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756A - Bottom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normal information based depth image - Google Patents

Bottom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normal information based depth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756A
KR20160034756A KR1020140126145A KR20140126145A KR20160034756A KR 20160034756 A KR20160034756 A KR 20160034756A KR 1020140126145 A KR1020140126145 A KR 1020140126145A KR 20140126145 A KR20140126145 A KR 20140126145A KR 20160034756 A KR20160034756 A KR 20160034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rmal vector
pixel
normal
vecto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0632B1 (en
Inventor
윤민철
이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4012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632B1/en
Publication of KR2016003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6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12Image segmentation details
    • G06T2207/20164Salient point detection; Corner detec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which detects a bottom area by using normal vectors of each pixel from a depth image captured from a three-dimensional camera. The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a) receiving the depth image; (b) extracting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of the pixel; (c) calculating the normal vectors of the pixels; (d) selecting a normal vector of the bottom; (e) rotation-converting the same; and (f) detecting the bottom area. After the step (f), the normal vector of the bottom is corrected by using the detected bottom pixel, and the steps (e) and (f) can be repeatedly performed.

Description

깊이영상 기반 노멀정보를 이용한 바닥검출 장치 및 그 방법 {Bottom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normal information based depth ima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pth detectio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깊이영상에서 각 픽셀의 노멀벡터를 이용하여 바닥영역을 검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bottom region using a normal vector of each pixel in a depth image photographed by a three-dimensional camera.

3차원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깊이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추적함에 있어 바닥 영역의 검출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입력된 영상에서 바닥 영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필요가 있다. Detection of the bottom reg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racking the motion of the object using depth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3D camer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quickly and accurately detect the bottom area of the input image.

이러한 바닥 영역의 검출을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 특허출원 제10-2013-0073736호에서는 3차원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정보 중 높이 좌표값의 최소값에 인접한 적어도 3개의 점을 선정하고, 선정된 점을 지나는 평면 방정식의 계수를 산출하여 바닥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As a conventional method for detecting such a floor area,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73736,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a three-dimensional camera is received and at least three points adjacent to a minimum value of a height coordinate value among image information are selected , And a method of detecting the bottom area by calculating the coefficients of the plane equation passing through the selected point is proposed.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바닥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3점이 잘못 찾아질 경우, 바닥의 오차가 커져 정밀한 바닥 검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in such a method, when three points for detecting the bottom region are mistakenly detec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the floor because the error of the floor becomes lar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깊이영상 정보에서 추출된 각 픽셀의 공간좌표 정보와 그로부터 계산된 노멀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바닥영역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earching a depth region by using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pixel extracted from depth image information and normal vector information calculated therefrom, And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ccurately detecting the sam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검출 장치는, 3차원 카메라가 촬영한 건물 내부의 깊이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깊이 영상에서 모든 픽셀의 3차원 좌표값를 추출하는 좌표 추출부; 상기 추출된 좌표값으로부터 모든 픽셀에서의 노멀벡터를 계산하는 노멀벡터 계산부; 상기 계산된 노멀벡터의 집합에서 바닥의 노멀벡터를 선택하는 바닥노멀 선택부; 상기 선택된 바닥의 노멀벡터 방향이 3차원 좌표 상 높이축(z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변환하는 좌표 변환부; 및 상기 회전변환에 따른 각 픽셀의3차원 좌표값와 노멀벡터를 이용하여 바닥영역을 검출하는 바닥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검출된 바닥 픽셀을 이용하여 보정된 바닥의 노멀벡터를 산출하는 바닥노멀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or detecting apparatus including: a video input unit receiving a depth image of a building taken by a 3D camera; A coordinate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of all the pixels in the input depth image; A normal vector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normal vector at all pixels from the extracted coordinate values; A bottom norma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bottom normal vector from the set of the calculated normal vectors; A coordinate transformation unit for performing a rotation transformation such that the normal vector direction of the selected bottom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height axis (z-axis) of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And a bottom detector for detecting a bottom area using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and the normal vector of each pixel according to the rotation transformation, and a bottom normal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bottom normal vector using the detected bottom pixel, And may further include a correction unit.

상기 바닥노멀 선택부에서는, 상기 3차원 좌표값 중 높이값(z값)이 임계값(th1) 이하인 픽셀의 노멀벡터로써, 상기 노멀벡터 중 최빈 방향의 노멀벡터를 바닥의 노멀벡터로 선택할 수 있다.In the bottom normal selection unit, the normal vector of the normal direction among the normal vectors may be selected as the normal vector of the bottom, as the normal vector of pixels having the height value (z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1 .

상기 바닥 검출부에서는, 상기 회전변환에 따른 각 픽셀의 z값 중 최소값과의 차이가 임계값(th2) 이하의 z값을 갖는 픽셀로써, 상기 선택된 픽셀 중 픽셀의 노멀벡터와 바닥 노멀벡터의 차이가 임계값(th3) 이하인 픽셀을 검출할 수 있다.In the bottom detecting unit, a difference between a normal vector of the selected pixel and a bottom normal vector is a pixel having a z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threshold value th2, It is possible to detect a pixel that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3.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검출 방법은, (a)3차원 카메라가 촬영한 건물 내부의 깊이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b)상기 입력받은 깊이 영상에서 모든 픽셀의 3차원 좌표값를 추출하는 단계; (c)상기 추출된 좌표값으로부터 모든 픽셀에서의 노멀벡터를 계산하는 단계; (d)상기 계산된 노멀벡터의 집합에서 바닥의 노멀벡터를 선택하는 단계; (e)상기 선택된 바닥의 노멀벡터 방향이 3차원 좌표 상 높이축(z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변환하는 단계; 및 (f)상기 회전변환에 따른 각 픽셀의3차원 좌표값와 노멀벡터를 이용하여 바닥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단계 이후, 검출된 바닥 픽셀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의 노멀벡터를 보정하고, 상기 (e) 단계 및 (f)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or detection method including: (a) receiving a depth image of a building taken by a three-dimensional camera; (b) extracting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of all the pixels in the input depth image; (c) calculating a normal vector at every pixel from the extracted coordinate values; (d) selecting a bottom normal vector from the set of calculated normal vectors; (e) rotationally transforming the normal vector direction of the selected bottom to coincide with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n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And (f) detecting a bottom region using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and a normal vector of each pixel according to the rotation transformation, wherein, after the step (f) The vector may be corrected, and the steps (e) and (f) may be repeated.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3차원 좌표값 중 높이값(z값)이 임계값 이하인 픽셀의 노멀벡터로써, 상기 노멀벡터 중 최빈 방향의 노멀벡터를 바닥의 노멀벡터로 선택할 수 있다.In the step (d), the normal vector of the normal direction among the normal vectors may be selected as the normal vector of the bottom, as the normal vector of pixels having the height value (z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or less.

상기 (f) 단계에서는, 상기 회전변환에 따른 각 픽셀의 z값 중 최소값과의 차이가 임계값(th2) 이하의 z값을 갖는 픽셀로써, 상기 선택된 픽셀 중 픽셀의 노멀벡터와 바닥 노멀벡터의 차이가 임계값(th3) 이하인 픽셀을 바닥으로 검출할 수 있다.In the step (f), a pixel having a z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threshold value th2, the difference between the z value of each pixel according to the rotation transformation, and the minimum value, A pixel whose differen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3 can be detected as the botto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검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Further, the floor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에 따르면, 깊이영상 정보를 이용한 영상처리를 통해 자동으로 바닥영역을 검출함으로써, 3차원 카메라 설치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바닥면 지정과 같은 수동적인 작업이 필요없게 되며, 카메라의 방향이 바뀌거나 환경변화 등으로 인해 깊이영상 정보가 달라지더라도 적응적으로 바닥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area is automatically detect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using the depth image information, so that passive operation such as floor designation by the user's input is unnecessary when the 3D camera is installed and the direction of the camera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bottom area adaptively even if the depth information is changed due to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or the like.

또한, 깊이영상 정보에서 추출된 공간좌표 정보와 노멀벡터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바닥노멀을 추정하고, 회전변환을 반복함으로써, 1개의 영상 만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바닥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normal is estimated using both the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normal vector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epth image information, and the rotation transformation is repeated, so that a more accurate bottom region can be detected using only one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3차원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컬러영상 및 깊이영상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바닥의 노멀벡터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깊이 영상의 3차원 좌표를 회변 변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oor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lor image and a depth image photographed from the three-dimensional camera,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normal vector selection process of the floor,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a depth imag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ottom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use.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appropriately express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or the practice of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깊이영상 기반 노멀벡터를 이용한 바닥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검출 장치는 영상 입력부(10), 좌표 추출부(20), 노멀벡터 계산부(30), 바닥노멀 선택부(40), 좌표 변환부(50) 및 바닥 검출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floor detecting apparatus using depth vector-based normal vec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floor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10, a coordinate extraction unit 20, a normal vector calculation unit 30, a floor normal selection unit 40, a coordinate transformation unit 50, And a floor detecting unit 60. [

영상 입력부(10)는 건물 내부에 감시가 요구되는 지역에 설치된 3차원 카메라가 촬영한 컬러영상 및 깊이영상을 입력받으며, 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좌표 추출부(20)로 제공한다. 도 2에서는 3차원 카메라가 촬영한 컬러영상 및 깊이영상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깊이영상에는 2차원 영상의 각 픽셀별로 3차원 카메라로부터 이격된 거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The image input unit 10 receives a color image and a depth image captured by a three-dimensional camera installed in an area where monitoring is required, and provides image information on the color image and the depth image to the coordinate extraction unit 20. 2 shows an example of a color image and a depth image captured by a three-dimensional camera. At this time, the depth image includes distance information separated from the three-dimensional camera for each pixel of the two-dimensional image.

좌표 추출부(20)는 영상 입력부(10)로부터 제공받은 깊이 영상에서 각 픽셀의 3차원 좌표를 추출하여, 노멀벡터 계산부(30)와 바닥노멀 선택부(40)에 제공한다. 여기서, 3차원 좌표는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루어진 직교 좌표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평면을 zx 평면으로 하고 y축으로는 깊이정보에 따른 3차원 카메라와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의의 픽셀 (i, j)에서의 3차원 좌표(P i,j)는 (x, y, z)로 표현될 수 있다.The coordinate extraction unit 20 extracts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each pixel from the depth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input unit 10 and provides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to the normal vector calculation unit 30 and the bottom normal selection unit 40. Here,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is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composed of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As shown in Fig. 2, the image plane is set as the zx plane and the y- . Accordingly,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P i, j ) at any pixel (i, j) can be expressed by (x, y, z).

노멀벡터 계산부(30)는 좌표 추출부(20)에서 추출된 각 픽셀의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모든 픽셀에서의 노멀 벡터(normal vector)를 계산하며, 이를 바닥노멀 선택부(40)와 바닥 검출부(60)에 제공한다.The normal vector calculation unit 30 calculates a normal vector in all the pixels using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each pixel extracted by the coordinate extraction unit 20 and supplies the normal vector to the bottom normal selection unit 40 and the bottom normal selection unit 40. [ And provides it to the detection unit 60.

여기서, 임의의 픽셀 (i, j)에서의 노멀벡터(Ni, j)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인접한 픽셀의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외적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Here, the normal vector (N i, j) in any pixel (i, j) may be calculated by the cross product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adjacent pixel in accordance with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N i, j = (P(i+1), j - Pi , j) × (Pi , (j+1) - Pi , j) N i, j = (P ( i + 1), j - P i, j) × (P i, (j + 1) - P i, j)

또한, 노멀벡터 계산부(30)는 모든 픽셀에서의 노멀벡터를 계산한 후,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라 각 픽셀의 노멀벡터에 인접한 픽셀의 노멀벡터를 모두 더한 후 정규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픽셀의 깊이값이 0 인 부분은은 더할 때 제외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normal vector calculation unit 30 may calculate the normal vectors at all the pixels, and then normalize the normal vectors by adding all the normal vectors of the pixels adjacent to the normal vector of each pixel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2) hav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exclude the portion where the depth value of the adjacent pixel is 0 when adding the silver.

[수학식 2]&Quot; (2) "

i, j = Normalize ( N(i+1), (j+1) + N(i+1), j + N(i+1), (j-1) + Ni , (j+1) + Ni , j + Ni , (j-1) + N(i-1), (j+1) + N(i-1), j + N(i-1), (j-1) ) N'i, j = Normalize (N (i + 1), (j + 1) + N (i + 1), j + N (i + 1), (j-1) + N i, (j + 1 ) + N i, j + N i, (j-1) + N (i-1), (j + 1) + N (i-1), j + N (i-1), (j-1) )

이로써, 각 픽셀에서의 노멀벡터는 크기 1의 단위벡터가 되어 이후 영상처리 단계에서 연산량을 줄이고, 영상내 객체에서 노멀벡터를 보다 매끄럽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노멀벡터의 스무딩과 계산에는 GPU 등의 병렬 프로그램을 이용한 가속을 사용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normal vector in each pixel becomes a unit vector of size 1, and the amount of computation in the image processing step thereafter can be reduced, and the normal vector can be processed more smoothly in the object in the image. On the other hand, acceleration using a parallel program such as a GPU can be used for smoothing and calculating the normal vector.

바닥노멀 선택부(40)는 죄표 추출부(20)에서 추출된 각 픽셀의 3차원 좌표와 노멀벡터 계산부(30)에서 계산된 각 픽셀의 노멀벡터를 기반으로, 모든 픽셀의 노멀벡터 중 바닥의 성질을 가장 많이 갖는 노멀벡터를 바닥의 노멀벡터로 선택하고, 이를 회전 변환부(50)로 제공한다.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each pixel extracted by the coordinate extraction unit 20 and the normal vector of each pixel calculated by the normal vector calculation unit 30, the bottom normal selection unit 40 selects a bottom normal among the normal vectors of all pixels, The normal vector having the greatest property is selected as the bottom normal vector, and the rotation vector is provided to the rotation conversion unit 50.

영상내 존재하는 바닥의 경우, 일반적으로 3차원 좌표값 중 높이값(z값)이 작은 픽셀로 구성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감시 카메라는 감시구역 촬영을 위해 벽면 상부 또는 천장에 설치되며, 일정한 각도로 아래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촬영된 영상에서 바닥은 아래 쪽에 위치하게 되는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In the case of a floor existing in an imag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height value (z value) among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is generally composed of pixels having a small value. This is because the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r above the wall to shoot the surveillance zone, and the bottom of the surveillance image is generally located downward because the surveillance camera is directed downward at a certain angle.

또한, 바닥의 노멀벡터는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을 가리키게 되는데, 책상면 등과 같이 바닥면과 평행한 모든 물체의 노멀벡터 역시 바닥의 노멀벡터와 같은 방향을 가리키게 된다. 그렇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의 노멀벡터는 전체 노멀벡터 중 최빈 방향의 노멀벡터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경우 벽면이나 천장의 노멀벡터는 제외시킴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normal vector at the bottom indicate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or. The normal vector of all objects parallel to the floor, such as a desk surface, also point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normal vector at the bottom. If so, as shown in Fig. 3, the bottom normal vector is likely to be the normal vector of the most normal direction among all the normal vectors. Howev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exclude the normal vector of the wall or ceiling .

이와 같은 바닥의 성질을 나타내는 두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모든 픽셀의 노멀벡터 중 바닥으로 추정되는 픽셀의 노멀벡터를 선택하게 된다.Considering these two factors of the bottom property, the normal vector of the pixel estimated as the bottom among the normal vectors of all the pixels is selected.

구체적으로, 각 픽셀의 노말 벡터를 원점을 시작점이 되도록 이동하게 되면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1인 구면위에 한점으로 대응된다. 이때 구면 위에서 노말 벡터가 모여 있는 곳을 찾게 되면, 즉 최빈값을 구하게 되면 노말벡터를 근사하는 벡터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최빈값을 간단히 찾기 위해서 반지름 1인 구를 구역별로 나누고 각 구역에 속하는 픽셀의 개수를 이용해서 바닥노말이 속하는 구역을 찾게된다. Specifically, if the normal vector of each pixel is moved so as to be the starting point, it corresponds to one point on the spherical surface having the radius of 1 with the origin as the center. At this time, if we find the place where the normal vector is gathered on the spherical surface, that is, the mode is found, a vector approximating the normal vector can be found. To find these modes simply, we divide the spheres of radius 1 into zones and use the number of pixels belonging to each zone to find the zone to which the bottom norm belongs.

간단하게는 구를 포함하는 3차원 공간을 정사각형 모양의 셀(cell)로 나누고 노말벡터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셀을 근사화된 노말벡터 후보로 한다. 그리고, 셀 중에서 벽면일 가능성이 큰 셀은 제외한다. 이때 카메라가 좌우로 45도 이상 기울어져 있지 않다는 가정을 이용하게 된다. 구해진 셀의 중심을 정규화 한 값을 노멀벡터의 대표값으로 한다.In simple terms, a three-dimensional space containing a sphere is divided into square cells and a cell containing the largest number of normal vectors is used as an approximated normal vector candidate. Cells that are likely to be wall surfaces are excluded. At this time, the assumption is that the camera is not tilted to the left or right by more than 45 degrees. The value obtained by normalizing the center of the obtained cell is taken as a representative value of the normal vector.

구할 때 이미지 상에서 상단 p3 % 픽셀은 제외한다. p3은 파라미터로 20 내외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픽셀은 바닥일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설사 바닥이더라도 제외한다고 해서 바닥 검출에 오류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이 경우 카메라가 위를 바라보고 있거나 뒤집혀져 있지 않다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When calculating, we exclude the top 3% pixels on the image. p3 can be set to about 20 as a parameter, and it is unlikely that such a pixel is bottomed out, and even if the bottom is excluded, it does not cause an error in floor detection. However, in this case, it should be assumed that the camera is not looking up or upside down.

좌표 변환부(50)는 바닥노멀 선택부(40)에서 추정된 바닥의 노멀벡터 방향이 3차원 좌표 상 높이축(z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변환을 수행하여 각 픽셀의 좌표를 변환하고, 이를 바닥 검출부(60)로 제공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추출된 3차원 좌표 상 바닥면은 카메라의 설치 각도나 카메라와 바닥과의 거리차 등으로 인해 xy평면과 평행하지 않고 일정 각도를 형성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바닥의 노멀벡터의 방향도 z축 방향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바닥영역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바닥의 노멀벡터 방향과 z축 방향을 일치시키는 좌표변환이 필요하다.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unit 50 performs rotation transformation so that the normal vector direction of the floor estimated by the bottom normal selection unit 40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height axis (z-axis) of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to transform the coordinates of each pixel, And provides it to the bottom detector 60.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bottom surface on the extracted three-dimensional coordinate forms a certain angle not parallel to the xy plane due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amera, the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floor, The direction of the normal vector at the bottom does not coincide with the z-axis direction. Therefore, coordinate conversion is required to coincide the normal vector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of the bottom so that the bottom area can be easily detected.

이때 회전변환 행렬을 R이라 할 때, 행렬 R은 아래의 수학식 3을 통해 계산될 수 있으며, 변환된 각 픽셀의 좌표(P?, j)는 수학식 4에 따라 산출된다.At this time, when the rotation transformation matrix is R, the matrix R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and the coordinates (P ? , j ) of each transformed pixel ar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4).

[수학식 3]&Quot; (3) "

[NT (1,0,0)T (N×(1,0,0))T] R = [(0,0,1) T (1,0,0) T (0,1,0) T] [N T (1,0,0) T ( N × (1,0,0)) T] R = [(0,0,1) T (1,0,0) T (0,1,0) T ]

R = [NT (1,0,0) T (N×(1,0,0)) T]-1 [ (0,0,1) T (1,0,0) T (0,1,0) T] R = [N T (1,0,0) T (N × (1,0,0)) T] -1 [(0,0,1) T (1,0,0) T (0,1, 0) T ]

여기서, N은 선택된 바닥의 노멀벡터이고, [ ]는 3*3 행렬, [ ]-1 는 역행렬, T는 전치행렬(transpose matrix)을 나타낸다.Where N is the normal vector of the selected bottom, [] is the 3 * 3 matrix, [] -1 is the inverse matrix, and T is the transpose matrix.

[수학식 4]&Quot; (4) "

i, j = R * P i,j P i, j = R * P i, j

바닥 검출부(60)는 회전 변환부(50)에서 변환된 각 픽셀의 좌표값과 노멀벡터 계산부(30)에서 계산된 각 픽셀의 노멀벡터를 기반으로 바닥영역을 검출한다. The bottom detecting unit 60 detects the bottom area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pixels converted by the rotation converting unit 50 and the normal vectors of the pixels calculated by the normal vector calculating unit 30.

즉, 모든 픽셀 중 회전 변환된 좌표값에서 z값이 작고, 바닥의 노멀벡터 방향과 유사한 노멀벡터 방향을 갖는 픽셀을 선택함으로써, 바닥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일례로 아래의 수학식 5를 만족하는 픽셀을 바닥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That is, the bottom region can be detected by selecting a pixel whose z value is small in the rotation-transformed coordinate values of all the pixels and has a normal vector direction similar to the normal vector direction of the bottom. For example, a pixel satisfying the following expression (5) can be detected as a bottom area.

[수학식 5]&Quot; (5) "

(P´i, j.z - P´min _z) * (P´i, j - P´min _z) - p4 * (Nij- N) *(Nij- N) < p5 (P'i, j z -. P'min _z) * (P'i, j - P'min _z) - p4 * (N ij - N) * (N ij - N) <p5

여기서, P´i, j.z-과 Nij는 각각 픽셀 (i, j)에서의 회전 변환된 z축 좌표값 및 노멀벡터이고, P´min _z는 회전 변환된 좌표에서 전체 픽셀의 z축 좌표값 중 최소값이며, N은 추정된 바닥의 노멀벡터이다. 그리고, p4 및 p5는 기 설정된 파라미터 값을 나타낸다.Here, P'i , j . and z- N ij with each pixel (i, j) rotating the transformed z coordinate values and a normal vector, P'_z min is the minimum value of the z coordinate values of the whole pixels in the rotated coordinate conversion in, N is Is the normal vector of the estimated floor. And, p4 and p5 represent preset parameter values.

바닥노멀 보정부(70)는 검출된 바닥 픽셀을 이용하여 보정된 바닥의 노멀벡터(N´)를 산출하고 이를 회전 변환부(50)로 제공한다.The bottom normal correction unit 70 calculates the normal vector N 'of the corrected bottom using the detected bottom pixel and provides it to the rotation conversion unit 50.

예를 들어, 바닥노멀 보정부(70)는 검출된 바닥 픽셀의 좌표정보로부터 평면 방정식을 산출한다. 이때, 평면 방정식을 ax + by + cz + d = 0 이라고 하면, 아래의 수학식 6을 최소로하는 a, b, c를 계산한다.For example, the bottom normal correction unit 70 calculates a plane equation from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etected bottom pixel. At this time, if a plane equation is ax + by + cz + d = 0, a, b, c are calculated to minimize the following expression (6).

[수학식 6]&Quot; (6) &quot;

Sumation (x, y, z) in P (ax+by+cz+1)2 Sumation (x, y, z) in P (ax + by + cz + 1) 2

여기서, Sumation은 모든 바닥 픽셀들에 대한 식의 합을 나타낸다.Where Sumation represents the sum of the equations for all bottom pixels.

상기 수학식 6로부터 산출된 a, b, c 값으로부터 정규화 과정을 거쳐서, 보정된 바닥의 노멀벡터(N´)를 구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회전 변환 및 바닥 검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 루틴을 통해 더욱 정밀하게 바닥 영역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From the values of a, b and c calculated from Equation (6), the corrected bottom normal vector N 'can be obtained through the normalization process, and the rotation transformation and the floor detection process are repeated using the normal vector. Through such a repetition routine, the floor area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영상 기반 노멀벡터를 이용한 바닥검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앞서 바닥검출 영상처리장치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loor detection method using depth vector-based normal vec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owever, the par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floor detec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깊이영상 기반 노멀벡터를 이용한 바닥검출을 위해, 먼저 영상 입력부(10)에서 3차원 카메라가 촬영한 건물 내부의 깊이영상을 입력받게 된다. 이와 같이 입력된 깊이영상에는 깊이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3차원 카메라로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된 키넥트(kinect)가 사용될 수 있다.In order to detect the floor using the depth vector based normal v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image of the inside of the building photographed by the 3D camera is input to the image input unit 10 first. The input depth information includes depth information. Meanwhile, as a three-dimensional camera, a kinect developed by Microsoft Corporation can be used.

입력된 깊이영상은 좌표 추출부(20)로 제공되며, 좌표추출부는 각 픽셀의 3차원 좌표를 추출한다(S10). 이때 좌표계는 직교 좌표계를 사용하고, 각 픽셀에서의 깊이정보를 이용하여 x, y, z축상 3차원 좌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평면을 zy평면으로 하고, y축으로는 깊이정보를 반영하여 3차원 좌표를 추출하였다.The inputted depth image is provided to the coordinate extracting unit 20, and the coordinate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each pixel (S10). At this time, the coordinate system uses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nd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can be formed on the x, y, and z axes by using the depth information at each pixe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lane is set as a zy plane and the y-axis is extracted as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by reflecting the depth information.

추출된 3차원 좌표는 노멀벡터 계산부(30)로 계산되며, 인접한 픽셀의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외적을 통해 각 픽셀에서의 노멀벡터를 계산한다(S30). 이후, 연산량 감소 및 정확한 바닥 검출을 위해 계산된 노멀벡터의 스무딩 및 정규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The extracted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re calculated by the normal vector calculation unit 30, and the normal vectors at the respective pixels are calculated through the outer product using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adjacent pixels (S30). Thereafter, the calculated normal vector smoothing and normalization process can be further performed to reduce the calculation amount and correct floor detection.

각 픽셀에서의 노멀벡터가 모두 계산되면, 이중 바닥의 성질을 가장 많이 갖는 노멀벡터를 선택한다(S30). 일례로, 영상 내 존재하는 바닥의 경우, 3차원 좌표값 중 높이값(z값)이 작은 픽셀로 구성되고, 픽셀에서의 노멀벡터는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을 가리키는 성질을 이용하여 바닥의 노멀벡터를 선택할 수 있다.When all the normal vectors at each pixel are calculated, a normal vector having the most properties of the double bottom is selected (S3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ottom existing in an image, a height value (z value) among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is composed of pixels, and a normal vector in a pixel indicate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You can choose a vector.

이를 통해 선택된 바닥의 노멀벡터와 같은 방향의 노멀벡터를 갖는 픽셀에는 바닥면 뿐 만 아니라 바닥면과 평행한 책상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순전히 바닥면으로만 구성된 픽셀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Thus, a pixel having a normal vecto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normal vector of the selected bottom may include not only the bottom but also a desk surfac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Therefore, additional work is required to detect a pixel composed of only the bottom surface Do.

이에, 상기 선택된 바닥의 노멀벡터의 방향이 좌표축상 높이축인 z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변환을 수행한다(S40). 이에 따라 바닥면은 xy평면과 평행을 이루며 각 픽셀의 좌표값이 변환된다.Then, the rotation transform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normal vector of the selected bottom coincides with the z-axis direction which is the height axis on the coordinate axis (S40). Thus, the bottom surface is parallel to the xy plane and the coordinate values of each pixel are transformed.

이후 변환된 좌표값과 앞서 계단된 노멀벡터를 이용하여 바닥을 검출하게 된다(S50). 즉, 회전 변환 후 바닥면은 xy평면과 평행을 이루는 바, 각 픽셀 중 z값이 최소값에 가까운 픽셀은 바닥면을 이루는 픽셀을 선택하고, 선택된 픽셀의 노멀벡터의 방향이 z축 방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바닥을 검출할 수 있다.Then, the floor is detected using the transformed coordinate value and the normal vector stepped up (S50). That is, after the rotation transformation, the bottom surface is parallel to the xy plane. If a pixel whose z-value is close to the minimum value is selected as the bottom plane, and the direction of the normal vector of the selected pixel coincides with the z- The floor can be detected.

한편, 보다 정밀한 바닥영역의 검출을 위해 바닥의 노멀벡터를 보정하고(S60), 보정된 노멀벡터를 기준으로 회전변환 단계(S40) 및 바닥검출 단계(S50)를 반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normal vector is corrected to detect the finer bottom region (S60), and the rotation transformation step S40 and the bottom detection step S50 can be repeated based on the corrected normal vector.

이와 같이, 3차원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깊이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바닥면을 자동으로 검출함으로써, 3차원 카메라 설치시 바닥면 지정과 같은 수동적인 작업이 필요치 않으며, 환경변화에 따라 깊이정보가 변하거나 카메라의 방향이 바뀌었을 때 적응적으로 바닥면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Thus, 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floor surface using the depth image information input from the 3D camera, manual operation such as floor design is not required when installing the 3D camera, and the depth inform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change, The floor surface can be detected adaptively when the direction of the floor surface is changed.

한편, 상술한 깊이영상 기반 노멀벡터를 이용한 바닥검출 방법은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Meanwhile, the floor detection method using the depth image-based normal vector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program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예컨대, 기록 매체는 각 재생 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hard disk, a flash memory, a RAM, a ROM, or the like embedded in each reproduction apparatus, or an external optical disk such as a CD-R or a CD-RW, a compact flash card, a smart media, have.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 동작과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회로로 구현되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구현물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functional operations and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embodi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or a combination of any of the foregoing. The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that is, one or more modules associated with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program storage medium of the type for control of, or for execution by, Lt; / RTI &g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10 : 영상 입력부 20 : 좌표 추출부
30 : 노멀벡터 계산부 40 : 바닥노멀 선택부
50 : 회전 변환부 60 : 바닥 검출부
10: image input unit 20:
30: normal vector calculation unit 40: bottom normal selection unit
50: rotation converting section 60: bottom detecting section

Claims (9)

(a) 3차원 카메라가 촬영한 건물 내부의 깊이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받은 깊이 영상에서 모든 픽셀의 3차원 좌표값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좌표값으로부터 모든 픽셀에서의 노멀벡터를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계산된 노멀벡터의 집합에서 바닥의 노멀벡터를 선택하는 단계;
(e) 상기 선택된 바닥의 노멀벡터 방향이 3차원 좌표 상 높이축(z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변환하는 단계; 및
(f) 상기 회전변환에 따른 각 픽셀의3차원 좌표값와 노멀벡터를 이용하여 바닥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깊이영상 기반 노멀벡터를 이용한 바닥검출 방법.
(a) receiving a depth image of a building taken by a 3D camera;
(b) extracting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of all the pixels in the input depth image;
(c) calculating a normal vector at every pixel from the extracted coordinate values;
(d) selecting a bottom normal vector from the set of calculated normal vectors;
(e) rotationally transforming the normal vector direction of the selected bottom to coincide with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n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And
(f) detecting a bottom region using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and a normal vector of each pixel according to the rotation transformation;
Based depth vector-based normal v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 검출된 바닥 픽셀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의 노멀벡터를 보정하고, 상기 (e) 단계 및 (f)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영상 기반 노멀벡터를 이용한 바닥검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rmal vector of the bottom is corrected using the detected bottom pixel after the step (f), and the steps (e) and (f) are repeatedly performed.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3차원 좌표값 중 높이값(z값)이 임계값(th1) 이하인 픽셀의 노멀벡터로써, 상기 노멀벡터 중 최빈 방향의 노멀벡터를 바닥의 노멀벡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영상 기반 노멀벡터를 이용한 바닥검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d)
Wherein a normal vector in a most diagonal direction of the normal vector is selected as a normal vector at the bottom as a normal vector of a pixel having a height value (z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equal to or less than a threshold value th1. A floor detection method using vecto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회전변환에 따른 각 픽셀의 z값 중 최소값과의 차이가 임계값(th2) 이하의 z값을 갖는 픽셀로써, 상기 선택된 픽셀 중 픽셀의 노멀벡터와 바닥 노멀벡터의 차이가 임계값(th3) 이하인 픽셀을 바닥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영상 기반 노멀벡터를 이용한 바닥검출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tep (f)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a normal vector of a pixel and a bottom normal vector of the selected pixel is equal to or less than a threshold th3 and a difference between a minimum value and a z- And a pixel having a depth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epth is detected as a bottom.
3차원 카메라가 촬영한 건물 내부의 깊이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깊이 영상에서 모든 픽셀의 3차원 좌표값를 추출하는 좌표 추출부;
상기 추출된 좌표값으로부터 모든 픽셀에서의 노멀벡터를 계산하는 노멀벡터 계산부;
상기 계산된 노멀벡터의 집합에서 바닥의 노멀벡터를 선택하는 바닥노멀 선택부;
상기 선택된 바닥의 노멀벡터 방향이 3차원 좌표 상 높이축(z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변환하는 좌표 변환부; 및
상기 회전변환에 따른 각 픽셀의3차원 좌표값와 노멀벡터를 이용하여 바닥영역을 검출하는 바닥 검출부;
를 포함하는 깊이영상 기반 노멀벡터를 이용한 바닥검출 장치.
A video input unit receiving a depth image of a building taken by a 3D camera;
A coordinate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of all the pixels in the input depth image;
A normal vector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normal vector at all pixels from the extracted coordinate values;
A bottom norma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bottom normal vector from the set of the calculated normal vectors;
A coordinate transformation unit for performing a rotation transformation such that the normal vector direction of the selected bottom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height axis (z-axis) of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And
A bottom detector for detecting a bottom area using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 and a normal vector of each pixel according to the rotation transformation;
Based depth vector-based normal vecto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바닥 픽셀을 이용하여 보정된 바닥의 노멀벡터를 산출하는 바닥노멀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영상 기반 노멀벡터를 이용한 바닥검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bottom normal correction unit for calculating a normal vector of the corrected floor using the detected bottom pixe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노멀 선택부는,
상기 3차원 좌표값 중 높이값(z값)이 임계값 이하인 픽셀의 노멀벡터로써, 상기 노멀벡터 중 최빈 방향의 노멀벡터를 바닥의 노멀벡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영상 기반 노멀벡터를 이용한 바닥검출 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bottom normal selection unit comprises:
Wherein a normal vector of a direction in the most positive direction of the normal vector is selected as a normal vector of a bottom as a normal vector of pixels having a height value (z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equal to or less than a threshold value. Floor detecting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검출부는,
상기 회전변환에 따른 각 픽셀의 z값 중 최소값과의 차이가 임계값(th2) 이하의 z값을 갖는 픽셀로써, 상기 선택된 픽셀 중 픽셀의 노멀벡터와 바닥 노멀벡터의 차이가 임계값(th3) 이하인 픽셀을 바닥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영상 기반 노멀벡터를 이용한 바닥검출 장치.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a normal vector of a pixel and a bottom normal vector of the selected pixel is equal to or less than a threshold th3 and a difference between a minimum value and a z- Wherein the pixel is detected as a bottom pixel based on a depth image-based normal vector.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s recorded.
KR1020140126145A 2014-09-22 2014-09-22 Bottom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normal information based depth image KR1016206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145A KR101620632B1 (en) 2014-09-22 2014-09-22 Bottom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normal information based depth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145A KR101620632B1 (en) 2014-09-22 2014-09-22 Bottom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normal information based depth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756A true KR20160034756A (en) 2016-03-30
KR101620632B1 KR101620632B1 (en) 2016-05-12

Family

ID=5566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145A KR101620632B1 (en) 2014-09-22 2014-09-22 Bottom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normal information based depth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63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306A (en) * 2017-01-26 2018-08-03 (주)로보케어 Method and apparatus for for calibrating sensor coordinate system with game zone
US20220051372A1 (en) * 2020-08-12 2022-02-17 Niantic, Inc. Feature matching using features extracted from perspective corrected image
KR20220052784A (en) * 2020-10-21 2022-04-28 (주)베라시스 Depth Image based Real-time ground detection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306A (en) * 2017-01-26 2018-08-03 (주)로보케어 Method and apparatus for for calibrating sensor coordinate system with game zone
US20220051372A1 (en) * 2020-08-12 2022-02-17 Niantic, Inc. Feature matching using features extracted from perspective corrected image
KR20220052784A (en) * 2020-10-21 2022-04-28 (주)베라시스 Depth Image based Real-time ground det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632B1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6071B1 (en) Estimating device and estimation method
US106381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ss-level user and input detection using similar or dissimilar camera pair
US10573018B2 (en) Three dimensional scene reconstruction based on contextual analysis
US916521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3008695B1 (en) Robust tracking using point and line features
US10482681B2 (en) Recognition-based object segmentation of a 3-dimensional image
US84422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target object
JP6760957B2 (en) 3D modeling method and equipment
JP2019075082A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ing depth value estimation
US8571274B2 (en) Person-judg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WO20160327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seam
KR20150144728A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location mobile robot using search based correlative matching and method thereof
KR20120130788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ulti-camera calibration
JP69838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ly considering edges and normals in image features with a vision system
KR20150144727A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location mobile robot using edge based refinement and method thereof
US20160037121A1 (en) Stereo matching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974769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0115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election of 3d alignment algorithms in a vision system
TW201616451A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point clouds using a free selection tool
KR101620632B1 (en) Bottom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normal information based depth image
EP347139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8177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1014787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nd generating feature point and feature descriptor rgb-d image
Asif et al. Real-time pose estimation of rigid objects using RGB-D imagery
JP201318590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