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473A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acket Data Transmission Using Relay Technology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acket Data Transmission Using Relay Techn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473A
KR20160031473A KR1020160024819A KR20160024819A KR20160031473A KR 20160031473 A KR20160031473 A KR 20160031473A KR 1020160024819 A KR1020160024819 A KR 1020160024819A KR 20160024819 A KR20160024819 A KR 20160024819A KR 20160031473 A KR20160031473 A KR 20160031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b
data
layer
received
m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2861B1 (en
Inventor
장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디아이템즈
Priority to KR102016002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861B1/en
Publication of KR20160031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4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8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system in a wireless network.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of a donor base sta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confirming whether data received from an upper layer is to be transmitted to a relay node; constituting a MAC frame including a particular relay node identifier when the data is to be transmitted to a relay node as a result of confirmation; and transmitting the MAC frame to a relay node corresponding to the relay node identifier through a particular physical channel. Accordingly, a relay node may confirm whether given data is to be received therefrom through a relay node identifier.

Description

릴레이 기술을 이용한 패킷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acket Data Transmission Using Relay Technolog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et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ing relay technology,

본 발명은 무선망에서의 패킷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릴레이 기술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종단간의 패킷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acket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acket data transmission between termi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relay technology is applied .

3세대 이동 통신을 대표하는 표준화 기구로는 크게 비동기식 서비스를 지향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와 동기식 서비스를 지향하는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로 구분된다.The 3GPP (3 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nd the 3GPP2 (3 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which are oriented toward synchronous servic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representing 3G mobile communication.

특히, 3GPP는 비동기 IMT-2000 서비스와 관련된 국제 표준화 기구로서 유럽을 중심으로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등 세계 각국의 이동통신 관련 회사들이 참여하여 국제 표준을 제정하는 단체로서, 1999년에 WCDMA 기반의 3세대 이동통신 규격을 제정하였고, 이후 고속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지향하는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가 14.4kbps에 달하는 HSDPA/HSUPA 규격을 제정하였다.In particular, 3GPP is a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related to asynchronous IMT-2000 service. It is an organization that establishes international standards by participating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from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Europe, Korea, USA, Japan, Generation HSDPA / HSUPA standard with a maximum data transmission rate of 14.4 kbps, which is intended for high-speed packet data communication, has been established.

현재, 3GPP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에 대해 각각 최대 100Mbps 및 50Mbps의 패킷 데이터 전송 속도를 20MHz 대역폭 내에서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프로젝트에 대한 표준화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Currently, 3GPP is actively promoting standardization of Long Term Evolution (LTE) projects with the main goal of providing packet data transmission speeds of up to 100 Mbps and 50 Mbps for the uplink and downlink within the 20 MHz bandwidth, respectively.

본 발명의 목적은 릴레이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망에서의 패킷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packet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using relay technolog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릴레이 기술이 적용되는 무선망에서의 핸드 오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over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to which relay technology is appli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릴레이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망에서의 단말 최대 전송 파워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maximum terminal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network using relay technology.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너기지국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MAC) 계층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of a donor base station is discl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너기지국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MAC) 계층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릴레이노드로 전송할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릴레이노드로 전송할 데이터인 경우, 소정의 릴레이노드식별자를 포함하는 MAC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MAC 프레임을 소정의 물리 채널을 통해 상기 릴레이노드식별자에 상응하는 릴레이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of a donor base station includes: checking whether data received from an upper layer is data to be transmitted to a relay n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is to be transmitted to the relay node, constructing a MAC frame including a predetermined relay node identifier, transmitting the MAC frame to a relay node corresponding to the relay node identifier through a predetermined physical channel .

본 발명은 릴레이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망에서의 패킷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et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using relay technology.

본 발명은 릴레이 기술이 적용되는 무선망에서의 핸드 오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over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to which relay technology is applied.

본 발명은 릴레이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망에서의 단말 최대 전송 파워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maximum terminal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network using relay technology.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인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구조.
도 2는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TE-Advanced 릴레이 네트워크 구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러 서비스 계층 구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평면 구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평면 구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DCP 구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계층 구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링크에서의 DeNB의 제2계층 구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방향 DeNB의 2계층 구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에서의 RN 제2계층 구조.
1 is a network structure of an 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UMTS), which is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shows a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UE and an E-UTRAN based o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standard.
3 is an LTE-Advanced relay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bearer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user plane structure in a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user plane structure in a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DCP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rotocol layer structure for data transmission in a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ond hierarchical structure of DeNB in the downl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two-layer structure of a downlink direction DeN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RN second hierarchical structure in a down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기술을 이용한 패킷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acket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the relay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인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of an 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UMTS), which is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E-UMTS시스템은 기존 UMTS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이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한다.The E-UMTS system evolved from the existing UMTS system. The E-UMTS system is called an LTE (Long Term Evolution) system.

E-UMTS망은 크게 E-UTRAN과 CN으로 구분 할 수 있다. E-UTRAN은 단말 (User Equipment; 이하 UE로 약칭)과 기지국 (이하 'eNode B'로 약칭), 망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망과 연결되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이하 'S-GW'로 약칭)와 단말의 이동성을 관장하는 이동관리개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 MME로 약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eNode B에는 하나 이상의 셀(Cell)이 존재할 수 있다.The E-UMTS network can be divided into E-UTRAN and CN. The E-UTRAN includes a User Equipment (hereinafter abbreviated as UE), a base station (hereinafter abbreviated as eNode B), a Serving Gateway (S-GW) And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for managing the mobility of the UE. One eNode B may have more than one cell.

도 2는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나타낸다. 2 shows a structure of a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terminal based o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standard and an E-UTRAN.

상기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 링크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User Plane)과 제어신호(Signaling)전달을 위한 제어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The wireless interface protocol is horizontally composed of a physical layer, a data link layer, and a network layer, and vertically includes a user plane for user data transmission and a control plane And a control plane for signal transmission.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시스템간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The protocol layers are classified into L1 (first layer), L2 (second layer) and L3 (third layer) based on the lower three layers of the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

이하에서 상기 도 2의 무선프로토콜 구조의 각 계층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layer of the radio protocol structure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계층 사이에서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된다.The physical layer as the first layer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to an upper layer using a physical channel. The physical layer is connected to a medium access control layer (upper layer) through a transport channel,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and the physical layer through the transport channel.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different physical layers, that is, the physical channel between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physical channel.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명함)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로 약칭)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제2계층의 PDCP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 전송시에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담고 있는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여주는 헤더압축 (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PDCP계층에서는 패킷데이터 암호화(ciphering)기능을 담당한다.The Medium Access Control (MAC) of the second layer provides a service to a radio link control layer that is an upper layer through a logical channel. The second layer of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supports the transmission of reliable data. The PDCP layer of the second layer is a header compression that reduces the IP packet header size, which is relatively large and contains unnecessary control information,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the IP packet, such as IPv4 or IPv6, Compression function. The PDCP layer handles the packet data ciphering function.

제3계층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베어러 (Radio Bearer; RB라 약칭함)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lay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hird layer is defined only in the control plane and is configured by a configuration of a radio bearer (RB) And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logical channels, transport channels, and physical channels in connection with Re-configuration and Release.

이때, RB는 단말과 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때, RB는 단말과 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무선 프로토콜의 제1 및 제 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RB means a service provided by the second layer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UE and the UTRAN. In this case, the RB means a logical path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layers of the wireless protocol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TRAN. Generally, the RB is set to a wireless protocol layer and a channel And setting the respective specific parameters and operating methods.

특정 단말의 RRC계층과 UTRAN의 RRC계층이 서로 RRC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을 때 해당 단말은 RRC연결 상태(Connected state)에 있게 되며,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해당 단말은 휴지상태(Idle state) 상태에 있게 된다.When the RRC layer of a specific UE and the RRC layer of the UTRA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RRC messages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e UE is in an RRC connected state. When the UE is not connected, ) State.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은 RLC엔티티와 MAC엔티티 사이에서 정의되는 채널이며, 상기 논리채널상의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은 물리계층과 MAC엔티티 사이에서 정의되는 채널이며, 상기 전송채널상의 데이터가 어떤 방식으로 전송되는지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A logical channel is a channel defined between an RLC entity and a MAC entity, and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ata on the logical channel. A transport channel is a channel defined between a physical layer and a MAC entity, and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how data on the transport channel is trans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릴레이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relay techniqu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릴레이(Relay) 기술은 고속데이터전송을 위한 커버리지 확장과 셀 경계(Cell Edge)에서의 전송률 향상 등을 목적으로 도입되었고, 현재 LTE-Advanced 기술 표준 과제로 채택되어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현재 3GPP 표준에서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 이하 'RN'이라 칭함)와 관련한 프로토콜 구조 및 기능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결정 사항이 없는 실정이다.Relay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coverage expansion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improvement of transmission rate at the cell edge. LTE-Advanced technology has been adopted as a standard task and research is ongoing. However, in the present 3GPP standard, there is no specific decision about protocol structure and functional elements related to a relay node (R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RN에 대한 프로토콜 계층 구조-여기서, 프로토콜 계층 구조는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의 구조를 포함함-, 및 도너 기지국(Donor eNB, 이하 DeNB라 칭함)과 RN 사이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DeNB가 RN을 통해 해당 UE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등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tocol layer structure for an RN, wherein a protocol layer structure includes a structure of a user plane and a control plane, and a radio bearer between a donor eNB (DeNB) ) Sett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the UE through the RN is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DeNB는 원격 기지국인 RN의 운용, 제어 및 무선 자원 할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DeNB는 RN과의 무선 신호 송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N은 DeNB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으며, DeNB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파워를 송출하여 DeNB의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셀 가장자리에서의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DeN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operation, control, and radio resource allocation functions of the RN that is a remote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DeNB can perform radio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RN. The RN can use the same frequency band as DeNB and transmits relatively low power compared to DeNB to expand the cell coverage of DeNB and improve the transmission rate at the cell edg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TE-Advanced 릴레이 네트워크 구조이다.3 is an LTE-Advanced relay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S1 인터페이스(301)는 도너기지국(Donor NodeB, 320 내지 321, 이하, 'DeNB'이라 명함)과 MME/SAE Gateway(310)간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며, X2 인터페이스(302)는 DeNB 간의 시그널링을 위해 정의된 프로토콜이다. Un 인터페이스(303)는 도너기지국(320)과 RN(330) 사이의 정보 교환을 위한 무선 전송 프로토콜이다. Uu 인터페이스(304)는 UE(340 내지 341)와 DeNB(320 내지 321)/RN(330)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 정의된 무선 전송 프로토콜로서, RN에 접속한 UE들을 위한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의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S1 interface 301 is a signaling protocol between a donor Node B 320 to 3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NB) and an MME / SAE Gateway 310, and an X2 interface 302 is a DeNB Lt; / RTI > The Un interface 303 is a radio transmission protocol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he donor base station 320 and the RN 330. Uu interface 304 is a wireless transport protocol defined for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UEs 340 to 341 and DeNBs 320 to 321 / RN 330, and includes a wireless backhaul for UEs connected to the RN Func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PS 베어러 서비스 계층 구조이다.4 is an EPS bearer service hierarch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종단간서비스(End to End Service, 410)는 UE(401)와 인터넷망에 연결된 종단 엔티티(Peer Entity, 406) 사이에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4, an end to end service 410 refers to a data transfer service provided between the UE 401 and an end entity (Peer Entity) 406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EPS 베어러(Evolved Packet System Bearer, 420)는 종단간서비스(410)의 일부로서, EPC(Evolved Packet Core)-여기서, EPC는 S-GW(Serving Gateway, 404)와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405)를 포함함- UE(401) 사이의 패킷을 전송한다. The Evolved Packet System Bearer 420 is a part of the end-to-end service 410. The Evolved Packet System Bearer 420 is an Evolved Packet Core (EPC), in which the EPC is an S-GW (Serving Gateway) 404 and a P- , 405), and transmits the packet between the UE 401 and the UE 401.

E-RAB(Evolved-Radio Access Bearer, 430)는 S-GW(404)와 UE(401) 사이의 EPS 베어러 패킷를 전송한다. E-RAB이 존재하면, E-RAB과 EPS 베어러 사이에는 1:1 매핑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An Evolved-Radio Access Bearer (E-RAB) 430 transmits an EPS bearer packet between the S-GW 404 and the UE 401. If there is an E-RAB, a 1: 1 mapping relationship can be established between the E-RAB and the EPS bearer.

무선베어러(Radio Bearer, 이하, 'RB'이라 함, 450)은 DeNB(403)와 UE(401) 사이의 EPS 베어러 패킷을 무선상으로 전송한다. 만약, 무선베어러가 존재하면, EPS 베어러/E-RAB와 RB는 1:1 매핑 관계를 가질 수 있다. A radio bear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B') 450 transmits an EPS bearer packet between the DeNB 403 and the UE 401 over the radio. If there is a radio bearer, the EPS Bearer / E-RAB and RB may have a 1: 1 mapping relationship.

S1 베어러(S1 bearer, 460)은 DeNB(403)과 S-GW(404) 사이의 E-RAB 패킷을 전송한다. S5/S8 베어러(S5/S8 Bearer, 440)은 S-GW(404)와 P-GW(405) 사이의 EPS 베어러 패킷을 전송한다. 만약, DeNB와 UE 사이에 RN(402)가 존재하는 경우, RB는 DeNB와 RN 사이의 EPS 베어러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Un 무선 베어러(Un Radio Bearer, 470, 이하, 'Un RB'이라 명함)과 RN과 UE사이의 EPS 베어러 패킷을 전송하는 Uu 무선 베어러(Uu Radio Bearer, 480, 이하, 'Uu RB'이라 명함)로 구분될 수 있다.The S1 bearer (S1 bearer) 460 transmits an E-RAB packet between the DeNB 403 and the S-GW 404. The S5 / S8 bearer (S5 / S8 Bearer) 440 transmits the EPS bearer packet between the S-GW 404 and the P-GW 405. If there is an RN 402 between the DeNB and the UE, the RB transmits an Un Radio Bearer (Un Radio Bearer) 470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 RB') for transmitting the EPS bearer packet between the DeNB and the RN And a Uu radio bearer (UU Radio Bearer, 480, hereinafter referred to as "Uu RB") for transmitting an EPS bearer packet between the RN and the U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평면 구조이다. 5 is a user plane structure in a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n 베어러(bearer)는 DeNB와 RN 사이에서 순수한 L2 링크(Pure L2 Link)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RN과 DeNB의 LTE PHY, LTE MAC, LTE RLC 및 LTE PDCP 계층 각각은 RN의 대응하는 계층과 종단간 통신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GTP-U(GPRS Tunneling Protocol-User plane) 메지시는 P/S-GW와 RN 사이에서 교환된다. 또한, DeNB와 P/S-GW는 순수한 IP 통신을 통해 패킷을 교환한다. 즉, DeNB에는 GTP-U 계층과 UDP(User Datagram Protocol) 계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Un bearer may be configured as a pure L2 link between the DeNB and the RN. In detail, each of the LTE PHY, the LTE MAC, the LTE RLC and the LTE PDCP layer of the RN and the DeNB performs end-to-end communication with the corresponding layer of the RN. Referring to FIG. 5, the GTP-U (GPRS Tunneling Protocol-User plane) message is exchanged between the P / S-GW and the RN. In addition, DeNB and P / S-GW exchange packets through pure IP communication. That is, the DeNB may not have a GTP-U layer and a UDP (User Datagram Protocol) laye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평면 구조이다.6 is a user plane structure in a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스템의 사용자 평면은 RN과 P/S-GW(Packet Data Network(PDN)/Serving Gateway) 사이에 설정된 EPS(Evolved Packet System) 베어러의 일부일 수 있다. 여기서, EPS는 연결 기반 전송 네트워크로서, 2개의 종단-예를 들면, UE와 P-GW- 사이의 데이터 전송 이전에 가상 연결(Virtual Connection, 이하, 'EPS 베어러'이라 명함-의 설정이 요구된다. 즉, EPS 베어러는 두 종단-예를 들면, UE와 P-GW- 사이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user plane of the re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 of an Evolved Packet System (EPS) bearer established between the RN and the P / S-GW (Packet Data Network (PDN) / Serving Gateway). Here, EPS is a connection-based transmission network, and it is required to set up a virtual conn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PS bearer) before data transmission between two terminals - for example, a UE and a P-GW- That is, the EPS bearer provides a data transmission service between the two ends - for example, between the UE and the P-GW-.

도 6을 참조하면, P/S-GW와 RN은 수평적으로 GTP-U/UDP/IP/L2/L1 계층 구조를 이용하여 종단간 통신이 이루어지며, DeNB와 RN은 수평적으로 순수 L2/L1 Link-즉, LTE PDCP/RLC/MAC/PHY-를 이용하여 종단간 통신이 이루어진다.6, the P / S-GW and the RN horizontal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GTP-U / UDP / IP / L2 / L1 hierarchical structure, and DeNB and RN horizontally transmit L2 / End-to-end communication is accomplished using L1 Link - that is, LTE PDCP / RLC / MAC / PH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DeNB와 RN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DeNB and the 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eNB와 RN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을 하며, DeNB의 입장에서 RN은 하나의 단말과 같이 운용될 수 있다. 따라서 DeNB는 RN을 식별하는 소정의 RN 식별자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해당 RN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상기 RN 식별자 정보는 DeNB의 MAC 계층에서 MAC 헤더(header)의 일측에 포함시킬 수 있다. RN은 DeNB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호한 후, MAC 헤더에 포함된 RN 식별자를 미리 할당된 RN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 한해서 해당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다른 경우, RN은 해당 패킷을 폐기할 수 있다.The DeNB and the RN transmit and receive through the air interface, and the DeNB can operate the RN as a single terminal. Therefore, the DeNB transmits data including the predetermined RN identifier information identifying the RN to the corresponding RN. For example, the RN identifier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one side of the MAC header in the MAC layer of the DeNB. The RN may decode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DeNB and receive the packet only if the RN identifier included in the MAC header is the same as the pre-assigned RN identifier. Otherwise, the RN may discard the packet.

DeNB와 RN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은 DeNB입장에서 볼 때 RN을 하나의 단말로 간주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므로, 기존의 eNB에서 UE로 데이터 전송을 할 때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RN은 해당 RN 영역 내에 위치한 한 개 이상의 UE와 무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Data transmission between DeNB and RN may be different from data transmission from existing eNB to UE because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considering RN as one terminal in DeNB position. For example, the RN may establish a radio link with one or more UEs located within the RN region.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NB는 RN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UE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RN에 전송할 수 있다. RN은 다중화된 패킷을 수신하면, 이를 역다중화하여 UE별로 무선상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DeNB는 UE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의 단말식별자를 다중화된 패킷의 일측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다중화된 패킷은 DeNB의 MAC 계층에서 생성되는 MAC PDU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DeNB의 RLC 계층은 RLC PDU의 일측에 단말식별자를 삽입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DeN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ultiplex at least one UE packets connected to the RN and transmit them to the RN. When the RN receives the multiplexed packet, it can demultiplex it and transmit it to each UE on the radio. To this end, the DeNB may include a predetermined terminal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UE on one side of the multiplexed packet. Here, the multiplexed packet may be a MAC PDU generated in the MAC layer of the DeNB. The RLC layer of the DeN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sert a terminal identifier into one side of the RLC PDU.

DeNB와 RN에서는 RB(Radio Bearer)별로 프로토콜 엔터티(entity)를 생성한다. 이때, RB는 RN에 접속된 UE별로 구성되거나, 서비스 우선 순위 또는 QoS(Quality of Service) 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연에 민감한 음성 서비스는 전자 우편(E-mail)이나 문자 메시지 서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선 순위가 높을 수 있으므로 별개의 무선 베어러로 구성될 수 있다. DeNB and RN create protocol entities for each RB (Radio Bearer). At this time, the RB may be configured for each UE connected to the RN, or may be configured for each service priority or QoS (Quality of Service). For example, a delay-sensitive voice service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radio bearer since it may have a relatively high priority over e-mail or text messaging service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DCP 구조도이다. 7 is a structure diagram of a PDC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로토콜 계층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엔터티들이 생성되며, 상기 프로토콜 엔터티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가 전송된다.As shown in FIG. 7, at least one protocol entity is created in each protocol layer, and user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protocol entity.

DeNB와 RN사이에 존재하는 PDCP 엔터티는 무선 베어러 별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처리하는 PDCP 엔터티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헤더압축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A PDCP entity existing between the DeNB and the RN may exist for each radio bearer. In addition, the PDCP entity that processes the user plane data may use a header compression technique to increase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프로토콜 엔터티 생성 순서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dure of generating a protocol entity in the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eNB와 RN 각각에 위치한 무선자원관리계층은 소정의 무선 베어러 구성 절차를 통해 사용자 평면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필요한 각 프로토콜 계층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무선 베어러 구성 절차를 통해 DeNB와 RN 각각은 PDCP 엔터티, RLC 엔터티 및 MAC 엔터티를 생성한다. 위의 엔터티들은 특정 UE에 대해 한 개씩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엔티티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메터-예를 들면, QoS 파라메터는 지연(delay), 전송률, 전송오류율, 전송 우선 순위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소정의 QoS 식별자에 따라 생성될 수도 있다. 또는 UE 내에서 각 서비스 별로 무선 베어러가 생성되고, UE와 RN사이의 무선 베어러(UE-RN Radio bearer)와 RN과 DeNB사이의 무선 베어러(RN-DeNB Radio Bearer)가 1:1 매핑될 수도 있다.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layer located in each of the DeNB and the RN can set each protocol layer required for user plane data transmission through a predetermined radio bearer establishment procedure. That is, the DeNB and RN each generate a PDCP entity, an RLC entity, and a MAC entity through a radio bearer configuration procedure. The above entities can be generated one by one for a specific UE. A protocol ent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ination of various 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for example, a QoS parameter may include delay, transmission rate, transmission error rate, transmission priority, Lt; RTI ID = 0.0 > QoS < / RTI > Or a radio bearer is generated for each service in the UE, and a radio bearer (UE-RN Radio bearer) between the UE and the RN and a radio bearer (RN-DeNB Radio Bearer) between the RN and the DeNB may be 1: 1 mapped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계층 구조이다. 8 is a protocol layer structure for data transmission in a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eNB와 RN 사이에는 계층별 하나의 프로토콜 엔티티가 생성될 수 있다. DeNB와 RN은 상기 설정된 프로토콜 엔티티를 이용하여 RN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UE에 대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DeNB는 해당 RN에 접속된 UE들의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RN에 전송할 수 있다. RN은 UE별로 프로토콜 엔티티를 생성하며, DeNB로부터 수신된 다중화된 데이터를 UE별로 구분하고, UE별 생성된 프로토콜 엔티티를 통해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one protocol entity per layer can be created between DeNB and RN. The DeNB and the RN may provide data transmission services for one or more UEs connected to the RN using the established protocol entity. That is, the DeNB can multiplex the data of the UEs connected to the RN and transmit the multiplexed data to the RN. The RN generates a protocol entity for each UE, divides the multiplexed data received from the DeNB into individual UE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hrough a protocol entity generated for each UE.

DeNB와 RN는 무선 베어러 설정 절차를 통해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각 프로토콜 엔터티를 생성한다. 만약, RN에 위치한 PDCP 프로토콜 엔터티가 헤더압축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PDCP 프로토콜 엔터티는 UE별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UE별로 프로토콜 엔터티가 생성되고, 해당 UE에 QoS가 다른 복수 개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QoS를 고려한 차별화된 우선 순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면, QoS 기준이 높은 서비스가 낮은 QoS 기준을 갖는 서비스와 함께 처리되므로 서비스 별 설정된 QoS 품질을 유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The DeNB and the RN create respective protocol entities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through a radio bearer setup procedure. If the PDCP protocol entity located in the RN uses a header compression scheme, the PDCP protocol entity may be configured for each UE. If a protocol entity is generated for each UE and a plurality of services having different QoSs ar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UE,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a differentiated priority service considering QoS. For example, since a service with a high QoS standard is processed together with a service with a low QoS standa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QoS quality set for each ser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CP 프로토콜 엔터티는 QoS별로 구성될 수 있다. RN에서 소정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UE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신과 관련된 정보인 경우에는 다음 처리과정을 실시하고, 자신과 관련 없는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버릴 수 있다.The PDCP protocol ent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for each QoS. In the case of transmitting data including predetermin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RN, the UE receives the data and performs the following process when it is related to itself, and discards the data if the information is unrelated to itself ha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PDCP 프로토콜 엔터티는 UE내에서의 서비스 별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N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의 수가 2개인 경우, 각 단말에 상응하는 서비스가 각각 2개, 3개일 수 있다. 이때, RN에 생성되는 PDCP 프로토콜 엔터티는 5개가 될 수 있다. 즉, PDCP 프로토콜 엔터티는 RB와 1:1 매핑될 수 있다. 여기서, RN에 위치한 PDCP 프로토콜 엔터티는 헤더압축 및 암호화 기능은 담당하지 않고, PDCP 패킷의 순차적인 전달과 관련한 PDCP 순차 번호 유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 PDCP protocol ent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enerated for each service in the UE.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erminals existing in the RN area is two, the services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may be two or three,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number of PDCP protocol entities generated in the RN may be five. That is, the PDCP protocol entity can be mapped 1: 1 with the RB. Here, the PDCP protocol entity located in the RN can perform the PDCP sequence number maintenance function related to the sequential delivery of the PDCP packet without performing the header compression and encryption function.

이하에서는 RN에서의 베어러 매핑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bearer mapping method in the R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RN에서의 Uu 인터페이스와 Un 인터페이스 사이의 베어러 매핑 방법은 하기의 4가지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arer mapping method between the Uu interface and the Un interface in the R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four methods.

방법 1: Uu 베어러와 Un 베어러를 1:1 매칭Method 1: Match 1: 1 Uu Bearer and Un Bearer

방법 2: UE별 그룹핑Method 2: Grouping by UE

방법 3: QoS별로 그룹핑Method 3: Group by QoS

방법 4: RN에서 수신한 모든 데이터를 하나의 베어러로 매핑.Method 4: Map all data received from the RN to a single bearer.

UE별 그룹핑 방법의 경우,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는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단말 식별 정보가 포함되며, RN은 상기 수신한 데이터들을 UE별로 하나의 전송데이터 유닛으로 구성하여 DeNB에 전송한다.In the UE-specific grouping method, data received through the Uu interface includes predetermined 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UE, and the RN configures the received data as one transmission data unit for each UE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DeNB do.

QoS별 그룹핑 방법(방법 3)의 경우,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UE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QoS를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QoS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RN은 QoS 식별 정보를 UE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획득하거나 데이터 채널 설정 전 DeNB와의 시그널링 메시지 교환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RN은 UE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들을 QoS별로 식별한 후, 동일 QoS를 갖는 데이터를 하나의 전송데이터 유닛으로 구성하여 DeNB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법 3의 경우, DeNB와 RN 사이의 HARQ(Hybrid Automatic Request) 동작은 RN에 접속된 모든 UE에 대해 동일한 QoS를 갖는 무선 베어러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e QoS-based grouping method (method 3), data received from the UE via the Uu interface may include predetermined Qo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QoS. The RN may acquire the Qo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received from the UE or acquire the signaling message exchange with the DeNB before setting the data channel. The RN may identify the data received from the UE by QoS and then transmit the data having the same QoS as one transmission data unit to the DeNB. In the case of the method 3, a Hybrid Automatic Request (HARQ) operation between the DeNB and the RN can be performed in units of radio bearers having the same QoS for all UEs connected to the RN.

RN에서 수신한 모든 데이터를 하나의 베어러로 매핑하는 방법의 경우, RN은 UE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하나의 전송 데이터 유닛으로 구성하여 DeNB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DeNB와 RN 사이의 HARQ(Hybrid Automatic Request) 동작은 RN에 접속한 모든 UE를 위해 설정된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즉, RN과 UE 사이에 설정된 무선 베어러에 대해 수행되며, DeNB와 RN 사이에서는 RN에 접속한 모든 UE가 매핑된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대해 HARQ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UE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소정의 RN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N은 상기 RN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셀 영역에 위치한 UE로부터의 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mapping all the data received from the RN to one bearer, the RN can construct the data received from the UEs as one transmission data unit and transmit the data to the DeNB. Here, a Hybrid Automatic Request (HARQ) operation between the DeNB and the RN may be performed for one radio bearer set for all UEs connected to the RN. That is, the HARQ operation is performed on a radio bearer established between the RN and the UE, and between the DeNB and the RN, HARQ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 one radio bearer to which all UEs connected to the RN are mapped. The data received from the UE may include predetermined R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RN can identify the data from the UE located in its cell area using the RN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한 RN에서의 베어러 매핑 방법에 있어서,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연접(concatenation)은 RN내의 MAC 또는 RLC 계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RN의 MAC계층 또는 RLC 계층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연접하는 경우, 상기 연접된 것을 지시하는 소정의 제어 정보가 MAC헤더 또는 RLC 헤더의 일측에 포함될 수 있다. DeNB는 수신된 연접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UE/QoS/서비스 별로 구분할 수 있다. In the bearer mapping method in the above RN, concatenation of data received via the Uu interface may be performed in the MAC or RLC layer in the RN. When data received from the MAC layer or the RLC layer of the RN is concatenated, predetermined control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catenation may be included in one side of the MAC header or the RLC header. The DeNB can distinguish data by UE / QoS / service using the received connec- tion control information.

이하에서는 RN에서의 암호화 기법 및 MAC 계층에서의 다중화 기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DeNB와 RN사이에는 무선상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전송 블록 별로 암호화(ciphering)가 수행 되어야 한다. 여기서, 전송 블록은 DeNB 또는 RN에 위치한 PDCP 계층의 전송 데이터 유닛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하향링크 방향으로 DeNB가 RN을 통해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DeNB는 적어도 하나의 UE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RN에 다중화된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다. 이때, RN은 DeNB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각 UE 별로 구분하여 해당 UE에 전송을 해야 한다.Hereinafter, the encryption scheme in the RN and the multiplexing scheme in the MAC lay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ince data is transmitted over the radio link between the DeNB and the RN, ciphering must be performed for each transport block. Here, the transport block means a data unit of the PDCP layer located in the DeNB or the RN. For example, if the DeNB desires to transmit data to the UE through the RN in the downlink direction, the DeNB may multiplex the at least one UE data and transmit the multiplexed data to the RN. In this case, the RN divid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DeNB into individual UEs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rresponding UEs.

상기의 경우, RN은 DeNB에 의해 암호화되어 전송된 데이터를 복호(deciphering)하고 UE 별로 분류할 수 있다. UE 별로 분류된 데이터는 RN의 PDCP 계층이 다시 암호화한 후 최종 UE에게 전송할 수 있다. UE의 PDCP 계층은 RN의 PDCP 계층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여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은 DeNB와의 송수신에 필요한 프로토콜 계층을 1개만 설정할 수 있다. 반면, UE와의 송수신에 필요한 프로토콜 계층은 해당 RN에 접속한 단말의 개수만큼 구비하여야 한다. 이때, PDCP 계층과 RLC 계층은 1개 이상의 엔터티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N may decrypt the data encrypted by the DeNB and classify the data according to the UE. Data classified by UE can be encrypted by the PDCP layer of the RN and then transmitted to the final UE. The PDCP layer of the UE decrypts the data encrypted by the PDCP layer of the RN and transfers the decrypted data to the upper layer. Therefore, as shown in FIG. 8, the RN can set only one protocol layer required for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DeNB. On the other hand, a protocol layer required for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UE should be provided by the number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RN. At this time, the PDCP layer and the RLC layer may have one or more entities.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하향링크 방향에 대한 DeNB의 제2계층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링크에서의 DeNB의 제2계층 구조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DeNB의 MAC 계층은 RN별로 다중화(multiplexing)를 수행하는 한 개의 MAC 엔터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이에 대응되는 RN의 MAC계층은 역다중화(demultiplexing)을 수행하는 한 개의 MAC entity를 구비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second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DeNB with respect to the downlink dire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is a second hierarchical structure of DeNB in the downl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 MAC layer of the DeNB may include one MAC entity for multiplexing by RN. Here, the corresponding MAC layer of the RN may include one MAC entity that performs demultiplexing.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DeNB의 MAC 계층은 UE별로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한 후, RN의 영역에 위치한 UE들에 대해 RN별로 다중화하여 RN에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DeNB에 의해 직접적으로 처리되는 UE에 대해서는 기존과 같이 UE별로 서비스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전송된다.More specifically, the MAC layer of the DeNB may multiplex the service data for each UE, multiplex the RN by RN for the UEs located in the RN area, and transmit the multiplexed data to the RN. However, for UEs directly processed by DeNB, service data is multiplexed and transmitted for each UE as in the conventional manne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방향 DeNB의 2계층 구조이다.10 is a two-layer structure of a downlink direction DeN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DeNB의 MAC 계층은 RN에 위치한 UE들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를 2단계로 다중화시키지 않고, MAC 헤더에 소정의 단말식별자를 포함한 후, RN별로 다중화하여 RN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MAC의 헤더에는 RN을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헤더 필드가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MAC layer of the DeNB may not multiplex service data for UEs located in the RN in two steps, but may include a predetermined terminal identifier in the MAC header, and multiplex the service data for each RN to transmit to the RN . Here, the header of the MAC may include a predetermined header field for identifying the RN.

이후, UE와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RN의 MAC 계층은 DeNB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MAC 헤더를 분석하여, UE별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다중화하여 무선상에 전송한다.The MAC layer of the RN responsible for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UE analyzes the MAC header of the data received from the DeNB, extracts data for each UE, multiplexes the data, and transmits the multiplexed data to the radio.

상기한 도9 내지 도 10의 실시예와 같은 DeNB의 제2계층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DeNB와 RN사이의 RB 설정 시, MAC 엔터티 구성과 관련하여 UE별 다중화인지, RN별 다중화인지 또는 UE 및 RN 다중화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2중 다중화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소정의 제어 정보-이하, '다중화구분자'이라 명함-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다중화구분자는 DeNB의 RRC계층에서 소정의 3계층(RRC) 메시지를 통해 RN의 RRC계층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3계층 메시지를 수신한 RN의 RRC계층은 상기 다중화구분자를 MAC 계층으로 전달한다. RN의 MAC계층은 수신된 다중화구분자에 따라, DeNB의 하향링크 MAC 계층에 대응되는 RN MAC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configure the second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DeNB as in the embodiments of FIGS. 9 to 10,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RN between the DeNB and the RN is multiplexed by UE, multiplexed by RN or multiplexed by UE and RN It may be necessary to provide predetermined control information that can distinguish whether the data is multiplexed or multiplexed in order to perform multiplexing sequential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ultiplexing delimiter. The multiplex separator may be transmitted to the RRC layer of the RN through a predetermined 3-layer (RRC) message at the RRC layer of the DeNB. The RRC layer of the RN receiving the 3-layer message delivers the multiplexing delimiter to the MAC layer. The MAC layer of the RN may configure an RN MAC layer corresponding to the downlink MAC layer of the DeNB according to the received multiplex identifi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NB의 MAC계층은 데이터를 다중화할 때, 단말식별자와 RN식별자 정보를 포함한 MAC PDU-여기서, 단말식별자와 RN식별자는 MAC PDU의 헤더 영역에 포함됨-를 구성한 후, 소정의 무선 채널을 통해 RN에 전송할 수 있다. RN의 MAC 계층은 수신된 MAC PDU에 포함된 RN 식별자를 통해 자신이 처리할 패킷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자신이 처리할 패킷인 경우, RN의 MAC 계층은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는 MAC PDU를 구성하여 무선상에 전송할 수 있다.The MAC layer of the DeN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C PDU including a terminal identifier and RN identifier information when the data is multiplexed, wherein the terminal identifier and the RN identifier are included in a header field of the MAC PDU, To the RN over a predetermined radio channel. The MAC layer of the RN checks whether the packet is a packet to be processed by the RN identifier included in the received MAC PDU.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cket is a packet to be processed by itself, the MAC layer of the RN may construct a MAC PDU including the terminal identifier and transmit the MAC PDU to the wireless terminal.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에서의 RN 제2계층 구조이다.11 is an RN second hierarchical structure in the down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의 MAC 계층은 DeNB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UE별로 다중화한 후 해당 UE에 전송한다. 이때, RN의 MAC 계층은 MAC PDU의 헤더에 소정의 단말식별자를 포함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MAC layer of the RN multiplex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DeNB on a UE-by-UE basis, and then transmits the multiplexed data to the corresponding UE. At this time, the MAC layer of the RN can include a predetermined terminal identifier in the header of the MAC PDU.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RN식별자와 단말식별자에 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N identifier and the terminal iden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eNB는 RN을 하나의 단말처럼 인식할 수 있고, 하나의 RN내에는 1개 이상의 단말들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DeNB는 RN을 구분할 수 있는 RN식별자 및 단말을 구분할 수 있는 단말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DeNB가 RN 및 단말을 식별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DeN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an RN as one terminal, and one or more terminals can be located in one RN. Therefore, the DeNB needs to know information about the RN identifier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RN and the terminal identifier capable of identifying the terminal. Hereinafter, a method of identifying the RN and the UE by the DeN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N은 단말의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일측에 RN식별자를 포함한 후, 해당 메시지를 DeNB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RN에 위치한 RRC 계층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 RN식별자를 포함시키기 위해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재구성해야 한다.The 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RRC Connection Request message generated by the RRC layer of the UE, inserts an RN identifier in one side of the received message, and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DeNB do. To this end, the RRC layer located in the RN must reconfigure the RRC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include the RN identifier after receiving the messag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RN과 DeNB는 소정의 사전 구성(pre-configuration) 절차를 통해 RN식별자를 공유할 수 있다. RN이 UE로부터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RN의 MAC계층은 미리 저장된 RN식별자를 MAC 헤더의 일측에 포함시킨 후, DeNB로 전송한다. 단말의 MAC계층과 RN의 MAC계층은 RRC메시지가 어떤 메시지인지 식별할 수 없다. 즉, RRC 메시지는 MAC 계층에 대해서 투명하게 전송된다. 따라서, 단말의 RRC계층은 자신의 MAC계층으로 RRC 연결 요청 메시지임을 지시하는 소정의 지시(indication)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의 MAC계층에서 RN의 MAC계층으로 전송되면, RN의 MAC계층은 수신된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한 메시지가 RRC 연결 요청 메시지임을 인지한다. 여기서, RN의 MAC계층은 RN식별자를 MAC헤더에 포함한 후, DeNB로 전송하며, RN과 DeNB간 사전 구성(pre-configuration)에 근거하여 DeNB는 수신된 메시지가 해당 RN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수신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The RN and DeN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hare the RN identifier through a predetermined pre-configuration procedure. When the RN receives the RRC connec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UE, the MAC layer of the RN inserts a pre-stored RN identifier into one side of the MAC header, and then transmits the RN identifier to the DeNB. The MAC layer of the UE and the MAC layer of the RN can not identify which message the RRC message is. That is, the RRC message is transmitted transparently to the MAC layer. Accordingly, the RRC layer of the UE transmits a predetermined ind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it is an RRC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its MAC layer. If the ind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AC layer of the UE to the MAC layer of the RN, the MAC layer of the RN recognizes that the received message is an RRC connection request message based on the received indication information. Here, the MAC layer of the RN includes the RN identifier in the MAC header, and then transmits the RN identifier to the DeNB. Based on the pre-configuration between the RN and the DeNB, the DeNB determines that the received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RN Can be identifi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랜덤 억세스 프리엠블(Random Access Preamble) 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RN은 단말에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을 알리는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RN은 소정의 RN식별자(또는 RN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해당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단말의 RRC 계층에서는 단말 식별자 및 상기 수신된 RN식별자(또는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RN으로 전송한다. RN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투명하게 DeNB로 전송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E attempts to transmit a Random Access Preamble, the RN transmits a predetermined message indicating that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to the UE. At this time, the RN transmits a predetermined RN identifier (or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RN) in the corresponding message. The RRC layer of the UE transmits an RRC connec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UE identifier and the received RN identifier (or identifiable information) to the RN. The RN transparently transmits the RRC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DeNB.

위와 같은 방법으로 RN식별자와 RN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DeNB는 하향링크 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시, RN식별자(또는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 단말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여 RN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RN에서는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들에게 전송한다.In this way, the DeNB having the RN identifier and the information on the terminals located in the RN area can transmit data in the downlink direction, including the RN identifier (or identifiable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RN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UEs based on the UE identifier information.

또한, RN과 DeNB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event trigger 방식)으로 RN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정보(UE List)를 갱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N and the DeNB can update UE information (UE List) located in the RN area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event triggering).

이때, 갱신된 RN식별자 및 해당 RN식별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식별자 정보는 하나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소정의 기록 영역에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updated RN identifier and the corresponding RN identifier may consist of one set and may be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handover method in a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eNB에 위치한 UE가 DeNB가 제어하는 RN으로 이동 시, DeNB는 이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eNB는 UE에서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파일롯 신호의 수신 세기-여기서, 파일롯 신호의 수신 세기는 RN에 의해 측정되어 해당 DeNB로 보고될 수 있음-, UE의 측정 보고 (measurement report) 등을 이용하여 해당 RN으로의 이동을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UE가 DeNB가 직접적으로 관장하는 영역에서 RN의 영역으로 이동한 것을 인지한 DeNB는 UE로 핸드오버 수행을 지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UE에 관련된 정보를 RN으로 미리 전달한다. 이때 전달되는 정보는 UE ID (U-RNTI, C-RNTI 등) 등을 포함하고 있는 UE Context, UE 카테고리 등일 수 있다.When the UE located in the DeNB moves to the RN controlled by the DeNB, the DeNB can recognize this. For example, the DeNB may receive the data or the pilo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E, where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pilot signal may be measured by the RN and reported to the corresponding DeNB, a measurement report of the UE, The user can recognize the movement to the corresponding RN. In this way, the DeNB recognizing that the UE moves from the area directly managed by the DeNB to the area of the RN transmit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E to the RN in advance before transmitting the message for instructing the handover to the UE .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may be a UE Context including a UE ID (U-RNTI, C-RNTI, etc.), a UE category, and the like.

즉, UE가 연결 모드(connected mode)인 경우, DeNB는 UE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타겟(target) RN으로 UE와 바로 통신을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자원 할당 및 채널 구성 절차를 먼저 수행한다. 이후 타겟 RN은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메시지-예를 들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UE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핸드오버 메시지는 타겟 RN에서 직접 UE로 전송될 수도 있고, 타겟 RN에서 DeNB를 거쳐 UE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핸드 오버 메시지를 수신한 UE는 타겟 RN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또는 무선 링크 재구성 동작을 수행하거나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handover complete message)를 타겟 RN으로 전송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베어러 및 채널 구성 절차를 수행한다. That is, when the UE is in a connected mode, the DeNB allocates a resource for establishing an environment capable of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UE through a target RN before transmitting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UE, . Then, the target RN transmits a predetermined message for performing a handover (e.g., a handover command message) to the UE. At this time, the handover message may be transmitted directly from the target RN to the UE, or from the target RN to the UE via the DeNB. The UE having received the handover message performs a bearer and channel configuration procedure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hile performing a radio bearer reconfiguration or a radio link reconfiguration operation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target RN or transmitting a handover complete message to the target RN .

UE와 타겟 RN간의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후, 타겟 RN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UE는 RLC 및 PDCP 엔티티를 리셋(reset)한다. 이때 헤더압축 및 암호화에 사용된 파라미터들도 리셋(reset)된다. 예를 들면, 암호화에 사용되는 HFN(Hyper Frame number) 및 PDCP 순차 번호-이하, 'PDCP SN(Sequence Number)'이라 명함-가 리셋(reset)될 수 있다. After the handover between the UE and the target RN is successfully completed, the UE resets the RLC and PDCP entities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target RN. At this time, parameters used for header compression and encryption are also reset. For example, a Hyper Frame number (HFN) and a PDCP sequence nu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DCP SN) used for encryption may be reset.

그러나, 파일 다운로드와 같이 패킷이 하나라도 손실되면 전체 데이터가 의미가 없어지는 경우에는 AM RLC 엔터티를 사용하여 패킷의 손실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AM RLC 엔터티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경우, 해당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인 HFN과 PDCP SN는 Un 인터페이스를 통해 DeNB에서 타겟 RN으로 전달된다. However, if a packet is lost, such as a file download, if the entire data is meaningless, it is desirable to use the AM RLC entity to prevent packet loss. Accordingly, in the case of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AM RLC entity, the HFN and the PDCP SN, which are related to the data, are transmitted from the DeNB to the target RN through the Un inte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N은 QoS 또는 서비스 타입에 따라, DeNB 및 UE로부터 송수신되는 신호를 단순 증폭하여 전송하거나,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 및 재인코딩하여 DeNB 및 UE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eNB와 UE사이에 음성 채널이 설정된 경우, RN은 UE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해당 DeNB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RN은 DeNB로부터 수신된 기준 신호-예를 들면, 파일롯 신호-의 세기, 측정된 상향 및 하향 링크의 무선 품질, 미리 설정된 시스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증폭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RN은 음성 통화의 경우, 디코딩 및 재인코딩하는 절차를 생략하여 프로세싱 지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반면, 인터넷 브라우징과 같은 데이터 서비스는 전송 지연보다는 전송 속도 및 데이터 오류율에 민감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RN은 보다 정확한 데이터 전달을 위해 수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에로를 복구하고, 이를 재인코딩하여 전송할 수 있다. The 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imply amplify and transmit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DeNB and UE according to QoS or service type, or may decode and re-encode a received signal and transmit the decoded signal to DeNB and UE. For example, if a voice channel is established between the DeNB and the UE, the RN can amplify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UE and transmit the voice signal to the corresponding DeNB. Here, the RN can control the amplification gain using at least one of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DeNB, e.g., the pilot signal, the radio quality of the measured uplink and downlink, and predetermined system parameters. Therefore, the RN can minimize the processing delay by omitting the decoding and re-encoding procedure in case of voice call. On the other hand, data services such as Internet browsing are characterized by transmission speed and data error rate rather than transmission delay. Thus, the RN can decode the received signal to recover the erroneous signal for more accurate data transmission, and re-encode and transmit the erroneous signal.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시스템의 DeNB 및 RN의 셀 커버리지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eNB의 셀 커버리지가 RN의 커버리지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가 있다. 따라서, 단말이 위치한 셀 영역에 따라 단말의 최대 전송 파워를 다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만약, RN의 셀 커버리지에 위치한 단말이 DeNB의 셀 커버리지에 대응하는 최대 전송 파워로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해당 신호는 DeNB의 셀 커버리지에 위치한 단말에게 간섭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RN 영역에 위치한 단말에 대해서는 최대 전송 파워가 DeNB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단말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DeNB와 RN이 혼재한 무선망에서 단말의 최대 전송 파워를 제어하는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cell coverage of DeNB and RN of the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cell coverage of DeNB may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coverage of R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ell area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If a UE located in the cell coverage of the RN transmits a signal with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correspondi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DeNB, the corresponding signal may cause interference to the UE located in the cell coverage of the DeNB.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set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located in the RN area smaller than that directly controlled by the DeNB.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of a terminal in a wireless network in which DeNB and RN are mix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RN이 단말로부터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RN은 소정의 RN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해당 DeNB로 전송한다. DeNB는 수신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RN을 경유하여 수신된 경우, 해당 RN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 최대 전송 파워 정보를 포함하는 호 설정 메시지를 RN에 전송한다. RN은 수신된 호 설정 메시지를 해당 단말에 전송한다. 단말은 수신된 최대 전송 파워 정보에 따라 전송 파워를 제어한다.When the RN receives a call setup request message from the UE, the RN transmits a call setup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redetermined R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DeNB. When the received call setup request message is received via the RN, the DeNB transmits a call setup message to the RN including the UE maximum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set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RN. The RN sends the received call setup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e UE controls th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received maximum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예를 들면, 특정 RN 영역에 위치한 단말의 최대 전송 파워는 해당 RN의 셀 반경 및 RN이 위치한 지형적인 특징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DeNB는 자신의 제어하에 있는 RN에 대한 셀 반경의 크기 정보 및 지형적인 특징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지형적인 특징은 산악지형, 평야지형, 도심지형, 해상지형, 고속철도 등으로 식별될 수 있음-를 소정의 기록 영역에 저장한 후 이를 참조하여 단말의 최대 전송 파워를 산출하거나 미리 저장된 소정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of a terminal located in a specific RN region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ell radius of the RN and the geographical feature in which the RN is located. Herein, the DeNB is information about the size information of the cell radius an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 of the RN under its own control, for exampl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 is identified by the mountainous terrain, the plain terrain, the urban terrain, the sea terrain, May be stored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and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of the user equipment may be calculated by referring to the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or by referring to a pre-stored predetermined table.

만약, RN에 무선 자원 제어 기능이 탑재된 경우, RN은 DeNB로부터 수신한 호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의 최대 전송 파워 정보를 자신의 셀 커버리지에 상응하는 값으로 치환하여 해당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DeNB는 단말이 RN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상관 없이 DeNB의 셀 커버리지에 상응하는 단말 최대 전송 파워를 설정할 수 있다. If the RN is equipped with a radio resource control function, the RN may transmit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the UE included in the call setup message received from the DeNB to a value corresponding to its own cell coverage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corresponding UE. At this time, the DeNB can set the maximum UE transmission power correspondi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DeNB irrespective of whether the UE is located in the RN area.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단말의 최대 전송 파워가 해당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에 상응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의 최대 전송 파워가 RN 영역과 DeNB 영역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DeNB는 다양한 무선 환경 변수, 서비스 타입, 단말 능력 정보(Mobile Capability Information) 등을 참조하여 해당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환경 변수는 상향 링크 간섭 정보, 하향 링크 기준 신호 수신 레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of the 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of the UE is minimized in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RN and DeNB areas Lt; / RTI > For example, the DeNB can calculate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of a corresponding terminal by referring to various radio environment variables, a service type, mobile capability information, and the like. Here, the radio environment variable may include uplink interference information, a downlink reference signal reception level, and the like.

또한, DeNB는 RN과 UE 사이의 경로 손실(pass loss), 해당 RN에 대한 link budget 등을 고려하여 최대 단말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link budget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중간의 신호전달 채널(공기)의 감쇄 등을 고려하여 송신기와 수신기가 성공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표준을 정하거나 조정하는 작업 또는 그 계산 결과를 의미한다. 단말 능력 정보는 미리 정의된 단말 송신 전력 등급(Power Class)-여기서, 단말 송신 전력 등급은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 정보를 의미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DeNB can determine the maximum UE transmission power in consideration of a path loss between the RN and the UE, a link budget for the RN, and the like. Here, the link budget refers to a task of setting or adjusting a standard so that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can successful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consideration of attenuation of an intermediate signal transmission channel (ai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a calculation result thereof. The terminal capability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predefined terminal power class (Power Class), where the terminal transmission power class is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relevant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appended claim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320 : Donor eNodeB(DeNB)
330: Relay Node(RN).
320: Donor eNodeB (DeNB)
330: Relay Node (RN).

Claims (1)

릴레이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세기 및 중계기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세기를 상기 중계기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로 나눔으로써, 상기 중계기에 대한 상기 기지국의 수신신호 세기 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신신호 세기 비를 이용하여 간섭 발생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간섭 발생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는 1번 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중계기로부터의 수신신호는 2번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A signal reception method in a relay-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repeater;
Calculat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ratio of the base station to the repeater by divid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by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rom the repeater;
Determining whether interference occurs u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atio;
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interference has occurred; And
A reception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is received through channel 1, and a reception signal from the repeater is received through channel 2
Wherein the signal is received by the receiver.






KR1020160024819A 2016-03-02 2016-03-02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acket Data Transmission Using Relay Technology KR1016328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819A KR101632861B1 (en) 2016-03-02 2016-03-02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acket Data Transmission Using Relay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819A KR101632861B1 (en) 2016-03-02 2016-03-02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acket Data Transmission Using Relay Technolog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432A Division KR101601270B1 (en) 2009-07-17 2009-07-17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acket Data Transmission Using Relay Technolog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473A true KR20160031473A (en) 2016-03-22
KR101632861B1 KR101632861B1 (en) 2016-07-01

Family

ID=5564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819A KR101632861B1 (en) 2016-03-02 2016-03-02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acket Data Transmission Using Relay Techn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86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575A (en) * 2004-08-23 2006-05-19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An extended cellular telephony protocol
KR20070018812A (en) * 2004-10-29 2007-02-14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and packet communication method
KR20070029806A (en) * 2004-06-15 2007-03-1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Scheduling mode dependent data transmissions
KR20090006829A (en) * 2006-03-20 2009-01-1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Host station and packet transmitt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806A (en) * 2004-06-15 2007-03-1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Scheduling mode dependent data transmissions
KR20060050575A (en) * 2004-08-23 2006-05-19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An extended cellular telephony protocol
KR20070018812A (en) * 2004-10-29 2007-02-14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and packet communication method
KR20090006829A (en) * 2006-03-20 2009-01-1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Host station and packet transmit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861B1 (en)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33066C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rule for displaying a flow qos in drb
KR1019787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403985B1 (en) Device mobility for split-cell relay networks
US9749903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witching
KR1021248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dia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9554301B2 (en) Shunting method and system for multi-network joint transmission, and access network element
CN109005562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KR10210449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US91314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user equipment contex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0334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910047B1 (en) Optimized user equipement relaying
EP3582414B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nterference coordination per slice
EP27027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measurement result
US20120120831A1 (en) Qos multiplexing via base station-relay node interface
WO201213411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obile relay node
WO201010725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ell cooperative communication
KR20110118703A (en) Method of utilizing a relay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85167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JP20205205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nit
KR101814248B1 (en) Method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WLAN carrier and Apparatuses thereof
CN109314899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101601270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acket Data Transmission Using Relay Technology
KR10163286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Packet Data Transmission Using Relay Technology
WO2022167611A1 (en) Handover technique for time-sensitive networking
KR1015564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Carrier Aggregation in LT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