해제됨에 따라 상기 자물쇠의 잠금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ing device for a lock having a front plate with a main body and a key plate,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device in the lock can be simply and easily manufactured, the size of the lock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lock can be easily and firmly locked by the operation of the lock, and the locking member moving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n the locking device of the lock can be unlocke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lock, There is a purpos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부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번호버튼을 갖는 키판과, 제어부가 구비된 전면판; 상기 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자물쇠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도록 'U'자 형상의 고리쇠;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되어 고리쇠의 타단부를 록킹 및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록킹장치가 구성되고, 상기의 록킹장치는, 상기 본체부 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홈을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측방에 설치되어 일정 길이만큼 왕복 이동하면서 고리쇠의 타단부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도록 록킹돌부를 갖는 록킹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구동력이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축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감았다 풀었다 하는 줄감개와, 상기 록킹부재와 줄감개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하는 줄감개에 의해 감겨지면서 록킹부재를 당기는 와이어와, 상기 고정부재와 록킹부재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의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power supply; A key plate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number buttons; A " U " shaped hook to lock and unlock the lock mov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a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other end of the wheel, wherein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fixing member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 locking member provided at a side of the fixing member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other end of the ring while being reciproca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a wire winding device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a wire winding device for driving the wire winding device, A wire pulling the locking member while being wound by the fix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The locking device of the lock,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resilient member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is provided.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와 키판이 구비된 전면판과 고리쇠 및 록킹장치가 구비된 자물쇠에서 상기 록킹장치는 록킹돌부를 갖는 록킹부재와 탄성부재 및 구동모터와 줄감개와 와이어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자물쇠의 록킹장치를 단순하면서도 간단하게 구성함에 따라 자물쇠의 제작 작업이 손쉽고 용이하고, 그에 따른 제작비용 및 단가를 절감하며, 상기 자물쇠의 크기를 최대한 출일 수 있고, 단순한 구조로 인하여 기계적 충격에 강함은 물론 록킹장치의 각 구성 간의 맞물림으로 인한 흔들림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lock provided with the front plate having the body portion and the key plate, the ring and the locking device,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locking member having a locking protrusion, an elastic member, And a wire or the like, the locking device of the lock can be simply and easily configured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o that the manufacturing work of the lock can be easily and easily performed,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unit cost thereof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ecause it is resistant to mechanical impact owing to a simple structure and prevents shaking and flowing due to engagement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locking device.

또한, 자물쇠에서 고리쇠의 작동만으로 록킹장치에서는 상기 자물쇠를 손쉽고 용이하게 잠금 및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자물쇠의 록킹장치에서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록킹부재가 고리쇠와 분리되면서 록킹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자물쇠의 잠금 해제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상기 자물쇠에서 록킹장치에 의한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device can easily and easily lock and unlock the locking device in the locking device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lock in the lock, and also the locking device, which is mov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in the locking device of the lock, The lock can be easily unlocked as the lock state is released, and the lock can be easily locked and unlocked by the lock device.

도 1은 본 발명 자물쇠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자물쇠의 본체부와 전면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자물쇠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자물쇠의 본체부에서 고리쇠의 일단부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ㄷ 5는 본 발명 자물쇠의 본체부로 고리쇠를 이동시켜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자물쇠에서고리쇠가 완전 삽입되어 자물쇠가 잠겨진 잠금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자물쇠의 고리쇠에서 록킹부재의 록킹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자물쇠에서 록킹 해제된 고리쇠의 일단부를 본체부로부터 탈거시켜 자물쇠가 잠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and a front plate of the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espective components are separated. FIG.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lock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of the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of the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lock state in which a lock is fully inserted in a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o lock the lock.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unlocked from the hinge of the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is unlocked by detaching one end of the unlocked ring from the main body part in the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물쇠의 록킹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locking apparatus for a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본 발명은, 여닫게 되어 있는 물건이나 문고리 등을 잠그는 장치인 자물쇠(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자물쇠(1)는 열쇠를 이용하거나 또는, 번호를 누르거나 또는, 전자키나 지문이나 홍채 인식 등을 이용하여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모든 자물쇠(1)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ck 1 is provided which is a device for locking an object or a door knob to be closed by the user. The lock 1 can be operated by a key, by pressing a number or by an electronic key, Lock < / RTI >

상기 자물쇠(1)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자물쇠(1)의 외관을 형성하는 내부가 빈 구조의 본체부(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10)의 전면부에는 본체부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전면판(2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는 걸어 잠그고자 하는 문고리 등에 끼워진 상태로 잠금 및 잠금 해제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된 고리쇠(3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1 and 2, the lock 1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ortion 10 having an inner hollow structure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lock 1. I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a front plate 20 for preventing the inside of the body from being visible.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 has a U-shaped bent ring 30 Is movably coupled.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일측에는 고리쇠(30)의 일단부(30a)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됨은 물론 일단부(30a)가 본체부(10)로 탈거되지 않게 결합되도록 상기 고리쇠(30)의 일단부(30a)가 삽입되는 일측 삽탈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타측에는 자물쇠(1)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해 상기 고리쇠(30)의 타단부(30b)가 삽입 및 탈거되는 타측 삽탈공(12)이 형성되어 있다. One end 30a of the ring 30 is inserted and sli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one end 30a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without being detached,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art 10 so as to lock and unlock the lock 1. The lock part 3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the other side port hole 12 into which the end portion 30b is inserted and removed is formed.

상기 본체부(10)에는 후술할 제어부(22) 및 구동모터(40)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가 삽입 결합되는 전원부(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부(16)에서의 전원 공급은 건전지는 물론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기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6 through which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22 and the driving motor 40 is inserted and coupled. The battery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harger for charging electricity as well as electricity.

상기 전면판(20)의 전면에는 자물쇠(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이미 설정된 번호를 순서대로 조작하도록 복수 개의 번호버튼을 갖는 키판(2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20)의 후면에는 키판(21)과 전선 연결되어 키판(21)의 번호버튼 조작에 따라 입력된 신호를 감지 및 감지된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후술할 구동모터(40)로 전달하여 구동모터(40)를 작동시켜 자물쇠(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회로기판 즉, 제어부(22)가 결합되어 있다. A key plate 21 having a plurality of number buttons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20 so as to sequentially operate preset numbers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lock 1, And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key plate 21 on the rear surface thereof for sensing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of the key plate 21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nsed signal to a driving motor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control unit 22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 1. The control unit 22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상기 고리쇠(30)의 일측에는 본체부(10)의 일측 삽탈공(12)을 통해 본체부(10) 내측에 위치됨은 물론 상기 본체부(10)에서 고리쇠(30)가 완전히 탈거되지 않도록 테두리부를 갖는 일단부(3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리쇠(30)의 타측에는 자물쇠(1)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타측 삽탈공(12)으로 삽입 및 탈거되는 타단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쇠(30)의 타단부(30b) 측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록킹부재(40)의 록킹돌부(41)가 삽입 및 탈거되면서 자물쇠(1)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도록 하도록 상기 록킹돌부(41)가 삽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록킹홈(31)이 형성되어 있다. The hook 3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one side plugging and removing hole 12 of the main body 10 and at the same time the hook 30 is not complete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And the other end of the ring 30 is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other side insertion hole 12 of the main body 10 to lock or unlock the lock 1 And the locking protrusion 41 of the locking member 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detached to lock the lock 1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30b side of the ring 30, And at least one locking groove (31)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1) is inserted and removed is formed to unlock the locking protrusion (41).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자물쇠(1)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해 상기 고리쇠(30)의 타단부(30b)에 형성된 록킹홈(31)으로 후술할 록킹부재(40)의 록킹돌부(41)가 삽입 및 탈거되면서 록킹 및 록킹상태르 해제하도록 하는 록킹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A locking protrusion 31 is formed in the other end 30b of the lock 30 so as to lock and unlock the lock 1 in the main body 10, And a locking device for releasing the locking and locking state while the locking member 41 is inserted and detached.

상기 자물쇠(1)의 록킹장치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부(10) 내의 일측 즉, 고리쇠(30)의 타단부(30b)가 삽탈되는 측에는 상기 고리쇠(30)의 록킹홈(31)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홈(110a)을 갖는 고정부재(11)가 결합되어 있다. 2 and 3, a locking device of the lock 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hat is, on the side where the other end 30b of the lock 30 is inserted and removed, (11) having at least one engagement groove (110a) in which the locking grooves (31)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고정부재(11)의 측방인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일정 길이만큼 왕복 이동하면서 본체부(10) 내로 삽입 및 탈거되는 고리쇠(30)의 타단부(30b)를 록킹 및 록킹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록킹부재(60가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The other end portion 30b of the hook 30 which is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10 while being reciproca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locked and locked in the main body portion 10 on the side of the fixing member 11 A locking member 60 is provided slidab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figure.

상기 록킹부재(60)가 위치하는 측인 본체부(10)에는 상기 록킹부재(60)의 왕복 이동될 때 록킹부재(60)가 본체부(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록킹부재(60)가 일정 길이만큼만 이동하도록 후술할 록킹부재(60)의 장공(62)에 삽입 위치하는 가이드봉(1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cking member 6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when the locking member 60 is reciprocated in the main body portion 10 on the side where the locking member 60 is located, The guide rod 13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62 of the locking member 6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키판(21)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감지신호를 감지한 제어부(22)에서 보내지는 신호에 의해 구동력(회전력)이 발생하는 구동모터(4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40)에는 상기 구동모터(4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후술할 와이어(70)를 감았다 풀었다 하는 줄감개(50)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있다. A drive motor 4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rotational force) by a signal sent from a control unit 22 which senses a sensing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key plate 21 And a wire tensioner 50 for winding and winding a wire 7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rotated by a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otor 40 is rotatably and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40.

상기 록킹부재(60)와 줄감개(50) 사이에는 상기 록킹부재(60)와 줄감개(5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40)에 의해 회전하는 줄감개(50)에 의해 감겨지면서 록킹부재(60)를 당기거나 또는 풀어지면서 후술할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부재(6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줄감개(50)에 감기거나 풀어지는 와이어(70)가 설치되어 있다. Between the locking member 60 and the lanyard 50, both ends of the locking member 60 and the lanyard 5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lanyard 50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40 The wire 70 wound or unwound to the string fastener 50 is retracted so that the locking member 6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locking member 60 is pulled or loosened Is installed.

상기 고정부재(11)와 록킹부재(60)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11)와 록킹부재(6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자물쇠(1)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한 록킹부재(6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정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8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80)는 하나 또는 복수 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80)는 스프링이나 고무줄 등 탄성력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나 형태 및 재질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Both ends of the fixing member 11 and the locking member 60 are coupl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ixing member 11 and the locking member 60 to lock the lock 1, An elastic member 80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s provided to return the member 60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80, It may be formed in any structure, shape and material as long as it has an elastic force.

상기 록킹부재(60)의 하방 측인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왕복 이동하는 록킹부재(60)가 일정한 위치에서 흔들림 없이 왕복 이동되도록 가이드봉(13)과 더불어 상기 록킹부재(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The locking member 60 moves reciprocally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oves back and forth within the main body portion 10 which is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60. In addition to the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60 A guide portion 14 for guiding the guide portion 14 is formed.

상기 록킹부재(60)의 타방 측인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록킹부재(60)의 타측과 접촉되어 록킹부재(6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스토퍼(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스토퍼(15) 중 하방 측에 위치하는 스토퍼(15)는 상기의 기능은 물론 상기 록킹부재(60)의 타측과 줄감개(50)를 연결하는 와이어(70)의 이동을 안내 및 와이어(70)의 텐션을 조절 또는 와이어(70)와 다른 구성들간의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70)가 걸어지도록 형성하였다. A plurality of stoppers 15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60 come into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60 which moves backwar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60 And the stopper 15 located below the plurality of stoppers 15 has the function of moving the wire 70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60 with the tether 50, And the wires 70 are formed so as to hang the wire 70 in ord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70 o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wire 70 and other components.

상기의 록킹부재(6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6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재(11)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재(11)의 체결홈(11a)과 상기 고리쇠(30)의 타단부(30b)에 형성된 록킹홈(31)이 일치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홈(31)으로 삽입 및 탈거되면서 록킹 및 록킹 해제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록킹돌부(6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킹부재(60)의 중앙부에는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봉(13)이 삽입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봉(13)을 중심으로 록킹부재(60)가 일정 거리만큼만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장공(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부재(60)의 타측에는 상기 록킹부재(60)를 당기는 와이어(70)가 결속되는 결속공(63)이 형성되어 있다. 2 to 4, the locking member 60 is moved toward the fixing member 11 on one side of the locking member 60 so that the coupling groove 11a of the fixing member 11,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61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groove 31 is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locking groove 31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groove 31 formed in the other end 30b of the key 30 is aligned, And the locking member 60 is reciprocated only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guide rod 13 in a state where the guide rod 13 formed in th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locking member 60 A binding hole 63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60 so that the wire 70 pulling the locking member 60 is bound.

상기 록킹부재(60)의 록킹돌부(61) 선단 상부면에는 상기 본체부(10)로 삽입되어 고정부재(11) 측으로 이동하는 고리쇠(30)의 타단부(30b)에 의하여 상기 록킹부재(60)가 측방 즉,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손쉽게 밀리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61a)이 형성되어 있다. The locking member 6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61 by the other end 30b of the locking member 30 which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and moves toward the fixing member 11, 60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easily pushed to the side, that is,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물쇠(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물쇠(1)의 본체부(10)에서 고리쇠(30)의 타단부(30b)가 탈거되어 잠금 해제된 상태(도 8)로 유지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lock 1 is not used, the other end 30b of the lock 3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of the lock 1 to be unlocked (Fig. 8) .

그러다가, 상기 자물쇠(1)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고리쇠(30)를 도 4에서와 같이 본체부(10) 측으로 밀면, 상기 고리쇠(30)의 일단부(30a)는 본체부(10)의 일측 삽탈공(1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본체부(10) 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고리쇠(30)의 타단부(30b)는 본체부(10)의 타측 삽탈공(12)으로 삽입된다. 4, the one end portion 30a of the ring 3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portion 30a of the ring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10, The other end 30b of the hook 30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socket hole 12 of the main body 10. The other end 30b of the hook 30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socket hole 12 of the main body 10,

상기 타측 삽탈공(12)으로 삽입되는 고리쇠(30)의 타단부(30b)는 상기 본체부(10)의 고정부재(11)에 형성된 체결홈(11a)으로 삽입된 록킹부재(60)의 록킹돌부(61) 선단 상부면에 형성된 경사면(61a)에 접촉된다. The other end portion 30b of the ring 30 inserted into the other insertion and extraction hole 1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member 60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1a formed in the fixing member 11 of the main body 1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61a form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locking projection 61. [

상기 타단부(30b)가 경사면(61a)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리쇠(30)를 본체부(10) 측으로 더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리쇠(30)의 타단부(30b)는 경사면(61a)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60)를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밀어낸다. When the other end 30b is further moved toward the main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other end 30b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61a, the other end 30b of the ring 30 may be inclined to the inclined surface 61a The locking member 60 is pushed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

상기 고리쇠(30)의 타단부(30b)가 삽입 완료되면 상기 고리쇠(30)의 록킹홈(31)과 상기 고정부재(11)의 체결홈(11a)이 일치하게 되고, 상기 일치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재(60)는 탄성부재(80)에 의해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60)의 록킹돌부(61)는 일치한 체결홈(11a)을 통해 록킹홈(310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60)는 고리쇠(30)를 록킹하므로 상기 자물쇠(1)는 잠금 상태가 된다(도 6). When the other end 30b of the hinge 30 is inserted, the locking groove 31 of the hinge 30 and the coupling groove 11a of the fixing member 11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locking protrusion 61 of the locking member 6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10 through the corresponding locking groove 11a as the locking member 60 is pulled by the elastic member 80 from right to left in the drawing The locking member 60 locks the wheel 30, so that the lock 1 is locked (FIG. 6).

이 상태에서, 상기 자물쇠(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결합된 전면판(20)에 결합된 키판(21)에 형성된 번호버튼을 설정된 번호 순서대로 누른다. In this state, when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 1 is released, the number buttons formed on the key plate 21 coupled to the front plate 20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re pressed in order of the set number .

상기 눌러진 번호가 틀릴 경우에는 자물쇠(1)의 잠금 상태는 해제되지 않으며, 상기 눌러진 번호가 맞을 경우에는 상기 전면판(20)에 결합된 제어부(22)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구동모터(40)로 전달하여 상기 구동모터(40)를 작동시킨다. If the pressed number is incorrect, the locked state of the lock 1 is not released. If the pressed number is correct, the control unit 22 coupled to the front plate 20 detects the pressed state, To the drive motor (40) to operate the drive motor (40).

그러면, 상기 구동모터(4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회전력)에 의해 줄감개(50)는 회전되면서 와이어(70)를 감게 되는데, 즉 상기 와이어(70)의 일단은 록킹부재(60)에 연결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회전하는 줄감개(50)에 감겨지는 와이어(70)에 의하여 록킹부재(60)는 도 7에서와 같이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The wire harness 50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otor 40 to wind the wire 70. That is, one end of the wire 70 is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60 The locking member 60 is moved from the left to the right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 7 by the wire 70 wound around the rotating string fastener 50.

상기 록킹부재(60)는 장공(62) 내에 위치하는 가이드봉(13)과 상기 록킹부재(60)의 하방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4)의 안내를 받으면서 일정 거리만큼만 이동함은 론 상기 이동하는 록킹부재(60)는 스토퍼(15)에 의해 더 이상 후방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이동이 제한된다. The locking member 60 moves only a certain distance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rod 13 located in the elongated hole 62 and the guide portion 14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60 The locking member 60 can not be moved further backward by the stopper 15 and the movement is restricted.

여기서,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록킹부재(60)의 록킹돌부(61)는 상기 고리쇠(30)의 록킹홈(31)으로부터 탈거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리쇠(30)의 록킹 상태는 해제된다. The locking protrusion 61 of the locking member 60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figure is detached from the locking groove 31 of the lock 30 so that the locked state of the lock 30 is released do.

상기 록킹 상태가 해제된 고리쇠(30)를 본체부(10)의 상방 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고리쇠(30)의 일단부(30a)는 본체부(1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리쇠(30)의 타단부(30b)는 본체부(10)에서 완전히 빠져나와 탈거(도 8)되어 상기 자물쇠(1)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When the locking ring 30 is pulled up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one end 30a of the ring 30 is positioned in the main body 10, The other end portion 30b of the lock 1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is detached (Fig. 8)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lock 1.

동시에, 록킹부재(60)는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당겨지면서 록킹부재(60)는 원위치로 복귀 즉, 상기 록킹부재(60)의 록킹돌부(61)가 고정부재(11)의 체결홈(11a)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록킹부재(10)는 원위치에 복귀하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member 60 is pulled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in the figur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0, so that the locking member 60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locking protrusion 61 of the locking member 60 is fixed The locking member 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11a of the member 11.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물쇠의 록킹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Although the locking device of the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자물쇠 10: 본체부
11: 고정부재 11a: 체결홈
12: 삽탈공 13: 가이드봉
14: 가이드부 15: 스토퍼
20: 전면판 21: 키판
22: 제어부 30: 고리쇠
31: 록킹홈 40: 구동모터
50: 줄감개 60: 록킹부재
61: 록킹돌부 61a: 경사면
62: 장공 63: 결속공
70: 와이어 80: 탄성부재
1: lock 10:
11: fixing member 11a: fastening groove
12: Shovel Deformation 13: Guide Rod
14: guide portion 15: stopper
20: front plate 21: key plate
22: control unit 30:
31: locking groove 40: drive motor
50: lanyard 60: locking member
61: Locking protrusion 61a:
62: Slot 63: Bonded Ball
70: wire 80: elastic member

Claims (5)

전원부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번호버튼을 갖는 키판과, 제어부가 구비된 전면판;
상기 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자물쇠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도록 'U'자 형상의 고리쇠;
상기 본체부 내에 구비되어 고리쇠의 타단부를 록킹 및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록킹장치가 구성되고,
상기의 록킹장치는, 상기 본체부 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홈을 갖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측방에 설치되어 일정 길이만큼 왕복 이동하면서 고리쇠의 타단부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도록 록킹돌부를 갖는 록킹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구동력이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축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감았다 풀었다 하는 줄감개와, 상기 록킹부재와 줄감개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하는 줄감개에 의해 감겨지면서 록킹부재를 당기는 와이어와, 상기 고정부재와 록킹부재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의 록킹장치.
A main body having a power supply unit;
A key plate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number buttons;
A " U " shaped hook to lock and unlock the lock mov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a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lock and unlock the other end of the ring,
The lock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locking and unlocking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ring by being provided at a side of the fixing member and reciprocat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A driving motor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in accordance with a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a wire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and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A wire for pulling the locking member while the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locking member and the string fastener and are wound by the rotating string fastener and both ends of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lock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재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홈과 고리쇠의 타단부에 형성된 록킹홈이 일치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홈으로 삽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록킹돌부와,
상기 록킹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봉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봉을 중심으로 록킹부재가 일정 거리만큼만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장공;
상기 록킹부재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재를 당기는 와이어가 결속되는 결속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의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locking member and moves toward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locking groov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locking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ring engage with each other, Wow,
A slot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to allow the locking member to move only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guide rod in a state where a guide rod form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And a binding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to bind the wire pulling the locking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록킹부재의 록킹돌부 선단 상부면에는 본체부로 삽입되어 고정부재 측으로 이동하는 고리쇠의 타단부에 의해 록킹부재가 측방으로 밀리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의 록킹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distal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such that the locking protrusion is pushed laterally by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and moving toward the fixing protrusion.
제 1 항에 있어서,
록킹부재의 하방 측인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록킹부재가 흔들림 없이 왕복 이동되도록 상기 록킹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의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which is a low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so that the locking member reciprocates without moving back and forth.
제 1 항에 있어서,
록킹부재의 타방 측인 본체부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를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록킹부재의 타측과 접촉되어 록킹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토퍼 중 하방 측에 위치하는 스토퍼는 록킹부재의 타측과 줄감개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 및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가 걸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의 록킹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opper is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such that the stopp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that moves backwar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stopper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stoppers And the wire is guid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wire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string fastener an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KR1020140128796A 2014-09-26 2014-09-26 apparatus for rocking of lock KR101654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796A KR101654563B1 (en) 2014-09-26 2014-09-26 apparatus for rocking of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796A KR101654563B1 (en) 2014-09-26 2014-09-26 apparatus for rocking of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783A true KR20160036783A (en) 2016-04-05
KR101654563B1 KR101654563B1 (en) 2016-09-06

Family

ID=5580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796A KR101654563B1 (en) 2014-09-26 2014-09-26 apparatus for rocking of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56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979A (en) 1991-07-02 1993-02-23 히로시 아베 Lever Vending Machine
JPH0612672U (en) * 1992-05-26 1994-02-18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Door lock actuator
US6898952B1 (en) * 2004-04-30 2005-05-31 Ez Trend Technology Co., Ltd. Electric padlo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979A (en) 1991-07-02 1993-02-23 히로시 아베 Lever Vending Machine
JPH0612672U (en) * 1992-05-26 1994-02-18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Door lock actuator
US6898952B1 (en) * 2004-04-30 2005-05-31 Ez Trend Technology Co., Ltd. Electric pad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563B1 (en)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733B1 (en) Grip type handle for locking apparatus
US8747140B2 (en) Plug connector set and plate for said plug connector set
CN107109870B (en) Latch system
CA2656501C (en) Self-aligning handling or storing device having side or top actu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for
US20120237177A1 (en) Locking mechanism of optical module
US8635750B1 (en) Self-aligning handling or storing device
US10309136B2 (en)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for a door lock
US20070277566A1 (en) Lock for electronic apparatus
JP5362367B2 (en) Charging cable connection structure
CN103741432B (en) drawer box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TWM508142U (en) Small form factor pluggable connector
CN104393740B (en) Power supply adaptor
US20160000044A1 (en) Traction Switching Device
US11927000B2 (en) Structure for picking and placing hand shower
US7004386B2 (en) Cash drawer
KR101654563B1 (en) apparatus for rocking of lock
KR101681674B1 (en) Locking device of automatic wire winding apparatus
US20150195933A1 (en) Memory stick
JPWO2002039551A1 (en) Connection device
CN209891876U (en) Lock with two locking mechanisms
US7766272B2 (en) Rotating apparatus for winding reel of high-pressure cleaner
TWI360734B (en)
CN201021946Y (en) An extraction device for optical fiber connector
CN211851345U (en) Electronic lock device and electric vehicle with same
JP5536741B2 (en) Umbrella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