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916A -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 Google Patents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916A
KR20160030916A KR1020160025525A KR20160025525A KR20160030916A KR 20160030916 A KR20160030916 A KR 20160030916A KR 1020160025525 A KR1020160025525 A KR 1020160025525A KR 20160025525 A KR20160025525 A KR 20160025525A KR 20160030916 A KR20160030916 A KR 20160030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stem
fluid
diaphragm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석
이영삼
Original Assignee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filed Critical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Priority to KR102016002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0916A/ko
Publication of KR2016003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8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and having a throttling member separate from the closure member, e.g. screens, slots, labyrin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유체(流體)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에 있어서, 유체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한 몸체와, 몸체에 내장되고, 양면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형상이면서 측부에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동홀이 형성된 케이지와, 케이지에 내장되고, 일단측 부위가 결합된 스템에 의해 이동되면서 유동홀을 개폐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밸브몸체부; 스템의 이동을 유도하면서 몸체에 장착된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구동수단은 몸체에 장착되면서 스템의 타측 부위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1바디를 구비하는 연결부와, 스템의 타단측 부위가 결합되는 작동로드를 구비하고, 이 작동로드를 왕복이동시켜 스템 및 디스크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제1바디에 장착된 모터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밸런스홀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가 디스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크의 이동에 대한 유체의 유동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Control valve with balance-hall for controlling fluid flux}
본 발명은 공압식 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가 통과하는 케이지의 유동홀을 디스크가 개폐하도록 이동하면 유체의 일부가 밸런스홀을 통과하여 유압이 조절되도록 한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압제어밸브의 종류로는 방향제어밸브, 유량제어밸브 및 압력제어밸브 등이 있다. 여기서, 중유(Heavy Fuel Oil:HFO)를 포함한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압제어밸브는 통상적으로 유체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공압제어밸브는 일 예로, 중유(HFO:Heavy Fuel Oil)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중유 정화 및 가열장치에서 공압 온도제어시스템(pneumatic temperature control system)의 일부 구성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설명하자면, 도 1에서와 같이 중유 정화 및 가열장치는 공급된 고온의 스팀(steam)에 의해 유입 및 배출되는 중유(HFO)를 가열하도록 설치된 중유 가열장치(10), 가열장치(10)에 공급되는 스팀의 유동량을 조절하도록 스팀의 경로 상에 설치된 2방향 제어밸브(11)와, 중유 가열장치(10)에서 배출된 중유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밸브(1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온도제어기(12)를 포함하였다. 이 온도제어기(12)가 제어밸브(11)의 동작을 제어하고, 스팀의 유동량을 조절하여 중유 가열장치(10)에 공급함으로써, 이 중유 가열장치(10)에서 배출되는 중유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졌다. 미설명된 부호 "13"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고, 공급하기 위한 필터/레귤레이터이다.
여기서, 제어밸브(11)는 온도제어기(12)에서 공급된 공압에 의해 스팀을 완전 또는 일부 개폐하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스팀이 유동하는 동안 스팀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11)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압력 변화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었고, 또한 제어밸브(11)에서 스팀의 유동량을 보다 미세하게 제어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다양한 구조의 연구개발을 진행해 오고 있다.
KR1103056 10 KR2004-0096465 10 KR0257110 20 KR0233465 20
상기와 같이 다양한 구조의 연구 개발로 안출된 본 발명은, 케이지에 스팀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유동홀을 디스크가 이동하면서 개폐하여 보다 더 미세하게 유량을 제어하고, 유동하는 스팀의 일부가 디스크에 형성된 밸런스홀을 통과하여 유압이 조절되도록 한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는, 유체(流體)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에 있어서, 유체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한 몸체와, 몸체에 내장되고, 양면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형상이면서 측부에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동홀이 형성된 케이지와, 케이지에 내장되고, 일단측 부위가 결합된 스템에 의해 이동되면서 유동홀을 개폐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밸브몸체부; 스템의 이동을 유도하면서 몸체에 장착된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구동수단은 몸체에 장착되면서 스템의 타측 부위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1바디를 구비하는 연결부와, 스템의 타단측 부위가 결합되는 작동로드를 구비하고, 이 작동로드를 왕복이동시켜 스템 및 디스크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제1바디에 장착된 모터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모터 액추에이터는 작동로드의 이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설치된 전환레버와, 수동모드시 작동로드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핸들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스크는 케이지의 내면과 인접하여 기밀부재를 매개로 기밀을 유지하는 상부, 상부보다 지름을 작게 하여 내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경사부와 연결된 평평한 하부를 구비한 형상이고, 이 디스크가 유동홀을 완전 폐쇄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부측 경사부에는 완충부재가 저면에 부착된 오목한 형상의 완충부가 구비되고, 완충부가 접촉하도록 몸체에는 케이지의 하부를 고정시키면서 케이지의 내면보다 더 안쪽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제2시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바디는 내부에 장착되어 스템의 위치를 지시하는 표시기 또는 눈금자를 구비하고, 표시기 또는 눈금자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 또는 투명 슬롯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는 유체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에 있어서, 유체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한 몸체와, 몸체에 내장되고, 양면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형상인 상부케이지와 하부케이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지의 측부에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동홀이 형성된 케이지와, 이 케이지에 내장되고, 일단측 부위가 결합된 스템에 의해 이동되면서 유동홀을 개폐하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밸브몸체부; 스템의 이동을 유도하면서 몸체에 장착된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구동수단은 몸체에 장착되면서 스템의 타측부가 관통하는 제2바디, 제2바디에 장착되면서 스템의 타단측 부위가 내부에 위치되는 기어케이스, 스템의 타단측 부위와 결합되는 푸시로드의 일부위에 고정된 기어, 기어와 연계 동작하도록 설치된 웜과 웜휠, 웜휠을 작동시키도록 설치된 핸들을 구비한 기어부와, 기어케이스에 장착되고, 푸시로드의 일부위가 내부에 위치하는 다이어프램커버, 다이어프램커버에 내장되면서 푸시로드의 타단측 부위가 결합되어 공압에 의해 이동하도록 설치된 다이어프램, 이동한 다이어프램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구비한 다이어프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다이어프램부는 다이어프램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볼륨부스터, 다이어프램의 히스테리시스에 대비하여 다이어프램에 공급하는 공기의 양을 가감하기 위해 볼륨부스터와 연계 설치된 밸브포지셔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스크는 케이지의 내면과 인접하여 기밀부재를 매개로 기밀을 유지하는 상부, 상부보다 지름을 작게 하여 내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경사부와 연결된 평평한 하부를 구비한 형상이고, 이 디스크가 유동홀을 완전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부에 구비된 돌기가 하부케이지의 내면보다 더 안쪽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상부케이지의 돌출부위 또는, 하부케이지를 몸체에 고정시키면서 하부케이지의 내면보다 더 안쪽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제2시트의 돌출부위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바디는 내부에 장착되어 스템의 위치를 지시하는 표시기 또는 눈금자를 구비하고, 표시기 또는 눈금자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 또는 투명 슬롯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가 유동홀을 통과하여 배출구로 유동하는 동안 디스크의 이동으로 유압이 상승 또는 하락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체의 일부가 디스크를 통과하여 유동하도록 디스크에 밸런스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유동홀은 측면형상이 사각형, 원형, 깔대기 형상 또는 그릇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지에 내장된 디스크의 일부위를 관통하여 형성된 밸런스홀이 유체의 유동 경로 상에 위치하고, 이 밸런스홀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가 디스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크의 이동에 대한 유체의 유동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지에 관통하여 형성된 유동홀의 형상과 크기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다른 형상의 유동홀이 형성된 케이지를 유체의 종류 또는 사용 장소에 따라 쉽게 교체하여 디스크의 한정된 이동 범위 내에서 유체의 유동량을 가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디스크가 하면이 평평한 대략 "U"자 형상으로 제작되면서 돌기가 형성되거나 완충부가 형성되고, 이 돌기와 완충부가 위치하도록 유동홀이 형성된 케이지 일부위의 내경이 확대됨으로써, 디스크와 케이지 간의 마찰계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크의 외면에 구비된 돌기가 케이지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디스크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케이지에 형성된 유동홀을 보다 미세하게 차폐하면서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돌기는 디스크와 케이지 간의 결합해제를 방지하고, 돌기가 상,하부케이지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돌출부위 및, 하부케이지와 제2시트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돌출부위 간을 이동하도록 하여 디스크의 상,하 이동범위가 제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크의 외면에 형성되면서 충격에 강한 소재가 부착된 완충부와, 케이지와 제2시트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돌출부위가 디스크의 하향 이동에 의해 접촉함으로써, 접촉시 마모가 극소화되면서 충격에 의한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케이지가 별도로 제작된 시트를 매개로 몸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에 의해 케이지가 손쉽게 몸체에 조립될 수 있고, 케이지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결부 또는 제2바디에 표시기(indicator) 또는 눈금자를 내장하면서 이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어 또는 투명한 슬롯을 설치함으로써, 밸브의 개폐 정도를 스템의 위치에 따라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크와 케이지 사이의 기밀이 U-씨일을 포함한 다수의 기밀부재에 의해 오일 유출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케이지를 절삭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종래의 금형으로 제작된 경우보다 짧은 시간 동안 다양한 유체의 유동홀을 갖는 케이지를 제작할 수 있고, 제작 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 중유 정화 및 가열장치에서 온도조절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크와 케이지의 결합부위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의 케이지에 형성된 유동홀의 다양한 형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이어프램부의 측단면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와 기어부의 측단면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밸브몸체부의 측단면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밸브는 유체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된 몸체(110), 몸체(110)에 내장되어 이동하면서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디스크(120), 디스크(120)에 결합되어 디스크(120)의 이동을 유도하는 스템(140)을 구비한 밸브몸체부(100)와, 스템(140)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밸브몸체부(110)에 결합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구동수단이 연결부(210)와 모터 액추에이터(200)를 포함하는 제1실시 예와, 기어부(400)와 다이어프램부(300)를 포함하는 제2실시 예로 구분하여 각각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크와 케이지의 결합부위가 도시된 확대도이며,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의 케이지에 형성된 유동홀의 다양한 형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액추에이터(200), 연결부(210)와 밸브몸체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모터 액추에이터(200)는 통상적으로 모터의 회전운동을 작동로드(201)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모터 액추에이터(200)는 도 2에서와 같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하는 전환레버(202)와, 전환레버(202)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전환되면 작동로드(201)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제1핸들(203)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연결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액추에이터(200)와 밸브몸체부(10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제1바디(211)와, 제1바디(211)에 내장된 스템(140)을 포함한다. 이 스템(140)의 일측부는 액추에이터(200)의 작동로드(201)의 일단부와 클램핑방식으로 장착되고, 스템(140)의 타측부는 제1바디(211)를 관통하여 밸브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디스크(120)와 체결된다.
이러한 연결부(210)는 스템(140)의 정확한 이동을 지지하고, 모터 액추에이터(200)와 밸브몸체부(100)를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스템(140)은 연결부(210)와 밸브몸체부(100)를 걸쳐 배치되고, 이때 스템(140)과 연결부(210), 스템(140)과 밸브몸체부(100)의 기밀은 별도의 기밀부재에 의해 유지됨은 당연하다.
또한, 연결부(210)에 표시기(indicator) 또는 눈금자를 내장하고, 이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어 또는 투명한 슬롯을 구비하며, 이를 통해 스템(140)의 위치에 따라 디스크(120)의 위치를 확인하여 유동홀(131)의 개폐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밸브몸체부(100)는 유체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를 구비한 몸체(110), 몸체(110)에 내장되면서 유입구(111)의 유체가 내부를 관통하여 배출구(112)로 유동하도록 설치된 케이지(130), 케이지(130)에 내장되면서 스템(140)의 타측부와 체결된 디스크(120), 디스크(120)와, 케이지(130) 또는 몸체(110) 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디스크(120)의 외면에 장착된 기밀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10)는 연결부(210)에서 액추에이터(200)의 반대측 일부위에 고정되고, 연결부(210)에서 돌출된 작동로드(201)의 일부위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유체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구비된다. 또한, 몸체(110)는 입상인 케이지(130)의 상,하부를 각각 고정할 수 있는 제1시트(113)와 제2시트(114)를 구비하고, 제2시트(114)의 상부 내면측 부위는 케이지(13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후술된 디스크(120)의 완충부(121)와 접촉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완충부(121)의 설명부분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시트(113)와 제2시트(114)에 의해 케이지(130)가 몸체(110)에 고정됨으로써, 그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고, 케이지(130)의 교체 역시 손쉽게 이루어지며, 이는 제2실시 예에서도 동일하다.
이 몸체(110)는 적어도 하나의 철판재를 절단, 절곡과 접합 등의 공정을 통해 제작한다. 이러한 제작에 대해 몸체(110)의 일부 구성요소인 메인바디(115)와 서브바디(116)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에서와 같이 메인바디(115)는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를 마련한 부위이고, 서브바디(116)는 유입구(111)와 배출구(112)에 장착된 부위를 지칭한다. 이때,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용접이 사용된다.
메인바디(115)는 일정 크기의 철판재에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를 천공한 다음, 원통형으로 말아서 양단부를 겹쳐서 접합하여 제작한다.
서브바디(116)는 철판재를 재단하여 말아서 양단부를 접합하여 제작한다. 이렇게 접합된 서브바디(116)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더 작아지는 형상이다. 이 서브바디(116)의 일단 부위를 메인바디(115)의 유입구(111)와 배출구(112)에 접합한다.
이와 같이, 메인바디(115)와 서브바디(116)를 접합하듯이 기타 부위 역시 철판재를 재단하여 상호 접합함으로써 몸체(110)를 제작한다.
케이지(130)는 유입구(111)에서 공급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된 후 배출구(112)로 유동하도록 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입상(立像)인 상태에서 상,하부가 몸체(110)의 제1,2시트(113,114)에 의해 고정된다.이 케이지(130)는 일체형이면서 대략 양면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형상이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연결부(210)의 스템(140)이 삽입되며, 측부에는 유입구(111)의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다수의 유동홀(131)을 구비한다. 따라서, 유입구(111)의 유체가 유동홀(131)을 통과하여 개방된 하면을 통해 배출구(112)로 유동한다.
이 케이지(130)는 도 3에서와 같이 유동홀(131)이 형성된 하부의 내면은 상부의 내면보다 더 들어가도록 형성되고, 다른 표현으로는 하부의 내경이 상부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크다. 이를 통해 디스크(120)와 케이지(130) 간의 마찰계수를 최소화하였다.
여기서, 유동홀(131)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그 예로 측면형상이 도 4a에서와 같이 대략 사각형이거나 도 4b에서와 같이 대략 원형일 수 있다. 또한, 도 4c에서와 같이 하나의 유동홀(131)의 측면형상이 대략 깔대기 형상이거나 도 4d에서와 같이 대략 그릇형상일 수 있고 이외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형상은 디스크(120)가 동일한 위치로 이동하여 유동홀(131)을 차단하였을 때 개방된 유동홀(131)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미세하게 적거나 많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디스크(12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케이지(130)에 내장되고, 케이지(130)의 내면과 인접하여 기밀부재(150)를 매개로 기밀을 유지하는 상부(122), 상부(122)보다 지름을 작게 하여 내향으로 경사진 경사부(123)와, 경사부(123)와 연결된 평평한 하부(124)를 구비한 대략 "U"자 형상과 유사하고, 개방된 상면을 통과한 스템(140)의 일측부가 하부(124)와 체결된다.
여기서, 디스크(120)가 이동하면서 상부(122)는 몸체(110)의 제1시트(113)와 케이지(130)의 내면과 접촉하게 되고, 이때 상부(122)의 외면과, 제1시트(113)와 케이지(130)의 내면 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상부(122) 외측면에 O-링과 U-링이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기밀부재(150)가 장착된다. 따라서, 디스크(120)가 스템(140)에 의해 이동하게 되면 몸체(110)와 케이지(130)의 내면은 기밀부재(150)에 의해 디스크(120)의 외면과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디스크(120)의 하부(124)에는 외부와 내부가 통할 수 있도록 밸런스홀(125)이 타공되고, 이 밸런스홀(125)은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1개의 홀이거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로 형성된다. 이는, 케이지(130)에 유입된 유체가 배출구(112)로 유동하는 동안 디스크(120)가 강하게 이동하게 되면 유체의 일부가 밸런스홀(125)을 통해 디스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크(120)의 강한 이동으로 인한 유체의 압력 상승 또는 하락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이때, 디스크(120)는 변형된 형상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판(plate)형상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밸런스홀(125)은 두께를 관통하여 타공될 수 있다. 이때, 하부(124)와 스템(140)은 이중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하여 장착된다.
또, 도 3에서와 같이, 디스크(120)의 상부(122)측 경사부(123)에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완충부재로 내마모성과 고온 경도가 매우 큰 스텔라이트(stellite)가 용접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완충부(121)를 구비한다. 물론, 스텔라이트 이외에도 마모에 강하고, 고온에 강한 경도를 가지는 재질이 용접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입상인 상태의 케이지(130) 하부(124)를 몸체(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2시트(114)가 장착되고, 이 제2시트(114)의 상부 내면측 부위는 케이지(130)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배치로 형성된 제2시트(114)의 돌출부위는 디스크(12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완충부(121)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120)가 유동홀(131)을 모두 폐쇄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디스크(120)의 완충부(121)와 제2시트(114)의 돌출부위와의 접촉으로 디스크(120)의 초과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완충부(121)와 접촉하는 제2시트(114)의 돌출부위 모서리는 완충부(121)와의 접촉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굴곡지게 한다.
<작동>
자동모드인 상태에서 모터 액추에이터(200)가 작동하여 작동로드(201)가 이동하면 스템(140) 역시 이동하고, 스템(140)에 의해 디스크(120)가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디스크(120)가 케이지(130)의 유동홀(131)을 일부 또는 완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유입구(111)에서 유동홀(131)을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한다.
이때, 디스크(120)가 하사점(bottom dead center)까지 이동한 경우 디스크(120)의 완충부(121)가 제2시트(114)의 돌출부위와 접촉하여 더 이상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유체가 유동홀(131)을 통과하여 배출구(112)로 유동하는 동안, 디스크(120)가 유체에 압력을 무리하게 증가시키도록 이동하면, 디스크(120)의 밸런스홀(125)을 통해 일부 유체가 디스크(120)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유체의 급작스런 압력 상승 또는 하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유동홀(131)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디스크(120)가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더라도 유동홀(131)을 통과하여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비상시 또는 인위적으로 유동량의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전환레버(202)를 조작하여 자동모드를 수동모드로 전환한다.
그 다음, 제1핸들(203)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작동로드(201)의 이동을 유도하고, 이로 인해 스템(140)과 디스크(120) 역시 이동하게 되면서 유체의 유동량이 조절된다.
<제2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다이어프램부의 측단면이 도시된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와 기어부의 측단면이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밸브몸체부의 측단면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는 제1실시 예와 비교하여 보면, 액추에이터(200) 대신 다이어프램부(300)로 대체되고, 연결부(210) 대신 기어부(400)로 대체되며, 밸브몸체부(100)에서 약간의 구조적인 변경이 있다. 그러므로, 제1실시 예와 대비하여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상술된 설명으로 대체하면서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부(300), 기어부(400)와 밸브몸체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다이어프램부(300)는 기어부(400)에 장착되면서 도 1에서의 온도제어기(12)와 연결된 볼륨부스터(320), 볼륨부스터(320)와 연계 설치된 밸브포지셔너(330,valve posioner), 볼륨부스터(32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된 다이어프램커버(340), 다이어프램커버(340)에 내장되면서 볼륨부스터(320)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해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 다이어프램(350), 다이어프램(350)의 위치 복귀를 위해 다이어프램커버(340)에 내장된 탄성부재(360)와, 다이어프램(350)에 일단측 부위가 장착된 푸시로드(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다이어프램커버(340)는 상,하부 다이어프램커버가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볼륨부스터(320)는 유입 및 배출압력이 일정한 비례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제품을 이용한다.
밸브포지셔너(330)는 볼륨부스터(320)와 연계 설치되고, 다이어프램(350)을 사용하는 동안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를 가능한 작게 하기 위해 다이어프램에 공급하는 공기의 양을 가감하는 것으로 통상의 제품을 이용한다.
다이어프램커버(340)는 내부에 다이어프램(350)과 탄성부재(360)가 내장되고, 다이어프램(350)과 결합된 푸시로드(310)의 일부위가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다이어프램커버(340)는 볼륨부스터(320)와 연결되고, 볼륨부스터(320)에서 공급된 공기가 다이어프램(350)에 전달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이어프램(350)은 다이어프램커버(340)에 내장되면서 푸시로드(310)의 일단측 부위와 체결되고, 볼륨부스터(320)에서 공급된 공기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탄성부재(360)는 다이어프램(350)에 연계 배치되고, 다이어프램(350)이 일방향으로 공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탄성부재(360)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푸시로드(310)는 일단측 부위가 다이어프램(350)에 설치되고, 다이어프램(350)과 함께 이동하도록 장착되며, 타단측 부위가 기어케이스(410)를 통과하여 제2바디(460)의 내부에서 스템(140)과 결합된다. 물론, 다이어프램부(300)와 기어부(400)에 걸쳐 배치된 푸시로드(310)는 다이어프램부(300)와 기어부(400)와의 기밀이 별도의 기밀부재에 의해 유지됨은 당연한다.
다음으로, 기어부(400)는 다이어프램커버(340)와 체결되는 기어케이스(410), 기어케이스(410)에 내장되면서 기어케이스(410)를 관통하는 푸시로드(310)를 감싸도록 설치된 기어(420), 기어(420)와 연계 작동하도록 설치된 웜(430)과 웜휠(440), 웜휠(440)을 동작시키도록 설치된 제2핸들(450), 기어케이스(410)와 밸브몸체부(100)에 개재되어 체결되는 제2바디(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어케이스(410)는 다이어프램커버(340)에 장착되고, 푸시로드(310)가 관통하며, 기어(420)가 내장되면서 웜(430), 웜휠(440)과 제2핸들(450)이 연계 설치된다.
기어(420)는 기어케이스(410)에 내장되면서 푸시로드(310)를 감싸면서 고정된다. 이 기어(420)는 푸시로드(31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거나 웜(430)과 웜휠(440)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면서 푸시로드(31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웜휠(440)은 기어(420)와 연계 설치되고, 웜(430)은 웜휠(440)과 연계 설치된다. 따라서, 웜(430)과 웜휠(440)의 작동은 기어(42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제2핸들(450)은 웜(430)을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웜(430)과 웜휠(440)을 작동시켜 기어(420)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설치된다.
제2바디(460)는 기어케이스(410)에 장착되고, 내부에서는 기어케이스(410)를 관통한 푸시로드(310)의 타단측 일부위가 스템(140)의 일단측 부위와 체결된다. 이 제2바디(460)에서는 스템(140)의 정확한 이동을 지지하고, 기어케이스(410)와 밸브몸체부(100)를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바디(460)에 표시기(indicator) 또는 눈금자를 내장하고, 이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어 또는 투명한 슬롯을 구비하며, 이를 통해 스템(140)의 위치에 따라 디스크(120)의 위치를 확인하여 유동홀(131)의 개폐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밸브몸체부(100)는 제1실시 예의 그것과 거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상술된 설명으로 대체하고, 필요한 부분 및 변경된 구조적 설명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이 밸브몸체부(100)는 유체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를 구비한 몸체(110), 몸체(110)에 내장되면서 유입구(111)의 유체가 내부를 관통하여 배출구(112)로 유동하도록 설치된 케이지(130), 케이지(130)에 내장되면서 스템(140)의 타측부와 체결된 디스크(120), 디스크(120)와, 케이지(130) 또는 몸체(110) 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디스크(120)의 외면에 장착된 기밀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몸체(110), 디스크(120), 케이지(130)와 기밀부재(150)는 제1실시 예와 유사하므로 공통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한다.
몸체(110)는 유입구(111)와 배출구(112), 그리고 입상인 케이지(130)의 상,하부를 각각 고정할 수 있는 제1시트(113)와 제2시트(114)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시트(114)의 상부 내면측 부위는 케이지(13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이런 배치에 의한 제2시트(114)의 돌출부위는 후술된 디스크(120)의 돌기(126)와 접촉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돌기(126)를 설명한 부분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케이지(130)는 상부케이지(132)와 하부케이지(133)가 결합되고, 양면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형상이며, 하부케이지(133)에 다수의 유동홀(131)이 형성된다. 또, 상부케이지(132)의 상부는 제1시트(113)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케이지(133)의 하부는 제2시트(114)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유동홀(131)의 형상 및 크기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게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케이지(132)와 하부케이지(133)의 결합부위는 도 8에서와 같이, 측단면 형상에서 보면 상부케이지(132)의 내면측 부위가 하부케이지(133)에 대해 내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이 배치는 후술된 디스크(120)의 돌기(126)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이때, 도 8의 확대된 부위에서 보듯이 상부케이지(132)의 두께는 하부케이지(133)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부케이지(133)와 제2시트(114)의 결합부위는 도 8에서와 같이, 측단면 형상으로 보면 제2시트(114)의 내면측 부위가 하부케이지(133)에 대해 내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이 배치는 후술된 디스크(120)의 돌기(126)의 하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디스크(120)와 케이지(130) 간의 마찰계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돌기(126)에 의해 디스크(120)와 케이지(130)의 결합해제를 방지할 수도 있다.
디스크(120)는 케이지(130)의 내면과 인접하여 기밀부재(150)를 매개로 기밀을 유지하는 상부(122), 상부(122)보다 직경을 작게 하여 내향으로 경사진 경사부(123)와, 경사부(123)와 연결된 평평한 하부(124)를 구비한 대략 "U"자 형상과 유사하다. 이 디스크(120)의 하부(124)는 케이지(13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기어부(400)의 제2바디(460)를 통과한 스템(140)이 결합되고, 밸런스홀(125)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124)와 스템(140)은 이중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하여 장착된다. 또한, 디스크(120)의 변형 형상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판(plate)형상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밸런스홀(125)은 두께를 관통하여 타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120)에서 경사부(123)와 인접한 상부(122)의 외면에는 외향 돌출된 돌기(126)가 형성된다. 물론, 기어부(400)와 밸브몸체부(100)에 걸쳐 배치된 스템(140)은 기어부(400)와 밸브몸체부(100)와의 기밀이 별도의 기밀부재에 의해 유지됨은 당연하다.
여기서, 돌기(126)는 디스크(120)의 둘레에 평면상 환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돌기(126)는 유동홀(131)을 완전히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디스크(120)가 이동하였을 때, 상부케이지(132)와 하부케이지(133)의 결합부위, 하부케이지(133)와 제2시트(114)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돌출된 부위와 접촉되고, 이 접촉으로 인해 디스크(120)의 과도한 이동을 제한된다. 또한, 돌기(126)의 첨예부위는 하부케이지(133)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정도로 돌출되고, 디스크(120)가 이동하는 동안 돌기(126)의 위치는 유동홀(131)의 개폐 정도를 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지(132)와 하부케이지(133)의 결합부위와, 하부케이지(133)와 제2시트(114)와 접촉하는 돌기(126)의 첨예부위는 도 8에서와 같이 제2시트(114)측 일부위 또는 반대측 일부위 또는 양부위에 도 3의 완충부(121)를 형성할 수 있고,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디스크(120)의 상부(122) 외면에는 제1시트(113)와 상부케이지(132)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부재(150)가 장착된다. 이 기밀부재(150)는 O-링과 U-링을 포함한 다수의 부재가 상부(122)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작동>
볼륨부스터(320)에서 조정된 공기가 다이어프램커버(340)에 유입되면 다이어프램(350)이 이동하고, 다이어프램(350)에 일단측 부위가 장착된 푸시로드(310)가 이동하며, 푸시로드(310)의 타측단 부위에 일단측 부위가 장착된 스템(140)이 이동하고, 스템(140)의 타측단 부위에 장착된 디스크(120)가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디스크(120) 및 돌기(126)가 케이지(130)의 유동홀(131)을 일부 또는 완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유입구(111)에서 유동홀(131)을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한다.
여기서, 디스크(120)가 상사점(top dead center)까지 이동한 경우 디스크(120)의 돌기(126)가 상부케이지(132)의 돌출부위와 접촉되고, 하사점까지 이동한 경우 디스크(120)의 돌기(126)가 제2시트(114)의 돌출부위와 접촉되어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유체가 이동하는 동안 디스크(120)가 이동하면 디스크(120)의 밸런스홀(125)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급작스런 압력 상승 또는 하락이 최소화된다.
한편, 비상시 또는 인위적으로 유동량의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제2핸들(45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웜(430)과 웜휠(440), 기어를 동작시키고, 연계하여 푸시로드(310)와 스템(140)을 이동시켜 궁극적으로 디스크(120)를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밸브몸체부 110:몸체
111:유입구 112:배출구
113:제1시트 114:제2시트
115:메인바디 116:서브바디
120:디스크 121:완충부
122:상부 123:경사부
124:하부 125:밸런스홀
126:돌기 130:케이지
131:유동홀 132:상부케이지
133:하부케이지 140:스템
150:기밀부재 200:액추에이터
201:작동로드 202:전환레버
203:제1핸들 210:연결부
211:제1바디 300:다이어프램부
310:푸시로드 320:볼륨부스터
330:밸브포지셔너 340:다이어프램커버
350:다이어프램 360:탄성부재
400:기어부 410:기어케이스
420:기어 430:웜
440:웜휠 450:제2핸들
460:제2바디.

Claims (10)

  1. 유체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를 구비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내장되고, 양면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형상이면서 측부에 상기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동홀(131)이 형성된 케이지(130)와,
    상기 케이지(130)에 내장되고, 일단측 부위가 결합된 스템(140)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유동홀(131)을 개폐하는 디스크(120)를 포함하는 밸브몸체부(100);
    상기 스템(140)의 이동을 유도하면서 몸체(110)에 장착된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몸체(110)에 장착되면서 상기 스템(140)의 타측 부위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1바디(211)를 구비하는 연결부(210)와,
    상기 스템(140)의 타단측 부위가 결합되는 작동로드(201)를 구비하고, 이 작동로드(201)를 왕복이동시켜 스템(140) 및 디스크(120)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제1바디(211)에 장착된 모터 액추에이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액추에이터(200)는 작동로드(201)의 이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설치된 전환레버(202)와, 수동모드시 상기 작동로드(201)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제1핸들(203)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20)는 케이지(130)의 내면과 인접하여 기밀부재(150)를 매개로 기밀을 유지하는 상부(122), 상기 상부(122)보다 지름을 작게 하여 내향으로 경사진 경사부(123)와, 상기 경사부(123)와 연결된 평평한 하부(124)를 구비한 형상이고,
    상기 디스크(120)가 유동홀(131)을 완전 폐쇄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상부(122)측 경사부(123)에는 완충부재가 저면에 부착된 오목한 형상의 완충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121)가 접촉하도록 상기 몸체(110)에는 케이지(130)의 하부를 고정시키면서 상기 케이지(130)의 내면보다 더 안쪽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제2시트(1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211)는 내부에 장착되어 스템(140)의 위치를 지시하는 표시기 또는 눈금자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기 또는 눈금자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 또는 투명 슬롯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5. 유체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를 구비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내장되고, 양면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형상인 상부케이지(132)와 하부케이지(133)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케이지(133)의 측부에 상기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동홀(131)이 형성된 케이지(130)와,
    상기 케이지(130)에 내장되고, 일단측 부위가 결합된 스템(140)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유동홀(131)을 개폐하는 디스크(120)를 포함하는 밸브몸체부(100);
    상기 스템(140)의 이동을 유도하면서 몸체(110)에 장착된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몸체(110)에 장착되면서 스템(140)의 타측부가 관통하는 제2바디(460), 상기 제2바디(460)에 장착되면서 스템(140)의 타단측 부위가 내부에 위치되는 기어케이스(410), 상기 스템(140)의 타단측 부위와 결합되는 푸시로드(310)의 일부위에 고정된 기어(420), 상기 기어(420)와 연계 동작하도록 설치된 웜(430)과 웜휠(440), 상기 웜휠(440)을 작동시키도록 설치된 제2핸들(450)을 구비한 기어부(400)와,
    상기 기어케이스(410)에 장착되고, 상기 푸시로드(310)의 일부위가 내부에 위치하는 다이어프램커버(340), 상기 다이어프램커버(340)에 내장되면서 푸시로드(310)의 타단측 부위가 결합되어 공압에 의해 이동하도록 설치된 다이어프램(350), 이동한 상기 다이어프램(35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설치된 탄성부재(360)를 구비한 다이어프램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부(300)는 다이어프램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볼륨부스터(320), 상기 다이어프램(350)의 히스테리시스에 대비하여 다이어프램(350)에 공급하는 공기의 양을 가감하기 위해 상기 볼륨부스터(320)와 연계 설치된 밸브포지셔너(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20)는 케이지(130)의 내면과 인접하여 기밀부재(150)를 매개로 기밀을 유지하는 상부(122), 상기 상부(122)보다 지름을 작게 하여 내향으로 경사진 경사부(123)와, 상기 경사부(123)와 연결된 평평한 하부(124)를 구비한 형상이고,
    상기 디스크(120)가 유동홀(131)을 완전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상부(122)에 구비된 돌기(126)가 상기 하부케이지(133)의 내면보다 더 안쪽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상부케이지(132)의 돌출부위 또는, 상기 하부케이지(133)를 몸체(110)에 고정시키면서 하부케이지(133)의 내면보다 더 안쪽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제2시트(114)의 돌출부위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460)는 내부에 장착되어 스템(140)의 위치를 지시하는 표시기 또는 눈금자와, 상기 표시기 또는 눈금자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 또는 투명 슬롯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9.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유동홀(131)을 통과하여 배출구(112)로 유동하는 동안 상기 디스크(120)의 이동으로 유압이 상승 또는 하락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유체의 일부가 디스크(120)를 통과하여 유동하도록 상기 디스크(120)에 밸런스홀(1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131)은 측면형상이 사각형, 원형, 깔대기 형상 또는 그릇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KR1020160025525A 2016-03-03 2016-03-03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KR20160030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525A KR20160030916A (ko) 2016-03-03 2016-03-03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525A KR20160030916A (ko) 2016-03-03 2016-03-03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327A Division KR101601758B1 (ko) 2014-04-24 2014-04-24 유체 제어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916A true KR20160030916A (ko) 2016-03-21

Family

ID=5565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525A KR20160030916A (ko) 2016-03-03 2016-03-03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09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496A (zh) * 2018-04-03 2018-09-11 芜湖孺子牛节能环保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流体节流装置
WO2022225758A1 (en) * 2021-04-22 2022-10-27 Celeros Flow Technolog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 stack tri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496A (zh) * 2018-04-03 2018-09-11 芜湖孺子牛节能环保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流体节流装置
CN108518496B (zh) * 2018-04-03 2020-05-12 廊坊市派博力克科贸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流体节流装置
WO2022225758A1 (en) * 2021-04-22 2022-10-27 Celeros Flow Technolog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 stack trim
US11691231B2 (en) 2021-04-22 2023-07-04 Celeros Flow Technolog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 stack tri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3086B2 (ja) 三方電磁弁
EP2689168B1 (en) Back pressure regulating valve with valve cartridge
US7543604B2 (en) Control valve
RU2447345C2 (ru) Регулирующий клапан
KR101601758B1 (ko) 유체 제어밸브
EP2898244B1 (en) Fluid regulator and method of improving stability of a fluid regulator
JP5952150B2 (ja) 燃料電池用電磁弁
US6530528B2 (en) Refrigerant expansion valve having electrically operated inlet shutoff with improved armature dampening
EP3063438B1 (en) Valve plug for pressure regulator
KR20160030916A (ko) 유체 제어용 밸런스홀이 구비된 제어밸브
KR20150024789A (ko) 감압 밸브
US8220774B2 (en) Proportional pilot acting valve
JP2008052381A (ja) 小流量微圧用減圧弁
WO2014010412A1 (ja) 流体制御器用アクチュエータ
WO2014121796A1 (en) A magnetic valve with an armature arranged inside a piston
JP6412443B2 (ja) 電動弁
RU189514U1 (ru) Клапан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с руч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US10927971B2 (en) Faucets
US6988513B2 (en) Proportional valve
JP7305237B2 (ja) 流量制御弁
US11268621B2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KR101634969B1 (ko) 비상 제어 기능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US20090026393A1 (en) Mechanism for a flow control device with buffer chamber
JP2018200113A (ja) 電動弁
WO2019187471A1 (ja) 流量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