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393A - Method and apparatus 3d surgery simulation of nasal cavity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3d surgery simulation of nasal cav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393A
KR20160028393A KR1020150124167A KR20150124167A KR20160028393A KR 20160028393 A KR20160028393 A KR 20160028393A KR 1020150124167 A KR1020150124167 A KR 1020150124167A KR 20150124167 A KR20150124167 A KR 20150124167A KR 20160028393 A KR20160028393 A KR 20160028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sal cavity
nasal
model
flow
cavity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93808B1 (en
Inventor
김지인
서안나
정승규
김성균
나양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60028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3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8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obo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3D-based nasal cavity surgery simulation apparatus includes: a 2D nasal cavity area division and volume generation unit which divides areas of medical image data to generate the 2D-based nasal cavity volume; a 3D nasal cavity volume generation unit which reconfigures the 2D-based nasal cavity volume in order to generate the 3D-based nasal cavity volume; a 3D nasal cavity volume post-processing unit which makes the 3D-based nasal cavity volume smooth; a 3D nasal cavity volume which converts the smooth 3D-based nasal cavity to a 3D nasal cavity model; a flow analysis unit which analyzes the flow of the nasal cavity through numerical model for the converted 3D nasal cavity model; and a 3D nasal cavity model modifying unit which modifies the 3D nasal cavity model based on the haptic feedback based on the flow analysis result.

Description

3D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3D SURGERY SIMULATION OF NASAL CAVITY}METHOD AND APPARATUS 3D SURGERY SIMULATION OF NATURAL CAVITY [0002]

본 발명은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에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의 비강 수술 이전에 의료 영상을 기반으로 생성된 3차원 비강 모델을 이용하여 수술 시뮬레이션을 미리 수행하여 그 효과를 예측하는데 적합한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nasal surgery simul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nasal surgery simulation method for performing a surgical simulation using a 3D nasal model generated based on a medical image before actual nasal surg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nasal surgery simulation.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코로 호흡하면서 겪게 되는 불편함의 원인이 코 내부의 해부학적 구조에 문제가 있는 경우, 비강 수술을 통해 문제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it is well known, it is common to remove the problematic factor through nasal surgery if there is a problem in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nose as the cause of discomfort caused by breathing through the nose.

현재 대부분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은 2차원 CT 영상 단면을 수정하여 3차원 모델을 재구성하는 절차로 진행되어 고도의 전문 지식 및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고 있다.Currently, most of the nasal surgery simulations are proceeding with the procedure of reconstructing the 3-D model by modifying the 2-dimensional CT image section, requiring a high level of expertise and a lot of effort and time.

즉, 호흡 시 느끼는 불편함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체 내부를 표현하는 의료 영상을 획득하여 진료에 이용하고 있는데, 불편함의 원인이 코 내부의 해부학적인 구조 때문이라고 판단되면 비강 구조를 변형하는 수술을 통해 불편을 주는 요소를 제거하고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discomfort felt during breathing, the medical image expressing the inside of the human body is acquired and used for medical treatment. If it is judged that the cause of discomfort is due to the anatomical structure inside the nose, It is removing the inconvenient element.

최근 들어, 비강 수술 이전에 호흡을 방해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예측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치 해석 및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분석된 결과를 통해 분석된 문제로 유추되는 영역의 2차원 영상을 2차원 평면으로 수정하여 3차원 비강 모델을 만드는 방식으로 수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연구도 시도되고 있다.In recent years, numerical analysis and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using a computer to analyze and predict the cause of respiratory disturbance prior to nasal surgery, and furthermore, Research is also being conducted to perform a surgical simulation by modifying the image into a two-dimensional plane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nasal model.

그러나, 2차원 단면 기반의 수술 시뮬레이션은 고도의 해부학적 전문 지식과 많은 노동력 및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3차원 모델에 대한 3차원 직접 변형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기법이 필요한데, 현재로서는 이러한 새로운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기법에 대한 어떠한 제안도 제시도 없는 실정이다.
However, because of the high level of anatomical expertise and labor and time required for 2-D section-based surgical simulation, a new nasal surgery simulation technique based on 3-dimensional direct deformation of 3-D models is needed. There is no suggestion about the nasal surgery simulation techniqu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9507호(공개일: 2010. 09. 1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99507 (published on September 13, 201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09794호(공개일: 2013. 10. 08)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109794 (Disclosure Date: Oct. 10, 2014) 일본 공개특허 제2010-131047호(공개일: 2010. 06. 17)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0-131047 (Publication date: 2010. 06. 17)

본 발명은, 3차원(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원활하고 편리한 비강 모델 변형을 위한 3차원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3D) based user interface model for smooth and convenient nasal model modification by developing a three-dimensional (3D)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system.

또한, 3차원(3D) 인터페이스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3차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3차원 방식으로 직접 변형된 비강 모델을, 비강 내부 기능을 객관적 데이터로 분석하는 수치 해석 연구를 위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수술 전후 비강 내 유동 흐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그 시뮬레이션 결과를 가시화하여 개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성능을 입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3D interface (3D), the nasal cavity model, which is directly transformed by the 3D method with the 3D interface, is converted into the data format for the numerical analysis study in which the nasal internal function is analyzed as objective data, We can simulate the flow in the nasal cavity before and after the nasal cavity, visualize the simulation results, and provide a simulation model that can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user interf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의료 영상 데이터를 영역 분할하여 2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2D 비강 영역 분할 및 볼륨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2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재구성하여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3D 비강 볼륨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스무싱 처리하는 3D 비강 볼륨 후처리부와, 스무싱 처리된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3D 비강 모델로 변환시키는 3D 비강 모델 생성부와, 변환된 상기 3D 비강 모델에 대한 수치 해석을 통해 비강 내 유동 흐름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모니터에 표출시키는 유동 흐름 분석부와, 상기 유동 흐름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 기반으로 상기 3D 비강 모델을 변형시키는 3D 비강 모델 변형부를 포함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2D nasal region segmentation and volume generation unit for segmenting medical image data to generate a 2D nasal volume based on a viewpoint and reconstructing the 2D nasal volume generated to generate a 3D nasal volume A 3D nasal cavity volume processor for smoothing the generated 3D nasal cavity volume; a 3D nasal cavity volume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smoothing processed 3D based nasal cavity volume into a 3D nasal cavity model; And a controller for analyzing the flow in the nasal cavity through a numerical analysis on the converted 3D nasal cavity model and displaying the analysis result on a monitor, And a 3D nasal model modification unit for transforming the 3D nasal model based on a haptic feedback.

본 발명의 상기 3D 비강 볼륨 생성부는, 상기 의료 영상 데이터의 복셀 크기 정보를 토대로 매칭 큐브(Marching-cube) 알고리즘을 적용한 렌더링을 통해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할 수 있다.The 3D nasal cavity volum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the 3D nasal cavity volume by rendering using a Marching-cube algorithm based on the voxel size information of the medical image data.

본 발명의 상기 3D 비강 볼륨 후처리부는, HC-라플라시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스무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3D nasal volume post-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smoothing process using an HC-Laplacian algorithm.

본 발명의 상기 3D 비강 볼륨 후처리부는, 상기 스무싱 처리를 기 설정된 N회만큼 반복 수행할 수 있다.The 3D nasal volume post-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peat the smoothing process N times.

본 발명의 상기 유동 흐름 분석부는, 상기 비강 내의 호흡 경로 내에서 일어나는 압력의 변화와 벽면에서의 압력의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유동 흐름을 분석할 수 있다.The flow-flow analysis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flow flow by measuring a change in pressure occurring in the respiratory pathway in the nasal cavity and a degree of pressure on the wall surface.

본 발명의 상기 유동 흐름 분석부는, 나비아-스톡스 방정식(Navier-Stokes Equation)을 이용하여 상기 유동 흐름을 분석할 수 있다.The flow-flow analysis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flow flow using a Navier-Stokes Equation.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의료 영상 데이터를 영역 분할하여 2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상기 2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재구성하여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후처리하는 과정과, 후처리된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3D 비강 모델로 변환시키는 과정과, 변환된 상기 3D 비강 모델에 대한 수치 해석을 통해 비강 내 유동 흐름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유동 흐름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3D 비강 모델을 변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generating a nasal cavity,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2D-based nasal cavity volume by segmenting medical image data; reconstructing the 2D nasal cavity volume to generate a 3D- Processing the 3D-based nasal cavity volume, post-processing the 3D-based nasal cavity volume, converting the posteriorized 3D-based nasal cavity volume to a 3D nasal cavity model, and numerically analyzing the converted 3D nasal cavity model, Analyzing the 3D nasal cavity model, and transforming the 3D nasal mode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flow flow.

본 발명의 상기 후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스무싱 처리할 수 있다.The post-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mooth the 3D-based nasal cavity volume.

본 발명의 상기 스무싱 처리는, HC-라플라시안 알고리즘을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The smooth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using an HC-Laplacian algorithm.

본 발명의 상기 스무싱 처리는, 기 설정된 N회만큼 반복 수행될 수 있다.The smooth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eatedly performed N times.

본 발명의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은, 상기 의료 영상 데이터의 복셀 크기 정보를 토대로 매칭 큐브(Marching-cube) 알고리즘을 적용한 렌더링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The 3D-based nasal cavity volum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enerated by rendering using a Marching-cube algorithm based on the voxel size information of the medical image data.

본 발명의 상기 유동 흐름은, 상기 비강 내의 호흡 경로 내에서 일어나는 압력의 변화와 벽면에서의 압력의 정도 측정을 통해 분석될 수 있다.The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nalyzed through measurement of the degree of pressure on the wall surface and the change in pressure occurring in the respiratory pathways in the nasal cavity.

본 발명의 상기 유동 흐름의 분석은, 나비아-스톡스 방정식(Navier-Stokes Equation)을 이용할 수 있다.
The analysis of the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tilize the Navier-Stokes Equation.

본 발명은 3차원(3D) 의료 영상 기반 모델을 통해 비강 내 유동 흐름을 분석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nasal flow through a three-dimensional (3D) medical imaging-based model.

또한, 본 발명은 3차원(3D) 기반의 수술 시뮬레이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진단과 예후 판단의 원활한 프로세스를 완성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lete a smooth process of diagnosis and prognosis determination through an interface for three-dimensional (3D) based surgical simulation.

또한, 종래 방식의 적용을 위한 2차원(2D) 기반의 수술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작하는데 대략 1주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데 반해, 본 발명의 3차원 햅틱 장치 기반 수술 시뮬레이션은 대략 1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환자 맞춤형 진단과 예후를 판단하기 위한 실험 및 시뮬레이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while it takes approximately one week to prepare a 2D (2D) based surgical simulation model for the conventional application, the three-dimensional haptic device-based surgical si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s about one day , It can be usefully used in experiments and simulations to determine patient-specific diagnosis and prognos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의료 영상 시각화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3D 프린팅을 위해 제공되는 STL(Stereo Lithography) 형태의 데이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서피스 렌더링을 통해 고해상도 3D모델을 구현한 일예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HC-라플라시안 알로리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표면 렌더링으로서 HC-라플라시안 스무싱을 4회까지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기존 방식과 본 발명에 따른 비강 내 유동 흐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의 성능 평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각각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기존 방식과 본 발명에 따른 비강 내 유동 흐름에 따른 압력 분포에 대한 성능 평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각각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는 기존 방식과 본 발명에 따라 각 4명에 대해 비강 내 유동 흐름(압력 분포)을 분석한 결과를 각각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험 대상 4명의 분석 결과 중 S2의 코막힘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의 분석 결과를 확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은 3D 비강 모델의 변형 작업을 위해 3D 공간에서 형태를 변형하고자 하는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여 비강 모델을 바라보는 내용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2는 비강 모델을 3D 공간에서 변형 작업하는 내용을 표현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3은 비강 모델에 대한 변형 작업을 위해 햅틱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일례의 예시도이다.
도 14a 및 14b는 햅틱 장치를 이용하여 비강 모델의 형태를 3D 공간에서 직접 변형하는 작업을 표현하는 다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a는 충돌 검사에 대한 예시도이고, 15b는 x축 모델 변형을 위한 방향 화살표 표현의 예시도이며, 15c는 z축 모델 변형을 위한 방향 화살표 표현의 예시도이고, 15d는 y축 모델 변형을 위한 방향 화살표 표현의 예시도이다.
도 16은 비강 모델의 볼륨 크기를 조절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 표현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7a 내지 17c는 수술 시뮬레이션 전후의 코 모델들에 대한 예시도이고, 17d는 수술 시뮬레이션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8a는 비강 모델 3차원 변형시 사용자에게 보이는 뷰(View)의 예시도이고, 18b는 코로나뷰(Coronal View)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9a는 CT 슬라이스(Slice)가 적용되지 않은 화면 예시도이고, 19b는 CT 슬라이스가 적용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0은 좌측으로부터 라이노스테이션(Rhinostation)의 뷰모드(View Mode), 동영상, 뷰모드(View Mode)를 각각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1은 좌측으로부터 라이노스테이션(Rhinostation)의 변형모드(Deform Mode), 동영상, 변형모드(Deform Mode)를 각각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2는 가우시안 분포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3은 좌측으로부터 비강 CT 슬라이스의 외부, 중앙, 내부(코로나 기준)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4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좌측 비도를 수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5는 시뮬레이터 장치를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에 적용되는 키보드 및 마우스의 동작 버튼에 대한 예시표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3D-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a medical image visualization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3D-based nasal cavity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STL (Stereo Lithography) data provided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igh-resolution 3D model implemented by surface rendering.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HC-Laplacian allergy.
FIG. 6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performing HC-Laplacian smoothing up to four times as surface rend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stres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nasal 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ess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nasal 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screen showing results of analyzing nasal fluid flow (pressure distribution) for each of four patient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n analysis result of the case where the nasal obstruction of S2 is appealed among the analysis results of four subjects of FIG. 9; FIG.
FIG. 11 is a view showing a screen for viewing the nasal cavity model moving from a 3D space to a region of interest in which a shape is to be deformed, in order to deform the 3D nasal cavity model.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expressing contents of transforming a nasal cavity model in a 3D space. Fig.
Figure 13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using a haptic interface for deformation work on a nasal model.
FIGS. 14A and 1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directly deforming the shape of the nasal cavity model in the 3D space using the haptic device. FIG.
15a is an exemplary view of a collision check, 15b is an example of a directional arrow representation for an x-axis model transformation, 15c is an example of a directional arrow representation for a z-axis model transformation, and 15d is a y- Fig. 8 is an illustration of a directional arrow representation. Fig.
FIG. 16 is a view showing a screen of a cross-sectional representation showing the adjustment of the volume size of the nasal cavity model. FIG.
Figs. 17A to 17C are exemplary views of nose models before and after the surgical simulation, and 17D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surgical simulation.
FIG. 18A is an illustration of a view that is visible to a user when the nasal model is three-dimensionally deformed, and FIG. 18B is a screen exemplary view of a coronal view. FIG.
FIG. 19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to which a CT slice is not applied, and FIG. 1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to which a CT slice is applied.
FIG.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ew showing a view mode, a moving picture, and a view mode of the Rhinostation from the left side.
FIG.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formation mode (Deform Mode), a moving image, and a deformation mode (Deform Mode) of the Rhinostation from the left side.
22 is a graph of the Gaussian distribution.
Fig. 2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on the outside, the center, and the inside (coronal reference) of the nasal CT slice from the left side.
FIG. 24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correcting the left side non-degree by using a mouse.
25 is an exemplary table of keyboard and mouse operation buttons applied to an interface necessary to execute the simulator device.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First,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a user, an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먼저, 본 발명은 2D 기반으로 생성된 비강 볼륨의 재구성을 통해 생성한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3D 비강 모델로 변환(컨버팅)하고, 변환된 3D 비강 모델에 대한 수치 해석을 통해 비강 내 유동 흐름을 분석한 분석 결과를 보면서 햅틱 피드백 인터렉션(3D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3D 비강 모델을 변형(변형 가능한 영역의 볼륨 크기 변형 등)시키는 방식으로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위한 고도의 전문 지석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절감된 시간과 노력으로 실현 가능한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 3D-based nasal cavity volume created through 2D reconstruction of the nasal cavity volume generated by the reconstruction of the nasal cavity volume into a 3D nasal cavity model, and numerically analyzes the converted 3D nasal cavity model,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nasal surgery simulation by deforming the 3D nasal model based on the haptic feedback interaction (3D user interface) (transforming the volume size of the deformable region,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easible nasal surgery simulation with relatively reduced time and effort without the need for specialized grindstones.

그리고, 본 발명은 의료 영상을 기반으로 생성된 모델은 비음값(Nasal Valve) 부분과 비갑계 전면의 비중격 만곡증을 완화하기 위해 2D CT 영상을 사용할 수 있는데, 비도가 좀 더 넓게 되도록 변형하여 3D 기반의 수술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후, 변형된 3D 비강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odel generated based on a medical image can use a 2D CT image to mitigate a nasal valve portion and a nasal septum nasal septum, And then generate a modified 3D nasal mod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로서, 의료 영상 입력부(102), 2D 비강 영역 분할 및 볼륨 생성부(104), 3D 비강 볼륨 생성부(106), 3D 비강 볼륨 후처리부(108), 3D 비강 모델 생성부(110), 유동 흐름 분석부(112) 및 3D 비강 모델 변형부(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3D-based nasal cavity surgery sim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includes a medical image input unit 102, a 2D nasal region division and volume generation unit 104, a 3D nasal cavity volume generation unit 106 A 3D nasal volume post-processing unit 108, a 3D nasal cavity model generating unit 110, a flow flow analyzing unit 112, and a 3D nasal model deforming unit 114, and the like.

도 1을 참조하면, 의료 영상 입력부(102)는 CT DICOM(digital image communication in medicine) 데이터셋(dataset) 등과 같은 비강 관련의 의료 영상을 입력받아 로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edical image input unit 102 may provide a function of receiving and loading nasal-related medical images such as a digital image communication in medicine (CT) data set (DICOM).

먼저, 2D 비강 영역 분할 및 볼륨 생성부(104)는 의료 영상 입력부(102)로부터 제공되는 의료 영상 데이터를 영역 분할하여 2D 기반으로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2D nasal region segmentation and volume generation unit 104 may provide a function of dividing the medical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medical image input unit 102 and creating a nasal cavity volume based on 2D.

그리고, 3D 비강 볼륨 생성부(106)는 2D 비강 영역 분할 및 볼륨 생성부(104)를 통해 생성된 2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재구성하여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3D nasal cavity volume generating unit 106 may provide functions such as reconstructing a 2D nasal cavity volume generated through the 2D nasal cavity region dividing and volume generating unit 104 to generate a 3D nasal cavity volume .

즉, 호흡 경로 영역인 비강은 인체 내의 공기가 지나다니는 빈 공간이다. 이러한 영역의 특성으로 실제 분할 작업의 결과는 내부를 포함하지 않는 표면 렌더링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이 적합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의료 영상 데이터의 복셀(x, y, z) 크기 정보를 토대로 매칭 큐브(Marching-cube) 알고리즘을 적용한 렌더링을 수행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인체영역 내의 다른 장기와 비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볼륨 렌더링을 수행한다.That is, the nasal cavity, which is the breathing path region, is an empty space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human body passes. As a characteristic of such a region, it is suitable to express the result of the actual division operation by a surface rendering method that does not include the inside.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tching cube (x, y, z) Marching-cube) algorithm. Also, if necessary, volume rendering is performed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the other organs in the human body region and the non-human body.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의료 영상 시각화의 화면 예시도로서, (a)는 축(axial)방향의 단면을, (b)는 새쥐털(sagittal)의 단면을, (c)는 코로나(coronal) 단면을, (d) 및 (e)는 볼륨 렌더링뷰(volume rendering view)를 각각 나타낸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creen image of a medical image visualization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3D-based nasal cavity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is a s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b) is a sagittal (C) shows a coronal section, and (d) and (e) show a volume rendering view, respectively.

여기에서, 3D 비강 볼륨 생성부(106)를 통해 생성된 3D 비강 모델은 비강내의 유동 흐름 분석 실험에 이용될 수 있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생성된 데이터는,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실험을 위해 3D 프린터인 레피드 프로토타이핑(Rapid Prototyping)을 지원하는 형태의 데이터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Here, the 3D nasal cavity model generated through the 3D nasal cavity volume generating unit 106 is data that can be used for flow flow analysis experiments in the nasal cavity. Therefore, the generated data needs to be provided in the form of data supporting Rapid Prototyping, which is a 3D printer, for analysis experiment, as shown in Fig. 3 as an example.

즉,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3D 프린팅을 위해 제공되는 STL(Stereo Lithography) 형태의 데이터에 대한 예시도이다.That is, FIG. 3 is an illustration of STL (Stereo Lithography) type data provided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 3D 비강 볼륨 후처리부(108)는 3D 비강 볼륨 생성부(106)를 통해 생성된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스무싱 처리(예컨대, 각진 모서리 부분을 부드럽게(완곡하게) 후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3D nasal volume post-processing unit 108 performs smoothing processing (e.g., smooth processing of angular corner portions) of the 3D-based nasal cavity volume generated through the 3D nasal volume generating unit 106 Can be provided.

잘 알려진 바와 같이, 2D 영상에서 3D 공간으로 재구성하여 표현된 데이터는,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밀한 메쉬를 가진 고해상도 모델로 표현될 수 있다.As is well known, the data reconstructed from the 2D image into the 3D space can be represented by a high-resolution model having a dense mesh, as shown in FIG. 4 as an example.

즉, 도 4a 및 4b는 서피스 렌더링을 통해 고해상도 3D모델을 구현한 일예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That is, FIGS.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igh-resolution 3D model implemented by surface rendering.

이때, 2D 데이터에서 3D 재구성된 모델은 한 지점의 크기를 나타내는 복셀(x, y, z)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것이므로 계단 현상을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3D reconstructed model in the 2D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voxel (x, y, z) information indicating the size of one point, and thus has a staircase phenomen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a에서 보여주는 모델의 계단 문제를 해결하고자 라플라시안 스무싱의 단점인 원 메쉬에 노이즈를 준 뒤, 다시 스무싱을 시도, 즉 본래의 메쉬의 모양이 유지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보완한 아래 수학식 1의 HC-라플라시안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원 모델의 형태학적인 변형을 최소화시켜주는 스무싱 처리를 수행하는데, 이러한 스무싱 처리는 기 설정된 N회만큼 반복 수행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step problem of the model shown in FIG. 4A, in the present invention, noise is given to a circle mesh which is a disadvantage of Laplacian smoothing, and then smoothing is attempted again, that is, the original shape of the mesh is not maintained The smoothing process minimizes morphological deformation of the original model by applying the HC-Laplacian algorithm of Equation (1) below. This smoothing process can be repeated N times.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HC-라플라시안 알고리즘은 라플라시안 알고리즘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중심점을 포함하여 표면을 처리하는 확장된 개념이다. 수학식 1은,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플라시안 처리를 거쳐 새로이 생성된 포지션 Pi를 이전의 포지션 q j 과 기점인 Oi에 대하여 이들의 차이의 평균값(di )만큼 되돌리는 것이다. b i 는 각 지점에 대한 차이 값을 나타낸다.Here, the HC-Laplacian algorithm is an extended concept for processing a surface including a center point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Laplacian algorithm. Equation (1), as illustrated in Figure 5 as an example, it will return the newly created position Pi after the Laplacian process by the average value (d i)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ith respect to the previous position q j and a starting point of Oi. b i represents the difference value for each point.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표면 렌더링으로서 HC-라플라시안 스무싱을 4회까지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로서, (a)는 계단 현상을 가지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원 모델을, (b)는 HC-라플라시안 스무싱을 1회 수행한 결과를, (c)는 HC-라플라시안 스무싱을 2회 수행한 결과를, (d)는 HC-라플라시안 스무싱을 3회 수행한 결과를, (e)는 HC-라플라시안 스무싱을 4회 수행한 결과를 각각 보여준다.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sult of performing HC-Laplacian smoothing up to four times as surface rend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shows a circular model showing a stepped phenomenon, (b) (C) shows the result of performing HC-Laplacian smoothing twice, (d) shows the result of performing HC-Laplacian smoothing three times, and HC-Laplacian smoothing 4 times.

즉, 메쉬(Mesh)를 잘 형성하는 것은 수치 해석의 결과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비강 내부 벽면에서는 속도의 변화가 크므로, 벽면의 메쉬는 더욱 조밀하게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That is, the formation of a mesh is very important to the result of the numerical analysis. Particularly, since the rate of change is large at the inner wall of the nasal cavity, the mesh on the wall surface needs to be more compac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N회의 스무싱 처리를 거친 3D 비강 모델은 부피의 변화를 최소화한 고해상도 모델로 분석 실험의 수행 시간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유동 해석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3D nasal model subjected to the N smoothing process can reduce the execution time of the analysis experiment with a high-resolution model minimizing volume change, and improve the accuracy of the flow analysis result.

다음에, 3D 비강 모델 생성부(110)는 3D 비강 볼륨 후처리부(108)를 통해 스무싱 처리된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3D 비강 모델로 변환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 영상을 이용한 비강 내 유동해석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정밀한 CT 영상(0.35*0.35* 0.6 mm)으로부터 3차원 수치 해석용의 비강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Next, the 3D nasal cavity model generation unit 110 may provide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smoothing processed 3D-based nasal cavity volume into the 3D nasal cavity model through the 3D nasal cavity volume post-processing unit 108. [ For example, a nasal model for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can be generated from relatively accurate CT images (0.35 * 0.35 * 0.6 mm) for nasal flow analysis using medical images.

한편, 유동 흐름 분석부(112)는 3D 비강 모델 생성부(110)를 통해 생성된 3D 비강 모델에 대한 수치 해석을 통해 비강 내 유동 흐름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모니터에 표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flow analysis unit 112 analyzes the flow in the nasal cavity by numerically analyzing the 3D nasal cavity model generated through the 3D nasal cavity model generation unit 110, and displays the analysis result on a monitor Can be provided.

먼저, 분할 처리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모델은 조밀한 메쉬를 가진 고 해상도의 솔리드 모델로 생성되는데, 이와 같이 생성되는 솔리드 모델은 유동 분석 실험을 위한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동 분석 실험이란 호흡 경로 내에서 일어나는 압력의 변화와 벽면에서의 압력의 정도를 측정하여 분석하는 작업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례로서 아래의 수학식 2에서와 같이 나비아-스톡스 방정식(Navier-Stokes Equation)을 이용하여 유동 흐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the model generated through the segmentation process is generated as a high-resolution solid model with a dense mesh. The solid model thus generated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the flow analysis experiment. Here, the flow analysis experiment means an operation of measuring and analyzing the pressure change in the respiratory path and the pressure on the wall surface. For example, Navier-Stokes equations (Navier- Stokes Equation) can be used to perform flow analysis.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한 수학식 2에 있어서, 그 시각 및 지점에서의 u f 는 단위체적당 걸리는 외력을, ρpν는 를 각각 의미한다.In the above equation (2), and that of u at the time point f, and means suitable for taking the external force per unit, is ρ p is the ν, respectively.

위 수학식 1을 벡터를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The above Equation 1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using a vector.

[수학식 3]&Quot; (3) "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상기한 수학식 3에 있어서, 도 있다. ▽는 △는 를 각각 나타낸다.In the above Equation (3), there is also Fig. And? Represents? And?, Respectively.

여기에서, 나비에-스톡스 방정식을 이용하여 비강 내 유동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3D 비강 모델을 작은 단위인 그리드로 나누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호흡 경로내의 솔리드 영역을 작게 그리드로 나누어 계산 영역을 분할하는데, 이와 같이 그리드로 나누는 작업에서 모델의 품질이 향상될수록 유동 해석 실험을 위해 더욱 조밀한 그리드가 생성되고, 이를 통해 생성된 그리드 내에서의 압력의 변화와 유동장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Here, in order to analyze the flow in the nasal cavity using the butterfly-Stokes equation,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3D nasal model into a small unit grid. In other words, the solid region in the breathing path is divided into smaller grids to divide the calculation region. In this way, as the quality of the model is improved in the division by grids, a more dense grid is created for the flow analysis experimen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alyze the change in pressure and the flow field at the inlet.

도 7은 기존 방식과 본 발명에 따른 비강 내 유동 흐름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의 성능 평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각각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stres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nasal 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a)와 (b)는 기존의 방법으로 비강 내 유동 흐름에 따른 벽면의 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c)와 (d)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벽면의 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각각 표현한 것으로서, 두 분석 결과를 비교할 때 매끄럽지 못한 표면 메쉬로 인해 정교하지 못한 수치 해석용 그리드가 생성되고 그로 인해 수치해석 결과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코의 입구 부문에 쉬어 스트레스가 높게 나오고 전체적인 유동 흐름의 진행이 단절 없이 잘 해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7 (a) and 7 (b) show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gree of stress on the wall surface according to the nasal flow i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c) and (d) It can be seen clearly that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wo analyzes, a grid for numerical analysis that is not elaborated due to a non-smooth surface mesh is generated and also affects the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shear stress is high in the entrance part of the nose and the progress of the overall flow is well interpreted without interruption.

도 8은 기존 방식과 본 발명에 따른 비강 내 유동 흐름에 따른 압력 분포에 대한 성능 평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각각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ess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nasal 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a)와 (b)는 기존 방법에 따른 비강 내 압력의 분포 결과를, (c)와 (d)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 내 압력의 분포 결과를 각각 표현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압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은 그 부위의 통증이나 불편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영역이라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and (b) show the results of the nasal press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c) and (d) represent the distribution results of the nasal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receiving a lot of pressure,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a region that may cause pain or discomfort in the site.

도 9는 기존 방식(a)과 본 발명(b)에 따라 각 4명에 대해 비강 내 유동 흐름(압력 분포)을 분석한 결과를 각각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analyzing nasal fluid flow (pressure distribution) for each of four patient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 and the present invention (b).

도 9를 참조하면, 분할 처리로 생성한 4명의 비강 관련 질환을 호소하는 의료 데이터를 선정하여 유동 흐름을 분석하는 수치 해석 결과를 보여주는데, N1 및 N2는 비강 내 좁은 쪽의 코막힘을 호소하는 그룹이며, S1 및 S2는 비강 형태로 보았을 경우 불편한 증상이 있을 것 같으나 실제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그룹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이다.Referring to FIG. 9, numerical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which the flow data is analyzed by selecting medical data that appeal to four nasal-related diseases generated by the division process. N1 and N2 are groups in which nasal obstruction And S1 and S2 are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n which the patients are classified into the group which does not feel uncomfortable although it seems that there is an uncomfortable symptom when the nasal cavity is seen.

도 10은 도 9의 실험 대상 4명의 분석 결과 중 S2의 코막힘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의 분석 결과를 확대한 화면 예시도이다.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n analysis result of the case where the nasal obstruction of S2 is appealed among the analysis results of four subjects of FIG. 9; FIG.

도 10을 참조하면, (a)의 기존 방법에 비해 (b)의 본 발명에 의한 3D 비강 모델 생성 후 유동 분석을 실험한 결과가 보다 정확한 불편함의 원인이 되는 부위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확한 불편 부위 분석은 향후 수술해야 할 정확한 부위를 찾는데도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of flow analysis after the 3D nasal cavity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b)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a) . This accurate analysis of the inconvenience site can be an important data for finding the exact site to be operated in the future.

다음에, 3D 비강 모델 변형부(114)는 유동 흐름 분석부(112)에 의해 분석되어 모니터를 통해 표출되는 유동 흐름의 분석 결과를 보면서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 기반으로 3D 비강 모델을 변형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3D nasal model deforming unit 114 transforms the 3D nasal model based on the haptic feedback while view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flow flow analyzed by the flow flow analyzing unit 112 and displayed through the monitor Can be provided.

통상적으로, 호흡과 관련된 질환의 원인을 분석하고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의 근원이 되는 비강 영역 부분의 수술을 진행하는 경우, 수술 전 계획을 세우고, 계획한 치료 방법이 해당 환자에게 적합한지를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치료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수술 전 방법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해당 환자의 해부학적 비강 형태에 기반한 수술 방법을 계획하는데 가상 수술 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Typically, when analyzing the causes of respiratory-related diseases and performing surgery on the part of the nasal cavity that is the source of discomfort in the course of treatment, pre-operative planning should be planned and the planned treatment method reviewed for the patient Treatment is progressing through the process. In planning these preoperative methods, virtual surgery methods can be used to plan the surgical method based on the anatomical nasal type of the patient.

본 발명에서 비강 수술 계획을 위해 가상 수술을 이용한다는 것은 비강의 해부학적인 형태를 변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즉, 2D 의료 영상을 기반으로 재구성하여 생성된 3D 비강 모델의 메쉬 좌표를 수정하는 3D 비강 모델의 변형 작업이다. 이러한 비강 모델의 수정 작업을 3D 공간에서 수행하고자 할 때 변형하고자 하는 비강의 관심영역으로 찾아가서 원하는 부위의 해부학적 형태를 변형하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virtual surgery for nasal surgery planning implies a task of transforming the anatomical shape of the nasal cavity. In other words, it is a modification of the 3D nasal model that modifies the mesh coordinates of the 3D nasal model created by reconstructing based on 2D medical images. In order to perform the correction of the nasal cavity model in the 3D space, the nasal cavity may be moved to the region of interest of the nasal cavity to deform the anatomical shape of the desired region.

도 11은 3D 비강 모델의 변형 작업을 위해 3D 공간에서 형태를 변형하고자 하는 관심 영역으로 이동하여 비강 모델을 바라보는 내용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로서, 이러한 관심 영역 지정은 모델의 표면 정보와 내부 단면을 살펴보며 원하는 영역으로 이동 할 수 있다.FIG. 11 is a view showing a screen for viewing the nasal cavity model moving from a 3D space to a region of interest in which a shape is to be transformed in order to deform the 3D nasal cavity model. You can navigate to the desired area by looking at it.

여기에서, 3D 비강 모델의 형태를 변형한다는 의미는 코 내부의 공기 통로인 비도를 늘리거나 줄이는 작업을 의미한다. 늘리기(줄이기) 작업은 모델을 수정하는 작업 중 에서도 기존에 존재하는 영역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메쉬의 좌표를 수정하여 호흡에 불편함이 있는 영역의 경로를 넓혀주는(또는 좁혀주는) 해부학적인 구조 변형 기능을 수행하는 작업이다.Here, deforming the shape of the 3D nasal cavity model means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irway, which is the air passage inside the nose. Increasing (reducing) work not only eliminates existing areas while modifying the model, but also modifies the coordinates of the mesh to expand (or narrow) the path of the area with discomfort to the anatomy. .

도 12는 비강 모델을 3D 공간에서 변형 작업하는 내용을 표현하는 화면 예시도로서, (a)는 의료 영상으로부터 분리된 3차원 비강 모델로서 (b)에서 (d)의 순서로 변형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원하는 영역의 비강 형태를 변형하는 모습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FIG. 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the nasal cavity model is transformed in the 3D space. FIG. 12A is a three dimensional nasal cavity model separated from the medical image, It visually shows the shape of the nasal cavity in the desired region.

그리고, 비강 모델의 형태를 변형하는 작업은 3D 공간상에서 이루어지므로 X, Y, Z축 좌표 개념을 가지고 진행되는데, 보다 현실감 있는 가상 수술을 위하여 모델의 특성에 맞는 재질 속성을 적용하여 피드백을 느끼며 조작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일례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햅틱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비강 모델에 대한 변형 작업의 몰입감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ork of deforming the shape of the nasal cavity model is performed in 3D space, it proceeds with the concept of X, Y, Z axis coordinate. In order to realize more realistic virtual surgery, As an example of an interface that can be used, the use of the haptic interface as shown in FIG. 13 can further enhance the immersion feeling of the deforming operation on the nasal model.

도 14a 및 14b는 햅틱 장치를 이용하여 비강 모델의 형태를 3D 공간에서 직접 변형하는 작업을 표현하는 다른 화면 예시도이다.FIGS. 14A and 1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directly deforming the shape of the nasal cavity model in the 3D space using the haptic device. FIG.

도 14a 및 14b를 참조하면, 햅틱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3D 동작으로 변형할 수 있으며, 3D 비강 모델의 비도가 상대적으로 좁게 되도록 3D 수술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변형된 비강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A and 14B, a modified nasal model can be generated by performing a 3D surgery simulation so that the 3D model can be transformed directly into a 3D operation using a haptic device, and the 3D nasal model can be relatively narrowed.

비강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내시경 방식의 3D 내비게이션 수행을 자연스럽게 수행하기 위하여 3D 비강 모델과 햅틱 장치의 커서 사이에 3D 충돌검사가 필요하다.3D collision detection between the 3D nasal model and the cursor of the haptic device is necessary to naturally perform endoscopic 3D navigation to underst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nasal cavity.

보다 효율적이고 직접적인 이동을 위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의 좌표 값을 직접 입력하여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navigation method in which a coordinate value of a position to be moved is directly input and used for more efficient and direct movement.

도 15a는 충돌 검사에 대한 예시도이고, 15b는 x축 모델 변형을 위한 방향 화살표 표현의 예시도이며, 15c는 z축 모델 변형을 위한 방향 화살표 표현의 예시도이고, 15d는 y축 모델 변형을 위한 방향 화살표 표현의 예시도이다.15a is an exemplary view of a collision check, 15b is an example of a directional arrow representation for an x-axis model transformation, 15c is an example of a directional arrow representation for a z-axis model transformation, and 15d is a y- Fig. 8 is an illustration of a directional arrow representation. Fig.

도 15a 내지 15d를 참조하면, 비강 모델을 정확하게 변형하기 위하여 3축(x,y 및 z)을 따라서 3D 비강 모델을 늘리거나 줄이는 변형을 수행할 수 있는 3차원 햅틱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5A-15D, a three-dimensional haptic interface can be provided that can perform deformations that increase or decrease the 3D nasal model along the three axes (x, y, and z) to accurately deform the nasal model.

또한, 3D에서 미세한 조절을 위하여 변형 가능한 영역의 볼륨 크기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으며, 3D 기반의 모델 볼륨을 2D 단면처럼 표현하여 작업할 수도 있다.In addition, you can freely modify the volume size of the deformable region for fine adjustment in 3D, and you can also work with the 3D-based model volume expressed as a 2D section.

그리고, 도 16은 비강 모델의 볼륨 크기를 조절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 표현의 화면 예시도이다.FIG. 16 is a view showing a screen of a sectional representation showing the adjustment of the volume size of the nasal cavity model. FIG.

도 17a 내지 17c는 수술 시뮬레이션 전후의 코 모델들에 대한 예시도이고, 17d는 수술 시뮬레이션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Figs. 17A to 17C are exemplary views of nose models before and after the surgical simulation, and 17D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surgical simulation.

도 17a 내지 17d를 참조하면, 속도장의 변화 측면에서 1열 좌측은 수술 전의 코 모델을, 1열 우측은 2D 기반의 수술 시뮬레이션 이후의 모델을, 2열 좌측은 3D 수술 시뮬레이션 이후의 모델을, 2열 우측은 압력 강화 측면에서 수술 전 코 모델을 각각 의미한다.17A to 17D, in terms of the change of the velocity field, the left side of the first column shows the nose model before surgery, the right side shows the model after the surgery simulation on the right side, the model after the 3D surgery simulation on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of the column represents the preoperative nose model in terms of pressure enhancement.

그리고, 도 17d에 있어서, v1은 2D 기반의 수술 시뮬레이션 이후의 모델에 대한 결과를, v2는 3D 수술 시뮬레이션 이후의 모델에 대한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17D, v1 represents the result of the model after the 2D-based surgical simulation, and v2 represents the result of the model after the 3D surgery simulation, respectively.

즉, 도 17a 내지 17d를 참조하면, 2D 기반의 수술 시뮬레이션 및 3D 수술 시뮬레이션 이후의 모델에 대해 속도장의 변화를 4개의 단면에 대해 조사한 결과로서, 비강 내 가장 좁고 빠른 유속을 갖는 부분을 P1, 비갑개가 시작하는 단면부터 P2, P3, P4로 정의하였다.17A to 17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in the velocity field of the model after the 2D-based surgical simulation and the 3D operation simulation, the portion having the narrowest and fastest flow velocity in the nasal cavity was defined as P1, P2, P3, and P4 are defined from the starting section.

수술 전, 수술 v2 그리고 수술 v1의 모델 순서로 국부적으로 높은 속도 분포 지역이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수술 전, 수술 이후(vS_v1과 vS_v2)에 압력 강하가 발생함을 예측할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local high velocity distribution area is decreased by the order of the preoperative, v2 and v1 models, and it is predicted that pressure drop occur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vS_v1 and vS_v2).

한편, 비강 수술을 위한 햅틱 수술 시뮬레이터로 보다 유용하고 실제 적용이 가능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수술 시뮬레이션을 위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이 필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interface (interface for surgical simulation) may be required to develop a more useful and practical simulator for haptic surgical simulator for nasal surgery.

첫째, 내시경의 시야와 같이 한정된 부분만 볼 수 있는 것 보다는 코로나뷰(Coronal View)와 같은 형태로 사용자가 비강의 전체를 볼 수 있어야 하며, CT 이미지와 같이 일정 영역의 단면을 볼 수 있어야 한다.first, The user should be able to see the whole of the nasal cavity in the form of a coronal view rather than a limited view such as the view of the endoscope and should be able to see a section of a certain area such as a CT image.

둘째, 비도의 수정을 진행할 시에는 2D 평면으로 시점이 고정된 상태에서 수정하고, 수정 이후 전체 3D 비강 모델을 볼 때에는 3D 뷰를 통해 보는 것이 작업에 용이하다.Second, when revising the non-degree, it is easy to work through the 3D view when the viewpoint is fixed in the 2D plane, and when viewing the entire 3D nasal model after the modification.

셋째, 2D 평면으로 시점이 고정된 상태에서 비도의 수정을 진행하더라도 수정된 비도는 코로나뷰 CT 슬라이스(Coronal View CT Slice) 기준으로 한 면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최소 5면 이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Third, even if the non-degree is corrected while the viewpoint is fixed in the 2D plane, the corrected ratio should be applied to at least 5 faces instead of only one face based on the coronal view CT slice.

넷째, 햅틱 장치의 사용자 장비 숙련도에 따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사용자가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사용자도 있기 때문에 모든 작업을 햅틱 장치로 하기보다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병행할 수 있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Fourth, there are some users who can handle the haptic device professionally according to the skill of the user equipment, but there are some users who do no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keyboard and the mouse so that all operations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haptic device.

도 18a는 3D 비강 모델 3차원 변형시 사용자에게 보이는 뷰의 화면 예시도이고, 18b는 코로나뷰의 화면 예시도이다.18A is a view showing a view of a view of a 3D nasal model three-dimensional deformed to a user, and FIG. 18B is a view showing a screen of a corona view.

도 19a는 CT 슬라이스가 적용되지 않은 화면 예시도이고, 19b는 CT 슬라이스가 적용된 화면 예시도이다.FIG. 19A is a view showing a screen to which a CT slice is not applied, and FIG. 19B is a view showing a screen to which a CT slice is applied.

내시경의 시야와 같이 한정된 부분만 볼 수 있을 경우에는 현재 작업이 진행 중인 부분이 전체 비도에서 어떤 부분을 수정하고 있는지 사용자가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시뮬레이터에서 전체적으로 코로나뷰를 지원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only a limited portion such as the view of the endoscope is visi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know which part of the current operation is being corrected in the entire portion of the current operation. To solve this problem, .

도 18a 및 18b를 참조하면, 코로나뷰를 통해 비강을 볼 때 일정 영역의 단면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이하, CT 슬라이스 기능이라 함)을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는, 예컨대 사용자가 키보드의'3'번 버튼을 토글(Toggle)하여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8A and 18B, when a nasal cavity is viewed through a corona view, a section of a certain area can be seen. Whether or not to use such a fun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T slice function) 'Can be determined by toggling the' number 'button.

도 19a 및 19b를 참조하면, 키보드를 이용하여 CT 슬라이스 기능을 동작하면 도 9b의 그림과 같은 형태로 일정 영역만 슬라이스된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수정 할 부위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9A and 19B, when the CT slice function is operated using a keyboard, a screen in which only a predetermined area is sliced in the form shown in FIG. 9B is provided, thereby provid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can concentrate more on a part to be corrected have.

한편, 본 발명의 시뮬레이터 장치는 2가지의 모드를 지원, 즉 뷰모드(View Mode)와 변형모드(Deform Mode)를 지원하는데, 뷰모드는 수정된 비도를 3D 환경에서 볼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하고, 변형모드는 2D 환경에서 비도를 수정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Meanwhile, the simul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wo modes, i.e., a view mode and a deformation mode. The view mode means a mode in which the modified rain rate can be viewed in a 3D environment , And the deformation mode means a mode for modifying the non-degree in the 2D environment.

도 20은 좌측으로부터 라이노스테이션의 뷰모드, 동영상, 뷰모드를 각각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FIG.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ew showing a view mode, a moving picture, and a view mode of the Rhino station from the left side.

뷰/변형모드의 토글은, 예컨대 키보드의 숫자'0'을 눌러 작동된다.The toggle of the view / deformation mode is activated, for example, by pressing the number '0' on the keyboard.

뷰모드는 수정된 비도를 3D 환경에서 마우스를 이용해 관찰할 수 있는 모드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드래그 하게 되면, 상, 하, 좌, 우 방향 전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전, 후 방향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The view mode is a mode that allows you to observe the modified rainfall using a mouse in 3D environment. If you drag the mouse with the left button pressed, you can switch betwee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by pressing and holding the right button. Direction movement can be performed.

도 21은 좌측으로부터 라이노스테이션의 변형모드, 동영상, 변형모드를 각각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Fig. 21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a deformation mode, a moving image, and a deformation mode of the lino station from the left side.

변형모드는 비도를 수정하기 위한 모드로 2D 환경을 지원하며, 팬텀옴니(Phantom Omni)를 활용하여 비도를 수정하고, 수정하는 중에 햅틱 커서(Haptic Cursor)가 벽면에 닿거나 수정하는 동작이 발생할 때 포스 피드백(Force Feedback)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eformation mode is a mode for modifying the non-degree. It supports the 2D environment. It corrects the non-degree by utilizing the Phantom Omni, and when the haptic cursor touches or modifies the wall while modifying, Force feedback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여기에서, 비도의 수정은 2D 평면에서 X축이나 Y축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수정할 수 있으며, X축은, 예컨대 키보드의'7', Y축은, 예컨대 키보드의'8'을 누르면 수정 가능하다.Here, the correction of the non-degree can be corrected in the state of being fixed in the X-axis or the Y-axis in the 2D plane, and the X-axis can be modified, for example, by pressing the keyboard '7' and the Y-

한편, 변형모드에서 수정된 비도는, 일례로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우시안(Gaussian) 분포를 이용하여 전/후 5슬라이드가 동시에 수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for the non-deformed mode in the deformation mode, for example, five slides before and after the Gaussian distribution as shown in FIG. 22 can be simultaneously modified.

기존의 경우에는 작업된 내용은 1슬라이드만 적용되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시뮬레이터 장치는 5슬라이드를 동시에 수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반복 작업을 해야만 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case, the simul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dify 5 slides at the same tim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ly one slide is applied, so that the user can relieve the trouble of having to repeat the operation.

가우시안 분포의 σ는, 예컨대 키보드의'5'와'6'으로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비도가 변형되는 크기를 직접 변경할 수 있다.The σ of the Gaussian distribution can be directly controlled by the user by, for example, '5' and '6' of the keyboard, thereby directly changing the magnitude of non-variation.

도 23은 좌측으로부터 비강 CT Slice의 외부, 중앙, 내부(코로나 기준)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Fig. 2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the outside, the center, and the inside (coronal reference) of the nasal CT slice from the left side.

변형모드에서, 예컨대 키보드의'+'와 '-'를 이용하여 2D 환경에서 CT 슬라이스를 탐색할 수 있다. 비도를 수정하는 작업에서만 CT 슬라이스 탐색이 필요하기 때문에 뷰모드에서는 CT 슬라이스의 탐색 기능을 지원할 필요가 없다. 즉, 뷰모드에서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대신할 수 있다.In deformation mode, for example, you can search for CT slices in a 2D environment using the keyboard '+' and '-'. View mode does not need to support CT slice navigation because it only requires CT slice navigation. In other words, in view mode, you can right-click instead.

팬텀옴니(Phantom Omni)만을 이용하여 모든 작업을 처리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적용 환경의 확정성 등을 고려할 때 마우스를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lthough it is possible to handle all tasks using only the Phantom Omni,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imulator environment that can be operated using a mouse,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application environment.

도 24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좌측 비도를 수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FIG. 24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correcting the left side non-degree by using a mouse.

즉, 비도의 수정 작업을 진행하는 변형모드 이외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뷰모드에서 마우스를 이용하여 모델을 관찰할 수 있다.That is, the manipul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mouse other than the deformation mode in which the non-correction of the non-degree is performed. For example, in the view mode, a model can be observed using a mouse.

마우스 버전의 시뮬레이터에서는 기존 시뮬레이터와 같이 뷰/변형모드를 지원할 수 있으며 모든 동작 방법은 같고, 변형모드에서 비도 수정 작업을 진행할 때 팬텀옴니 대신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만 다르다.The mouse version of the simulator can support the same view / deformation mode as the existing simulator, and all operations are the same, except that the mouse is used instead of the phantom omni when performing non-correction operations in the deformation mode.

예컨대, 수정을 원하는 비도 근처에 마우스를 위치시킨 후 수정을 원하는 위치로 마우스를 클릭하게 되면 클릭된 위치만큼 비도가 수정된다. 수정 원리는 도 22에 도시된 가우시안 분포를 따른다.For example, if you place the mouse near the desired rainfall and click the mouse on the desired location, the rainfall will be corrected to the clicked location. The modification principle follows the Gaussian distribution shown in FIG.

그리고, 본 발명의 시뮬레이터 장치를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위해 키보드 및 마우스의 동작 버튼은, 일례로서 도 25에 도시된 표에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For the interface necessary for executing the simula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keyboard and the mouse can be defined as shown in the table shown in Fig. 25 as an exampl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is easy to see that this is possible. That i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의료 영상 데이터를 영역 분할하여 2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2D 비강 영역 분할 및 볼륨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2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재구성하여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3D 비강 볼륨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스무싱 처리하는 3D 비강 볼륨 후처리부와,
스무싱 처리된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3D 비강 모델로 변환시키는 3D 비강 모델 생성부와,
변환된 상기 3D 비강 모델에 대한 수치 해석을 통해 비강 내 유동 흐름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모니터에 표출시키는 유동 흐름 분석부와,
상기 유동 흐름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 기반으로 상기 3D 비강 모델을 변형시키는 3D 비강 모델 변형부
를 포함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장치.
A 2D nasal region segmentation and volume generation unit for segmenting the medical image data to generate a 2D nasal cavity volume,
A 3D nasal cavity volume generating unit for reconstructing the generated 2D based nasal cavity volume to generate a 3D based nasal cavity volume;
A 3D nasal volume post-processor for smoothing the generated 3D-based nasal cavity volume;
A 3D nasal cavity model generating unit for transforming the 3D-based nasal cavity volume smoothed into a 3D nasal cavity model,
A flow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flow in the nasal cavity through numerical analysis for the 3D nasal cavity model and displaying the analysis result on a monitor,
A 3D nasal model modification unit for transforming the 3D nasal model based on the haptic feedback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flow,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비강 볼륨 생성부는,
상기 의료 영상 데이터의 복셀 크기 정보를 토대로 매칭 큐브(Marching-cube) 알고리즘을 적용한 렌더링을 통해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3D nasal cavity volume generating unit comprises:
The 3D-based nasal cavity volume is generated through rendering using a Marching-cube algorithm based on the voxel size information of the medical image data
3D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비강 볼륨 후처리부는,
HC-라플라시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스무싱 처리를 수행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3D nasal volume post-
The smooth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HC-Laplacian algorithm
3D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D 비강 볼륨 후처리부는,
상기 스무싱 처리를 기 설정된 N회만큼 반복 수행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3D nasal volume post-
The smoothing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N times
3D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흐름 분석부는,
상기 비강 내의 호흡 경로 내에서 일어나는 압력의 변화와 벽면에서의 압력의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유동 흐름을 분석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The flow is analyz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pressure occurring in the respiratory pathway in the nasal cavity and the degree of pressure on the wall surface
3D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흐름 분석부는,
나비아-스톡스 방정식(Navier-Stokes Equation)을 이용하여 상기 유동 흐름을 분석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low-
The flow is analyzed using a Navier-Stokes Equation
3D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device.
의료 영상 데이터를 영역 분할하여 2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상기 2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재구성하여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후처리하는 과정과,
후처리된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3D 비강 모델로 변환시키는 과정과,
변환된 상기 3D 비강 모델에 대한 수치 해석을 통해 비강 내 유동 흐름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유동 흐름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3D 비강 모델을 변형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Generating a 2D-based nasal cavity volume by segmenting the medical image data;
Generating a 3D-based nasal cavity volume by reconstructing the generated 2D-based nasal cavity volume;
Processing the generated 3D-based nasal cavity volume;
Transforming the post-processed 3D-based nasal cavity volume into a 3D nasal cavity model;
Analyzing the flow in the nasal cavity through numerical analysis on the converted 3D nasal model,
A process of transforming the 3D nasal cavity mode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flow flow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을 스무싱 처리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st-
Smoothing the 3D-based nasal cavity volume
3D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metho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무싱 처리는,
HC-라플라시안 알고리즘을 이용해 수행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moothing process,
Performed using the HC-Laplacian algorithm
3D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metho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무싱 처리는,
기 설정된 N회만큼 반복 수행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moothing process,
And repeatedly performed N times
3D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3D 기반의 비강 볼륨은,
상기 의료 영상 데이터의 복셀 크기 정보를 토대로 매칭 큐브(Marching-cube) 알고리즘을 적용한 렌더링을 통해 생성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3D-based nasal cavity volume,
And a rendering process using a Marching-cube algorithm based on the voxel size information of the medical image data
3D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흐름은,
상기 비강 내의 호흡 경로 내에서 일어나는 압력의 변화와 벽면에서의 압력의 정도 측정을 통해 분석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low-
The changes in pressure occurring in the nasal cavity within the respiratory pathway and the degree of pressure on the wall are analyzed
3D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metho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흐름의 분석은,
나비아-스톡스 방정식(Navier-Stokes Equation)을 이용하는
3D 기반의 비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analysis of the flow-
Using the Navier-Stokes Equation
3D based nasal surgery simulation method.
KR1020150124167A 2014-09-02 2015-09-02 Method and apparatus 3d surgery simulation of nasal cavity KR10169380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6089 2014-09-02
KR1020140116089 2014-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393A true KR20160028393A (en) 2016-03-11
KR101693808B1 KR101693808B1 (en) 2017-01-10

Family

ID=5558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167A KR101693808B1 (en) 2014-09-02 2015-09-02 Method and apparatus 3d surgery simulation of nasal cav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80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8159759A1 (en) * 2017-03-01 2019-12-26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Airway ventilation state calibration system and airway deformation prediction system during sleep
WO2020138731A1 (en) * 2018-12-27 2020-07-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m sensor-based otolaryngology and neurosurgery medical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455B1 (en) 2017-04-05 2018-09-04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radiology X-ray study
KR102038139B1 (en) 2017-12-29 2019-10-29 (주)허니냅스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duction ratio of apnea-hypopnea index before surgery to treat sleep apnea syndrome
KR102014825B1 (en) 2017-12-29 2019-08-27 (주)허니냅스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eduction ratio of apnea-hypopnea index before surgery to treat sleep apnea syndrome
KR20230136298A (en) 2022-03-18 2023-09-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egment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sal cavity structure
KR20230166339A (en) 2022-05-30 2023-12-07 (주)휴톰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viding patient-specific 3 dimension surgical simul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4147A (en) * 2003-11-07 2005-05-12 강문구 A real-time simulation and rendering method for fluid flows using continuum fluid mechanics and volume rendering techniques
KR20050120497A (en) * 2004-06-19 2005-12-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Virtual dental training and evaluation system using haptic interface based volumetric model
JP2010131047A (en) 2008-12-02 2010-06-17 Mitsubishi Precision Co Ltd Method of generating model for simulation before operation
KR20100099507A (en) 2009-03-03 2010-09-13 프림포주식회사 Implant simulation system using haptic interface
KR20130109794A (en) 2012-03-28 2013-10-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Virtual arthroscope surgery simulation system
KR20140031486A (en) * 2012-09-03 2014-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simulating medical image and device thereof
KR101527656B1 (en) * 2013-12-12 2015-06-10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system for interpolating point spread function using nongrid image registration in medical imag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4147A (en) * 2003-11-07 2005-05-12 강문구 A real-time simulation and rendering method for fluid flows using continuum fluid mechanics and volume rendering techniques
KR20050120497A (en) * 2004-06-19 2005-12-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Virtual dental training and evaluation system using haptic interface based volumetric model
JP2010131047A (en) 2008-12-02 2010-06-17 Mitsubishi Precision Co Ltd Method of generating model for simulation before operation
KR20100099507A (en) 2009-03-03 2010-09-13 프림포주식회사 Implant simulation system using haptic interface
KR20130109794A (en) 2012-03-28 2013-10-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Virtual arthroscope surgery simulation system
KR20140031486A (en) * 2012-09-03 2014-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simulating medical image and device thereof
KR101527656B1 (en) * 2013-12-12 2015-06-10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system for interpolating point spread function using nongrid image registration in medical im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8159759A1 (en) * 2017-03-01 2019-12-26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Airway ventilation state calibration system and airway deformation prediction system during sleep
WO2020138731A1 (en) * 2018-12-27 2020-07-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m sensor-based otolaryngology and neurosurgery medical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808B1 (en)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808B1 (en) Method and apparatus 3d surgery simulation of nasal cavity
JP6208670B2 (en) Workflow for Lung Lobe Ambiguity Guide Interactive Segmentation
Delingette et al. Craniofacial surgery simulation testbed
US9697600B2 (en) Multi-modal segmentatin of image data
US20140324400A1 (en) Gesture-Based Visualization System for Biomedical Imaging and Scientific Datasets
Ebert et al. Invisible touch—Control of a DICOM viewer with finger gestures using the Kinect depth camera
JP2005169118A (en) Method for segmenting tomographic image data and image processing system
EP3257019A1 (en) Preview visualisation of tracked nerve fibers
US20230260129A1 (en) Constrained object correction for a segmented image
CN111430012B (en) System and method for semi-automatically segmenting 3D medical images using real-time edge-aware brushes
US20180005380A1 (en) Dynamic definition of a region of interest for tracking nerve fibers
US20220108540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image information
KR101903996B1 (en) Method of simulating medical image and device thereof
JP6200618B1 (en) Medical image diagnosis support system and apparatus, and program
Li et al. Accuracy of three-dimensional facial soft tissue simulation in post-traumatic zygoma reconstruction
WO2018030015A1 (en) Resection process estimation device and resection process navigation system
RU2667976C1 (en) Virtual interactive determination of volume forms
JP6937187B2 (en) Breast shape change prediction method, breast shape change prediction system, and breast shape change prediction program
CN106843694B (en)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system
JP2006055402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image processing
EP4141801A1 (en) Interactive handling of 3d images
Choi et al. Virtual haptic system for intuitive planning of bone fixation plate placement
Simkins Jr et al. The Role of Computational Tools in Biomechanics
WO2023031151A1 (en) Interactive handling of 3d images
Hong et al. Virtual angioscopy based on implicit vascul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