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087A - 거리기반한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 Google Patents

거리기반한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087A
KR20160033087A KR1020160027107A KR20160027107A KR20160033087A KR 20160033087 A KR20160033087 A KR 20160033087A KR 1020160027107 A KR1020160027107 A KR 1020160027107A KR 20160027107 A KR20160027107 A KR 20160027107A KR 20160033087 A KR20160033087 A KR 20160033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ard
card
smart
smartphon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연
Original Assignee
전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연 filed Critical 전대연
Priority to KR1020160027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3087A/ko
Publication of KR20160033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6Transaction verification involving fraud or risk level assessment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06Q20/4093Monitoring of device authent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스마트카드 또는 스마트폰은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고
스마트카드는 스마트폰과 스마트서비스기기인 ATM/카드결제기/시건장치와 데이타통신을 NFC, Bluetooth로 한다
금융 및 보안서비스를 받을 때 스마트카드와 스마트폰을 동시에 가지고 또는 보유하여 인증을 해야 서비스를 받는다

Description

거리기반한 스마트카드 인증앱시스템{Distance-based smartcard Certification App System}
거리기반 서비스로 스마트카드는 스마트폰과 같이 거리측정센싱기능과 데이타통신 기능을 갖는다
스마트폰/스마트워치는 거리측정센싱기능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카드와 스마트폰/스마트워치는 데이타통신을 NFC, Bluetooth로 한다.
스마트카드의 거리측정센서가 측정한 거리가 스마트폰/스마트워치내에 저장된 거리데이타의 범위내에 있을 때 ATM기기에서 또는 카드결제기에서 스마트카드의 카드정보를 읽는다.
또는 시건장치에서 보안코드를 읽는다.
ATM기기는 현재의 카드삽입 또는 카드결제기에서 카드정보를 읽혀서 또는 NFC, Bluetooth기능을 갖고 스마트카드의 카드정보를 수신해서 금융업무를 수행한다.
시건장치는 현재의 카드삽입 또는 NFC, Bluetooth 기능을 갖고 스마트카드의 보안코드를 수신해서 시건장치를 푼다.
카드시대의 위기다. 스마트폰으로 간편결제가 대세가 되는 마당에 실물카드시대가 저물고 있다.
스마트폰의 간편결제서비스도 위험요소가 많다
간편하기는 하나 도난이나 분실 또는 강박에 의한 서비스일시 속수무책이다.
카드 실소유자가 좀더 안전하게 자신이 있는 장소에서 금융 및 보안 서비스를 받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여 카드분실시나 타인에 의한 카드사용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금융 및 보안 서비스를 받고자 함이다.
등록번호:1012212720000 이동식 스마트카드 기반인증
카드를 분실 또는 타인이 부정사용하는 경우 그 책임은 고스란히 카드 소유자의 몫이다. 카드사용시 좀더 확실한 인증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같이 스마트카드 사용시 실소유자는 필히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를 갖고 있어야 한다.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는 스마트카드 또는 스마트폰이 측정한 거리데이타가 스마트카드 또는 스마트폰내에 저장된 거리데이타 범위내에 있어야 금융및 보안 서비스를 받도록하여 스마트카드 분실 또는 타인의 부정사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방지책이 필요하게 된 점이다
스마트카드로 금융서비스를 받고자하는 카드소유주는 스마트폰또는 스마트워치를 갖고 있어야 한다. 또는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스마트카드로 보안업무를 수행하는 보안담당자는 시건장치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를 갖고 있어야 한다.
스마트카드는 스마트폰과 같은 기능을 갖고 있다.
스마트카드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 및 ATM기기 또는 카드결제기 또는 시건장치와 NFC, Bluetooth로 데이타 통신을 한다.
스마트카드 또는 스마트폰은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다 거리측정은 2m 이내로 한다
스마트카드는 신용카드, 현금카드, 체크카드 등 금융카드와 보안카드, 교통카드, 전화기카드 등 각종 카드를 총망라한다.
거리측정센서로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등이 있다
ATM기기는 현재 카드삽입 또는 카드결제기에서 카드정보를 읽혀서 또는 ATM기기, 카드결제기와 스마트카드간 데이타통신으로 카드정보를 얻는다.
시건장치는 현재 카드삽입 또는 시건장치와 스마트카드간 데이타통신으로 보안코드를 얻는다.
카드정보는 현재 실물카드에 내장된 고객정보 및 금융정보를 말한다.
스마트카드로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를 이용할 때 스마트카드는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가 설치된 장소에서 스마트폰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앱내 스마트폰거리데이타테이블에는 스마트폰거리데이타가 저장되어있다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가 앱내 스마트폰거리데이타 범위내에 있을때 카드정보나 보안코드를 ATM기기나 카드결제기나 시건장치가 수신하거나 읽는다.
본발명의 스마트카드 인증앱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카드에서 구동한다.
위와 기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카드와 스마트폰은 동시에 가지고 있어야 하며 거리데이타 비교를 통해 카드분실, 도난시나 타인의 부정사용시 금융서비스 또는 보안서비스를 완전히 금지한다.
1. 카드도난 및 분실시 또는 타인의 부정사용시 스마트카드 사용을 원천 봉쇄한다
2. 카드 실소유자만이 스마트카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금전적 손해 및 위험요소를 미연해 방지한다.
3 스마트카드와 스마트폰간의 쌍방 인증방법으로 인증을 강화한다
도 1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구성도
(스마트카드에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고 스마트폰에 인증앱이 있는 경우)
도 2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구성도
(스마트폰에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고 스마트카드에 인증앱이 있는 경우)
도 3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단계도
(스마트카드에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고 스마트폰에 인증앱이 있는 경우)
도 4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단계도
(스마트폰에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고 스마트카드에 인증앱이 있는 경우)
도 5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흐름도
(스마트카드에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고 스마트폰에 인증앱이 있는 경우)
도 6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흐름도
(스마트폰에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고 스마트카드에 인증앱이 있는 경우)
스마트카드는 스마트폰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카드 또는 스마트폰에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다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카드의 수신거리가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카드의 거리측정센서가 최대 측정가능한 거리이다
스마트카드는 스마트폰과 ATM기기 또는 카드결제기 또는 시건장치와 NFC, Bluetooth로 데이타통신을 한다.
ATM기기들의 데이타 수신번호는 ATM으로 한다.
카드결제기들과의 데이타수신번호는 카드결제기로 한다
시건장치들과의 데이타수신번호는 시건장치 수신번호로 한다.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는 현재 카드 삽입방법 또는 카드정보를 읽혀서 또는 스마트카드와의 데이타통신으로 카드정보를 얻는다.
카드정보(예; 금융카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실물카드에 내장된 고객정보와 금융정보를 말한다.
고객정보는 고객의 주소, 이름, 주민번호, 연령, 스마트폰번호, 이메일, SNS계정 등을 일컫는다.
금융정보는 은행명, 카드사명, 카드번호, 통장계좌번호, 카드사용시 발생하는 금융거래내역등을 일컫는다.
카드정보(예; 보안카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실물카드에 내장된 보안정보를 말한다.
보안정보는 시건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보안코드, 보안담당자이름 보안담당자 스마트폰번호, 보안책임자이름, 보안책임자 스마트폰번호 시건장치종류, 몇번째 시건장치인지 알수있게 하는 시건장치번호등을 말한다
카드정보(예;교통카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실물카드에 내장된 카드번호, 보유금액, 소비금액, 잔액, 환승구간, 환승금액, 환승시간 등이다.
스마트카드로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를 이용할 때 인증앱 설치기기 기준으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는 스마트카드는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를 설치한 장소에서 스마트폰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데이타를 수신한다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은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를 설치한 장소에서 스마트카드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데이타를 수신한다
첫번째는 스마트폰에서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를 수신하여 앱내 스마트폰거리데이타와 비교하여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가 스마트폰거리데이타 범위내에 있으면 스마트카드로 lock해제코드를 전송한다.
lock해제코드를 수신한 스마트카드는 카드정보를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가 읽을 수 있도록 카드정보화일을 열어놓는다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는 스마트카드에서 스마트폰과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데이타를 스마트카드내 스마트카드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 값이다.
두번째는 스마트카드는 스마트폰거리데이타를 수신하여 앱내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와 비교하여 스마트폰거리데이타가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 범위내에 있으면 lock코드를 해제하여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에서 카드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카드정보화일을 열어놓는다. 스마트폰거리데이타는 스마트폰에서 스마트카드와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데이타를 스마트폰내 스마트폰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 값이다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에서 카드정보 획득방법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에 카드삽입 또는 카드를 읽혀서 또는 스마트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이다
카드결제기는 카드결제하는 단말기를 말한다.
앱내 lock해제코드테이블값은 lock해제코드이다
앱내의 은행신고센타번호 테이블값은 은행신고센타 번호이다.
앱내 경찰서신고번호 테이블값은 경찰서신고번호이다
스마트카드내 스마트서비스기기수신번호 테이블값은 스마트서비스기기 수신번호이다. 스마트 서비스기기수신번호는 ATM기기에서는 ATM이고, 카드결제기에서 카드결제기이고 시건장치에서는 시건장치수신번호이다.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는 스마트서비스기기이다.
도 1은 스마트카드 인증앱시스템 구성도이다
(스마트카드에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고 스마트폰에 인증앱이 있는 경우)
도 3은 스마트카드 인증앱시스템 단계도이다.
도 5는 스마트카드 인증앱시스템 흐름도이다
S10은 스마트카드데이타 수신 및 저장단계이다.
스마트폰은 스마트카드로부터 스마트카드데이타를 수신하여 앱내 스마트카드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다
스마트카드데이타는 스마트카드내에 스마트카드데이타테이블값인 스마트폰번호, 스마트카드번호,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이다.
스마트카드데이타 수신은 스마트폰에서 스마트카드로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스마트카드에서 스마트폰으로 데이타를 전송하여 수신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수신은 두가지 방법의 전송방법을 따른다.
S20은 스마트카드번호 비교단계이다.
스마트폰에서 수신한 앱내 스마트카드데이타테이블값인 스마트카드번호와 앱내 스마트카드번호테이블값인 스마트카드번호와 비교한다.
값이 같으면 S30으로가고 값이 다르면 S10단계를 거쳐 다시 비교한다
비교를 3회 이상 했는데도 값이 다르면 은행 또는 경찰에 에 통보하고 앱을 종료한다
S30은 스마트카드데이타의 거리데이타와 스마트폰거리데이타 비교단계이다.
스마트폰에서 수신한 앱내 스마트카드데이타테이블값인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와 앱내 스마트폰거리데이타테이블값인 스마트폰거리데이타를 비교한다
스마트카드데이타의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는 앱내 스마트폰거리데이타테이블값인 스마트폰거리데이타 범위안에 있으면 S40으로 가고 범위가 넘으면 S10단계를 거쳐 다시 비교한다
비교를 3회이상 했는데도 범위를 넘으면 은행 또는 경찰에 통보하고 앱을 종료한다.
S40은 스마트카드로 lock해제코드전송단계이다
S30단계까지 2번의 비교값이 충족되면 스마트폰은 스마트카드로 앱내 lock해제코드테이블값인 lock해제코드를 전송한다
이 lock해제코드는 스마트카드내 카드정보데이타테이블값의 lock코드를 해제하여 카드정보화일을 열어서 ATM기기나 카드결제기나 시건장치로 카드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스마트카드내 카드정보데이타테이블은 카드정보테이블과 lock코드테이블로 구성된다
S50은 스마트카드에서 스마트서비스기기로 카드정보 전송단계이다
스마트카드와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는 NFC, Bluetooth로 데이타통신을 한다.
스마트카드를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에 태그 또는 스마트카드에서 카드정보를 전송하면 카드정보는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에 수신된다.
또는 스마트카드를 ATM기기 카드삽입구에 삽입하거나 카드결제기, 시건장치에서 카드정보를 읽혀서 ATM기기나 카드결제기나 시건장치에서 카드정보를 얻는다.
스마트서비스기기는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이다
도 2는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구성도이다
(스마트폰에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고 스마트카드에 인증앱이 있는 경우)
도 4는 스마트카드 인증앱시스템 단계도이다
도 6은 스마트카드 인증앱시스템 흐름도이다
S15는 스마트폰데이타 수신 및 저장단계이다.
스마트카드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스마트폰데이타를 수신하여 앱내 스마트폰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다.
스마트폰데이타는 스마트폰내 스마트폰데이타테이블값인 스마트폰번호, 스마트카드번호, 스마트폰거리데이타이다.
S25는 스마트폰번호 비교단계이다.
스마트카드에서 수신한 앱내 스마트폰데이타테이블값인 스마트폰번호와 앱내 스마트폰번호테이블값인 스마트폰번호와 비교한다.
값이 같으면 S35로 가고 값이 다르면 S15단계를 거쳐 다시 비교한다.
비교를 3회이상 했는데도 값이 다르면 은행 또는 경찰에 통보하고 앱을 종료한다.
S35는 스마트폰거리데이타와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 비교단계이다.
스마트카드에서 수신한 앱내 스마트폰데이타테이블값의 스마트폰거리데이타와 앱내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테이블값인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를 비교한다.
스마트폰거리데이타가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 범위내에 있으면 S45로 가고 범위를 벗어나면 S15단계를 거쳐 다시 비교한다
비교를 3회이상 했는 데도 범위를 벗어나면 은행 또는 경찰에 통보하고 앱을 종료한다.
S45는 스마트카드내 카드정보데이타테이블값의 lock코드 해제단계이다.
S35단계까지 2번의 비교값을 충족하면 스마트카드내 카드정보데이타테이블값의 lock코드를 해제하여 카드정보를 열어서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로 카드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스마트카드내 카드정보데이타테이블은 카드정보테이블과 lock코드테이블로 구성된다
S55는 스마트카드에서 스마트서비스기기로 카드정보 전송단계이다.
스마트카드와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는 NFC, Bluetooth로 데이타통신을 한다. 스마트카드를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에 태그 또는 스마트카드에서 카드정보를 전송하면 카드정보는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에서 수신된다.
또는 스마트카드를 ATM기기 카드삽입구에 삽입하거나 카드결제기나 시건장치에 카드정보를 읽혀서 ATM기기나 카드결제기나 시건장치에서 카드정보를 얻는다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는 스마트서비스기기이다

Claims (7)

  1. 스마트카드에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고 스마트폰에 인증앱을 설치, 구동하여 거리기반으로 인증된 스마트카드로 전송대상에게 카드정보를 전송하여 금융 및 보안서비스를 받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카드데이타 수신 및 저장단계;
    스마트카드번호 비교단계;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와 스마트폰거리데이타 비교단계;
    스마트카드에서 전송대상에게 카드정보전송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카드데이타는 스마트폰번호, 스마트카드번호,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를 포함하고
    앱내 스마트카드번호테이블값은 스마트카드번호를 포함하고
    앱내 스마트폰거리데이타테이블값은 스마트폰거리데이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카드번호 비교는
    상기 스마트카드데이타의 스마트카드번호와 앱내 스마트카드번호테이블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와 상기 스마트폰거리데이타 비교 및
    상기 스마트카드에서 전송대상에게 카드정보 전송은
    상기 스마트카드데이타의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와 상기 앱내 스마트폰거리데이타테이블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
    거리기반으로 인증된 스마트카드로 금융 및 보안서비스 받는 방법.
  2. 스마트폰에 거리측정센싱기능이 있고 스마트카드에 인증앱을 설치, 구동하여 거리기반으로 인증된 스마트카드로 전송대상에게 카드정보를 전송하여 금융 및 보안서비스를 받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데이타 수신 및 저장단계;
    스마트폰번호 비교단계;
    스마트폰거리데이타와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 비교단계;
    스마트카드에서 전송대상에게 카드정보전송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데이타는 스마트폰번호, 스마트카드번호, 스마트폰거리데이타를 포함하고
    앱내 스마트폰번호테이블값은 스마트폰번호를 포함하고
    앱내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테이블값은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번호 비교는
    상기 스마트폰데이타의 스마트폰번호와 앱내 스마트폰번호테이블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폰거리데이타와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 비교 및
    상기 스마트카드에서 전송대상에게 카드정보 전송은
    상기 스마트폰데이타의 스마트폰거리데이타와 앱내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테이블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
    거리기반으로 인증된 스마트카드로 금융 및 보안서비스를 받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와 스마트폰거리데이타 비교단계; 후
    스마트카드로 lock해제코드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거리기반으로 인증된 스마트카드로 금융 및 보안서비스를 받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스마트폰거리데이타와 스마트카드거리데이타 비교단계;후
    스마트카드내 카드정보 lock코드해제단계;를 포함하는
    거리기반으로 인증된 스마트카드로 금융 및 보안서비스를 받는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스마트카드는 신용카드, 현금카드, 체크카드, 보안카드, 교통카드, 전화카드이다.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전송대상은 스마트서비스기기로 ATM기기, 카드결제기, 시건장치이다.
  7. 제 1항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스마트카드와 스마트폰사이의 거리가 앱내에서 정한 거리범위 밖으로 서비스를 시도할 때 은행이나 경찰에 알려주는
    거리기반으로 인증된 스마트카드로 금융 및 보안서비스를 받는 방법.
KR1020160027107A 2016-03-07 2016-03-07 거리기반한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KR20160033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07A KR20160033087A (ko) 2016-03-07 2016-03-07 거리기반한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07A KR20160033087A (ko) 2016-03-07 2016-03-07 거리기반한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087A true KR20160033087A (ko) 2016-03-25

Family

ID=5564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107A KR20160033087A (ko) 2016-03-07 2016-03-07 거리기반한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30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617B1 (ko) * 2017-11-21 2018-06-19 우일정보기술(주) 신용카드 부정사용 방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617B1 (ko) * 2017-11-21 2018-06-19 우일정보기술(주) 신용카드 부정사용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7750B2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EP2315170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device including smartcard modul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s means
US90222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loading, storing and transmitting magnetic stripe date in a device working with a mobile wallet system
CN100588814C (zh) 用于授权的方法
US7868733B2 (en) System for identifying an individual in an electronic transaction
US20170289127A1 (en) Smart data cards that enable the performance of various functions upon activation/authentication by a user's fingerprint, oncard pin number entry, and/or by facial recognition of the user, or by facial recognition of a user alone, including an automated changing security number that is displayed on a screen on a card's surface following an authenticated biometric match
CN101107615A (zh) 具有近场通信(nfc)的安全信用卡
US20140266590A1 (en) Reconfigurable Smart Identification Badges
US109021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automated authentication
EP34494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automated authentication
US20210365954A1 (en) Transaction card security device
WO2013001133A1 (en) Bank-card fraud detection and prevention for bank automats
KR20160033087A (ko) 거리기반한 스마트카드 인증앱 시스템
US20190325427A1 (en) Contactless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unique temporary code
US201502546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store and transfer electronic money
KR102306784B1 (ko) 실내외위치기반한 서비스 인증시스템
JP4032358B2 (ja) Rfid認証システムおよびrfid認証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20210013734A (ko) 스마트 서비스 인증시스템
KR100657620B1 (ko) Rfid기능 탑재의 신분증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GB2571305A (en) Security of contactless cards and data tags
WO2024080876A1 (en) Proximity card addon
KR20030083946A (ko) 지문인식 휴대폰결제 방법 및 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