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620A - 멸균판정기 - Google Patents

멸균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620A
KR20160030620A KR1020140119948A KR20140119948A KR20160030620A KR 20160030620 A KR20160030620 A KR 20160030620A KR 1020140119948 A KR1020140119948 A KR 1020140119948A KR 20140119948 A KR20140119948 A KR 20140119948A KR 20160030620 A KR20160030620 A KR 20160030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housing
microbial
sterilization
microorg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화
Original Assignee
김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화 filed Critical 김창화
Priority to KR102014011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0620A/ko
Publication of KR20160030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61L2/28Devic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r completeness of sterilisation, e.g. indicators which change colou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ell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멸균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멸균판정기는 시약을 밀폐된 상태로 수용하는 앰플; 미생물을 내포하는 미생물 스트립; 상기 앰플 및 상기 미생물 스트립을 수용하는 내측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개방된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단의 저면에는 상기 미생물 스트립을 상기 저면과 이격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막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수용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마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에 의하여 멸균용 EOG(에틸렌 옥사이드 가스)가 미생물 스트립의 주위를 용이하게 순환가능한 순환 구조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동일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종래의 판정기에 비하여 효율적인 멸균 테스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멸균판정기{ sterilization indicating device}
본 발명은 생물학적 멸균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EO 가스(ethylene oxide gas) 등을 이용하는 멸균공정의 상태를 생물학적으로 판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사용이 가능한 의료 장치나 식품 용기 등에 대해 여러 가지 살균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고압증기에 의한 스팀멸균, EO 가스(EOG) 멸균, 또는 플라즈마 멸균 등을 들 수 있다.
의료시설에서는 메스나 주사기 등의 피멸균물을 가스 투과성으로서 미생물 등이 통과 불가능한 영역을 가지는 포장 주머니에 넣어 밀봉한 후 멸균 처리를 하고, 멸균된 기구는 수술 등에 사용하기 전까지 포장 주머니 내에 수납되며 수술이나 치료시에 개봉하여 사용된다.
이 때 감염에 의한 의료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밀봉된 포장 재료에 담긴 기구의 살균 상태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 멸균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는 멸균 처리 시에 비가역적으로 변색되는 잉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멸균 환경 내에서 보다 효율적인 멸균제 순환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멸균판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균 환경 내에서 미생물 스트립이 멸균제에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멸균판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멸균판정기 자체의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는 포장 수단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멸균판정기는 미생물을 내포하는 미생물 스트립; 미생물을 배양하는 시약을 밀폐된 상태로 수용하는 유리재질의 배양액 앰플; 상기 미생물 스트립 및 배양액 앰플을 수용하는 내측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가스투과성의 종이필터에 의해 반밀폐된 입구가 형성되며, 타측 단의 저면에는 상기 미생물 스트립을 상기 저면과 이격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막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수용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마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생물 스트립은 상기 앰플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앰플은 상기 미생물 스트립 측 단부가 하향 돌출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 스트립은 상기 앰플의 곡면 단부를 적어도 일부 수용가능하도록 접힌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수용되고, 내부에 질소 충전된 상태로 밀폐되는 포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는 측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된 형상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제2 돌출부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내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에 의하여 멸균용 EOG(에틸렌 옥사이드 가스)가 미생물 스트립의 주위를 용이하게 순환가능한 구조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동일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 종래의 판정기에 비하여 가혹한 조건 하에서도 멸균에 대한 반응성 및 재현율이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개부의 관통구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멸균 가스 등을 유입시킴으로써 효율적인 멸균 테스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 내부의 필터의 손상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마개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마개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판정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판정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판정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판정기의 포장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마개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마개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마개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하우징(200)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하우징(200)의 몸체(210)에는 후술할 앰플 등의 구성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측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200)의 내측 저면에는 돌출부(220)가 형성된다. 돌출부(220)는 저면의 일부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개부(100)는 하우징(200) 상부 개방된 입구를 막는다. 또한 마개부(10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으로부터 하향 관통된 형상의 관통구(110)가 형성된다. 관통구(110)는 마개부(100)가 하우징(200)의 상부를 막고 있는 경우에도 하우징(2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00)이 멸균 환경하에 놓이게 되는 경우 EO 가스 등이 관통구(110)를 통하여 하우징(200) 내부로 스며들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100)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의 세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관통구(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갈래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110)의 각 갈래 사이에는 확장부(119)가 형성된다. 황장부(119)는 관통구(110)의 중심축 방향으로의 내경을 확장시킨 부분으로서 관통구(110)를 통하여 EO 가스 등이 더욱 효율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기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100)에 의하면 멸균에 이용되는 가스 등이 하우징(200) 내로 보다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멸균판정기 자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하우징(200) 및 마개부(100)는 멸균 공정에 사용되는 조건 및 화학적 성질에 적합하여야 한다. 하우징(200) 및 마개부(100)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펜텐 및 폴리에스테르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마개부(100)의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는 차단하고 멸균제는 통과될 수 있도록 필터링하는 필터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필터부에 대하여는 이후 상술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판정기를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판정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판정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판정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앰플(350)이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앰플(350)은 멸균공정 처리 후 손으로 눌렀을 때 배양액이 쉽게 누출되도록 깨지기가 용이한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앰플은 일정한 길이를 갖고 양 단부가 곡면으로 된 형상이거나, 또는 일측 단부는 곡면 타측 단부는 평면으로 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앰플(350)은 내부에 미생물의 배양 및 배양을 판정하는 시약을 밀폐된 상태로 수용하고 있다. 이 때 시약은 후술할 미생물 스트립(400)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배양되면서 생산되는 대사산물 등과 반응하여 미생물 등의 잔존 여부 또는 치사율을 판정할 수 있는 시약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약의 종류는 국제특허출원 공개번호 W02008/082728 ?嫄?인디케이터?등의 문헌에 상세히 공개되어 있다.
미생물 스트립(400)은 돌출부(220)와 앰플(300) 사이에 위치하고, 사각형 스트립 또는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미생물 스트립(400)은 앰플의 곡면이 형성된 단부를 적어도 일부 수용 가능하게 하향 돌출되도록 접힌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생물 스트립(400)은 프리온류, 바이러스류, 방선균 등을 포함하는 세균류, 진균류, 원생동물의 의 영양세포 또는 그 포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미생물로는 예를 들면, 프리온류(Prions), 바이러스류(Viruses), 대장균(Escherichia sp.), 바실러스(Bacillus sp.), 슈도모나스(Pseudomonas sp.), 연쇄상구균(Stereptococcus sp.),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p.),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sp.),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sp.), 페니실리움(Penicillium sp.), 효모와 곰팡이와 버섯이 포함되는 담자균류(Basidomycota) 및 자낭균류(Ascomycota) 등의 영양세포 또는 그 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220)에 의하여 미생물 스트립(400)은 하우징(200)의 저면에 부착되지 않게 된다. 즉, 돌출부(220)에 의하여 미생물 스트립(400)과 하우징(200)의 저면과는 이격된 상태가 되며, 이격된 공간으로는 멸균에 이용되는 가스가 용이하게 순환하고, 멸균제 농도에 대하여 정량적인 반응이 관찰될 수 있다.
마개부(100)의 저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20)가 구비된다.
필터부(120)는 마개부(100)의 관통구(11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동시에 외부의 멸균 가스가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필터링한다. 필터부(120)는 종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20)는 마개부(100)의 측면 방향으로 접혀 올려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마개부(100)의 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105)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마개부(100)의 측면 방향으로 접혀 올려진 필터부(120)는 제2 돌출부(105)와 하우징(200)의 내주면 사이에 끼여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 경우 마개부(100)의 중심축으로부터 제2 돌출부(105)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하우징(2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마개부(100)가 억지 끼움방식으로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앰플(300)과 하우징(20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앰플(300)과 하우징(200) 사이의 간극으로는 멸균 환경 하에서 멸균에 이용되는 가스가 진입한다. 멸균 가스 등은 마개부(100)의 관통구(110)를 통하여 진입한 후, 앰플(300)과 하우징(20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미생물 스트립(400)에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멸균판정기(10)를 일정 시간 동안 멸균 환경 하에 노출시켜 미생물 스트립(400)에 포함된 미생물의 영양세포 또는 그 포자의 멸균 여부에 의하여 멸균의 효과 및 정도를 판정하게 된다. 이 때 멸균의 판정은 앰플(300) 내에 수용된 시약(350)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먼저 사용자는 시약(350)과 미생물 스트립(400)을 접촉시키기 위하여 앰플(300)을 파손시켜 시약(350)이 앰플(300) 외부로 흘러 나오도록 한다. 앰플(300) 외부로 흘러나온 시약(350)은 미생물 또는 그 포자의 스트립(400)이 배양되는 동안 접촉 및 반응하여 미생물 등의 잔존 여부 또는 치사율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판정기의 포장부재를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판정기의 포장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러한 멸균판정기는 미생물 스트립(400)에 포함된 미생물이 존재하여야 멸균 상태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미생물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자연적으로 소멸할 수 있기 때문에 멸균판정기의 유통 기한은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예에 따른 멸균판정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장 부재(500)는 알루미늄 또는 에틸렌비닐알콜(Ethylene Vinyl Alcohol)이 적층된 비닐 파우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장 부재(500)의 내부에 질소를 충진함으로써 유통중의 충격을 흡수하여 멸균판정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포장 부재(500)의 내부에 수용된 멸균판정기 중 미생물 스트립이 공기중 산소에 의한 산화로 사멸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로서 멸균판정기 자체의 안전한 유통과 유통기한 증가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판정기에 따르면, 멸균 가스 등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고, 멸균 가스의 순환 구조를 향상시켜 판정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또한 질소 충진된 포장 부재를 이용하여 멸균판정기 자체의 안전한 유통과 유통 기한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 멸균판정기
100: 마개부
110: 관통구
120: 필터
200: 하우징
210: 몸체
220: 돌출부
300: 앰플
350: 시약
400: 미생물 스트립
500: 포장 부재

Claims (9)

  1. 시약을 밀폐된 상태로 수용하는 앰플;
    미생물의 영양세포 또는 그 포자를 내포하는 미생물 스트립;
    상기 앰플 및 상기 미생물 스트립을 수용하는 내측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개방된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단의 저면에는 상기 미생물 스트립을 상기 저면과 이격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막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수용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마개부; 및
    상기 관통구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는 차단하고 멸균제 가스는 통과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멸균판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스트립은 상기 앰플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멸균판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은 상기 미생물 스트립 측 단부가 하향 돌출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멸균판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스트립은 상기 앰플의 곡면 단부를 적어도 일부 수용 가능하도록 접힌 상태로 구비되는 멸균판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멸균판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수용되고, 내부에 질소 충전된 상태로 밀폐되는 포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멸균판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미생물 스트립은 점접촉을 하는 멸균판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측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된 형상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되는 멸균판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제2 돌출부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하우징의 내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는 멸균판정기.
KR1020140119948A 2014-09-11 2014-09-11 멸균판정기 KR20160030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948A KR20160030620A (ko) 2014-09-11 2014-09-11 멸균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948A KR20160030620A (ko) 2014-09-11 2014-09-11 멸균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620A true KR20160030620A (ko) 2016-03-21

Family

ID=5565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948A KR20160030620A (ko) 2014-09-11 2014-09-11 멸균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06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82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the sufficiency of sterilization
US5736355A (en) Self contained biological indicator
AU2018304141B2 (en) Device for trapping an initial flow of blood
US4580682A (en) Self-contained indicator device
EP3260141A1 (en) Self-contained biological indicator
ES2866982T3 (es) Conjunto de recipiente de recogida de muestras
US10465228B2 (en) Filtration system and use thereof
EP3389732B1 (en) Self-contained biological indicator
EP0206166A1 (en) Self-contained indicator device
KR0150454B1 (ko) 살균 소독기 테스트 팩
JP7005343B2 (ja) 内蔵型生物学的インジケータ
US20090311739A1 (en) Device for activating a self-contained biological indicator
US20110250677A1 (en) Apparatus for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a Sterilization Process
JPWO2005075624A1 (ja) 簡易携帯型菌検出器具
JP4703876B2 (ja) 菌検出器
JP2022551403A (ja) 液体滅菌剤と共に使用される生物学的インジケータ
KR20160030620A (ko) 멸균판정기
US11473120B2 (en) Reference test body, use, test chamber, and method
CN209827658U (zh) 环氧乙烷低温消毒包
JP5189480B2 (ja) 菌検出器具
CN110051871A (zh) 一种生物去污过程挑战装置
JP2013066494A (ja) 菌検出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