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482A - Lithium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Lithium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482A
KR20160032482A KR1020140122638A KR20140122638A KR20160032482A KR 20160032482 A KR20160032482 A KR 20160032482A KR 1020140122638 A KR1020140122638 A KR 1020140122638A KR 20140122638 A KR20140122638 A KR 20140122638A KR 20160032482 A KR20160032482 A KR 20160032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valv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32697B1 (en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697B1/en
Publication of KR2016003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4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6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91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Cleaning battery or cell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ase wherein a main chamber,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e, and a sub-chamber, accommodating a supplementary electrolyte, are form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moving the supplementary electrolyte of the sub-chamber proportionate to a consumed amount of the electrolyte of the main chamber, when the same is consu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es: the electrode assembly; the case wherein the main chambe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nd the sub-chamber, accommodating the supplementary electrolyte, are formed; and a coupling unit configured to connect the main chamber with the sub-chamber. The supplementary electrolyte, accommodated in the sub-chamber, can be moved to the main chamber through the coupling unit.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LITHIUM SECONDARY BATTERY}LITHIUM SECONDARY BATTERY [00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충용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부방(subchamber)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ase having a subchamber for accommodating a replenishing electrolyte.

리튬 이차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기억 효과가 없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자연 방전이 일어나는 정도가 작고, 매우 가벼워 노트북, 카메라, 핸드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방산업이나 자동화 시스템, 그리고 자동차, 항공 산업 분야에서도 점점 그 사용 빈도가 증가되고 있다.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have high energy density and no memory effect, and they are widely u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notebooks, cameras, and mobile phones because they are very light and have little natural discharge even when not in use.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use is increasingly increasing in the fields of automobiles, airplanes, and automobiles.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는, 전해액(electrolytic solution)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로 분류된다. 또한, 이러한 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크게 원통형, 각형(prismatic), 파우치형으로 나눌 수 있다.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a lithium ion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type of an electrolytic solution and a lithium polymer battery using a polymer electrolyte. In addition, such a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cylindrical shape, a prismatic shape, and a pouch shape.

통상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 전극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음극 전극판 및 이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만을 가능하게 하면서 쇼트는 방지하는 분리막이 권취 또는 적층되는 전극 조립체; 이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이 케이스 내측에 수용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해액 등으로 구성된다.General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nega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to allow only lithium ions to move, An electrode assembly wound or laminated; A cas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lytic solution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to enable movement of lithium ions.

특히,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는 알루미늄 케이스보다 현저히 가볍고 가요성인 파우치 포장재로 케이스가 구성되어, 각형 리튬 이차전지에 비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를 가질 수 있다.Particularly, the pouch-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significantly lighter and more flexible than the aluminum case, and the casing is made of a pouch packing material, which can have a higher energy density than a prismatic lithium secondary battery.

그런데, 이러한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충전시 부반응으로 전해액이 분해되어 가스가 발생하며, 반복되는 충전 및 방전에 의해서 전해액이 변성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전해액의 분해, 변성 등에 의한 전해액의 감소는 전기화학적 반응에 기여할 수 있는 전해액의 양을 감소시키고, 아울러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 효율과 용량 보유율(capacity retention ratio)을 감소시켜 이차전지의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However, in such a secondary battery, generally, the electrolyte is decomposed due to a side reaction during charging, gas is generated, and the electrolyte is denatured by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reduction of the electrolyte due to the decomposition or denaturation of the electrolyte reduces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that can contribute to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and reduces the charge and discharge efficiency and the capacity retention ratio of the secondary battery, .

최근, 이와 같은 전해액 감소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이차 전지의 장기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리튬 이차전지의 케이스 내에 전해액을 보충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기술들은 이차전지의 사이클 라이프에 문제가 발생되는 시점에 전해액이 급속하게 보충됨으로써 전지 팩 내의 이차전지의 불균형으로 인한 전지 팩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In recent years, techniques for replenishing an electrolyte solution in a cas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decrease of the electrolyte and improve the long-term life of the secondary battery. However, The electrolyte solution is rapidly replenished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cycle life, so that the battery pack may be broken due to unbal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in the battery pack.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O106527호 (2011. 09. 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O106527 (September 29, 20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OO62232호 (2012. 06. 1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OO62232 (June 14, 20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OO09500호 (2013. 01. 23.)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OO09500 (Feb.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OO38655호 (2013. 04. 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OO38655 (2013. 04. 1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충용 전해액을 수용하는 부방 및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본방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로서, 본방의 전해액이 소모될 때 이 소모되는 양에 비례하여 부방의 보충용 전해액이 본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ase accommodating a replenishing electrolyte and a case formed with a main bod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wherein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And to provid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hich can be moved to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이 수용되는 본방(main chamber), 및 상기 본방의 상기 전해액이 소모되는 경우 보충되기 위한 보충용 전해액이 수용되기 위한 부방(subchamber)이 구비되는 케이스; 및 상기 본방과 상기 부방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방에 수용되는 상기 보충용 전해액이 상기 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본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n electrode assembly; A main chamber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are accommodated, and a subchamber in which a replenishment electrolyte solution is accommodated when the electrolytic solution in the main chamber is consumed;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main portion and the sub-portion, wherein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sub-portion can be moved to the main portion via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연결부는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부재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메인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통로는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노즐 형상일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body, a main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body, and the main passage may be a nozzle shape converging from both ends of the body toward the center.

상기 연결부는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부재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메인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body, and a main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body.

상기 몸체에는 상기 메인 통로의 단면보다 더 작은 단면을 갖는 가스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A gas passage having a cross section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body.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부방에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가스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일방향 판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unidirectional valv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connected to the main body, for opening or closing the gas passage.

상기 일방향 판막은 상기 가스 통로의 상단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밸브 부분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부착되기 위한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부분과 상기 연결 부분은 서로 굽혀질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unidirectional valve includes a valve portion for closing or opening the upper end of the gas passage,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attaching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the valve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bent.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본방에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일방향 메인 판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unidirectional main valv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connected to the main body for opening or closing the main passage.

상기 일방향 메인 판막은 상기 메인 통로의 하단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밸브 부분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부착되기 위한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부분과 상기 연결 부분은 서로 굽혀질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unidirectional main valve may include a valve portion for closing or opening the lower end of the main passage,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attaching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portion. The valve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bent.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통로를 덮는 메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mesh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to cover the main passage.

상기 몸체에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본방에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통로의 하단을 덮는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본방에 수용되는 상기 전해액이 변성되면 변성된 전해액 또는 변성된 전해액의 성분을 상기 부방 쪽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The main body may have an outlet formed therein and the connec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membran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overing a lower end of the main passage. The denatured electrolytic solution or the denatured electrolytic solution component can be passed to the above-mentioned side.

상기 부방의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연결부를 향해서 수렴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a portion of the sub-assem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onverged toward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부방에 수용되는 상기 보충용 전해액은, 상기 본방의 상기 전해액이 소모될 때에 상기 소모되는 전해액의 양에 비례하여 상기 부방으로터 상기 본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replenishment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vat can be moved from the vat to the vat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he consumed electrolyte when the electrolyte in the room is consumed.

상기 연결부는 상기 부방과 상기 본방 사이에 형성되는 막 및 상기 막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membrane formed between the main portion and the main portion,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membrane.

상기 리튬 이차전지가 사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부방은 상기 본방에 대해서 중력 작용 방향의 반대 방향 측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used, the sub-chamber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ravity ac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cha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사시도,
도 2의 (a) 내지 (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3의 (a) 내지 (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4의 (a) 내지 (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to 2 (c)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S. 3 (a) to 3 (c)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4A to 4C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10)는 전극 조립체(도시 안됨), 이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본방(22)과 보충용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부방(24)이 구비되는 케이스(20), 전극 조립체와 연결되며 가요성 케이스(20)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극 탭(11, 12), 및 본방(22)과 부방(24)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부(30)를 포함한다.1, a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a main body 22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 pair of electrode tabs 11 and 12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lexible case 20 and a pair of electrode tabs 11 and 12 connected to the main assembly 22 and the sub- As shown in Fig.

전극 조립체는, 예를 들어 양극집전체의 표면에 양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양극판, 음극 집전체의 표면에 음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음극판, 및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위치하여 양극판과 음극판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단락을 방지하며 리튬 이온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분리막이 젤리-롤 형상으로 권취 또는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판은 구리 호일로 형성되고, 음극판은 알루미늄 호일으로 형성되고, 분리막은 부직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for example, a posi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n the surface of a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a nega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 separation membrane for preventing short-circuiting and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lithium ions may be formed by winding or laminating in a jelly-roll shape. For example,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may be formed of copper foil,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may be formed of aluminum foil, and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formed of nonwoven fabric or the like.

케이스(20)는, 예를 들어 가요성의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접착층, 금속층, 및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에는, 리튬 이차전지(10)의 외부에서 보았을 때 볼록하게 형성되는 본방(22) 및 부방(24)이 구비된다. 본방(22) 및 부방(24)은 케이스(20) 내부에서 보았을 때,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이 서로 결합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과 평면인 부분이 서로 결합하여 각각 형성된다. 그러나, 본방(22) 및 첨가제방(24)은 이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20)에 형성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독립적인 별개의 케이스에 각각 구성될 수도 있다.The case 2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lurality of flexible layer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heat bonding layer, a metal layer, and a polymer resin layer. The case 20 is provided with a main portion 22 and a main portion 24 that are convexly formed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The main portion 22 and the main portion 24 are formed by concave portions formed by concave or convex portions and planar portions joined to each other when viewed inside the case 20. However, the main chamber 22 and the additive chamber 24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formed in one case 20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constituted in separate independent cases, respectively.

케이스(20)에는, 내부에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본방(22)이 전극 조립체에 대응하여 케이스(20) 외부에서 보았을 때 볼록하게 형성된다.In the case 20, a main part 22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therein is formed so as to be convex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20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assembly.

또한, 케이스(20)에는, 본방(22)에 이웃하여, 예를 들어 한 쌍의 전극 탭(11, 12)이 케이스(20)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근접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보충용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부방(24)이 형성된다. 즉, 케이스(20) 내부에서 보았을 때, 본방(22)의 개구부와 부방(24)의 내부 공간은 대략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다. 부방(24)의 위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리튬 이차전지(10)가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으로 형성될 경우에 전극 탭(11, 12)이 있는 부분이 위로 가도록 세워지는 것을 상정하여, 부방(24)이 전극 탭(11, 12)이 돌출되는 케이스(20) 부분에 형성되어, 본방(22)보다 더 위쪽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본방(22)과 부방(24)의 배치관계에 의해서, 부방(24)에 수용되는 보충용 전해액이 중력에 의해서 연결부(30)를 통해 본방(22)으로 조금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전극 탭(11, 12)이 측면으로 가는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의 경우에는, 상측에 위치되는 케이스(20)의 부분에 부방(24)이 형성될 수도 있다.A pair of electrode tabs 11 and 12 are formed adjacent to the main body 22 in the case 20 so as to be convex in the vicinity of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ase 20 so that a replenishing electrolyte A sub-chamber 24 for receiving is formed. That is, when viewed from inside the case 20, the openings of the main chamber 22 and the inner spaces of the main chamber 2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lurality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10 are formed of a battery module or a battery pack, the portions where the electrode tabs 11 and 12 are present are shifted upward The main portion 24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case 20 where the electrode tabs 11 and 12 protrude and is disposed higher than the main portion 22 on the assumption that the electrode tabs 11 and 12 are raised. The replenishment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main chamber 24 can be slightly moved to the main chamber 22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30 by the gravity due to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amber 22 and the sub chamber 24. [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attery module or the battery pack in which the electrode tabs 11 and 12 extend to the side, the upper portion 24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20.

부방(24)의 평면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이나, 다른 다각형 또는 원형, 반원형 등도 가능하며, 연결부(30)에 수렴되는, 예를 들어 깔때기 형상의 수렴부를 갖는 다양한 형상도 가능하다. 수렴부를 갖는 형상의 경우, 리튬 이차전지(10)가 세워져서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이루는 경우, 부방(24)에 수용되는 보충용 전해액이 잔류하지 않고 연결부(30)로 유동되어 본방(22)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planar shape of the sidewall 24 may be a quadrangular shape, another polygonal shape, a circular shape, a semicircular shape, or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y have various shapes having a converging portion, for example, a funnel shape converging on the connecting portion 30. In the case of the shape having the converging portion, whe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is erected to form the battery module or the battery pack,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sub-chamber 24 flows into the connection portion 30 without remaining, Can be moved.

연결부(30)는, 이하 설명될 연결 부재로 구성되며, 부방(24)의 보충용 전해액과 본방(22)의 가스 또는 변성된 전해액 등을 서로 교차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서, 부방(24)에 수용되는 보충용 전해액이 연결부(30)를 통해서 본방(22)으로 유동될 수 있고, 본방(22)에 형성되는 가스 등이 연결부(30)를 통해서 부방(24)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는 부방(24)의 본방(22)을 대향하는 하측면과 본방(22)의 부방(24)을 대향하는 상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0)의 단면적은, 연결부(30)를 통해서 보충용 전해액이 본방(22)으로 조금씩 이동될 수 있도록 부방(24)의 하측면의 면적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방(22)에서 전해액이 소모될 때 이 소모되는 양에 비례해서 부방(24)의 보충용 전해액이 조금씩 계속적으로 본방(22)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방(24)에서 본방(22)으로 이동되는 보충용 전해액의 유동량은 리튬 이차전지(10)에서 소모되는 전해액의 소모량을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이 측정값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30 is composed of a connecting member to be described below, and cross-moves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of the main portion 24 and the gas or denatured electrolyte of the main portion 22 with each other. This allows the supplemental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main chamber 24 to flow to the main chamber 22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30 and the gas or the like formed in the main chamber 22 to flow into the main chamber 24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30 Can flow. 1, the connecting portion 3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portion 22 opposite to the main portion 22 and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portion 22 facing the main portion 24 of the main portion 22, as shown in FIG. Sectional area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24 so that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can be slightly moved to the main portion 22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30.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replenishment electrolyte solution in the sub-chamber 24 can be gradually transferred into the main body 22 in proportion to the amount consumed when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consumed in the main chamber 22. The flow rate of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that is moved from the sub-chamber 24 to the main chamber 22 can be determined by experimentally measuring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electrolyte consumed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and using the measured value.

연결부(30)의 배치 위치는, 본 실시예에서 부방(24)과 본방(22) 사이, 즉 부방(24)과 본방(22)이 서로 마주 보는 측부 사이에 배치되나, 부방(24)과 본방(22)을 연통시킬 수 있는 위치이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부방(24)과 본방(22)이 서로 마주 보지 않는 측부를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30)의 형상이 직선형 이외의, 예를 들어 'ㄱ' 또는 'ㄷ' 자 형상도 가능하다.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30 is arranged between the main part 22 and the main part 2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between the main part 22 and the side part facing the main part 22, And a side where the main portion 22 and the main portion 22 do not face each othe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30 may have a shape other than a straight shape, for example, a '' or a '' shape.

또한, 연결부(30)의 이하 설명될 연결 부재는 케이스(20) 내측에 배치되어 케이스(20)에 의해서 피복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전해액이 부방(24) 또는 본방(22)에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connection member 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20 and may be covered by the case 20. In such a case, the electrolyte may flow out from the main chamber 22 or the main chamber 22 Can be prevented.

전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리튬 이차전지(10)는, 리튬 이차전지(10)의 계속되는 충전 및 방전 사이클 동안에 본방(22)에 수용되는 전해액이 분해 또는 변성 등에 의해서 소모되더라도, 이 소모되는 전해액의 양만큼 부방(24)에 수용되는 보충용 전해액이 연결부(30)를 통해서 조금씩 본방(22)에 공급될 수 있어, 리튬 이차전지(10)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리튬 이차전지(10)가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구성하는 경우에, 전해액의 급속한 보충이 방지됨으로써 전지 팩 내의 이차전지의 불균형으로 인한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which even if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main chamber 22 is consumed by decomposition or denaturation during the subsequent charging and discharging cycle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chamber 24 can be supplied little by little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30 to the main chamber 22 so that the lifetim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can be prolonged and a plurality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10 In the battery module or the battery pack constitutes the battery module or the battery pac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battery module or the battery pack due to the imbal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in the battery pack.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10)의 연결부(30)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 to 6, a connecting member constituting the connecting portion 30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의 (a) 내지 (c)는 몇 가지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2 (a) to 2 (c)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2의 (a)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32)는 원통형의 몸체(31) 를 포함하고, 이 몸체(31)의 내부에는 메인 통로(33)가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측에 해당하는 부분이 부방(24)에 연결되고,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이 본방(22)에 연결된다.The connecting member 3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a) includes a cylindrical body 31 and a main passage 33 is formed in the body 31. In the draw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portion 24,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portion 22.

몸체(31)는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해액 및 변성된 전해액에 대해서 저항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며,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31)의 외형의 단면은 원형이나, 다른 다각형 또는 반원형, 타원형 등도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30)가 직선형이 아닌 다른 형상을 갖는 경우, 몸체(31)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하기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의 몸체도 동일하다). 몸체(31)에 형성되는 메인 통로(33)는 원통형일 있고, 이를 통해서 부방(24)의 보충용 전해액이 본방(32)으로 이동될 수 있고, 본방(32)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부방(24)으로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통로(33)의 단면적은 부방(24) 내부의 보충용 전해액이 조금씩 본방(22)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작게 형성된다.The body 31 may be formed of a resin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resistant to an electrolytic solution and a denatured electrolytic solution, and may have flexibility.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body 31 may be circular, other polygonal, semicircular, elliptical or the like. Further, when the connecting portion 30 has a shape other than a straight shape, the body 3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the body of another embodiment described below is also the same). The main passage 33 formed in the body 31 is of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of the main chamber 24 can be moved to the main chamber 32 and the gas generated in the main chamber 32 can be supplied to the main chamber 32 ). ≪ / RTI > Sectional area of the main passage 33 is formed small so that the replenishment electrolyte inside the main chamber 24 can be slightly moved to the main chamber 22. [

도 2의 (b)에 도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32a)는 도 2의 (a)에 도시되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몸체(31a)에 가스 통로(34)가 더 형성된다. 가스 통로(34)는 메인 통로(33)의 옆에 형성되며, 그 단면적은 메인 통로(33)에 비하여 아주 작고,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가스 통로(34)의 단면은 원형 이외의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메인 통로(33)로 보충용 전해액이 유동될 때, 본방(32)의 가스가 가스 통로(34)를 통해서 부방(24)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2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2 (b) is further provided with a gas passage 34 in the body 31a a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a). The gas passage 34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passage 33, and its cross-sectional area is very small as compared with the main passage 33, and the number of the gas passage 34 can be one or more. The cross-section of the gas passage 34 can have various shapes other than a circular shape. When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flows into the main passage 33, the gas in the main chamber 32 can be moved to the main chamber 24 through the gas passage 34.

도 2의 (c)에 도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32a')는, 도 2의 (b)에 도시되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부방(24)에 연결되는 몸체(31)의 상단에 부착되어 가스 통로(34)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일방향 판막(35)을 더 포함한다.The connecting member 32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2 (c) is different from the connecting member 32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b) And a unidirectional valve 35 attached to the upper end and capable of opening or closing the gas passage 34.

일방향 판막(35)은 얇은 박막의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일방향 판막(35)은 가스 통로(34)의 상단을 막거나 개방할 수 있는 밸브 부분 및 이 밸브 부분의 일 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몸체(31)의 표면에 부착되기 위한 연결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 부분과 연결 부분의 연결부는 힌지와 같이 굽혀질 수 있다.The unidirectional plate 35 may be formed of a thin film, and the planar shape may be generally circular. The unidirectional valve 35 may be composed of a valve portion capable of blocking or opening the upper end of the gas passage 34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valve portion and to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ody 31 have. The connection part of the valve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can be bent like a hinge.

일방향 판막(35)의 밸브 부분은 정상 상태에서 가스 통로(34)를 막고 있다. 그런데, 가스 통로(34)를 통해서 본방(22)으로부터 가압된 가스가 오면, 일방향 판막(35)의 밸브 부분이 미세하게 위로 들어 올려져 개방되어 부방(24) 내에 가스가 유입될 수 있고, 부방(24) 내의 보충용 전해액이 본방(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valve portion of the unidirectional valve 35 is blocking the gas passage 34 in a normal state. However, when gas pressurized from the main chamber 22 through the gas passage 34 comes in, the valve portion of the unidirectional plate 35 is lifted up slightly to open the gas into the main chamber 24, The replenishment electrolyte solution in the replenishing tank 24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in pipe 22.

전술된 구성을 갖는 연결 부재는, 본방(22)에서 전해액이 소모될 때, 이 소모되는 전해액의 양에 정확하게 비례하는 양의 부방(24)의 보충용 전해액의 본방(22)에로의 공급에 기여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contribute to the supply of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of the replenishing liquid 24 in the amount of the mist 24 preci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the consumed electrolyte when the electrolyte is consumed in the main chamber 22 have.

도 3의 (a) 내지 (c)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가 도시된다. 도 2의 (a) 내지 (c)에 도시되는 실시예와 다른 점은 몸체(31b)에 형성되는 메인 통로 (33b)의 형상이 노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메인 통로(33b)의 양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형상이며, 가운데 부분이 잘록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부방(24)의 보충용 전해액이 메인 통로(33b)의 수렴되는 중앙 부분에 점성에 의해서 맺혀있을 수 있어 본방(22)의 전해액 소모가 없는 경우에 보충용 전해액의 흐름이 억제될 수 있으며, 또한, 보충용 전해액이 이동 시에 본방(22)으로 조금씩 그리고 확산되면서 공급될 수 있다.3 (a) to 3 (c) show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 (a) to 2 (c), the shape of the main passage 33b formed in the body 31b is a nozzle shape. That is, the main passage 33b has a shape converging from both ends to the center, and the center portion is constrict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replenishment electrolyte solution in the sub-chamber 24 may be formed viscously at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main channel 33b converges, so that the flow of the replenishment electrolyte is suppressed when the electrolyte 22 is not consumed And the replenishment electrolyte can be supplied while spreading little by little to the main chamber 22 at the time of movement.

몸체(31b)는 몸체(31b) 내에 형성되는 메인 통로(33b)의 형상에 대응해서 형성될 수 있으나, 원기둥 등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31b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passage 33b formed in the body 31b, but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such as a cylinder.

도 3의 (b)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32c)는 도 3의 (a)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비하여 몸체(31c)에 형성되는 가스 통로(34)를 더 포함한다. 가스 통로(34)는 상술된 바와 같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형이나, 메인 통로(33b)를 따라서 굽은 형태도 가능하다.The connecting member 32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b) further includes a gas passage 34 formed in the body 31c a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 The gas passage 34 is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linear in the present embodiment, or may be curved along the main passage 33b.

또한, 도 3의 (c)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32c')는 도 3의 (b)에 도시되는 연결 부재(32c)에 비하여, 몸체(31c)의 상단에 부착되어 가스 통로(34)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일방향 판막(35)을 더 포함한다.The connecting member 32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c)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31c in comparison with the connecting member 32c shown in FIG. 3 (b) Way valve 35 capable of opening or closing the valve body 34. The one-

상술된 바와 같이, 일방향 판막(35)은 얇은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일방향 판막(35)은 가스 통로(34)의 상단을 막거나 개방할 수 있는 밸브 부분 및 이 밸브 부분의 일 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몸체(31)의 표면에 부착되기 위한 연결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 부분과 연결 부분의 연결부는 힌지와 같이 굽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nidirectional plate 35 can be formed of a thin film, and the planar shape can be entirely circular. The unidirectional valve 35 may be composed of a valve portion capable of blocking or opening the upper end of the gas passage 34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valve portion and to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ody 31 have. The connection part of the valve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can be bent like a hinge.

일방향 판막(35)의 밸브 부분은 정상 상태에서 가스 통로(34)를 막고 있다. 그런데, 가스 통로(34)를 통해서 본방(22)으로부터 가압된 가스가 오면, 일방향 판막(35)의 밸브 부분이 미세하게 위로 들어올려져 개방되어 부방(24) 내에 가스가 유입될 수 있고, 부방(24) 내의 보충용 전해액이 본방(22)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valve portion of the unidirectional valve 35 is blocking the gas passage 34 in a normal state. When the gas pressurized from the main chamber 22 comes in through the gas passage 34, the valve portion of the unidirectional plate 35 is lifted up slightly to open the gas into the main chamber 24, 24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in chamber 22.

전술된 구성을 갖는 연결 부재는, 본방(22)에서 전해액이 소모될 때, 이 소모되는 전해액의 양에 정확하게 비례하는 양의 부방(24)의 보충용 전해액의 본방(22)에로의 공급에 기여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contribute to the supply of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of the replenishing liquid 24 in the amount of the mist 24 preci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the consumed electrolyte when the electrolyte is consumed in the main chamber 22 have.

도 4의 (a) 내지 (c)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가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가장 다른 점은 몸체(31c)의 하단 표면에 부착되어 메인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일방향 메인 판막(4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4 (a) to 4 (c),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shown. The main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and 3 is that it further includes a unidirectional main valve 40 attache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body 31c and capable of opening or closing the main passage.

일방향 메인 판막(40)은, 메인 통로(33)의 하단을 막거나 개방할 수 있는 밸브 부분 및 이 밸브 부분의 일 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몸체(31c)의 하단 표면에 부착되기 위한 연결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 부분과 연결 부분의 연결부는 힌지와 같이 굽혀질 수 있다.The unidirectional main valve film 40 has a valve portion which can close or open the lower end of the main passage 33 and a connecting portion which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valve portion and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body 31c Lt; / RTI > The connection part of the valve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can be bent like a hinge.

일방향 메인 판막(40)은 수지 등과 같이 가요성 있는 재료로 형성되며, 밸브 부분과 연결 부분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unidirectional main valve film 4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esin, and the valve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integrally formed.

일방향 메인 판막(40)의 밸브 부분은 정상 상태에서 메인 통로(33)를 폐쇄하고, 본방(22)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가스 통로(34)를 통해서 부방(24)에 유입되어 부방(24) 내의 보충용 전해액이 유출되기 시작하면, 밸브 부분이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보충용 전해액이 화살표(B)와 같이 본방(22) 내로 유입될 수 있다.The valve portion of the unidirectional main valve film 40 closes the main passage 33 in a steady state and the gas generated in the main chamber 22 flows into the main chamber 24 through the gas passage 34, When the replenishment electrolyte starts to flow out, the replenishment electrolyte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in chamber 22 as indicated by the arrow B while the valve portion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도 4의 (c)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32d'')는, 도 4의 (b)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32d')에 비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일방향 판막(35)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방(22)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가스 통로(34)를 통해서 유동되어 일방향 판막(35)을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화살표(D) 방향으로 부방(24)에 유입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2d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c) is different from the connecting member 32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b) 35). The gas generated in the main chamber 22 flows through the gas passage 34 and flows into the main chamber 24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while moving the unidirectional plate 35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메인 통로(33)가 원통형이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즐형 메인 통로일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a) to 4 (c), the main passage 33 may be cylindrical or may be a nozzle-shaped main passage as shown in Fig.

전술된 구성을 갖는 연결 부재는, 본방(22)에서 전해액이 소모될 때, 이 소모되는 전해액의 양에 정확하게 비례하는 양의 부방(24)의 보충용 전해액의 본방(22)에로의 공급에 기여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contribute to the supply of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of the replenishing liquid 24 in the amount of the mist 24 preci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the consumed electrolyte when the electrolyte is consumed in the main chamber 22 hav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시한다.5 shows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2e)는, 전술된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몸체(31)의 하단에 메쉬 부재(50)를 더 포함한다. 메쉬 부재(50)는 금속 또는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쉬 부재(50)의 간극 사이즈는 보충용 전해액이 본방(22)에 공급되는 속도가 빠르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ng member 32e further includes a mesh member 50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31, unlike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4 described above. The mesh member 50 may be formed of metal or resin and the gap size of the mesh member 50 may be selected so that the speed at which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22 is not fast.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몸체(31)의 상단에는 가스 통로(34)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전술된 바와 같은 일방향 판막이 부착될 수 있다. 몸체(31)의 하단에는 메쉬 부재(50) 위에, 메인 통로(33)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전술된 바와 같은 일방향 메인 판막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통로(33)는 노즐형일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5, a unidirectional valve as described above for opening or closing the gas passage 34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31.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31, a unidirectional main valve film as described above for opening or closing the main passage 33 may be provided on the mesh member 50. Further, the main passage 33 may be of a nozzle type.

전술된 구성을 갖는 연결 부재는, 본방(22)에서 전해액이 소모될 때, 이 소모되는 전해액의 양에 정확하게 비례하는 양의 부방(24)의 보충용 전해액의 본방(22)에로의 공급에 기여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contribute to the supply of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of the replenishing liquid 24 in the amount of the mist 24 preci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the consumed electrolyte when the electrolyte is consumed in the main chamber 22 hav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연결 부재(32f)는 도 5에 도시되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메쉬 부재 대신 멤브레인(55)이 마련되고, 가스 통로 대신(34) 대신 유출구(37)가 제공된다. 유출구(37)는 가스 통로(34)보다 직경이 큰 형상이다. 이 멤브레인은 본방(22)의 변성된 전해액 또는 변성된 전해액에 포함된 성분을 부방(24) 쪽으로 투과시킬 수 있으나 부방(24)의 보충용 전해액은 투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방(22)의 변성된 전해액이 부방(24)으로 이동되면, 부방(24)의 보충용 전해액은 유출구(37)를 통해서 본방(22)으로 조금씩 이동될 수 있다.
6 shows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32f shown in Fig. 6 is provided with a membrane 55 instead of the mesh member and an outlet 37 instead of the gas passage 34 in comparison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outlet 37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gas passage 34. The membrane may transmit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denatured electrolytic solution or the denatured electrolytic solution of the main part 22 to the side of the main part 24 but may not transmit the main part of the auxiliary part 24 of the electrolyte solution.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enatured electrolytic solution of the main chamber 22 is moved to the sub-chamber 24, the replenishment electrolyte of the sub-chamber 24 can be slightly moved to the main chamber 22 through the outflow port 37.

상술된 바와 같이, 본방(22)과 부방(24)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0)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의 몸체, 메인 통로, 가스 통로, 일방향 판막, 일방향 메인 판막, 메쉬, 및 멜브레인은 각각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구비되는 경우에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들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dy, the main passage, the gas passage, the one-way valve, the one-way main valve, the mesh, and the melbrain of the connecting member constituting the connecting portion 30 connecting the main portion 22 and the sub-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made by various combinations of the above embodiments.

또한, 연결부(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로 형성되나, 부방(24)과 본방(22)이 밀착되는 경우에, 부방(24)과 본방(22)을 분리하는 막 및 이 막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formed as a connecting memb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a film separating the main portion 24 and the main portion 22 when the main portion 24 and the main portion 2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lm.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을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 보이는 구성요소들을 공지의 기술요소로 치환하여 변형하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보이는 사상 및 그 균등범위까지 미친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extends to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리튬 이차전지
11, 12: 전극 탭
20: 케이스
22: 본방
24: 부방
30: 연결부
31, 31a, 31b, 31c, 31d: 몸체
32, 32a, 32a', 32b, 32c, 32c', 32d, 32d', 32d'', 32e, 32f: 연결 부재
33, 33b: 메인 통로
34: 가스 통로
35: 일방향 판막
37: 유출구
40: 일방향 메인 판막
50: 메쉬 부재
55: 멤브레인
10: Lithium secondary battery
11, 12: electrode tab
20: Case
22: Home
24
30: Connection
31, 31a, 31b, 31c, 31d:
32, 32a, 32a ', 32b, 32c, 32c', 32d, 32d ', 32d "
33, 33b: main passage
34: gas passage
35: one-way valve
37: Outlet
40: one-way main valve
50: mesh member
55: Membrane

Claims (14)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이 수용되는 본방(main chamber), 및 상기 본방의 상기 전해액이 소모되는 경우 보충되기 위한 보충용 전해액이 수용되기 위한 부방(subchamber)이 구비되는 케이스; 및
상기 본방과 상기 부방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방에 수용되는 상기 보충용 전해액이 상기 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본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
An electrode assembly;
A main chamber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are accommodated, and a subchamber in which a replenishment electrolyte solution is accommodated when the electrolytic solution in the main chamber is consumed; And
And a connection portion for communicating the main chamber with the sub-chamber,
And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moved to the primary battery via the connect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부재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메인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통로는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노즐 형상인,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connect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body, a main passage is formed in the body,
Wherein the main passage is in the shape of a nozzle converging from both ends of the body toward the cen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부재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메인 통로가 형성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body, and a main passage is formed in the body.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메인 통로의 단면보다 더 작은 단면을 갖는 가스 통로가 형성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 gas passage having a cross section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passage is formed in the bod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부방에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가스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일방향 판막을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unidirectional valv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connected to the valve and for opening or closing the gas passag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판막은 상기 가스 통로의 상단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밸브 부분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부착되기 위한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부분과 상기 연결 부분은 서로 굽혀질 수 있도록 연결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ne-way valve comprises a valve portion for closing or opening the upper end of the gas passage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attaching to an upper end of the body, wherein the valve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bent, battery.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본방에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일방향 메인 판막을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unidirectional main valv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connected to the main body for opening or closing the main passag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메인 판막은 상기 메인 통로의 하단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밸브 부분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부착되기 위한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부분과 상기 연결 부분은 서로 굽혀질 수 있도록 연결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ne-way main valve comprises a valve portion for closing or opening the lower end of the main passage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attaching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valve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bent, Secondary battery.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통로를 덮는 메쉬 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mesh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and covering the main passage.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본방에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통로의 하단을 덮는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본방에 수용되는 상기 전해액이 변성되면 변성된 전해액 또는 변성된 전해액의 성분을 상기 부방 쪽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body is provided with an outlet,
The connec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membran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overing a lower end of the main passage,
Wherein the membrane is capable of passing a denatured electrolytic solution or a denatured component of electrolytic solution to the at least one side when the electrolytic solution contained in the main body is denatu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방의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연결부를 향해서 수렴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verged toward the connection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방에 수용되는 상기 보충용 전해액은, 상기 본방의 상기 전해액이 소모될 때에 상기 소모되는 전해액의 양에 비례하여 상기 부방으로터 상기 본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plenishing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moved from the secondary battery to the secondary battery in proportion to an amount of the consumed electrolyte when the electrolyte solution in the primary battery is consu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부방과 상기 본방 사이에 형성되는 막 및 상기 막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comprises a membrane formed between the main portion and the main portion,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membra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가 사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부방은 상기 본방에 대해서 중력 작용 방향의 반대 방향 측에 위치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ary battery is located on a side opposite to the gravity ac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attery in a state in which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used.
KR1020140122638A 2014-09-16 2014-09-16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7326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638A KR101732697B1 (en) 2014-09-16 2014-09-16 Lithium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638A KR101732697B1 (en) 2014-09-16 2014-09-16 Lithium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482A true KR20160032482A (en) 2016-03-24
KR101732697B1 KR101732697B1 (en) 2017-05-04

Family

ID=5565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638A KR101732697B1 (en) 2014-09-16 2014-09-16 Lithium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69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0467A (en) * 2016-09-07 2017-02-22 中南大学 Lithium supplementing method for energy storage device
WO2020091487A1 (en) 2018-11-02 2020-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lyte supplement groove
WO2021145623A1 (en) * 2020-01-15 2021-07-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JP2023507304A (en) * 2020-06-25 2023-02-22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Pouch-type battery cell that can be replenished with electrolyt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163A (en) 2009-12-15 2010-03-18 Sharp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0467A (en) * 2016-09-07 2017-02-22 中南大学 Lithium supplementing method for energy storage device
WO2020091487A1 (en) 2018-11-02 2020-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lyte supplement groove
KR20200050782A (en)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Groove for Replenishing an electrolyte
CN111406327A (en) * 2018-11-02 2020-07-10 株式会社Lg化学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lyte solution replenishing recess formed therein
US20210074989A1 (en) * 2018-11-02 2021-03-11 Lg Chem, Ltd.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lytic Solution Supplement Recess Portion Formed Therein
CN111406327B (en) * 2018-11-02 2023-06-09 株式会社Lg新能源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lyte solution replenishing recess formed therein
WO2021145623A1 (en) * 2020-01-15 2021-07-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CN114902488A (en) * 2020-01-15 2022-08-12 株式会社 Lg新能源 Secondary battery
JP2023508372A (en) * 2020-01-15 2023-03-02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secondary battery
JP2023507304A (en) * 2020-06-25 2023-02-22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Pouch-type battery cell that can be replenished with electroly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697B1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0302B2 (en) Secondary battery
KR101732697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220485B1 (en) A apparatus of protecting electrolyte leakage for battery
WO2013011915A1 (en) Secondary battery
JP5336023B1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KR101192083B1 (en) Rechargeable Battery
US20150140419A1 (en) Battery design with bussing integral to battery assembly
KR101535975B1 (en) Secondary battery and power storag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40120379A1 (en) Battery pack
JP2010282743A (en) Storage battery
KR20110107448A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for preventing swelling phenomena
JP2009070628A (en) Lead storage battery
EP2573836B1 (en) Battery unit
EP3386019B1 (en) Secondary battery
JP2018018673A (en) Battery module
JP2013178950A (en) Power storage element
US11355798B2 (en) Device for cooling battery pack
US20220085461A1 (en) Secondary battery
JP2018045846A (en) Power storage element
JP2023550109A (en) How to refill electrolyte and secondary batteries that allow refilling of electrolyte
US20150214511A1 (en) Battery pack
KR20130090262A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it
KR20160144764A (en) Battery Pack
KR101793435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709884B1 (en) A rectangular rechargeabl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