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315A - 휴대용제설기 - Google Patents

휴대용제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315A
KR20160029315A KR1020140118600A KR20140118600A KR20160029315A KR 20160029315 A KR20160029315 A KR 20160029315A KR 1020140118600 A KR1020140118600 A KR 1020140118600A KR 20140118600 A KR20140118600 A KR 20140118600A KR 20160029315 A KR20160029315 A KR 20160029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impeller
work table
ey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용
Original Assignee
김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용 filed Critical 김두용
Priority to KR102014011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9315A/ko
Publication of KR20160029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45Means per se for conveying or discharging the dislodged material, e.g. rotary impellers, discharge chu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8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8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 E01H5/09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otary or moving along a closed circular path, e.g. rotary cutter, digg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제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초기(刈草機)에 칼날 대신 장착하여 예초기의 동력으로 구동시켜 제설하도록 한 휴대용제설기에 관한 것으로, 엔진의 동력으로 회동하는 예초기의 작업대 끝의 회동유니트에 풀을 치는 예초기 칼날을 대신하여 임펠러를 장착하고 임펠러의 구동으로 제설작업을 하도록, 지면에 쌓인 눈을 수집하기 위한 눈받이와, 수집된 눈을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로 구성하는 휴대용제설기 있어서, 달팽이하우징의 벌류트곡선 단부에 측면을 향하도록 토출구를 구성하고, 중앙에 예초기작업대의 회동유니트가 위치하는 통공을 구성하며, 통공의 후단부에는 작업대결합부와 유도날개를 구성한 것과; 상기 달팽이하우징의 작업대결합부에 결합된 예초기작업대의 회동유니트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임펠러를 원판의 일면에 익편을 구성하여 눈이나 공기를 중앙 하방으로부터 흡입하여 측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달팽이하우징 내부에 구성한 것과; 상기 임펠러가 내부에 설치된 달팽이하우징 하단에는, 전방측에 눈을 수집하는 넓은 유도호퍼를 형성하고 상기 임펠러와 일치하는 흡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흡출공과 일치하는 바닥면에 수직흡입공을 형성하며 하단에 이동바퀴를 장착하는 축핀을 일체로 구성한 눈받이와; 상기 눈받이의 저면에 구성한 축핀에 방향전환 용이하도록 회동되게 결합하는 결합편을 구성한 이동바퀴와; 상기한 구성의 제설기를 예초기작업대에 결합하기 위하여 작업대의 끝단에 구성한 기어박스를 감싸쥐는 파지부를 일체로 구성한 결합구로 이루어진 휴대용제설기를 구성하였다.

Description

휴대용제설기{Portable plows}
본 발명은 휴대용제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초기(刈草機)에 칼날 대신 장착하여 예초기의 동력으로 구동시켜 제설하도록 한 휴대용제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설작업을 함에 있어서, 넓은 지역을 제설하는 자동차를 이용한 제설작업과 개인의 주택이나 집앞을 제설하기 위한 수,공구를 이용한 제설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개인의 집앞이나 작은 지역의 제설을 하기 위한 별도의 제설 기구가 없어 보편적으로 수,공구에 의존하였다.
이에 등에 메고 다니는 예초기의 작업대 단부에 칼날 대신 장착돼서 엔진의 동력이 와이어로 전달되어서 제설을 하도록 하는 휴대용 제설기가 개발되었는바, 이에 지금까지의 제설기는 물론, 예초기를 이용한 휴대용제설기에 대하여 지금까지 개발된 선행기술의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출원 제10-1986-0007758호(1986.09.12)는, 눈을 수거하여 분출(throwing) 시키도록 회전가능한 패들(padle) 형태로 구성된 임펠러를 갖추고 있는 단일단계 제설기(single stage snow thrower)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후방벽과 연결된 양쪽 측벽에 의해서 한정되는 개방된 전방부를 갖추고 있는 하우징과, 눈을 수거하여 분출시키도록 회전가능한 제설용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에 제공된 상기 전방부의 상기 후방 벽 상에 설치된 눈 수거용 챔버와, 상기 임펠러가 상기 측벽의 사이로 연장하여 상기 후방벽의 전방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는 바깥쪽으로 연장한 적어도 하나의 패들을 갖추고 있고, 상기 패들 중앙지점으로부터 양쪽 측면쪽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만곡되어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으로 볼 때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패들은 그 전체 길이의 적어도 1/2에 걸쳐서 연장한 중앙부, 및 상기 패들의 전체 길이의 나머지 길이에 걸쳐서 연장하도록 상기 중앙부의 양쪽 측면으로 위치되어 있는 헬리컬 형상의 두 개의 오거부를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상기 오거부가 상기 패들의 길이에 비해서 비교적 작은 크기의 핏치를 갖는 비교적 작은 1회전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오거부가 상기패들의 향쪽 단부를 형성하고 있고, 각각의 상기 단부의 축선방향 제일 안쪽부분이 상기 중앙부의 형상에 근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단부와 중앙부 사이의 매끄러운 중간 지역을 제공하며, 상기 챔버가 임펠러에 제공된 패들의 중앙부 뒤쪽으로 위치되어 있고, 상기 챔버가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안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의 하단부가 상기 패들의 전체 길이의 50% 내지 100% 정도의 크기로 상기 패들과 간격을 두기에 충분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단계 제설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03113호(2003.02.03)는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작업봉의 단부에 구비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가 회전될 경우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모식된 쓸이부로 이루어진 예초기의 청소수단에 관한 것으로, 예초기의 회전축에 청소수단을 장착하여 눈등을 청소하므로서 최소의 노동력으로 보다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겨울철등과 같이 예초기를 사용하지 않는 시기에도 예초기를 활용하므로서 장시간 방치로 인한 예초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13256호(2008.10.02)는 트랙터용 블로잉 타입 제설기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의 전진방향으로 견인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후진방향으로도 제설기를 장착하여 양방향으로 겸용할 수 있도록 트랙터연결수단과 트랙터의 PTO축을 연결하여 동력을 구성하는 동력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제설작업도중 슈트의 방향을 체인과 유압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하고, 방향제한을 위한 스톱퍼가 구비되었으며, 슈트의 배출단부에 결합되는 커버의 경사각을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의 트랙터용 블로잉 타입 제설기를 제시한다 특허출원 제10-2006-0053104호(2006.06.13)는 동력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제초, 예취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휴대용 소형엔진을 동력원으로 하면서 동력전달부와 송풍팬을 형성하여 동절기에 제설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산불이나 화재의 초기진압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동력이 발생되며 휴대가 가능한 동력수단;과, 상기 동력수단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내장하는 작업대지지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예취기를 비롯한 다목적으로 이용되는 휴대용 동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보호하는 송풍팬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송풍부;와, 상기 동력수단의 동력을 송풍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동력을 전달받는 송풍팬사이에 동력을 전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은 시로코팬, 터보팬 및 축류송풍기 중 어느 것 하나로 구성 되어서, 동절기에 제설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장비로 예취기를 비롯한 산불진화기, 제설장지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02009호(2003.01.22)는, 휴대용 제설기는 지면에 쌓인 눈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플레이트와; 수집된 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 및 수용된 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투출통과; 상기 투출통의 수용실에 도입된 눈을 배출구로 밀어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용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투출통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투출통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눈을 모을 수 있는 수집플레이트와 투출통 및 모아진 눈을 일측으로 날려 보내는 임펠러와,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갖춤으로써, 도로 또는 길에 쌓인 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많은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가 가능하여 큰 제설차가 진입할 수 없는 폭이 좁은 도로나 비탈지고 험한 험지의 눈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누구나 구비하여 사용이 가능 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지금까지의 제설기를 살펴보면, 대부분은 차량을 이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였고, 휴대용으로 예초기를 이용한 제설기가 개발되었으나, 특허출원 제10-2006-0053104호(2006.06.13)는 동력송풍기로서 송풍팬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바람으로 눈을 날려 보내도록 한 것이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02009호(2003.01.22)는, 눈을 수집하여 임펠러로 밀어내는 구성을 하였는바, 이는 예초기의 동력원인 모터의 출력으로는 일을 할 수 없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등, 지금까지의 휴대용 제설기는 눈을 치우는데 있어서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여 제설기로서의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지금까지의 개발된 예초기와 이를 이용한 제설기를 개량발명하여 착,탈이 손쉽고 동작이 안정적이면서도 제설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엔진의 동력으로 회동하는 예초기의 작업대 끝의 회동유니트에 풀을 치는 예초기 칼날을 대신하여 임펠러를 장착하고 임펠러의 구동으로 제설작업을 하도록 지면에 쌓인 눈을 수집하기 위한 눈받이와, 수집된 눈을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로 구성하는 휴대용제설기 있어서, 달팽이하우징의 벌류트곡선 단부에 측면을 향하도록 토출구를 구성하고, 중앙에 예초기작업대의 회동유니트가 위치하는 통공을 구성하며, 통공의 후단부에는 작업대결합부와 유도날개를 구성한 것과; 상기 달팽이하우징의 작업대결합부에 결합된 예초기작업대의 회동유니트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임펠러를 원판의 일면에 익편을 구성함으로써, 눈이나 공기를 중앙 하방으로부터 흡입하여 측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달팽이하우징 내부에 구성한 것과; 상기 임펠러가 내부에 설치된 달팽이하우징 하단에는, 전방측에 눈을 수집하는 넓은 유도호퍼를 형성하고 상기 임펠러와 일치하는 흡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흡출공과 일치하는 바닥면에 수직흡입공을 형성하며 하단에 이동바퀴를 장착하는 축핀을 일체로 구성한 눈받이와; 상기 눈받이의 저면에 구성한 축핀에 방향전환 용이하도록 회동되게 결합하는 결합편을 구성한 이동바퀴와; 상기한 구성의 제설기를 예초기작업대에 결합하기 위하여 작업대의 끝단에 구성한 기어박스를 감싸쥐는 파지부를 일체로 구성한 결합구로 이루어진 휴대용제설기를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통상의 예초기(刈草機)에 칼날을 대신하여 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예초기에 장착시 안정적이면서도 바닥에 쌓인 눈을 유도호퍼로 모아서 흡입과 동시에 일정한 방향으로 불어내도록 구성하여 눈의 상태에 구애받지않고 제설작업이 가능한 것은 물론, 임펠러의 흡입측 아래에 수직흡입공을 구성하여 바닥의 눈을 흡입함과 동시에 보다 많은 공기를 보충하여 유도호퍼에 안내되어 들어오는 눈을 분산하여 날려서 배출하는 방식이 되어 제설기능이 뛰어난 등 지금까지의 휴대용제설기에서 기대할 수 없던 신규한 효과를 창출함으로써, 도로 또는 길에 쌓인 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많은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큰 제설차가 진입할 수 없는 폭이 좁은 도로나 비탈지고 험한 험지의 눈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누구나 구비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성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을 정면에서 본 저부 구성상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임펠러의 다른 구성상태 예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의 동력으로 회동하는 예초기의 작업대(60) 끝의 회동유니트(65)에 풀을 치는 예초기 칼날을 대신하여 임펠러(30)를 장착하고 임펠러(30)의 구동으로 제설작업을 하도록, 지면에 쌓인 눈을 수집하기 위한 눈받이(15)와, 수집된 눈을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1)로 구성하는 휴대용제설기 있어서, 달팽이하우징(10)의 벌류트곡선 단부에 측면을 향하도록 토출구(11)를 구성하고, 중앙에 예초기작업대(60)의 회동유니트(65)가 위치하는 통공(12)을 구성하며, 통공(12)의 후단부에는 작업대결합부(14)와 유도날개(13)를 구성한 것과; 상기 달팽이하우징(10)의 작업대결합부(14)에 결합된 예초기작업대(60)의 회동유니트(65)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임펠러(30)를 원판의 일면에 익편(31)을 구성하여 눈이나 공기를 중앙 하방으로부터 흡입하여 측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달팽이하우징(10) 내부에 구성한 것과; 상기 임펠러(30)가 내부에 설치된 달팽이하우징(10) 하단에는, 전방측에 눈을 수집하는 넓은 유도호퍼(16)를 형성하고 상기 임펠러(30)와 일치하는 흡출공(17)을 형성하며 상기 흡출공(17)과 일치하는 바닥면에 수직흡입공(18)을 형성하며 하단에 이동바퀴(20)를 장착하는 축핀(19)을 일체로 구성한 눈받이(15)와; 상기 눈받이(15)의 저면에 구성한 축핀(19)에 방향전환 용이하도록 회동되게 결합하는 결합편(21)을 구성한 이동바퀴(20)와; 상기한 구성의 제설기를 예초기작업대(60)에 결합하기 위하여 작업대의 끝단에 구성한 기어박스(61)를 감싸쥐는 파지부(41)를 일체로 구성한 결합구(40)로 이루어진 휴대용제설기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달팽이하우징(10)은, 벌류트곡선 단부에 측면을 향하도록 토출구(11)를 구성하고, 중앙에 예초기작업대(60)의 회동유니트(65)가 위치하는 통공(12)을 구성하며, 통공(12)의 후단부에는 작업대결합부(14)를 구성한다.
상기 달팽이하우징(10)의 작업대결합부(14)에 결합된 예초기작업대(60)의 회동유니트(65)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임펠러(30)는, 원판의 일면에 익편(31)을 구성하여 눈이나 공기를 중앙 하방으로부터 흡입하여 측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달팽이하우징(10) 내부에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30)는, 상하 양면에 익편(31)을 구성하고, 달팽이하우징(10)의 통공(12)후단에 형성한 작업대결합부(14)양측에 유도날개(13)를 구성하여 눈을 상하 양측으로 흡입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임펠러(30)의 익편(31)은 벌류트 곡선으로 휘어지게 구성하거나 일자로 펴진 상태로 구성할 수 있는바, 익편(31)의 구성모양에 특별히 구애받지 않는다 할 것이다.
상기 임펠러(30)가 내부에 설치된 달팽이하우징(10) 하단에 결합하는 눈받이(15)는, 눈을 수집하는 전방측이 넓은 유도호퍼(16)를 형성하며 바닥면은 밀폐되고 상면은 상기 임펠러(30)와 일치하는 흡출공(17)을 형성한 통체로 구성하여서 그 저면 어느 한곳에 이동바퀴(20)를 장착하는 축핀(19)을 일체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눈받이(15)의 흡출공(17)과 일치하는 바닥면에 수직흡입공(18)을 구성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눈받이(15)의 눈을 수집하는 전방측이 넓은 유도호퍼(16)는 상측을 개방하여도 무방하며, 유도호퍼(16)의 선단에 고무나 기타 플라스틱을 붙여서 구성하면 바닥의 눈을 긁어 들이는데 더욱 이상적이다.
상기 눈받이(15)의 저면에 구성한 축핀(19)에 이동바퀴(2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눈받이(15)의 저면에 구성한 이동바퀴(20)는, 눈받이(15)의 저면에 축핀(19)을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축핀(19)에 방향전환 용이하도록 회동 되게 이동바퀴(20)의 축과 일체로 구성한 결합편(21)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제설기를 예초기작업대(60)에 결합하는 결합구(41)는, 예초기작업대(60)의 끝단에 구성한 기어박스(61)를 감싸쥐는 파지부(41)를 일체로 구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예초기(도시하지않음)의 예초기작업대(60)에 장착함에 있어서, 먼저 초기작업대(60)에 달팽이하우징(10)을 결합구(41)를 이용하여 결합하는데 달팽이하우징(10)의 작업대결합부(14)에 예초기작업대(60)를 밀착하여 결합구(41)로 결합하면 결합구(41)의 파지부(41)가 예초기작업대(60)의 기어박스(61)를 파지한 상태가 되므로 예초기작업대(60)의 회동유니트(65)는 정확하게 달팽이하우징(1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예초기작업대(60)의 회동유니트(65)에 임펠러(30)를 장착하고 달팽이하우징(10) 저면에 유도호퍼(16)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눈받이(15)를 결합하면 유도호퍼(16)의 선단은 바닥에 인접하게 위치하면서 휴대용제설기의 장착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제설기의 장착이 완성되면, 예초기의 엔진(도시하지않음)에 시동을 걸어 발생한 동력이 예초기작업대(60)의 회동유니트(65)에 결합된 임펠러(30)를 회동시키면 임펠러(30)에서 발생한 강력한 흡입력이 눈받이(15)의 유도호퍼(16)에 작용하여 유도호퍼(16)를 통하여 눈받이(15) 내부로 진입하는 눈을 흡입하여 달팽이하우징(10)을 통하여 토출구(11)로 토출한다.
이때 상기 눈받이(15)의 바닥면에 수직흡입공(18)을 뚫어주면 수직흡입공(18)을 통하여 바닥에 붙어있던 잔여 눈을 흡입함은 물론, 수직흡입공(18)을 통하여 일부 공기가 진입하여 유도호퍼(16)를 통하여 뭉쳐서 들어오는 눈을 분산시켜 달팽이하우징(10)으로 끌고 들어가게 되어 그 성능은 향상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41)의 파지부(41)가 예초기작업대(60)의 끝단에 구성한 기어박스(61)를 감싸쥐는 구성을 함으로써, 임펠러(30)에 부하가 걸리더라도 임펠러(30)의 회전이 안정되어 제설기의 성능이 뛰어나게 된다.
그리고 눈받이(15)의 아래측에 이동바퀴(20)를 구성하여 이동이 편리한 것은 물론, 이동바퀴(20)의 축과 일체로 구성한 결합편(21)을 눈받이(15)의 저면에 형성한 축핀(19)에 회동되게 결합함으로써 작업중 방향전환이 자유로워 사용이 편리하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30)는, 상하 양면에 익편(31)을 구성하고, 달팽이하우징(10)의 통공(12)을 통하여 흡입하도록 구성하면, 작업대결합부(14)양측에 형성한 유도날개(13)에 안내되어 모든 눈이 통공(12)을 통하여 달팽이하우징(1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농촌에서 동절기 눈이 오면 예초기에 쉽게 장착하여 제설작업을 할 수 있는 등 그 이용가능성이 대단하다 할 것이다.
10: 달팽이하우징 11: 토출구 12: 통공
13: 유도날개 14: 작업대결합부 15: 눈받이
16: 유도호퍼 17: 흡출공 18: 수직흡입공
19: 축핀 20: 이동바퀴 21: 결합편
30: 임펠러 31: 익편 40: 결합구
41: 파지부 60: 작업대 61: 기어박스
65: 회동유니트

Claims (5)

  1. 엔진의 동력으로 회동하는 예초기작업대(60) 끝의 회동유니트(65)에 풀을 치는 예초기 칼날을 대신하여 임펠러(30)를 장착하고 임펠러(30)의 구동으로 제설작업을 하도록, 지면에 쌓인 눈을 수집하기 위한 눈받이(15)와, 수집된 눈을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1)로 구성하는 휴대용제설기 있어서,
    달팽이하우징(10)의 벌류트곡선 단부에 측면을 향하도록 토출구(11)를 구성하고, 중앙에 예초기작업대(60)의 회동유니트(65)가 위치하는 통공(12)을 구성하며, 통공(12)의 후단부에는 작업대결합부(14)를 구성한 것과;
    상기 달팽이하우징(10)의 작업대결합부(14)에 결합된 예초기작업대(60)의 회동유니트(65)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임펠러(30)를 원판의 일면에 익편(31)을 구성하여 눈이나 공기를 중앙 하방으로부터 흡입하여 측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달팽이하우징(10) 내부에 구성한 것과;
    상기 임펠러(30)가 내부에 설치된 달팽이하우징(10) 하단에, 눈을 수집하는 전방측이 넓은 유도호퍼(16)를 형성하며 바닥면은 밀폐되고 상면은 상기 임펠러(30)와 일치하는 흡출공(17)을 형성한 하단에 이동바퀴(20)를 장착하는 축핀(19)을 일체로 구성한 눈받이(15)와;
    상기 눈받이(15)의 저면에 이동바퀴(20)를 구성한 것과;
    상기한 구성의 제설기를 예초기작업대(6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4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제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받이(15)의 흡출공(17)과 일치하는 바닥면에 수직흡입공(18)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제설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받이(15)의 저면에 구성한 이동바퀴(20)는, 눈받이(15)의 저면에 축핀(19)을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축핀(19)에 방향전환 용이하도록 회동 되게 이동바퀴(20)의 축과 일체로 구성한 결합편(21)을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제설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성의 제설기를 예초기작업대(60)에 결합하는 결합구(41)는, 예초기작업대(60)의 끝단에 구성한 기어박스(61)를 감싸쥐는 파지부(41)를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제설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30)는, 상하 양면에 익편(31)을 구성하고, 달팽이하우징(10)의 통공(12)후단에 형성한 작업대결합부(14)양측에 유도날개(13)를 구성하여 눈을 상하 양측으로 흡입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제설기.
KR1020140118600A 2014-09-05 2014-09-05 휴대용제설기 KR20160029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600A KR20160029315A (ko) 2014-09-05 2014-09-05 휴대용제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600A KR20160029315A (ko) 2014-09-05 2014-09-05 휴대용제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315A true KR20160029315A (ko) 2016-03-15

Family

ID=5554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600A KR20160029315A (ko) 2014-09-05 2014-09-05 휴대용제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9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585B1 (ko) 2019-11-04 2020-07-20 정희성 휴대형 제설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7758A (ko) 1985-03-01 1986-10-17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와이어본딩용 볼의 형성방법
KR200312150Y1 (ko) 2003-01-22 2003-05-09 (주)한서정공 휴대용 제설기
KR200312194Y1 (ko) 2003-02-03 2003-05-09 고봉국 예초기의 청소수단
KR20060053104A (ko) 2004-08-19 2006-05-19 모다인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접합 실리콘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0445347Y1 (ko) 2008-10-02 2009-07-22 김완수 트랙터용 블로잉 타입 제설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7758A (ko) 1985-03-01 1986-10-17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와이어본딩용 볼의 형성방법
KR200312150Y1 (ko) 2003-01-22 2003-05-09 (주)한서정공 휴대용 제설기
KR200312194Y1 (ko) 2003-02-03 2003-05-09 고봉국 예초기의 청소수단
KR20060053104A (ko) 2004-08-19 2006-05-19 모다인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접합 실리콘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0445347Y1 (ko) 2008-10-02 2009-07-22 김완수 트랙터용 블로잉 타입 제설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585B1 (ko) 2019-11-04 2020-07-20 정희성 휴대형 제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7203A (en) Convertible snowblower using rectangular shroud interface
CN206452753U (zh) 一种园林用多功能割草机
US5588289A (en) Garden cutting tools
US3142913A (en) Snow plow attachment for lawn mowers
JP5827769B1 (ja) 掃除装置
US7146791B2 (en) Interchangeable mulching/discharge mowing deck
US9867332B2 (en) Operationally tiltable counter rotating twin blade mowing deck
AU2018100555A4 (en) Blowing-Suction Machine
US2605561A (en) Snowplow
US3373514A (en) Conversion unit for rotary mowers
US20030221399A1 (en) Changeable power implements
US3588179A (en) Power mower clipping-collecting attachment-collecting trailer therefor
CN104509308B (zh) 智能割草机
US2770893A (en) Rotary snow plow
KR20160029315A (ko) 휴대용제설기
WO2009140748A1 (pt) Equipamento para corte, recolhimento e processamento dinâmico de grama
EP1415524A1 (en) Trimmer
CN107046929A (zh) 便捷式电动割草机
KR20150072177A (ko) 관리기 부착형 제설장치
JPH11209937A (ja) 地表面清掃機
US2432922A (en) Electric lawn edger
US3367092A (en) Power mower attachment
KR20170057093A (ko) 낙엽 및 도로 진공청소차
JP2012228200A (ja) 草刈機及び草刈用装着具
US11713549B2 (en) Electric scoop and bag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