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416A -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system - Google Patents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416A
KR20160036416A KR1020140128668A KR20140128668A KR20160036416A KR 20160036416 A KR20160036416 A KR 20160036416A KR 1020140128668 A KR1020140128668 A KR 1020140128668A KR 20140128668 A KR20140128668 A KR 20140128668A KR 20160036416 A KR20160036416 A KR 20160036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creen
uni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3913B1 (en
Inventor
정찬의
Original Assignee
디노플러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노플러스 (주) filed Critical 디노플러스 (주)
Priority to KR1020140128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913B1/en
Publication of KR2016003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4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in accordance with user characteristics, allowing the center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a user′s eye level reference so that the user is provided with a comfortable screen viewing environment. The system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in accordance with us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information expression;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mage obtained by a camera; a fram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cquiring human body frame information regarding a user from the image; a height analysis unit analyzing a size of the user′s height by using result data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a screen expression control unit managing and controlling a manner of on-screen information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user′s height; a media delivery unit sending information to be exposed on the display unit screen; a media storage unit storing a source of the information to be exposed on the screen;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performing the image processing, data processing, data analysis, and functional procedure control.

Description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용자에게 편안한 화면 시청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하고자하는 정보의 중심을 이용자의 눈높이 기준에 맞춰 표시하도록 한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information us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n information user, To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식은 대개 디지털 사이니지의 물리적인 화면의 중심에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의 중심'을 맞추어 표시한다.The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ing digital signage usually displays the center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physical screen of the digital signage.

이러한 방식의 정보 표시는 이용자에게 신장의 차이에 따른 불편함을 제공한다. 즉, 성인의 경우에도 다소 신장이 작은 158cm의 여성과 신장이 큰 190cm의 남성의 경우를 비교하면, 정보 표시의 중심이 190cm에 맞춰지면 작은 신장의 여성은 그 중심의 정보를 주시하기 위해서는 고개를 많이 들어올려 봐야 하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성인과 어린이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어린이는 성인 눈높이의 정보 표시 중심을 눈높이로 맞춘다면 훨씬 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휠체어를 탄 장애인의 경우도 일반 성인의 눈높이와 차이가 매우 크다. This type of information display gives the user inconvenience due to differences in height. That is, in the case of adults, when comparing the case of a woman with a height of 158 cm and the case of a woman with a height of 190 cm which is somewhat taller, when the center of the information display is adjusted to 190 cm, I feel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lift a lot. As another example, for adults and children, children would feel much more uncomfortable if they adjusted the information display center of the adult eye level to eye level. In the case of a disabled person with a wheelchair, the difference from the normal adult is very large.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에 정보를 표시하는 종래의 기술이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4-0059996호(2014.05.19. 공개)에 개시되었다.On the other hand,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digital signage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59996 (published on April 19, 2014).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여러 단말장치 중에서 이용자가 주목하는 단말장치를 선별하고, 선별된 단말장치에 광고를 노출하는 사용자별 광고 노출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provides a user-specific advertisement exposure system that selects a terminal device to which a user is notified of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and exposes an advertisement to the selected terminal device.

또 다른 종래기술이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9-0102108호(2009.09.30. 공개)에 개시되었다.Another prior art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102108 (published on September 30, 2009).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터치 스크린 화면에서의 화면 분할에 관한 것으로서, 키 입력에 따라 화면 표시를 달리한다.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relates to screen division on a touch screen screen, and displays different screens according to key input.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4-0059996호(2014.05.19.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59996 (published on May 19, 2014)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9-0102108호(2009.09.30.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02108 (disclosed on September 30, 2009)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정보 이용자별로 특성을 파악하고 그 특성에 따라 사이니지 상에서의 정보 표시 위치를 조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related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on the signa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user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이용자에게 편안한 화면 시청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하고자하는 정보의 중심을 이용자의 눈높이 기준에 맞춰 표시하도록 한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enter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eye level of a user in order to provide a comfortable screen viewing environment to a user, And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us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단말장치 내에서 정보를 분할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information user that can divide and output information in on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장의 크기에 따라 정보 표시의 중심 위치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한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n information user, in which the center position of information display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a kidne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시스템은 정보 표출을 위한 디스플레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부; 영상으로부터 이용자의 인체 골격 정보를 획득하는 골격 정보 획득부; 상기 영상처리부의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를 분석하는 신장 분석부;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에 따라 화면에서의 정보 표출 방식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화면 표출 제어부; 화면에 노출할 정보를 송출하는 미디어 송출부; 화면에 노출할 정보의 소스를 저장하는 미디어 저장부; 데이터 처리, 자료 분석, 기능적 절차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부; 디지털 사이니지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 영상데이터, 연산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n information us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mage acquired from a camera; A skelet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human skelet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image; An extension analyzer for analyzing a size of a user's extension using result data of the image processor; A screen display control unit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information display mode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height; A medi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be exposed on a screen; A media storage unit for storing a source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a screen;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data processing, data analysis, and functional procedure control; A system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system of the digital signage; And a memory for storing image data, calculation data, and analysis program codes.

상기에서 화면 표출 제어부는 인체를 관절 정보로 표현하고, 관절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한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 정보와 얼굴 영역 관절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눈 높이 위치로 결정하고, 디지털 사이니지의 물리적 화면상에서 표출할 정보의 중심위치를 이용자의 눈높이 위치로 지정하여 정보를 표출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expresses the human body as joint information, determines the height position of the user using the size information of the user's height and the face area joint information calculated based on the joint information,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designated as the eye-level position of the user so as to control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상기에서 신장 분석부는 인체의 관절 정보를 카메라 영상에서의 관절의 평면좌표(x, y)와 카메라로부터 관절까지의 거리(깊이 정보)(z)를 이용한 공간 좌표(x, y, z)로 표현하고, 신장의 크기를 얼굴 관절의 y축 좌표와 엉덩이 관절의 y축 좌표의 거리 차이(d1)와 엉덩이 관절의 y축 좌표와 발목 관절 y축 좌표의 거리 차이(d2)를 각각 계산하여 두 거리 차이 d1과 d2의 합으로 신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X, y, z) using the distance (depth information) (z) from the camera to the plane coordinates (x, y) of the joint in the camera image and, by the size of the height calculated for the y coordinate and the hip joint of the distance difference (d 1) and the distance difference of the y coordinate and the ankle joint y coordinate of the hip joint in the y-axis coordinates (d 2) of a face joint respectively And the elongation is calculated by summing the two distance differences d 1 and d 2 .

상기에서 화면 표출 제어부는 이용자가 앉아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무릎 관절의 y축 좌표값 yk와 엉덩이 관절의 y축 좌표값 yh의 차이를 계산하고, 그 차이가 산출한 신장의 크기와 일정한 비례 관계가 형성되지 않는 임계치 범위보다 작으면 앉은 자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y-axis coordinate value y k of the knee joint and the y-axis coordinate value y h of the hip joint in order to judge whether the user is sitting or not, And if it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range in which the relationship is not formed, it is judged as a sitting pos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방법은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사이니지 화면상에서의 정보 표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카메라를 통해 취득한 영상에서 인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b) 인체 영역에서 인체의 골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an information us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cting a human body region in an image; (b) acquiring skeleton information of a human body in a human body region; (c)

인체의 관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d) 인체의 얼굴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e) 신장의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 (f) 상기 산출한 신장 크기에 따라 정보표시 중심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quiring joint information of a human body; (d) acquiring face region information of a human body; (e) calculating the size of the kidney; (f)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center positio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elongation size.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사이니지에서 정보 제공을 하는데 있어서, 성인이나 아동, 혹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등 이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어린이용, 장애인용 등 사용자별로 매체의 형태를 달리했던 종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이니지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information in the same signage, informa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eye level of the user such as an adult, a child, or a disabled person using a wheelchair, And the use of signage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디지털 옥외광고에 적용하면 눈높이에 맞춰 이용자의 주목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광고의 효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ied to a digital outdoor advertisement using digital signag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ttention of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eye level, thereby improving the advertisement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신장의 크기에 따른 눈높이 시선 관계도,
도 4는 신장의 크기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설정의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관절 정보의 예시도,
도 6은 서 있는 자세와 앉아 이는 자세의 얼굴 관절 정보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an information u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an information u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ye-gaze visual lin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kidney,
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setting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longation,
5A to 5D are illustrations of joint information,
FIG. 6 is an illustration of the face joint information of the standing posture and sitting posture.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an information u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an information u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10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111), 영상 처리부(102), 골격정보 획득부(103), 신장 분석부(104), 화면 표출 제어부(105), 미디어 송출부(106), 미디어 저장부(107), 중앙처리부(108), 시스템 제어부(109), 메모리(110), 카메라(112) 및 카메라 인터페이스부(113)를 포함한다.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an information u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01, a display interface unit 111, an image processing unit 102, a skelet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3, A display control unit 105, a media transmission unit 106, a media storage unit 107, a central processing unit 108, a system control unit 109, a memory 110, a camera 112, (113).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정보를 표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1)는 디지털 사이니지일 수 있으며, 디지털 사이니지의 정보 표시부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01 serves to display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01 may be a digital signage or an information display unit of a digital signage.

상기 영상 처리부(102)는 카메라(112)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골격정보 획득부(103)는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이용자의 인체 골격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02 processes an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112 and the skelet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3 acquires the human skelet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acquired image.

상기 신장 분석부(104)는 상기 영상처리부(102)의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를 분석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화면 표출 제어부(105)는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에 따라 화면에서의 정보 표출 방식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stretch analyzing unit 104 analyzes the size of the user's stretch using the result data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102.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5 controls the stretch analyzing unit 104 based on the size of the user's stretch, It manages and controls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또한, 상기 미디어 송출부(106)는 화면에 노출할 정보를 송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미디어 저장부(107)는 화면에 노출할 정보의 소스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media transmission unit 106 transmit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media storage unit 107 stores a source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아울러 상기 중앙처리부(108)는 데이터 처리, 자료 분석, 기능적 절차 제어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시스템 제어부(109)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메모리(110)는 영상데이터, 연산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8 performs data processing, data analysis, and functional procedure control. The system control unit 109 controls the entire system of the digital signage. The memory 110 stores image data , Operation data, and analysis program cod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카메라를 통해 취득한 영상에서 인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10 ~ S30); (b) 인체 영역에서 인체의 골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0); (c) 인체의 관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0); (d) 인체의 얼굴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0); (e) 신장의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S70); (f) 상기 산출한 신장 크기에 따라 정보표시 중심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80)를 포함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n information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cting a human body region in an image acquired through a camera (S10 to S30); (b) acquiring skeleton information of a human body in the human body region (S40); (c) acquiring joint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S50); (d) acquiring face region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S60); (e) calculating the size of the kidney (S70); (f)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center positio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elongation size (S8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us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디스플레이부(101)는 디지털 옥외광고를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부착된 영상 표출 장치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출할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First, the display unit 101 is an image display device attached to a digital signage for digital outdoor advertisement. Thereby displaying an image to be displayed to the user.

영상처리부(102)는 디지털 사이니지에 설치된 카메라(112)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한다(S10, S20). 예컨대, 잡음제거 등의 영상 전처리(pre-processing), 영상에서의 인체 영역 검출 과정을 처리한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02 processes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112 installed in the digital signage (S10, S20). For example, image processing such as noise cancellation (pre-processing) and human body region detection processing are processed.

여기서 인체 영역 검출은 디지털 사이니지에 부착된 카메라(112)로 촬영된 영상에서 이용자의 인체 영역만을 찾아내는 과정으로서(도 5a), 이용자별로 개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각의 이용자의 인체 영역을 검출한다(S30).Here, human body area detection is a process of detecting only the human body area of the user i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12 attached to the digital signage (FIG. 5A), and detects the human body area of each user in order to grasp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r each user (S30).

인체 영역의 검출이 완료되면, 골격 정보 획득부(103)는 이용자의 인체의 골격선(Skeleton) 정보와 골격을 연결하는 관절(Joint) 정보를 상기 인체 영역 영상으로부터 획득하고(S40, S50), 관절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처리한다(S60). 이러한 관절 정보는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키넥트와 같은 카메라를 이용하면 각 관절에 대한 공간 좌표값을 얻을 수 있다. 관절의 공간 좌표는 (x, y, z)로 표현 가능하며, 여기서, (x, y)는 영상에서의 각 관절의 평면좌표를 나타내며, z는 카메라로부터의 거리(깊이 정보)를 나타낸다.When the detection of the human body region is completed, the skelet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3 obtains joint information for connecting the skeleton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with the skeleton from the human body region image (S40, S50)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face region using the joint information is performed step by step (S60). These join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nd spatial coordinates of each joint can be obtained by using a camera such as Kinect.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joint can be expressed as (x, y, z), where (x, y) represents the plane coordinates of each joint in the image and z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depth information).

또한, 도 5d에 보인 바와 같이, 얼굴 부위의 관절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 정보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얼굴 관절 정보의 y축 좌표를 인체에서의 눈의 위치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로 추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용자가 휠체어 등에 앉아 있다면, 얼굴 관절 정보의 y축 좌표를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로 추정할 수는 없다(도 6 참조).5D, since the face region information can be estimated using the joint information of the face region, the y-axis coordinate of the face joint information can be regarded as the position of the eye in the human body, and the user's height Size. However, if the user is sitting on a wheelchair, the y-axis coordinate of the facial joint information can not be estimated as the size of the user's elongation (see FIG. 6).

얼굴 관절 정보의 y축 좌표가 신장의 크기와 유사한 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무릎 관절의 y축 좌표값 yk과 엉덩이 관절의 y축 좌표값 yh을 비교하여 판단한다. 두 관절 간의 y축 거리 d = yk - yh는 신장의 크기와 비교하여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기 때문에, 앉아 있는 경우는 d의 값 차이가 아주 작다. 예컨대, 두 관절 간의 y축 거리(d) 값과 신장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차이 값이 일정한 비례 관계가 형성되지 않는 임계치 범위보다 작으면 앉은 자세로 판단한다.Y-axis coordinate of the joint face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y-axis coordinate value y h of the knee joint y-axis coordinate value y k and the hip joint in order to determine if similar to the size of the kidney. The y-axis distance d = y k -y h between the two joints maintains a constant ratio compared to the size of the kidney, so the difference in the value of d is very small when sitting. For example, the value of the y-axis distance d between the two joints is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elongation, and if the difference is smaller than a threshold range in which a proportional relation is not formed, it is judged as a sitting posture.

다음으로, 신장 분석부(104)는 상기 영상처리부(102)의 영상 처리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를 분석하며, 인체(이용자)의 관절 정보를 이용하여 신장을 산출한다(S70).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 h = |얼굴 관절의 y축 좌표 - 엉덩이 관절의 y축 좌표| + |엉덩이 관절의 y축 좌표 - 발목 관절 y축 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Next, the elongation analysis unit 104 analyzes the size of the user's elongation using the image processing result data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102, and calculates elongation using the joint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user) (S70) . The size of the user's height h = | y-axis coordinates of the facial joints - y-axis coordinates of the hip joints | + | Y axis coordinate of the hip joint - y axis coordinate of the ankle joint |

이렇게 산출된 신장 크기와 얼굴 관절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물리적 화면상에서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에 맞춘 눈높이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이 위치를 표출할 정보의 중심위치를 지정한다(S8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의 신장 크기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의 바라보는 중심 위치가 달라진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에 따라 눈높이 위치를 결정하고, 이 위치를 표출할 정보의 중심위치로 하여, 표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로써 이용자는 신장의 크기에 무관하게 항상 화면의 중심이 눈 높이에 맞추어진다.Using the thus calculated kidney size and facial joint information, an eye-level display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height is determined on the physical screen of the digital signage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s designated (S80). As shown in FIG. 3, the center position of the digital signage chang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uman body.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eye level posi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stretch, and the display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the center position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s a result, the user always adjusts the center of the screen to the eye heigh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kidney.

예컨대, 화면 표출 제어부(105)는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에 맞춰 사이니지 화면의 상대적 중심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대적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표출할 정보를 재구성하는 방식을 관리하고 그 절차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화면 표출 제어부(105)는 인체를 관절 정보로 표현하고, 관절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한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 정보와 얼굴 영역 관절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눈 높이 위치로 결정하고, 디지털 사이니지의 물리적 화면상에서 표출할 정보의 중심위치를 이용자의 눈높이 위치로 지정하여 정보를 표출토록 제어한다.For example,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5 sets the relative center position of the signag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user's height, and manages and regulates the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based on the set relative center position. In other words,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5 expresses the human body as joint information, determines the height position of the user using the size information of the user's height and the face area joint information calculated based on the joint information, The center position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physical screen of the device is designated as the eye-level position of the user so as to control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아울러 미디어 송출부(106)는 화면 표출 제어부(105)에서 결정된 상대적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화면에 노출할 정보(뉴스, 광고, 홍보 등)를 송출한다. In addition, the media transmission unit 106 transmits information (news, advertisement, publicity, etc.) to be exposed on the digital signage screen based on the relative center position determined by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5.

그리고 미디어 저장부(107)는 디지털 사이니지 화면에 노출할 정보의 소스(동영상, 사진, 뉴스, 홍보자료 등)를 저장한다.The media storage unit 107 stores a source of information (moving pictures, photographs, news, publicity materials, etc.) to be exposed on the digital signage screen.

한편, 중앙처리부(108)는 데이터 처리, 자료 분석, 기능적 절차 제어 등을 수행하며, 이에 필요한 프로그램들은 초기에 메모리(110)에 저장되며, 중앙처리부(108)로 옮겨져 실행된다.Meanwhil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8 performs data processing, data analysis, and functional procedure control,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data processing are initially stored in the memory 110, and are transferr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8 and executed.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9)는 중앙처리부(108)의 처리 절차 및 기능적 절차 제어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ystem control unit 109 controls the entire system of the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the processing procedure and the functional procedur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8.

여기서 메모리(110)는 카메라(112)로부터 취득하는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영상데이터를 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 처리한 후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분석 프로그램 코드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memory 110 temporarily stores the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camera 112, stores the processed result data after the image data is processed by the analysis program, or stores the analysis program code and the like do.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111)는 디스플레이부(101)와 연동을 지원하며, 디스플레이부(101)로부터의 데이터 수집 및 디스플레이부(101)로의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isplay interface unit 111 supports interlocking with the display unit 101 and performs functions of collecting data from the display unit 101 and controlling transmission of data to the display unit 101. [

마지막으로, 카메라 인터페이스부(113)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112)와의 연동을 지원하며, 카메라(112)로부터의 영상을 취득하거나 카메라(112)의 기능(전원 기능, 줌 기능, 틸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다수개의 카메라에 대해 동시에 연동 가능하며, 동시에 연동하는 각 카메라별로 종류가 달라서 그 특성에 차이가 있어도 연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흑백 카메라, 컬러 카메라, 깊이(Depth) 카메라 등 종류가 다른 카메라를 동시에 연동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 인터페이스부(113)는 카메라(112)를 유선방식과 무선방식(와이-파이, 블루투스, 비컨 등)으로 시스템 제어부(109)와의 연동을 지원한다.Finally, the camera interface unit 113 supports interlocking with the camera 112 attached to the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acquires an image from the camera 112 or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camera 112 (power function, zoom function, Tilt function).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cameras can be interlocked at the same time, and at the same time, different types of interlocking cameras can be interlocked even if their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or example, different types of cameras such as a monochrome camera, a color camera, and a depth camera can be linked together at the same time. The camera interface unit 113 supports interlocking with the system control unit 109 using a wired system and a wireless system (Wi-Fi, Bluetooth, beacon, etc.).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눈높이 기준에 맞춰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기술에 적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chnique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n eye-level reference using a digital signage.

101: 디스플레이부
102: 영상처리부
103: 골격 정보 획득부
104: 신장 분석부
105: 화면 표출 제어부
106: 미디어 송출부
107: 미디어 저장부
108: 중앙처리부
109: 시스템 제어부
110: 메모리
112: 카메라
101:
102:
103: Skelet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4:
105: Screen display control unit
106: Media transmission unit
107: Media storage unit
108:
109:
110: Memory
112: camera

Claims (5)

정보 표출을 위한 디스플레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부;
영상으로부터 이용자의 인체 골격 정보를 획득하는 골격 정보 획득부;
상기 영상처리부의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를 분석하는 신장 분석부;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에 따라 화면에서의 정보 표출 방식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화면 표출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노출할 정보를 송출하는 미디어 송출부;
상기 화면에 노출할 정보의 소스를 저장하는 미디어 저장부;
상기 영상 처리, 데이터 처리, 자료 분석, 기능적 절차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시스템.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mage acquired from a camera;
A skelet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human skelet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image;
An extension analyzer for analyzing a size of a user's extension using result data of the image processor;
A screen display control unit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information display mode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height;
A medi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be exposed on the display unit screen;
A media storage unit for storing a source of information to be exposed on the screen;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the image processing, the data processing, the data analysis, and the functional procedure contro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출 제어부는 인체를 관절 정보로 표현하고, 관절 정보를 바탕으로 산출한 이용자의 신장의 크기 정보와 얼굴 영역 관절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눈 높이 위치로 결정하고, 디지털 사이니지의 물리적 화면상에서 표출할 정보의 중심위치를 이용자의 눈높이 위치로 지정하여 정보를 표출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expresses the human body as joint information, determines the height position of the user using the siz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face area joint information calculated based on the joint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of the information by designating the center posi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physical screen of the device as the eye-level position of the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분석부는 인체의 관절 정보를 카메라 영상에서의 관절의 평면좌표(x, y)와 카메라로부터 관절까지의 거리(깊이 정보)(z)를 이용한 공간 좌표(x, y, z)로 표현하고, 신장의 크기를 얼굴 관절의 y축 좌표와 엉덩이 관절의 y축 좌표의 거리 차이(d1)와 엉덩이 관절의 y축 좌표와 발목 관절 y축 좌표의 거리 차이(d2)를 각각 계산하여 두 거리 차이 d1과 d2의 합으로 신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시스템.
(X, y) of the joint in the camera image and the distance (depth information) (z) from the camera to the joint in the camera image, distance difference z) representation, and in the size of the kidneys face joint y coordinates and hip joints y distance difference (d 1) and the hip joint of the axial coordinate of a y-axis coordinate and the ankle joint y coordinate (d 2) the two distance difference between d 1 and d 2 characterized in that the sum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s to calculate the height of the calculated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출 제어부는 이용자가 앉아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무릎 관절의 y축 좌표값 yk와 엉덩이 관절의 y축 좌표값 yh의 차이를 계산하고, 그 차이가 산출한 신장의 크기와 일정한 비례 관계가 형성되지 않는 임계치 범위보다 작으면 앉은 자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 시스템.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display control unit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a y-axis coordinate value y k of the knee joint and a y-axis coordinate value y h of the hip join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seated, When the size of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is smaller than a threshold value range in which a predetermined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size is not formed, a sitting position is determined.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사이니지 화면상에서의 정보 표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카메라를 통해 취득한 영상에서 인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b) 인체 영역에서 인체의 골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인체 영역에서 인체의 관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인체 영역에서 인체의 얼굴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e) 신장의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산출한 신장 크기에 따라 정보표시 중심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정보 표시 위치 결정방법.

A method for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on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 user using digital signage,
(a) detecting a human body region in an image acquired through a camera;
(b) acquiring skeleton information of a human body in a human body region;
(c) obtaining joint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in the human body region;
(d) obtaining face region information of the human body in the human body region;
(e) calculating the size of the kidney; And
(f) determining an information display center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calculated elongation size.

KR1020140128668A 2014-09-25 2014-09-25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KR1016439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68A KR101643913B1 (en) 2014-09-25 2014-09-25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68A KR101643913B1 (en) 2014-09-25 2014-09-25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416A true KR20160036416A (en) 2016-04-04
KR101643913B1 KR101643913B1 (en) 2016-08-01

Family

ID=5579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668A KR101643913B1 (en) 2014-09-25 2014-09-25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9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7634A (en) * 2020-07-28 2020-10-30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displaying inform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108A (en) 2008-03-25 2009-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mposing screen in a touch screen
KR20130088507A (en) * 2012-01-31 2013-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keleton structure of human body
KR20130138533A (en) * 2012-06-11 2013-12-19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3d video-teleconferencing apparatus capable of eye contac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059996A (en) 2012-11-09 2014-05-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advertisement according to user
KR101412069B1 (en) * 2013-02-27 2014-06-26 (주)디앤디미디어 Digital signage protectorscop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108A (en) 2008-03-25 2009-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mposing screen in a touch screen
KR20130088507A (en) * 2012-01-31 2013-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keleton structure of human body
KR20130138533A (en) * 2012-06-11 2013-12-19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3d video-teleconferencing apparatus capable of eye contac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059996A (en) 2012-11-09 2014-05-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advertisement according to user
KR101412069B1 (en) * 2013-02-27 2014-06-26 (주)디앤디미디어 Digital signage protectorscop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7634A (en) * 2020-07-28 2020-10-30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913B1 (en)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2284B2 (en) Systems for augmented reality visual aids and tools
US1014630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ision enhancement
Kinateder et al. Using an augmented reality device as a distance-based vision aid—promise and limitations
JP55064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isual field of visually impaired person
US20120092172A1 (en) User Fatigue
KR102172988B1 (en) Device and method for eyeliner-wearing guide
WO2010089989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CN109143581A (en) A kind of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its eyeball tracking method
CN111052044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5030462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9283997A (en) Display methods, device and system
CN106469288A (en) A kind of reminding method and terminal
WO2019022102A1 (en) Activity assistant method, program, and activity assistant system
US20170135571A1 (en) Method for determining visual acuity
KR102228663B1 (en) Method of providing photographing guide and system therefor
KR101643913B1 (e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determ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JP2015103991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0237884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JP2013157845A (en) Electronic mirror and program
CN107884930B (en) Head-mounted device and control method
US20160188188A1 (en) Patient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patient display
CN111208964B (en) Low vision aiding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6479835B2 (en) I / O device, I / O program, and I / O method
JP7012983B2 (en) Face image processing device
CN111857461A (en) Im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