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235A - 공기 청정기용 필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235A
KR20160031235A KR1020140121000A KR20140121000A KR20160031235A KR 20160031235 A KR20160031235 A KR 20160031235A KR 1020140121000 A KR1020140121000 A KR 1020140121000A KR 20140121000 A KR20140121000 A KR 20140121000A KR 20160031235 A KR20160031235 A KR 20160031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ilter
porous fabric
air
ai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훈
Original Assignee
윤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훈 filed Critical 윤지훈
Priority to KR102014012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1235A/ko
Publication of KR2016003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3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9Special geometry of layers
    • B01D2239/0695Woun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4Nitrogen oxides other than dinitrogen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6Ammoni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과 다공성 직물을 말아서 성형한 공기 청전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중에 미세먼지, 톨루엔, 암모니아,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 등의 휴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상균성이 있는 공기 청정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는 고전압 발생장치에 의해 하전되고, 부도체 피막층이 형성된 필름(110); 상기 플림(110)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11); 상기 필름(110)과 함께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각 필름(110) 사이에 위치하는 다공성 직물(120); 및 상기 다공성 직물(120)이 함침되어 다공성 직물(120)의 섬유 표면에 부착된 흡착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용 필터 {Air cleaner fillter}
본 발명은 필름과 다공성 직물을 말아서 성형한 공기 청전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중에 미세먼지, 톨루엔, 암모니아,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 등의 휴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상균성이 있는 공기 청정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공기정화기는 각 가정과 공공시설 등에 설치하여 공기 중에 떠다니는 극 미세먼지를 포집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다양한 종류의 공기정화기가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공기정화기는 황사나 미세한 먼지를 제거할 수 있지만 벤젠, 포름알데이드, 톨루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환경 유해물질 등은 제거할 수 없다.
황사와 미세먼지는 물론 환경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가 일부 시판되고 있지만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미세 먼지와 환경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판매 가격이 매우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618464호, "공기 청정 필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공기 중의 황사와 미세 먼지는 물론 여러 환경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공기 중의 황사와 미세 먼지는 물론 벤젠, 포름알데이드, 톨루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환경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생산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는 고전압 발생장치에 의해 하전되고, 부도체 피막층이 형성된 필름(110); 상기 플림(110)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11); 상기 필름(110)과 함께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각 필름(110) 사이에 위치하는 다공성 직물(120); 및 상기 다공성 직물(120)이 함침되어 다공성 직물(120)의 섬유 표면에 부착된 흡착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111)에 형성된 절개부(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액은 2~3㎛ 크기의 마이크로 캡슐에 충전되어 다공성 직물(120)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액은 속단, 구기자, 두충, 산약, 복분자딸기, 오가피, 오미자, 제비꽃, 장뇌삼, 향유, 엉겅퀴, 천마, 꿀풀, 민들레초, 용안, 해송, 칡, 배초향, 하수오, 황기, 계피, 초석잠, 황금, 밸리향, 도라지, 더덕, 쑥, 건강, 당귀, 모과초, 우슬, 숙지황, 단삼, 독활, 삼백초, 백삼, 고삼의 37가지 재료를 건조하여 분말화 하고 이를 혼합하여 중탕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기를 통해 수집한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는 공기 중의 황사와 미세 먼지는 물론 벤젠, 포름알데이드, 톨루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환경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구조와 구성이 단순하므로 생산가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고기능 공기 청정기를 서민에게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용 필터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환경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정화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110)과 다공성 직물(120)이 적층되어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구성된 것이다.
상기 필름(11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고분자 합성수지를 재질로 판 형태로 성형된 것으로서 상기 필름(110)의 두께는 0.1~1.0mm의 두께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110)의 두께가 0.1mm 미만이면 필름(110)의 강성이 유지되지 않으므로 필름(110)은 0.1~1.0mm 두께로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 필름(110)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111)를 형성하는데, 필름(110)을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할 때 필름(110)과 필름(110) 사이에 돌기(111) 높이 만큼의 틈을 생성시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필름(11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필터(100)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므로 필터(100) 내부에 흠입된 공기의 유동시간을 연장시켜 효율적으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환경 유해물질을 흡착할 수 있또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돌기(111)의 표면에 크랭크 또는 십자가 형태로 절개된 절개부(112)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돌기(111)에 절개부(112)를 형성함으로써 필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필터(100)의 접촉면적을 더욱 크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공기중의 먼지가 집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성형된 필름(110)을 고전압 발생장치로 하전함으로써 필름(110)이 정전기를 보유토록 하여서 정전기와 미세먼지와의 대전에 의해 미세먼지가 집진되도록 한다.
또한, 표면에 부도체 피막층(104)을 형성함으로써 하전된 정전기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필름(110)의 일 면은 (+)극성을 갖게 되고, 필름(110) 다른 면은 (-)극성을 갖게 되는데 필름을 권취하게 되면 (+)와 (-)극성이 교대로 적층되어 강한 정전기를 발생시키므로 그 정전기로 필터(100) 내부를 유동하는 미세먼지를 집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름(110)과 함께 두리마리 형태로 말려 필터(100)를 구성하는 다공성 직물(120)은 부직포 또는 펠트와 같이 내부에 비교적 큰 기공이 형성된 직물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 직물(120)을 환경 유해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액에 침지시킨 후 건조한다.
상기 흡착액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특허출원하여 특허등록 받은 특허 제586924호 "다용도 자연식물 추출액의 제조,처리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흡착액으로서, 공기중에 포함된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 등의 환경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흡착액은 속단, 구기자, 두충, 산약, 복분자딸기, 오가피, 오미자, 제비꽃, 장뇌삼, 향유, 엉겅퀴, 천마, 꿀풀, 민들레초, 용안, 해송, 칡, 배초향, 하수오, 황기, 계피, 초석잠, 황금, 밸리향, 도라지, 더덕, 쑥, 건강, 당귀, 모과초, 우슬, 숙지황, 단삼, 독활, 삼백초, 백삼, 고삼의 37가지 재료를 건조하여 분말화 하고 이를 혼합하여 중탕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기를 통해 수집한 추출액이다.
다공성 직물(120)을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흡착액에 함침시킨 후 건조하고, 필름(110)과 함께 도 2와 같이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필터(100)를 구성하면 필터(1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 등의 환경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유해물질외에도 다공성 직물(120)에 의해 큰 먼지가 걸러지므로 큰 먼지와 환경 유해물질은 다공성 직물(120)에 의해 필터링되고, 미세먼지는 필름(110)에 집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직물(120)은 큰 먼지를 필터링하는데 오랫 동안 사용하다보면 필터(100)의 특정 부분에만 큰 먼지가 집중 필터링 되어 필터(100)로의 공기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때, 필름(110)의 돌기에 형성된 절개부(112)에 의해 필터(100) 내부의 공기가 필름(110)을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으므로 필터(110) 내부로 정화할 공기가 고르게 퍼지도록 함으로써 오랫동안 필터(100)를 사용하여도 공기 정화 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다공성 직물(120)을 흡착액에 함침시켜 흡착액을 다공성 직물(120) 표면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흡착액을 마이크로 캡슐에 담아 다공성 직물(120)을 마이크로캡슐 가공 처리할 수 있다.
마이크로 캡슐은 2~3㎛ 정도 크기의 매우 작은 크기로서 멜라민 고부자 피막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흡착액을 마이크로 캡슐 내부에 충전하여 다공성 직물(120)을 가공처리함으로써 마이크로 캡슐 내부에 충전된 흡착액이 서서히 방출되면서 필터(1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 등의 환경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피막은 매우 얇고 투과성이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캡슐 내부에 충전된 흡착액이 서서히 방출되면서 환경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과 직물에 마이크로 캡슐 가공처리법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의 환경 유해물질 제거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5ℓ가스백에 포름알데히드 5㎕를 넣은 후 본 발명에 의한 필터가 장착된 공기청정기를 가동시킨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포름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가스검지관법)하였다.
시간의 경과 제거율
5분 60.4%
15분 75.1%
30분 84.4%
60분 91.7%
탈취율(%)={(Cb - Cs) / Cb} × 100
Cb : Blank, 각 시간 경과 후 시험용기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Cs : 시료, 각 시간 경과 후 시험용기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2) 톨루엔의 제거율
5ℓ가스백에 톨루엔 5㎕를 넣은 후 본 발명에 의한 필터가 장착된 공기청정기를 가동시킨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포름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가스검지관법)하였다.
시간의 경과 제거율
5분 43.5%
15분 57.8%
30분 64.1%
60분 69.3%
탈취율(%)={(Cb - Cs) / Cb} × 100
Cb : Blank, 각 시간 경과 후 시험용기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Cs : 시료, 각 시간 경과 후 시험용기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는 공기 중의 황사와 미세 먼지는 물론 벤젠, 포름알데이드, 톨루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환경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구조와 구성이 단순하므로 생산가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고기능 공기 청정기를 서민에게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공기청정기
100 : 필터
110 : 필름
111 : 돌기
112 : 절개부
120 : 다공성 직물

Claims (4)

  1. 고전압 발생장치에 의해 하전되고, 부도체 피막층이 형성된 필름(110);
    상기 플림(110)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11);
    상기 필름(110)과 함께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각 필름(110) 사이에 위치하는 다공성 직물(120); 및
    상기 다공성 직물(120)이 함침되어 다공성 직물(120)의 섬유 표면에 부착된 흡착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11)에 형성된 절개부(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용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액은 2~3㎛ 크기의 마이크로 캡슐에 충전되어 다공성 직물(120)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용 필터.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액은 속단, 구기자, 두충, 산약, 복분자딸기, 오가피, 오미자, 제비꽃, 장뇌삼, 향유, 엉겅퀴, 천마, 꿀풀, 민들레초, 용안, 해송, 칡, 배초향, 하수오, 황기, 계피, 초석잠, 황금, 밸리향, 도라지, 더덕, 쑥, 건강, 당귀, 모과초, 우슬, 숙지황, 단삼, 독활, 삼백초, 백삼, 고삼의 37가지 재료를 건조하여 분말화 하고 이를 혼합하여 중탕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기를 통해 수집한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용 필터.
KR1020140121000A 2014-09-12 2014-09-12 공기 청정기용 필터 KR20160031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000A KR20160031235A (ko) 2014-09-12 2014-09-12 공기 청정기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000A KR20160031235A (ko) 2014-09-12 2014-09-12 공기 청정기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235A true KR20160031235A (ko) 2016-03-22

Family

ID=5564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000A KR20160031235A (ko) 2014-09-12 2014-09-12 공기 청정기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12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1399A (zh) * 2019-03-12 2019-05-10 惠州市信迪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空气净化的过滤网及过滤芯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1399A (zh) * 2019-03-12 2019-05-10 惠州市信迪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空气净化的过滤网及过滤芯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254768U (zh) 柜式纳米空气循环净化机
CN206234932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07196743U (zh) 一种带有多重过滤网的空气净化设备
CN101433788A (zh) 一种空气净化过滤器
CN204799049U (zh) 湿法微米级颗粒物捕集空气净化装置
CN103925651A (zh) 一种实验室空气净化机及基于该净化机的空气净化方法
CN105180272A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204973434U (zh) 多功能驻电极空气净化装置
KR101991509B1 (ko) 재생 가능한 미세먼지 정화용 에어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대기오염 방지장치
CN202725327U (zh) 一种滤芯及含有该滤芯的空气净化器
CN206055790U (zh) 一种空调的空气净化结构
CN205127715U (zh) 一种新型微正压空气净化装置
CN202328550U (zh) Pm2.5级粉尘收集及所携带病菌杀灭的净化处理装置
KR20160031235A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CN103657262A (zh) 一种空气净化方法及装置
CN104197413A (zh) 一种室内多功能空气净化器
KR100477300B1 (ko)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분 발생 장치를 갖춘 공기정화기
CN205747204U (zh) 一种新型智能空气清新设备
KR20100062020A (ko) 산업용 공기청정기
CN2441067Y (zh) 空气净化装置
KR20100078671A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N206037250U (zh) 一种紫外线净化静电吸附过滤网
CN207734787U (zh) 一种净化效果好的家用甲醛净化装置
CN204159145U (zh) 用于清除香烟烟雾的空气净化复合滤芯
CN103816747A (zh) 一种空气净化方法和实施该空气净化方法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