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769A - Integration management of switchboard door - Google Patents

Integration management of switchboard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769A
KR20160035769A KR1020140127487A KR20140127487A KR20160035769A KR 20160035769 A KR20160035769 A KR 20160035769A KR 1020140127487 A KR1020140127487 A KR 1020140127487A KR 20140127487 A KR20140127487 A KR 20140127487A KR 20160035769 A KR20160035769 A KR 20160035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vice
lock
sub
main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0219B1 (en
Inventor
서유옥
표상휴
조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니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니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니엘
Priority to KR102014012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219B1/en
Publication of KR2016003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7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ion management of a switchboard door to allow a worker to safely and conveniently work and have an access to regions even though the internal space of a switchboard is divided into working regions by a plurality of doors. The integration management of a switchboard door may include a main locking device which is combined with a front door in the switchboard; at least one sub locking device which is combined with at least one back door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witching board; an unlocking information obtaining part which obtains unlocking information; and a control part which opens the main locking device based on the unlocking information and additionally opens the sub locking device when the main locking device is successfully opened.

Description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INTEGRATION MANAGEMENT OF SWITCHBOARD DOOR}{INTEGRATION MANAGEMENT OF SWITCHBOARD DOOR}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도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배전반 내부 공간이 다수의 도어에 의해 작업 구역으로 나눠진 경우,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다수의 구역으로 접근,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management apparatus for a switchge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management apparatus for a switchgear, in which, when an internal space of a switchgear is divided into a working space by a plurality of doors, Management device.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공장 또는 아파트 등에 마련된 전기실에는 전력 회사가 공급하는 특고압 또는 고압의 전기를 수전하여 각 수용가의 부하로 배전하는 수배전반이 설치되어 있다. Generally, the electric room installed in a building, a factory, or an apartment is equipped with a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anel that receives electricity of special high-voltage or high-voltage supplied by the electric power company and distributes it to the load of each consumer.

수배전반은 전력 계통의 통전 수순 및 전압에 따라 특고압반, 고압 및 저압반으로 구분되고, 특고압반은 통상적으로 고압수전반(LBS반)과, 계기용 변압변류기반(MOF반), 계기용 변압기반(PT반), 차단기반(VCB반) 등으로 구성된다(국내등록특허 제10-1379501호 참고). The switchgear is classified into high pressure, high pressure and low pressure, depending on the energization procedure and voltage of the power system. The high pressure chamber is usually divided into high pressure water (LBS), instrumentation transformer (MOF) A transformer half (PT half), a blocking half (VCB half), etc. (refer to Korean Patent No. 10-1379501).

이와 같은 수배전반은 보통 하나의 랙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배전반 내부 공간을 다수의 작업 구역으로 구분한 후, 고압수전반(LBS반)과, 계기용 변압변류기반(MOF반), 계기용 변압기반(PT반), 차단기반(VCB반)을 분산 배치하는 형태로 구현되기도 한다. Such a switchboard is generally implemented as a single rack device. However, in some cases, the internal space of the switchboar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orking zones, and then a high voltage water (LBS) and a transformer current transformer ), A meter transformer half (PT half), and a blocking base (VCB half).

만약, 수배전반이 다수의 작업 구역을 가지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작업 구역을 구분하는 도어를 다수개 설치하고, 다수의 도어 각각에 잠금장치를 추가 설치하여, 수배전반으로의 접근권한을 가지는 소수의 사용자만이 수배전반으로의 입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the case where the switchboard is implemented in a form having a plurality of work areas, a plurality of doors for dividing work areas are installed, lock devices are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oors, and a small number of users So that it is possible to enter the switchboard.

다만, 이와 같이, 수배전반이 다수의 작업 공간을 가지는 경우, 작업자는 작업 공간 입구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일일이 개방한 후에야 자신이 원하는 설비에 접근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in this way, when the switchboard has a plurality of work spaces, the operator has to open the lock device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work space to access the desired equipment.

이에 본 발명은 수배전반 내부 공간이 다수의 도어에 의해 작업 구역으로 나눠진 경우에도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다수의 구역으로 접근,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ted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for a switchgear that allows a worker to access and operate a plurality of areas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even when the interior space of a switchboard is divided into work areas by a plurality of doors.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배전반에 전면 도어에 결합된 메인 잠금장치;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후면 도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잠금장치; 잠금 해제정보를 획득하는 잠금 해제정보 획득부; 및 잠금 해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 잠금장치를 개방하되, 상기 메인 잠금장치가 성공적으로 개방되면 상기 서브 잠금장치를 추가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locking device comprising: a main locking device coupled to a front door at a switchboard; At least one sub-locking device coupled to at least one rear door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switchgear; An unlocking information acquiring unit acquiring unlocking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opening the main locking device based on the unlocking information and further opening the sub locking device when the main locking device is successfully opened.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잠금 해제정보 및 상기 잠금 해제정보의 입력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작업 권한을 추가 확인한 후, 작업 권한에 따라 상기 메인 잠금장치에 연속하여 개방되는 상기 서브 잠금장치의 종류를 달리해주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further confirms the operation righ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nlock information and the unlock information, and then displays the type of the sub lock device continuously opened to the main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right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는 개방상태의 상기 메인 잠금장치에 대한 폐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잠금장치 각각이 모두 폐쇄되었음을 확인한 후에 상기 메인 잠금장치를 폐쇄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closing the main locking device after confirming that each of the sub locking devices has been closed when a command to close the main locking device in the open state is inputted.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메인 잠금장치와 상기 서브 잠금장치 각각에 대응되어, 자신에 대응되는 잠금장치의 개방 여부를 통보해주는 다수의 알람 및 상태 표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larms and status indicators corresponding to the main lock device and the sub lock device, respectively, for notifying whether or not the lock device corresponding to the main lock device is open.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는 상기 수배전반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작업자 명령을 입력받는 데이터 입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ata input / output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and switching unit and / or an operator command.

더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배전반으로 모선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잠금장치와 상기 서브 잠금장치를 일괄 개방하고, 모선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잠금장치와 상기 서브 잠금장치를 일괄 폐쇄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usbar voltage is not supplied to the switchboard, the control unit opens the main lock device and the sub lock device all together, and when the bus line voltage is supplied, the main lock device and the sub lock device are closed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는 수배전반 내부 공간이 다수의 도어에 의해 작업 구역으로 나눠진 경우에도 작업자가 자신이 원하는 작업 공간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internal space of the power switchboard is divided into the work areas by a plurality of doors, the worker can easily access the desired work space.

또한, 개방상태의 메인 잠금장치를 다시 폐쇄하는 경우에는, 수배전반 내부에 위치한 서브 잠금장치가 모두 폐쇄되었는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수배전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3자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폐쇄되는 것이 사전에 방지되도록 한다. Further, when the main lock device in the opened state is closed again, it is preferentially confirmed whether or not all the sub lock devices located inside the switchgear are closed, whereby the operator is abnormally closed by the third person in a state of being located inside the switchgear To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작업 공간을 가지는 수배전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witchboard having a plurality of worksp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lock management apparatus for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unifying integrated management of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tegrated management of locking of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nly.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작업 공간을 가지는 수배전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witchboard having a plurality of worksp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배전반의 내부 공간은 메인차단기반, 계기용 변성기반, 계기용 변압기반, 변압기 차단반, 변압기반, 분배차단기반이 분산 배치된 다수의 작업 공간(sec1~3)으로 나눠지고, 다수의 작업 공간(sec1~3) 각각의 출입구에 위치하는 도어에는 잠금장치(110~130)가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1, the internal space of the switch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ork spaces (sec1) in which a main breaker base, a metamorphic base, a transformer half, a transformer half, And locking devices 110 to 130 are coupled to the doors positioned at the entran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spaces sec1 to sec3.

즉, 도1의 수배전반은 작업자가 도어에 결합된 잠금장치(110~130)를 개방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설비가 위치한 작업 공간에 도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1 has a structure in which a worker can arrive at a work space where a desired facility is located while opening the locks 110 to 130 coupled to the door.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잠금장치(110~130) 중 하나(특히, 수배전반의 최전면에 위치한 도어에 결합된 잠금장치(110)을 메인 잠금장치로, 나머지 잠금장치(120,130)은 서브 잠금장치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메인 잠금장치(110)을 개방함에 의해 나머지 잠금장치(120,130)도 일시 개방되도록 한다. 즉, 하나의 잠금장치(110)을 개방하면, 나머지 잠금장치(120,130)도 자동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자신이 원하는 작업 공간에 도달하기 위해 자신의 이동 경로상에 있는 잠금장치를 일일이 개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준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devices 110 to 130 (in particular, the locking device 110 coupled to the frontmost door of the switchgear is used as a main locking device and the remaining locking devices 120 and 130 are used as a sub- So that the remaining locking devices 120 and 130 are temporarily opened by opening the main locking device 110. That is, when one locking device 110 is opened, the remaining locking devices 120 and 130 are automatically opened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the operator to open the locks on his / her own route in order to reach the desired work space.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lock management apparatus for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의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적용되는 장치로, 이는 다수의 잠금장치(110~130) 이외에 모선 전압 감지 및 동작 전원 공급부(210), 잠금 해제정보 획득부(220), 제어부(230), 데이터 입출력부(240), 및 다수의 알람 및 상태 표시등(251~253) 등으로 구성된다. The lock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200 of the switchboard of FIG. 2 is an apparatus applied to a switchboard having a plurality of lock devices as shown in FIG. 1,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lock devices 110 to 130, A power supply unit 210, an unlock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220, a controller 230, a data input / output unit 240, and a plurality of alarms and status indicators 251 to 253.

모선 전압 감지 및 동작 전원 공급부(210)는 모선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의 전압을 감지 및 통보하며, 모선 전압을 이용하여 잠금 통합 관리 장치(20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한다. The bus voltage detection and operation power supply unit 210 senses and notifies the voltage of a power source charged in the bus and generates and supplies drive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integrated lock management apparatus 200 using the bus line voltage.

잠금 해제정보 획득부(220)는 사용자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잠금장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잠금 해제정보를 획득한다. The unlock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220 obtains the unlocking information for opening or closing the locking device input from the user or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잠금 해제정보 획득부(220)를 잠금 해제정보 입력이 가능한 다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221), 메인 잠금장치(110)의 개방을 요청하는 작업자의 지문 또는 동체 정보와 같은 생체 정보를 잠금 해제정보로 획득 및 제공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222), 키 장치에 저장된 잠금 해제정보를 리딩 및 출력하는 키 리더기(223), 출입 카드 또는 작업자의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태그에 저장된 잠금 해제정보를 리딩 및 출력하는 태그 리더기(224), 작업자의 모바일 기기 또는 수배전반 관제 장치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작업자의 모바일 기기 또는 수배전반 관제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잠금 해제정보를 획득 및 출력하는 통신 모듈(22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가 다양한 형태로 잠금장치(110)의 잠금 상태 해제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The unlock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keypad 221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capable of inputting unlocking information, a fingerprint input unit 220 for inputting fingerprint or body information of an operator requesting opening of the main locking unit 110, A key reader 223 for reading and outputting the unlock information stored in the key device, a lock stored in a tag built in the mobile device of the access card or the worker, A tag reader 224 for reading and outputting the release information, a communication module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operator's mobile device or the power supply and distribution control device, and acquiring and outputting the lock relea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or the power- (225), which allows an operator to provide information (210) for unlocking the lock (110) in various forms .

제어부(230)는 작업자의 안전과 설비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모선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모든 잠금장치(110~130)을 기본적으로 폐쇄한다. 다만, 모선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잠금 해제정보 획득부(220)를 통해 기 등록된 잠금 해제정보가 입력되면, 이에 응답하여 잠금장치(110~130)을 개방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230 basically closes all the locking devices 110 to 130 when the bus voltage is appli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and the safety of the equipment. However, even if the bus voltage is applied, the lock devices 110 to 130 are opene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unlocked information previously registered through the lock release information obtaining unit 220. [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230)는 메인 잠금장치(110)의 개방을 허여하는 잠금 해제정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와 잠금 해제정보 획득부(220)를 통해 획득된 잠금 해제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메인 잠금장치(110)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메인 잠금장치(110)가 정상적으로 개방되면, 서브 잠금장치(120,130)도 추가 개방함으로써, 작업자가 나머지 서브 잠금장치(120,130)에 잠금 해제 동작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수배전반 내 모든 작업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자신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information on unlocking information that allows the main locking device 110 to be opened, and compares the unlock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unlock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220 with a comparison / analysis result So as to determine whether the main locking device 110 is opened or not. When the main locking device 110 is normally opened, the sub locking devices 120 and 130 are further opened so that the worker can freely move all the work spaces in the sub-locking device 120 without performing any unlocking operation to the remaining sub locking devices 120 and 130 Allows you to perform the tasks you need.

한편,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제어부(230)는 이하의 표1에서와 같이 작업 권한에 따라 개방 가능한 작업 공간에 차등을 둠으로써, 작업자가 자신의 작업 권한이 없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작업 권한은 잠금 해제정보에 따라 구분되거나, 잠금 해제정보와 함께 입력되는 작업자 정보에 따라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if necessary, the control unit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difference in the openable work space according to the work right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reby preventing the worker from performing work without his / do. At this time, the task authority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nlocking information, or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orker information inputted together with the unlocking information.

작업 권한Task permissions 입력 정보 Input information 개방 공간Open space 1One 잠금 해제정보1
잠금 해제정보+작업자 정보1
Unlock information 1
Unlock information + operator information 1
sec1, sec2, sec3sec1, sec2, sec3
22 잠금 해제정보2
잠금 해제정보+작업자 정보2
Unlock information 2
Unlock Information + Worker Information 2
sec1, sec2sec1, sec2
33 잠금 해제정보3
잠금 해제정보+작업자 정보3
Unlock Information 3
Unlock Information + Worker Information 3
sec1sec1

더하여, 제어부(230)는 메인 잠금장치(110)의 폐쇄시에는 서브 잠금장치(120,130) 모두가 정상적으로 폐쇄되었는지 확인한 후, 메인 잠금장치(110)을 다시 폐쇄시켜 줌으로써, 작업자가 수배전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인이 메인 잠금장치(110)를 잠그게 되는 등의 문제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main locking device 110 is closed, the controller 230 checks whether all of the sub locking devices 120 and 130 are normally closed and then closes the main locking device 110 again. Thus, The main locking device 110 is prevented from being locked by an outside person.

그리고 제어부(230)는 모선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개방되는 경우, 잠금 해제정보 입력없이 잠금장치가 개방되는 경우, 잠금장치의 파손을 통해 잠금장치가 개방되는 경우 등과 같이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잠금장치가 감지되면, 즉각적으로 경고 발생 동작을 수행하거나, 경고 발생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연락처(예를들어, 전화번호, 이메일, 웹페이지 등)로 전송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locking device such that when the busbar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busbar voltage is applied, when the locking device is opened without inputting the unlocking information, when the locking device is opened through breakage of the locking device, If it is detected, an alert operation is immediately performed or a warning alert mess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contact (e.g., telephone number, e-mail, web page, etc.).

또한, 제어부(23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잠금장치(110~130)의 개폐 히스토리, 경고 발생 히스토리)를 수집 및 저장한 후, 작업자의 모바일 기기 또는 수배전반 관제 장치에 제공해줄 수도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t collects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230 (for example, the open / close history of the locks 110 to 130, the alert occurrence history), and provides the obtained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or the power- Let's do it.

데이터 입출력부(240)는 모니터, 버튼, 스크롤 버튼, 계기판 등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의 각종 요청 사항을 입력받거나, 수배전반 및 제어부(230)의 동작 상태를 작업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The data input / output unit 240 includes a monitor, a button, a scroll button, an instrument panel, and the like. The data input / output unit 240 inputs various requests of the operator or audibly informs the operator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witchboard and the controller 230.

다수의 알람 및 상태 표시등(251~253) 각각은 다수의 잠금장치(110~130)에 인접배치되며, 제어부(230)의 제어하에 자신에 인접 배치된 잠금장치(110~130)의 개방 여부를 표시해준다. 즉, 작업자가 다수의 알람 및 상태 표시등(251~253)을 통해 현재 개방 상태의 잠금장치(110~130)를 육안으로 손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alarms and status indicators 251 to 25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lock devices 110 to 130 and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ck devices 110 to 130 disposed adjacent thereto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 That is, the operator can easily identify the lock devices 110 to 130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e plurality of alarms and status indicators 251 to 253.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잠금장치의 개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nifying integrated management of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a method of opening a lock device.

먼저, 수배전반에 인가되는 모선 전압을 감지하여(S1), 모선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면(S2), 단계 S7로 즉각 진입하여 메인 잠금장치(110)의 개방 명령을 발생한 후(S7), 메인 잠금장치(110)가 정상적으로 개방된 경우에 한해 서브 잠금장치(120,130)에 일괄 개방 명령을 내리도록 한다(S8,S9).First, the busbar voltage applied to the switchboard is sensed (S1). If the busbar voltage is not applied (S2), immediately after entering the step S7, an open command for the main lock device 110 is generated (S7) (S8, S9) so as to issue a batch opening command to the sub locking devices 120 and 130 only when the main locking device 110 is normally opened.

반면, 모선 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면 메인 잠금장치(110) 및 서브 잠금장치(120,13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만, 작업자, 작업자의 모바일 기기, 또는 수배전반 관제 장치에 의해 잠금장치 개방을 위한 잠금 해제정보가 입력되면(S3), 제어부(230)는 획득된 잠금 해제정보와 기 등록된 잠금 해제정보와 비교하여 메인 잠금장치(110)의 개방 여부를 결정하고(S4), 이와 동시에 현재의 동작 모드를 확인한다(S5). On the other hand, when the bus line voltage is applied, the closed state of the main locking device 110 and the sub locking devices 120 and 130 is maintained. However, when the unlocking information for opening the locking device is input by the worker, the mobile device of the worker, or the power supply and distribution control device (S3), the controller 230 compares the acquired unlocking information with the previously registered unlocking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in locking device 110 is opened (S4), and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operation mode is confirmed (S5).

동작 모드의 확인 결과(S5),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모드가 일괄 개방 모드이면(S6), 우선 메인 잠금장치(110)의 개방 명령을 발생한 후(S7), 메인 잠금장치(110)가 정상적으로 개방된 경우에 한해 서브 잠금장치(120,130)에 일괄 개방 명령을 내리도록 한다(S8, S9).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lock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of the switchboard is in the batch release mode (S6), after the open command of the main lock device 110 is generated (S7), the main lock device 110 confirms the operation mode (S8, S9), the sub-lock apparatuses 120, 130 are instructed to release a batch release command only when they are normally opened.

반면, 동작 모드의 확인 결과(S5),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의 동작 모드가 일괄 개방 모드가 아니라면(S6), 잠금 해제정보의 종류 등을 기반으로 현재에 잠금장치 개방 동작을 요청한 작업자의 작업권한을 확인한 후, 작업자가 접근 가능한 작업 공간을 파악하도록 한다(S10). 그러고 나서, 메인 잠금장치(110)의 개방 명령을 발생한 후(S11), 메인 잠금장치(110)가 정상적으로 개방된 경우에 한해 작업자가 접근 가능한 작업 공간에 대응되는 서브 잠금장치(예를 들어, 120)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한다(S12, S13).
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ion mode of the lock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of the switchboard is not the unbundle open mode (S6), the operation mode of the worker who has requested the lock device opening operation at present based on the type of the unlocking information, After confirming the authority, the worker is allowed to grasp the accessible work space (S10). Subsequently, when an open command of the main locking device 110 is issued (S11), only when the main locking device 110 is normally opened, a sub lock device (for example, 120 (S12, S13).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잠금장치의 폐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tegrated management of locking of a switch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a method of closing a locking device.

먼저, 수배전반으로의 모선 전압을 인가 여부를 감지하여(S21), 모선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이면(S22), 모든 잠금장치를 일괄 폐쇄하도록 한다(S23). First, whether or not the busbar voltage to the switchboard is applied is detected (S21). If the busbar voltage is applied (S22), all lock devices are closed all at once (S23).

반면, 모선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이면(S22), 다음의 과정을 거쳐 잠금장치(110~130)가 순차적으로 폐쇄되도록 한다(S24~S29). 즉, 작업자, 작업자의 모바일 기기, 또는 수배전반 관제 장치에 의해 폐쇄 명령이 입력되면(S24), 제어부(230)는 서브 잠금장치(120, 130) 각각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S25), 서브 잠금장치(120, 130) 모두 폐쇄상태인지를 우선 확인하도록 한다(S26). On the other hand, if the bus voltage is not applied (S22), the locking devices 110 to 130 are sequentially clos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S24 to S29). That is, when a closing command is inputted by the worker, the operator's mobile device, or the powerhouse control apparatus (S24), the controller 230 monitors the statuses of the sublocks 120 and 130 (S25) It is first checked whether all the switches 120 and 130 are in a closed state (S26).

만약, 서브 잠금장치(120, 130) 모두가 폐쇄상태이면, 메인 잠금장치(110) 또한 즉각 폐쇄하도록 하되(S28), 그렇지 않으면 개방상태의 서브 잠금장치(120, 130)가 있어 메인 잠금장치(110)의 폐쇄가 불가함을 통보한 후하고 서브 잠금장치(120, 130) 모두가 폐쇄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하도록 한다(S29).
If both of the sub-locking devices 120 and 130 are closed, the main locking device 110 is also immediately closed (S28). Otherwise, the sub-locking devices 120 and 130 are in the open state, 110) is not allowed to be closed, and waits until both of the sub locking devices 120, 130 are closed (S29).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수배전반에 전면 도어에 결합된 메인 잠금장치;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후면 도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잠금장치;
잠금 해제정보를 획득하는 잠금 해제정보 획득부; 및
잠금 해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 잠금장치를 개방하되, 상기 메인 잠금장치가 성공적으로 개방되면 상기 서브 잠금장치를 추가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
A main locking device coupled to the front door at the switchboard;
At least one sub-locking device coupled to at least one rear door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switchgear;
An unlocking information acquiring unit acquiring unlocking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ler for opening the main locking device based on the unlocking information, and further opening the sub locking device when the main locking device is successfully op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정보 및 상기 잠금 해제정보의 입력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작업 권한을 추가 확인한 후, 작업 권한에 따라 상기 메인 잠금장치에 연속하여 개방되는 상기 서브 잠금장치의 종류를 달리해주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unction of changing the type of the sub locking device continuously opened to the main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working right after additionally checking the working righ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unlocking information and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unlocking information Wherein the lock-unlocking unit includes a lock-unlocking unit that locks the lock-unlock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개방 상태의 상기 메인 잠금장치에 대한 폐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잠금장치 각각이 모두 폐쇄되었음을 확인한 후에 상기 메인 잠금장치를 폐쇄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function of closing the main locking device after confirming that all of the sub locking devices are closed when a command to close the main locking device in an open state is inpu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잠금장치와 상기 서브 잠금장치 각각에 대응되어, 자신에 대응되는 잠금장치의 개방 여부를 통보해주는 다수의 알람 및 상태 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alarms and a status indicato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in lock device and the sub lock device and notifying whether the lock device corresponding to the main lock device is open or n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작업자 명령을 입력받는 데이터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ata input / output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the data input / out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or receiving an operator comm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배전반으로 모선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잠금장치와 상기 서브 잠금장치를 일괄 개방하고, 모선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잠금장치와 상기 서브 잠금장치를 일괄 폐쇄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잠금 통합 관리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function of opening the main lock device and the sub lock device all together when the bus line voltage is not supplied to the switchboard and closing the main lock device and the sub lock device when the bus line voltage is supplied Wherein the lock-unlocking unit comprises:
KR1020140127487A 2014-09-24 2014-09-24 Integration management of switchboard door KR101660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87A KR101660219B1 (en) 2014-09-24 2014-09-24 Integration management of switchboard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87A KR101660219B1 (en) 2014-09-24 2014-09-24 Integration management of switchboard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69A true KR20160035769A (en) 2016-04-01
KR101660219B1 KR101660219B1 (en) 2016-09-30

Family

ID=5579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487A KR101660219B1 (en) 2014-09-24 2014-09-24 Integration management of switchboard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2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729B1 (en) * 2021-07-21 2022-04-08 (주)더원에코파워텍 Energy harvesting wireless power on-line indicator and high voltage power facility having thereof
KR102382939B1 (en) * 2021-07-19 2022-04-08 유영희 Energy harvesting wireless electricity meter and high voltage power facility having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383A (en) * 2003-09-17 2005-03-2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Alarm apparatus for used with switch board
KR101035109B1 (en) * 2009-12-24 2011-05-19 주식회사 케이엔티 Admission and saf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of electricity room and switch board, and a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055336B1 (en) * 2010-05-27 2011-08-08 주식회사 솔모정보기술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witchboard
KR101379501B1 (en) * 2013-11-19 2014-04-04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Safe locking equipment of distribution panel using rfi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383A (en) * 2003-09-17 2005-03-2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Alarm apparatus for used with switch board
KR101035109B1 (en) * 2009-12-24 2011-05-19 주식회사 케이엔티 Admission and saf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of electricity room and switch board, and a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055336B1 (en) * 2010-05-27 2011-08-08 주식회사 솔모정보기술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witchboard
KR101379501B1 (en) * 2013-11-19 2014-04-04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Safe locking equipment of distribution panel using rf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939B1 (en) * 2021-07-19 2022-04-08 유영희 Energy harvesting wireless electricity meter and high voltage power facility having thereof
KR102382729B1 (en) * 2021-07-21 2022-04-08 (주)더원에코파워텍 Energy harvesting wireless power on-line indicator and high voltage power facility hav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219B1 (en)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86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motor control center
US75614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curing a motor control center
US11362489B2 (en) Substation for medium or high voltage, containing switchgear or controlgear with unmanned operation and maintenance
US8514054B2 (en) Personnel key tracking system
KR101621928B1 (en) Power distributor based on QR code and managing method thereof
US9965013B1 (en) Switchgear controller device
KR20160005480A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witchboard
KR20140004349A (en) Door locking system having a function of enhance a safety of operator in electric power equipments
KR101660219B1 (en) Integration management of switchboard door
US2022027628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Electrical Enclosure
CN103426215A (en) Doorlock control method for rescue of accident and system
US7340311B2 (en) Electrical panel access and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rue emergency stop and power buss lockout
KR101018865B1 (en) Detecting control device
KR101379501B1 (en) Safe locking equipment of distribution panel using rfid
US11062543B2 (en) On-demand credential for service personnel
US9711953B2 (en) Fuse disconnect safety switch (FDSS)
Prabhakar et al. Password based door lock system
KR101018863B1 (en) Detecting control device
KR101055336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witchboard
JP2011074647A (en) Room in/ou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032735B1 (en) Keeping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102626362B1 (en) Safety Detection and Facility Inspection System for Electric Panel
CN208299245U (en) A kind of active protecting device overhauling substation's observing and controlling cabinet protection cabinets
US9823721B1 (en) Switchgear controller device
KR102643845B1 (en) Integrated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apparatus for wireless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