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276A - 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276A
KR20160034276A KR1020160030367A KR20160030367A KR20160034276A KR 20160034276 A KR20160034276 A KR 20160034276A KR 1020160030367 A KR1020160030367 A KR 1020160030367A KR 20160030367 A KR20160030367 A KR 20160030367A KR 20160034276 A KR20160034276 A KR 20160034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bar
connector
trolley
bodie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운
Original Assignee
김종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운 filed Critical 김종운
Priority to KR1020160030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4276A/en
Publication of KR2016003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2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66C13/14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to load-engaging elements or motors associat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bar for a trolley bar, and a trolley bar connected thereby.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or for a trolley bar and the trolley bar connected thereby are easily connected and handled. The connector for a trolley bar comprises: a pair of bodies (11a, 11b) extend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 spacing member (15) connecting the bodies (11a, 11b); coupling wings (12a, 12b, 13a, 13b) extended to be til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body (11a, 11b); and fastening holes (14a, 14b) formed in the bodies (11a, 11b).

Description

트롤리 바의 커넥터 및 그에 의하여 연결된 트롤리 바{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trolley bar and a connector for the trolley bar,

본 발명은 트롤리 바의 커넥터 및 그에 의하여 연결된 트롤리 바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연결과 취급이 용이한 트롤리 바의 커넥터 및 그에 의하여 연결된 트롤리 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of a trolley and to a trolley bar connected thereto,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of a trolley bar which is easy to connect and handle and a trolley bar connected thereto.

트롤리 바는 각종 크레인, 호이스트 또는 스태커 크레인과 같은 장치의 이송 대차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어 주행, 횡행 및 크레인 설치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기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한 바 형태의 도선을 말하고 막대 전선 또는 급전선으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트롤리 바는 10 내지 1000 A의 높은 전류가 흐르고 전도성 소재로 막대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trolley bar is a bar-shaped wire for power supply to various electric devices installed in the traveling path of the conveying bogie of the apparatus such as various crane, hoist or stacker crane and used in the traveling, transverse and crane installation process, It is called a feeder line. In general, the trolley bar can have a high current of 10 to 1000 A and can be made into a rod shape with a conductive material.

트롤리 바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7-0053173호 ‘이송대차용 트롤리 바’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하나의 트롤리 바에 다선의 전력선을 통해 전력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트롤리 바의 전체적 크기 및 설치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트롤리 바 내부에 다수의 동도체가 인입되기 위한 다수 개의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개구가 되는 하단 내측으로 고무재의 커버체가 결합되기 위한 커버 결합체부가 대향 구비되어 집전기를 통해 이송 대차 등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바에서 트롤리 바가 하단 양 내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커버체 결합부로 결합 홈을 형성하고, 결합부가 일체로 되는 커버체가 대향되며 상기 결합 홈에 삽입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이송대차용 트롤리 바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Prior art relating to a trolley ba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7-0053173, " Trolley bar for conveying bogie ". In the prior art, a plurality of copper conductors are drawn into a trolley bar made of an insulator for the purpose of smoothly supplying power to one trolley bar through a power line of a plurality of lines and reducing the overall size and installation cost of the trolley bar And a trolley bar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veying carriage or the like through a current collector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ends of the trolley bars. And a cover body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gaging portion is opposed to the engaging groove and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트롤리 바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643020호 ‘트롤리 바의 결합구’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를 가지고 연결 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복수의 트롤리 바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구에 있어서, 상기 각 트롤리 바의 연결 단부에 덧대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각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 돌기에는 변위 유도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공에 상기 결합 돌기의 삽입 시, 상기 변위 유도 홈에 의하여 상기 결합 돌기가 압축 변형됨으로서 상기 결합공에 억지 끼워지고, 상기 각 트롤리 바를 감싸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응하는 제1 대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각 트롤리 바의 연결 단부에서 상호 이격 배열되고, 상기 각 보호 커버의 인접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결합구를 덮는 조인트 커버가 더 구비되되, 상기 조인트 커버는 상기 결합구를 덮는 보호체와, 상기 보호체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각 지지체 단부 부분이 수용되는 가압 지지체와, 상기 가압 지지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대응 가이드부에 상응하는 제2 대응 가이드부와, 상기 보호체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체의 단부와 맞닿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결합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Another prior art related to the trolley bar is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umber 0643020, " Coupling section of trolley bar ". The prior art includes a coupling body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trolley bars having a guide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coupling hole at a connection end portion, the coupling body comprising: a body padded to a connection end portion of each trolley bar;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with a displacement inducing groove so that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mpressively deformed by the displacement inducing groove, And a protective cover including a support member which is tightly inserted into the ball and surrounds the trolley bars and a first corresponding guide portion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and corresponds to the guide portion, And the adjacent ends of the protective cov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joint cover for covering the sphere, wherein the joint cover includes a protector for covering the fitting, a pressurizing supporter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rotector, the pressurizing supporter accommodating the respective end portions of the supporter, A second corresponding gu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rresponding guide portion, and a stopper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or and abutting the end of each of the supports.

제시된 선행기술에서 트롤리 바를 연결하는 결합구는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하여 설치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그와 같이 결합된 트롤리 바는 연결 부위의 전류 흐름의 안전성이 보장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In the proposed prior art, the coupling joint connecting the trolley ba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installation is difficult. Also, the trolley bar thus combined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safety of the current flow at the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은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설치가 간단한 트롤리 바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of a trolley bar that is structurally safe and easy to insta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그리고 설치가 간단한 트롤리 바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olley bar that is structurally safe and easy to install.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트롤리 바의 커넥터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몸체; 한 쌍의 몸체를 연결하는 이격 부재; 한 쌍의 몸체 각각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결합 날개; 및 몸체에 형성된 체결 홀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of the trolley bar comprises: a pair of bodies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 spacing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bodies; An engagement vane extending from each of the pair of bodies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body.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몸체, 한 쌍의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날개 및 몸체에 형성된 체결 홀로 이루어진 커넥터; 커넥터의 한쪽에 연결되고 한쪽 끝에 제1 개방 홈이 형성된 제1 트롤리 바; 및 커넥터의 다른 쪽에 연결되고 한쪽 끝에 제1 길이 홈에 연결되는 제2 개방 홈 및 결합 홀이 형성된 제2 트롤리 바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홀 중 하나는 결합 홀과 연결이 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comprising: a pair of bodies; a coupling wing extending from the pair of bodies; A first trolley ba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and having a first opening groov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trolley ba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and having a second opening groove and a coupling hole formed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first length groove, wherein one of the coupling holes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결합 날개는 제1 트롤리 바 및 제2 트롤리 바의 전도 원형 바의 외부 면에 접촉이 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wing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ive round bar of the first trolley bar and the second trolley bar.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의 커넥터는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트롤리 바의 설치 이전에 예비적으로 결합되어 설치 과정에서 견고하게 결합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설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는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그리고 연결에 따른 접촉 저항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connector of the trolle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dependently and is preliminarily coupled before installation of the trolley bar so as to be firmly engaged in the installation process, so that the installation is easy and safety accidents It can be prevented. Further, the trolle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lectrically safe by being structurally safe and capable of reducing the contact resistan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따른 트롤리 바의 커넥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와 커넥터의 결합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2a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에 보호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A and 1B show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of a trolley bar according to the invention.
2A shows an embodiment of a coupling structure of a trolley b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shows a combined form of 2a.
FIG. 2C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protective cover is coupled to a trolle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that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따른 트롤리 바의 커넥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1A and 1B show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of a trolley ba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트롤리 바의 커넥터(1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몸체(11a, 11b); 한 쌍의 몸체(11a, 11b)를 연결하는 이격 부재(15); 한 쌍의 몸체(11a, 11b) 각각으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결합 날개(12a, 12b, 13a, 13b); 및 몸체(11a, 11b)에 형성된 체결 홀(14a, 14b)을 포함한다. 1A and 1B, a connector 10 of a trolley bar includes a pair of bodies 11a and 11b extending parallel to each other; A spacing member 15 connecting the pair of bodies 11a and 11b; Engaging blades (12a, 12b, 13a, 13b) extending from each of the pair of bodies (11a, 11b)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astening holes 14a and 14b formed in the bodies 11a and 11b.

본 명세서에서 트롤리 바는 크레인, 호이스트 또는 스태커 크레인과 같은 장치의 이송 대차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또는 막대 전선을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막대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연장되어 전력 공급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전선을 포함한다. As used herein, a trolley refers to a wire or rod wire that is installed in a moving path of a transportation bogie of a device such as a crane, a hoist, or a stacker crane to supply electric power. However, the trolle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cludes any wires extending in a bar shape or plate shape and used for power supply purposes.

커넥터(10)는 2개의 서로 다른 트롤리 바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롤리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는 서로 다른 트롤리 바의 연결의 위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체결 부재 또는 이음 부재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The connector 10 is for connecting two different trolley bars and can be made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s the trolley bar. 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connecting member used for connection of different trolley bars and includes, for example, a fastening member or a coupling member.

몸체(11a, 11b)는 판 형상을 가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면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몸체(11a, 11b)의 연장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연결되는 트롤리 바의 전체 길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몸체(11a, 11b)의 폭은 연결되는 트롤리 바의 구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 쌍의 몸체(11a, 11b)는 이격 부재(15)에 의하여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격 부재(15)는 몸체(11a, 11b)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The bodies 11a and 11b may have a plate shape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facing each other. The extension length of the bodies 11a, 11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length of the trolley bar to be connected. The widths of the bodies 11a and 11b can be determined by the structure of the trolley bar to which they are connected. The pair of bodies 11a and 11b can be connected and fixed by the spacing member 15. [ The spacing member 15 may be formed at any suitable position, but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t least one, though it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bodies 11a and 11b.

몸체(11a, 11b)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결합 날개(12a, 12b, 13a, 13b)가 연장될 수 있다. 결합 날개(12a, 12b, 13a, 13b)는 몸체(11a, 11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11a, 11b)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위쪽 방향으로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날개(12a, 12b, 13a, 13b)는 몸체(11a, 11b)가 평면 형상이 되는 것과 달리 곡면 형상이 될 수 있다. 결합 날개(12a, 12b)가 곡면 형상이 되는 것은 트롤리 바의 외부 표면과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결합 날개(12a, 12b, 13a, 13b)는 트롤리 바의 외부 표면에 접촉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coupling vanes 12a, 12b, 13a, 13b can be extended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ies 11a, 11b. The coupling vanes 12a, 12b, 13a and 13b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ies 11a and 11b and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ies 11a and 11b and may extend upwardly or downwardly As shown in Fig. The coupling vanes 12a, 12b, 13a, and 13b may have a curved shape, unlike the bodies 11a and 11b having a planar shape. The curved shape of the coupling vanes 12a, 12b is intended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rolley bar. Therefore, the coupling vanes 12a, 12b, 13a, 13b may have a shape that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trolley bar.

몸체(11a, 11b)에 체결 홀(14a, 14b)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 홀(14a, 14b)은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1a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2개의 체결 홀(14a, 14b)이 형성된 실시 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체결 홀(14a, 14b)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체결 홀(14a, 14b)에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16a, 16b)이 결합될 수 있다. 체결 홀(14a, 14b)의 위쪽 부분 또는 아래쪽 부분은 고정 수단(16a, 16b)의 위쪽 부분 또는 아래쪽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홀(14a, 14b)의 위쪽 부분은 나팔 관 형상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체결 홀(14a, 14b)의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The fastening holes 14a and 14b may be formed in the bodies 11a and 11b and the fastening holes 14a and 14b may be at least 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though an embodiment in which two fastening holes 14a and 14b are form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A is shown, the number of fastening holes 14a and 14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ixing means 16a, 16b, such as bolts,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s 14a, 14b.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s 14a, 14b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means 16a, 16b. For example,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s 14a and 14b may have a trumpet-like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hape of the fastening holes 14a and 14b.

도 1a 및 도 1b에 제시된 커넥터(10)에서 결합 날개(12a, 12b, 13a, 13b)의 형상, 이격 부재(15)의 형상 또는 수, 체결 홀(14a, 14b)의 구조 또는 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hape and number of the coupling vanes 12a, 12b, 13a and 13b in the connector 10 shown in Figs. 1a and 1b, the shape or number of the spacing member 15, and the number or structure of the fastening holes 14a and 14b,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커넥터(10)는 트롤리 바의 연결을 위한 것이므로 트롤리 바의 끝 부분은 커넥터(10)의 구조에 적합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Since the connector 10 is for connection of the trolley bar, the end of the trolley bar should have a structure suitable for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10. [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와 커넥터의 결합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2A shows an embodiment of a coupling structure of a trolley b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진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 그러므로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는다.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different drawings herein hav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erefore, it is not explain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도 2a를 참조하면, 커넥터(10)는 2개의 트롤리 바(21, 22)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A, the connector 10 can be used to connect two trolley bars 21, 22.

제1 트롤리 바(21)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 원형 바(211a, 211b), 한 쌍의 전도 원형 바(211a, 211b)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12), 연결 부재(212)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제1 개방 홈(2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트롤리 바(22)는 제1 트롤리 바(21)와 마찬가지로 전도 원형 바(221a, 221b) 및 연결 부재(222)로 이루어지지만 한 쪽 끝은 제1 트롤리 바(21)와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trolley bar 21 includes a pair of conductive circular bars 211a and 211b extending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 connecting member 212 connecting the pair of conductive circular bars 211a and 211b, a connecting member 212, And a first opening groove 213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opening 213. The second trolley bar 22 is composed of the conducting circular bars 221a and 221b and the connecting member 222 like the first trolley bar 21 but has one end different from the first trolley bar 21 Lt; / RTI >

제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트롤리 바(21)의 한쪽 끝 그리고 제2 트롤리 바(22)의 한쪽 끝으로 제시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제2 트롤리 바(22)의 한쪽 끝은 제1 트롤리 바(21)의 다른 끝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제1 트롤리 바(21)의 한쪽 끝과 제2 트롤리 바(22)의 한쪽 끝은 하나의 트롤리 바의 양쪽 끝이 될 수 있다. Although one end of the first trolley bar 21 and one end of the second trolley bar 22 are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e end of the substantially second trolley bar 22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trolley bar 21 It can be the other end. Specifically, one end of the first trolley bar 21 and one end of the second trolley bar 22 shown in FIG. 2A can be both ends of one trolley bar.

제2 트롤리 바(22)의 한쪽 끝은 연결 부재(222)의 끝 부분에 형성되고 제1 개방 홈(213)에 연결되는 제2 개방 홈(223) 및 연결 부재(222)에 형성되고 제2 개방 홈(223)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결합 홀(2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개방 홈(213)이 제2 개방 홈(223)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제1 트롤리 바(21)와 제2 트롤리 바(22)가 서로 연결이 되면 제1 개방 홈(213)과 제2 개방 홈(223)은 서로 연결이 되어 폐쇄된 연장 홀의 형상이 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trolley bar 22 is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groove 223 formed in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22 and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groove 213 and the second opening groove 223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222, And an engagement hole 224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groove 223.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A, the first opening groove 213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econd opening groove 223, bu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When the first trolley bar 21 and the second trolley bar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opening groove 213 and the second opening groove 22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extended hole.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트롤리 바(21)는 몸체(11a, 11b)의 한쪽 끝에 삽입이 되고 그리고 제2 트롤리 바(22)는 몸체(11a, 11b)의 다른 끝에 삽입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체결 홀(14a)은 제1 고정 수단(16a)에 의하여 제1 개방 홈(213)과 제2 개방 홈(223)이 형성하는 연장 홀에 결합되고 그리고 다른 하나의 체결 홀(14b)은 제2 고정 수단(16b)에 의하여 결합 홀(224)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trolley bar 21 can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bodies 11a and 11b and the second trolley bar 22 can be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bodies 11a and 11b . The one fastening hole 14a is coupled to the elongated hole formed by the first opening groove 213 and the second opening groove 223 by the first fastening means 16a,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24 by the second fastening means 16b.

몸체(11a, 11b)의 폭은 연장 부재(212, 222)의 폭에 대응되고 그리고 결합 날개(12a, 12b, 13a, 13b)는 전도 원형 바(211a, 211b, 221a, 221b)의 외부 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bodies 11a and 11b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extension members 212 and 222 and the coupling vanes 12a, 12b, 13a and 13b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conductive circular bars 211a, 211b, 221a and 221b As shown in FIG.

결합 홀(224)이 제2 개방 홈(223)과 분리되도록 형성한 것은 조립의 편리성을 위한 것이다. 2개의 트롤리 바(21, 22)의 결합 과정에서 제2 체결 홀(14b)과 결합 홀(224)에 제2 고정 수단(16b)이 먼저 결합이 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커넥터(10)와 제2 트롤리 바(22)가 체결 홀(14b)과 결합 홀(224)에 의하여 임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제1 트롤리 바(21)를 몸체(11a, 11b)에 삽입시키고 그리고 제1 고정 수단(16a)을 이용하여 제1 체결 홀(14b) 및 제1 개방 홈(213)과 제2 개방 홈(223)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장 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hole 224 is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opening groove 223 for convenience of assembly. The second fastening holes 14b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16b may be first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224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two trolley bars 21 and 22. In other words, the connector 10 and the second trolley bar 22 can be temporarily engaged by the fastening hole 14b and the fastening hole 224. [ The first trolley bar 21 is inserted into the bodies 11a and 11b and the first fastening hole 14b and the first opening groove 213 and the second opening groove 223). ≪ / RTI >

제1 개방 홈(213)과 제2 개방 홈(223)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 것은 결합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제1 트롤리 바(21)를 커넥터(10)에 연결시키고 제1 고정 수단(16a)에 의하여 체결하는 경우 만약 트롤리 바(21)에 제1 체결 홀(14a)에 대응되는 정확한 홀이 형성되어 있다면 제1 고정 수단(16a)에 의한 체결이 어려워진다. 이에 비하여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 홀이 형성되면 체결이 간단해진다. The first opening groove 213 and the second opening groove 223 ar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ase of engagement.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trolley bar 21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0 and fastened by the first fastening means 16a, an accurate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4a is formed in the trolley bar 21 The fastening by the first fastening means 16a becomes difficult. In contrast, as shown in FIG. 2A, when the extension hole is formed, the fastening is simplified.

본 발명에 따른 제1 개방 홈(213)과 제2 개방 홈(223)의 연결 그리고 분리된 위치의 결합 홀(224)은 조립 및 시공이 간단해지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트롤리 바의 설치 작업은 높은 장소에서 이루어지고 그리고 복잡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한 장소에서 제2 트롤리 바(22)의 한쪽 끝에 커넥터(10)가 연결되고 고정 수단(16b)에 의하여 임시적으로 조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트롤리 바(21)가 설치된 장소에 제2 트롤리 바(22)가 결합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groove 213 and the second opening groove 22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upling hole 224 at the separated position facilitate the assembly and construction. In general, the installation of the trolley bar can be done in high places and where complex equipmen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trolley bar 22 at a safe place and can be temporarily tightened by the fixing means 16b. And the second trolley bar 22 can be coupled to a place where the first trolley bar 21 is installed.

커넥터(10)에 의하여 제1 트롤리 바(21)와 제2 트롤리 바(22)가 연결된 상태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커넥터(10)는 제1 트롤리 바(21) 및 제2 트롤리 바(22)의 내부에 삽입된 구조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제1 트롤리 바(21)와 제2 트롤리 바(22)는 안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전류의 흐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1 트롤리 바(21)의 다른 끝 및 제2 트롤리 바(22)의 다른 끝은 각각 제2 트롤리 바(21)의 한쪽 끝 및 제1 트롤리 바(22)의 한쪽 끝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trolley bar 21 and the second trolley bar 22 are connected by the connector 10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2B, the connector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rolley bar 21 and the second trolley bar 22 in an inserted structure. Due to such a structure, the first trolley bar 21 and the second trolley bar 22 can be coupled in a stable state, and for example, a current flow can be stably performed.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trolley bar 2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rolley bar 22 are respectively the same as one end of the second trolley bar 21 and one end of the first trolley bar 22 It can have a similar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결합된 트롤리 바에 보호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A protective cover may be coupled to the combined trolle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에 보호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2C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protective cover is coupled to a trolle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를 참조하면 제1 트롤리 바(21) 및 제2 트롤리 바(22)에 각각 절연체로 이루어진 보호 커버(24b)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트롤리 바(21)와 제2 트롤리 바(22)의 연결 부분에 연결 보호 커버(24a)가 결합될 수 있다. 보호 커버(24a, 24b)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보호 커버(24a)와 연결 보호 커버(24b)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2C, a protective cover 24b made of an insulato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rolley bar 21 and the second trolley bar 22, respectively. And a connection protecting cover 24a may be coupled to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trolley bar 21 and the second trolley bar 22. [ The protective covers 24a and 24b may have any structure known in the art, and the protective cover 24a and the connecting protective cover 24b may have different shapes but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의 커넥터는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트롤리 바의 설치 이전에 예비적으로 결합되어 설치 과정에서 견고하게 결합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설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바는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그리고 연결에 따른 접촉 저항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connector of the trolle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dependently and is preliminarily coupled before installation of the trolley bar so as to be firmly engaged in the installation process, so that the installation is easy and safety accidents It can be prevented. Further, the trolle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lectrically safe by being structurally safe and capable of reducing the contact resistan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커넥터 11a, 11b: 몸체
12a, 12b, 13a, 13b: 결합 날개 14a, 14b: 체결 홀
15: 이격 부재 16a, 16b: 고정 수단
21, 22; 트롤리 바 211a, 211b, 221a, 221b: 전도 원형 바
212, 222: 연결 부재 213: 제1 개방 홈
223: 제2 개방 홈 224: 체결 홀
24a, 24b: 보호 커버
10: Connector 11a, 11b: Body
12a, 12b, 13a, 13b: coupling wings 14a, 14b:
15: spacing member 16a, 16b:
21, 22; Trolley bars 211a, 211b, 221a and 221b:
212, 222: connecting member 213: first opening groove
223: second opening groove 224: fastening hole
24a, 24b: protective cover

Claims (2)

커넥터(1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제1 트롤리 바(21)와 제2 트롤리 바(22)로 이루어지는 트롤리 바에 있어서,
제1 트롤리 바(21)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전도 원형 바(211a, 211b), 한 쌍의 전도 원형 바(211a, 211b)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12), 연결 부재(212)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제1 개방 홈(213)으로 이루어지고, 제2 트롤리 바(22)의 한쪽 끝에 제1 개방 홈(213)과 연결되는 제2 개방 홈(223)이 형성되고, 제1 개방 홈(213)과 제2 개방 홈(223)은 서로 연결되어 커넥터(10)가 결합하는 연장 홀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 홀과 이격되어 결합 홀(2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바.
A trolley bar comprising a first trolley bar (21) and a second trolley bar (22)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or (10)
The first trolley bar 21 includes a pair of conductive circular bars 211a and 211b extending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 connecting member 212 connecting the pair of conductive circular bars 211a and 211b, a connecting member 212, A second opening groove 22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trolley bar 22 and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groove 213, Wherein the groove (213) and the second opening groove (2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extended hole to which the connector (10) is coupled, and a coupling hole (224)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extended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0)는 연결 부재(212)의 아래쪽 및 위쪽에서 접하는 한 쌍의 몸체(11a, 11b); 전도 원형 바(211a, 211b)와 접하면서 한 쌍의 몸체(11a, 11b)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날개(12a, 12b, 13a, 13b); 및 한 쌍의 몸체(11a, 11b)를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 부재(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바.


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10) comprises a pair of bodies (11a, 11b) contacting at the lower and upper sides of the connecting member (212); Joining vanes 12a, 12b, 13a, 13b extending from the pair of bodies 11a, 11b while contacting the conducting circular bars 211a, 211b; And a spacing member (15) for separating the pair of bodies (11a, 11b) from each other.


KR1020160030367A 2016-03-14 2016-03-14 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KR201600342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367A KR20160034276A (en) 2016-03-14 2016-03-14 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367A KR20160034276A (en) 2016-03-14 2016-03-14 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748A Division KR20150052823A (en) 2015-04-27 2015-04-27 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139A Division KR20180108527A (en) 2018-09-19 2018-09-19 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276A true KR20160034276A (en) 2016-03-29

Family

ID=5566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367A KR20160034276A (en) 2016-03-14 2016-03-14 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427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666B1 (en) * 2016-06-02 2017-01-24 라용국 Outer cap of syri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666B1 (en) * 2016-06-02 2017-01-24 라용국 Outer cap of syri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3100B (en) The high pressure equipment system of rail truck and rail truck
US20170355327A1 (en) Automobile power supply device
US2470814A (en) Electrical cable support or rack
KR20120027387A (en) Cantilever for supporting live cables of railway, trolley and subway lines
US9787004B2 (en) Floor ground clamp
US20170110824A1 (en) Plug
KR20160034276A (en) 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KR20180108527A (en) 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KR20150052823A (en) 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US20150268278A1 (en) Attachment structure of current sensor and electric conductive member
CN102903583A (en) Fuse terminal
KR101987520B1 (en) Trolley Bar Coupled by Connector
KR20140127668A (en) Connector for Trolley Bar and Trolley Bar Connected by the Same
KR20190001027U (en) Elongated deadend clamp insulation cover for polymer suspension insulator
CN109891675A (en) There are two the electric connection systems of connection branch for tool
KR20150021435A (en) Trolley Bar Coupled by Connector
CN109863646A (en) Electric connection system with conductive vanes
KR20160145173A (en) Switch gear
CN203747053U (en) Ammeter lead connecting apparatus
CN207368274U (en) Conducting terminal and the electric connector with the conducting terminal
CN103688414A (en) Electrical connecting module with interruptible circuit
US10734792B2 (en) Bus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 field relaxation
KR20150033539A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busbar elements of a railway catenary system
CN105680390B (en) A kind of cable terminal pole and its electrical support device
KR102398098B1 (en) Jumper cable clamp apparatus for overhead transmission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