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29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295A
KR20160033295A KR1020140123398A KR20140123398A KR20160033295A KR 20160033295 A KR20160033295 A KR 20160033295A KR 1020140123398 A KR1020140123398 A KR 1020140123398A KR 20140123398 A KR20140123398 A KR 20140123398A KR 20160033295 A KR20160033295 A KR 20160033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lor filter
blue
green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344B1 (ko
Inventor
임채경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3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344B1/ko
Priority to US14/844,226 priority patent/US9897730B2/en
Priority to CN201510587725.XA priority patent/CN105428386B/zh
Publication of KR2016003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C08K5/3417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6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also oxygen in the ring
    • C08K5/357Six-membered 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청색 색소 및 보라색 색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청색 컬러 필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며, 그에 따라 색좌표 상에서 청색 위치가 최적화되고 또한 청색의 피크 파장이 보다 날카롭게 형성되어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는 컬러 필터에 관한 것이다.
초창기 디스플레이 장치인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을 대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개발된 바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electron)를 주입하는 음극(cathode)과 정공(hole)을 주입하는 양극(anode)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음극에서 발생된 전자 및 상기 양극에서 발생된 정공이 상기 발광층 내부로 주입되면 주입된 전자 및 정공이 결합하여 액시톤(exciton)이 생성되고, 생성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지면서 발광을 일으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별도의 컬러 필터를 구비하지 않고 개별 화소 내의 발광층에서 적색(R), 녹색(G), 또는 청색(B)의 광을 발광하는 구조도 있고, 발광층에서 백색(W)의 광을 발광함과 더불어 개별 화소 별로 적색(R), 녹색(G), 또는 청색(B)의 컬러 필터를 구비한 구조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 컬러 필터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 박막 트랜지스터(20), 컬러 필터(30), 평탄화층(40), 양극(50), 뱅크층(60), 발광층(70), 음극(80), 및 봉지층(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는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는 상기 기판(10) 상에 차례로 형성된 게이트 전극(21), 게이트 절연막(22), 반도체층(23), 소스/드레인 전극(24a, 24b) 및 보호막(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컬러 필터(30)는 상기 보호막(25)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 필터(30)는 적색(R), 녹색(G), 또는 청색(B)의 컬러 필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평탄화층(40)은 상기 컬러 필터(30) 상에 형성되어 기판 표면을 평탄화시킨다.
상기 양극(50)은 상기 평탄화층(4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50)은 상기 평탄화층(40)과 상기 보호막(25)에 구비된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의 드레인 전극(24b)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뱅크층(60)은 상기 양극(50) 상에 형성되어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뱅크층(60)은 각각의 화소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발광층(70)은 상기 양극(5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광층(70)은 복수의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층(70)에서는 백색(W) 광을 발광한다.
상기 음극(80)은 상기 발광층(7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지층(90)은 상기 음극(80)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층(7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음극(80)에서 발생된 전자와 상기 양극(50)에서 발생된 정공이 상기 발광층(70) 내부로 주입됨으로써 상기 발광층(70)에서 백색(W) 광이 발광되고, 발광된 백색(W) 광이 상기 컬러 필터(30)를 통과하면서 원하는 색상의 광만이 상기 기판(10)을 통해 방출되면서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색재현율에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상기 발광층(70)에서 발광된 백색(W) 광이 상기 컬러 필터(30)를 통과하면서 원하는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데, 아직까지 개발된 상기 컬러 필터(30)의 재료는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의 색재현율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색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 필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청색 색소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보라색 색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청색 컬러 필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청색 컬러 필터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청색 색소 및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보라색 색소를 포함함으로써 색좌표 상에서 청색 위치가 최적화되고 또한 청색의 피크 파장이 보다 날카롭게 형성되어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청색 색소 및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보라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 변화에 따른 피크 파장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녹색 색소 및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 변화에 따른 피크 파장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5로 표현되는 적색 색소 및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 변화에 따른 피크 파장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색 컬러 필터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좌표 상의 y 좌표값(By)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색 컬러 필터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좌표 상의 y 좌표값(Gy)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색 컬러 필터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좌표 상의 x 좌표값(Rx)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컬러 필터를 포함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색좌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색(R) 화소, 녹색(G) 화소, 청색(B) 화소, 및 백색(W) 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0), 박막 트랜지스터(200), 컬러 필터(300a, 300b, 300c), 평탄화층(400), 제1 전극(500), 뱅크층(Bank layer)(600), 유기 발광층(700), 제2 전극(800), 및 봉지층(Encapsulation layer)(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100)은 유리 또는 구부리거나 휠 수 있는 투명한 플라스틱, 예로서, 폴리이미드가 이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상기 기판(100) 상에서 상기 적색(R) 화소, 녹색(G) 화소, 청색(B) 화소, 및 백색(W) 화소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게이트 전극(210), 게이트 절연막(220), 반도체층(230), 소스 전극(240a), 드레인 전극(240b), 및 보호막(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 전극(210)은 상기 기판(100) 상에 패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상기 게이트 전극(210)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도체층(23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상에 패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스 전극(240a)과 상기 드레인 전극(240b)은 상기 반도체층(230) 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패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막(250)은 상기 소스 전극(240a)과 상기 드레인 전극(240b)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도면에는 게이트 전극(210)이 반도체층(230) 아래에 형성되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하였지만, 게이트 전극(210)이 반도체층(230) 위에 형성되는 탑 게이트(top gate) 구조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컬러 필터(300a, 300b, 300c)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00) 상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호막(25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컬러 필터(300a, 300b, 300c)는 상기 적색(R) 화소에 형성된 적색 컬러 필터(300a), 상기 녹색(G) 화소에 형성된 녹색 컬러 필터(300b), 및 상기 청색(B) 화소에 형성된 청색 컬러 필터(300c)로 이루어진다.
상기 청색 컬러 필터(300c)는 청색 파장의 광은 통과시키고 그 외 파장의 광은 흡수하는 청색 색소 및 보라색 파장의 광은 통과시키고 그 외 파장의 광은 흡수하는 보라색 색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색 컬러 필터(300c)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청색 색소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보라색 색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청색 컬러 필터(300c)가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청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보라색 색소를 포함하게 되면 색좌표 상에서 청색 위치가 최적화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청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보라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는 67~74 : 26~33 범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일 경우 원하는 청색 파장의 광만이 상기 청색 컬러 필터(300c)를 통과하여 색재현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청색 컬러 필터(300c)가 청색 색소와 보라색 색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청색의 피크 파장이 보다 날카롭게(sharp) 형성되어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청색 컬러 필터(300c)는 2.33 ~ 2.73 ㎛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일 경우 색좌표 상의 y 좌표값이 최적화되어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녹색 컬러 필터(300b)는 녹색 파장의 광은 통과시키고 그 외 파장의 광은 흡수하는 녹색 색소 및 황색 파장의 광은 통과시키고 그 외 파장의 광은 흡수하는 황색 색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녹색 컬러 필터(300b)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녹색 색소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5
화학식 4
Figure pat00006
상기 녹색 컬러 필터(300b)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녹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를 포함하게 되면 색좌표 상에서 녹색 위치가 최적화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녹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는 54~56 : 44~46 범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일 경우 원하는 녹색 파장의 광만이 상기 녹색 컬러 필터(300b)를 통과하여 색재현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녹색 컬러 필터(300b)가 녹색 색소와 황색 색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녹색의 피크 파장이 보다 날카롭게(sharp) 형성되어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녹색 컬러 필터(300b)는 2.41 ~ 2.65 ㎛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일 경우 색좌표 상의 y 좌표값이 최적화되어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적색 컬러 필터(300a)는 적색 파장의 광은 통과시키고 그 외 파장의 광은 흡수하는 적색 색소(colorant) 및 황색 파장의 광은 통과시키고 그 외 파장의 광은 흡수하는 황색 색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색 컬러 필터(300a)는 하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적색 색소 및 하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7
화학식 6
Figure pat00008
상기 적색 컬러 필터(300a)가 상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적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를 포함하게 되면 색좌표 상에서 적색 위치가 최적화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적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는 73~78 : 22~27 범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일 경우 원하는 적색 파장의 광만이 상기 적색 컬러 필터(300a)를 통과하여 색재현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적색 컬러 필터(300a)가 적색 색소와 황색 색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적색의 피크 파장이 보다 날카롭게(sharp) 형성되어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적색 컬러 필터(300a)는 2.09 ~ 2.91 ㎛ 범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일 경우 색좌표 상의 x 좌표값이 최적화되어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400)은 상기 컬러 필터(300a, 300b, 300c) 상에 형성되어 기판 표면을 평탄화시킨다. 이와 같은 평탄화층(400)은 포토 아크릴과 같은 유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전극(500)은 상기 평탄화층(400)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240b)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전극(500)은 양극(anode)으로 기능하며, ITO와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뱅크층(600)은 상기 제1 전극(500) 상에 형성되며, 화소 영역을 정의하도록 매트릭스 구조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700)은 상기 제1 전극(5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700)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공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발광물질층(Organic 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기발광물질층을 제외하고, 상기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중 하나 이상의 층은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유기 발광층(700)은 백색(W)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백색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700)은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오렌지색 발광층과 청색 발광층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외에, 상기 백색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700)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700)에서 방출된 백색(W) 광은 전술한 컬러 필터(300a, 300b, 300c)를 지나면서 특정 파장의 광만이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2 전극(800)은 상기 유기 발광층(7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전극(800)은 음극(cathode)으로 기능한다. 상기 제2 전극(800)에는 공통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2 전극(800)은 상기 발광층(700) 뿐만 아니라 상기 뱅크층(600)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유기 발광층(700)에서 발광된 광이 하부의 기판(100)으로 방출되는 소위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이므로, 상기 제1 전극(500)은 투명 도전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800)은 불투명 도전물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유기 발광층(700)에서 발광된 광이 상부의 봉지층(900) 방향으로 방출되는 소위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500)은 불투명 도전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800)은 투명 도전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탑 에미션 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컬러 필터(300a, 300b, 300c)가 상기 제2 전극(800) 위에 형성된다.
상기 봉지층(900)은 상기 제2 전극(8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지층(900)은 상기 유기 발광층(70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봉지층(900)은 서로 상이한 무기물이 적층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무기물과 유기물이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청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보라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 변화에 따른 피크 파장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청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보라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가 67:33, 70:30, 및 74:26인 각각의 경우에서 대략 450nm의 청색 파장 범위에서 피크 파장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청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보라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는 67~74 : 26~33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녹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 변화에 따른 피크 파장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녹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가 54:46, 55:45, 및 56:44인 각각의 경우에서 대략 530nm의 녹색 파장 범위에서 피크 파장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녹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는 54~56 : 44~46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적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 변화에 따른 피크 파장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적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가 73:27, 75:25, 및 78:22인 각각의 경우에서 대략 600nm 이상의 적색 파장 범위에서 피크 파장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적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는 73~78 : 22~27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청색 컬러 필터(300c)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좌표 상의 y 좌표값(By)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청색 컬러 필터(300c)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색좌표 상의 y좌표값(By)은 감소하게 된다. 후술하는 도 9를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듯이, 청색(B)의 경우 색좌표 상의 y좌표값(By)이 감소할 경우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청색 컬러 필터(300c)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고, 이를 고려할 때 상기 청색 컬러 필터(300c)의 두께는 2.3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청색 컬러 필터(300c)의 두께가 2.73㎛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색좌표 상에서 청색(B)의 x좌표값이 변동될 수 있고 또한 광투과율도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색 컬러 필터(300c)의 두께는 2.7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상기 녹색 컬러 필터(300b)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좌표 상의 y 좌표값(Gy)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녹색 컬러 필터(300b)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색좌표 상의 y좌표값(Gy)도 증가하게 된다. 후술하는 도 9를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듯이, 녹색(G)의 경우 색좌표 상의 y좌표값(Gy)이 증가할 경우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녹색 컬러 필터(300b)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고, 이를 고려할 때 상기 녹색 컬러 필터(300b)의 두께는 2.4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녹색 컬러 필터(300b)의 두께가 2.65㎛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색좌표 상에서 녹색(G)의 x좌표값이 변동될 수 있고 또한 광투과율도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녹색 컬러 필터(300b)의 두께는 2.6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상기 적색 컬러 필터(300a)의 두께 변화에 따른 색좌표 상의 x 좌표값(Rx)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적색 컬러 필터(300a)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색좌표 상의 x좌표값(Rx)도 증가하게 된다. 후술하는 도 9를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듯이, 적색(R)의 경우 색좌표 상의 x좌표값(Rx)이 증가할 경우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적색 컬러 필터(300a)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고, 이를 고려할 때 상기 적색 컬러 필터(300a)의 두께는 2.09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적색 컬러 필터(300a)의 두께가 2.91㎛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색좌표 상의 x좌표값(Rx)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게 되고 또한 광투과율도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색 컬러 필터(300a)의 두께는 2.9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색 컬러 필터(300a), 녹색 컬러 필터(300b), 및 청색 컬러 필터(300c)를 포함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색좌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적색(R)의 경우 x좌표값이 커질 경우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고, 녹색(G)의 경우 y좌표값이 커질 경우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고, 청색(B)의 경우 y좌표값이 작을 경우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모두 색재현율 향상에 유리한 좌표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TV 또는 모바일용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도 있고, 당업계에 공지된 투명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적색 컬러 필터(300a), 녹색 컬러 필터(300b), 및 청색 컬러 필터(300c)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구비된 제1 기판, 전술한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300a, 300b, 300c)가 구비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100: 기판 200: 박막 트랜지스터
300a, 300b, 300c: 적색, 녹색, 청색 컬러 필터
400: 평탄화층 500: 제1 전극
600: 뱅크층 700: 유기 발광층
800: 제2 전극 900: 봉지층

Claims (9)

  1.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청색 화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청색 색소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보라색 색소;
    화학식 1
    Figure pat00009

    화학식 2
    Figure pat000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청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청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보라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는 67~74 : 26~33 범위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컬러 필터는 2.33 ~ 2.73 ㎛ 범위의 두께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화소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녹색 색소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화학식 3
    Figure pat00011

    화학식 4
    Figure pat000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녹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녹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는 54~56 : 44~46 범위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컬러 필터는 2.41 ~ 2.65 ㎛ 범위의 두께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화소는 하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적색 색소 및 하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화학식 5
    Figure pat00013

    화학식 6
    Figure pat0001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적색 컬러 필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5로 표현되는 적색 색소 및 상기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황색 색소 사이의 중량비는 73~78 : 22~27 범위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컬러 필터는 2.09 ~ 2.91 ㎛ 범위의 두께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23398A 2014-09-17 2014-09-17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398A KR102273344B1 (ko) 2014-09-17 2014-09-17 디스플레이 장치
US14/844,226 US9897730B2 (en) 2014-09-17 2015-09-03 Display device
CN201510587725.XA CN105428386B (zh) 2014-09-17 2015-09-15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398A KR102273344B1 (ko) 2014-09-17 2014-09-1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295A true KR20160033295A (ko) 2016-03-28
KR102273344B1 KR102273344B1 (ko) 2021-07-06

Family

ID=5545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398A KR102273344B1 (ko) 2014-09-17 2014-09-1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97730B2 (ko)
KR (1) KR102273344B1 (ko)
CN (1) CN1054283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682B2 (en) * 2017-01-25 2019-09-03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color of light close to or identical to blue primary color of DCI-P3 color gamu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6268A (ja) * 2008-07-18 2010-02-04 Toyo Ink Mfg Co Ltd 有機el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3902B2 (en) * 2006-11-10 2011-07-05 Global Oled Technology Llc Display with RGB color filter element sets
CN102947733B (zh) 2010-06-23 2016-06-22 三菱化学株式会社 着色树脂组合物、彩色滤光片、液晶显示装置和有机el显示器
JP5824855B2 (ja) * 2011-04-28 2015-12-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白色発光ダイオード光源用の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6178164B2 (ja) * 2013-08-23 2017-08-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光性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有機el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6268A (ja) * 2008-07-18 2010-02-04 Toyo Ink Mfg Co Ltd 有機el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77258A1 (en) 2016-03-17
CN105428386B (zh) 2018-07-17
KR102273344B1 (ko) 2021-07-06
US9897730B2 (en) 2018-02-20
CN105428386A (zh)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5728B2 (en) Electroluminesence display having through-hole in display area
KR10241287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JP6514679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
US958372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2018015888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370715B1 (ko) 양자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160322437A1 (en) Display device
US9035286B2 (en) Multi-color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170080445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TW201442225A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20170036160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431372B1 (ko)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14127441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180014334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5037065A (ja) 有機el表示装置
KR2017001404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68045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9688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20150090987A1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KR102166004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1915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494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8642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KR20170111700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2733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