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702A - Disposable folding potty - Google Patents

Disposable folding pot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702A
KR20160031702A KR1020140121598A KR20140121598A KR20160031702A KR 20160031702 A KR20160031702 A KR 20160031702A KR 1020140121598 A KR1020140121598 A KR 1020140121598A KR 20140121598 A KR20140121598 A KR 20140121598A KR 20160031702 A KR20160031702 A KR 20160031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lls
potty
seat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보제나 짜브로트니악
야누스츠 판쎄르츠
Original Assignee
보제나 짜브로트니악
야누스츠 판쎄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제나 짜브로트니악, 야누스츠 판쎄르츠 filed Critical 보제나 짜브로트니악
Priority to KR102014012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1702A/en
Publication of KR20160031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7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folding potty manufactured by a sheet layer material. The potty comprises: walls connected by side edges having a folding part in a floor portion by which an internal space of an accordion-shaped potty is formed; a bag having an absorption pad formed between the walls and a sheet; and two more outer folding parts (2) than the number of inner folding parts (2′). The walls (1) are connected to the sheet (4) of the potty by rectangular wings (5) aligned and attached to an end of vertical walls (1) folded in a same direction. The potty has side rubber bands (10) aligned on the sheet and a base of the potty to help the potty be opened and then be fixated after being opened. Moreover, the potty comprises a rubber band (8) and a foil handle (9) to seal and transfer the potty.

Description

일회용 접힘식 변기{DISPOSABLE FOLDING POTTY}Disposable FOLDING POTTY [0002]

본 발명은 특히 1.5세 내지 6세의 어린이들을 위해 제작된 일회용 접힘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relates to a disposable foldable toilet seat designed for children between 1.5 and 6 years of age.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경우, 가령, 화장실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즉 특정 공공 장소 또는 운동장에 있을 때 혹은 대중 교통을 이용하여 이동 중일 때의 상황에서 배설물을 단시간 보관하고 쉽게 운반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excrement for a short time in a specific case, for example when the toilet is not available, that is, when it is in a public place, on a playground, or when traveling by public transportation .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그 밖의 공지된 일회용 변기들이 있다. There are other known disposable toilet seats used for this purpose.

특허출원번호 WO2004037062호는 시트 레이어 재료로 제작된 공지된 접힘식 변기를 기술하고 있는데, 이 변기는 측면 에지들에 의해 연결된 측벽들과 상기 측벽들의 상부 에지 위에 위치된 변기 시트에 의형 형성된 내부 공간 및 변기를 접기 위한 접힘부(fold)로 구성된다. Patent Application No. WO2004037062 describes a known foldable toilet seat made of sheet layer material which has sidewalls connected by side edges and an internal space formed in the toilet seat located above the upper edge of the sidewalls, And a fold for folding the toilet.

이 변기는 상부 에지를 가진 2개의 맞은편 측벽들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접힘선(접힘부)를 따라 환형의 시트 표면의 두 에지들에 결부되며 측벽들을 지지하고, 상부 에지 위에서 시트 표면의 나머지 부분들이 배열된다(distributed). The toilet includes two opposite side walls with an upper edge, which are joined to the two edges of the annular sheet surface along respective fold lines (folds) and support the side walls, and the rest of the sheet surface above the upper edge Are distributed.

변기를 펼치는(unfolding) 방법은 양손을 사용하며 적어도 몇 번의 움직임을 필요로 한다. 이 방법은 배설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않는다. The unfolding method uses both hands and requires at least several movements. This method does not provide a mechanism to prevent droppings from falling out.

또한, 상당히 복잡한 접힘 방법을 이용하는 특허출원번호 GB2448945B호에 기술된 영국 발명도 있다. There is also a British invention as described in patent application number GB2448945B which utilizes a highly complicated folding method.

펼치기 이전 및 이후의 변기의 크기는 커다랗고, 사용 후에는, 배설물은 버리기 전까지 일반적인 플라스틱 백(plastic bag) 내에 저장된다. The size of the toilet before and after deployment is large and, after use, the excrement is stored in a typical plastic bag until it is discarded.

또한, 상기 변기는 변기 전체가 아니라 오직 포일 백(foil bag)만이 버려지기 때문에 일회용이 아니다. Also, the toilet is not disposable because it is not the entire toilet, but only a foil bag is discarded.

현재, 시장에는, 일회용으로 지칭되는, 견고한 주 구성물 및 교체식 패드를 가진 변기 형태의 다른 공지된 해결책도 있다. 이러한 타입의 해결책에서는, 혼자서 전체 변기를 옮길 수 있으며 특별한 방법으로 특정 패드에 꼭 맞는 변기가 요구된다. 사용하고 나서 패드를 버린 후에는, 다시 변기를 옮길 필요가 있다. Presently, there are other known solutions in the market, in the form of a toilet with a sturdy main constituent and a replaceable pad, referred to as disposable. In this type of solution, the entire toilet can be moved by itself and a toilet fitted to a particular pad in a special way is required. After you have used and discarded the pad, you will need to move the toilet again.

2012년 2월 13일에, 본 출원인은 발명의 명칭이 "Disposable Folding Potty"인 특허출원 P398090호를 출원하였다. 이 해결책은 시트 재료로 제작된 일회용 접힘식 변기를 기술하고 있는데, 상기 변기는 변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측면 에지를 가진 서로 연결된 벽들을 포함하며 바닥 부분 내에 접힘부를 가지고 아코디언 형태를 가진다. 상기 벽들은 커넥터로 시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의 표면은, 맞은편의 한 쌍의 벽들을 제외하고는, 시트와 각각의 수직 벽의 단부 위에 있는 삼각형 윙(wing)들 사이에 장착된 포인트 커넥터(point connector)로 벽들에 연결된다. 벽들과 시트 사이에는 흡수 재료가 있는 백이 장착된다. 이 변기는 측벽들 내에 개구(opening)를 포함하는데, 상기 개구는 고정장치 및 흡수 패드를 밀봉하도록 사용되는 코드(cord)를 묶기 위해 사용된다. On February 13, 2012, the present applicant filed a patent application P398090 entitled "Disposable Folding Potty. &Quot; This solution describes a disposable foldable toilet seat made of a sheet material, which has an accordion shape with folded portions in the bottom portion and walls connected to each other which form the internal space of the toilet and have side edges. Wherein the walls are connected to the seat by a connector and the surface of the seat is connected to a point connector mounted between the seat and the triangular wings on the end of each vertical wall except for a pair of opposite walls, and are connected to the walls by point connectors. Between the walls and the seat is mounted a bag with absorbent material. The toilet includes an opening in the side walls that is used to tie the cord used to seal the anchoring pad and the absorbent pad.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종래에 제안된 해결책에 대해 보완적인 해결책이다. 이 해결책은 본 발명을 제작하기에 저렴하며 보다 실용적으로 하기 위해 구성을 단순화하도록 추가로 개량한다. The solu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complementary solution to the conventionally proposed solution. This solution is further refined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to make the invention less expensive to manufacture and more practical.

본 발명의 핵심적인 사항은 쉽게 접을 수 있고 펼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배설물이 안전하게 수용되는 갖고 다니기 용이한 소형의 일회용 변기를 제작하는 데 있다. A key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compact disposable toilet seat which can be easily folded and unfolded, and which is easy to carry with the faeces safely accommodated after use.

접힘식 변기(folding potty)는 페이스트보드(pasteboard)와 같은 시트 레이어 재료(sheet layer material)로 제작되는데, 이 재료는 변기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며 아코디언(accordion) 형태를 형성하는 측면 에지(side edge)들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측벽(side wall)들로 구성된다. The folding potty is made of the same sheet layer material as the pasteboard which forms the internal space of the toilet and has a side edge which forms an accordion shape And side walls connected together by a pair of side walls.

시트 표면은 측벽들의 상부 에지 위에 위치되며 변기를 펼칠 때 자동으로 펼쳐진다. The seat surface is positioned over the upper edge of the side walls and automatically unfolds when the toilet is opened.

아코디언 형태의 다수의 접힘부(fold)들로 인해, 변기가 펼쳐진 후에 변기는 고정(stabilization)될 수 있으며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Due to the multiple folds of the accordion type, the toilet can be stabilized and the strength can be increased after the toilet is unfolded.

변기 벽들은 (수직 벽들에서) 아코디언 형태를 형성하는 6개의 내측 접힘부 및 8개의 외측 접힘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ilet walls preferably have six inner folds and eight outer folds forming an accordion shape (from the vertical walls).

맞은편에 있는 한 쌍의 벽들에는 내측 접힘부가 없어서 변기를 쉽게 접을 수 있게 한다. The pair of walls on the opposite side do not have inner folds so that the toilet can be easily folded.

수직 벽들의 바닥 부분은 45°의 각도의 접힘선(folding line) 위에 삼각형의 접힘부들을 가지는데, 이 삼각형의 접힘부들은 변기를 추가로 고정시키며 사용 후에 변기를 닫았을 때 배설물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The bottoms of the vertical walls have triangular folds on a folding line at an angle of 45 ° which further tightens the toilet and provides space for the excreta when the toilet is closed after use .

시트의 표면은 수직 벽들의 단부에 배열된 직사각형 윙(wing)들을 접착시킴으로써 수직 벽들에 연결된다. The surface of the shee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walls by adhering rectangular wings arranged at the ends of the vertical walls.

베이스(base)와 시트의 상측 표면의 2개의 맞은편 단부들 사이에, 변기가 개봉되는 것을 지지하며 개봉 후에는 고정되도록 구성된 고무 밴드가 배열된다. 사용된 변기를 용이하게 밀봉하고 운반하기 위하여, 접혀진 변기를 묶기(밀폐하기) 위하여 고무 밴드와 함께 핸들(handle), 바람직하게는 포일 핸들이 변기의 가장 넓은 벽들에 결부된다(attached). Between the two opposite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seat, a rubber band is arranged which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opening of the toilet and to be fixed after opening. A handle, preferably a foil handle, is attached to the widest walls of the toilet with a rubber band so as to easily seal and transport the used toilet, so as to bind (seal) the folded toilet.

변기는 수분을 흡수하는 리그닌(lignin)과 같은 흡수 재료와 포일 파우치(foil pouch) 형태의 내측 라이너(liner)로 끼워진다(fitted). The toilet is fitted with an absorbent material, such as lignin, which absorbs moisture, and an inner liner in the form of a foil pouch.

변기의 지지 구조물(supporting structure)은 페이스트보드, 혹은 요구 강도 기준을 충족시키며 페이스트보드와 비슷하게 접히는 그 밖의 재료로 제작된다.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oilet is made from a pasteboard or other material that meets the strength requirements and is folded similar to a pasteboard.

펼치기 전의 상기 구조물의 크기는 펼친 후의 크기보다 훨씬 작다. The size of the structure before expansion is much smaller than the size after expansion.

접힘 방법은 상기 구조물이 견고해야 하며 펼칠 때에 하중(load)을 견딜 수 있어야 하는 관련 접힘 지점(folding point) 및 표면들에 좌우된다. The folding method depends on the folding points and surfaces that the structure must be rigid and must be able to withstand the load when unfolded.

펼칠 때에는, 상측 접힘부(top fold)들은 시트에 연결하기 위한 베이스(base)인 표면을 형성한다. When deployed, the top folds form a surface that is the base for connecting to the seat.

이러한 디자인의 한 중요한 특징은, 견고한 구조이며, 무엇보다도, 상기 요소가 일시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되는 지지 구조물을 가진다는 것이다. One important feature of this design is that it has a solid structure, among other things, a support structure that prevents the element from being temporarily unfolded.

하측 접힘부(lower fold)들은 백, 및 내용물을 위해 충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해주며 구조물을 견고하게 해주고 또한 힘을 거의 들이지 않고도 쉽게 펼칠 수 있게 해 준다. The lower folds allow sufficient space for the bag and contents to be formed, making the structure sturdy and allowing easy spreading with little or no force.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효과는, 펼침 방법(unfolding method)이, 처음에는 소형의 변기이지만, 그 위에 앉거나 갑작스럽게 움직이고 일어설 수 있게 하면서도, 어린이의 무게를 견뎌낼 수 있는 안정적인 구조물로 변환되는 재료의 접힘부 및 연결부의 조합을 이용하는 변기를 형성하는 데 있다. One advantageous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nfolding method is a material that is initially transformed into a stable structure capable of withstanding the weight of a child while allowing it to sit, The folded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oilet.

이러한 요소들 및 접힘부 디자인은 배설물이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변기를 쉽게 다시 접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형태로, 쓰레기통이 근처에 바로 없을 때에도, 변기를 쓰레기통까지 쉽게 옮길 수 있다. These elements and the fold design allow the toilet to easily re-fold while preventing slough from escaping. In this way, even when the garbage can is not immediately nearby, the toilet can be easily moved to the garbage can.

접혀진 변기는 작은 크기이지만, 상기 디자인으로 인해, 양손을 사용할 필요 없이, 힘을 거의 쓰지 않고도 펼칠 수 있게 한다. The folded toilet is small in size, but because of its design, it does not require the use of both hands and allows it to be deployed with little use of force.

접힘 및 펼침 방법은 직관적이며 복잡한 사용방법을 필요치 않아서, 일반적인 사용 방법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아 본 발명이 간단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folding and unfolding method is intuitive and does not require a complicated method of use, and does not deviate from the general usage method category, show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사용되는 접힘 시스템은 변기가 일시적으로 펼쳐지게 하며, 2개의 감겨진 고무 밴드를 적용하면 변기가 펼쳐지는 것을 도와 구조물의 안정성(stability)을 증가시켜 사용하는 동안에 어린이가 측면으로 움직여도 변기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The folding system used allows the toilet to temporarily unfold and the use of two wrapped rubber bands helps the toilet to unfold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and prevent the child from unfolding the toilet when it sideways during use do.

접힘 시스템은 사용 후에 흡수 패드의 내용물을 위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여, 변기가 위치되는 표면 위로 전달되는 점압력(point pressure)을 생성한다. The folding system creates an open space for the contents of the absorbent pad after use to create a point pressure that is transmitted over the surface on which the toilet is located.

이는, 표면이 돌(rock) 또는 잔디(grass) 등으로 평평하지 않을 때 중요하다. This is important when the surface is not flat, such as rock or grass.

지점 베이스(point base)는 레벨 베이스(level base)가 있는 비슷한 해결책의 경우에서보다 변기에 더 우수한 안정성을 제공하는데, 상기 비슷한 해결책에서는, 약간 기울어지면(slight unevenness) 전체 구조물이 비스듬해지게 한다. The point base provides better stability to the toilet than in the case of a similar solution with a level base, in which a slight unevenness causes the entire structure to be skewed.

펼쳐질 때에는, 변기는 어린이의 해부학적 요구성(anatomical need)을 충족하는 형태를 가진다. When unfolded, the toilet has a shape that meets the anatomical need of the child.

펼쳐진 후에는, 변기 및, 특히, 변기의 착석 영역(sitting area)은 남자아이 및 여자아이 둘 모두의 신체 구조에 맞춰진다. 이에 따라 변기가 찌그러지는(crumpling) 것이 방지되며 아이의 자세가 부자연스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After deployment, the toilet seat and, in particular, the sitting area of the toilet seat is adapted to the body structure of both the male and female child. Thus, the toilet is prevented from crumpling and the child's posture is prevented from becoming unnatural.

흡수 패드를 사용하면, 변기를 사용한 후에, 그리고, 변기를 접고 난 후에, 배설물이 흘러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The use of an absorbent pad prevents the excreta from flowing out after using the toilet and after folding the toilet.

흡수 패드는, 가능하다면, 다양한 생리적 조성의 배설물을 흡수하고 패드의 표면으로부터 내부까지 균일하도록 구성된다. The absorbent pad is configured to absorb exudates of various physiological compositions, if possible, and to be uniform from the surface to the interior of the pad.

아코디언 형태로 인해 변기가 더 간단하게 접히게 한다. The accordion style allows the toilet to fold more simply.

또 다른 기능은, 접혀진 변기의 상측 부분 위로 끌어당겨진 특정 고무 밴드를 사용함으로써, 변기로부터 임의의 액체가 흘러 나오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다. Another function is to completely prevent any liquid from flowing out of the toilet by using a specific rubber band pulled 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folded toilet.

이 때문에, 사용된 변기는 적절한 위생 수준의 적합한 폐기 장소로 운반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used toilet can be transported to a suitable disposal site at an appropriate sanitary level.

그 외에도, 이러한 디자인은 좋지 못한 냄새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is design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unpleasant odors from spreading.

종래의 공지된 변기는 배설물을 수거하고 보관하는 주된 목적은 충족시키지만, 구조상의 한계 및 사용되는 재료로 인해, 이동 중에는 쉽게 사용하지 못하며 사용 후에는 배설물이 흘러 나오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지 못한다. Conventional known toilets meet the primary purpose of collecting and storing excreta, but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and materials used, they are not readily available during transport and do not completely prevent excreta from flowing out after use.

본 출원과 종래의 출원 P398090호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다음과 같은 상이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Comparing the present application to the prior application P398090, the 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different elements:

1. 변기는 내측 에지 접힘부의 개수보다 더 많은 개수의 외측 에지 접힘부를 가진다. 1. The toilet has a greater number of outer edge folds than the number of inner edge folds.

2. 변기의 경계를 정하고 특정 개구를 통해 묶는 고무 밴드 및/또는 코드 대신에, 변기는 변기를 더 쉽게 개봉하고 더 잘 고정시키는 맞은편 벽 위에 배열된 2개의 고무 밴드, 및 더 넓은 벽들 중 한 벽 위에 변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의 고무 밴드를 가진다.2. Instead of a rubber band and / or cord that bounds the toilet and binds it through a specific opening, the toilet has two rubber bands arranged on the opposite wall to more easily open and secure the toilet, and one of the wider walls It has one rubber band for fixing the toilet on the wall.

3. 변기의 시트는 시트를 직사각형 윙들에 접착시킴으로써 벽들에 연결된다. 3. The seat of the toilet is connected to the walls by adhering the sheet to the rectangular wings.

4. 변기는 추가적인 포일 핸들을 가진다. 4. The toilet has an additional foil handl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되는데:
도 1은 접혀지지 않은 형태의 변기를 도시하며,
도 2는 접혀진 형태의 변기를 도시하고,
도 3은 시트 벽과 변기 벽을 개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변기의 횡단면 AA를 따라 절단한 도면이다.
The invention is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ure 1 shows a toilet in an unfolded form,
Figure 2 shows a folded toilet,
3 is a view showing a seat wall and a toilet wall separately,
Fig. 4 is a view cut along the cross section AA of the toilet. Fig.

변기는 변기(1)를 평평한 형태로 접을 수 있고(도 2 참조) 펼칠 수 있도록(도 1 참조) 수직 접힘부(2 및 2')를 가진 변기(1)의 벽들을 형성하는 카드보드 카톤(cardboard carton)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예에서, 변기(1)의 벽들은 8개의 외측 접힘부(2)와 6개의 내측 접힘부(2')를 가진다. The toilet is a cardboard carton (see Fig. 1) which forms the walls of the toilet 1 with vertical folds 2 and 2 ' so that the toilet 1 can be folded flat (see Fig. 2) cardboard carton). In the example of the invention, the walls of the toilet 1 have eight outer folds 2 and six inner folds 2 '.

이보다 더 많거나 혹은 더 적은 개수의 접힘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예가 변기의 크기와 접힘부에 대해 가장 적절한 예이며, 외측 접힘부의 개수는 내측 접힘부의 개수보다 2개가 더 많아야 한다. It is also possible to use more or fewer folds than this, but the above example is the most appropriate example for the size and folding of the toilet, and the number of outer folds should be two more than the number of inner folds.

또한, 수직 벽들의 바닥 부분에, 접힘선(fold line)을 따라 45°각도로 삼각형의 접힘부(3)가 형성된다. Further,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vertical walls, a triangular folded portion 3 is formed at an angle of 45 degrees along the fold line.

바닥 접힘부(3)는 흡수 패드, 및 내용물을 위해 충분한 공간을 갖게 할 수 있고, 구조물을 견고하게 하며, 추가로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쉽게 펼칠 수 있게 한다. The bottom folded portion 3 can have sufficient space for the absorbent pad and the contents, which makes the structure robust and allows easy spreading without additional power.

일부 변기 벽들의 상측 단부들에는 직사각형의 윙(5)들이 끼워져 있는데, 이 직사각형의 윙들은 접착제(glue)를 사용하여 변기의 시트(4)를 형성하고 카드보드로 제작된 포함 요소(enclosing element)에 결부된다. At the upper ends of some toilet walls are rectangular wings 5 which are used to form the seat 4 of the toilet bowl using glue and are provided with an enclosing element made of cardboard, .

변기의 지지 구조물(supporting structure)은 요구 강도를 충족시키면서도 카드보드와 같이 접히는 페이스트보드(pasteboard) 또는 이와 비슷한 재료로 제작된다.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oilet is made of a pasteboard or similar material that folds like a cardboard while meeting the required strength.

접힘 방법(folding method)은 상기 구조물이 견고하고 펼쳐질 때 무게를 견뎌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점 접힘 표면(point folding surface)에 좌우된다. The folding method depends on the point folding surface in order to be able to withstand the weight when the structure is rigid and unfolded.

펼쳐질 때, 삼각형 윙(5) 형태의 상측 접힘부는 변기 시트(4)와 연결되기 위한 베이스(base) 표면을 형성한다. 흡수 패드(6)는 서로 연결된 2개의 레이어(layer)로 구성된다. When unfolded, the upper folded portion in the form of a triangular wing (5) forms a base surface for connection with the toilet seat (4). The absorption pad 6 is composed of two layers connected to each other.

새지 않는 제1 레이어(11)는 패드의 외측면 즉 얇은 플라스틱 필름에 위치되고, 제2 레이어(12)는 변기의 액체 내용물을 흡수하여 접혀질 때와 운반 중에 액체 내용물들이 주변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non-leaking first layer (11)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d, i.e. the thin plastic film, and the second layer (12) absorbs the liquid contents of the toilet to prevent liquid contents from moving around and during folding do.

제2 레이어(12)는 예를 들어 리그닌(lignin) 형태일 수 있다. The second layer 12 may be in the form of a lignin, for example.

벽(1)의 내측에 위치된 흡수 패드(6) 및 상기 패드의 에지(edge)들은 적절한 접착제(adhesive) 또는 요건을 충족하는 그 외의 다른 결합 방법을 사용하여 변기(1)의 벽들에 연결된다. The absorbent pads 6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wall 1 and the edges of the pads are connected to the walls of the toilet 1 using suitable adhesives or other bonding methods that meet the requirements .

또한, 감겨진 고무 밴드(10)가 시트(4)에 장착된다. 이 고무 밴드들은 변기가 개봉되는 것을 도와주고 변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카드보드 접힘부(3) 내에 형성된 노치 및 시트(4) 내의 노치들에 걸려 있다(hooked). In addition, the wound rubber band 10 is mounted on the seat 4. Fig. These rubber bands are hooked to the notches in the cardboard fold 3 and the notches in the seat 4 to help the toilet open and seat the toilet.

추가로, 변기에는 사용 후에 변기의 운반을 위해 사용되는 2개의 포일 핸들(9)이 구비된다. 이 핸들(9)중 한 핸들이 배열되는 위치에, 사용 후에 변기를 밀폐하도록 사용되는 고무 밴드(8)가 위치되어, 접혀진 위치에 있는(도 2 참조) 변기의 상측 부분이 고무 밴드(8)로 둘러싸인다. In addition, the toilet is provided with two foil handles 9 which are used for carrying the toilet after use. A rubber band 8, which is used to seal the toilet after use,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one of the handles 9 is arrang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seat in the folded position (see FIG. 2) .

Claims (3)

바닥 부분에 접힘부를 가지고 아코디언 형태의 변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에지들에 의해 연결된 벽들을 포함하며, 벽들과 시트 사이에는 흡수 패드가 있는 백을 포함하는, 시트 레이어 재료로 제작된 일회용 접힘식 변기에 있어서,
내측 접힘부(2')의 개수보다 2개가 더 많은 외측 접힘부(2)가 제공되며, 벽(1)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접혀지는 수직 벽(1)들의 단부 위에 배열된 접착된 직사각형 윙(5)들에 의해 변기의 시트(4)와 연결되며,
상기 변기는 시트와 변기의 베이스 위에 배열된 측면 고무 밴드(10)들을 가져서 변기가 개봉되는 것을 도와주며 개봉되고 나면 고정되는 일회용 접힘식 변기.
A disposable folding structure made of a sheet layer material, comprising walls connected by side edges forming folded portions at the bottom and forming an internal space of an accordion shaped toilet, and a bag having an absorbent pad between the walls and the seat, In the toilet,
The outer folded portion 2 is provided with two more than the number of the inner folded portions 2 'and the walls 1 are provided with the bonded rectangular wings 5 arranged on the ends of the vertical walls 1 folded in the same direction Which are connected to the seat 4 of the toilet,
The toilet has a seat and side rubber bands (10) arranged on the base of the toilet to help the toilet open and is fixed when opened.
제1항에 있어서,
변기(1)의 벽들은 8개의 외측 접힘부(2)와 6개의 내측 접힘부(2')를 가지며 아코디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접힘식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s of the toilet (1) have eight outer folds (2) and six inner folds (2 ') and form an accordion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변기는 변기를 밀폐하고 운반하기 위해 고무 밴드(8)와 포일 핸들(9)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접힘식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toilet comprises a rubber band (8) and foil handles (9) for sealing and conveying the toilet.
KR1020140121598A 2014-09-15 2014-09-15 Disposable folding potty KR201600317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598A KR20160031702A (en) 2014-09-15 2014-09-15 Disposable folding pot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598A KR20160031702A (en) 2014-09-15 2014-09-15 Disposable folding pot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02A true KR20160031702A (en) 2016-03-23

Family

ID=5564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598A KR20160031702A (en) 2014-09-15 2014-09-15 Disposable folding pot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170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1640A1 (en) * 2020-03-23 2021-09-30 Tsekouras Georgios A disposable urinary and faeces pot
KR20220114196A (en) * 2021-02-08 2022-08-17 박지연 Eco-friendly folding toilet
KR20220136737A (en) * 2021-04-01 2022-10-11 박지연 Eco-friendly toilet bag and foldable toilet using 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1640A1 (en) * 2020-03-23 2021-09-30 Tsekouras Georgios A disposable urinary and faeces pot
KR20220114196A (en) * 2021-02-08 2022-08-17 박지연 Eco-friendly folding toilet
KR20220136737A (en) * 2021-04-01 2022-10-11 박지연 Eco-friendly toilet bag and foldable toilet us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7556A (en) Disposable folding potty
WO2006090178A1 (en) Disposable flatpack potty or bedpan
US9744068B2 (en) Foldable, disposable, urine receptacle
US5040249A (en) Portable, collapsible commode
US20090165199A1 (en) Portable, disposable and recyclable toilet
US20130227776A1 (en) Collapsible toilet
KR20160031702A (en) Disposable folding potty
AU2008352885A1 (en) Funnel-like urinary device
CA2927352C (en) Container
KR200333390Y1 (en) Portable urinal for child
CN203987822U (en) Disposable Foldino chamber pot
KR20110004483U (en) portable toilet
JP2007159797A (en) Portable and folding type urine excretion container of cardboard for use in sickbed and paper pattern of urine excretion container of cardboard
KR200459495Y1 (en) Portable Excrement Bag
PL234504B3 (en) Disposable fold potty
JP3071743U (en) Excrement storage device for simple toilet
CN201282949Y (en) Portable closet for babies
CN205306878U (en) Carry and draw binding off formula to connect just bag
KR102471803B1 (en) Eco-friendly folding toilet
JP3070181U (en) Simple toilet
TWM520347U (en) Receivable toilet device
WO2012134306A1 (en) Collapsible screen for a portable toilet
US20080303322A1 (en) Travel stool for children
JP3171742U (en) Portable toilet
JP2006223725A (en) Simple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