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660A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 Google Patent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660A
KR20160028660A KR1020140117416A KR20140117416A KR20160028660A KR 20160028660 A KR20160028660 A KR 20160028660A KR 1020140117416 A KR1020140117416 A KR 1020140117416A KR 20140117416 A KR20140117416 A KR 20140117416A KR 20160028660 A KR20160028660 A KR 20160028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housing
receiving groove
exchang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7963B1 (en
Inventor
정춘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to KR1020140117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963B1/en
Publication of KR2016002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6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9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ed in different types of outlet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mprises: a housing which is configured to hold a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a plug which includes a fixed body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n exchange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ed body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alternating current power outlet installed on a wall; and a transmission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housing, converts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ied from the outlet through the plug, into direct current power, and outputs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Description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being used in a different outlet,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전자기기(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electric power to charge an electronic device (battery).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Secondary Battery)가 배터리로서 장착된다.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가정용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하다. Generally,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are mounted as batteries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To charge the battery, a separate charging device is needed to provide electrical energy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a commercial commercial power source.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두 접촉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고 접촉 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어 접촉 상태가 쉽게 불량해지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배터리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습기에 노출되면, 충전에너지가 쉽게 소실될 수 있다. Typically,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are each provided with a separate contact terminal on the outside, there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by connecting the two contact terminals to each other. However, if the contact terminal protrudes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the appearance is not good, and the contact terminal is contaminated with foreign matter, and the contact state is easily deteriorated easily. Further, when a short circuit occurs to the battery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or exposure to moisture, the charging energy can be easily lost.

이러한 접촉식 충전방식의 대안으로서, 충전장치와 배터리 각각의 접촉 단자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방식으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전력 전달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무선전력 충전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As an alternative to such a contact charging method, a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has been proposed in which power transmission is performed wirelessly so that the battery is char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무선전력 충전시스템의 일부를 이루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콘센트에 접속되어야 한다. 이때, 교류 전력의 전압의 차이, 또는 같은 전압이라도 접속 구조에 따라서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모든 콘센트에 그대로 사용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hich forms part of a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must be connected to an outlet.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us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 all the outlets depending on the connection structur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voltage of the AC power or the same voltage.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형태의 콘센트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can be used in different types of outlets, which can accommodate different types of outlets.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벽에 설치된 교류 전력용 콘센트에 접속되게 구성되는 교환체를 구비하는 플러그;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플러그를 통해 상기 콘센트로부터 공급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향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a different outlet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 plug embedd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n exchanger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and connected to an outlet for an AC power installed on the wall; And a transmission unit built in the housing, for converting AC power supplied from the socket through the plug to DC power, and outpu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towar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와 연통된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교환체는, 상기 수용홈에 끼워져서 상기 고정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housing has a receiving groov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and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exchanger is fit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

여기서, 상기 교환체를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 결합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detachable coupling unit detachably coupling the exchanger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서, 상기 탈착 결합 유닛은, 상기 수용홈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을 한정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삽입 돌기; 및 상기 교환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홀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etachable coupling unit includes: an insertion protrusion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housing that defines the receiving groove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n insertion hol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changer and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을 한정하는 부분에 수용되고, 상기 삽입 홀에 수용되는 사이즈를 갖는 볼;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을 한정하는 부분에 수용되어, 상기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sertion protrusion may include a ball accommodated in a portion defining a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size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hole; And an elastic body received in a portion defining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ll.

여기서, 상기 삽입 홀은, 상기 교환체의 회전에 대응하여 복수의 각도에서 상기 삽입 돌기를 수용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insertion holes may be provided in plural to accommodate the insertion protrusions at a plurality of angle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exchange body.

여기서, 상기 교환체는, 상기 콘센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전극 단자 및 상기 전송 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매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xchanger may include an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and the fixture may include a medial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transfer unit.

여기서, 상기 매개 단자는, 상기 교환체의 회전에 대응하여 복수의 각도에서 상기 전극 단자와 접속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medial terminal may be provided in plural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t a plurality of angle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exchanger.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 거치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양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Here, a support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that is mounted on the housing.

여기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양 측부에 설치되고, 서로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upport unit may include a pair of suppor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brought closer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의하면, 콘센트의 형태가 다른 경우라도 간단한 변경을 통해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사용자가 여려 개의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the different types of out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form of the outlets i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simple changes. Thereby,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have a plurality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s,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전송 유닛(130)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무선 충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함께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300)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함께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무선전력 전송장치(300)의 플러그(350)에 있어서 교환체(351)가 고정체(356)와 접속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400)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함께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wireless charging between a transmission unit 130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a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together with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As shown in FIG.
FIG. 3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exchanger 351 is connected to the fixing body 356 in the plug 350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a different out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전송 유닛(130)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무선 충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wireless charging between a transmission unit 130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a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무선전력 충전 시스템은,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도 2)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포함한다.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무선전력 신호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 전송하면, 이 전력 신호를 수신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무선전력 신호의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연결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FIG. 2)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transmits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receiving the power signal transmits the wireless power signal A battery is charged, or power is supplied to an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이하에서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구체적으로는 전송 유닛(130)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연관된 구성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related configuration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unit 13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전송 유닛(130)은, 전송 코일(131) 및 전송 제어부(135), 그리고 AC/DC 컨버터(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차량의 배터리(DC 전류를 저장하는)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AC/DC 컨버터(141)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coil 131, a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and an AC / DC converter 141. However, i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utilizes the vehicle's battery (which stores the DC current), the AC / DC converter 141 may not be needed.

먼저, 전송 코일(131)은 무선전력 신호를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10)에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코일[즉,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이 적용될 수 있다.First, the transmission coil 131 i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reception coil 210 of the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anner. In this embodiment, two coils (i.e., a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can be applied.

다음으로, 전송 제어부(135)는, 객체 감지부(136), 중앙제어부(137), 스위칭제어부(138), 구동드라이버(139) 및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may include an object sensing unit 136, a central control unit 137, a switching control unit 138, a driving driver 139, and a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객체 감지부(136)는 전송 코일(131)의 부하변화를 감지하고, 해당 부하변화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즉 아이디 확인부로서의 기능을 가짐). 나아가, 전송 코일(131)이 제1 전송 코일(132)과 제2 전송 코일(133)로 구성되는 경우에, 객체 감지부(136)는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 중 어느 전송 코일에 대응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10)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객체 감지부(136)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충전 상태 신호를 필터링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송 코일(131)을 통해 전송되는 아이디 호출 신호의 응답신호인 아이디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필터링 하여 처리하고, 충전 중, 배터리 셀이나 충전 전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상태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필터링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The object sensing unit 136 can sense a load change of the transmission coil 131 and determine whether the load change is caus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e., function as an ID checking unit). The object sensing unit 136 may include a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a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may include a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a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When the transmission coil 131 is composed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The receiving coil 21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can be determined. The object sensing unit 136 performs a function of filtering and processing the charge st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For example, when the ID signal, which is a response signal of the ID cal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31, is received, the ID signal is filtered and processed, and a charge state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battery cell or the charge voltage Once received, it filters and processes it.

중앙 제어부(137)는 객체 감지부(136)의 판단결과를 전송받아 확인하고, 전송 코일(131)에서 수신되는 아이디 신호를 분석하여, 전송 코일(131)을 통해 무선전력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전력 신호를 구동 드라이버(139)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전송 코일(131)이 제1 전송 코일(132)과 제2 전송 코일(133)로 구성된 경우에, 중앙 제어부(137)은 객체 감지부(136)의 판단결과에 따라 두 개의 전송 코일(132 및 133) 중 수신 코일(210)에 가까운 하나의 전송 코일만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37)는 전송 코일(131)로부터 충전 상태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기초하여 구동 드라이버(139)를 제어하여 무선전력 신호를 변경하는 기능을 한다.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analyzes the identif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coil 131 and transmits the wireless power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31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driving driver 139.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controls the two transmission coils 132 and 132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object detection unit 136. In the case where the transmission coil 131 is composed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133, only one of the transmission coils close to the reception coil 210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controls the drive driver 139 to change the wireless power signal based on the charge state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coil 131. [

스위칭제어부(138)는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와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의 사이에 스위치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전송 코일(132 및 133)이 예시되나, 전송 코일(131)이 하나만 사용되는 경우에는 당연히 스위칭제어부(138)가 불필요하게 된다.The switching control unit 138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between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and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In this embodiment, two transmission coils 132 and 133 are illustrated. However, when only one transmission coil 131 is used, the switching control unit 138 is unnecessary.

구동 드라이버(139)는 중앙 제어부(137)의 제어를 통해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The drive driver 139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through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는 구동 드라이버(139)의 제어에 의해 송출하고자 하는 전력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송출 전원을 생성하여 전송 코일(131)로 공급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중앙 제어부(137)가 요구되는 전력 값을 갖는 전력 신호의 송출을 위한 전력 제어 신호를 구동 드라이버(139)로 전송하면, 구동 드라이버(139)는 전송된 전력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는 구동 드라이버(139)의 제어에 의하여 요구되는 전력 값에 대응하는 송출 전력을 전송 코일(131)에 인가함으로써, 요구되는 세기의 무선전력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직렬 공진형 컨버터(140)는 구동 드라이버(139)의 제어에 의해 제1 전송 코일(132) 및 제2 전송 코일(133)을 통해 각각 제 1 객체 감지 신호와 제 2 객체 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generates a transmission power for generating a power signal to be transmitted by the control of the drive driver 139 and supplies it to the transmission coil 131. In other words, w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transmits a power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a power signal having a required power value to the drive driver 139, the drive driver 139 generates a series resonance Type converter 140 and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applies the transmission power corresponding to the power value required by the control of the drive driver 139 to the transmission coil 131 so that the required intensity So that the wireless power signal of the mobile station can be transmitted. The series resonant converter 14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object detection signal and a second object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coil 13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133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e driver 139 And serves to supply power.

AC/DC 컨버터(141)는 220V 또는 110V 의 교류 전원을 소정 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경하는 장치로서, 중앙 제어부(137)의 제어에 의해, 출력 전압 값이 변경된다. The AC / DC converter 141 is an apparatus for changing an AC power source of 220 V or 110 V to a DC power source of a predetermined voltage. The output voltage value is changed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송출된 전력 신호에 의해 유도전력을 생성하는 수신 코일(210), 유도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220), 정류된 전력으로 충전되는 배터리셀 모듈(230), 그리고, 수신 코일(210), 정류부(220) 및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240)를 포함한다.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receiving a power signal and receiving power includes a receiving coil 210 for generating an inductive power based on the transmitted power signal, a rectifying unit 220 for rectifying the induced power, And a receiving control unit 240 for controlling the receiving coil 210, the rectifying unit 220 and the battery cell module.

수신 코일(210)은 전송 유닛(130)의 전송 코일(131)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The receiving coil 21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a wireless pow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coil 131 of the transmitting unit 130.

정류부(220)는 수신 코일(21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전력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며, 충전 개시 전까지는 충전전압으로 충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rectifying unit 220 rectifies the radio power received from the receiving coil 210 to a DC voltage and maintains the charged state until the charging starts.

배터리셀 모듈(230)은 수신 제어부(240)의 제어를 받아 정류부(220)에서의 직류 전원을 통해 충전이 되는 충전 대상이 된다. 한편, 배터리셀 모듈(230)에는 과전압 및 과전류방지회로, 온도감지회로 등의 보호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또한, 배터리셀의 충전상태 등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충전관리모듈이 포함된다.Under the control of the reception control unit 240, the battery cell module 230 becomes a charging object to be charged through the DC power source in the rectifying unit 220. 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cell module 230 includes a protection circuit such as an overvoltage and overcurrent prevention circuit, a temperature sensing circuit, and the like, and includes a charge management module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such a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cell.

수신 제어부(240)는 정류부(220)에서 충전된 전원의 전류를 제어하여 배터리셀 모듈(230)로 적절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reception controller 240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current of the power source charged in the rectifier 220 so that a proper current flows through the battery cell module 230.

한편,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력 수신 신호의 검파를 위하여 3개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3개의 센서는, 구동 드라이버(139)의 직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직류 전류 센서와, 전송 코일(131)의 교류 전류 및 교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교류 전류 센서 및 교류 전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ree sensors may be installed for detecting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side. The three sensors may include a DC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the DC current of the drive driver 139 and an AC current sensor and an AC voltage sensor for measuring AC current and AC voltage of the transfer coil 131.

즉,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무선전력 수신 신호(즉, 아이디 신호 및 충전 상태 신호를 포함)가 전송 코일(131)을 통해 수신되게 되면, 이에 따라, 코일(131)에서의 전류 및 전압과 구동 드라이버(139)에서의 전류가 변동되게 되고, 이를 감지하여 무선전력 수신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That is, when a wireless power reception signal (including an ID signal and a charging stat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31, the current and voltage in the coil 131 And the driving driver 139 are changed,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signal is received by sensing the current.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무선전력 수신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중앙 제어부(137)는, 교류 전류 센서, 직류 전류 센서, 교류 전압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모두 에러인 경우에만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중 어느 하나라도 정상 신호인 경우에는, 정상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만약, 2 이상의 신호가 정상신호인 경우, 이들의 전력 레벨을 측정하고, 이중 최선의 신호(전력 레벨이 가장 높은 신호)를 선택하고, 그 최선의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무선 수신 신호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을 제어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more accurate recep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signal is possible by using three sensors. That is, the central control unit 137 generates an error signal only when the signals from the alternating current sensor, the DC current sensor, and the AC voltage sensor are all in error. If any one of them is a normal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If two or more signals are normal signals, their power levels are measured, the best signal (the signal with the highest power level) is selected, the best signal is processed to acquire the radio received signal, Thereby controll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이상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그의 다른 형태의 구체적 구조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above-describ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its other specific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도 2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함께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2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together with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As shown in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앞서 설명한 전송 유닛(130)과, 플러그(150)를 가지고, 나아가 지지 유닛(170)을 더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can further include the housing 110, the transmission unit 130 described above, the plug 150, and further the supporting unit 170. [

하우징(110)은 전송 유닛(130), 그리고 플러그(150)의 일부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하우징(110)은 대체로 밑 부분의 단면적이 윗부분의 단면적 보다 넓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하우징(110)의 설치면(111)에 대해, 거치면(116)은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이때, 거치면(116)에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거치될 수 있다. 설치면(111)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수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a structure that accommodates the transfer unit 130, and a part of the plug 150. The housing 110 may have a generally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upper cross-sectional area. Thereby,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the mounting surface 116 can be arranged obliquely. At this tim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may be mounted on the stationary surface 116. The mounting surface 111 may be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112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전송 유닛(130)의 전송 코일(131)은 거치면(116)의 하측에 배치된다. 전송 코일(131)은 거치면(116)에 평행하여, 설치면(111)에 대해서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전송 코일(131)의 배후에는 차폐 부재(134)가 위치하여, 전송 코일(131)에서 발생된 전자기파가 전송 제어부(135)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한다. 전송 제어부(135)는 전송 코일(131)과 설치면(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송 제어부(135)는 하우징(110) 내에서 전선을 통해 전송 코일(131)에 연결될 수 있다. The transfer coil 131 of the transfer unit 130 is disposed below the stationary surface 116. [ The transfer coil 131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stationary surface 116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11. [ The shielding member 134 is located behind the transmission coil 131 to block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transmission coil 131 from affecting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ransmission coil 131 and the mounting surface 111.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oil 131 through a wire in the housing 110.

플러그(150)는 벽(W)에 설치된 콘센트(C, 이상 도 5 참조)에 결합되어, 콘센트(C)로부터 교류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구성이다. 플러그(150)는 교환체(151)와, 고정체(156)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고정체(156)는 수용홈(112)의 바닥에 설치되어 하우징(110) 내에 위치한다. 이에 반해, 교환체(151)는 수용홈(112)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진다. 그에 의해, 교환체(151)의 일 부분은 수용홈(112) 내에 위치하고 다른 부분은 수용홈(112)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교환체(151)는 전극 단자(352)를 가질 수 있다. 전극 단자(352)는 콘센트(C)의 접속구에 삽입되어 상용 전력과 접속되는 부분이다. 전극 단자(352)는 콘센트(C)에 입력되는 전력에 따라 110V형(도 2)이거나 220V형(도 3의 352 참조)이 될 수 있다. 고정체(156)는 매개 단자(157)를 가질 수 있다. 매개 단자(157)는, 교환체(151)가 수용홈(1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극 단자(352)와 접속된다. 매개 단자(157)는 전송 유닛(130), 구체적으로 전송 제어부(135)에 연결될 수 있다. The plug 150 is connected to a receptacle C (see FIG. 5) provided on the wall W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C power from the receptacle C. The plug 150 may have an exchanger 151 and a fixing body 156.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156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112 and is located in the housing 110. On the other hand, the exchanger 151 is detachably fitted to the receiving groove 112. Thereby, a part of the exchanger 151 can be positioned in the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other part can be exposed out of the receiving groove 112. The exchanger 151 may have an electrode terminal 352. The electrode terminal 352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 of the receptacle C and is connected to commercial power. The electrode terminal 352 may be a 110V type (FIG. 2) or a 220V type (see 352 in FIG. 3) depending on the power input to the receptacle C. The fixture 156 may have an intermediate terminal 157. The intermediate terminal 157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352 in a state in which the exchange body 151 is fit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2. The intermediate terminal 157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130,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지지 유닛(170)은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지지 유닛(170)은, 받침판(171)과, 절곡판(173)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판(171)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배열된다. 절곡판(173)은 받침판(171)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주면에 대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unit 17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o suppor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The support unit 17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171 and a bent plate 173. [ The support plate 171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The bent plate 173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the receiving plate 171 and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main surfac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150)가 콘센트(C)에 결합 됨에 의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하우징(110)에 거치된 채로 벽(W)에 붙어서 충전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간에는 무선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면서도, 콘센트(C)와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전선으로 연결되어 복잡해 보이는 문제가 없어진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can be attached to the wall W while being held by the housing 110, by plugging the plug 150 into the receptacle C. Thereby, even when charging is performed wirelessly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outlet C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 to be complicated.

또한, 거치면(116)이 설치면(111)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됨에 의해, 거치면(116)에 거치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도 벽(W)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중력에 힘에 의해 전송 코일(131)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116 can also be arrang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wall W by arranging the mounting surface 116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111. [ There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can be located closer to the transmission coil 131 by force on gravity.

나아가, 교환체(151)는 콘센트(C)의 교류 전력의 크기에 따라 다른 것으로 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110V용의 교환체(151)를 수용홈(112)에서 빼내고, 220V 용의 교환체(도 3의 351)가 수용홈(112)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전송 제어부(135)는 입력되는 교류 전력의 변화에 대해 프리 볼트 회로(Free Voltage Circuit)으로서 대응하게 된다. 그 결과, 교류 전력의 크기의 변화와 무관하게, 하나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를 그의 일부만을 변경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the exchanger 151 can be exchanged for another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AC power of the receptacle C. In other words, the 110V exchanger 151 is taken out of the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220V exchanger (351 in FIG. 3)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2.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35 responds to the change of the input AC power as a free voltage circuit. As a result,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magnitude of the AC power, only one par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can be changed and used continuously.

다음으로, 다른 형태의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other typ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300)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함께 보인 개념적 단면도이다.FIG. 3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본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300)의 전체적인 구성은 앞선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와 대체로 동일하다. 그러나, 무선전력 전송장치(300)는 하우징(310), 플러그(350), 지지 유닛(370), 유선통신 포트(380) 등에서 앞선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와 다소 상이하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Howeve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00 advanced in the housing 310, the plug 350, the support unit 370, the wired communication port 380, and the like.

먼저, 하우징(310)은, 전체적으로 한 번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10)은 플러그(150)가 설치되는 설치부(311)와, 전송 코일(331) 등의 전송 유닛(330)이 설치되고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거치되는 거치부(316)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부(316)는 설치부(311)의 연장 방향에 대해 절곡되어 연장된 것이다. 거치부(316)의 연장 방향은 설치부(311)의 연장 방향과 둔각을 이룰 수 있다. First, the housing 310 has a bent shape as a whole. Specifically, the housing 31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311 on which the plug 150 is mounted, a mounting portion 330 on which the transmission unit 330 such as the transmission coil 331 is installed,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200 is mounted 316). Here, the mounting portion 316 is bent and extended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11.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16 may be an obtuse angle with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11.

설치부(311)에는 수용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312)은 설치부(311)의 외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구성이다. 거치부(316)는 장착홈(317)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홈(317)은 설치부(311)의 자유단 측에 형성되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거치된 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The receiving portion 312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311. The receiving groove 312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311. The mounting portion 316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317. The mounting groove 317 is form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311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surface on whic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mounted.

플러그(350)는 교환체(351)와, 고정체(356)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교환체(351)는 220V의 콘센트(C)에 대응하여, 원형 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의 전극 단자(352)를 가질 수 있다. The plug 350 may have an exchanger 351 and a fixing body 356. At this time, the exchanger 351 may have a rod-shaped electrode terminal 352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ptacle C of 220V.

지지 유닛(370)은, 받침판(371)과, 절곡판(373), 및 탄성체(375)를 구비할 수 있다. 받침판(371)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절곡판(373)은 받침판(371)에서 절곡되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주면을 덮도록 배열된다. 탄성체(375)는 장착홈(317)에 위치하여, 장착홈(317)의 바닥과 받침판(371)을 연결한다. 탄성체(375)는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The support unit 37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371, a bent plate 373, and an elastic body 375. [ The support plate 371 is arranged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The bent plate 373 is bent at the base plate 371 and arranged to cover the main surfac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 The elastic body 375 is located in the mounting groove 317 and connects the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317 and the base plate 371. The elastic body 375 may be a compression coil spring.

유선통신 포트(380)는 하우징(310)의 거치부(316)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유선통신 포트(380)는 플러그(350)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 전원에 바로 연결되는 포트이다. 유선통신 포트(380)는, 예를 들어 유에스비(USB)일 수 있다.The wired communication port 38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316 of the housing 310. [ The wired communication port 380 is a port directly connected to the AC power input through the plug 350. The wired communication port 380 may be, for example, USB (USB).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310)이 한 번 절곡된 형태이기에, 사용자는 거치부(316)를 손에 잡고서 설치부(311)를 콘센트(C)를 향해 정렬시킬 수 있다. 이때, 거치부(316)와 벽(W, 도 5 참조)의 각도는 적정한 예각을 이루므로, 사용자가 플러그(350)를 콘센트(C)에 꼽기가 용이하다.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housing 310 is once bent, the user can align the mounting portion 311 toward the outlet C by holding the mounting portion 316 in the hand. At this time, since the angle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316 and the wall W (see FIG. 5) is an appropriate acute angle, it is easy for the user to insert the plug 350 into the outlet C.

플러그(350)의 교환체(351)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310)에서 분리되어 다른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The exchanger 351 of the plug 35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310 and replaced with another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마지막으로, 유선통신 포트(380)를 구비함에 의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하우징(310)에 거치하지 않고 책상 위에 올려놓는 경우에 충전을 위한 전선을 유선통신 포트(380)에 꼽을 수 있게 된다. Finally, by providing the wired communication port 380,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placed on the desk without being mounted on the housing 310, the electric wire for charging can be inserted into the wired communication port 380 .

이러한 교환체(351)가 하우징(310)에 탈착되는 형태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manner in which the exchanger 351 is detached from the housing 3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도 3의 무선전력 전송장치(300)의 플러그(350)에 있어서 교환체(351)가 고정체(356)와 접속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exchanger 351 is connected to the fixing body 356 in the plug 350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교환체(351)가 수용홈(312)에 끼워진 상태에서 교환체(351)가 수용홈(312)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탈착 결합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it is further possible to provide a detachable coupling unit for allowing the replacement body 351 to be s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312 in a state where the replacement body 351 is fitted in the receiving groove 312.

상기 탈착 결합 유닛은, 삽입 홀(353)과 삽입 돌기(356)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삽입 홀(353)은 삽입 돌기(356)가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는다.The detachable coupling unit may have an insertion hole 353 and an insertion protrusion 356. Here, the insertion hole 353 has a size in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356 is inserted.

삽입 홀(353)은 교환체(351)의 외주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 홀(353)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insertion hole 353 can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xchanger 351. At this time, the insertion holes 353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삽입 돌기(356)는 하우징(310)의 수용홈(312)을 한정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삽입 돌기(356)는 수용홈(312)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어, 수용홈(312)에 끼워진 교환체(351)의 삽입 홀(353)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삽입 돌기(356)는 삽입 홀(353)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삽입 돌기(356)는, 삽입 홀(353)에 삽입되는 사이즈의 볼(358a)과, 그 볼(358a)을 삽입 홀(353)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358b)를 가질 수 있다. The insertion protrusion 356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defining the receiving groove 312 of the housing 310. The insertion protrusion 356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f the receiving groove 312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53 of the exchanger 351 fitted in the receiving groove 312. The insertion protrusion 356 may be configured to be resiliently supported toward the insertion hole 353. The insertion protrusion 356 has a ball 358a of a size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53 and an elastic body 358b for resiliently pressing the ball 358a toward the insertion hole 353 .

교환체(351)가 수용홈(312)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고정체(356)의 매개 단자(357)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개 단자(357)는 제1 각도에서 전극 단자(352)에 대응하는 제1 매개 단자(357a)와, 제1 매개 단자(357a)에 대해 비틀어진 각도에 위치하여 제2 각도에서 전극 단자(352)에 대응하는 제2 매개 단자(357b)를 가질 수 있다. In order to allow the exchanger 351 to be rotated about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312, a plurality of intermediate terminals 357 of the fixing body 356 may be provided. Specifically, the mediating terminal 357 is located at an angle that is twis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ediating terminal 357a and the first mediating terminal 357a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erminal 352 at the first angle, And a second intermediate terminal 357b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352. [

이러한 탈착 결합 유닛의 구성에 의하면, 교환체(351)는 수용홈(312)에 끼워진 후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환체(351)를 수용홈(312)에서 빼내는 과정에서도, 별도의 조치 필요 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힘으로 교환체(351)를 잡아당기면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etachable coupling unit, the exchanger 351 can be stably engag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12. Further, even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exchanger 351 from the receiving groove 312, the exchanger 351 can be pulled with a certain level of force without any additional action.

또한, 콘센트(C)에서 접속구의 각도가 상이한 경우에(도 5 참조), 교환체(351)를 회전 방향(R)으로 돌리면 된다. 이때, 전극 단자(352)는 제1 매개 단자(357a)와 제2 매개 단자(357b) 중 대응되는 것과 접속하게 된다. 또한, 삽입 돌기(356) 역시 복수의 삽입 홀(353) 중에서 대응하는 것에 삽입되어, 교환체(351)가 수용홈(312)에서 아무런 제약 없이 빠져나가지는 않게 한다. 5), the exchanger 351 may be rotated in the rotation direction R. In the case where the angle of the connection port differs from that of the outlet C (see Fig. At this time, the electrode terminal 352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first intermediate terminal 357a and the second intermediate terminal 357b. The insertion protrusion 356 is also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53 so that the replacement body 351 does not come out from the receiving groove 312 without any restriction.

다음으로, 또 다른 형태의 무선전력 전송장치(400)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other form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400)를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함께 보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200.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400)는 앞선 실시예의 무선전력 전송장치(300)와 대체로 동일하나, 지지 유닛(47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4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300 of the previous embodiment, but differ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unit 470. [

구체적으로, 지지 유닛(470)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과 더불어, 그의 양 측부 또한 지지하고자 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support unit 470 is intended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lower side thereof.

그에 의해, 지지 유닛(470)은, 하우징(410)의 양 측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479)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대(479)는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향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어 하우징(410)의 내부에 스프링을 넣어서 지지대(479)가 탄성적으로 편향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지지편(481)은 하우징(410)의 하부가 벽(W)에 대해 지지되게 할 수 있다.Thereby, the supporting unit 470 can have a pair of supporting rods 479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410. The pair of supports 479 may be deflected in a direction toward each other.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a spring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410 so that the support table 479 is elastically biased. Further, the other supporting piece 481 can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410 against the wall W. [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무선전력 전송장치(400)에서 충전되는 중에, 양 측방으로도 흔들림 없이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il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is being charg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400,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200 can be held in place on both sides without shaking.

상기와 같은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the above-described different types of outlets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anner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예를 들어, 플러그(150, 350, 450)가 하우징(110,310,410)의 높이 방향에서 중앙부, 상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그들이 아닌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although the plugs 150, 350, and 450 are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s 110, 310, and 410, they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100, 300, 400: 무선전력 전송장치 200: 무선전력 수신장치
110, 310, 410: 하우징 130, 330: 전송 유닛
150, 350, 450: 플러그 170, 370, 470: 지지 유닛
100, 300, 40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200: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110, 310, 410: housing 130, 330:
150, 350, 450: plugs 170, 370, 470:

Claims (10)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교류 전력용 콘센트에 접속되게 구성되는 교환체를 구비하는 플러그;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플러그를 통해 상기 콘센트로부터 공급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향해 무선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A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 plug embedded in the housing and an exchange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AC power outlet; And
And a transmission unit that is embedded in the housing and converts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socket through the plug to DC power and outputs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와 연통된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교환체는, 상기 수용홈에 끼워져서 상기 고정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has a receiv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Wherein the fixing body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exchanger may be used in a different outlet that is fit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ing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체를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detachable coupling unit detachably coupling the exchanger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결합 유닛은,
상기 수용홈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을 한정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삽입 돌기; 및
상기 교환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홀을 포함하는,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tachable coupling unit comprises:
An insertion protrusion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housing which defines the receiving groove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nd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changer and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을 한정하는 부분에 수용되고, 상기 삽입 홀에 수용되는 사이즈를 갖는 볼;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을 한정하는 부분에 수용되어, 상기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sertion protrusion
A ball accommodated in a portion defining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and sized to be received in the insertion hole; And
And an elastic body accommodated in a portion defining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the elastic body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l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홀은, 상기 교환체의 회전에 대응하여 복수의 각도에서 상기 삽입 돌기를 수용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sertion hole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eceptacles for accommodating the insertion protrusions at a plurality of angles corresponding to rotation of the exchang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체는, 상기 콘센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전극 단자 및 상기 전송 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매개 단자를 포함하는,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xchanger includes an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let,
Wherein the fixing body can be used in a different outlet including an electrode terminal and an intermediat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단자는, 상기 교환체의 회전에 대응하여 복수의 각도에서 상기 전극 단자와 접속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termediate terminal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at a plurality of angle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exchang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거치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양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that is mounted on the hou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양 측부에 설치되고, 서로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까워지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pport unit includes:
And a pair of support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resiliently close to each other.
KR1020140117416A 2014-09-04 2014-09-04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KR1021679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416A KR102167963B1 (en) 2014-09-04 2014-09-04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416A KR102167963B1 (en) 2014-09-04 2014-09-04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974A Division KR102247016B1 (en) 2020-10-13 2020-10-13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660A true KR20160028660A (en) 2016-03-14
KR102167963B1 KR102167963B1 (en) 2020-10-21

Family

ID=5554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416A KR102167963B1 (en) 2014-09-04 2014-09-04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9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619A (en)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디와이솔리텍 Battery management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external power source with battery terminal fixing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668A (en) * 2005-08-30 2008-07-16 프리보 게레테바우 게엠베하 Plug-in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replaceable mains plug unit
KR20100005698A (en) * 2009-12-28 2010-01-15 강희인 The short or long distance cable or wireless electric power charging system
KR20150069952A (en) * 2013-12-16 2015-06-2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668A (en) * 2005-08-30 2008-07-16 프리보 게레테바우 게엠베하 Plug-in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replaceable mains plug unit
KR20100005698A (en) * 2009-12-28 2010-01-15 강희인 The short or long distance cable or wireless electric power charging system
KR20150069952A (en) * 2013-12-16 2015-06-2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619A (en)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디와이솔리텍 Battery management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external power source with battery terminal fix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963B1 (en)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669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US8072183B2 (en) Multiple interface device charger with removable battery pack
US8878486B2 (en) Battery pack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by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an external charger, and a mobile terminal with the same
US7986059B2 (en) Device cover with embedded power receiver
US8120316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CN107863800B (en)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US20150318732A1 (en) Rechargeable hand tool induction battery device
WO2015119415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JP2017112802A (en) Charging/discharging unit,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ame,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power supply system
KR20120110674A (en) Wireless charger for portable device
US20180231599A1 (en) Adaptor plug assembly
KR101697069B1 (en) A station for extending power transmission
CN116249645A (en) Wireless charger for dual electronic equipment
KR20140062837A (en) Portab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support type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60028660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KR102631834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KR20120008632A (en)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battery with package chip and system thereof
KR102591337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KR102247016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KR102394665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used to different types of concent
US10523057B2 (en) Wireless charging module with versatile charging orientation and modularized sensing device therewith
KR20170027347A (en) wireless charger
KR20100010649U (en) St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display regular position in non-contact charging
KR102261384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nable to be installed at wall
KR101702244B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