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902A - Substructure And Support Method For Semi-Rig - Google Patents

Substructure And Support Method For Semi-Ri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902A
KR20160032902A KR1020140123629A KR20140123629A KR20160032902A KR 20160032902 A KR20160032902 A KR 20160032902A KR 1020140123629 A KR1020140123629 A KR 1020140123629A KR 20140123629 A KR20140123629 A KR 20140123629A KR 20160032902 A KR20160032902 A KR 20160032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column
disposed
bilge
r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13856B1 (en
Inventor
전유수
조성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856B1/en
Publication of KR2016003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9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8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Abstract

Disclosed are a substructure and a supporting method for a semi-submersible rig. The substructure for a semi-submersible r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multiple columns which are prepared in the corner parts of a hull platform to support a hull; and a pontoon which is prepared in the bottom of the columns to apply buoyancy for floating the hull platform to the hull platform. A part of drilling equipment of the semi-submersible rig is arranged inside at least one column among the columns to lower the center of mass of the semi-submersible rig.

Description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 및 지지 방법{Substructure And Support Method For Semi-R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

본 발명은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 및 지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 플랫폼의 모서리부분에 마련되어 선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칼럼(column)과, 칼럼의 하부에 마련되어 선체 플랫폼을 부양하는 부력을 부여하는 폰툰(Pontoon)을 포함하되, 칼럼 일부의 내부에 반잠수식 리그의 시추 장비 일부를 배치하여, 반잠수식 리그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 및 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supporting structure and a supporting method for a semi-submerged leag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mi-submerged rig having a plurality of columns provided at corners of a hull platform for supporting a hull, Semi-submersible rig's lower support structure to allow the semi-submersible rig's center of gravity to be lowered by placing part of the semi-submersible rig in the interior of the column, And a supporting method.

국제적인 천연자원 수요의 급증으로 해양 자원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해저 채굴 기술 또한 이와 더불어 발달하였고, 해저 유전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가 구비된 시추선도 개발되어 있다.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marine resources due to the surge in international demand for natural resources. Underwater mining technology has also developed along with drilling rigs equipped with drilling facilitie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submarine oilfields.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예인선으로 이동시켜 계류 장치를 이용해 해상의 일 지점에 정박한 상태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첨단 시추장비를 탑재하고 자체 동력으로 항해가능한 선박 형태로 제작된 시추선(Drillship)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이용되고 있다.Conventional submarine drilling has been mainly used for a rig ship or a fixed platform for submarine drilling, which is performed by moving to a tugboat and mooring at one point of the sea using a mooring device. Recently, advanced drilling equipment Drillship, which was built in the form of a ship capable of being mounted on its own power, was developed and used for drilling underwater.

이러한 해저에 부존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할 수 있도록 각종 시추장비를 갖춘 리그선, 플랫폼, 또는 시추선의 중심부에는 해저의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기 위한 라이저(riser) 또는 드릴 파이프(drill pipe)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문풀(moonpool)이 형성되어 있다.A riser or a drill pipe is used to drill oil or gas in the seabed at the center of the rig, ship, platform or drill rig equipped with various drilling equipment to drill oil or gas, A moonpool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그 중, 세미 리그(semi-rig, 반잠수식 리그)는 해저에 매장된 원유나 가스를 시추하는 시추 설비로 사용되는데, 부력을 형성하는 폰툰(pontoon)과, 폰툰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시추 작업이 가능하도록 문풀(moonpool)이 형성되는 메인데크(main deck)와, 폰툰과 메인데크를 연결하는 다수의 칼럼(column)을 포함하고, 문풀의 상부에 데릭(derrick)이 설치되어 있다.Among them, semi-rig is used as a drilling rig to drill crude oil or gas buried in the sea floor. It is equipped with a pontoon which forms buoyancy, a pontoon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ntoon, A main deck in which a moonpool is formed to permit drilling operation, and a plurality of columns connecting the pontoon and the main deck, and a derrick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oonpool .

반잠수식 리그에는, 시추 작업에 필요한 다양한 장비들과 선체에서 발생하는 빌지(bilge)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 및 저장 탱크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설비들은 일반적으로 상부 데크(main deck), 중 데크(tween deck) 및 하부 데크 등에 배치되는데, 무거운 설비들이 데크에 배치되면 선체의 무게중심이 높아져 선체 안정성(stability)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Semi-submersible rigs require a variety of equipment needed for drilling, as well as treatment plants and storage tanks to handle the bilge from the hull. These facilities are generally arranged in a main deck, a tween deck, and a lower deck. When the heavy equipment is disposed on the deck,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ll becomes high and the stability of the hull is deteriorated.

한편, 반잠수식 리그의 칼럼에는 평형수를 채워 선체의 밸러스팅(ballasting) 및 디밸러스팅(deballasting)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탱크들이 마련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lumns of semi-submerged leagues are provided with ballast tanks that control the ballasting and deballasting of the hull by filling ballast water.

본 발명은 밸러스트 탱크가 마련되던 칼럼의 적어도 일부에, 반잠수식 리그의 설비를 배치하여 선체의 무게 중심을 낮추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mi-submerged lower support structure in which semi-submerged rig facilities are disposed on at least a part of a column in which ballast tanks are provided, thereby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ll and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잠수식 리그(semi-rig)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upport structure of semi-rigid semi-rig,

선체 플랫폼의 모서리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선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칼럼(column); 및A plurality of columns provided at corner portions of the hull platform to support the hull; And

상기 칼럼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선체 플랫폼을 부양하는 부력을 부여하는 폰툰(Pontoon)을 포함하되, And a Ponto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lumn for imparting buoyancy to float the hull platform,

상기 칼럼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는 상기 반잠수식 리그의 시추 장비 일부가 배치되어, 상기 반잠수식 리그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는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가 제공된다.A semi-submersible rig's lower support structure is provided in which at least part of the column is provided with a part of the drilling rig of the semi-submersible rig to redu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mi-submersible rig.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럼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반잠수식 리그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처리하는 빌지 처리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칼럼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 반잠수식 리그에서 발생하는 상기 오염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Preferably, a bilge processing unit for treating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in the semi-submerged league is disposed at an inner side of the column, and the polluted water generated in the semi-submerged league is stor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lumn A storage tank may be dispo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빌지 처리 유닛은, 상기 오염수를 분리처리하는 빌지(bilge) 세퍼레이터와, 상기 빌지 세퍼레이터로 상기 오염수를 이송하는 빌지 이송 펌프와, 상기 빌지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빌지의 에멀전화를 방지하는 에멀젼화 파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ilge processing unit includes a bilge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contaminated water, a bilge transfer pump for transferring the contaminated water to the bilge separator, a heater for heating the bilge, And may include an emulsified destruction unit to prevent fi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럼 상부의 내부 일측에는 비유해성(non-hazardous) 탱크가 배치되고, 상기 칼럼 상부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 반잠수식 리그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을 저장하는 드레인 핸들링 탱크를 포함하는 유해성(hazardous) 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a non-hazardous tank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interio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and a drain handling tank for storing drains generated in the semi-submerged league, a hazardous tank may be dispo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럼 하부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드레인을 분리처리하는 드레인 처리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Preferably, a drain processing unit for separating the drain may be disposed at an inn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추 장비가 배치되지 않은 상기 칼럼의 내부에는 밸러스트 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Preferably, a ballast tank may be disposed within the column in which the drilling rig is not dispos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잠수식 리그의 선체 플랫폼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칼럼(column)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상기 반잠수식 리그의 시추 장비 일부를 배치하여,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is disposed in at least part of a plurality of columns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a hull platform of a semi-submerged league,

상기 반잠수식 리그의 무게중심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 방법이 제공된다.Where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mi-submerged league is lowered.

본 발명의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에서는 칼럼 일부의 내부에 반잠수식 리그의 시추 장비 일부를 배치하여, 반잠수식 리그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도록 하며 선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e bottom support structure of the semi-submerged leagu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a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may be disposed inside a portion of the column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mi-submersible rig and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hull.

특히 리그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처리하는 빌지 처리 유닛과 빌지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동일한 칼럼의 동일 레벨에 마련함으로써 탱크와 탱크에 필요한 장비를 근접하도록 배치하여 배관 배치가 용이하며, 배관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평형수가 채워지는 밸러스트 탱크 일부를 대신하여, 비유해성(non-hazardous) 탱크와 드레인 핸들링 탱크를 포함하는 유해성(hazardous) 탱크를 동일 칼럼의 동일 레벨에 마련함으로써, 선체에 필수적인 장비의 배치를 이용하여 밸러스트 탱크를 배치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particular, by providing the bilge processing unit for treating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in the league and the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bilge at the same level of the same column, the equipment necessary for the tank and the tank are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Can be reduced. It is also possible to replace the part of ballast tanks filled with equilibrium, by providing the same level of hazardous tanks, including non-hazardous tanks and drain handling tanks, at the same level of the same column, So that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arranging the ballast tanks can be obtained.

중 데크(tween deck)나 하부 데크(lower deck)에 배치되던 장비들을 칼럼으로 이동시켜 배치함으로써, 무게 중심을 낮추면서 데크 상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By moving the equipment placed on the tween deck or the lower deck to the column, the space above the deck can be secured while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시추 장비에 의해 밸러스트 탱크 일부를 대체함으로써 선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hull by replacing some of the ballast tanks with drilling equipment.

도 1은 반잠수식 리그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2는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의 평면도의 개략적인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구조 중 칼럼의 일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구조 중, 도 3과는 다른 레벨에서의 칼럼의 개략적인 단면 모습들을 도시한다.
Figure 1 shows a schematic view of a semi-submersible rig.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of a top view of the lower support structure of a semi-submerged league.
Figure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 section of a column of a lower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column at a level different from that of Figure 3, of a lower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에는 반잠수식 리그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하였고, 도 2는 그 중 리그 하부 지지구조의 평면만을 별도로 도시하였다.FIG. 1 shows a schematic view of a semi-submerged league, and FIG. 2 shows only a plane of a lower-league support structur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100)는, 반잠수식 리그(semi-rig)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구조로써, 선체 플랫폼(10)의 모서리부분에 마련되어 선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칼럼(column)과, 칼럼(1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선체 플랫폼을 부양하는 부력을 부여하는 폰툰(Pontoon, 110)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1 and 2, a semi-submerged lower support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ucture for supporting semi-submersible rigs, A plurality of columns provided at corners of the platform 10 to support the hull and a pontoon 11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lumn 120 for imparting buoyancy to float the hull platform.

본 실시예는 특히, 칼럼(120)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반잠수식 리그의 시추 장비 일부를 배치하여, 반잠수식 리그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This embodiment is particularly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art of the column 120 is provided with a part of a drilling rig of a semi-submerged rig so as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mi-submersible rig.

칼럼(120)은 반잠수식 리그의 선체인 플랫폼(10)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써,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플랫폼(10)의 하부 4개의 각 모서리부분에 마련된다. 플랫폼의 상부에는 데릭(20)과 크레인(30) 등의 시추용 설비가 마련된다. The column 120 i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platform 10, which is a hull of semi-submerged leagues, and is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lower four portions of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platform 10. On the upper part of the platform, a drilling facility such as a derrick 20 and a crane 30 is provided.

칼럼(120)에 의해 플랫폼이 해수면에 직접 접하지 않고 해상에 떠있게 되므로, 파도 등 해상 환경의 직접적인 영향을 덜 받아 안정적인 시추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염수에 의한 장비의 부식도 방지될 수 있다. Since the platform 120 floats on the sea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sea surface by the column 120, stable drilling can be performed with less direct influence of the sea environment such as waves, and corrosion of the equipment by the brine can be prevented.

폰툰(110)은 칼럼(120)의 하부에 마련되는 부유체로서, 전, 후방 두 개의 칼럼(120)이 쌍을 이루어 각각 하나의 폰툰(110)에 연결된다. 따라서 폰툰(110)은 반잠수식 리그에서 두 개가 마련될 수 있다. The pontoon 110 is a floa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lumn 120, and two front and rear columns 120 are paired and connected to one pontoon 110, respectively. Thus, the pontoons 110 may be provided in two semi-submerged leagues.

폰툰(110) 간에는 연결구조물(130)로 연결될 수 있다.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130 between the pontoons 110.

도 3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칼럼(120)의 일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고, 도 4에는 도 3과는 다른 레벨에서 칼럼(120)의 개략적인 단면 모습들을 도시하였다.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 section of a column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 4 illustrates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column 120 at a different level than FIG.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구조(100)의 칼럼(120A)에서, 칼럼(120)의 내부 일측에는 반잠수식 리그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처리하는 빌지 처리 유닛(121-124)을 배치하고, 칼럼(120)의 내부 타측에는 반잠수식 리그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25)를 배치할 수 있다. 3, in the column 120A of the lower support structure 100, bilge processing units 121-124 for processing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in the semi-submerged league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column 120, And a storage tank 125 for storing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in the semi-submerged league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lumn 120. [

빌지(bilge)는 선저부에 고인 물이나 기름 등의 혼합물을 말하는데,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 등의 기관실 등에서 새어 나온 연료유와 윤활유 등은 그대로 바다로 배출되면 해양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선박에는 빌지를 저장하거나 처리하는 장치를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본 실시예는 칼럼(120)의 내부 일측에 이러한 빌지를 처리할 수 있는 빌지 처리 유닛과, 타측에 빌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125)를 배치한다. Bilge refers to a mixture of water and oil, which is tall at the bottom of a ship. Fuel oil and lubricating oil leaking from the engine room of a ship or an offshore structure, if discharged into the sea, can cause marine pollution. Devices that store or process must be install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bilge processing unit capable of processing such bilge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lumn 120, and a storage tank 125 capable of storing bilge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빌지를 처리하는 빌지 처리 유닛은, 오염수를 분리처리하는 빌지(bilge) 세퍼레이터(121)와, 빌지 세퍼레이터(121)로 오염수를 이송하는 빌지 이송 펌프(123)와, 빌지를 가열하는 히터(124)와, 빌지의 에멀전화를 방지하는 에멀젼화 파괴 유닛(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ilge processing unit for treating the bilge includes a bilge separator 121 for separating contaminated water, a bilge conveying pump 123 for conveying the contaminated water to the bilge separator 121, a heater 124 and an emulsified destruction unit 122 to prevent emulsification of the bilge.

이와 같이 빌지를 처리하고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125)와 처리 유닛(121-124) 등의 설비 일체를 칼럼(120) 내부에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관련 배관들의 배치도 수월해지고, 메인 데크, 중 데크, 하부 데크 등 데크 상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By disposing the facilities such as the storage tank 125 and the processing units 121-124, which are capable of processing and storing the biline, in parallel within the column 120, the arrangement of the related pipes is facilitated and the main deck,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upper space of the deck such as the lower deck.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120B)의 다른 레벨은 다르게 배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칼럼(120) 상부의 내부 일측에는 비유해성(non-hazardous) 탱크(127)를 배치하고, 칼럼(120) 상부의 내부 타측에는, 반잠수식 리그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을 저장하는 드레인 핸들링 탱크를 포함하는 유해성(hazardous) 탱크(128)를 배치할 수 있다.4, different levels of the column 120B may be arranged differently, for example, a non-hazardous tank 127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terior of the column 120,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io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120, a hazardous tank 128 including a drain handling tank for storing the draining occurring in semi-submerged leagues may be disposed.

비유해성 탱크(127)와, 드레인 핸들링 탱크를 포함한 유해성 탱크(128)는 칼럼(120)의 상부, 예를 들어 칼럼(120)의 30m 내외의 높이에 배치할 수 있다. 비유해성 탱크와 유해성 탱크를 칼럼(120) 내부의 동일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선체에서 발생하는 각종 물질들을 이송하기 위한 배관들은 탱크들이 마련된 칼럼(120) 내부로 연결되도록 배치하면 되므로, 배관 배치가 효율적이고 간단해진다.The non-hazardous tanks 127 and the hazardous tanks 128 including the drain handling tanks can be located at an elevation of about 30 m above the top of the column 120, for example, the column 120. By arranging the non-hazardous tanks and the harmful tanks in the same inside of the column 120, the pipes for transporting various materials generated in the hull can be arrang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lumn 120 provided with the tanks, And simplifies.

한편, 칼럼(120) 하부의 내부 일측에는 드레인을 분리처리하는 드레인 처리 유닛(미도시)을 배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drain processing unit (not shown) for separating the drain can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120.

종래에는 드레인 처리 유닛은 중간 데크(tween deck)에, 드레인 핸들링 탱크는 하부 데크(lower deck)에 각각 배치되었는데, 본 실시예는 드레인 핸들링 탱크는 칼럼(120)의 상부에서 비유해성 탱크와 같은 레벨에 배치하고, 드레인 처리 유닛은 칼럼(120) 하부에 배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라 이들 설비가 칼럼(120) 내부에 배치되고, 관련 배관들도 칼럼(120) 내부로 연결되면, 중간 데크와 하부 데크 등 데크의 상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선체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다. Conventionally, the drain processing unit and the drain handling tank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a tweeter deck and a lower deck,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drain handling tank is arranged at the same level as the non-hazardous tank at the top of the column 120 And the drain processing unit is disposed under the column 120.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se facilities are located inside the column 120 and associated piping is also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lumn 120, the upper space of the deck, such as the middle deck and the lower deck, The center can be lowered.

한편, 시추 장비가 배치되지 않은 칼럼(120)의 내부에는 밸러스트 탱크(129)가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ballast tank 129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lumn 120 in which the drilling equipment is not disposed.

본 실시예를 통해, 선체에 필수적인 장비의 배치를 이용하여 컬럼 내 밸러스트 탱크를 배치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데크 상부에 배치되던 장비 일부를 컬럼에 배치함으로써 데크 상부의 공간을 확보하고, 선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선체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어, 선체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By using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similar to the arrangement of the ballast tanks in the column by using the arrangement of the essential equipment for the hull, to secure a space above the deck by disposing a part of equipment arranged on the deck above the column, The weight of the hull can be reduce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ll can be lowered, and the hull st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관련 장비들을 함께 컬럼 내부로 배치함으로써 선체 내 배관 배치를 간편하게 하고, 배관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related equipment together inside the colum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arrangement of the piping in the hull and reduce the length of pip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하부 지지구조
110: 폰툰
120: 칼럼
121: 빌지 세퍼레이터
122: 에멀젼화 파괴 유닛
123: 빌지 이송 펌프
124: 히터
125: 저장탱크
127: 비유해성 탱크
128: 유해성 탱크
129: 밸러스트 탱크
130: 연결구조물
100: Lower support structure
110: pontoon
120: Column
121: bilge separator
122: Emulsified destruction unit
123: Bilge transfer pump
124: Heater
125: Storage tank
127: Non-hazardous tanks
128: Hazard tank
129: Ballast tank
130: connection structure

Claims (7)

반잠수식 리그(semi-rig)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선체 플랫폼의 모서리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선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칼럼(column); 및
상기 칼럼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선체 플랫폼을 부양하는 부력을 부여하는 폰툰(Pontoon)을 포함하되,
상기 칼럼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는 상기 반잠수식 리그의 시추 장비 일부가 배치되어, 상기 반잠수식 리그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
In the semi-sub support structure,
A plurality of columns provided at corner portions of the hull platform to support the hull; And
And a Ponto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lumn for imparting buoyancy to float the hull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lumn is provided with a part of the drilling rig of the semi-submerged rig to redu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mi-submersible ri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반잠수식 리그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처리하는 빌지 처리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칼럼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 반잠수식 리그에서 발생하는 상기 오염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il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polluted water generated in the semi-submerged league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olumn,
And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in the semi-submerged league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lum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빌지 처리 유닛은
상기 오염수를 분리처리하는 빌지(bilge) 세퍼레이터;
상기 빌지 세퍼레이터로 상기 오염수를 이송하는 빌지 이송 펌프;
상기 빌지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빌지의 에멀전화를 방지하는 에멀젼화 파괴 유닛을 포함하는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ilge processing unit
A bilge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contaminated water;
A bilge transfer pump for transferring the contaminated water to the bilge separator;
A heater for heating the bilge; And
A lower support structure of a semi-submerged rig comprising an emulsified failure unit to prevent emulsification of the bil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 상부의 내부 일측에는 비유해성(non-hazardous) 탱크가 배치되고,
상기 칼럼 상부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 반잠수식 리그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을 저장하는 드레인 핸들링 탱크를 포함하는 유해성(hazardous) 탱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non-hazardous tank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And a hazardous tank including a drain handling tank for storing drains generated in the semi-submerged leag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 하부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드레인을 분리처리하는 드레인 처리 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drain processing unit for separating the drain is disposed at an inn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추 장비가 배치되지 않은 상기 칼럼의 내부에는 밸러스트 탱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구조.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ballast tank is disposed within the column in which the drilling rig is not disposed.
반잠수식 리그의 선체 플랫폼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칼럼(column)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상기 반잠수식 리그의 시추 장비 일부를 배치하여,
상기 반잠수식 리그의 무게중심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리그의 하부 지지 방법.
A part of the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is disposed in at least part of a plurality of columns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a hull platform of a semi-submersible rig,
And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mi-submerged league.
KR1020140123629A 2014-09-17 2014-09-17 Substructure And Support Method For Semi-Rig KR1017138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629A KR101713856B1 (en) 2014-09-17 2014-09-17 Substructure And Support Method For Semi-Ri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629A KR101713856B1 (en) 2014-09-17 2014-09-17 Substructure And Support Method For Semi-Ri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902A true KR20160032902A (en) 2016-03-25
KR101713856B1 KR101713856B1 (en) 2017-03-09

Family

ID=5564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629A KR101713856B1 (en) 2014-09-17 2014-09-17 Substructure And Support Method For Semi-Ri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85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593B1 (en) * 1997-06-11 2003-09-13 워크쉽스 콘트랙터스 비.브이. Semi-submersible, mobile drilling vessel with storage shaft for tubular drilling equipment
KR20130061999A (en) * 2011-12-02 2013-06-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Integrated device of treating ballast water for semi-rig
KR101302021B1 (en) * 2011-09-02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Processing Drain
JP2014073819A (en) * 2012-10-05 2014-04-24 Koji Kita Ship engine room bilge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593B1 (en) * 1997-06-11 2003-09-13 워크쉽스 콘트랙터스 비.브이. Semi-submersible, mobile drilling vessel with storage shaft for tubular drilling equipment
KR101302021B1 (en) * 2011-09-02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Processing Drain
KR20130061999A (en) * 2011-12-02 2013-06-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Integrated device of treating ballast water for semi-rig
JP2014073819A (en) * 2012-10-05 2014-04-24 Koji Kita Ship engine room bilge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856B1 (en)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662B1 (en) Ballast system for semi-submersible marine structure
NO172572B (en) HALF-SUBMITABLE FARTOEY
KR20170039613A (en) Buoyant structure for petroleum drilling
KR20150099062A (en) Mobile type tension leg platform
KR101290804B1 (en)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US87332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floating structures
KR101713856B1 (en) Substructure And Support Method For Semi-Rig
MX2014013115A (en) Method for dry-docking a floating unit.
US9327805B2 (en) Vertical oil storage system and its method for deepwater drilling and production
US9297206B2 (en) Method for drilling with a buoyant structure for petroleum drill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KR102117387B1 (en) Arrangement scheme of living quarter in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US20150176764A1 (en) Tank
JPH02501561A (en) Offshore oil well floating production system and drilling vessel
KR20150053042A (en) Anti-heave device for pontoon of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KR20150049808A (en) Sea structure launching method to use barge
KR101526365B1 (en) Ship And Arrangement Method Of The Same
KR101599393B1 (en) Arrangement structure of drill water tank and drillship having the structure
KR20160041575A (en) Submerged Type Productio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Modules
KR20150070513A (en) Anti-heave device for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KR101713855B1 (en) Drillingship having a hatch cover
KR20150049770A (en) Anti-heave device for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KR20160115537A (en) Blow out preventer install structure and drill ship having the blow out preventer install structure
KR101655198B1 (en) Submerged Type Production System
KR101687974B1 (en) Semi-submersible Production System Moored by a Single Tendon
KR20140006276A (en)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