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875A - Lens and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and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875A
KR20160034875A KR1020160029768A KR20160029768A KR20160034875A KR 20160034875 A KR20160034875 A KR 20160034875A KR 1020160029768 A KR1020160029768 A KR 1020160029768A KR 20160029768 A KR20160029768 A KR 20160029768A KR 20160034875 A KR20160034875 A KR 20160034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axis
outer diameter
line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9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4875A/en
Publication of KR2016003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8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solution of a lens is improved by matching a surface on an object side with a center of an upper side by generally converting a planar shape into a round shape when performing an injection molding in a mold. Additional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comprises a lens effective face and a flange part which forms surroundings of the lens effective face. The lens minimizes burrs and cracks by reducing a load applied to a cut portion using a vertical face with some of the flange part cut in a direction of the light axis.

Description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Lens and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LENS AND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and a lens module compri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외부 광이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상이 맺히게 되므로, 렌즈의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의 중심을 일치시켜야 한다.In general, since the external light is refra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to form an image, the object-side surface and the center of the image-side surface of the lens must be aligned with each other.

그러나, 금형을 통해 사출 성형되는 렌즈의 제조 과정에서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아 해상도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enter of the object-side surface and the surface of the upper side are not align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ens which is injection-molded through the mold, which adversely affects the resolution.

또한, 렌즈가 금형에서 사출 성형된 뒤에 수지재가 유입되는 부분을 절단할 때 발생하는 버(burr)가 렌즈 배럴의 내부면과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도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a burr generated when the lens is cut from a portion into which the resin material flows after injection molding is injected from the mold interfer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따라서, 렌즈의 제조 과정에서 버(burr)의 발생 및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렌즈의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refore, research is needed to make the centers of the object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lens coincide with each other while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burrs and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lens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의 물체측 면의 중심과 상측 면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는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and a lens module including the lens that can align the center of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lens with the center of the image side surface.

또한, 렌즈의 제조 과정에서 버(burr)의 발생 및 크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s and a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that can minimize the generation of burrs and the occurrence of crack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ens.

또한, 렌즈의 해상력을 향상시키고,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s and a lens module including the lens, which can improve the resolving power of the lens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금형에서 사출 성형될 때 평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하여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의 중심을 일치시킴으로써 렌즈의 해상력을 향상시킨다.The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anar shape as a whole when having a circular shape when injection-molded in a mold, thereby enhancing resolution of the lens by matching the centers of the object side surface and the upper side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는 렌즈 유효면과 상기 렌즈 유효면의 주변을 구성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경사면으로 제공되는 상기 플랜지부의 측면 일부가 광축 방향으로 절단된 수직면을 구비하도록 하여 절단 부위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버(burr)의 발생 및 크랙 발생을 최소화한다.A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nge portion constituting the lens effective surface and the periphery of the lens effective surface, and a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provided as an inclined surface has a vertical surface cu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load applied to the cut portion is reduced to minimize burrs and crack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를 사출 성형하는 금형은 하나의 가공 방법으로 가공되므로,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Since a mold for injection molding a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cessed by one processing method,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에 의하면, 렌즈의 물체측 면의 중심과 상측 면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lens and the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s of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lens and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surface can be matched.

또한, 렌즈의 제조 과정에서 버(burr)의 발생 및 크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generation of burrs and generation of cracks can be minimiz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ens.

또한, 렌즈의 해상력을 향상시키고,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olving power of the lens can be improv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측면도.
도 4a는 도 1에서 C-C' 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4b는 도 1에서 D-D' 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E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6b는 도 5의 F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측면도.
도 8a는 도 5에서 G-G' 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8b는 도 5에서 H-H' 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개략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I 부분의 확대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1, and FIG. 2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B of FIG.
3 is a side view of a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4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C 'portion in FIG.
FIG. 4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DD 'in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E in FIG. 5; FIG.
FIG. 6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F in FIG. 5; FIG.
7 is a side view of a le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GG 'in FIG. 5;
FIG. 8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HH 'in FIG. 5; FIG.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portion I i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easily suggested, but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configuration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nfiguration, including not only when the configurations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when they are indirectly connected with each other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광축 방향(O)은 렌즈(10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원주 방향은 상기 렌즈(100)의 둘레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모두 포함)을 의미한다.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 refers to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ens 100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efers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ens 100 (including both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100)는 광학면을 구성하는 렌즈 유효면(10) 및 상기 렌즈 유효면(10)의 주변부를 구성하는 플랜지부(20)를 포함한다.1, a len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effective surface 10 constituting an optical surface and a flange portion 20 constituting a peripheral portion of the lens effective surface 10 do.

상기 렌즈 유효면(10)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외부 광을 굴절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 유효면(10)은 구면 또는 비구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오목, 볼록 또는 매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lens effective surface 10 refracts external light reflected from the subject. To this end, the lens effective surface 10 may have a spherical or aspherical shape and may have a concave, convex or meniscus shape.

상기 플랜지부(20)는 상기 렌즈 유효면(10)의 주변부를 구성하며, 상기 렌즈 유효면(10)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The flange portion 20 constitutes a peripheral portion of the lens effective surface 10 and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lens effective surface 10.

여기서, 상기 렌즈 유효면(10) 중 앞면(물체측 면)을 제1 면(11)이라 하고, 뒷면(상측 면)을 제2 면(13)이라 한다.Here, the front surface (object side surface) of the lens effective surface 10 is referred to as a first surface 11 and the rear surface (upper surface) is referred to as a second surface 13.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되고, 금형을 통해 사출 성형된다.The len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injection-molded through a mold.

상기 외부 광이 상기 렌즈 유효면(10)을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상이 맺히게 되므로, 해상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렌즈(100)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상기 제1 면(11)의 중심과 상기 제2 면(13)의 중심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The external light is refra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lens effective surface 10 and the image is formed.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resolution, the center of the first surface 11 and the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13 ) Need to be matched.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렌즈가 금형을 통해 사출 성형된 뒤에, 수지재가 유입되는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그 절단 부위에 버(burr)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플라스틱 렌즈가 렌즈 배럴에 삽입될 때 상기 버(burr)가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과 간섭될 우려가 있다.Generally, after a plastic lens is injection-molded through a mold, a burr may occur at the cut portion in a process of removing a portion into which the resin material flows, and when the plastic lens is inserted into the lens barrel, burr may interfer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플라스틱 렌즈는 측면 일부가 잘린 형상을 갖도록 상기 금형을 통해 사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버(burr)와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General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lastic lens is injection-molded through the mold so that a part of the side surface has a cut-off shape. Therefor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ens barrel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bur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플라스틱 렌즈의 외형을 원형이 아닌 일부가 잘린 비대칭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플라스틱 렌즈를 사출 성형하는 상기 금형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에 의해 가공된다.
However, in order to injection-mold the outer shape of the plastic lens so that the outer shape of the plastic lens is not circular, but has a partially asymmetrical shape, the mold for injection molding the plastic lens is processed by the following two methods.

상기 금형 중에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의 렌즈 유효면과 플랜지부에 대응되는 부분은 다이아몬드 선삭 가공 장비(Diamond turning machine)에 의해 가공된다.Among the molds, the lens effective surface of the plastic lens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lange portion are processed by a diamond turning machine.

또한, 상기 금형 중에서 일부가 잘린 상기 플라스틱 렌즈의 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은 밀링 가공(Milling)에 의해 가공된다.In additio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plastic lens part of which is cut out is processed by milling.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스틱 렌즈의 평면 형상이 상기 플라스틱 렌즈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지므로, 일반적인 다이아몬드 선삭 가공 장비(Diamond turning machine)에 의하여는 상기 금형 가공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ane shape of the plastic lens has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lastic lens, the diamond machining is not easy by a general diamond turning machine.

따라서, 일반적으로 상기 금형 중에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의 측면 일부가 잘린 형상에 대응되는 부분은 밀링 가공(Milling)에 의해 가공되는데, 이와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가공된 상기 금형에 의해 상기 렌즈를 사출 성형하게 될 경우, 밀링 가공(Milling)에 의한 외경의 중심과 다이아몬드 선삭 가공(Diamond turning operation)에 의한 외경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generally, a part of the mold corresponding to a cut-off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plastic lens is processed by milling, and the lens is injection-molded by the mold processed by the two methods The center of the outer diameter by the milling and the center of the outer diameter by the diamond turning operation may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이에 의하여, 상기 플라스틱 렌즈의 제1 면의 중심과 제2 면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Thereb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enter of the first surface of the plastic lens does not match the center of the second surface.

또한, 밀링 가공(Milling)의 경우는 다이아몬드 선삭 가공(Diamond turning operation)보다 치수 정밀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플라스틱 렌즈를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에 삽입할 때, 억지끼움량의 산포가 커지는 문제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milling, since the dimensional precision is lower than that of diamond turning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scattering of the constraining amount increases when the plastic lens is inserted into the lens barrel.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렌즈(100)를 사출 성형하는 상기 금형을 다이아몬드 선삭 가공(Diamond turning operation)으로 가공하여, 상기 금형을 통해 사출 성형된 상기 렌즈(100)의 평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한다.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 for injection-molding the lens 100 is processed by a diamond turning operation, and the plane shape of the lens 100 injection-molded through the mold is entirely So as to have a circular shape.

다시 말하면, 상기 금형에서 사출 성형된 상기 렌즈(100)는 광축 방향(O)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In other words, the lens 100 injection-molded from the mold has a generally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100)는, 하나의 가공 방법(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선삭 가공(Diamond turning operation))으로 가공된 상기 금형에서 사출 성형되므로, 상기 렌즈(100)의 제1 면(11)의 중심과 상기 제2 면(13)의 중심이 일치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len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jection-molded from the mold processed by one processing method (for example, diamond turning operation) The center of the first surface 11 of the second surface 13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surface 13 coincide with each other.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100)는 상기 금형에서 사출 성형된 뒤에 수지재가 유입되는 부분을 절단하여야 하고, 절단 부위에 상기 버(burr)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렌즈(100)의 측면 일부를 광축 방향(O)으로 절단하여 상기 버(burr)의 회피 공간을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ens 100 has to cut off a portion into which the resin material is injected after injection molding in the mold and burrs may occur at the cut portion,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lens 100 And is cu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to form a space for avoiding the burr.

이때, 상기 렌즈(100)는 상기 금형에서 사출 성형된 뒤에 평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지나 추가적인 절단 공정에 의해 일부가 잘린 원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lens 100 has a circular shape as a whole after being injection-molded in the mold, but has a circular shape partially cut off by an additional cutting process.

따라서, 상기 렌즈(100)의 상기 플랜지부(20)의 측면 일부에는 광축 방향(O)으로 절단된 수직면(23)이 구비되게 된다.Therefore, a vertical surface 23 cu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20 of the lens 10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100)는 광축 방향(O)에서 바라볼 때, 일부가 잘린 원형의 형상을 가지게 되며, 결국 상기 렌즈(100)를 렌즈 배럴에 삽입할 때 버(burr)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en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the lens 100 has a partially cut circular shape. As a result, when the lens 100 is inserted into the lens barrel, the influence of the burr can be minimiz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100)는 제조 과정에서 상기 제1 면(11)의 중심과 상기 제2 면(13)의 중심을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렌즈(100)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수지재가 유입되는 부분을 절단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버(burr)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en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resolution of the lens 100 by matching the center of the first surface 11 with the center of the second surface 13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burrs that may occur when cutting the portion into which the resin material flows.

한편, 상기 렌즈(100)가 사출 성형된 뒤에 수지재가 유입되는 부분을 절단할 때 절단 부위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상기 렌즈(100)에 크랙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s 100 is injected and molded, the lens 100 may be cracked due to a load applied to the cut portion when cutting the portion into which the resin material flows.

또한, 절단되는 면적이 클수록 버(burr)가 발생될 확률도 높아지므로, 상기 렌즈(100)의 크랙 발생 및 버(burr)의 발생 억제를 위하여 상기 렌즈(100)에서 절단되는 면적을 줄일 필요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bability that a burr will be generated increases as the area to be cut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rea cut by the lens 100 in order to prevent cracks and burrs in the lens 100 have.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4b를 참조하여, 상기 렌즈(100)에서 절단되는 면적을 줄이는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reducing the area cut by the lens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2a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FIG. 2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1, and FIG. 2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B of FIG.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측면도이고, 도 4a는 도 1에서 C-C'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1에서 D-D'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3 is a side view of a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CC 'in FIG. 1, and FIG. 4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DD'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100)의 상기 플랜지부(20)의 측면은 경사면(21)을 구비한다.The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0 of the len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clined surface 21.

상기 경사면(21)에 의해 상기 렌즈(100)의 상기 제1 면(11)에서 상기 제2 면(13)으로 갈수록 상기 렌즈(100)의 직경이 증가한다.The diameter of the lens 100 increases from the first surface 11 to the second surface 13 of the lens 100 by the inclined surface 21.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면(21)에서 원주 방향으로의 임의의 두 점(a, a')을 연결하는 선은 곡선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경사면(21)은 곡면으로 제공된다.Referring to FIG. 2A, lines connecting any two points (a, a ')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21 are provided as curved lines.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21 is provided as a curved surface.

따라서, 상기 플랜지부(20)의 측면 일부를 광축 방향(O)으로 절단할 경우, 절단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고, 결국 절단 시 상기 렌즈(100)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상기 렌즈(100)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단 부위에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cutting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rea to be cut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lens 100 at the time of cutting is reduced, Crack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and generation of burrs at the cut portions can be suppressed.

상기 수직면(23)은 상기 플랜지부(20)의 측면 일부를 광축 방향(O)으로 절단하여 형성하므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면(23) 상의 임의의 두 점(b, b')을 연결하는 선은 직선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수직면(23)은 평면으로 제공된다.The vertical surface 23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so that two arbitrary points b, b 'on the vertical surface 23, as shown in FIG. A straight line is provided. That is, the vertical surface 23 is provided in a plan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면(21)과 상기 수직면(23)은 서로 접하며, 상기 경사면(21)과 상기 수직면(23)은 하나의 선을 공유한다. 즉, 상기 경사면(21)과 상기 수직면(23)은 하나의 교선(L1)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inclined surface 21 and the vertical surface 2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inclined surface 21 and the vertical surface 23 share one line.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21 and the vertical surface 23 have one intersecting line L1.

상기 경사면(21)이 곡면으로 제공되고, 상기 수직면(23)이 평면으로 제공되므로, 상기 경사면(21)과 상기 수직면(23) 사이의 상기 교선(L1)은 곡선이다.The inclined plane 21 is provided as a curved surface and the perpendicular line 23 is provided in a plane so that the line L1 between the inclined plane 21 and the vertical plane 23 is a curved line.

상기 수직면(23)은 상기 교선(L1)의 일단과 타단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직선(L2)을 구비한다.The vertical surface 23 has a straight line L2 connecting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ine L1 by the shortest distance.

즉, 상기 수직면(23)은 상기 교선(L1) 및 상기 교선(L1)의 일단과 타단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직선(L2)에 의해 둘러싸인 면이 된다.That is, the vertical surface 23 is a surface surrounded by a line L2 connecting the one end of the line L1 and the other end at the shortest distance.

또한, 상기 플랜지부(20)의 측면이 상기 경사면(21)으로 제공되므로, 광축 방향(O)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교선(L1)의 일단과 타단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직선(L2)과 상기 교선(L1)의 정점 사이의 최단거리(T1)는 상기 플랜지부(20)의 두께(T2)보다 작게 형성된다.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0 is provided as the inclined surface 21,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intersecting line L1 at the shortest distance The shortest distance T1 between the point L2 and the apex of the line L1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flange 20. [

상기 경사면(21)의 각도에 따라 상기 교선(L1)의 정점 위치가 정해지게 되며, 결국 상기 플랜지부(20)의 측면 일부가 절단되는 면적의 크기도 정해지게 된다.The vertex position of the line of intersection L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21 and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side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20 is cut is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100)에서, 상기 플랜지부(20)를 광축 방향(O)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광축과 평행한 임의의 선과 상기 경사면 사이의 각도(θ)는 10도를 초과할 수 있다.In the len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lange portion 20 is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an arbitrary line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and an angle? ) May exceed 10 degrees.

상기 각도(θ)가 10도 이하인 경우에는 절단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상기 렌즈(100)에 크랙 및 버(burr)가 발생될 우려가 높게 된다.
When the angle is less than 10 degrees, the area to be cut becomes relatively large,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cracks and burrs are generated in the lens 100.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의 E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5의 F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E of FIG. 5, and FIG. 6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F of FIG.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측면도이고, 도 8a는 도 5에서 G-G'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8b는 도 5에서 H-H'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7 is a side view of a le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a portion GG 'in FIG. 5, and FIG. 8B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a portion HH' in FIG.

도 5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200)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5 to 8B, a len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20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100)와 마찬가지로 다이아몬드 선삭 가공(Diamond turning operation)으로 가공된 상기 금형을 통해 사출 성형되며, 사출 성형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200)는 평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The len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jection-molded through the die machined by a diamond turning operation like the len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len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jection molded has a circular shape as a who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200)도 하나의 가공 방법(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선삭 가공(Diamond turning operation))으로 가공된 상기 금형에서 사출 성형되므로, 상기 렌즈(200)의 제1 면(11)의 중심과 상기 제2 면(13)의 중심이 일치하게 된다.
The len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njection-molded from the mold processed by one processing method (for example, a diamond turning operation) The center of the surface 11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surface 13 coincide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렌즈(200)가 사출 성형된 뒤에 수지재가 유입되는 부분을 절단할 때, 절단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200)의 플랜지부(30)는 직경이 일정한 제1 외경부(31) 및 직경이 변하는 제2 외경부(33)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30)의 측면은 일부가 광축 방향(O)으로 커팅된 수직면(35)을 구비한다.The flange portion 30 of the len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30 of the lens 200, And a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3 whose diameter is varied. The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30 has a vertical surface 35 whose part is cu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31 and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3 vary in diameter.

여기서, 상기 제1 외경부(31)와 상기 제2 외경부(33)는 상기 플랜지부(30)의 측면을 구성하는 곡면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외경부(33)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수직면(35)은 평면으로 구비된다.Here,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31 and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3 are formed as curved surfaces constituting the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30. In addition,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3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nd the vertical surface 35 is formed as a plane.

따라서, 상기 제1 외경부(31)에서 원주 방향으로의 임의의 두 점(e, e')을 연결하는 선은 곡선이 되고, 상기 제2 외경부(33)에서 원주 방향으로의 임의의 두 점(e'', e''')을 연결하는 선도 곡선이 되며, 상기 수직면(35) 상의 임의의 두 점(f, f')을 연결하는 선은 직선이 된다.Therefore, a line connecting any two points (e, e ')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31 is a curve, and a line connecting any two poin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3 And a line connecting any two points (f, f ') on the vertical plane 35 is a straight line.

상기 수직면(35)은 상기 플랜지부(30)의 측면 일부를 광축 방향(O)으로 절단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광축 방향(O)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수직면(35)은 상기 제1 외경부(31)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외경부(33)의 일부가 광축 방향(O)으로 절단되어 형성된다.
The vertical surface 35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3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 7, the vertical surface 35 includes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31 and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3 of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3, as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 [ A part of which is cu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

상기 수직면(35)은 상기 제1 외경부(31) 및 상기 제2 외경부(33)와 접하게 되며, 상기 제1 외경부(31)와 상기 수직면(35)은 두 개의 선을 공유한다. 또한, 상기 제2 외경부(33)와 상기 수직면(35)은 하나의 선을 공유한다.The vertical surface 35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31 and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3 and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31 and the vertical surface 35 share two lines. In addition,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3 and the vertical surface 35 share one line.

즉, 상기 제1 외경부(31)와 상기 수직면(35)은 두 개의 교선(L1-1, L1-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외경부(33)와 상기 수직면(35)은 하나의 교선(L2-1)을 구비한다.That is,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31 and the vertical surface 35 have two intersecting lines L1-1 and L1-2, and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3 and the vertical surface 35 have one And a line L2-1.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외경부(31)와 상기 수직면(35) 사이의 상기 두 개의 교선(L1-1, L1-2)은 직선이고, 상기 제2 외경부(33)와 상기 수직면(35) 사이의 상기 교선(L2-1)은 곡선이다.5, the two intersecting lines L1-1 and L1-2 between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31 and the vertical surface 35 are straight and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3 and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3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line L2-1 between the vertical surfaces 35 is a curved lin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200)에서 절단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1 외경부(31)의 광축 방향(O) 길이(31T)는 상기 제2 외경부(35)의 광축 방향(O) 길이(33T)보다 짧게 구비된다.The length 31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of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31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31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5 in order to reduce the area cut by the len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 length 33T.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100)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200)도 상기 제2 외경부(35)의 경사 각도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30)의 측면 일부가 절단되는 면적이 정해지게 된다.The len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mounted on the flange portion 30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35, The area where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wafer W is cut is determin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200)에서, 상기 플랜지부(30)를 광축 방향(O)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광축과 평행한 임의의 선과 상기 제2 외경부(35) 사이의 각도(θ)는 10도를 초과할 수 있다.In the len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lange portion 30 is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O, an arbitrary line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and a line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35 ) May exceed 10 degrees.

상기 각도(θ)가 10도 이하인 경우에는 절단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상기 렌즈(200)에 크랙 및 버(burr)가 발생될 우려가 높게 된다.
When the angle is less than 10 degrees, the area to be cut becomes relatively large,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cracks and burrs are generated in the lens 200.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I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FIG. 9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portion I of FIG.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300)은, 복수의 렌즈(100, 200) 및 렌즈 배럴(40)을 포함한다.
9 and 10, a lens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100 and 200 and a lens barrel 40.

상기 렌즈 배럴(4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상기 복수의 렌즈(100, 20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렌즈(100, 200)는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40)에 구비된다.The lens barrel 40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plurality of lenses 100 and 200 for capturing an object may be accommodated therein. The plurality of lenses 100 and 200 may include a lens barrel 40, And is provided on the barrel 40.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렌즈(100, 20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이다.Here, the plurality of lenses 100 and 200 are len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상기 복수의 렌즈(100, 200)는 상기 렌즈 모듈(300)의 설계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적층되며, 상기 복수의 렌즈(100, 200)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The plurality of lenses 100 and 200 are stacked as many as necessary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lens module 300. The plurality of lenses 100 and 200 have the same or different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efractive index.

상기 복수의 렌즈(100, 200)의 측면은 경사면(21, 31)을 포함하므로, 상기 복수의 렌즈(100, 200)의 측면과 상기 렌즈 배럴(40)의 내부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회피부(50)로 기능한다.Since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lenses 100 and 200 include the inclined surfaces 21 and 31,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lenses 100 and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40 And the space functions as the skin 50.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렌즈의 구성에 의해 상기 렌즈(100, 200)를 절단할 때 버(burr)의 발생을 최소화하더라도 버(burr)가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렌즈(100, 200)의 측면과 상기 렌즈 배럴(40)의 내부면 사이에는 상기 회피부(50)로서 상기 공간이 형성되므로, 버(burr)가 상기 렌즈 배럴(4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burrs are generated even when the generation of burrs is minimized when the lenses 100 and 200 are cut by the configuration of the 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lens barrel 4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40 so that the burr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lens barrel 40.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은, 렌즈의 물체측 면의 중심과 상측 면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lens and the lens module including the 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the center of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lens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또한, 렌즈의 제조 과정에서 버(burr)의 발생 및 크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generation of burrs and generation of cracks can be minimiz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ens.

또한, 렌즈의 해상력을 향상시키고,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olving power of the lens can be improv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200: 렌즈 10: 렌즈 유효면
11: 제1 면 13: 제2 면
20, 30: 플랜지부 21: 경사면
23, 35: 수직면 31: 제1 외경부
33: 제2 외경부 40: 렌즈 배럴
300: 렌즈 모듈
100, 200: lens 10: lens effective surface
11: first side 13: second side
20, 30: flange portion 21: inclined surface
23, 35: vertical surface 31: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33: second outside diameter portion 40: lens barrel
300: Lens module

Claims (18)

광학면을 구성하는 렌즈 유효면; 및
상기 렌즈 유효면의 주변부를 구성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측면의 일부는 광축 방향으로 커팅된 수직면이고,
상기 플랜지부의 측면 중 상기 수직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곡률을 가진 경사면이며,
상기 경사면과 상기 수직면 사이의 교선은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곡선인 렌즈.
A lens effective surface constituting an optical surface; And
And a flange portion constituting a peripheral portion of the lens effective surface,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is a vertical surface cu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excluding the vertical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Wherein a line of intersection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vertical surface is curved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서 원주 방향으로의 임의의 두 점을 연결하는 선은 곡선인 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ine connecting any two poin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clined surface is a curved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 상의 임의의 두 점을 연결하는 선은 직선인 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ine connecting any two points on the vertical plane is a straight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은 상기 교선의 일단과 타단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직선을 구비하는 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plane has a straight line connec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ine of intersection at the shortest distan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교선의 정점과 상기 직선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보다 작은 렌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apex of the line of intersection and the straight line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lange portion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를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광축과 평행한 임의의 선과 상기 경사면 사이의 각도가 10도를 초과하는 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ngle between an arbitrary line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and the inclined surface exceeds 10 degrees when the flange portion is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효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물체측 면의 중심과 상측 면의 중심이 일치하는 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effective surface and the center of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수직면 사이의 교선은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
Figure pat00001
' 형상인 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 line of intersection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vertical surface is'
Figure pat00001
'A lens that is shaped.
광학면을 구성하는 렌즈 유효면; 및
상기 렌즈 유효면의 주변부를 구성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직경이 일정한 제1 외경부 및 직경이 변하는 제2 외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측면의 일부에는 상기 제1 외경부와 상기 제2 외경부의 일부가 광축 방향으로 커팅된 수직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외경부와 상기 수직면 사이의 교선은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곡선인 렌즈.
A lens effective surface constituting an optical surface; And
And a flange portion constituting a peripheral portion of the lens effective surface,
Wherein the flange portion includes a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having a constant diameter and a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having a variable diameter, and a vertical surface having a portion of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cu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provided in a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line of intersection between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and the vertical plane is curved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경부와 상기 수직면 사이의 교선은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
Figure pat00002
' 형상인 렌즈.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 line of intersection between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and the vertical plane is'
Figure pat00002
'A lens that is shap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경부의 상기 광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2 외경부의 상기 광축 방향 길이보다 짧은 렌즈.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ngth of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 상의 임의의 두 점을 연결하는 선은 직선인 렌즈.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line connecting any two points on the vertical plane is a straight li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은 상기 제1 외경부 및 상기 제2 외경부와 접하는 렌즈.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vertic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경부와 상기 수직면 사이의 교선은 직선인 렌즈.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line of intersection between the first outer diameter portion and the vertical plane is a straight li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를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광축과 평행한 임의의 선과 상기 제2 외경부 사이의 각도가 10도를 초과하는 렌즈.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 angle between an arbitrary line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and the second outer diameter portion exceeds 10 degrees when the flange portion is view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효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물체측 면의 중심과 상측 면의 중심이 일치하는 렌즈.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ns effective surface and the center of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및
상기 렌즈를 내부에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A le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And
And a lens barrel accommodating the lens therei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측면과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렌즈 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 space is formed between a side surface of the lens and an inn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KR1020160029768A 2016-03-11 2016-03-11 Lens and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600348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768A KR20160034875A (en) 2016-03-11 2016-03-11 Lens and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768A KR20160034875A (en) 2016-03-11 2016-03-11 Lens and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048 Division 2014-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875A true KR20160034875A (en) 2016-03-30

Family

ID=5566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768A KR20160034875A (en) 2016-03-11 2016-03-11 Lens and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487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597A (en) * 2021-01-04 2022-07-12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WO2022235108A1 (en) * 2021-05-06 2022-1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597A (en) * 2021-01-04 2022-07-12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WO2022235108A1 (en) * 2021-05-06 2022-1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7389B2 (en) Photograph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9507117B2 (en) Lens module
US9007690B2 (en) Lens array
KR101503982B1 (en) Lens module
CN110908071B (en) Optical imaging system
TWI739144B (en) Optical imaging system
TW201543100A (en) Dual-shot injection molded optical components
CN114624861A (en) Optical imaging system
US20150062727A1 (en) Lens and lens module
CN113970838A (en) Lens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9120725A (en) Lens unit and metal mold manufacturing method
KR20160034875A (en) Lens and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07086149A (en) Optical lens, optical system using the same, metallic mold for molding optical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lens
US7986470B2 (en) Aperture stop and lens module
KR20150129514A (en) Lens and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07147830A (en) Super wide-angle lens and recognition device mounted with same
JP2023026594A (en) Optical element, optical system and imaging device
JP5914895B2 (en) Fresnel lens
JP2003161812A (en) Circular column lens with slant face
JP6957133B2 (en) Glass molding lens, lens molding equipment and lens manufacturing method
KR102584962B1 (en) 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170051110A (en) Collimating lens
KR20150101352A (en) Lens Module
US20200049924A1 (en) Optical lens
KR20140102002A (en) Array lens and array lens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