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201A -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 Google Patents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201A
KR20160028201A KR1020140116964A KR20140116964A KR20160028201A KR 20160028201 A KR20160028201 A KR 20160028201A KR 1020140116964 A KR1020140116964 A KR 1020140116964A KR 20140116964 A KR20140116964 A KR 20140116964A KR 20160028201 A KR20160028201 A KR 2016002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contact
mold block
block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540B1 (ko
Inventor
안준범
Original Assignee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특수금속 filed Critical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to KR1020140116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5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몰드블록; 상기 몰드블록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의 접촉블록을 향하여 관통되는 복수개의 접촉단자; 상기 접촉단자의 단부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촉단자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몰드블록의 정면측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력부재; 상기 자력부재와 몰드블록의 접촉부위에 위치되는 백요크; 및 정면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고 내측에 상기 몰드블록이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위에 돌출 구성되며 개구부의 내측에 몰드블록의 접촉블록 위치시 개구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자력부재가 위치되도록 하여 접촉단자와 자력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자력부재가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도록 하는 상자성체커버를 포함하는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Non inserting type connector with closed magnetic circuit for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력결합부재와 접촉단자를 가지는 제1전자기기의 비삽입형 포트에 자력결합부재와 접촉단자를 통하여 상호간 자력 결합시 접촉단자들이 전기적으로 도통되도록 하는 제2전자기기의 비삽입형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의 자력부재와 접촉단자가 상자성체(常磁性體)에 의해 커버되어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도록 하여 자기(磁器) 손실의 최소화와 함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폐쇄형 자기회로(磁氣回路)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용 인터페이스 장치로는 전자기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 슬레이트PC 및 갤럭시탭 등과 같은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는 또 다른 전자 기기 예를 들면, 충전기나 크래들 등과 같은 주변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형 포트가 노출된 채 구성되고, 상기 개방형 포트에 주변기기의 삽입형 컨넥터가 삽입 접촉되어 해당 주변기기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삽입식 인터페이스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기기용 인터페이스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개방형 포트는 통상적으로 '凹'의 홈형상을 가지고 크래들 등과 같은 또 다른 전자기기의 삽입형 컨넥터는 통상적으로 '凸'의 돌기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호간 반복 접촉 및 분리에 따라 인터페이스 단자들의 물리적 접점 상태가 헐거워져 접점단자의 접촉 상태가 불량해지거나 또는 분리시 상기 인터페이스 단자들의 접점단자가 분리 방향에 따라 휘거나 구부러지는 등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346933호의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등이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상기 등록특허 10-1346933호 등과 같은 종래의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1전자기기에 구성되는 비삽입형 포트와 제2전자기기에 구성되는 비삽입형 컨넥터와 같은 인터페이스에 각각 자력결합부재와 접촉단자가 구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상호간 자력 결합시 접촉단자들이 비삽입 접점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충전 또는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중 컨넥터의 경우, 상기 자력결합부재의 경우 대부분 영구자석이 적용되고 있고 또한, 상기 영구자석이 인터페이스의 접촉면 외부로 결합면이 직접적으로 노출되도록 배치 구성되고 있다.
이에, 상기 자력식 인터페이스의 반복적인 자력을 이용한 탈부착 과정에서 취성(脆性)이 높은 영구자석의 특성상 쉽게 파손되어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보관상의 부주의로 고열 등에 노출되거나 장시간 사용시 자력이 상실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력식 인터페이스의 경우 상기 접촉단자들 또한, 인터페이스의 접촉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 구성됨에 따라 상기 자력부재에 클립 등과 같은 도체 등이 결합시 도체와 접촉에 따라 쇼트가 발생되어 인쇄회로기판 등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제적으로 영구자석의 주원료인 희토류의 자원이 고갈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영구자석과 연자성체(軟磁性體)의 조합을 통해서 희토류의 사용량을 줄여야 하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나, 상기와 같이 영구자석과 연자성체의 조합시 자기강도가 영구자석에 비해 크게 저하되어 자력결합부재의 부피가 증가되어야 하며, 이로 인하여 전자기기 인터페이스의 케이스 부피가 커지게 되어 경박단소화된 전자기기의 디자인 설계를 추구하는 현재의 추세를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력결합부재와 접촉단자를 가지는 제1전자기기의 비삽입형 포트에 자력결합부재와 접촉단자를 통하여 상호간 자력 결합시 접촉단자들이 전기적으로 도통되도록 하는 제2전자기기의 비삽입형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의 자력부재와 접촉단자가 상자성체(常磁性體)에 의해 커버되어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도록 하여 자기(磁器) 손실의 최소화와 함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폐쇄형 자기회로(磁氣回路)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몰드블록; 상기 몰드블록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의 접촉블록을 향하여 관통되는 복수개의 접촉단자; 상기 접촉단자의 단부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촉단자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몰드블록의 정면측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력부재; 상기 자력부재와 몰드블록의 접촉부위에 위치되는 백요크; 및 정면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고 내측에 상기 몰드블록이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위에 돌출 구성되며 개구부의 내측에 몰드블록의 접촉블록 위치시 개구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자력부재가 위치되도록 하여 접촉단자와 자력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자력부재가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도록 하는 상자성체커버를 포함하는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몰드블록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의 접촉블록을 향해 관통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되는 탄력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는, 그 단부가 접촉블록의 관통공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몰드블록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의 접촉블록을 향해 관통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력부재는,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자성체커버는, 상기 자력부재가 영구자석인 경우 영구자석과 상자성을 가지는 연자성체 소재인 알루미늄, 텅스텐, 주석, 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자성체커버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며 배면부가 개방되어 몰드블록의 접촉블록이 개구부에 위치 수용되도록 하고 접촉블록 일측에 위치된 자력부재가 수용되도록 하는 노출커버와; 상기 노출커버의 배면부로부터 연장되어 몰드블록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지지하고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삽입형 포트에 비삽입형 컨넥터의 결합시 비삽입형 컨넥터의 상자성체커버가 자력부재의 자력과 같은 방향으로 자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상기 비삽입형 포트의 자력결합부재가 철 성분을 가지는 피자성체 또는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인 경우에만 자력을 이용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도록 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자력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성체커버에 의해 자력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열 전달 등으로 보호될 수 있어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성체커버에 의해 상기 접촉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자성체커버에 철 성분을 가지는 피자성체가 자력 결합되더라도 피자성체와 접촉단자의 직접적인 접촉을 최소화하여 쇼트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컨넥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의 컨넥터를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도; 및
도 5는 도 1의 컨넥터가 포트에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컨넥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의 컨넥터를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컨넥터가 포트에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100)는, 제1전자기기에 구성되어 제2전자기기에 구성되는 비삽입형 포트(200)에 자력 결합되어 상기 전자기기들 상호간 충전 또는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배면측에 제1전자기기에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101)의 스토퍼(102)가 삽입 지지되며 정면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몰드블록(120), 상기 몰드블록(120)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의 접촉블록(120a)을 향하여 관통되는 복수개의 접촉단자(130), 상기 접촉단자(130)의 단부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110)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촉단자(130)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140), 상기 몰드블록(120)의 정면측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력부재(150), 상기 자력부재(150)와 몰드블록(120)의 접촉부위에 위치되어 자력부재(150)의 자력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백요크(Back Yoke:160) 및 정면측이 개구된 개구부(171)를 가지고 내측에 상기 몰드블록(120)이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부위에 돌출 구성되며 개구부(171)의 내측에 몰드블록(120)의 접촉블록(120a) 위치시 개구부(17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자력부재(150)가 위치되도록 하여 접촉단자(130)와 자력부재(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자력부재(150)가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도록 하는 상자성체커버(17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전자기기는,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 슬레이트PC, 갤럭시탭 및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 기기 등을 포함하는 메인기기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키보드나 터치스크린 또는 후술된 제1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입력수단, 터치스크린에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 디스크나 메모리부재를 통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입력신호의 제공시 이를 처리하거나 또는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키거나 또는 해당 정보를 제2전자기기(EB)에 출력시키는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하는 제어수단 등을 포함하며, 해당 메인기기들의 구성, 동작 및 제어는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전자기기는, 상기 제2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 및 해당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충전기나 크래들, 마우스, 키보드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기기로, 해당 주변기기들의 구성, 동작 및 제어는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비삽입형 포트(200)은, 상기 제2전자기기의 해당 부위 즉, 종래의 제1전자기기(EA)에 형성된 개방형 포트에 대응되는 하측면 또는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제어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전자기기의 비삽입형 컨넥터(100)가 자력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여 제1 및 제2전자기기의 해당 신호나 정보가 상호간 제공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로, 제2전자기기의 해당 설치부위에 구성되는 하우징(H)에 위치되어 후술된 컨넥터(100)의 자력부재(150)와 자력을 통해 면접촉 결합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피자성체 또는 자성체 등의 자력결합부재(210)와, 상기 자력결합부재(210)의 일측에 위치되어 자력결합부재(210)와 자력부재(150)의 자력 결합시 컨넥터(100)의 접촉단자(130)가 비삽입 접점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상호간 전원 및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접촉단자(22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삽입형 포트(200)는, 상기 자력결합부재(210)와 접촉단자(220)가 구성되는 하우징(H)의 결합면에는 상기 비삽입형 컨넥터(100)의 상자성체커버(170)가 삽입되도록 요홈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요철(凹凸) 구조를 가지면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좋고 이때, 상기 요홈과 상자성체커버(170)의 형상이 역방향으로 결합되지 않는 3면을 가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거나 일부에만 상호간 대향되는 음양각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접촉단자(130,220)들이 방향성을 가지는 경우 역방향 삽입을 방지하는 가이드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삽입형 포트(200)의 하우징(H) 결합면에도 상기 상자성체커버(170)에 대응되는 상자성체가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10)는, 배면측에 제1전자기기에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101)의 스토퍼(102)가 삽입 지지되고 정면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성부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컨넥터 바디 제공수단으로, 상호간 대향된 상하측 케이스(111,112)가 상호간 맞물림 결합된다.
상기 몰드블록(120)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되어 후술된 접촉단자(130), 인쇄회로기판(140), 자력부재(150) 및 백요크(160) 등의 구성부가 하나의 블록으로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하는 조립수단으로, 후술된 접촉단자(130)가 관통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의 접촉블록(120a)까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접촉블록(120a)의 일측에 자력부재(150)와 백요크(160)가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접촉단자(130)는, 그 단부가 접촉블록(120a)의 관통공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몰드블록(120)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의 접촉블록(120a)을 향해 관통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되어 상기 비삽입형 포트(200)의 접촉단자(220)와 전기적으로 비삽입 접점되는 접점수단으로, 단부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가지면서 후술된 인쇄회로기판(140)측으로 반동 삽입되는 포고핀 등과 같은 탄력단자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삽입형 포트(200)의 접촉단자(220)는 하우징(H)에 형성되는 통공의 내부에 단자가 함몰된 구조 또는 통공의 평면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평면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르 통하여, 상기 탄력단자와 평면단자의 접촉시 탄력을 통하여 접촉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130)의 경우 그 단부가 상기 접촉블록(120a)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가짐에 따라 상자성체커버(170)의 개구부(171)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외부 물체와의 접촉이 방지되어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또한, EMI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상기 접촉단자(1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비삽입형 포트(200)의 접촉단자(220)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비삽입형 포트(200)가 구성되는 하우징(H)의 결합면의 경우 상기 접촉단자(220)가 돌출 구성되도록 하고 접촉단자(220)의 단부가 노출 구성되도록 하여 그 단부가 상기 상자성체커버(170)의 개구부(171) 내측에 위치된 접촉블록(120a)의 관통공에 일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40)은, 상기 접촉단자(130)의 단부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110)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촉단자(130)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자력부재(150)는, 상기 몰드블록(120)과 접촉블록(120a)의 형상 차이에 따른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비삽입형 포트(200)의 결합면이 상기 상자성체커버(170)와 접합시 자력결합부재(210)와 자력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자력결합수단으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중 어느 하나의 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성부재가 영구자석인 경우에는 착자요크라는 설비를 통해 상하단극, 2극 및 4극착자로 제조하여 다양한 개수의 극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력부재(150)가 영구자석이고 자력결합부재(210) 역시 영구자석인 경우, 영구자석들간의 자력 결합시 상반 극성끼리만 결합되도록 하여 컨넥터(100)와 포트(200)가 방향성을 가지면서 접점되어야 하는 경우 역방향 접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백요크(160)는, 상기 자력부재(150)와 몰드블록(120)의 접촉부위에 위치되어 자력부재(150)의 자력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자력향상수단으로, 상기 자력부재(150)의 정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모두 커버하여 자력의 직진성 확보 및 누설 자속 방지를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자력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상자성체커버(170)는, 정면측이 개구된 개구부(171)를 가지고 내측에 상기 몰드블록(120)이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부위에 돌출 구성되며 개구부(171)의 내측에 몰드블록(120)의 접촉블록(120a) 위치시 개구부(17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자력부재(150)가 위치되도록 하여 접촉단자(130)와 자력부재(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자력부재(150)가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도록 하는 커버수단으로, 상기 자력부재(150)가 영구자석인 경우 영구자석과 상자성을 가지는 연자성체 소재인 알루미늄, 텅스텐, 주석, 백금 등의 재질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상자성체커버(170)는 상기 개구부(171)가 형성되며 배면부가 개방되어 몰드블록(120)의 접촉블록(120a)이 개구부(171)에 위치 수용되도록 하고 접촉블록(120a) 일측에 위치된 자력부재(130)가 수용되도록 하는 노출커버(170a)와, 상기 노출커버(170a)의 배면부로부터 연장되어 몰드블록(120)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지지하고 케이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지지커버(170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상자성체커버(170)에 의하면, 개구부(171)의 일측 내면에 위치된 자력부재(150)의 자력과 같은 방향으로 자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상기 비삽입형 포트(200)의 자력결합부재(210)가 철 성분을 가지는 피자성체 또는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인 경우에만 자력을 이용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철 성분을 가지지 않는 피자성체인 경우에는 자력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도록 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자력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성체커버(170)에 의하면, 상기 자력부재(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열 전달 등으로 보호될 수 있어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성체커버(170)에 의하면, 상기 접촉단자(1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자성체커버(170)에 철 성분을 가지는 피자성체가 자력 결합되더라도 피자성체와 접촉단자(130)의 직접적인 접촉을 최소화하여 쇼트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전자기기에 구성된 비삽입형 포트(200)에 제1전자기기에 구성된 비삽입형 컨넥터(100)가 면접촉하게 되면, 비삽입형 컨넥터(100)의 상자성체커버(170)의 개구부(171) 양측 내부에 위치된 자력부재(130)의 자력이 상자성체커버(170)의 표면에 전달되어 상자성체커버(170)가 자력부재(130)의 자력의 방향과 같은 상자성을 가지게 되어, 비삽입형 포트(200)의 자력결합부재(210)와 상호간 자력 결합하게 된다.
이에, 비삽입형 포트(200)와 비삽입형 컨넥터(100)에 각각 구성된 접촉단자들 즉, 상기 포트(200)의 터미널핀인 접촉단자(220)에 컨넥터(100)의 포고핀인 접촉단자(130)가 상호간 전기적으로 접점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삽입형 포트(200)에 비삽입형 컨넥터(100)의 결합시 비삽입형 컨넥터(100)의 상자성체커버(170)가 자력부재(150)의 자력과 같은 방향으로 자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상기 비삽입형 포트(200)의 자력결합부재(210)가 철 성분을 가지는 피자성체 또는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인 경우에만 자력을 이용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도록 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자력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성체커버(170)에 의해 자력부재(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열 전달 등으로 보호될 수 있어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성체커버(170)에 의해 상기 접촉단자(1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자성체커버(170)에 철 성분을 가지는 피자성체가 자력 결합되더라도 피자성체와 접촉단자(130)의 직접적인 접촉을 최소화하여 쇼트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자성체커버(170)의 구성을 통하여 영구자석의 자력 향상 및 자력 손실 최소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작은 크기의 영구자석 사용을 통한 경박단소화된 컨넥터(100)의 디자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희토류의 자원 고갈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몰드블록(120);
    상기 몰드블록(120)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의 접촉블록(120a)을 향하여 관통되는 복수개의 접촉단자(130);
    상기 접촉단자(130)의 단부에 결속된 상태에서 케이블(110)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촉단자(130)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140);
    상기 몰드블록(120)의 정면측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자력부재(150);
    상기 자력부재(150)와 몰드블록(120)의 접촉부위에 위치되는 백요크(Back Yoke:160); 및
    정면측이 개구된 개구부(171)를 가지고 내측에 상기 몰드블록(120)이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부위에 돌출 구성되며 개구부(171)의 내측에 몰드블록(120)의 접촉블록(120a) 위치시 개구부(17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자력부재(150)가 위치되도록 하여 접촉단자(130)와 자력부재(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자력부재(150)가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도록 하는 상자성체커버(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130)는,
    상기 몰드블록(120)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의 접촉블록(120a)을 향해 관통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되는 탄력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130)는,
    그 단부가 접촉블록(120a)의 관통공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몰드블록(120)의 배면측으로부터 정면측의 접촉블록(120a)을 향해 관통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재(150)는,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성체커버(170)는,
    상기 자력부재(150)가 영구자석인 경우 영구자석과 상자성을 가지는 연자성체 소재인 알루미늄, 텅스텐, 주석, 백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성체커버(170)는,
    상기 개구부(171)가 형성되며 배면부가 개방되어 몰드블록(120)의 접촉블록(120a)이 개구부(171)에 위치 수용되도록 하고 접촉블록(120a) 일측에 위치된 자력부재(130)가 수용되도록 하는 노출커버(170a)와;
    상기 노출커버(170a)의 배면부로부터 연장되어 몰드블록(120)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지지하고 케이스(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지지커버(17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KR1020140116964A 2014-09-03 2014-09-03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KR101634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964A KR101634540B1 (ko) 2014-09-03 2014-09-03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964A KR101634540B1 (ko) 2014-09-03 2014-09-03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201A true KR20160028201A (ko) 2016-03-11
KR101634540B1 KR101634540B1 (ko) 2016-06-29

Family

ID=5558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964A KR101634540B1 (ko) 2014-09-03 2014-09-03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5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953A (ko) * 2009-10-20 2012-08-07 애플 인크. 일체의 하우징을 갖는 자석 커넥터
KR101348933B1 (ko) * 2012-08-01 2014-01-08 (주)대한특수금속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KR20140050760A (ko) * 2010-07-12 2014-04-30 박민호 자성의 포트 접속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953A (ko) * 2009-10-20 2012-08-07 애플 인크. 일체의 하우징을 갖는 자석 커넥터
KR20140050760A (ko) * 2010-07-12 2014-04-30 박민호 자성의 포트 접속 장치
KR101348933B1 (ko) * 2012-08-01 2014-01-08 (주)대한특수금속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540B1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7966B2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non-insertion type interface
KR101348932B1 (ko) 비삽입형 컨넥터를 가지는 유에스비 메모리 및 이에 연결되는 젠더
US20140363988A1 (en) Tablet pc having non-insertion type port and cradle connected to same
CN103840318B (zh) 线缆连接器装置
JP6653739B2 (ja) 誘導相互接続システム用のアタッチメントデバイス
CN106471447A (zh) 触控笔电池充电系统
KR20150047780A (ko)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GB2444689A (en) Electromagnetic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KR102080435B1 (ko) 다목적 충전 구조체
WO2014168337A1 (ko) 자력식 인터페이스
KR101285253B1 (ko) 포터블 전자기기용 컨넥터 도킹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주변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KR101348933B1 (ko)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KR101634540B1 (ko) 폐쇄형 자기회로를 가지는 전자기기용 비삽입형 컨넥터
KR101239215B1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마그네틱 커넥터
CN105576436A (zh) 内置磁铁的移动式存储装置
WO2021012865A1 (zh) 终端设备、数据线及终端设备组件
WO2015002340A1 (ko) 멀티 컨넥터를 가지는 데이터 케이블 장치
KR101531598B1 (ko) 멀티 포트를 가지는 전자기기
KR101326072B1 (ko) 비삽입형 포트를 가지는 노트북
KR101370934B1 (ko)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JP2020021227A (ja) 電子機器付属部材を保持部材に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CN109638539A (zh) 一种电连接装置
CN110336901B (zh) 移动终端及外接设备
KR102353541B1 (ko) 자성 충전 커넥터
CN106953194B (zh) 可改变连接方向的usb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