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130A -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130A
KR20160036130A KR1020140127437A KR20140127437A KR20160036130A KR 20160036130 A KR20160036130 A KR 20160036130A KR 1020140127437 A KR1020140127437 A KR 1020140127437A KR 20140127437 A KR20140127437 A KR 20140127437A KR 20160036130 A KR20160036130 A KR 20160036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dvertisement
data
applic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2988B1 (ko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스마트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98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인식부가 단말기의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면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부가 메모리부로부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동작부가 백신 모듈, 최적화 모듈 및 업데이트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출력부가 상기 동작된 모듈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충전상태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여야 했다. 따라서,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해 별도의 시간을 소모해야 했고, 바이러스 검사 등과 같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의 경우, 바이러스 검사를 하는 동안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는데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나이가 많거나 단말기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단말기를 조작하지 않는 시간에 자동으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실시 형태는 단말기를 조작하지 않는 시간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 형태는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인식부가 단말기의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면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부가 메모리부로부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동작부가 백신 모듈, 최적화 모듈 및 업데이트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출력부가 상기 동작된 모듈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광고부가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 횟수를 분석하여 성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성향 분석 데이터의 카테고리(category)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가 상기 광고 데이터에 대한 광고 창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인식부가 단말기의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면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부가 메모리부로부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광고부가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 횟수를 분석하여 성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광고 데이터 중 상기 성향 분석 데이터의 카테고리(category)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출력부가 상기 광고 데이터에 대한 광고 창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단계는, 통신부가 상기 성향 분석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HDP(Hierarchical Dirichlet Process) 모델 및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topic) 모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5)형식의 광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 창을 출력하는 단계는 활성 시간 내에 현재 시간이 포함되면, 상기 광고 창을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계산부가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과 상기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이용하여 완충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가 완충 예상시간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다른 카테고리로서 단말기는,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면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하는 인식부;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고, 백신 어플리케이션 정보, 최적화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업데이트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충전 상태 인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백신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최적화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백신 모듈, 최적화 모듈 및 업데이트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고, 상기 동작된 모듈의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상태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는 광고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광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부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 횟수를 분석하여 성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성향 분석 데이터의 카테고리(category)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기는,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면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하는 인식부;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충전 상태 인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리부 및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 횟수를 분석하여 성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성향 분석 데이터의 카테고리(category)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광고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출력부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성향 분석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고부는 활성 시간 내에 현재 시간이 포함되면,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과 상기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이용하여 완충시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완충시간데이터를 수신하여 완충 예상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에 의하면, 동작부가 백신 모듈, 최적화 모듈 및 업데이트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단말기의 사용자의 추가 조작 없이 자동으로 바이러스 검사, 최적화 및 업데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에 의하면, 광고부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횟수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 횟수를 분석하여 성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사용자는 바이러스 검사, 최적화 및 업데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안 단말기의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에 의하면, 광고부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횟수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 횟수를 분석하여 성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단말기에서 충전 외에 아무 동작을 하지 않을 때도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동으로 관심을 갖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에 의하면, 통신부가 성향 분석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가 HDP(Hierarchical Dirichlet Process) 모델 및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topic) 모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5)형식의 광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광고 데이터를 출력부에 전송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사용자는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문서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그림, 동영상, 음악 등이 포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에 의하면, 활성 시간 내에 현재 시간이 포함되면, 광고 창을 출력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사용자의 수면 시간에 광고 창을 출력하는 것을 방지하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시간에만 광고 창을 출력하여 불필요한 자원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에 의하면, 계산부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과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이용하여 완충시간데이터를 생성한 후, 출력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사용자는 현재 배터리가 언제 완충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단말기가 통신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온체크와 오프체크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a 및 13b는 광고를 출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단말기에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제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에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 형태>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기(10)는 인식부(100) 메모리부(200), 제어부(300) 및 출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100)는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식부(100)는 외부로부터 배터리(battery)에 전류가 인가되는지 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지를 확인하여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또는 충전상태가 아닌지를 인식하여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식부(100)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고, 드레인 단자가 충전 전압측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가 충전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소스 단자가 충전 전류를 공급한다. 이때,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충전 제어 신호를 인식하여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상태 인지신호는 ‘0’과 ‘1’ 중 하나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메모리부(200)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부(200)에는 단말기(10)의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 백신 어플리케이션 정보, 최적화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업데이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메모리부(10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관리부(310), 계산부(320) 및 동작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부(310)는 인식부(100)로부터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수신하면, 메모리부(200)로부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계산부(320)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과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완충 예상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배터리의 완충 예상시간이 계산되면, 완충시간데이터를 생성한다.
동작부(330)는 다양한 모듈을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 동작부(330)는 메모리부(200)로부터 백신 어플리케이션 정보, 최적화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업데이트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백신 모듈, 최적화 모듈 및 업데이트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고, 동작된 모듈의 동작 상태 정보 및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태데이터에 대한 설명은 이후 도면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300)는 완충시간데이터, 상태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출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400)는 제어부(300)에서 생성된 출력데이터를 단말기(10)의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400)는 완충시간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출력 수단 및 음성 출력 수단 등을 이용하여 완충 예상시간을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400)는 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동작된 모듈의 동작 상태 및 결과를 영상 출력 수단 및 음성 출력 수단 등을 통해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단말기가 통신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기(10)는 통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광고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클라우드 서버(12)와 연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단말기(10)의 통신부(500)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protocol)에 따른 무선 통신으로 기지국(11)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12)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2세대(2G) 통신망, 3세대(3G) 통신망, 4세대(4G) 통신망, 5세대(5G)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적어도 둘 이상의 통신망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근거리 접속망을 통해 수행일 수 있다.
통신부(500)는 클라우드 서버(12)와 연결되면, 동작부(330)에서 동작시킬 명령어를 클라우드 서버(12)에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12)는 명령어를 수신하여 백신 모듈, 최적화 모듈 및 업데이트 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2)는 클라우드 서버(12) 내에 저장된 모듈을 동작부(330)를 대신해 실행시키고, 다시 통신부(500)를 통해 출력부(400)에 상태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2)는 단말기(10)의 하드웨어적인 스펙(spec)의 한계를 극복하고, 배터리 소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시간 복잡도가 높은 알고리즘들을 클라우드 서버(12)에서 수행한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버(12)는 일 예로,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일 수 있다.
광고부(340)는 단말기(1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어플리케이션의 접속 횟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 및 동작된 어플리케이션의 파워 소모량 등을 포함)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 횟수 등을 분석하여 성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00)는 생성된 성향 분석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12)에 전송할 수 있다.
광고부(340)는 성향 분석 데이터가 생성되면, 성향 분석 데이터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찾고, 메모리부(200)에 사전에 저장된 광고 데이터 중 성향 분석 데이터의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광고 데이터를 출력부(400)에 전송한다. 여기서, 광고 데이터는 텍스트 문서, 그림, 동영상, 음악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출력데이터는 광고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400)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출력 수단 및 음성 출력 수단 등을 이용하여 광고를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한다(S100). 구체적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먼저, 인식부(100)를 통해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는지 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지를 확인하여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한다.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되면, 인식부(100)는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한다.
충전상태 인지신호가 생성되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10). 구체적으로, 관리부(310)를 통해 메모리부(200)로부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충전 예상시간을 예측한다(S120). 구체적으로, 계산부(320)를 통해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과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완충 예상시간을 계산하고, 완충시간데이터를 생성한다.
완충시간데이터가 생성되면, 충전 예상시간을 출력한다(S130). 구체적으로, 출력부(400)는 완충시간데이터를 수신하고, 도 4와 같이, 영상 출력 수단(410)을 통해 배터리의 완충 예상시간을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고, 음성 출력 수단(420)을 통해 배터리의 완충 예상시간을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배터리의 완충 예상시간을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언제 배터리가 완충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한다(S200). 구체적으로, 인식부(100)를 통해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는지 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지를 확인하여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한다.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되면, 인식부(100)는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한다.
충전상태 인지신호가 생성되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210). 구체적으로, 관리부(310)를 통해 메모리부(200)로부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동작부(330)를 통해 다양한 모듈을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 동작부(330)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가장 최근에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한 날짜 데이터와 현재 날짜 데이터를 비교(S220)하고, 비교된 날짜 데이터와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데이터를 비교(S230)하여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하는 백신 모듈(vaccine module)을 동작(S240)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가장 최근에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한 날짜가 2014-09-04이고, 현재 날짜가 2014-09-12이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데이터가 7일이라면, 비교된 날짜 데이터는 8일이 되고, 비교된 날짜 데이터가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데이터보다 크기 때문에(8>7) 동작부(330)는 백신 모듈을 동작시킨다.
백신 모듈이 동작되면, 동작부(330)의 동작 상태를 출력한다(S250). 구체적으로, 출력부(400)는 실시간으로 동작부(330)의 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표시 수단 등을 이용하여 백신 모듈의 동작 상태 및 바이러스 검사 결과를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a와 같이, 백신 모듈의 동작 상태는 현재까지 검사한 검사 대상 수, 현재까지 검출된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 수, 현재까지 삭제된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의 수, 현재 진행 정도 및 현재 검사 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b와 같이, 백신 모듈의 검사 결과는 총 검사 대상 수, 검출된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 수 및 삭제된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 수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단말기(10)의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를 정리하여 단말기(10)의 성능 및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한다(S300). 구체적으로, 인식부(100)를 통해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는지 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지를 확인하여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한다.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되면, 인식부(100)는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한다.
충전상태 인지신호가 생성되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310). 구체적으로, 관리부(310)를 통해 메모리부(200)로부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동작부(330)를 통해 다양한 모듈을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 동작부(330)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가장 최근에 최적화(optimizer)를 수행한 날짜 데이터와 현재 날짜 데이터를 비교(S320)하고, 비교된 날짜 데이터와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데이터를 비교(S330)하여 최적화 모듈을 동작(S240)시킬 수 있다.
여기서, 최적화는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파워 소모량,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횟수 및 사용시간을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순위를 정하고, 하위 순위부터 실행을 중지시킨다. 구체적으로, 파워 소모량이 많으면서, 사용횟수가 적은 어플리케이션을 하위 순위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횟수 및 사용시간을 이용하여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삭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최적화 모듈이 동작되면, 동작부(330)의 동작 상태를 출력한다(S250). 구체적으로, 출력부(400)는 실시간으로 동작부(330)의 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표시 수단 등을 이용하여 최적화 모듈의 동작 상태 및 최적화 모듈의 결과를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a와 같이, 최적화 모듈의 동작 상태는 현재 남은 배터리 양, 현재 진행 정도 및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b와 같이, 최적화 모듈의 결과는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의 수 및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a와 같이, 삭제를 유도 출력은 어플리케이션 이름, 어플리케이션 용량 및 마지막 사용 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최적화 작업을 통해 배터리 사용시간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a 내지 도 11d는 온체크와 오프체크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4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한다(S400). 구체적으로, 인식부(100)를 통해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는지 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지를 확인하여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한다.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되면, 인식부(100)는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한다.
충전상태 인지신호가 생성되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410). 구체적으로, 관리부(310)를 통해 메모리부(200)로부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동작부(330)를 통해 다양한 모듈을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 동작부(330)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내역이 있는지 확인(S420)하고, 업데이트 내역이 있다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모듈을 동작(S430)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업데이트 내역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420)는 업데이트할 목록이 자동으로 브라우징(browsing)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들(백신 어플리케이션, 최적화 어플리케이션 및 은행 어플리케이션)이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30)에 포함되고,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중 온체크(on-check)(40)가 된 어플리케이션들(백신 어플리케이션 및 최적화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내역을 서버(미도시)로부터 확인한 후, 업데이트 내역이 있는 어플리케이션(백신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 한다.
또한, 관리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등록되어도 업데이트를 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은행 어플리케이션)은 오프체크(off-check)(50)를 통해 업데이트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온체크 또는 오프체크는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a에 도시된 온체크를 터치하면, 도 11b와 같이, 터치된 온체크는 오프체크되고, 다시 도 11c에 도시된 오프체크를 터치하면, 도 11d와 같이, 터치된 오프체크는 온체크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온체크 또는 오프체크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업데이트 내역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의 업그레이드(upgrade) 내역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영체제는 하드웨어(hardware)를 제어하고 단말기 자원을 관리하며, 단말기 사용을 편리하게 해주고 어플리케이션들의 수행을 도와주며, 단말기(10)의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software)이다.
따라서, 업데이트 모듈은 운영체제의 업그레이드 내역이 확인되면,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은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참조하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업데이트 모듈이 동작되면, 동작부(330)의 동작 상태를 출력한다(S440). 구체적으로, 출력부(400)는 실시간으로 동작부(330)의 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표시 수단(410)을 이용하여 업데이트 동작 상태, 업데이트 결과,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동작 상태,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결과 등을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a와 같이, 업데이트 동작 상태는 업데이트 진행 정도를 일측에서 타측까지 명암이 채워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0b와 같이, 업데이트 결과는 일측에서 타측까지 명암이 완전히 채워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업데이트를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실행시켜주는 이점이 있고, 운영체제를 자동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제2 내지 제4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이러스 검사, 최적화 및 업데이트는 반드시 별도로 동작하는 것은 아니며, 바이러스 검사, 최적화 및 업데이트는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추가 조작 없이 자동으로 바이러스 검사, 최적화 및 업데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 이 있다.
도 12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3a 및 13b는 광고를 출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5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한다(S500). 구체적으로, 인식부(100)를 통해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는지 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지를 확인하여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한다. 단말기(10)가 현재 충전상태인지 인식되면, 인식부(100)는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한다.
충전상태 인지신호가 생성되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510). 구체적으로, 관리부(310)를 통해 메모리부(200)로부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광고부(340)는 활성 시간 내에 현재 시간이 포함되는지 확인(S520)하고, 현재 시간이 활성 시간 내에 포함된다면, 광고 모듈을 동작(S530)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활성 시간은 사전에 단말기(10)의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하기 위해 지정한 시간일 수 있고, 기본값(default value)으로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예컨대, 활성 시간이 오전 7시부터 오후 12시까지이고, 현재 시간이 오후 10시라면, 현재 시간이 활성 시간 안에 포함되므로, 광고 모듈을 동작시킨다.
반면, 활성 시간이 오전 7시부터 오후 12시까지이고, 현재 시간이 오전 5시라면, 현재 시간이 활성 시간 안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광고 모듈을 동작시키지 않는다.
기본값으로 설정된 시간은 낮 시간을 활성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의 연평균 일출 및 일몰 시간인 오전 6시 30분부터 오후 6시 50분까지를 활성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본값으로 설정된 시간은 단말기(10)가 사용되는 나라의 평균 취침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2014년 2월 21일에 조사된 대한민국의 평균 취침시간은 오후 12시부터 오전 6시 10까지 이므로 오전 6시 11분부터 오후 12시까지를 활성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광고부(340)는 단말기(10)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횟수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 횟수 등을 분석하여 성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부(340)는 성향 분석 데이터가 생성되면, 성향 분석 데이터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찾고, 메모리부(200)에 사전에 저장된 광고 데이터 중 성향 분석 데이터의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광고 데이터를 출력부(4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단말기(10)에서 모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실행되거나, 모발에 관련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이 많이 되면, 도 13a와 같이, 모발과 관련성이 있는 카테고리인 샴푸가 선택될 수 있고,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복수의 광고 데이터 중 샴푸에 대한 카테고리를 갖는 광고 데이터를 출력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면, 광고를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440). 구체적으로, 출력부(400)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수단(410)을 이용하여 광고 창(advertisement window)(60)을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샴푸에 대한 카테고리를 갖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면, 도 13과 같이, 출력부(400)는 샴푸에 관련된 광고를 출력할 수 있고, 샴푸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광고부(330)는 생성된 성향 분석 데이터를 통신부(5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12)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광고를 웹에서 수집 또는 광고주와 계약을 통해 광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시 통신부(50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0)에 수집된 광고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광고를 웹에서 수집하는 것은 HDP(Hierarchical Dirichlet Process) 모델 및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topic) 모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HDP 모델은 토픽의 수를 파라미터(parameter)로 모델에 설정해 주지 않아도 적절한 수의 토픽을 찾아낼 수 있는 모델이다. 또한, LDA 토픽 모델은 어떤 확률분포와 그 파라미터가 있다고 할때, 그로부터 랜덤 프로세스에 따라 데이터를 생성하는 관점의 모델이다. 즉, 문서의 주제 분포와 각 주제별로 특정 단어를 생성할 확률을 알고 있으면, 특정 문서가 만들어질 확률을 계산할 수 있음을 이용한 모델이다. 그리고 수집된 광고 데이터는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5)를 이용할 수 있다. HTML5는 텍스트 문서, 그림, 동영상, 음악 등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현재 시간이 활성 시간 안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단말기(10)의 배터리가 완충된 상태에서는 현재 시간이 활성 시간 안에 포함된 것처럼 광고 모듈을 실행한 후, 광고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5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자동으로 관심을 갖는 정보(광고)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5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단말기(10)의 사용자의 수면 시간에 광고 창(60)을 출력하는 것을 방지하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시간에만 광고 창(60)을 출력하여 불필요한 자원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내지 제5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서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충전이 되지 않은 시점에서의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면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고, 단말기(10)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종료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단말기(10)의 충전이 중단되거나 단말기(10)의 충전이 완료(완충)되면, 동작중인 모듈들을 중단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12)에서 관리하는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버(12)의 데이터 전달이 완료를 우선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5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뿐만 아니라 2가지 이상의 실시 예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단말기에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a를 참조하면, 관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0)은 단말기(10)의 영상 표시 수단(410)을 통해 출력된다. 관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0)에 표시된 3app은 현재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3개임을 표시하고, 50%는 현재 충전상태를 표시하고, 30분은 배터리가 완충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표시한다. 여기서, 관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은 영상 표시 수단(410)의 최상단에도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관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0)을 터치(touch) 또는 클릭(click)하면, 도 14b에 도시된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30)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어플리케이션의 온체크 및 오프체크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30)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터치 또는 클릭하면,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apk 파일로 메모리부(200)의 ‘내파일/storage/sdcard0/폴더’ 에 저장되고, 이 저장된 .apk 파일을 패키지 관리자를 이용하여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부(200)에 저장되고, 제어부(300) 및 통신부(500)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이하에서는 충전상태가 아닌 단말기(1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하거나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제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30)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중 은행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도 15a와 같이,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30)에 있는 은행 어플리케이션 상에 손가락 등을 터치한 후 도 15b와 같이,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30) 외부에서 손가락을 영상 표시 수단으로부터 멀리하면, 도 15c와 같이, 은행 어플리케이션은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30)에서 제외되고, 관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0)의 3app은 2app로 변경된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에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a 내지 도 16d를 참조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30) 외부에 있는 은행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도 16a에 도시된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30) 외부에 있는 은행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상에 손가락 등을 터치한 후 도 16b와 같이,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30) 내부에서 손가락을 영상 표시 수단으로부터 멀리하면, 도 16d와 같이, 은행 어플리케이션은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30)에 추가되고, 관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0)의 2app은 3app로 변경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은 도 16c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창(30) 내부 외에도 관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20) 상에서 손가락을 영상 표시 수단으로부터 멀리하여도 도 16d와 같이, 은행 어플리케이션은 관리 어플리케이션 창(30)에 추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단말기 100: 인식부
200: 메모리부 300: 제어부
400: 출력부 500: 통신부

Claims (12)

  1. 인식부가 단말기의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면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부가 메모리부로부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동작부가 백신 모듈, 최적화 모듈 및 업데이트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출력부가 상기 동작된 모듈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광고부가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 횟수를 분석하여 성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성향 분석 데이터의 카테고리(category)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가 상기 광고 데이터에 대한 광고 창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3. 인식부가 단말기의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면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관리부가 메모리부로부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광고부가 상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 횟수를 분석하여 성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광고 데이터 중 상기 성향 분석 데이터의 카테고리(category)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출력부가 상기 광고 데이터에 대한 광고 창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단계는,
    통신부가 상기 성향 분석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HDP(Hierarchical Dirichlet Process) 모델 및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topic) 모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5)형식의 광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단계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창을 출력하는 단계는 활성 시간 내에 현재 시간이 포함되면, 상기 광고 창을 출력하는 단계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계산부가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과 상기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이용하여 완충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가 완충 예상시간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7.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면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하는 인식부;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고, 백신 어플리케이션 정보, 최적화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업데이트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충전 상태 인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백신 어플리케이션 정보, 상기 최적화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백신 모듈, 최적화 모듈 및 업데이트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고, 상기 동작된 모듈의 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상태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광고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광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부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 횟수를 분석하여 성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성향 분석 데이터의 카테고리(category)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말기.
  9. 배터리에 전류가 인가되면 충전상태 인지신호를 생성하는 인식부;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충전 상태 인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관리부 및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 및 인터넷 사이트 접속 횟수를 분석하여 성향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성향 분석 데이터의 카테고리(category)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광고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출력부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말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성향 분석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부는 활성 시간 내에 현재 시간이 포함되면,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에 전송하는, 단말기.
  12. 제7항 내지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과 상기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이용하여 완충시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완충시간데이터를 수신하여 완충 예상시간을 출력하는, 단말기.
KR1020140127437A 2014-09-24 2014-09-24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KR10165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37A KR101652988B1 (ko) 2014-09-24 2014-09-24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37A KR101652988B1 (ko) 2014-09-24 2014-09-24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130A true KR20160036130A (ko) 2016-04-04
KR101652988B1 KR101652988B1 (ko) 2016-09-09

Family

ID=55799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437A KR101652988B1 (ko) 2014-09-24 2014-09-24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9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2319A (zh) * 2019-11-14 2020-06-02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新型hdp模型的文档信息提取方法
CN111625822A (zh) * 2020-04-07 2020-09-04 重庆云君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云资源存储管理装置和方法
KR102309541B1 (ko) * 2020-04-02 2021-10-07 주식회사 인프라텍 외부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되는 동안에 정해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045B1 (ko) * 2009-06-29 2010-12-22 주식회사 모임 인공지능에 기반한 개인별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그 기록 매체
JP2014160340A (ja) * 2013-02-19 2014-09-04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045B1 (ko) * 2009-06-29 2010-12-22 주식회사 모임 인공지능에 기반한 개인별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그 기록 매체
JP2014160340A (ja) * 2013-02-19 2014-09-04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2319A (zh) * 2019-11-14 2020-06-02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新型hdp模型的文档信息提取方法
KR102309541B1 (ko) * 2020-04-02 2021-10-07 주식회사 인프라텍 외부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되는 동안에 정해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625822A (zh) * 2020-04-07 2020-09-04 重庆云君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云资源存储管理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988B1 (ko)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39948B2 (en) Search augmented menu and configuration for computer applications
US7958131B2 (en) Method for data management and data rendering for disparate data types
US9798531B2 (en) Dependency-aware transformation of multi-function applications for on-demand execution
US11822526B2 (en) Integrated transition control center
US10614468B2 (en) Event-based score processing
US8977636B2 (en) Synthesizing aggregate data of disparate data types into data of a uniform data type
US109366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o-be-played multimedia content
US9952848B2 (en) Dependency-aware transformation of multi-function applications for on-demand execution
JP2023520425A (ja) 制約に基づくハイパーパラメータチューニ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200168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engine optimization analysis
KR101788498B1 (ko) 정보제공방법, 정보제공장치 및 정보제공단말기
CN111061956A (zh)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US202202614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using persona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210158210A1 (en) Hybrid in-domain and out-of-domain document processing for non-vocabulary tokens of electronic documents
KR101652988B1 (ko)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US10884713B2 (en) Transformations of a user-interface modality of an application
EP41655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of repetitive language in document using linguistic analysis and correction thereof
CN104813304A (zh) 标识由服务存储的共享内容
CN107480269B (zh) 对象展示方法及系统、介质和计算设备
US9465876B2 (en) Managing content available for content prediction
WO2021143023A1 (zh) 对象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50248499A1 (en) Optimized read/write access to a document object model
US11227020B2 (en) Displaying content based on a user&#39;s status
KR20160029282A (ko)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2021030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e-use of software requi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