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504A - Slurry agitating device for filling geotextile tube - Google Patents

Slurry agitating device for filling geotextile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504A
KR20160033504A KR1020140124500A KR20140124500A KR20160033504A KR 20160033504 A KR20160033504 A KR 20160033504A KR 1020140124500 A KR1020140124500 A KR 1020140124500A KR 20140124500 A KR20140124500 A KR 20140124500A KR 20160033504 A KR20160033504 A KR 20160033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agitating
stirr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1896B1 (en
Inventor
김형주
이광형
원명수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4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896B1/en
Publication of KR2016003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5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8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30Micromixers
    • B01F33/302Micromixers the materials to be mixed flowing in the form of drop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1Metho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4Mixing liquids with solids wetting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65Mixing liquids with solids by introducing liquids in solid material, e.g. to obtain slur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ixing apparatus which can smoothly perform work of filling a construction fiber tube body while increasing an effect of mixing soil and wa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mixing soil to be filled in the construction fiber tube body which as an agitation main body unit having a discharge unit which has an open upper portion, is formed to become gradually narrow toward the downside and has a penetrate lower portion.

Description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Slurry agitating device for filling geotextile tub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rry agitating device for filling geotextile tubes,

본 발명은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리와 물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geotextile tube charging apparatus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with smooth injection of slurry and water.

최근 들어 토목섬유튜브체를 적용하여 해안의 침식을 방지하거나 해안 주변을 간척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Recently, a variety of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prevent coastal erosion or to reclaim the coastal area by applying a fiber - reinforced tube.

이하 종래 토목섬유튜브체를 이용한 해안의 침식 또는 간척방법에 대한 기술을 몇 가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several techniques for erosion or reclamation of a coast using a conventional geotextile tube body will be described.

대표적으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0778321호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56553호 등에서와 같이, 해안에 토목섬유튜브체를 설치한 후, 준설토 또는 해수를 주입하여 토목섬유튜브체를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해안가 주위의 침식 또는 간척작업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있었다.Typically, in the prior art,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0778321 o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256553, after installing a geotextile tube body on a coast, dredged soil or seawater is injected into the geotextile tube There was a technique to fix the sieve so that erosion around the coast or reclamation work could be done.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들 중 준설토를 주입하는 방식의 경우는 바다 외측으로부터 준설토를 공급받아야 하는데 도 1에서와 같이, 토목섬유튜브체(10) 내측으로 준설토의 주입을 위하여 해양에 별도의 준설토를 펌핑할 수 있는 펌핑장치(32)가 구비된 선박(30)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였다. However, dredged soil is required to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sea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s. As shown in FIG. 1, the dredged soil is pumped into the sea for injecting the dredged soil inside the geotextile tube body 10 A ship 30 equipped with a pumping device 32 capable of performing a pumping operation was required to be installed separately.

그런데, 준설토를 펌핑할 수 있을 정도의 선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비용이 상당하였으며, 또한 대다수의 주요 작업이 모두 해양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많은 숙련공이 필요하게 됨은 물론 작업 자체에 문제점이 많았다.However, the cost of using dredged pumped vessels was considerable, and most of the major works were carried out in the ocean, requiring many skilled workers, as well as problems in the work itself.

한편, 상술한 작업을 통하여 토목섬유튜브체 내측에 준설토가 주입된 형태에서는 많은 해수가 섞인 형태를 이루고 있어 토목섬유튜브체의 전체 무게가 충분하게 되지 못함으로써 강한 조류에 토목섬유튜브체가 이동하는 경우도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dredged soil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geotextile tube body through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 lot of seawater is mixed with the geotextile tube body, and the total weight of the geotextile tube body is not sufficient, .

이에 따라서 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빠른 작업속도가 가능하면서도 안정적인 설치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해안의 침식 방지공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Accordingly,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coastal erosion prevention method that can reduce the cost and maintain a stable installation speed while allowing a fast operation spe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drawback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토목섬유튜브체의 설치 및 토사 등의 충진작업이 해안의 외측인 지형 측에서 원활하고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ir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tallation of a geotextile tube body and a filling operation of a gravel-like material smoothly and conveniently on the terrain side outside the shore.

둘째, 본 발명은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한 작업으로 토목섬유튜브체의 내부 충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eco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internal filling operation of a geotextile tube body by a simple operation in a short tim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관통된 형태로 배출부가 구비된 교반본체부가 구비된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il stirring device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with an agitating main body having a top opening and a downwardly converging shape, do.

여기서, 상기 교반본체부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교반본체부 내측으로 물이 주입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입부가 구비된 물주입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agitation main body may include a water injection pipe having at least one injection unit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injecting water into the agitation main body.

또한, 상기 물주입파이프는 상기 교반본체부 내측을 가로지르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injection pipe may be provided across a plurality of the inside of the agitation main body portion.

또한, 상기 물주입파이프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와류를 형성하며 공급되도록 상기 주입부는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un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so that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injection pipe forms a vortex.

또한, 상기 주입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물이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unit may inject water in different directions.

또한, 상기 물주입파이프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연결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valve may be further provided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injection pipe.

또한, 상기 교반본체부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교반본체부 내측으로 물이 주입되도록 상기 교반본체부의 내외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주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stirring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units which are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irring main body so that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stirring main body.

또한, 상기 주입부는 상기 교반본체부의 둘레를 따라서 상하로 다수 행 및 다수 열을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Also, the injection unit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periphery of the agitation main body.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주입부 각각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공급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injection units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hose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물공급호스에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공급파이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main supply pipe may be further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hoses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메인공급호스와 상기 각각의 물공급호스 사이에는, 상기 각 물공급호스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A connection valv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ain supply hose and each of the water supply hoses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respective water supply hoses.

또한, 상기 교반본체부는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측 기 설정된 위치로 상기 교반본체부를 가로지르며 설치되는 망부가 구비될 수 있다.Also, the agitation main body may include a mesh portion which is installed across the agitation main body from the discharge portion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ide.

또한, 상기 배출부 상부로 상기 망부에는 철판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ron plate may be provided on the net part above the discharge part.

또한, 상기 교반본체부는 일측으로 백호우의 작동암에 결착되는 결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agitation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binding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operation arm of the backhoe as one side.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물공급호스 각각은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지시부가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호스와 대응되는 상기 연결밸브는 대응되는 물공급호스의 지시부와 대응되는 제2지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hoses is provided with a first indicator for visually identifying the water supply hose, and the connection valve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pply hose includes a second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indicator of the corresponding water supply hose .

또한, 상기 교반본체부가 작업 현장의 지면에 설치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교반본체부가 설치되는 받침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agitating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agitating main body portion so as to maintain a position where the agitating main body is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work site.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교반본체부가 설치되는 상부받침부 및 상기 상부받침부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하부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receiv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stirring main body portion and a lower receiv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상부받침부는 상기 교반본체부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부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받침부는 메인프레임 및 하부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으로 상기 상부지지부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part includes a support frame and an upper support part provided with the stirring main body part. The lower support part includes a main frame and a lower support part, and the upper support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

또한, 상기 지지부는 길이 가변이 가능하게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may have a multi-stage structure so that the length thereof can be varied.

또한, 상기 지지부는 하단부에 이동휠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part at a lower end thereof.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교반본체부가 설치되는 상부받침부 및 상기 상부받침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받침부는 상기 하부받침부의 상부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receiv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stirring main body portion and a lower receiving portion provided below the upper receiving portion, and the upper receiving portion may be installed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one side of the lower receiving portion. hav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effect of a soil stirring apparatus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토목섬유튜브체의 충진 작업이 해안의 외측 지형에서 가능하게 되어, 충진을 위한 설비의 운영이 편리하게 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유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하여 작업에 소요되는데 필요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ing operation of the geotextile tube body can be performed on the outer terrain of the coast, thereby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for filling, as well as the work environment of the operator. In addition, the cost required for the work can be greatly reduced.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본체부 내측에 망부 및 철판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한번에 많은 토사 또는 크기가 크게 뭉친 토사뭉치가 몰리어 배출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lar discharge unit from being clogged with a large amount of gravel and / or large gathers at one time by providing the mesh and the iron plate inside the agitation main body.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본체부 내측에 다수 위치에서 물이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토사가 뭉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토사와 물의 교반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물이 주입되는 주입부의 각도 변경을 통하여 보다 현저한 교반효과를 노릴 수 있게 된다.Thir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s inject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side the agitating main body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aggregation of the gypsum and smooth stirring of the gypsum and water. Particularly,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injection part into which the water is injected, it is possible to aim at a remarkable stirring effect.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받침부를 구비하여 상황에 따라서 적합한 받침부를 적용함으로써 현장 상황에 최적의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Fourth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upporting parts are provided, and a suitable supporting par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erform an optimum work in a field situa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호안을 설치한 후 매립공사가 진행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와 받침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가 받침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 설치되는 망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가 받침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백호우에 교반장치가 설치된 받침부가 결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튜브체에 토사 및 물을 충진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튜브체에 토사 및 물을 충진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를 받침부에 설치하고, 주입부에 물공급호스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토목섬유튜브체에 준설토를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에 있어서 주입부의 설치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에 적용되는 받침부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에 적용되는 받침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에 적용되는 받침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refurbishing work is proceeded after installing a conventional revetmen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oil stirring device and a pedestal portion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oil-stirring apparatus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upled to a receiving unit;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et installed in an ag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oil stirring apparatus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is coupled to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unit provided with a stirring device is coupled to a backhoe;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be body is filled with soil and water using a soil stirring device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a tube body is filled with soil and water using a soil-stirring apparatus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oil stirring apparatus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oil stirring apparatus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ater supply hose connected to the injection unit.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redged soil is injected into a geotextile tube body using an ag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mode of an injection unit in an ag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pport portion applied to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receiving portion applied to a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earing unit applied to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irst, a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와 받침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와 받침부의 결합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oil stirring apparatus and a receiving unit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il stirring apparatus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교반장치(100, 이하, "교반장치"라고도 함)는 내부 수용부(110)가 형성되며 외관을 이루는 교반본체부(12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a soil-stirring apparatus 100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irring body unit 100 having an inner receiving unit 110 formed therein, (120).

상기 교반본체부(100)는 상부가 개구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로 상기 교반본체부 내부수용부(110)와 외부를 관통하는 배출부(170)가 구비된다.The stirring main body 100 has an upper opening and a downwardly converging shape, and includes a lower receiving part 110 and a discharging part 170 passing through the outside of the stirring main body part.

그리고, 상기 교반본체부(120)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펌핑 장치 등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받아서 상기 교반본체부(120) 내측 수용부(110)로 공급된 물이 주입되도록 하는 물주입파이프(150)가 설치된다.The stirring main body 120 is provided with a water injection pipe 150 for receiv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by using a separate pumping device or the like and inject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receiving portion 110 of the stirring main body 120 Is installed.

상기 물주입파이프(150)는 상기 교반본체부(120) 내측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교반본체부(120) 외측으로 상기 물주입파이프(150)의 일단측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클램프(158)가 구비된다.The water injection pipe 150 is installed to cross the inside of the agitation main body part 120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n one side of the water injection pipe 150 outside the agitation main body part 120, And a connecting clamp 158 to which the supplied pipes are connected.

그리고, 상기 교반본체부(120) 내측으로 상기 물주입파이프(1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입부(155)가 구비된다.At least one injection unit 155 is provided in the stirring main body 1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injection pipe 150.

여기서, 도 2 및 도 3에서는, 한 개의 물주입파이프(150)만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교반본체부(120) 내측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복수 개의 물주입파이프(150)가 구비될 수도 있다.2 and 3, only one water injection pipe 150 is shown as being installed, but a plurality of water injection pipes 150 may be provided so as to cross the inside of the stirring main body 120 .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본체부(120)에 설치되는 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et portion provided in the agitation main body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본체부(120) 내측으로는 백호우 등을 이용하여 다량의 토사를 투입 시, 투입되는 토사의 양이 소정 크기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배출부(170)를 통하여 교반본체부(12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망부(18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망부(180)는 소정 크기의 격자망을 가지는 메시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반본체부(120)의 하측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치에 수평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2 to 4, when a large amount of the gravel is introduced into the agitation main body 120 by using a backhoe or the like, only when the amount of the gravel to be introduc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18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gitation main body (120). That is, the mesh part 180 is formed in a mesh shape having a mesh network of a predetermined size, and is horizontal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posi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agitation main part 120.

이때, 상기 망부(180)에는 상기 망부(180)가 상기 교반본체부(120) 내측에 설치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70)와 대응되는 수직 위치로 철판부(190)가 구비된다(도 5 참조). 상기 철판부(190)는 토사가 배출부(170)로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배출부(17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In this case, when the net 180 is installed inside the agitating main body 120, the net part 180 is provided with the iron plate part 190 at a vertic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ing part 170 5). The iron plate 190 prevents the gravel from falling directly to the discharge unit 170, thereby preventing the discharge unit 170 from being clogg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100)는 교반본체부(120)를 작업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상기 배출부(170)가 하향 배치된 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300)가 구비된다.Referring again to FIGS. 2 and 3, the stir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discharging unit 170 is disposed in a state where the discharging unit 170 is disposed downward at the site where the stirring main body unit 120 is performed (Not shown).

상기 받침부(300)는 지지부(310), 상부지지프레임(320) 및 하부지지프레임(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 unit 300 includes a support 310, an upper support frame 320, and a lower support frame 330.

상기 상부지지프레임(320)은 상기 교반본체부(120)의 상측 둘레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지지프레임(330)은 하측으로 갈수록 수렴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기 교반본체부(120)의 중앙부위를 감쌈과 동시에 하측으로 교반본체부(120)가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upper support frame 320 surrounds the upper side of the stirring main body 120 and the lower support frame 330 is arrang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tirring main body 120, And the stirring main body 120 does not move to the lower side at the same time.

그리고, 상기 지지부(310)는 상기 상부/하부지지프레임(320, 330)에 의하여 지지된 교반본체부(120)의 배출부(17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그 길이가 정하여진다.The length of the support portion 310 is determined so that the discharge portion 170 of the agitating main body portion 120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320 and 330 is positioned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또한, 상기 받침부(300) 일측으로는 백호우의 작동암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결착부(360)가 구비되며, 상기 결착부(360)는 상기 받침부(300)에 별도로 구비된 결착브라켓(350)에 고정된 형태를 이룬다.The binding part 36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part 300 so as to be fixed to the operation arm of the backhoe and the binding part 360 is provided with a binding bracket 350).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토목섬유튜브체 내측으로 토사를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injecting the soil into the geotextile tube body using the geotextile stirring apparatus for filling the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백호우에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irring device connected to a back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먼저, 상기 받침부(300)에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100)를 설치한 후, 도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받침부(300)에 구비된 결착부(350)에 백호우의 작동암(50)을 결착시킨다.6, after the stirr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300, the binding unit 350 provided in the receiving unit 300 i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arm 100 of the backhoe, (50).

그리고, 토목섬유튜브체(60)에 토사가 인입되도록 구비된 주입부에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100)의 배출부(170)를 연결시킨다.Then, the discharging portion 170 of the stirr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portion provided to the ground cord 60 to receive the soil.

다음으로는, 상기 연결클램프(158)에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호스(70)를 연결시킨다.Next, a water supply hose 70 to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lamp 158.

그리고 난 후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현장에 별도로 준비시킨 하나 이상의 백호우를 이용하여 상기 교반장치(100) 내측 수용부(110)로 토사를 투입함과 동시에 상기 물공급호스(70) 및 물주입파이프(150)를 이용 물을 공급시킨다.7, at least one backhoe separately prepared in the field is used to input the soil to the inner receiving portion 110 of the stirring device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supply hose 70 and / And supplies the water using the water injection pipe 150.

이렇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장치(100) 내측으로 투입된 토사에 상기 물주입파이프(150)의 주입부(155)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섞여지되, 특히 물이 소정 압력으로 토사를 가압하면서 공급되므로 토사와 물이 교반작용과 함께 상기 망부(180) 하측으로 소정 크기를 이루는 토사와 물이 낙하하게 된다.8,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jection part 155 of the water injection pipe 150 is mixed with the gravel fed into the agitation device 100, As the soil and water are supplied while pressurizing the soil, the soil and water falling down to a predetermined size downward from the net portion 180 fall down together with the action of the soil and the water.

이때, 상기 철판부(190)는 상기 배출부(170)의 수직 상부에 설치된 형태를 이루어 급작스럽게 교반장치(100) 내측으로 투입되는 토사가 상기 배출부(170) 측으로 곧바로 낙하하여 배출부(17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준다.At this time, the iron plate part 190 is installed vertically above the discharge part 170, so that the soil which is suddenly introduced into the stirring device 100 drops directly to the discharge part 170 side, ) From clogging.

한편,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주입부(155)는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주입부(155)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와류를 형성하며 교반장치(100) 내측 수용부(110)로 주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토사와 물의 교반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낼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injection unit 155 is formed in a corrugated pipe shape so that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jection unit 155 forms a vortex and is injected into the inside accommodation unit 110 of the stirring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effect of agitation of soil and water will be more effectively achieved.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물주입파이프(150)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밸브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a control valve is further provided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injection pipe 15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il stirring device 200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200)도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부 수용부(210)가 구비되고 외관을 이룸과 동시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렴된 형태로 이루어진 교반본체부(220)를 구비한다.The stirr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ner receiving unit 210 and a stirring main body 220 having an outer appearance and converg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s in the above- .

또한, 상기 교반본체부(220) 하부로 배출부(270)가 구비됨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같다.Further, the discharge unit 270 is provided below the agitation main body 22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그리고, 상기 교반본체부(22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교반본체부(200) 내측의 수용부(210)로 물이 주입되도록, 상기 교반본체부(220)의 내외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주입부(250)가 구비된다.The stirring main body 220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tirring main body 220 so that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receiving portion 210 inside the stirring main body 200 An injection unit 250 is provided.

이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250)는 상기 교반본체부(220)의 둘레를 따라서 상하로 다수 행 및 다수 열을 설치된다. 즉, 교반본체부(220)의 사방에서 상하로 다수 위치에 걸쳐 교반본체부(220) 내측으로 물이 주입되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jection unit 2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tirring main body 220. That is, water is injected into the agitating main body 220 from the four sides of the agitating main body 220 through a plurality of positions vertically.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교반본체부(220) 내측으로 망부(280) 및 철판부(290)가 구비됨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같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mesh portion 280 and the iron plate portion 290 are provided inside the stirring main body 22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200)도 또한 상기 교반본체부(220)를 지상에 배출부(270)가 하향 배치된 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3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tirr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provided with a receiving unit 300 for keeping the stirring unit 220 in a state where the discharging unit 270 is disposed on the ground . Since the receiving unit 30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를 받침부에 설치하고, 주입부에 물공급호스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토목섬유튜브체에 준설토를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il-stirring apparatus for filling a geotextile tube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ceiving unit and a water supply hose connected to the injection unit. FIG.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redged soil is injected into a geotextile tube body using an agitating device according to FIG.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200)의 주입부(250) 각각에는 물As shown, each of the injection portions 250 of the stirr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water

공급호스(470)가 연결되되, 상기 복수 개의 물공급호스(470)에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외부 물공급호스(470)에 연결되는 메인공급파이프(410)가 상기 받침부(300)에 설치된다.A main supply pipe 410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hose 47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300 so that water can be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hoses 470 while the supply hose 470 is connected,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메인공급파이프(410)와 물공급호스(430)의 연결부위에는 각각 별도의 연결밸브(510)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서는 선택된 물공급호스(470)를 통하여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교반장치(200) 내측 일부 위치로 많은량의 토사가 투입되어 교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배출부(270)를 통한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일측 주입부(250)에 강한 수압으로 물이 주입되도록 하여 적체된 토사의 위치 이동 및 원활한 교반을 시키고자 하기 위함이다.The main supply pipe 410 and the water supply hose 4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parate connection valve 510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selected water supply hose 470 . This is because when a large amount of the gravel is put into a part of the inside of the stirring device 200 so that stirring is not properly performed and smooth discharge through the discharging part 270 is not performed, Water is injected by the water pressure so as to move the accumulated soil and smoothly stir.

또한, 상기 배출부(270)에는 토목섬유튜브체의 주입부와 연결되는 연결호스(277)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호스(277)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200)와 이격된 위치에 토목섬유튜브체를 설치한 후 토사 및 물의 주입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 connection hose 277 connected to the injection portion of the geotextile tube body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ion 270. Whe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hose 277 is made longer, it is possible to inject the soil and water after installing the geotextile tube body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stirr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주입부(250)는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주입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와류를 형성하며 교반장치 내측 수용부로 주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Also,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injection unit 250 may have a corrugated shape so that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jection unit forms a vortex and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stirring apparatu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토목섬유튜브체를 충진하는 경우에는 교반장치의 둘레를 따라서 상하로 다수 행 및 다수 열을 이루며 주입부(25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토사와 물의 교반효과를 상술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filling the geotextile tube body using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jection unit 25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up and dow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tirring apparatus , The stirring effect of the soil and water can be further enhanced a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또한, 각각의 주입부(25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외부 연결밸브(510) 작동을 통하여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교반본체부(200) 내부 수용부에 주입된 토사가 교반되기에 적절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측에 교반장치가 고정되도록 한 후, 배출부(270)에 연결시킨 연장호스(90)를 이용하여 이격된 위치에 설치시킨 토목섬유튜브체(60) 내측으로 토사 주입 작업만을 통하여 토목섬유튜브체의 충진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ied through each injection unit 250 is adjus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valve 510, so that the soil can be mov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10 and 11, the stirrer is fixed on the upper side, and then the geotextile tube body (not shown) installed at a spaced position by using the extension hose 90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270 60 to fill the geotextile tube body only through the soil injection operation.

나아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주입부(250)를 소정 각도(θ)를 이루며 설치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교반본체부(220) 내측으로 공급되는 물이 소용돌이 치며 공급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토사와 물의 교반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12, when the injection unit 25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gitation main body 220 is swirled and supplied. Therefore, The stirring effect can be obtained.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주입부(250)의 설치 각도를 모두 다르게 하여 불규칙한 물 공급방향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교반 효과를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injection unit 250 may be varied to achieve irregular water supply direction, thereby enhancing the stirring effect.

한편, 상기 복수 개의 물공급호스(470) 각각은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지시부(미도시)가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호스(470)와 대응되는 상기 연결밸브(510)는 대응되는 물공급호스(470)의 지시부와 대응되는 제2지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hoses 470 is provided with a first indicator (not shown) for visual identification, and the connection valve 510,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pply hose 470, (Not shown) corresponding to an instruction portion of the water supply hose 470 may be provided.

이는, 복수 개의 물공급호스를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후, 연결밸브를 대응되는 물공급호스와 같은 색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별도의 표식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에는 일부 주입부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hoses may be made of different colors, and the connection valve may be made of the same color as the corresponding water supply hose or may be formed using a different marking unit. In such a case, water can be usefully used when supplying water through a part of the injection unit.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가 설치되는 다양한 다른 형태의 받침부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various other types of receiving portions in which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먼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에 적용되는 받침부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pport unit applied to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것처럼, 교반장치가 적용되는 받침부(601)는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상부받침부(610)와 하부받침부(63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upport unit 601 to which the stirring device is applied may be composed of an upper support unit 610 and a lower support unit 630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상부받침부(610)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교반본체부가 지지되는 지지프레임(612) 및 상기 지지프레임(6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부(617)로 이루어진다.The upper support part 610 includes a support frame 612 for supporting the agitation main body part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an upper support part 617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frame 612.

그리고, 상기 하부받침부(630)는 사각형상의 둘레프레임(632) 및 상기 둘레프레임(632)의 모서리 부위로 구비되는 하부지지부(637)로 이루어진다.The lower receiving portion 630 includes a rectangular peripheral frame 632 and a lower holding portion 637 provided at a corner of the peripheral frame 632.

이때, 상기 하부지지부(637)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둘레프레임(632)에 안착홈(635)이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에 상기 상부받침부(610)의 상부지지부(617) 하단이 착탈식으로 고정된다.At this time, a seating groove 635 is formed in the peripheral frame 63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holding portion 637,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617 of the upper receiving portion 61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ating groove .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른 받침부(602)를 적용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서 상부받침부(610)만 사용하거나 상부받침부(610)와 하부받침부(630)가 결합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case of applying the receiving portion 602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pper receiving portion 610 may be used alone, or the upper receiving portion 610 and the lower receiving portion 630 may be used in combina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에 적용되는 받침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receiving portion applied to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에 적용되는 받침부(602)의 다른 형태의 경우, 상기 지지부는 길이 가변이 가능하게 다단으로 이루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receiving unit 602 applied to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unit is multi-stage in which the length can be varied.

즉, 지지프레임(612)과 지지부(617)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의 외부로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지지부(650)가 더 구비된다.That is,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liding support portion 650 having a support frame 612 and a support portion 617, which is installed outside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그리고, 상기 지지부(617)와 슬라이딩지지부(650)는 각각 고정공(618, 652)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공(618, 652)을 관통하여 지지부(617)와 슬라이딩지지부(65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볼트(680)가 적용된다.The supporting portion 617 and the sliding supporting portion 650 are provided with fixing holes 618 and 652 and the supporting portion 617 and the sliding supporting portion 650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xing holes 618 and 652 A fixing bolt 680 is applied.

이때, 상기 슬라이딩지지부(650)의 하단부에 이동휠부(680)가 구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moving wheel 68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support portion 650.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에 따른 받침부(602)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지지부(650)를 통하여 지지되는 위치의 길이가변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전체 지지부(617)가 위치하는 지형의 높이가 모두 다른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support portion 602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spect is applied, the length of the position supported through the sliding support portion 650 can be varied. This can be advantageously applied when the height of the terrain where the entire support portion 617 is located is different.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장치에 적용되는 받침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earing unit applied to the stir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형태에 따른 받침부(603)는 교반본체부가 설치되는 상부받침부(660) 및 상기 상부받침부(66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받침부(69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받침부(660)가 상기 하부받침부(690)의 상부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receiving portion 60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top receiving portion 660 provided with a stirring main body and a bottom receiving portion 690 provided below the top receiving portion 660. The top receiving portion 660 Is installed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eceiving portion 690.

이를 위해, 상기 상부받침부(663)는 교반본체부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612) 및 슬라이딩지지부(665)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받침부(690)는 소정 길이를 지니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레일홈(694)이 구비된 레일프레임(692)과 상기 레일프레임(692)의 하부로 구비되는 메인지지부(695)로 이루어진다.The upper support part 663 is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612 and a sliding support part 665 provided with a stirring main body part and the lower support part 69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main support portion 695 provided below the rail frame 692. The rail frame 692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694,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른 받침부(603)는 상기 하부받침부(690)의 레일홈(694)에 상부받침부(660)의 슬라이딩지지부(665)가 설치되도록 한 후, 상기 지지프레임(612)에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교반본체부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프레임(69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적절위치로 교반본체부를 이동시키며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The support portion 603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hape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liding support portion 665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660 is installed in the rail groove 694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690, The stirring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installed, and the stirring body portion is moved to a proper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frame 692, thereby enabling work.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200: 교반장치 120, 220: 교반본체부
150: 물주입파이프 155, 250: 주입부
158: 연결클램프 170, 270: 배출부
180, 280: 망부 190, 290: 철판부
300: 받침부 310: 지지부
320: 상부지지프레임 330: 하부지지프레임
350: 결착브라켓 360: 결착부
410: 메인공급파이프 470: 물공급호스
510: 연결밸브
100, 200: stirring device 120, 220: stirring main body part
150: water injection pipe 155, 250: injection part
158: connection clamp 170, 270:
180, 280: net 190, 290: iron plate
300: Support part 310: Support part
320: upper support frame 330: lower support frame
350: Binding bracket 360: Binding part
410: main supply pipe 470: water supply hose
510: Connecting valve

Claims (21)

상부가 개구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관통된 형태로 배출부가 구비된 교반본체부가 구비된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Wherein the agitating body has an upper portion opened and converging toward the lower portion, the agitating body having a discharge portion penetrating the low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본체부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교반본체부 내측으로 물이 주입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입부가 구비된 물주입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irring main body portion
And a water injection pipe having at least one injection unit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agitation main body and injecting water into the agitation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입파이프는,
상기 교반본체부 내측을 가로지르며 복수 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injection pipe includes:
Wherein a plurality of the traversing bodies are provided across the inside of the agitating body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입파이프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와류를 형성하며 공급되도록 상기 주입부는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jection un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tube so that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injection pipe forms a vortex and is suppli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물이 주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jector is adapted to inject water in different directions. ≪ RTI ID = 0.0 > 8. < / RTI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입파이프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연결밸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valve for adjusting a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injection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본체부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교반본체부 내측으로 물이 주입되도록 상기 교반본체부의 내외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주입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irring main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units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gitating main body so as to inject water into the agitating main body by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교반본체부의 둘레를 따라서 상하로 다수 행 및 다수 열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jection unit
And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ar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agitating main body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주입부 각각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공급호스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jection portions comprises:
And a water supply hose to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outside is connec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물공급호스에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메인공급파이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main supply pipe for simultaneously supplying water to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hos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급호스와 상기 각각의 물공급호스 사이에는,
상기 각 물공급호스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Between the main supply hose and each of the water supply hoses,
And a connection valv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each of the water supply ho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본체부는,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측 기 설정된 위치로 상기 교반본체부를 가로지르며 설치되는 망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irring main body portion
And a net portion provided across the agitating main body portion from the discharge portion to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agitating main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 상부로 상기 망부에는 철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et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eel plate portion above the discharg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본체부는,
일측으로 백호우의 작동암에 결착되는 결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irring main body portion
And a binder unit which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peration arm of the backho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물공급호스 각각은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지시부가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호스와 대응되는 상기 연결밸브는 대응되는 물공급호스의 지시부와 대응되는 제2지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hoses is provided with a first indicating unit for visually identifying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hoses,
Wherein the connection valve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pply hose is provided with a second indicator corresponding to an indicator of the corresponding water supply ho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본체부가 작업 현장의 지면에 설치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교반본체부가 설치되는 받침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gitating body further comprises a supporting part provided with the agitating body part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agitating body part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work sit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교반본체부가 설치되는 상부받침부; 및
상기 상부받침부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하부받침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0030]
An upper support part on which the stirring main body part is installed; And
A lower receiv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receiving portion;
And a soil-stirring device for filling the geotextile tube body.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부는 상기 교반본체부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부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받침부는 메인프레임 및 하부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으로 상기 상부지지부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upper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and an upper support portion in which the stirring body portion is installed,
Wherein the lower support part includes a main frame and a lower support part,
And the upper support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 가변이 가능하게 다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upport portion
And a plurality of tiers are provided to allow the length of the soil to be vari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단부에 이동휠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upport portion
And a moving wheel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lop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교반본체부가 설치되는 상부받침부 및 상기 상부받침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받침부는 상기 하부받침부의 상부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튜브체 충진용 토사 교반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0030]
And a lower receiv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upper support portion is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KR1020140124500A 2014-09-18 2014-09-18 Slurry agitating device for filling geotextile tube KR1016418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500A KR101641896B1 (en) 2014-09-18 2014-09-18 Slurry agitating device for filling geotextile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500A KR101641896B1 (en) 2014-09-18 2014-09-18 Slurry agitating device for filling geotextile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504A true KR20160033504A (en) 2016-03-28
KR101641896B1 KR101641896B1 (en) 2016-07-29

Family

ID=5661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500A KR101641896B1 (en) 2014-09-18 2014-09-18 Slurry agitating device for filling geotextile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8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065A (en) * 2016-11-21 2018-05-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Water zet module and Agitating device with water zet module for filling geotextile tub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576A (en) * 1989-07-25 1991-03-11 Konica Corp Image reader
JP2548324Y2 (en) * 1991-03-26 1997-09-17 株式会社フジタ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in highly viscous mud
JP2001317058A (en) * 2000-05-11 2001-11-16 Nishimatsu Constr Co Ltd Greening material spraying device
JP2008184756A (en) * 2007-01-27 2008-08-14 Sasaki:Kk Large-sized sandbag fill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576B2 (en) * 1991-09-11 2000-06-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Cylindrical body insp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576A (en) * 1989-07-25 1991-03-11 Konica Corp Image reader
JP2548324Y2 (en) * 1991-03-26 1997-09-17 株式会社フジタ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in highly viscous mud
JP2001317058A (en) * 2000-05-11 2001-11-16 Nishimatsu Constr Co Ltd Greening material spraying device
JP2008184756A (en) * 2007-01-27 2008-08-14 Sasaki:Kk Large-sized sandbag fill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065A (en) * 2016-11-21 2018-05-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Water zet module and Agitating device with water zet module for filling geotextile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896B1 (en)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5328A (en) Jet-type sediment cleaning system
KR101641896B1 (en) Slurry agitating device for filling geotextile tube
DE2342566C3 (en) Process for removing a settled, particulate solid mass
CN207392286U (en) A kind of eddy current type gas disturbs Fine Sediments in Estuaries dredger
CN102094454A (en) Improved dredging boat for large-diameter sewage pipe
CN104652381B (en) A kind of method that wave of implementing to disappear in hydrostatic blocks dirty filtration
CN109056879A (en) A kind of riverway sludge cleaning plant and construction method
US4571121A (en) Underwater erosion prevention and backfill system with barrier bag installation
KR102000749B1 (en) Sliding guider for sea riprap drop
KR100801350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olumns of materials in the ground of bodies of water
DE102011102546A1 (en)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energy plant, has body designed as annular body, and shaft designed as lattice construction, where body has passages that are opened toward sole of body and chambers for collecting sand
EP3111014A1 (en) Piping screen
DE2730853A1 (en) DEVICE FOR BURNING A PIPE IN A WATER SOIL
US8888407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sealing and/or securing a borehole
CN205115266U (en) Harbour deposited silt solidification ratio experimental apparatus
KR101883222B1 (en) Agitating device with water zet module for filling geotextile tube
CN210288402U (en) Distributing machine for underwater concrete pouring
CN102400451B (en) Gravity geotextile pipe mud grouting device
JP5643969B2 (en) How to raise a tidal flat
DE2407655A1 (en) Submersible drilling platform with hollow legs - has sealable openings on the matel, and floodable containers at the base of each leg
CN205115265U (en) Pier deposited silt solidification ratio experimental apparatus
DE2029813A1 (en) Excavation process
JP6228947B2 (en) Landfill equipment at water surface landfill site
KR102474157B1 (en) Seabed rock berm leveling device
CN107816076A (en) Grid type gas disturbs river mouth mud scum dredger and river mouth mud scum dred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