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423A - Flat net of using 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Flat net of using 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423A
KR20160033423A KR1020140124253A KR20140124253A KR20160033423A KR 20160033423 A KR20160033423 A KR 20160033423A KR 1020140124253 A KR1020140124253 A KR 1020140124253A KR 20140124253 A KR20140124253 A KR 20140124253A KR 20160033423 A KR20160033423 A KR 20160033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net
flat net
pres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2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41878B1 (en
Inventor
구명화
Original Assignee
구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명화 filed Critical 구명화
Priority to KR1020140124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878B1/en
Publication of KR20160033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4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8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03Nets for tennis or like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63B17/04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4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for nets, e.g. centre strainers, single-double adjusters, net height 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Toy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flat net using a bar combination connector comprising: a bar combination connector including a connector main body in the shape of a cube, connection guiding grooves which formed on each side of the cube including a lower side, a back side, and a lateral side among the cube of the connector main body to guide connection of bars, and a guide protrusion which guides, connects, and holds a front end portion of the bars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on guiding grooves; and a flat net formed by using the bar combination connector. The flat net comprises: two or more vertical bars which are joined and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connection guiding grooves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connector main body; a horizontal bar which is connects the connector main bodies, which are joined to the connection guiding grooves, formed on a back side of the connector main body,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n horizontal direction; and a net screen which is attached along the vertical bar and the horizontal bar. Accordingly, a multipurpose flat net product, which is formed by joining the bars with the bar combination connectors and is used as a net, an instrument, and a fence for exercises in an indoor or outdoor space, is provided.

Description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플랫 네트{FLAT NET OF USING 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FLAT NET USING 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

본 발명은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플랫 네트 제품에 관한 것으로 봉 조합 연결구를 통해 봉을 수직과 수평 방향에서 간단하게 연결 결합하여 실내외 운동을 위한 용도 및 공간 구획과 분할 그리고 교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플랫 네트 제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net product using a rod connecting connector. The rod can be connected to a ro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a rod connecting port for use for indoor and outdoor movement, a rod assembly To a flat net product using a connector.

일반적으로 봉 조합 운동기구는 봉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필요하다. 본인의 선등록 국내 등록실용 제20-04565160000호에 기재된 '다용도 체육기구'에 기재된 내용은 다용도 체육기구를 구성하는 결합부재들을 여러 방향면에서 쉽고 간단하게 기능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In general, the rod assembly exercises require a connector to connect the rods. Registration of the person himself / herself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Multipurpose physical athletic apparatus' described in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Standard No. 20-04565160000 are proposed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s constituting the multipurpose physical athletic apparatus can be easily and simply and functionally connected in various directions.

상기 기술은 연결장치를 지지대를 축으로 장착시키기 위하여 구멍이 뚫린 홀이 형성된 연결장치 본체, 연결장치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막대형 결합부재를 안착시키는 안착홈과, 연결장치 본체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링이나 막대형 결합부재를 끼울 수 있는 핑거가 달린 그립홀더를 구비하는 것으로 이 기술은 막대나 봉을 여러 방향에서 연결하거나 결합하여 이어 줄 수 없는 단점 때문에 봉 조합운동기구로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The above-described technique has a connecting device body formed with a hole having a hole for mounting the connecting device on the shaft, a mount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device body for seating the rod-shaped connecting member, This technique has a limitation in utilizing a rod or a rod as a rod assembly mechanism because of the drawback that the rod or rod can not be connected or joined in various directions .

본인의 또 다른 선등록 국내 등록실용 제20-04565240000호에 개시된 '다용도 체육기구'에 소개된 내용은 다용도 체육기구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쓰러짐을 방지하며 운동이나 놀이중 지지베이스에 신체가 접촉하여 신체 상해가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도 지지베이스를 바닥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용도 체육기구에 관한 것으로 마찬가지로 이 기술은 막내나 봉을 여러 방향에서 연결하거나 조립하거나 결합하여 이어 줄 수 없으므로 봉 조합 운동기구로 활용하는데 미흡했다.Another introduction of my own registration The introduction to 'Multipurpose sports athletic apparatus' disclosed in the domestic registration practice No. 20-04565240000 firmly supports a multipurpose athletic apparatus and prevents collapse, and the body contacts the support base during exercise or pl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ports apparatus for supporting a support base firmly on the floor while preventing injury, and similarly, since this technique can not connect or assemble a film or rod in various directions, It was not enough to utilize.

이에 본 출원인 발명자는 봉을 효과적이면서도 간단하게 연결하거나 조합하여 봉 조합 운동기구를 여러 형상으로 다변화시키면서 운동 및 체육 그리고 신체단련 교구나 운동용구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봉 조합 연결구를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외에서 테니스, 배드민턴 등의 운동용 네트로 활용할 수 있고, 공간의 분할과 구획용 펜스, 그리고 유아 및 아동의 교육과 인지발달용 교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플랫 네트 제품을 개발하였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rod connecting port for connecting the rods effectively or simply and in combination to diversify the rod connecting exercises into various shapes and to use them as a sports and physical training and physical training parlor or exercise equipment. It has developed a versatile flat net product that can be used indoors and outdoors as an exercise net for tennis, badminton, etc., and can be used for space division, compartment fence, and educa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for children and children.

선행기술 1.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65160000호Prior art 1. 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4565160000 선행기술 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65240000호Prior Art 2. 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4565240000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 및 체육 기구로 활용하는 봉을 간단하게 연결하거나 조합하고 여러 형상으로 변화시키면서 운동 및 체육 그리고 신체단련 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플랫 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orts and exercise apparatus which can easily connect or combine rods used for exercise and athletic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을 조합하는데 있어서 쉽게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이어서 결합할 수 있는 봉 조합 연결구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외 운동 용도 및 공간 구획과 분할 그리고 교구 등을 포함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랫 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d connecting connector that can be easily and continuously inserted into a rod, and can be used for indoor and outdoor exercise, a flat plate Net.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플랫 네트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연결구 본체, 상기 연결구 본체의 육면체의 각 면들 중 하부면 및 측면 또는 그 이상의 면들에 형성되어 봉의 결합을 유도하는 결합 유도홈들, 상기 결합 유도홈을 따라 진입하는 봉의 선단을 안내 결합하여 잡아주는 가이드 턱을 포함하는 봉 조합 연결구; 및 상기 봉 조합 연결구를 통해 구성된 플랫 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랫 네트는, 상기 연결구 본체에 형성된 상기 결합 유도홈에 결합 되어 수직 방향 세워진 수직 봉, 상기 결합 유도홈에 결합 되어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수평 봉, 상기 수직 봉과 수평 봉을 따라 부착된 네트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lat net using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body including a hexahedron body, a lower face formed on each side face of the hexahedron body, And a guiding jaw for guiding and guiding the tip of the rod entering along the coupling guide groove; And a flat net constituted by the rod connecting connector, wherein the flat net comprises: a vertical rod vertically erected coupled to the engaging guide groove formed in the connecting rod body; A connected horizontal rod, and a net screen attached along the vertical rod and the horizontal ro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네트 스크린은 망상체이거나 면상체로서, 천, 비닐, 합성수지판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봉은 바닥과 접지되는 별도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 되는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플랫 네트를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 screen may be a mesh or a planar body,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cloth, vinyl and synthetic resin, and the vertical bar may be provided on a separate support And a flat net using a rod connecting connector supported by the flat connecting ne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플랫 네트는, 운동 및 체육용도로 활용하는 봉을 효과적이면서도 간단하게 연결하거나 조합하여 봉 조합 운동 및 체육 기구를 여러 형상으로 변화시키면서 운동 및 체육 그리고 신체단련 교구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고, 봉을 조합하는데 있어서 쉽게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이어서 결합할 수 있는 봉 조합 연결구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외 운동 용도 및 공간 구획과 분할 그리고 교구 등을 포함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랫 네트 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flat net using the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and simply connect or combine the rods used for exercise and physical exercise, It is possible to use as a training diaphragm,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d connecting end which can be easily joined without sticking to a rod easily, and can be used for indoor and outdoor exercise, multi-purpose including space division and divis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flat net product which can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의 반 단면 형상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의 조합 과정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의 봉 결합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를 통한 봉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에 의한 다방향 봉 결합 상태 전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봉 결합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D-D'선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사용된 봉 조합 기구 제품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플랫 네트의 이미지를 나타낸 참고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half sectional view of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bination process of the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od-joining state of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5, illustrating a state of a rod connection through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directional rod-joining state developed by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bar-joined state view according to Fig. 8;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11 to 1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rod assembly device product us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image of a flat net using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는 도 1 내지 도 10과 같이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봉을 연결하거나 조합하거나 봉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다양한 형상의 봉 조합 기구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운동 기구 및 교구를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As shown in FIGS. 1 to 10, the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nect or combine rods in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or connect rods in series to complete rod combining mechanisms of various shapes. Especially, it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exercise equipment and dioces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의 반 단면 형상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의 조합 과정 예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의 봉 결합 상태 예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를 통한 봉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의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에 의한 다방향 봉 결합 상태 전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봉 결합 상태도 이다. 도 10은 도 9의 D-D'선 단면도 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가 사용된 봉 조합 제품의 다양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플랫 네트의 이미지를 나타낸 참고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d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half cross-sectional view of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bination process of the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5, illustrating a state of a rod connection through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d conn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directional rod-coupled state developed by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the rod connection according to Fig. 8.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11 to 1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configurations of a rod assembly product us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image of a flat net using a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용 봉(20)을 결합하여 이어 주거나 조합하여 봉 조합 운동기구로 형상화하는 봉 조합 연결구(10)로 구성되며, 이를 이용하여 플랫 네트를 구성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rod connecting connector 10 that forms a rod combining exercise device by connecting or connecting the exercise rods 20 as shown in FIG. 1 to FIG. 4, do.

여기서 '플랫 네트'의 의미는 평평한 '판' 또는 '막' 등의 총괄적 의미로서, 예를 들면, 운동용 기구 중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테니스 운동용 네트 등이 될 수 있고, 공간을 구획하거나 분활 하는 '펜스'의 의미이다.Here, the term 'flat net' has a general meaning such as a flat plate or a membrane, and may be, for example, a net for a tennis movement which is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mong exercising apparatuses, Is the meaning of 'f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 조합 연결구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연결구 본체(10)로 구성된다. 본체는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육방면체인 연결구 본체(10)는 한번의 사출 성형법으로 완성하기 어렵고 이등분하여 한쪽씩 성형을 완료하고 후 공정으로 본딩 등으로 접합하여 완성된다. 물론 기계가공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경제성이 떨어져 이등분 사출 성형 제작으로 접합하여 큐빅 모양의 육방면체로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d connect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nnecting body 10 having a hexahedron. The main body is preferably made of synthetic resin by injection molding. It is difficult to complete the meat packing chain main body 10 by a single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the molding chain chain body 10 is completed by bonding one by one by bonding in a post-process. Of course, it can be formed by machining, but it is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and it is preferable to complete the cubic-shaped hexahedron by joining it by injection molding.

그리고 연결구 본체(10)의 육면체의 각 면들 중 적어도 한 곳 또는 그 이상의 면들에 형성되어 봉(20)을 유도하여 끼워서 고정하는 결합 유도홈(11)들이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 유도홈(11)들은 봉(20)의 선단부가 끼워져 결합 되도록 결합력을 지탱하는 부분으로서 육면체에서 결합 유도홈(11)의 깊이는 다른 어떤 구조에 비해 봉(20)의 외경에 대한 밀착 접촉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봉(20)의 빠짐이나 이탈 등의 문제 없이 견고한 상태로 봉(20)을 결합하고 지지한다.Coupling guide grooves 11 are formed on at least one or more surfaces of the hexahedron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to guide and fix the rods 20 therein. Here, the coupling guide grooves 11 are formed in the hexagonal body so that the depth of the coupling guide groove 1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20, It is possible to assure a large area, so that the rods 20 are joined and supported in a rigid state without problems such as disengagement and disconnection of the rods 20.

그리고, 결합 유도홈(11)의 선단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봉(20)의 결합을 유도하는 구배면(13)은 봉(20)의 선단면이 결합 유도홈(11)의 엣지 면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구멍의 크기를 확장하는 형상이므로 봉(20)의 초기 결합을 쉽고 빠르게 유도한다.The spherical surface 13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guide groove 11 and guiding the coupling of the rods 20 is formed so that the tip end surface of the rod 20 contacts the edge surface of the coupling guide groove 11 So that the initial engagement of the rod 20 can be easily and quickly induced.

또한 구배면(13)은 결합 유도홈(11)의 변형이나 구멍 사이즈 확장 등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증가시킨다.Further, the sphere rear surface 13 prevents deformation such as deformation of the coupling guide groove 11, enlargement of the hole size, and the like, and increases the durability.

또한 연결구 본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유도홈(11)을 따라 진입하는 봉(20)의 선단을 안내 결합하여 봉(20)을 흔들림 유동 없이 바로 잡아주는 가이드 턱(14)을 내부에 더 포함함으로써 봉(20)을 잡아주기 위한 별도의 패킹이나 보강제의 사용 없이 견고한 상태로 봉(20)을 결합하고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4, the connector main body 10 includes a guide protrusion 14 for guiding the tip of the rod 20 entering along the coupling guide groove 11 to guide the rod 20 without swinging motion, So that the rod 20 can be joined in a rigid state without using any additional packing or reinforcing agent to hold the rod 20 and to secure the supporting force.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 본체(10)의 면에 형성되는 결합 유도홈(11)의 어느 한 곳 또는 한 곳 이상 최대 5곳이 격벽(12)으로 막혀 있는 봉 조합 운동기구용 연결구(10)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2)의 형성 위치가 육면체 중 6면을 모두 결합 유도홈(11)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어 격벽(12)과 결합 유도홈(11)이 복합되어 도 10과 같은 다방면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onnection guide groove 11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main body 10, or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ports 10, 8, the partition wall 12 may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six coupling guide grooves 11 of the hexahedron, as shown in FIG. 8, The induction grooves 11 can be combined to enable multidisciplinary coupling as shown in FIG.

도 11은 본 발명의 봉 조합 연결구의 연결구 본체(10)를 이용한 봉 조합 운동기구의 완성 예이다. 연결구 본체(10)는 바닥에 세워지는 지지대(30)와 결합 되어 수직 봉의 길이를 연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상부측 봉(20)을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연장하는 등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봉 운동기구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도 11로부터 응용되거나 변형된 제품들일 수 있으며, 이 밖에 여러 가지 형상과 모양으로 다양한 제품으로 제작 가능하다.Fig. 11 is an illustrative example of a rod combining exercise device using the connecting rod main body 10 of the rod connec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body 10 may be use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bar by being coupled with a support stand 30 that is raised on the floor,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such as connecting or extending the upper side bar 20 in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Can be completed. FIGS. 12 and 13 can be applied or modified products from FIG. 11, and various products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shapes.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 네트 제품을 이미지로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봉 조합 연결구의 연결구 본체(10)를 이용하여 플랫 네트로 구성된다.1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image of a flat net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flat net using a connecting body 10 of a rod connecting connector.

플랫 네트는, 연결구 본체(10)에 형성된 결합 유도홈(11)에 결합 되어 수직 방향 세워진 수직 봉, 결합 유도홈(11)에 결합 되어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수평 봉, 수직 봉과 수평 봉을 따라 부착된 플랫 네트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랫 네트 스크린은 망상체이거나 면상체로서, 천, 비닐, 합성수지판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직 봉은 바닥과 접지되는 별도의 지지대(30)에 의해 지지하는 경우 무너지거나 넘어지지 않고 곧고 바로 선 상태로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한다.The flat net includes a vertical bar coupled to the coupling guide groove 11 formed in the coupling head body 10 and vertically erected, a horizontal bar coupled to the coupling guide groove 11 and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flat net screen. The flat net screen may be a mesh or a planar body,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cloth, vinyl, and synthetic resin, and the vertical bar may be supported by a separate support 30 It maintains a solid supporting force in a straight and straight line without collapsing or fall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 네트 제품은 실내외에서 테니스 네트, 베드민턴 및 허들 장애물 넘기 운동 등을 위한 용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공간 구획과 분할을 위한 펜스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아 및 아동의 운동과 교육용 인지발달 교구 등으로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flat net produ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variously for indoor and outdoor tennis net, badminton, hurdle obstacle jumping exercise and the like. It can also be used as a fence for space division and partitioning, and can be used multipurpose as a cognitive developmental educational center for children and children.

본 발명은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bu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연결구 본체 11: 결합 유도홈
12: 격벽 13: 구배면
14: 가이드 턱 20: 봉(막대)
10: Connector body 11: Coupling guide groove
12: partition 13:
14: guide chin 20: rod (rod)

Claims (2)

육면체로 이루어진 연결구 본체(10), 상기 연결구 본체(10)의 육면체의 각 면들 중 하부면 및 측면 또는 그 이상의 면들에 형성되어 봉(20)의 결합을 유도하는 결합 유도홈(11)들, 상기 결합 유도홈(11)을 따라 진입하는 봉(20)의 선단을 안내 결합하여 잡아주는 가이드 턱(14)을 포함하는 봉 조합 연결구; 및 상기 봉 조합 연결구를 통해 구성된 플랫 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랫 네트는, 상기 연결구 본체(10)에 형성된 상기 결합 유도홈(11)에 결합 되어 수직 방향 세워진 수직 봉, 상기 결합 유도홈(11)에 결합 되어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수평 봉, 상기 수직 봉과 수평 봉을 따라 부착된 네트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된 봉 조합 연결구를 이용한 플랫 네트.
Coupling guide grooves 11 formed on a lower surface and side surfaces or more surfaces of the hexahedron of the coupling head main body 10 to induce coupling of the rods 20, And a guide jaw (14) for guiding and holding the leading end of the rod (20) entering along the coupling guide groove (11). And a flat net constituted by the rod connecting connector,
The flat net includes a vertical rod vertically installed in the coupling guide groove 11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 body 10, a horizontal rod connected to the coupling guide groove 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flat net with rod connection end configured with a net screen attached along the r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 스크린은 망상체이거나 면상체로서, 천, 비닐, 합성수지판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봉은 바닥과 접지되는 별도의 지지대(30)에 의해 지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조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플랫 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et screen may be a network or a planar body,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cloth, vinyl, and synthetic resin,
Wherein the vertical bar is supported by a separate support base (30) grounded to the floor, and a flat net using the same.
KR1020140124253A 2014-09-18 2014-09-18 Flat net of using 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 KR1017418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253A KR101741878B1 (en) 2014-09-18 2014-09-18 Flat net of using 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253A KR101741878B1 (en) 2014-09-18 2014-09-18 Flat net of using 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423A true KR20160033423A (en) 2016-03-28
KR101741878B1 KR101741878B1 (en) 2017-06-01

Family

ID=5700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253A KR101741878B1 (en) 2014-09-18 2014-09-18 Flat net of using 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87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24Y1 (en) 2008-12-18 2011-11-03 구명화 Multipurpose physical training
KR200456516Y1 (en) 2008-12-18 2011-11-03 구명화 Multipurpose physical train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24Y1 (en) 2008-12-18 2011-11-03 구명화 Multipurpose physical training
KR200456516Y1 (en) 2008-12-18 2011-11-03 구명화 Multipurpose physical trai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878B1 (en)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2353B2 (en) Unit block having integrally provided coupling portion and insertion portion and coupling or using method using same
TW201707752A (en) Training Apparatus
US20180036584A1 (en) Three dimensional body movement structure
KR101611788B1 (en) Rail block toy
KR101741880B1 (en) Goal basket of using 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
KR101741878B1 (en) Flat net of using 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
KR101741879B1 (en) Goal net of using 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
WO2015199300A1 (en) Ball pool for infants
KR101180298B1 (en) Self-assembly toy house
KR101519733B1 (en) Stick connection for sporting equipment
CN202070139U (en) Intellectually-developed fitness interesting device for infants
KR20130000508U (en) Exerciser for doing sit-ups
KR20150046897A (en) Stick connection type sporting equipment
JP4524239B2 (en) Game equipment for pets
CN201880352U (en) Interesting jigsaw puzzle
CN206167712U (en) Children climbing rack
CN203598447U (en) Table tennis self-training self-entertaining movable board
JP2016112145A (en) Unit type assembly structure kit
CN209984884U (en) Deformation rope and physical training blanket composed of same
AU2017100043A4 (en) EDUCATIONAL TOY is an invention that can be useful as a toy and as an educational device for children.The toy allows children to construct various height stands and various angles for rolling a variety of objects down channels. The toy can be made in the form of various materials including natural bamboo, timber or plastic or any other material. The toy is intended to help children experiment and explore different angles, weights of objects and build their foundational mathematical/scientific understanding of force and motion.
KR101534072B1 (en) A swing practice device
JP3176473U (en) Household health appliances
CN213285639U (en) Detachable toy doll
CN202523267U (en) Combined spatial three-dimensional geometry teaching aid
CN217854546U (en) Splicing building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