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566A -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566A
KR20160031566A KR1020140106796A KR20140106796A KR20160031566A KR 20160031566 A KR20160031566 A KR 20160031566A KR 1020140106796 A KR1020140106796 A KR 1020140106796A KR 20140106796 A KR20140106796 A KR 20140106796A KR 20160031566 A KR20160031566 A KR 2016003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data
information
mobile termi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중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이피티브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0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1566A/ko
Publication of KR2016003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2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nditions of receiving stations, e.g. malfunction or breakdown of receiv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휴대 단말에서 디지털 방송의 품질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은, 휴대 단말에 설치되어 있으며, 디지털 방송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트림 파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수신 모듈; 휴대 단말의 운영체제에서 구현되어 휴대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분석 엔진을 통해 수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스트림 파일로부터 방송 품질 분석을 위한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 데이터와 기설정된 부가 정보를 결합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 모듈; 및 휴대 단말의 통신 모듈을 통해 분석 모듈로부터 생성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수집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System for analyzing broadcast quality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등의 휴대 단말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의 품질을 분석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디지털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에 비해 방송 품질의 분석에 대한 장소의 제한성을 최소화하고, 편리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방송 표준이 전환된 후, 디지털 방송국은 도시 개발 등의 이유로 방송 신호에 대한 노이즈 요소가 증가하고, 음영지역이 증가되는 등의 이유로 난시청이 발생하게 되어, 이에 대한 문제의 해결에 관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디지털 방송 전문 분석 장비는, 방송 분석을 위한 수신 모듈과 함께, 품질 분석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프로세서가 내장된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부피가 매우 크고 무거우며, 유선 케이블 수신 모듈을 사용하여 방송 품질을 분석할 수 밖에 없는 관계로, 이동성에 제약이 있어, 차량에 해당 장비를 설치하고 차량을 운전하면서 분석이 가능한 포인트에서만 운용할 수밖에 없었다.
즉, 다양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이동을 하면서 휴대 가능한 간편한 기기를 통해 방송의 품질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의 품질을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에 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방송 품질 분석을 위한 시스템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고, 스마트 기기 등 휴대 단말에 포함된 부가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휴대 단말에서 디지털 방송의 품질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은, 휴대 단말에 설치되어 있으며, 디지털 방송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트림 파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수신 모듈; 상기 휴대 단말의 운영체제에서 구현되어 상기 휴대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분석 엔진을 통해 상기 수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트림 파일로부터 방송 품질 분석을 위한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와 기설정된 부가 정보를 결합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 모듈; 및 상기 휴대 단말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분석 모듈로부터 생성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수집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 시, 상기 분석 모듈에 상기 수신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스트림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트림 파일을 상기 분석 모듈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분석 엔진을 통해 상기 스트림 파일로부터, 상기 스트림 파일에 포함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된 채널의 수, 채널의 식별정보, 채널의 정보를 갖고 있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채널에 설정된 수신제한 코드 정보, 채널의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 네트워크 정보 및 수신 에러에 관련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분석 엔진을 통해 추출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도록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부가 정보로서, 상기 스트림 파일의 신호 특성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GPS로부터 생성된 상기 디지털 방송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분석 데이터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의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지털 방송의 품질을 분석한 데이터가 생성되며, 휴대 단말의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이를 원격의 서버로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어, 기존의 방송 품질 분석용 장비에 비하여 매우 휴대성이 편리한 단말을 이용하여 방송 품질 분석을 수행할 있고, 이에 따라서 장소에 제한없이 음영 지역을 포함하여 지역의 방송 품질을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불어, 방송 품질 분석의 장소적 제한이 없어짐에 따라, 더욱 정확하게 방송 품질을 종합하여 분석할 수 있어, 방송 품질 개선을 위한 모니터링 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의해 방송 품질이 분석되는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휴대 단말 및 데이터 수집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 예.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의해 휴대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그 기능에 따라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은, 수신 모듈(11), 분석 모듈(12)과 데이터 수집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수신 모듈(11) 및 분석 모듈(12)은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에 설치 및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10)은 휴대 가능하고, 수신 모듈(11)에 대응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기기, 운영제체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세서 및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기기로서,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등 무선 네트워크 이용이 가능하며, 데이터를 가공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기기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이하 도 3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은 부가적인 기능 수행을 위하여 GPS 모듈 및 USB등의 외부 기기와의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11)은 휴대 단말(10)에 설치되어 있는 기기로서, 디지털 방송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우리 나라의 경우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표준에 의해 수신 가능한 영상신호 데이터를 의미한다.)를 수신하고, 수신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트림 파일을 생성하여 전송, 즉 분석 모듈(12)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트림 파일은 수신 모듈(11)이 수신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의 포맷이 변환된 파일로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을 포함하는 파일을 의미한다. 스트림 파일은 휴대 단말(10)을 통해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MPEG-TS) 파일이 될 수 있다.
즉 수신 모듈(11)은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뒤, 이를 스트림 파일로 생성하여 휴대 단말(10)의 운영체제에 의해 처리 가능하도록 하고, 생성된 스트림 파일을 분석 모듈에 전송하게 된다.
분석 모듈(12)은, 휴대 단말(10)의 운영체제에서 구현되어 휴대 단말(10)에서 실행되는 분석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으로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분석 엔진을 통하여, 수신 모듈(11)로부터 수신한 스트림 파일로부터 방송 품질 분석을 위한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 데이터와 기설정된 부가 정보를 결합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석 모듈(12)은 스트림 파일을 수신 모듈(11)로부터 수신하게 되면, 스트림 파일을 분석하여 해당 스트림 파일을 통해 추출 가능한 방송 품질 분석용 데이터로서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분석 모듈(12)에서 추출되는 분석 데이터에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가 포함될 수 있다. PAT는 채널의 스트림과 채널 스트림을 위한 프로그램의 정의를 갖고 있는 PMT(Program Map Table) 섹션들의 PID(Program Identifier) 값 사이의 관계를 제공하게 된다. PAT는 PID가 0인 패킷(Packet)을 포함하며,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몇 개의 채널이 존재하는지를 알려주고, 각 채널의 아이디와 해당 채널의 정보를 갖는 PMT의 P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분석 데이터에는 상기 언급한 PMT가 포함될 수 있다. PMT는 PAT에서 제공되는 PID를 갖게 되며, 채널의 개수에 따라서 생성된다. PMT는 해당 채널에 어떤 ES(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및 각 ES의 P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분석 데이터에는 CAT(Conditional Access Table)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CAT는 채널 또는 채널의 ES에 수신제한 코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분석 데이터에는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이 포함될 수 있다. NITsms 다른 트랜스폰더를 포함한 네트워크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정보표를 의미한다.
한편, 분석 데이터에는 상기의 정보를 기준으로 생성되는 수신 에러에 관한 정보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수신 에러에 관한 정보는 스트림 파일로부터 방송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에 관한 정보, 에러가 발생했는지에 관한 정보, 에러의 중요도 정보 및 에러의 복구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기설정된 부가 정보에는, 스트림 파일의 신호 특성에 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에 GPS 모듈이 설치된 경우, GPS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방송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스트림 파일)을 수신한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분석 데이터 및 부가 정보가 생성되면, 분석 모듈(12)은 이를 결합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며, 휴대 단말(10)의 통신 모듈로서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통해 데이터 수집 서버(20)로 전송한다.
데이터 수집 서버(20)에서는, 수신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관리하게 되는데, 데이터의 가공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저장, 삭제, 수정 또는 갱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성이 큰 휴대 단말(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석 모듈(12)이 수신 모듈(11)로부터 수신한 스트림 파일을 분석하여 방송 품질 분석을 위해 필요시되는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게 되며, 이를 휴대 단말(10)에서 확인하거나, 외부의 데이터 수집 서버(20)로 휴대 단말(10)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다.
기존의 방송 품질 분석용 장치에서는,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전용 단말에 디지털 TV 수신 모듈을 장착하여 해당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 뒤 저장하고 있다가, 이를 직접 서버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수집해야 했으며, 위치 정보 역시 일일이 기입하는 등의 어려운 방식으로 수집해야 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10)에 포함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분석 데이터 및 부가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이 수행되고, 데이터의 송신 역시 휴대 단말(10)에 포함된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일일이 서버에 연결할 필요가 없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다양한 장소에서 쉽게 방송 품질 분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품질 오류 현상의 발생이 빈번할 수 있는 빌딩 지역 등의 음영 지역에서 간편한 장비로 디지털 방송의 품질을 분석할 수 있어, 방송 품질 개선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의해 방송 품질이 분석되는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TV 방송을 전송하는 방송국(30)에서는, TV 송신소(40)로 디지털 티비 컨텐츠를 송신하게 된다. TV 송신소(40)에서는 TV 수신 지역(50)으로 디지털 티비 컨텐츠를 송신한다.
이때, TV 수신 지역(50)에 본 발명의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10)을 위치시키면, 디지털 티비 컨텐츠에 대응하는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 데이터가 생성되며, 이는 다시 TV 송신소(40)에 설치될 수 있는 데이터 수집 서버(20)로 실시간으로 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 품질을 분석한 결과에 관한 데이터가 수집되어, 효율적이고 즉각적인 방송 품질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휴대 단말 및 데이터 수집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10)과 데이터 수집 서버(20)의 구체적인 구현 예 및 이에 따라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에는 예를 들어 ATSC 방식을 이용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11)이 설치된다. 수신모듈(11)에서 수신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는, 수신모듈(11)에 의해 MPEG-TS 파일(110)로 생성되어 분석 모듈에 포함된 방송 분석 프로그램(121)에 전송된다.
방송 분석 프로그램(121)은 상기 언급한 분석용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이는 휴대 단말의 기기 드라이버(61)에 의해 구동되며, 단말의 운영체제(OS, 62)에서 구현 및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방송 분석 프로그램(121)에 의해 스트림 파일에서 상기 언급한 PAT, PMT, ES, CAT, NIT 등에 관련된 정보로서 분석 데이터(111)가 추출되며, 이는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122)에 전송되고,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122)에서는 분석 데이터와 부가 정보로서 신호 특성 및 위치 정보가 결합된 분석 결과 데이터(112)가 생성된다.
부가 정보를 위하여, GPS(64)에서는 위치 정보가 전송된다. 기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USB(65)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분석 결과 데이터(112)는 휴대 단말(10)의 무선 통신 모듈(63)을 통해 데이터 수집 서버(20)에 전송된다.
데이터 수집 서버(20)에서는 기본적으로 분석 결과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하게 되며, 이를 데이터 가공 모듈(22)에서 확인 가능한 데이터들로 가공한 뒤, 모니터링 모듈(23)을 통해 서버의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의해 휴대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이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6의 화면들은, 상기 언급한 분석 모듈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예를 의미한다.
먼저 도 4의 화면(200)에서는, 종합적인 분석 데이터로서, 서비스(채널)의 비율에 관한 정보(201) 및 각 서비스의 분석 결과와 섹션 목록 정보(202)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화면(300)을 참조하면, 4 종류의 섹션에 관한 정보(301)가 표시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상기 언급한 분석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들 중 예를 들어 PAT, PMT, CAT, NIT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화면(300)에서는 PMT 섹션을 선택 시, PMT에 포함된 정보(302)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출력된다.
도 6의 화면(400)을 참조하면, 에러 분석 화면이 출력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화면(400)에는 섹션에 관한 정보(401)와 함께, 각 에러의 식별 정보(402)가 표시되며, 에러의 로그(403)가 표시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화면(400)에서는 추가적으로, 에러 레벨을 컬러링하여 표시하여 사용자가 각 에러의 중요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사용자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휴대 단말에 설치되어 있으며, 디지털 방송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트림 파일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수신 모듈;
    상기 휴대 단말의 운영체제에서 구현되어 상기 휴대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분석 엔진을 통해 상기 수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트림 파일로부터 방송 품질 분석을 위한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와 기설정된 부가 정보를 결합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 모듈; 및
    상기 휴대 단말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분석 모듈로부터 생성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수집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 시, 상기 분석 모듈에 상기 수신한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스트림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트림 파일을 상기 분석 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분석 엔진을 통해 상기 스트림 파일로부터, 상기 스트림 파일에 포함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된 채널의 수, 채널의 식별정보, 채널의 정보를 갖고 있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채널에 설정된 수신제한 코드 정보, 채널의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 네트워크 정보 및 수신 에러에 관련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분석 엔진을 통해 추출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부가 정보로서, 상기 스트림 파일의 신호 특성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GPS로부터 생성된 상기 디지털 방송의 표준 방송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분석 데이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
KR1020140106796A 2014-08-18 2014-08-18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 KR20160031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96A KR20160031566A (ko) 2014-08-18 2014-08-18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796A KR20160031566A (ko) 2014-08-18 2014-08-18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566A true KR20160031566A (ko) 2016-03-23

Family

ID=55644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796A KR20160031566A (ko) 2014-08-18 2014-08-18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15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523A1 (ko) * 2017-11-16 2019-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출력 분석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523A1 (ko) * 2017-11-16 2019-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출력 분석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11140382B2 (en) 2017-11-16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V output analysis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36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data on a wireless device
AU2016219688B2 (en) Matching techniques for cross-platform monitoring and information
US85039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mobile devices
EP277570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2839250B (zh) 无线传屏方法及装置
WO2013157440A1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1588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reating an experiential narrative
US200901114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widget interaction
US2019017427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ervice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EP2782335A1 (en)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collaborative application supply system
CN105430534A (zh) 一种智能设备上报数据的方法和系统
CN103517135A (zh) 一种连续播放mp4格式视频文件的方法、系统及电视
KR100645680B1 (ko) 이동체 통신 단말, 기지국 장치 및 협역 통신 시스템
US20240171829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use station identification to enable confirmation of exposure to live media
EP3258696A1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KR20120026695A (ko) 컨텐츠의 부가서비스 정보를 보조 단말기에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1566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방송 품질 분석 시스템
CN103475931A (zh) 一种实现数字电视终端播放网络媒体的方法
CN111382039A (zh) 上报用户行为事件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3905223A (zh) 数据包采集方法、系统和装置
CN102624704A (zh) 一种获取信息的方法、系统和终端
CN107911718B (zh) 数字电视软件升级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497986B1 (ko) 단말로 템플릿의 소재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CN110309662A (zh) 音频信号处理方法、电子设备、服务器及存储介质
CN108717382B (zh) 基于json结构的音视频文件处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64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18

Effective date: 2017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