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734A - Detecting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 Google Patents

Detecting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734A
KR20160029734A KR1020157032528A KR20157032528A KR20160029734A KR 20160029734 A KR20160029734 A KR 20160029734A KR 1020157032528 A KR1020157032528 A KR 1020157032528A KR 20157032528 A KR20157032528 A KR 20157032528A KR 20160029734 A KR20160029734 A KR 20160029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device
binding domain
receptor
ligand binding
lb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피터 스와트
배리 에릭 트루보디
Original Assignee
스텔렌보쉬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텔렌보쉬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스텔렌보쉬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160029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7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ormones or other non-cytokine intercellular protein regulatory factors such as growth factors, including receptors to hormones and growth factors
    • G01N33/743Steroid horm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hormones
    • C07K14/721Steroid/thyroid hormone superfamily, e.g. GR, EcR, androgen receptor, oestrogen recep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7/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peptides; Preparation thereof
    • C07K17/02Peptides being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 C07K17/06Peptides being immobilised on, or in, an organic carrier attached to the carrier via a bridging ag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enzyme label (including co-enzymes, co-factors, enzyme inhibitors or substr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2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hormones
    • G01N2333/723Steroid/thyroid hormone superfamily, e.g. GR, EcR, androgen receptor, oestrogen recep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분비 교란 화합물의 검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지체 구조 및 상기 지지체 구조 상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성 호르몬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LBD)을 포함하는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검출 장치는 지지체 구조 위에 LBD를 고정화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체 구조와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 사이에 링커 분자를 더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detection of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In particular, the invention provides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comprising a support structure and a ligand binding domain (LBD) of at least one sex hormone receptor immobilized on said support structure. The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linker molecules between the support structure and the ligand binding domain for immobilizing the LBD on the support structure.

Description

내분비 교란 화합물 검출{DETECTING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DETECTING ENDOCRINE DISRUPTION COMPOUNDS < RTI ID = 0.0 >

본 발명은 내분비 교란(endocrine disrupting) 화합물의 검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 및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detection of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and a method for detecting a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환경에서 특정 호르몬 활성제는 잘못된 신호를 보내거나 또는 적법한 신호를 차단하는 것에 의해 내분비계의 화학적 메신저(호르몬)를 교란할 수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내분비 교란 화합물(EDC)로도 공지된 추정 호르몬 활성제는 호르몬의 생리적 작용을 모방하거나, 차단하고 또 교란하는 것에 의해 인간과 야생생물에 대해 유해 효과를 나타낸다. 미국 내분비학회는 내분비 교란물질이 남성 및 여성 생식, 가슴 발육 및 암, 전립선암, 신경내분비, 갑상선 활성, 대사, 비만 및 심혈관계 내분비에 영향을 주는 증거를 나타내는 종합 보고를 2009년 행하였다(Diamanti-Kandarakis et al., 2009). 이 보고는 동물 모델, 인간 임상 관찰, 및 역학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EDC가 공중 건강에 대한 중요한 염려를 제공하는 압도적인 증거를 공급한다고 결론짓는다. It is well known that certain hormone activators in the environment can disturb the chemical messenger (hormones) of the endocrine system by sending false signals or blocking legitimate signals. Estimated hormone activators, also known as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EDC), have a deleterious effect on humans and wildlife by mimicking, blocking and disturbing the physiological actions of hormones. The American Endocrinology Society conducted a comprehensive report in 2009 that showed evidence that endocrine disruptors affect male and female reproduction, breast development and cancer, prostate cancer, neuroendocrine activity, thyroid activity, metabolism, obesity, and cardiovascular endocrinology (Diamanti -Kandarakis et al., 2009). This report concludes that results from animal models, human clinical observations, and epidemiological studies provide overwhelming evidence that EDCs provide important concerns about public health.

호르몬은 표적 세포 중의 자신의 상응하는 수용체(receptor)와 상호작용하여 성장, 발달, 거동 및 생식과 같은 반응 및 신속한 정상적인 생물학적 기능을 유발하는 작용을 발휘한다. EDC의 경우에서와 같이, 호르몬의 활성에 대한 간섭은 왜소 성장, 단기 기억 손상, 난관임신, 낮은 정자 수치, 생식장해 및 면역계 손상을 비롯한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 비정상 생물학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연구자들이 이들 유해 화합물에 의한 인간 및 야생생물에 대하여 유발된 악영향을 지속적으로 연구함에 따라서, 이들은 현저히 낮은 투여량으로 중요하고, 흔히 영구적인 효과를 계속 찾고 있음이 분명하다. Hormones interact with their corresponding receptors in target cells to exert their effects, such as growth, development, behavior and reproduction, and prompt normal biological function. As in the case of EDC, interference with the activity of hormones can lead to reversible or irreversible abnormal biological outcomes, including dwarf growth, short term memory impairment, tubal pregnancy, low sperm count, reproductive and immune system damage. As researchers continue to study the adverse effects caused by these harmful compounds on humans and wildlife, they are likely to continue to be of significant, and often permanent, effect at significantly lower doses.

내분비 교란 화합물은 3개의 주요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안드로겐형(천연 테스토스테론을 모방하거나 차단하는 화합물), 갑상선형(갑상선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 영향을 갖는 화합물) 및 에스트로겐형(천연 에스트로겐을 모방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화합물). EDC의 넓은 스펙트럼에도 불구하고, 에스트로겐 화합물(EC)이 가장 유망하며 또 이러한 화합물류에 대해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이는 여성의 성 발달 및 장애에 특히 관련된 암 연구에서 EC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모두 기인하는 것일 수 있다(McLachlan et al., 2006; Darbre and Charles, 2010; Fenton, 2006; Newbold et al., 2007). 에스트로겐 화합물은 수천 제품에서 낮은 투여량으로 발견되며, 또 디에틸스틸베스트롤, 비스페놀 A, 폴리브롬화 디페닐 에테르 및 프탈레이트와 같은 화합물을 포함한다. 안드로겐 EDC는 정력 및 생식력에 대한 이들의 효과로 인하여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Bay, Asklund et al., 2006; Sharpe, 2006; Skakkebak et al., 2001). 내분비 교란 화합물은 환경에서 아주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널리 보고되어 있으나, 이들의 비교적 높은 지방 용해도는 이들 물질들이 식품사슬에서 높은 위치에 있는 생물 및 동물의 지방 퇴적에서 생체축적되게 하여,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현저한 생리적 반응을 초래한다. EDC의 다른 관련 공급원은 살충제, 제초제, 살진균제, 가소제, 플라스틱, 수지 및 세제와 같은 공업 화학제에서 발견된다(Diamanti-Kandarakis et al., 2009). 다른 화학 특성과 결합된 EDC의 소수성은 EDC 검출과 스크리닝을 위해 필요한 수법 개발에서 환경분석 화학자에게 독특한 어려움을 제공한다. 몇 개의 분석 수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방법은 고상 추출(SPE)에 이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중량 분광광도계(LC/MS)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중량 분광광도계(GC/MS)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수법은, 비교적 높은 기구 비용, 노동 집약 및 일부 경우에서, 비교적 불량한 감도로 인하여, 일반적 EDC 모니터링에 한정된다. 또한 고급 분석 과정은 1개의 단일 분석물질, 또는 구조적으로 관련된 제한된 종류의 화합물에 대해서만 보통 특이적이다. Endocrine disrupto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groups: the androgens (compounds that mimic or block natural testosterone), thyroid (compounds that hav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the thyroid), and estrogen Or blocking compounds). Despite the broad spectrum of EDC, estrogen compounds (ECs) are the most promising and are being studied for these compounds. This may be all due to the importance of EC in cancer research specifically related to female sexual development and disability (McLachlan et al., 2006; Darbre and Charles, 2010; Fenton, 2006; Newbold et al., 2007). Estrogen compounds are found in low doses in thousands of products and include compounds such as diethylstilbestrol, bisphenol A,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 and phthalate. Androgen EDC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their effects on vigor and fertility (Bay, Asklund et al., 2006; Sharpe, 2006; Skakkebak et al., 2001).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have been widely reported to exist in very low concentrations in the environment but their relatively high fat solubility allows them to bioaccumulate in local deposits of organisms and animals at high levels in the food chain, Resulting in a remarkable physiological response. Other relevant sources of EDC are found in industrial chemicals such as pesticides, herbicides, fungicides, plasticizers, plastics, resins and detergents (Diamanti-Kandarakis et al., 2009). The hydrophobicity of EDC combined with other chemical properties presents a unique challenge to environmental analysis chemists in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necessary for EDC detection and screening. Several analytical techniques are used. These methods include solid phase extraction (SPE) follow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liquid chromatography / weight spectrophotometer (LC / MS) or gas chromatography / weight spectrophotometer (GC / MS). However, these techniques are limited to general EDC monitoring, due to relatively high instrument cost, labor intensive and, in some cases, relatively poor sensitivity. Advanced analytical procedures are usually only specific for a single analyte, or a structurally related limited class of compounds.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AC)는 리간드 또는 기질 유사체의 특이적 결합과 단리에 영향을 주는 생체 분자와 리간드(호르몬 수용체 및 호르몬) 사이의 특이적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강력한 크로마토그래피 수법이다(Cuatrecasas, 1970). AC 동안 복합체 생물학적 매트릭스로부터 생체 분자의 선택적 분리와 정제를 위하여 생체특이적 및 가역적 상호작용이 이용된다. 이들 시스템은 복합체 혼합물로부터 생체분자를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제거하는 수법의 능력으로 인하여 바이오기술 분야에서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전형적인 친화성 시스템은 2개의 뚜렷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분리될 생체분자를 전달하는 이동상, 및 친화성 리간드를 운반하도록 통상 변형된 고상. 이들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대형 컬럼 셋업(set-up) 및 더 긴 확산 통로 길이를 필요로 하는 등의 일부 단점을 여전히 지니고 있어, 조 추출물의 도입으로부터 최종 정제된 생성물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하류 공정에 필요한 시간에서 현저한 증가를 초래한다. 컬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의 주요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막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MAC)가 도입되었다. 그의 도입은 정지상과 표적 생체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의 특이성으로 인하여 순수한 생성물을 얻는데 필요한 단계 수를 현저히 감소시키며, 시스템이 제공하는 더 큰 표면적 및 더 짧은 확산 통로 길이를 제공한다. 상술한 이점으로 인하여 친화성 막 시스템(AMS)은 환경으로부터 EDC를 분석적으로 검출하고, 또 가능하게 제거하는 공정을 위한 강력한 방법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Affinity chromatography (AC) is a powerful chromatographic technique that utilizes specific interactions between biomolecules and ligands (hormone receptors and hormones) that affect the specific binding and isolation of ligands or substrate analogs (Cuatrecasas, 1970) . During AC, biospecific and reversible interactions are used for selectiv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biomolecules from complex biological matrices. These systems are increasingly being applied in the biotechnology field due to their ability to specifically bind and remove biomolecules from complex mixtures. A typical affinity system consists of two distinct parts: a mobile phase carrying biomolecules to be separated, and a solid phase usually transformed to carry affinity ligands. Despite the widespread use of these systems, they still have some disadvantages, such as requiring large column set-up and longer diffusion path lengths,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downstream process. Membrane affinity chromatography (MAC) was introduced to overcome the major drawbacks of column affinity chromatography. Its introduction significantly reduces the number of steps required to obtain a pure product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ationary phase and the target biomolecule, and provides a larger surface area and a shorter diffusion path length provided by the system. Because of the advantages described above, the affinity membrane system (AMS) could act as a powerful method for the process of analytically detecting and possibly eliminating EDC from the environment.

에스트로겐 화합물은 내분비계 내의 에스트로겐 수용체(ER)의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hERαLBD)에 대한 결합에 의해 내인성 에스트로겐 활성을 모방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EDC류이다. 에스트로겐과 그의 수용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용하고 또 이러한 상호작용으로 얻은 화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EC의 초기 포획, 농축 및 정량 검출을 위한 더욱 안전하고 또 특이적 분석적 작용화된 친화성 막 시스템이 개발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환경에서 EC를 검출하기 위한 HPLC, GC/MS 및 LC/MS와 같은 고급 기술 분석 수법과 조합되어 보조되고 이용될 것이다. hARLBD를 사용하는 안드로겐 EDC에 대해 유사한 시스템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Estrogen compounds are EDCs that mimic or block endogenous estrogenic activity by binding to the ligand binding domain (hER < alpha > LBD) of the estrogen receptor (ER) in the endocrine system. By using the interaction between estrogens and their receptors and using the chemic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se interactions, a more secure and specific analytical functionalized affinity membrane system for early capture, enrichment and quantitative detection of EC was developed . This method will be assisted and used in combination with advanced technique analysis techniques such as HPLC, GC / MS, and LC / MS to detect EC in the environment. Similar systems for androgen EDC using hARLBD can also be used.

본 발명자들은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모니터링하고 또 검출하는데 신속하고 효과적인 새로운 검출 방치를 확인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identified new detection and detection procedures that are rapid and effective in monitoring and detecting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본 명세서에서 용어 "성 호르몬 수용체"의 언급은 특히 에스트로겐 및 안드로겐 수용체를 지칭한다.Reference herein to the term " sex hormone receptor "refers in particular to the estrogen and androgen receptor.

본 명세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약어가 이용될 것이다: The following abbreviations will be used herein:

3HE2 2, 4, 6, 7 3H 17β-에스트라디올 3 HE2 2, 4, 6, 7 3 H 17? -Estradiol

AC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AC Affinity chromatography

AMS 친화성 막 시스템AMS Affinity Membrane System

AR 안드로겐 수용체 AR Androgen receptor

CA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 Cellulose acetate

CPM 분당 카운트CPM Count per minute

DMDDO 디카복시메틸-3,6-디아자옥탄디오에이트 DMDDO Dicarboxy methyl-3,6-diazaoctanedioate

DMF 디메틸 포름아미드 DMF Dimethylformamide

DMSO 디메틸 술폭사이드 DMSO Dimethylsulfoxide

E2 17β - 에스트라디올 E2 17β-estradiol

EC 에스트로겐 화합물 EC Estrogen compound

EDC 내분비 교란 화합물 EDC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EDTA 에틸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EDTA Ethyldiamine tetraacetic acid

ELISA 효소결합된 면역흡착 에세이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RA 효소결합된 수용체 에세이 ELRA Enzyme bound receptor < RTI ID = 0.0 >

ER 에스트로겐 수용체 ER Estrogen receptor

ERE 에스트로겐 반응 요소 ERE Estrogen response element

FT-IR 포리어 형질전환 적외선 분광계 FT-IR Porery Transfection Infrared Spectrometer

GC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GC Gas chromatography

GC/MS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중량 분광광도계GC / MS Gas Chromatography / Weight Spectrophotometer

HF 중공 섬유HF Hollow fiber

HFF 중공 미세 섬유(hollow fine fibers) HFF Hollow fine fibers

his6 헥사히스티딘 His 6 Hexahistidine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RP 호스래디시 퍼옥시다제(horseradish peroxidase)HRP Horseradish peroxidase < RTI ID = 0.0 >

MAC 고정화된 금속 이온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MAC Immobilized metal ion affinity chromatography

LBD 리간드 결합 도메인(ligand bidning domain)LBD The ligand binding domain (ligand binding domain)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중량 분광광도계LC / MS Liquid chromatography / weight spectrophotometer

LLD 최저 검출한계 LLD Lowest detection limit

MAC 막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MAC Membrane affinity chromatography

MBP 말토오스 결합 단백질 MBP Maltose binding protein

MS 중량 분광광도계 MS Weight spectrophotometer

NMR 핵자기 공명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PCR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PDMDDO Pluronic-N,N-디카복시메틸-3,6-디아자옥탄디오에이트PDMDDO Pluronic-N, N-dicarboxymethyl-3,6-diazaoctanedioate

PEI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PIXES 양성자 유도된 x-선 방출 분광광도계PIXES Proton-induced x-ray emission spectrophotometer

PS 폴리스티렌 PS polystyrene

PSU 폴리술폰 PSU Polysulfone

PVDF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SDS PAGE 나트륨 도데실 술페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SDS PAGE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EM 주사 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PE 고상 추출SPE Solid-phase extraction

UF 한외여과UF Ultrafiltration

본 명세서에서 이하의 문헌이 참조될 것이다: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following reference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AY, K., ASKLUND, C, SKAKKEBAEK, N.E. and ANDERSSON, A.M., 2006. Testicular dysgenesis syndrome: possible role of endocrine disrupters. Best Practice & Research in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1), 77-90. BAY, K., ASKLUND, C, SKAKKEBAEK, N.E. and ANDERSSON, A. M., 2006. Testicular dysgenesis syndrome: possible role of endocrine disrupters. Best Practice & Research in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 (1), 77-90.

CUATRECASAS, P., 1970. Protein Purification by affinity chromatography.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45(12), 3059-3065. CUATRECASAS, P., 1970. Protein Purification by affinity chromatography.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45 (12), 3059-3065.

DARBRE, P.D. and CHARLES, A.K., 2010. Environmental oestrogens and breast cancer: evidence for combined involvement of dietary, household and cosmetic xenoestrogens. Anticancer Research, 30(3), 815-827. DARBRE, P.D. and CHARLES, A.K., 2010. Environmental oestrogens and breast cancer: evidence for combined involvement of dietary, household and cosmetic xenoestrogens. Anticancer Research, 30 (3), 815-827.

DIAMANTI-KANDARAKIS, E., BOURGUIGNON, J. P., GIUDICE, L.C., HAUSER, R., PRINS, G.S., SOTO, A.M., ZOELLER, R.T. and GORE, A.C., 2009.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an Endocrine Society scientific statement. Endocrine Reviews, 30(4), 293-342. DIAMANTI-KANDARAKIS, E., BOURGUIGNON, J. P., GIUDICE, L. C., HAUSER, R., PRINS, G. S., SOTO, A. M., ZOELLER, R.T. and GORE, A.C., 2009.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an Endocrine Society scientific statement. Endocrine Reviews, 30 (4), 293-342.

FENTON, S.E., 2006. Endocrine-disrupting compounds and mammary gland development: early exposure and later life consequences. Endocrinology 147(6) (Supplement): S18-S24. FENTON, S.E., 2006. Endocrine-disrupting compounds and mammary gland development: early exposure and later life consequences. Endocrinology 147 (6) (Supplement): S18-S24.

GOVENDER, S., PRZYBYLOWICZ, W., JACOBS, E., BREDENKAMP, M., KRALINGEN, L. and SWART, P., 2006. A Pluronic-coupled metal-chelating ligand for membrane affinity chromatography. Journal of Membrane Science, 279(1-2), 120-128. L. and SWART, P., 2006. A Pluronic-coupled metal-chelating ligand for membrane affinity chromatography. Journal of Membrane Science, 279 (1-2), 120-128.

MCLACHLAN, J.A., SIMPSON, E. and MARTIN, M., 2006. Endocrine disrupters and female reproductive health.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1), 63-75. MCLACHLAN, J. A., SIMPSON, E. and MARTIN, M., 2006. Endocrine disrupters and female reproductive health.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 (1), 63-75.

NEWBOLD, R.R., JEFFERSON, W.N. and PADILLA-BANKS, E., 2007. Long-term adverse effects of neonatal exposure to bisphenol A on the murine female reproductive tract. Reproductive Toxicology, 24(2), 253-258. NEWBOLD, R.R., JEFFERSON, W.N. and PADILLA-BANKS, E., 2007. Long-term adverse effects of neonatal exposure to bisphenolate on the murine female reproductive tract. Reproductive Toxicology, 24 (2), 253-258.

SHARPE, R.M., 2006. Pathways of endocrine disruption during male sexual differentiation and masculinisation.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1), 91-110. SHARPE, R.M., 2006. Pathways of endocrine disruption during male sexual differentiation and masculinisation.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 (1), 91-110.

SKAKKEBAK, N., RAJPERT-DE MEYTS, E. and MAIN, K., 2001. Testicular dysgenesis syndrome: an increasingly common developmental disorder with environmental aspects: Opinion. Human Reproduction, 16(5), 972-978.SKAKKEBAK, N., RAJPERT-DE MEYTS, E. and MAIN, K., 2001. Testicular dysgenesis syndrome: an increasingly common developmental disorder with environmental aspects: Opinion. Human Reproduction, 16 (5), 972-978.

발명의 요약 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지체 구조; 및 Support structure; And

상기 지지체 구조 상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성 호르몬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LBD)을 포함하는,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There is provided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comprising a ligand binding domain (LBD) of at least one sex hormone receptor immobilized on said support structure.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지지체 구조와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 사이에 링커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tection device may comprise linker molecules between the support structure and the ligand binding domain.

상기 내분비 교란 화합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드로겐 및 에스트로겐 화합물 형태일 수 있다.The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 may be in the form of one or more androgen and estrogen compounds.

상기 성 호르몬 수용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안드로겐 수용체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성 호르몬 수용체는 리간드 결합 도메인 hERαLBD 및 hARLBD를 각각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간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인간 안드로겐 수용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펩티드 태그(peptide tag)를 포함할 수 있고 또 his6 - hERαLBD 또는 his6 - hARLBD 형태일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융합 단백질로 발현될 수 있고 또 말토오스 결합 단백질 - hERαLBD(MBP - hERαLBD) 형태일 수 있다. The sex hormone receptor may be in the form of one or more estrogen receptors and androgen receptors. In particular, the sex hormone receptor may be in the form of one or more human estrogen receptor and human androgen receptor having ligand binding domains hER [alpha] LBD and hARLBD, respectively. The binding domain may comprise a tag peptide (peptide tag) In his 6 - may be in the form hARLBD - hERαLBD his or 6. Alternatively, the ligand binding domain may be expressed as a fusion protein and may be in the form of a maltose binding protein-hER alpha LBD (MBP-hER alpha LBD).

상기 성 호르몬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코딩(encoding)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또 상기 유전자를 숙주에서 발현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숙주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일 수 있다. The ligand binding domain of the sex hormone receptor can be produced by cloning a gene encoding a ligand binding domain and expressing the gene in a host. Preferably, the host is Escherichia It can be coli).

상기 지지체 구조는 막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지체 구조는 막 컨택터(membrane contactor)(스트립 매트릭스) 형태일 수 있다. The support structure may be in the form of a membrane. The support structure may be in the form of a membrane contactor (strip matrix).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막 컨택터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하이브리드 막, 특히 친화성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아밀로오스 하이브리드 막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링커 분자는 말토오스 결합 단백질 형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mbrane contactor may be in the form of a cellulose acetate hybrid membrane, particularly an affinity cellulose acetate-amylose hybrid membrane. In such embodiments, the linker molecule may be in the form of a maltose binding protein.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지지체 구조는 불활성 막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불활성 막은 합성 중합체 막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합성 중합체 막은 침지 석출 수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합성 중합체 막은 평면 및 비다공성일 수 있다. 상기 합성 중합체 막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술폰(PSU),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용액으로부터 캐스팅(cast)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structure may be in the form of an inert film. The inert film may be in the form of a synthetic polymer film. The synthetic polymer film can be produced using an immersion precipitation technique. The synthetic polymer membrane may be planar and non-porous. The synthetic polymer film may be cast from one or more polysulfone (PSU), polyether imide (PEI),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solutions.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링커 분자는 변형된 폴옥사머(poloxamer)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폴옥사머는 일급 히드록실기로 말단이 끝나는 이작용성 블록 공중합체 계면활성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폴옥사머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블록-폴리(프로필렌 글리콜)-블록-폴리(에틸렌 글리콜)(이후 Pluronic F108이라 칭함, PEG-PPG-PEG으로도 공지됨) 형태일 수 있다. In such embodiments, the linker molecule may be in the form of a modified poloxamer. The poloxamer may be in the form of a bi-functional block copolymer surfactant end-terminated with a primary hydroxyl group. The poloxamer may be in the form of poly (ethylene glycol) -block-poly (propylene glycol) -block-poly (ethylene glycol)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Pluronic F108, also known as PEG-PPG-PEG).

변형된 Pluronic F108은 히드록실 말단기가 금속 킬레이트화 부위로 변형되어 Ni-이온을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또 고정화된 금속 치환성 크로마토그래피 매트릭스로서 작용하는 Pluronic F108 형태일 수 있고 또 금속 친화성 고정화된 수용체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제공한다. 특히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무수물은 2단계 반응을 통하여 Pluronic F108의 말단 히드록실 말단기에 결합되어, 새로운 금속 친화성 리간드, Pluronic-N,N 디카복시메틸-3,6-디아조옥탄디오에이트(Pluronic-DMDDO)를 생성한다. The modified Pluronic F108 can be in the form of Pluronic F108, in which hydroxyl end groups can be modified to metal chelating sites to specifically bind Ni-ions and serve as an immobilized metal-displaced chromatography matrix, and metal- Lt; RTI ID = 0.0 > ligand < / RTI > binding domain. In particular,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ianhydride is coupled to the terminal hydroxyl end group of Pluronic F108 via a two step reaction to form a new metal affinity ligand, Pluronic-N, N-dicarboxymethyl-3,6-diazooctanedioate Pluronic-DMDDO).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검출 장치를 시험될 샘플과 접촉시켜, 상기 샘플이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함유하면, 상기 화합물이 리간드 결합 도메인에 결합하게 하는 단계; 및 Contacting a dete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with a sample to be tested such that if the sample contains a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allowing the compound to bind to the ligand binding domain; And

비색 에세이(colorimetric assay)를 실시하여 결합된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나타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nd performing a colorimetric assay to display the combined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 ≪ Desc / Clms Page number 3 >

상기 시험될 샘플은 물 샘플 형태일 수 있다. The sample to be tested may be in the form of a water sample.

검출 장치를 샘플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상기 검출 장치를 샘플에 잠수(submerging)시키거나, 상기 검출 장치 상에 샘플을 적하(dropping)하거나, 상기 검출 장치를 샘플 등에 디핑(dipping)하는 방식 등에 의할 수 있다. The step of bringing the detection device into contact with the sample may include a method of submerging the detection device into the sample, dropping the sample on the detection device, dipping the detection device into a sample or the like can do.

일 실시양태에서, 비색 에세이의 실시는,In one embodiment, the practice of a colorimetric assay may include,

수용체를 EDC에 의해 포화시켜 수용체가 형태를 변경하고 또 활성화되게 하는 단계; Saturating the receptor with EDC to cause the receptor to change shape and activate;

상기 활성화된 수용체에 대해 생성되고 또 효소에 결합된 단일클론 항체를 부가하여, 상기 항체-효소 복합체가 상기 활성화된 결합 수용체에 결합되게 하는 단계; Adding a monoclonal antibody produced against the activated receptor and bound to an enzyme to cause the antibody-enzyme complex to bind to the activated binding receptor;

결합된 효소를 관찰하여, 샘플 중에 EDC의 존재를 나타내는 단계;Observing the bound enzyme to show the presence of EDC in the sample;

를 포함할 수 있다. . ≪ / RTI >

상기 실시양태에서 상기 효소는 활성화된 결합 수용체의 비색성, 형광성 또는 발광성 유도체를 생성하는 효소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효소는 호스래디시 퍼옥시다제 형태일 수 있다. In such embodiments, the enzyme may be in the form of an enzyme that produces a colorimetric, fluorescent or luminescent derivative of the activated binding receptor. The enzyme may be in the form of a horseradish peroxidase.

다른 실시양태에서 비색 에세이의 실시는,Implementation of a colorimetric essay in another embodiment,

특정 수용체에 대하여 효소 표지된(labelled) 스테로이드 리간드를 부가하는 단계; 및 Adding an enzyme labeled steroid ligand to a specific receptor; And

수용체 포화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the degree of receptor saturation;

를 포함할 수 있다. . ≪ / RTI >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비색 에세이의 실시는, In another embodiment, the practice of a colorimetric assay is performed by,

결합된 수용체를 결합하여 활성화시키는 열 충격(heat shock) 단백질을 부가하는 단계; 및 Adding a heat shock protein that binds and activates a coupled receptor; And

열 충격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부가하여 결합된 수용체를 나타내어 내분비 교란 화합물 결합을 나타내게 하는 단계;Adding an antibody to the heat shock protein to display bound receptors to show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binding;

를 포함할 수 있다. . ≪ / RTI >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1은 음용수 중의 EDC를 친화성 포획하기 위한 고정화된 스테로이드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결합된 EDC를 검출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immobilized steroid ligand binding domain for affinity capture of EDC in drinking water;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for detecting combined EDC.

발명의 실시양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에는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검출 장치는 막 컨택터 형태의 지지체 구조 및 상기 지지체 구조 상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성 호르몬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LBD)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지지체 구조와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 사이에 변형된 PluronicMDDO 형태의 링커 분자를 더 포함한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The detection device comprises a support structure in the form of a membrane contactor and a ligand binding domain (LBD) of at least one sex hormone receptor immobilized on the support structure. The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linker molecule in the form of Pluronic MDDO modified between the support structure and the ligand binding domain.

상기 검출 장치는 다음 원리로 작용한다: 상기 hERαLBD 및 hARLBD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비공유 AC 기술을 이용하여 막 컨택터 매트릭스 상에 고정화된다. 상기 고정화된 수용체는 저농도의 에스트로겐 및/또는 안드로겐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에 노출된다. 이들 화합물은 상응하는 수용체에 결합되고 또 수용체 리간드 상호작용을 통하여 컨택터 표면 상에 농축된다.The detection device serves the following principle: The ligand binding domains of hER? LBD and hARLBD are immobilized on a membrane contactor matrix using non-covalent AC technology. The immobilized receptor is exposed to water containing low levels of estrogens and / or androgen compounds. These compounds bind to the corresponding receptors and are concentrated on the contactor surface through receptor ligand interactions.

도 2에는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의 제1 단계는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검출 장치를 시험될 샘플과 접촉시켜, 상기 샘플이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함유하면, 상기 화합물이 리간드 결합 도메인에 결합하게 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제2 단계는 비색 에세이를 실시하여 결합된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2 shows a method for detecting a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The first step of the method involves contacting the dete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with a sample to be tested and, if the sample contains an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 causing the compound to bind to the ligand binding domain. The second step represents a combined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by performing a colorimetric assa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후, 온도에서 약간의 증가시, 상기 hERαLBD- 또는 hARLBD 에스트로겐/안드로겐 화합물-복합체는 효소결합된 면역-에세이 시스템에서 특정 항체를 사용하여 나타내어질 수 있다. 에스트로겐/안드로겐 화합물의 존재는 컨택터 "스트립" 상에서 특정 색의 발색에 의해 표시될 것이다.As shown in FIG. 2, upon activation, at slight increase in temperature, the hERαLBD- or hARLBD estrogen / androgen compound-complex may be expressed using a specific antibody in an enzyme-linked immuno-essay system. The presence of an estrogen / androgen compound will be indicated by the color development of a specific color on the contactor "strip ".

방법 Way

막 제작Film making

평면상 비다공성 막은 적절한 용액, 폴리술폰(PSU),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로부터 캐스팅하였다. 상기 용액은 200 ㎛ 평면 막을 캐스팅하기 위하여 사용하기 전에 탈기(degassed)되었다. 비다공성 중공 섬유(HF) 및 중공 미세 섬유(HFF) 막 및 외부적으로 스킨처리되지 않은(externally unskinned) 한외여과(UF) 막은 슈텔렌보쉬 대학의 중합체 과학연구소로부터 입수가능한 건조-습윤 방사 공정을 이용하여 상 반전 수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The planar nonporous membranes were cast from a suitable solution, polysulfone (PSU), polyether imide (PEI)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The solution was degassed prior to use to cast a 200 micron planar membrane. Non-porous hollow fiber (HF) and hollow fine fiber (HFF) membranes and externally unskinned ultrafiltration (UF) membranes were prepared by a dry-wet spinning process available from the Institute of Polymer Science, Stellenbosch University Was prepared by phase reversal method.

아밀로오스 작용화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 막은 DMSO 중의 CA 및 아밀로오스 용액으로부터 침지 석출(immersion precipitation)을 통하여 제작하였다. 캐스팅 혼합물을 사용하여 물을 사용한 침지 석출에 의해 평탄시트 막을 캐스팅하였다. 상기 막들을 물로 완전히 세정하고 필요할 때까지 나트륨 아지드 용액 중에 저장하였다. 표면 막 토포그래피(topography), 두께 및 작용기 변형은 SEM 및 FT-IR을 각각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Amylose functionalized cellulose acetate (CA) membranes were prepared by immersion precipitation from CA and amylose solutions in DMSO. The casting mixture was used to cast the flat sheet membrane by immersion precipitation using water. The membranes were thoroughly washed with water and stored in sodium azide solution until needed. Surface membrane topography, thickness and functional strain were determined using SEM and FT-IR, respectively.

Pluronic® F108 변형된 링커는 다음과 같이 합성하였다: Pluronic의 말단 히드록시기를 2단계 반응으로 변형하여 Pluronic의 히드록실 말단에 테트라 덴테이트(tetra dentate) DMDDO 유형 리간드를 얻었다. 이 반응은 10배 과량의 EDTA 이무수물 및 이미다졸 건조 DMF에 용해시키는 것에 의해 실시되며, 이후 Pluronic F108을 부가하고 또 40℃에서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 메탄올을 부가하고 또 8시간 더 반응시킨 후 DMF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은 톨루엔으로 처리하여 리간드-변형된-Pluronic을 DMDDO 부생성물로부터 선택적으로 용해시켰다. 최종 생성물은 모노 및 디에틸렌 글리콜을 기본으로 한 모델 리간드의 도움으로 핵자기 공명(NMR)에 의해 주로 특징화하였다(Govender et al., 2006).Pluronic® F108 modified linker was synthesized as follows: A tetradentate DMDDO-type ligand was obtained at the hydroxyl end of Pluronic by modifying the terminal hydroxyl group of Pluronic in a two-step reaction. This reaction was carried out by dissolving in a 10-fold excess of EDTA dianhydride and imidazole-dried DMF, followed by the addition of Pluronic F108 and reaction at 40 ° C for 8 hours. Methanol was then added and the reaction was allowed to proceed for another 8 hours before the DMF was removed in vacuo. The residue was treated with toluene to selectively dissolve the ligand-modified-Pluronic from the DMDDO by-product. The final products were mainly characteriz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with the help of model ligands based on mono and diethylene glycol (Govender et al., 2006).

수용체 발현Receptor expression

펩티드 태그, 또는 저분자량 단백질을 단백질의 N- 또는 C-말단에 도입하는 것은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단백질 정제를 위한 편리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되었다. 태그의 예는 폴리히스티딘 태그 및 융합 단백질을 생성하는 말토오스를 포함한다. 절단된 스테로이드 수용체의 비공유 고정화의 원리가 본 계획에 고안되는 시험 스트립에 대한 기본을 형성하므로, 히스티딘 태그는 수용체의 정제 및 IMAC 원리를 따른 비공유 고정화 방법을 허용한다. 따라서 상기 스테로이드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히스티딘 태그를 코딩하는 적합한 벡터에 서브클로닝(subcloned)되고, 그 플라스미드 작성물은 적합한 숙주 생물에 형질전환되고 마지막으로 히스티딘 태그된 융합 단백질을 발현해야 한다. Introduction of peptide tags, or low molecular weight proteins, to the N- or C-terminus of the protein has become a convenient and easy method for protein purification via affinity chromatography. Examples of tags include polyhistidine tags and maltose to produce fusion proteins. Because the principle of non-covalent immobilization of cleaved steroid receptors forms the basis for the test strips proposed in this scheme, the histidine tag allows the purification of the receptor and a non-covalent immo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MAC principle. Thus, the ligand binding domain of the steroid receptor is subcloned into a suitable vector encoding a histidine tag, and the plasmid preparation must be transformed into a suitable host organism and finally expressed a histidine tagged fusion protein.

pET15b(N-말단 헥사히스티딘 태그를 암호화하는 플라스미드)에 서브클로닝된 헥사히스티딘 태그된 hERαLBD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어바나-샴페인에 소재하는 일리노이 대학으로부터 입수하였다. 상기 hERαLBD 단백질은 대장균 BL21(DE3) pLysS 에서 발현되었다. 불용성 단백질과 비교한 가용성 단백질의 초기 수율은 불충분하였다. 정제하기 전에 상기 hERαLBD 단백질의 용해화를 개선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세포 용균하는 동안 단백질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세제 Nonidet P-40(NP-40)의 사용을 포함한다. 또한, 이전의 연구가 나타낸 바와 같이 발현 실험하는 동안 17p-에스트라디올(E2) 및 수크로오스가 포함되며, 이들 첨가제들은 불용성 단백질에 대한 가용성 단백질의 수율을 증가시켰다. 단백질 검출 방법(나트륨 도데실 술페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 PAGE) 및 웨스턴 블럿 분석)은, 가용성 hERαLBD 단백질의 증가가 10 μΜ E2의 존재하에서 달성됨을 나타낸다(E2를 갖지 않는 발현과 비교할 때 E2 존재하의 발현은 더 높은 가용성 단백질을 나타내었다). A gene encoding the hexa-histidine-tagged hERαLBD subcloned into pET15b (a plasmid encoding the N-terminal hexahistidine tag) was obtained from th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The hERαLBD protein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BL21 (DE3) pLysS. The initial yield of soluble protein compared to insoluble protein was insufficient. Prior to purific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solubilization of the hERαLBD protein. These include the use of the detergent Nonidet P-40 (NP-40), which increases protein solubility during cell lysis. In addition,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17p-estradiol (E2) and sucrose were included during the expression experiments, and these additives increased the yield of soluble protein to insoluble protein. Protein detection methods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 PAGE) and western blot analysis) show that an increase in soluble hERαLBD protein is achieved in the presence of 10 μM E2 (compared to expression without E2 Expression in the presence of E2 showed a higher soluble protein).

전체 길이 AR 유전자를 사용하여, 상기 절단된 인간 안드로겐 수용체 리간드 결합 도메인, hARLBD,을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통하여 증폭시키고 또 N-말단 헥사히스티딘 태그를 코딩하는 플라스미드인 pTrcHis에 서브클로닝하였다. 이 작성물을 AR-pTrcHis로 표시한다. 이어 상기 작성물을 사용하여 TOP10 대장균(E. coli)을 형질전환시켰다. hARLBD의 발현 및 정제는 17p-에스트라디올 부재하인 것을 제외하고는 hERαLBD의 발현 및 정제와 동일하였다. Using the full length AR gene, the truncated human androgen receptor ligand binding domain, hARLBD,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subcloned into pTrcHis, a plasmid encoding the N-terminal hexahistidine tag. This preparation is indicated by AR-pTrcHis. Then, TOP10 E. coli was transformed using the above preparation.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hARLBD were identical to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hER [alpha] LBD except that 17p-estradiol was absent.

이 연구에서 상기 목적으로 하는 단백질 hERαLBD은 말토오스 결합 단백질(MBP)에 대한 융합 단백질로서 발현되었다. 그램 음성 세균에 대한 주요한 탄소 공급원인 말토오스 결합 단백질은 말토오스에 대한 높은 친화성을 갖고 또 말토오스 부재시 아밀로오스에 대하여 높은 친화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은 아밀로오스 수지를 사용하여 마련되었다.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는 가능한데, 이는 이들 단백질이 친화성 상호작용을 통하여 아밀로오스 컬럼에 결합(MBP 사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유전자는 플라스미드 발현 벡터 pMalc2에 결찰되고 또 발현용 대장균 TB1 세포로 형질전환되었다. hERαLBD는 융합 파트너 MBP, 분자량 40.6 kDa의 MalE 유전자,에 대한 융합 단백질로서 발현되었다. In this study, the desired protein hERαLBD was expressed as a fusion protein for maltose binding protein (MBP). Maltose binding protein, a major source of carbon for gram negative bacteria, is known to have high affinity for maltose and high affinity for amylose in the absence of maltose. The affinity chromatographic column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using amylose resin. Purification of the recombinant protein is possible because these proteins will bind (via MBP) to the amylose column through affinity interactions. The gene was ligated to the plasmid expression vector pMalc2 and transformed into expression E. coli TB1 cells. hERαLBD was expressed as a fusion protein for fusion partner MBP, a MalE gene with a molecular weight of 40.6 kDa.

수용체 정제 및 융합 수용체에 대한 항체 생성Receptor Purification and Antibody Generation to Fused Receptors

미리 팩킹된 니켈 아가로오스 컬럼(His SpinTrap, GE Healthcare)을 이용한 hERαLBD 단백질의 예비적 정제는 수지에 대한 히스티딘 태그된 hERαLBD 단백질의 유효한 결합을 나타내었다. 상기 단백질은 이어 분취(preparative) AKTA® 시스템 상에서 정제되었다. hARLBD는 hERαLBD의 정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정제되었다. MBP-hERαLBD 융합 단백질 및 MBP 단백질은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아밀로오스 컬럼 상에서 정제되었다. 결합된 융합 단백질은 용리 완충액 중의 10 mM의 말토오스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친화성 컬럼으로부터 용리되었다.A preliminary purification of the hER [alpha] LBD protein using a pre-packed nickel agarose column (His SpinTrap, GE Healthcare) showed an effective binding of the histidine tagged hER [alpha] LBD protein to the resin. The protein was then purified on a preparative AKTA system. hARLBD was purifi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purification of hER [alpha] LBD. The MBP-hER [alpha] LBD fusion protein and MBP protein were purified on an amylose column by affinity chromatography. The bound fusion protein was eluted from the affinity column by containing 10 mM maltose in elution buffer.

E2에 의해 포화된, 정제된 hERαLBD를 이어 토끼에 접종하여 hERαLBD의 E2-결합 형태에 대한 다중클론 항체를 생성하였다. 0일 및 28일에 토끼로부터 혈액 샘플을 취하였다. 상기 혈액 샘플을 4℃에서 저장하고 응집시키며 그 후 원심분리시켜 응집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였다. 상기 혈청은 항체 공급원으로서 사용되었다.Purified hER [alpha] LBD, saturated with E2, was inoculated into subsequent rabbits to generate polyclonal antibodies to the E2-linked form of hER [alpha] LBD.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the rabbits on days 0 and 28. The blood samples were stored and flocculated at < RTI ID = 0.0 > 4 C < / RTI > and then centrifuged to separate serum from the agglutinates. The serum was used as an antibody source.

결합 연구Bonding study

에스트로겐 결합 연구를 위해, PVDF 막 및 폴리스티렌 마이크로티터(microtitre) 플레이트(Immunosorp Nunc®)를 Pluronic-DMDDO에 대한 스캐폴드(scaffold)로서 사용하였다.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는, 이들이 작성되는 폴리스티렌 중합체의 소수성 성질 이외에, 실험적으로 더욱 실질적이고, 취급하기가 용이하며 또 더 높은 처리량을 허용한다. 폴리스티렌 플레이트의 웰(wells)을 Pluronic-DMDDO 용액과 함께 배양하였다. 또한, 상기 웰을 Pluronic F108 용액과 함께 배양하였다. 상기 Pluronic-DMDDO 웰은 Ni2 +로 하전되었다. 정제된 hERαLBD 용액(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LBD) 결합 부위로부터 E2를 제거하기 위하여 PBS 완충액에 대하여 철야로 투석된)을 변형된 및 비변형 Pluronic으로 코팅된 웰에 부가하였다. 또한, 비코팅 웰은 정제된 hERαLBD 용액으로 코팅하였다. 상기 웰들을 hERαLBD 용액과 함께 배양하였다. 변형된 또는 비변형 Pluronic, 또는 hERαLBD를 함유한 각 웰에 2, 4, 6, 7 3H-에스트라디올(3HE2)의 작용 용액을 피펫으로 넣었다.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스티렌 웰에는 삼중수소화된 에스트라디올 작업 용액을 부가하였다. 상기 웰들을 증류수로 세정하여 과량의 방사능 표지된 에스트라디올을 제거하였다. 용리 완충액(500 mM 이미다졸을 함유하는 정제 과정에 사용된 세정 완충액에 따라)을 각 웰에 부가하였다. 80μL 부피의 각 샘플을 개별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튜브로 전달하였다. 각 샘플의 방사능은 신틸레이션 계수기(Tri-Carb®, 1900A)를 통하여 분당 카운트(CPM)로 5분간에 걸쳐 측정하였다. his6-ARLBD 및 삼중수소화된 테스토스테론을 사용하여 두번째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 변수는 그외는 hERαLBD/3HE2 실험에서와 정확하게 동일하였다. For estrogen binding studies, PVDF membranes and polystyrene microtitre plates (Immunosorp Nunc) were used as scaffolds for Pluronic-DMDDO. In addition to the hydrophobic nature of the polystyrene polymers from which they are made, the microtiter plates are empirically more practical, easier to handle, and allow higher throughput. The wells of the polystyrene plates were incubated with the Pluronic-DMDDO solution. The wells were also incubated with a Pluronic F108 solution. The Pluronic DMDDO-well was charged with Ni + 2. The purified hERαLBD solution, which was dialyzed overnight against PBS buffer to remove E2 from the (LBD) binding site, was added to the modified and unmodified Pluronic coated wells. Uncoated wells were also coated with purified hER [alpha] LBD solution. The wells were incubated with hER [alpha] LBD solution. The working solution of 2, 4, 6, 7 3 H-estradiol ( 3 HE2) was pipetted into each well containing modified or unmodified Pluronic, or hERαLBD. A tritiated solution of estradiol was added to the polystyrene wells containing no additives. The wells were washed with distilled water to remove excess radioactively labeled estradiol. Elution buffer (according to the washing buffer used in the purification procedure containing 500 mM imidazole) was added to each well. Each sample of 80 μL volume was delivered to a separate scintillation tube. The radioactivity of each sample was measured over 5 minutes in counts per minute (CPM) through a scintillation counter (Tri-Carb®, 1900A). A second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his 6- ARLBD and tritiated testosterone. Thes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exactly the same as in the hERαLBD / 3HE2 experiment.

말토오스 결합 단백질-hERαLBD 융합 단백질은, MBP가 아밀로오스에 대한 친화성을 갖기 때문에, MBP-hERαLBD 고정화에 대한 결합 부위를 제공하는 막 표면에 존재하는 아밀로오스를 갖는 아밀로오스 작용화된 막에 고정화되었다. 용액으로부터 에스트라디올의 선택적 회수를 위한 막 시스템의 이용도 또한 여기에 포함된다. The maltose binding protein-hER [alpha] LBD fusion protein was immobilized on an amylose functionalized membrane with amylose present on the membrane surface that provides a binding site for MBP-hER [alpha] LBD immobilization because MBP has affinity for amylose. The use of a membrane system for the selective recovery of estradiol from solution is also included herein.

결과 및 논의 Results and discussion

막 제조Membrane fabrication

합성 중합체 막은 재현가능한 물리적 및 화학적 조성을 갖는 비다공성 평면 및 모세관 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침지 석출 수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막 중합체의 표면 화학은 광음향 FT-IR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표면 소수성은 평면 및 모세관 막 각각에 대한 정적 및 동적 접촉각 분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선정된 후보 막은 제작 조건 사용에 고유한 거친 표면을 부가한다. 그러나, 막 표면 조도는, 표면 변형 후 5 mg/ml Pluronic F108로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막 표면 소수성은 PVDF > PSU > PEI 순이었다. 이미다졸을 사용하여 EDTA-이무수물을 활성화하고 용해화시켰다. 이에 의해 소수성 표면 상호 작용에 유용한 리간드 부착 및 비 극성 센터 블록에 대해 개방된 옥타헤드랄(octahedral) 시스템 상에 배위 부위를 갖는 테트라 덴테이트 리간드를 얻었다. 이 리간드 Pluronic-DMDDO는 13C NMR 분광계를 이용하여 특징화되었고 또 수성 유기 용매에서 가용성이며 또 용액 또는 건조 상태로 무기한으로 저장될 수 있다.Synthetic polymer membranes were prepared using immersion precipitation techniques to produce non-porous planar and capillary membranes with reproducible phys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The surface chemistry of the membrane polymer was confirmed using photoacoustic FT-IR analysis. Surface hydrophobicity was calculated using static and dynamic contact angle analysis for each of the planar and capillary membranes. The candidate films selected in this study add a unique rough surface to the use of the fabrication conditions. However, film surface roughness was found to decrease with 5 mg / ml Pluronic F108 after surface modification. The membrane surface hydrophobicity was in the order of PVDF>PSU> PEI. The imidazole was used to activate and dissolve the EDTA-dianhydride. This resulted in ligand attachments useful for hydrophobic surface interactions and tetradentate ligands having coordination sites on the open octahedral system for the non-polar center block. The ligand Pluronic-DMDDO is characterized using a 13 C NMR spectrometer and is soluble in aqueous organic solvents and can be stored indefinitely in solution or in dry conditions.

CA/아밀로오스 혼합물은 침지 석출 수법을 이용하여 CA/아밀로오스 작용화된 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캐스팅 도프(casting dope)로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막 토포그래피 및 형태는 SEM 수법을 이용하여 연구한 반면에, 막의 표면 화학은 FT-IR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막 형태 및 표면 화학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따라서, 상기 막은 특이적 바이오-리간드 MBP 및 MBP-hERαLBD 융합 단백질의 친화성 고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었다. 높은 퍼센트의 아밀로오스를 함유하는 막은 연성이고, 연약하므로 이후의 실험 분석을 위한 고체 지지체로서 사용될 수 없었다. 따라서, 오늘날의 연구에서, 오직 2% 아밀로오스 막이 고정화 연구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향후 미래에, 더 높은 퍼센트의 아밀로오스가 CA 막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막이 물리적 손상 및 변형에 더욱 잘 견디게 하는 일부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실시될 것이다. The CA / amylose mixture was successfully used as a casting dope to produce a CA / amylose functionalized membrane using the immersion precipitation technique. Membrane topography and morphology were studied using SEM techniques, while membrane surface chemistry was monitored by FT-IR. Follow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membrane morphology and surface chemistry, the membrane could be used for affinity immobilization of specific bio-ligand MBP and MBP-hER alpha LBD fusion proteins. Membranes containing a high percentage of amylose were ductile and fragile and could not be used as a solid support for subsequent experimental assays. Thus, in the present study, only 2% amylose membranes were used in the immobilization studies. However, in the future, a higher percentage of amylose may be included in the CA membrane in the future, but this will be done by using some plasticizer which will make the membrane more resistant to physical damage and deformation.

수용체 발현Receptor expression

hERαLBD 삽입물은 단리된 플라스미드 DNA 상에서 실시된 제한분해를 통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pET15b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DS PAGE 및 웨스턴 블럿을 통한 분석은, hERαLBD이 발현되었고 또 첨가제(E2 및 수크로오스)를 함유한 배지 및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은 배지 모두의 상층액에 존재함을 확인시켜 주었다. 재현탁된 펠릿은 hERαLBD를 함유하였지만, 대부분의 hERαLBD는 용액, 따라서 상층액에 잔류하였다. The hER [alpha] LBD insert was found to be present in pET15b as shown through restriction digestion performed on isolated plasmid DNA. SDS PAGE and Western blot analysis confirmed that hER [alpha] LBD was expressed and was present in the supernatant of both medium containing the additives (E2 and sucrose) and medium without the additives. The resuspended pellets contained hER [alpha] LBD, but most hER [alpha] LBD remained in solution, hence in the supernatant.

단리되고 또 PCR을 통하여 증폭된 AR의 LBD는 pTrcHis 플라스미드에 성공적으로 서브클로닝되었다. AR-pTrcHis로 표시되는 이 플라스미드 작성물을 사용하여 TOP10 대장균을 형질전환시켰다. 히스티딘 태그된 ARLBD의 발현은 SDS PAGE 및 웨스턴 블럿 분석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The LBD of AR which was isolated and amplified by PCR was successfully subcloned into the pTrcHis plasmid. This plasmid construct, designated AR-pTrcHis, was used to transform TOP10 E. coli. Expression of histidine tagged ARLBD was confirmed by SDS PAGE and Western blot analysis.

이 연구는 pMalc2에 결찰된 MBP-hERαLBD, 및 pMalc2로부터의 MBP 유전자(MalE 생성물)가 대장균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수율로 발현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결과는 2개의 각 세포 용균액의 SDS PAGE 및 웨스턴 블럿 분석으로 얻었다. 겉보기 분자량 66 KDa에 상응하는 밴드는 문헌에 보고된 MBP-hERαLBD의 분자량과 아주 잘 일치하였다.This study showed that MBP-hERαLBD ligated to pMalc2 and the MBP gene (MalE product) from pMalc2 could be expressed at a high yield using the E. coli expression system. Results were obtained by SDS PAGE and western blot analysis of two cell lysates. The band corresponding to an apparent molecular weight of 66 KDa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molecular weight of MBP-hERαLBD reported in the literature.

수용체 정제 및 융합 수용체에 대한 항체 생성Receptor Purification and Antibody Generation to Fused Receptors

hERαLBD 및 ARLBD는 AKTA® 단백질 정제 시스템 상에서 정제하였다. 아밀로오스를 고상으로 갖는 원-스텝 친화성 정제 시스템을 MBP-hERαLBD 단백질의 효과적인 정제를 위해 사용하였다. hERαLBD의 에스트로겐 결합된 형태 및 결합되지 않은 형태에 대해 항체를 생성하였다. 더 높은 혈청 희석(>10- 2)시 hERαLBD의 E2 결합된 형태 및 결합되지 않은 형태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낮은 혈청 희석(10-1 내지 10-2 사이)에서 감도는 감소되며 또 일차 항체(primary antibody)는 2개 형태의 hERαLBD 사이에서 구별할 수 없다. hERαLBD and ARLBD were purified on an AKTA® protein purification system. A one-step affinity purification system with amylose as a solid phase was used for the effective purification of the MBP-hER alpha LBD protein. Antibodies were generated for the estrogen-linked and unconjugated forms of hER [alpha] LBD. Higher serum dilution (> 10 - 2) between the E2 when bound form and the unbound form hERαLBD, there is a difference. Sensitivity is reduced at low serum dilutions (between 10 -1 and 10 -2 ) and primary antibodies can not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two forms of hERαLBD.

결합 연구Bonding study

초기 시험은 폴리스티렌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에서 실시하였다. hERαLBD이 충진된 Pluronic-DMDDO를 폴리스티렌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의 표면 상에 코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2개 대조군은 Pluronic F108에 의해 코팅된 웰 및 미코팅 웰을 포함하였다. 대조군(Pluronic F108에 의해 코팅된 웰 및 오로지 미코팅 웰)과 비교할 때 hERαLBD이 충진된 Pluronic-DMDDO에 의해 코팅된 웰에서 방사능활성 에스트로겐의 현저히 높은 결합을 볼 수 있었고, 이는 hERαLBD의 고정화를 나타낸다. his6-ARLBD가 충전된 두번째 Pluronic-DMDDO 실험은 단백질이 충전된 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높은 양의 방사능 리간드에 결합할 수 있는 점에서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들 실험은, 분명한 바와 같이, 안드로겐 및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LBD가 고정화되었을 뿐만아니라 상기 수용체는 수용액 중의 안드로겐 및 에스트로겐 화합물 각각에 대한 결합에 의해 바이오활성을 보유한다는 개념의 증거를 분명하게 나타낸다. Initial testing was performed on polystyrene microtiter plates. Pluronic-DMDDO filled with hER alpha LBD was coated on the surface of a polystyrene microtiter plate. The two controls used in the experiments included wells coated with Pluronic F108 and uncoated wells. Significantly higher binding of radioactive estrogen could be seen in wells coated with Pluronic-DMDDO filled with hER [alpha] LBD compared to the control (well coated with Pluronic F108 and only uncoated wells), indicating immobilization of hER [alpha] LBD. The second Pluronic-DMDDO experiment with his 6 -ARLBD showed similar results in that the protein-filled wells were able to bind to a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radioligand compared to the control. These experiments clearly demonstrate the notion that the LBD of androgens and estrogen receptors are immobilized as well as that the receptors retain bioactivity by binding to androgens and estrogen compounds in aqueous solution, respectively.

CA/아밀로오스 평면 시트 막 결합 에세이를 하기 전에, 재조합 단백질, MBP-hERαLBD,의 수지에 대한 활성 및 결합을 3HE2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E2-결합을 결정하기 위하여, 아밀로오스 수지의 슬러리를 MBP-hERαLBD를 함유하는 추출물과 함께 철야로 배양하였다. 세정된 슬러리를 나중에 실온에서 3HE2 작업 용액을 함유하는 300 μL의 완충액 A와 함께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세정 단계를 반복하고 또 4 mL의 신틸레이션 칵테일을 슬러리에 부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신틸레이션 바이얼에 전달한 다음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를 이용하여 계수하였다.Prior to CA / amylose flat sheet membrane binding assay, the activity and binding of the recombinant protein, MBP-hER [alpha] LBD, to the resin was tested using 3 HE2. To determine the E2-binding, the slurry of amylose resin was incubated overnight with extracts containing MBP-hER [alpha] LBD. The washed slurry was then incubated for 3 hours at room temperature with 300 [mu] L of Buffer A containing 3 HE2 working solution. The rinsing step was repeated and another 4 mL of scintillation cocktail was added to the slurry. The mixture was transferred to a scintillation vial and counted using a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결론conclusion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이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한 새로운 검출 장치를 제공하며 또 인간 에스트로겐 및 안드로겐 수용체의 LBD를 통한 에스트로겐 및 안드로겐 화합물의 불활성 막 컨택터 상에서 친화성 고정화가 가능하고 실질적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나타내 보였음을 믿고 있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vel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and is capable of affinity immobilization on an inert membrane contactor of estrogen and androgenic compounds via LBD of human estrogen and androgen receptors, Of the total population.

Claims (35)

지지체 구조; 및
상기 지지체 구조 상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성 호르몬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LBD)을 포함하는,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
Support structure; And
A ligand binding domain (LBD) of at least one sex hormone receptor, immobilized on said support structure,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지지체 구조 상에서 LBD를 고정화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체 구조와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 사이에 링커 분자를 포함하는 검출 장치.2. The detec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on device comprises linker molecules between the support structure and the ligand binding domain for immobilizing LBD on the support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분비 교란 화합물은 안드로겐 및 에스트로겐 화합물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 형태인 검출 장치.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is either or both of an androgen and an estrogen compoun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 호르몬 수용체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안드로겐 수용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 형태인 검출 정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x hormone receptor is one or both of an estrogen receptor and an androgen recep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 호르몬 수용체는 리간드 결합 도메인 hERαLBD 및 hARLBD을 각각 갖는 인간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인간 안드로겐 수용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 형태인 검출 장치. 5.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ex hormone receptor is either or both of a human estrogen receptor and a human androgen receptor each having a ligand binding domain hER? LBD and hARLB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펩티드 태그를 포함하고 또 his6-hERαLBD 및 his6-hARLBD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검출 장치. 6. The detection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ligand binding domain comprises a peptide tag and is in the form of either his 6- hER [alpha] LBD and his 6 -hARLB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 hERαLBD은 융합 단백질로 발현되고 또 말토오스 결합 단백질- hERαLBD(MBP-hERαLBD) 형태인 검출 장치.6.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igand binding domain hER? LBD is expressed as a fusion protein and is in the form of a maltose binding protein-hER? LBD (MBP-hER? LB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성 호르몬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또 상기 유전자를 숙주에서 발현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검출 장치. 2. The detec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igand binding domain of the at least one sex hormone receptor is prepared by cloning a gene encoding the ligand binding domain and expressing the gene in a hos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숙주가 대장균인 검출 장치.9.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host is E. coli.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구조는 막 형태인 검출 장치.3.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upport structure is in the form of a membra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구조는 막 컨택터(스트립 매트릭스) 형태인 검출 장치.3.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upport structure is in the form of a membrane contactor (strip matrix).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막 컨택터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하이브리드 막 형태인 검출 장치.12.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membrane contactor is in the form of a cellulose acetate hybrid membran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하이브리드 막이 친화성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아밀로오스 하이브리드 막 형태인 검출 장치.13.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cellulose acetate hybrid membrane is in the form of an affinity cellulose acetate-amylose hybrid membran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 분자가 말토오스 결합 단백질 형태인 검출 장치.14. The detection device of claim 13, wherein the linker molecule is in the form of a maltose binding protei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구조는 불활성 막 형태인 검출 장치.11.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upport structure is in the form of an inert fil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막이 합성 중합체 막 형태인 검출 장치.16.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inert film is in the form of a synthetic polymer fil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중합체 막은 침지 석출 수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검출 장치. 17.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synthetic polymer film is fabricated using an immersion precipitation techniqu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중합체 막이 평면 및 비다공성인 검출 장치.17.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synthetic polymer membrane is planar and non-porou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중합체 막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술폰(PSU),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용액으로부터 캐스팅되는 검출 장치. 17. The detection device of claim 16, wherein the synthetic polymeric film is cast from one or more polysulfone (PSU), polyether imide (PEI),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solution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 분자가 변형된 폴옥사머 형태인 검출 장치. 20. The detection device of claim 19 wherein the linker molecule is in the modified poloxamer form.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폴옥사머가 일급 히드록실기 말단으로 끝나는 이작용성 블록 공중합체 계면활성제 형태인 검출 장치.21. The detection device of claim 20, wherein the poloxamer is in the form of a difunctional block copolymer surfactant ending with a primary hydroxyl group en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폴옥사머가 폴리(에틸렌 글리콜)-블록-폴리(프로필렌 글리콜)-블록-폴리(에틸렌 글리콜)(Pluronic F108로 지칭) 형태인 검출 장치. 22. The detection device of claim 21, wherein the poloxamer is in the form of a poly (ethylene glycol) -block-poly (propylene glycol) -block-poly (ethylene glycol) (referred to as Pluronic F10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Pluronic F108은 히드록실 말단기가 금속 킬레이트화 부위로 변형되어 Ni-이온을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또 고정화된 금속 치환성 크로마토그래피 매트릭스로서 작용할 수 있는 Pluronic F108 형태이고 또 금속 친화성 고정화된 수용체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제공하는 검출 장치. The modified Pluronic F108 of claim 22, wherein the modified Pluronic F108 is a Pluronic F108 form capable of specifically binding Ni-ions to a metal chelating site and capable of acting as an immobilized metal-displaced chromatography matrix And provides a metal affinity immobilized receptor ligand binding domain. 제23항에 있어서, Pluronic F108의 말단 히드록실 말단기에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무수물이 2단계 반응을 통하여 결합되어, 신규 금속 친화성 리간드, Pluronic-Ν,Ν-디카복시메틸-3,6-디아자옥탄디오에이트(Pluronic-DMDDO)를 생성하는 검출 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ianhydride is coupled to the terminal hydroxyl end group of Pluronic F108 via a two step reaction to form a novel metal affinity ligand, Pluronic-N, N- dicarboxymethyl-3,6- Diazaoctanedioate (Pluronic-DMDDO).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검출 장치를 시험될 샘플과 접촉시켜, 상기 샘플이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함유하면, 상기 화합물이 리간드 결합 도메인에 결합하게 하는 단계; 및
비색 에세이를 실시하여 결합된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나타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
Contacting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4 with a sample to be tested such that if the sample contains a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allowing the compound to bind to the ligand binding domain; And
A colorimetric assay is performed to show the combined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될 샘플은 물 샘플 형태인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sample to be tested is in the form of a water sample. 제26항에 있어서, 검출 장치를 샘플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상기 검출 장치를 샘플에 잠수시키거나, 상기 검출 장치 상에 샘플을 적하하거나, 상기 검출 장치를 샘플 등에 디핑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하는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2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6, wherein the step of bringing the detection device into contact with the sample comprises the steps of: submerging the detection device into the sample; dropping the sample onto the detection device; or dipping the detection device into a sample or the like RTI ID = 0.0 > endocrine < / RTI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색 에세이의 실시는,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EDC(내분비 교란 화합물)에 의해 포화시켜 리간드 결합 도메인이 형태를 변경하고 또 활성화되어 활성화된 EDC-리간드 결합 도메인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EDC-리간드 결합 도메인 복합체에 대해 생성된 단일클론 항체를 부가하여, 상기 단일클론 항체가 상기 활성화된 EDC-리간드 결합 도메인 복합체에 결합되게 하는 단계;
결합된 효소를 관찰하여, 샘플 중에 EDC의 존재를 나타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6,
Saturating the ligand binding domain with an EDC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so that the ligand binding domain is altered and activated to form an activated EDC-ligand binding domain complex;
Adding a monoclonal antibody raised against the activated EDC-ligand binding domain complex to bind the monoclonal antibody to the activated EDC-ligand binding domain complex;
Observing the bound enzyme to show the presence of EDC in the sample;
RTI ID = 0.0 > 1, < / RTI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활성화된 결합 수용체의 비색성, 형광성 또는 발광성 유도체를 생성하는 효소 형태인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enzyme is in the form of an enzyme that produces a colorimetric, fluorescent or luminescent derivative of an activated binding receptor.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호스래디시 퍼옥시다제 형태인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 30.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enzyme is in the horseradish peroxidase form.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색 에세이의 실시는,
특정 수용체에 대하여 효소 표지된 스테로이드 리간드를 부가하는 단계; 및
수용체 포화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6,
Adding an enzyme labeled steroid ligand to a specific receptor; And
Determining the degree of receptor saturation;
RTI ID = 0.0 > 1, < / RTI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색 에세이의 실시는,
결합된 수용체를 결합하여 활성화시키는 열 충격 단백질을 부가하는 단계; 및
열 충격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부가하여 결합된 수용체를 나타내어 내분비 교란 화합물 결합을 나타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6,
Adding a heat shock protein that binds and activates a coupled receptor; And
Adding an antibody to the heat shock protein to display a bound receptor to cause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binding
A method for detecting a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제1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되고 예시된 바와 같은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The detection device of claim 1, substantially for detecting a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a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제25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되고 예시된 바와 같은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substantially detecting an endocrine disruptor compound as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신규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 및 신규 내분비 교란 화합물을 검출하는 방법.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novel endocrine disruptor compounds substantially as herein described, and a method for detecting novel endocrine disruptor compounds.

KR1020157032528A 2013-05-06 2014-05-06 Detecting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KR2016002973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ZA201303249 2013-05-06
ZA2013/03249 2013-05-06
PCT/IB2014/061242 WO2014181254A2 (en) 2013-05-06 2014-05-06 Detecting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734A true KR20160029734A (en) 2016-03-15

Family

ID=5102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528A KR20160029734A (en) 2013-05-06 2014-05-06 Detecting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069910A1 (en)
EP (1) EP2994760A2 (en)
KR (1) KR20160029734A (en)
CN (1) CN105378485A (en)
SG (1) SG11201509142UA (en)
WO (1) WO2014181254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6409B (en) * 2019-03-21 2022-07-26 山东师范大学 Solid-phase extraction affinity column for estrogen interferent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0326A2 (en) * 1999-09-13 2001-03-22 Equitech Laboratories, Inc.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 analyte
EP1856151A2 (en) * 2005-01-19 2007-11-21 Wyeth Estrogen receptor structure
CN101738477B (en) * 2009-12-15 2013-08-07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Androgen receptor in-vitro receptor and ligand binding effect-based ELISA quantitative detection method for environmental androgen
CN102060922B (en) * 2010-11-19 2012-10-03 北京大学 Recombined human estrogen Alpha receptor ligand binding domain protein as well as prepar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4760A2 (en) 2016-03-16
WO2014181254A3 (en) 2015-03-12
SG11201509142UA (en) 2015-12-30
WO2014181254A2 (en) 2014-11-13
US20160069910A1 (en) 2016-03-10
CN105378485A (en)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ark et al.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FI114341B (en) Use of avidin or streptavidin as an antidepressant in immunoassays and assay procedures using this agent
Bronshtein et al. Sol− Gel Matrixes Doped with Atrazine Antibodies: Atrazine Binding Properties
CZ294954B6 (en) Chromatography assay device for detecting presence of analyte in blood sample
Hayat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label-free amperometric immunosensor for the detection of okadaic acid
Zhang et al. Glyco-CPLL: an integrated method for in-depth and comprehensive N-glycoproteome profiling of human plasma
Cui et al. Development of a highly specific fluorescence immunoassay for detection of diisobutyl phthalate in edible oil samples
Filipović et al. Affinity-based isola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by means of single-domain antibodies bound to macroporous methacrylate-based copolymer
Drame et al.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of Loa loa microfilaria-specific biomarkers: a rational design approach using proteomics and novel immunoassays
Albuquerque et al. Improvement of the specificity of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diagnosis of paracoccidioidomycosis
BR11201402051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BIOASSESS SIGNAL AMPLIFICATION
CN102060922B (en) Recombined human estrogen Alpha receptor ligand binding domain protein as well as prepar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Nazari et al. Biosensor design using an electroactive label-based aptamer to detect bisphenol A in serum samples
Huang et al. Rapid detection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SFTSV) total antibodies by up‐converting phosphor technology‐based lateral‐flow assay
KR20110115681A (en) Microcystin detection kit using paper chromatography and chemical luminescenc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US20090197347A1 (en) Immunoassay for plasmodium falciparum and assay device used therefor
US9952230B2 (en) Method of inhibiting nonspecific reaction in PIVKA-II assay reagent
KR20160029734A (en) Detecting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WO2021237534A1 (en) Antibody against novel coronavirus, antibody combination, preparation method, and detection kit containing same
Xu et al. Simultaneous detection of diethylstilbestrol and estradiol residues with a single immunochromatographic assay strip
Kahveci et al. Photoinduced in situ formation of clickable PEG hydrogels and their antibody conjugation
Al‐Majdoub et al. A novel strategy for the rapid preparation and isolation of intact immune complexes from peptide mixtures
CN108341867A (en) A kind of biotinylated antibody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CN109946409B (en) Solid-phase extraction affinity column for estrogen interferent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Zhou et al. Recombinant streptavidin fusion proteins as signal reporters in rapid test of human hepatitis C virus 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