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479A -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479A
KR20160026479A KR1020140115470A KR20140115470A KR20160026479A KR 20160026479 A KR20160026479 A KR 20160026479A KR 1020140115470 A KR1020140115470 A KR 1020140115470A KR 20140115470 A KR20140115470 A KR 20140115470A KR 20160026479 A KR20160026479 A KR 20160026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vehicle
speed
application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진
손정훈
이건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6479A/en
Publication of KR20160026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4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in a vehicle which can output visual inform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in a vehicle comprises: a spee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speed of a vehicle; a display unit for being inactive which can only receive a preset touch input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detected to be the preset speed or more;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reset applications to the inactive display unit when the preset touch input is detected in the inactive display unit, and execut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 selected icon in the inactiv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icons.

Description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0001]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프로젝터, 태블릿 등이 포함된다. The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both a devic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broadcast,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and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uch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for example, a television, a monitor, a projector, a tablet, and the like.

영상표시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의 출력이나 영상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re diversified, the video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video shooting, game, and broadcast reception in addition to the output of the broadcast and the playback of the video .

또한, 이러한 영상표시장치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운전자가 주행 중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영상표시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운전자의 집중력이 흐려져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such a video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can be improved. However, when the driver uses the video display device disposed in the vehicle while driv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river may be blurred and an accident may occur.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일부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vehicle video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erform a part of applications in a deactivated display unit quickly and easily.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기 설정한 터치입력만을 받을 수 있는 비활성화상태가 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며,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spee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speed sensing part for sensing a speed of a vehicle; A display unit which is inactivated to receive only a predetermined touch input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detected to be higher than a preset speed;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previously set to the inactive display unit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in the display unit in the inactive state, And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in the deactivated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터치 지점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urality of touch points are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the control unit displays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are preset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detected,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 각각에 출력시킬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output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are preset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det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ouch points detected.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가해지는 연속적인 플리킹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실행화면을 기 설정한 순서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킬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n response to a continuous flicking input applied to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execution scree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t can be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의 속도 및 기어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display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are preset to be outpu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speed and a gear state of the vehicle when the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And output the result to the display unit in the inactive stat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속도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peed sensing section may receive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an external device that senses the speed of the vehicl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기 설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i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the control unit may execute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the inactiv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기 설정한 터치입력만을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c)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a) sensing a speed of a vehicle; (b) deactivating the display unit to receive only a predetermined touch input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detected to be higher than a preset speed; (c) outputting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are set in the deactivated state, to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when the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And (d) executing,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in the inactive display unit. to provid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터치 지점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step (c)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are preset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detected when a plurality of touch points are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the inactive state to the display unit.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 각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step (c) may include outputting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are preset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touch points det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ouch points sensed can do.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가해지는 연속적인 플리킹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실행화면을 기 설정한 순서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in response to a continuous flicking input applied to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an execution screen of each of the predetermined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displayed in the deactivated state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to the output terminal.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의 속도 및 기어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c)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when a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i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And outputting the icon to the display unit which is in the deactivated stat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속도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step (a) may include receiving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an external device that senses the speed of the vehicle.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기 설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c) may include executing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the inactive state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in the inactive display unit .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일부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applications can be executed quickly and easily in the inactiv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속도나 기어변속 등 차량의 상태와 차량규제를 고려한 일부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실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some applications considering the state of the vehicle and vehicle regulations such as speed and gear change can be executed quickly and easily in the inactive display portion.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가 구현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한 아이콘이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b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과 관련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c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차량의 상태를 고려하여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한 아이콘이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 1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1B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vehicle video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redetermined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n inactive state.
FIG. 3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related to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a display unit in a deactivated state. FIG.
3C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n applic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in an inactive state.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redetermined icon is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in a deactivated state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the vehic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가 구현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 1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영상정보(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 차량 내부에 임의로 배치될 수 있다. The in-vehicl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that is located inside a vehicle and can output image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can be arbitrarily disposed inside a vehicle.

일 실시 예로서, 차량 대시보드(dashboard) 중앙에 위치하며, 운전석과 조주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보드인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a vehicle dashboard and may be located in a center fascia, which is a control panel boar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tires.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길 안내 화면, 주차 중 차량의 위치, 운행 중 차량의 속도, 시간이나 날씨 등의 정보, 일정 정보, 재생 중인 음악에 관한 정보, 음악재생 제어화면, 에어컨이나 히터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화면(공조제어화면) 등과 같은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 route guidance screen, a position of the vehicle during parking, a speed of the vehicle, time and weather information, schedule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music being reproduced, And a control screen (air conditioning control scree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사용자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근접 배치되며,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20 is disposed close to the display unit 110 and receives a control command.

실시 예로서, 사용자 입력부(120)는 차량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컨트롤 패널 보드(공조부분)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부(120)에는 에어컨의 온도 조절이나 바람 세기 조절을 위한 버튼, 히터 세기 조절을 위한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user input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control panel board (air conditioning part) capable of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vehicle. That is, the user input unit 120 may include button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for adjusting the wind strength, and for controlling the heater power.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120)가 구현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input unit 120 may be implemented to be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10. [ That is, when the display unit 110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 user input unit 120 that can receive a control command from the display unit 110 may be implemented.

이하,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가 센터페시아에 배치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the in-vehicl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vehicl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no.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B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는 속도감지부(130), 디스플레이부(11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1B, an in-vehicl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peed sensing unit 130, a display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40. Referring to FIG.

구체적으로, 속도감지부(130)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속도감지부(130)는 직접 차량의 속도를 감지할 수도 있고, 차량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외부 장치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를 수신할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speed sensing unit 130 can sense the speed of the vehicle. As an example, the speed sensing section 130 may sense the speed of the vehicle directly or may receive the speed of the sensed vehicle from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sen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이때, 외부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 이외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속도감지부(130)는 차량 또는 차량 외부의 장치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means an apparatus other than the in-vehicl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ed sensing unit 130 can receive the speed of the vehicle sensed from the vehicle or a device outside the vehicle.

디스플레이부(110)는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기 설정한 터치입력만을 받을 수 있는 비활성화상태가 될 수 있다.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detect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the display unit 110 may be in a deactivated state to receive only a predetermined touch input.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가 비활성화상태로 전환되는 차량의 속도는 안전규정에 따라 차량 제조시 설정되거나, 사용자(운전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실시 예로서, 차량 제조시 차량이 시속 30㎞ 이상으로 주행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비활성화상태로 전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peed of the vehicle in which the display unit 110 is switched to the inactive state may be set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vehicle or set by the user (driver) according to safety regulations. In an embodiment, when the vehicle is driven at a speed of 30 km / h or more, the display unit 110 may be set to be in the inactive state.

디스플레이부(110)의 비활성화상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특정 기능만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정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가 비활성화상태가 되면 메인화면에 흐릿한 이미지 효과가 더해져 출력될 수 있다. The inactive state of the display unit 110 can be defined a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110 can perform only a specific function, and when the display unit 110 is in the inactive state, a blurred image effect can be added to the main screen and output .

실시 예로서, 터치스크린인 디스플레이부(110)에 기 설정한 터치입력인 롱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기 설정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110)에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아닌 숏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부(110)는 메인화면에 흐릿한 이미지 효과가 더해져 있는 기존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어떠한 변화도 감지되지 않는다. As an embodiment, if a long touch input, which is a touch input previously set,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a touch screen, icons of a predetermined application can be output. However, if a short touch input other than the touch input previously set on the display unit 110 is applied, the display unit 110 maintains the existing state in which the blurred image effect is added to the main screen. That is, no change is detected in the display unit 110.

제어부(140)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output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have been set in the inactive state, to the display unit 110, .

실시 예로서, 차량이 시속 30㎞ 이상으로 주행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비활성화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사용자가 기 설정한 터치입력인 롱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when the vehicle travels at 30 km / h or more, the display unit 110 can be switched to the inactive state. The long touch input, which is a touch input preset by the user, can b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10 in the deactivated state.

이에 따라, 기 설정한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아이콘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될 수 있다. 즉,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롱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아이콘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도록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ic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and the second application that have been set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That is, when the long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10 in the inactive state, the first and second ic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and the second application are set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the inactive state Can be.

또한, 제어부(140)는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실행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the control unit 140 can execute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on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 deactivated state.

실시 예로서,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에 롱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1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a long touch input is applied to a first icon corresponding to a first application, the first application may be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a deactivated state.

도 1b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주행 시 주행규제에 제한받지 않는 일부 애플리케이션만을 빠르고 간단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B, the user can quickly and simply select and use only some applications that are not restricted by driving regulations at the time of driving.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종래 기술에 따라 주행 중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화면(110)에 출력되어 있는 복수의 아이콘 중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을 찾고 이를 선택하는 등의 절차가 요구된다.Specifically, in order for the user to execute the first application while driving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procedure such as finding a first ic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110 and selecting the icon is required do.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주행 중 간단한 터치로 제1 애플리케이션에 진입할 수 있는 제1 아이콘을 호출한 후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xecute the first application after calling the first icon that can enter the first application with a simple touch while driving.

그 결과,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되며, 사용자는 단축된 시간만큼 더 집중하여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time required for the first application to be executed is shortened, and the user can concentrate and drive safely as much as the shortened time.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a control method that can be implemented in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Referring to FIG. 2, first, a step S210 of sen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is perform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속도감지부(130)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속도감지부(130)는 직접 차량의 속도를 감지할 수도 있고, 차량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외부 장치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를 수신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peed sensing unit 130 can sense the speed of the vehicle. As an example, the speed sensing section 130 may sense the speed of the vehicle directly or may receive the speed of the sensed vehicle from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sen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이때, 외부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100) 이외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속도감지부(130)는 차량 또는 차량 외부의 장치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means an apparatus other than the in-vehicl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ed sensing unit 130 can receive the speed of the vehicle sensed from the vehicle or a device outside the vehicle.

이어서,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기 설정한 터치입력만을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S220)가 진행된다. Then,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detected to be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a step S220 of deactivating the display unit 110 so as to receive only the preset touch input is proceeded.

실시 예로서, 차량이 기 설정한 속도인 시속 50 ㎞이상으로 주행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비활성화상태로 전환되어 진다. As an embodiment, when the vehicle travels at a speed of 50 km / h or more, which is a predetermined speed, the display unit 110 is switched to the inactive state.

그 다음으로,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하는 단계(S230)가 진행된다. Next, when a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a step of outputting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plurality of applications to the display unit 110 in an inactive state (S230 ).

실시 예로서, 기 설정한 터치입력인 롱 터치입력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아이콘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long touch input, which is a preset touch input, can be detected by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ic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and the second application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즉,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롱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아이콘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도록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That is, when the long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10 in the inactive state, the first and second ic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and the second application are set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the inactive state Can be.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복수의 손가락이 동시에 터치되는 멀티 터치입력이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 각각에 출력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a multi-touch input in which a plurality of fingers are simultaneously touched can be sens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an inactive state. Accordingly,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are preset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 be sensed, can be output to each of a plurality of sensed touch points.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를 세 손가락으로 동시에 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한 각각의 지점에,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제3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 제2 아이콘 및 제3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As a concrete example, the display part 110 in which the user is in the inactive state can simultaneously touch with three fingers. Accordingly, a first icon, a second icon, and a third ic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the second application, and the third application can be output at each point the user touches with the finger.

이를 위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세 개의 터치 지점이 감지되면,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제3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 제2 아이콘 및 제3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To this end, when three touch points are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an inactive state, a first icon, a second icon, and a third ic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the second application, May be set.

이후,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실행하는 단계(S240)가 진행된다. Thereafter,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is executed in the inactive state on the display unit 110 (S240).

실시 예로서,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에 롱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1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a long touch input is applied to a first icon corresponding to a first application, the first application may be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a deactivated state.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이와 같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플리킹 입력을 가하면,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licking input is applied to the execution screen of the first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the deactivated state, the execution screen of the second application can be output.

이어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또 다시 플리킹 입력을 가하면,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 flicking input is again applied to the execution screen of the second applicati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third application can be output.

이를 통해, 사용자는 주행 중 주행규제에 제한받지 않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다. This allows users to quickly run applications that are not restricted by driving regulations during driving.

한편, 제어부(140)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복수의 터치 지점이 감지되면,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시킬 수 있다. 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touch points are sensed on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the controller 140 displays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are preset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sensed, (110).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제어부(140)는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 각각에 출력시킬 수 있다. As a concrete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output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are preset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 be sensed, to each of a plurality of sensed touch points.

또한, 제어부(14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가해지는 연속적인 플리킹 입력에 응답하여,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실행화면을 기 설정한 순서에 따라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시킬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flicking input applied to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the control unit 140 displays the execution screen of each of the predetermined plurality of applications in the deactivated state, (110).

도 3a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기 설정한 아이콘이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3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redetermined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an inactive state.

도 3a의 (a)를 참조하면, 차량이 정차 중 또는 기 설정한 속도 미만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활성화상태일 수 있다. 3A,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r the speed is lower than a preset speed, the display unit 110 may be an activated state in which the touch input sensed by the user is sensed and the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touch input is output have.

실시 예로서, 길 안내 화면, 주차 중 차량의 위치, 운행 중 차량의 속도, 시간이나 날씨 등의 정보, 일정 정보, 재생 중인 음악에 관한 정보, 음악재생 제어화면, 에어컨이나 히터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화면(공조제어화면) 등과 같은 시각정보가 출력되어 있을 수 있다. As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during parking,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time and weather information, the schedul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music being reproduced, the music reproduction control screen, A control screen (air conditioning control screen), and the like may be output.

도 3a의 (b)를 참조하면, 차량이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비활성화상태로 전환된다. Referring to FIG. 3 (b), when the vehicle travels at a speed higher than a preset speed, the display unit 110 is switched to the inactive state.

실시 예로서, 차량이 기 설정한 속도인 시속 30㎞ 이상으로 주행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비활성화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비활성화상태가 되면, 메인화면에 흐릿한 이미지 효과가 더해져 출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vehicle travels at a speed of 30 km or more, which is a predetermined speed, the display unit 110 can be switched to the inactive stat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10 is in the inactive state, blurred image effects can be added to the main screen and output.

또한,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여 화면(110)이 비활성화상태임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날짜나 시간 등의 기본정보와 함께, 시속 30㎞ 이상으로 주행하여 화면(110) 비활성화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300)가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creen 110 is in the inactive state may be output by running at a speed higher than a preset speed. Specifically, a message 300 indicating that the screen 110 has been switched to the inactive state may be output along with basic information such as date and time, traveling at 30 km / h or more.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 중 메시지나 부재중 전화가 수신된 경우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이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에 출력될 수도 있다. 이때, 이러한 알림 아이콘에 발생한 이벤트의 개수를 나타내주는 표시가 더해져 출력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an event such as a message in running or a missed call is received at a speed higher than a preset speed, a notification icon indicating that an event has occurred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10 in a disabled state have. At this time, a display indicating the number of events generated in the notification icon may be added and output.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음성 메시지가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a voice message indicating that an event has occurred may be output together.

도 3a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에 복수의 지점을 터치하는 멀티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c) of FIG. 3, a multi-touch input may be performed by a user to touch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screen 110 in a disabled state.

실시 예로서, 사용자는 세 손가락으로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을 동시에 또는 짧은 시간 간격으로 롱 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입력이 가해진 터치 지점 각각에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제3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310), 제2 아이콘(320) 및 제3 아이콘(330)이 출력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user can touch the screen 110 which is in a deactivated state with three fingers at the same time or at a short time interval. Accordingly, the first icon 310, the second icon 320, and the third icon 3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the second application, and the third application, respectively, may be output to the touch points to which the touch input is applied have.

이를 위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세 개의 터치 지점이 감지되면,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제3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310), 제2 아이콘(320) 및 제3 아이콘(330)이 출력되도록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To this end, when three touch points are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110 that is in the inactive state, the first icon 310, the second icon 320, and the third icon 3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the second application, 3 icon 330 may be output.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네 손가락으로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을 동시에 또는 짧은 시간 간격으로 탭하는 터치입력을 가하면, 터치입력이 가해진 터치 지점 각각에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제3 애플리케이션 및 제4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 제2 아이콘, 제3 아이콘 및 제4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when a user applies a touch input that simultaneously taps the screen 110 in a deactivated state with four fingers at a short time interval, the first application, the second application, the third application A first icon, a second icon, a third icon and a fourth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and the fourth application, respectively, may be output.

이를 위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네 개의 터치 지점이 감지되면,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제3 애플리케이션 및 제4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 제2 아이콘, 제3 아이콘 및 제4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To this end, when four touch points are detected in the inactive display unit 110, a first ic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pplication, a second application, a third application and a fourth application, a second icon, And the fourth icon may be output.

즉, 멀티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와 개수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두 지점이 터치 되면,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인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That is, depending on the number of touch points at which multi-touch input is sensed, the type and number of applications to be output may be set. As a specific example, when two points are touched, the first and second ic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pplications, which are two applications, may be set to be output.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터치 지점 이외의 임의의 영역에 아이콘들이 출력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세 개의 터치 지점이 감지되면, 제1 애플리케이션, 제2 애플리케이션 및 제3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310), 제2 아이콘(320) 및 제3 아이콘(330)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임의의 영역에서 출력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icons may be output in any area other than the touch point. Specifically, when three touch points are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an inactive state, the first icon 310, the second icon 320, and the third icon 3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the second application, 3 icon 330 may be output from any area of the display unit 110 that is in an inactive state.

도 3a의 (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3a의 (b)에서 터치한 세 손가락을 화면(110)에서 떼는 경우에도, 세 개의 터치 지점에 제1 아이콘(310), 제2 아이콘(320) 및 제3 아이콘(330)이 출력되어 있을 수 있다. 3A, when the user removes the three fingers touched in FIG. 3A (b) from the screen 110, the first icon 310 and the second icon 320 are displayed at three touch points, And a third icon 330 may be output.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도 3a의 (b)에서 터치한 세 손가락을 화면(110)에서 떼는 경우, 제1 아이콘(310), 제2 아이콘(320) 및 제3 아이콘(330)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의 임의의 영역에 재배치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 releases the three fingers touched in (b) of FIG. 3A from the screen 110, the first icon 310, the second icon 320 and the third icon 330 are deactivated And may be relocated to an arbitrary area of the display unit 110 that is in a state of being in a state of being in a state of being displayed.

이어서, 사용자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어 있는 제1 아이콘(310), 제2 아이콘(320) 및 제3 아이콘(330) 중 제1 아이콘(310)에 터치입력을 가해 선택할 수 있다. Then, the user can touch the first icon 310 of the first icon 310, the second icon 320, and the third icon 330, which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have.

이에 따라, 터치입력을 받은 제1 아이콘(310)에 대응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con 310 receiving the touch input can be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the inactive state.

한편, 제어부(14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가해지는 연속적인 플리킹 입력에 응답하여,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실행화면을 기 설정한 순서에 따라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flicking input applied to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the control unit 140 displays the execution scree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110).

도 3b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과 관련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3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related to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the display unit 110 in a deactivated state.

도 3b의 (a)를 참조하면, 도 3a의 (d)에서 제1 아이콘(310)에 터치입력이 가해짐에 따라, 제1 아이콘(310)에 대응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12)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b), as the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first icon 310 in (d) of FIG. 3a, the execution screen 312 of the first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con 310,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in a disabled state.

이어서, 사용자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12)에 좌측으로의 플리킹 입력(314)을 가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user may apply a flicking input 314 to the left side of the execution screen 312 of the first application.

도 3b의 (b)를 참조하면,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12)에 가해진 좌측으로의 플리킹 입력(314)에 의해,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22)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될 수 있다. 3B, when the execution screen 322 of the second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inactive state on the display unit 110 (FIG. 3B) by the flicking input 314 to the left applied to the execution screen 312 of the first application, .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22)에 좌측으로의 플리킹 입력(324)을 가할 수 있다. Similarly, the user may apply a flicking input 324 to the left side of the execution screen 322 of the second application.

도 3b의 (c)를 참조하면,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22)에 가해진 좌측으로의 플리킹 입력(324)에 의해,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32)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될 수 있다. 3B, the execution screen 332 of the third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inactive state on the display unit 110 (FIG. 3B) by the flicking input 324 to the left applied to the execution screen 322 of the second application, .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12)에 우측으로의 플리킹 입력을 가하는 경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22)이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22)에 우측으로의 플리킹 입력을 가하는 경우,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32)이 출력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 applies a flicking input to the right of the execution screen 312 of the first application, the execution screen 322 of the second application may be output. Then, when the user applies the flicking input to the right side of the execution screen 322 of the second application, the execution screen 332 of the third application can be outputted.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12)에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의 플리킹 입력을 가하는 경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22)이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22)에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의 플리킹 입력을 가하는 경우,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332)이 출력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 applies flicking input to the execution screen 312 of the first application up or down, the execution screen 322 of the second application may be output. Then, when the user applies the flicking input to the execution screen 322 of the second application up or down, the execution screen 332 of the third application can be output.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행 중 주행규제에 제한받지 않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can quickly execute applications that are not restricted by driving regulations during driving.

한편, 사용자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preset an application that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 disabled state.

실시 예로서, 사용자는 멀티 터치입력이 가해진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우선순위를 설정해놓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A 애플리케이션, B 애플리케이션, C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력 가능한 순서를 설정해놓을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user may set the priority of the application icons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 which the multi-touch input is applied. Concretely, a sequence that can be output to the A application, the B application, and the C application can be set.

이에 따라, 두 지점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A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B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wo points, an icon of the application A and an icon of the application B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만약, 세 지점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A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B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C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If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ree points, an icon of the A application, an icon of the B application, and an icon of the C applic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that is in the inactive state.

도 3c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3C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n applic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10 in an inactive state.

도 3c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인화면에 출력되어 있는 설정아이콘(340)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3 (c), the user can touch the setting icon 340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to select the setting icon 340.

도 3c의 (b)를 참조하면, 설정아이콘(340)이 터치 됨에 따라,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b), the setting icon 340 is touched, and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 application that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may be output.

구체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이 출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크롤 바를 이동시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검색할 수 있다. Specifically,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at can be selected may be output. In addition, the user can scroll the scroll bar and search for an icon of the desired application.

실시 예로서, 사용자는 우선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아이콘(350)에 롱 터치입력을 가해, 제1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As an example, a user may first select a first application by applying a long touch input to a first icon 35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pplication.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차량규제 등에 의해 주행 중 실행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370, 372)은 선택받을 수 없도록 비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cons 370 and 372 of applications that are not executable during running due to vehicle regulations or the like may be disabled so that they can not be selected.

도 3c의 (c)를 참조하면, 제1 아이콘(350)에 가해진 터치입력에 따라, 첫 번째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제1 표시(352)가 제1 아이콘(350)에 출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c) of FIG. 3 (c),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applied to the first icon 350, a first indication 352 indicating that the first application is first selected is output to the first icon 350 .

이어서, 사용자는 제5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5 아이콘(360)에 롱 터치입력을 가해, 제5 애플리케이션을 두 번째로 선택할 수 있다. Then, the user can apply a long touch input to the fifth icon 360 corresponding to the fifth application, and select the fifth application a second time.

도 3c의 (d)를 참조하면, 제5 아이콘(360)에 가해진 터치입력에 따라, 두 번째로 제5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제2 표시(362)가 제5 아이콘(360)에 출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d) of FIG. 3 (c),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to the fifth icon 360, a second indication 362 indicating that the fifth application is selected is output to the fifth icon 360 .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380)에 롱 터치입력을 가해 제2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세 번째로 제2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제3 표시(382)가 제2 아이콘(380)에 출력될 수 있다. Likewise, if the user applies a long touch input to the second icon 38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pplication and selects the second application, a third indication 382 indicating that the second application has been selected third, (380).

이후, 사용자는 완료 아이콘(390)을 터치하여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에서 출력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을 완료할 수 있다. Then, the user can touch the completion icon 390 to complete the selection of the application that can be output on the screen 110 in the inactive stat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c에서의 실시 예에 의해, 멀티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될 수 있는 아이콘의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3c에서의 실시 예에 의해, 제1 아이콘(350), 제5 아이콘(360), 제2 아이콘(380)으로 출력 가능한 순서가 설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C, the priority of the icons that can be out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 which the multi-touch input is applied can be set. That 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rder of outputting to the first icon 350, the fifth icon 360, and the second icon 380 is set by the embodiment in FIG. 3C.

구체적으로, 두 지점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제1 아이콘(350)과 제5 아이콘(360)이 출력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ouch input is applied to two points, the first icon 350 and the fifth icon 360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만약, 세 지점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제1 아이콘(350), 제5 아이콘(360) 및 제2 아이콘(380)이 출력될 수 있다. If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ree points, the first icon 350, the fifth icon 360, and the second icon 380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는 설정되어 있는 출력 가능한 아이콘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3c에서와 마찬가지로 설정아이콘(340)을 터치하여 선택한 후, 아이콘이 출력되는 순서를 변경시킬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may change the priority of the settable outputable icon. To do so, the user can change the order in which icons are output by selecting and touching the setting icon 340 as in FIG. 3C.

한편, 제어부(140)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기 설정한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실행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the control unit 140 can execute the previously set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즉,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달리, 곧바로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설정한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pplication set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can be executed in the display unit 110 in the inactive state.

도 4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도 4의 (a)를 참조하면, 차량이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 중이면, 화면(110)은 흐릿한 이미지효과가 더해져 일부 터치입력만을 인식할 수 있는 비활성화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if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speed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the screen 110 may be changed to a deactivated state in which blurred image effects are added to recognize only some touch inputs.

실시 예로서, 날짜나 날씨 등의 기본정보와 함께,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여 화면(110)이 비활성화상태임을 알려주는 메시지(410)가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 수신이나 부재중 전화 수신 등의 이벤트 발생을 알려주는 메시지(412)가 출력될 수도 있다. As an embodiment, a message 410 indicating that the screen 110 is in a deactivated state may be output along with basic information such as a date and a weather, traveling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In addition, a message 412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such as message reception or missed call reception may be output.

실시 예로서, 이러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음성 메시지가 함께 출력될 수도 있고, 보다 안전한 운행을 위해 이벤트 발생을 알려주는 메시지(412)만이 출력될 수도 있다. As an embodiment, a voice message indicating that such an event has occurred may be output together, or only a message 412 indicating occurrence of an event may be output for safer operation.

도 4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 설정한 터치입력을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에 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b), the user can apply the preset touch input to the inactive screen 110.

실시 예로서, 사용자는 핀치인 입력(420)을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에 가할 수 있다. 이는 일 실시 예로서, 설정한 방식에 따라 롱 터치입력, 더블 탭 입력, 숏 터치입력 등이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에 가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user may apply the pinch-in input 420 to the inactive screen 110. In one embodiment, a long touch input, a double tap input, a short touch input, or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inactive screen 110 according to the set method.

도 4의 (c)를 참조하면, 핀치인 입력(420)에 의해 실행되도록 설정한 제1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430)이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에 출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C, a first application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the pinch-in input 420 may be executed on the screen 110 in a deactivated state. Accordingly, the execution screen 430 of the first application can be output to the screen 110 in the inactive state.

마찬가지로, 각각의 입력방식에 의해 실행되도록 설정한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에 롱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롱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실행되도록 설정한 제2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상태인 화면(1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Similarly, an application set to be executed by each input method can be executed on the screen 110 in a disabled state. As an embodiment, when a long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screen 110 that is in an inactive state, a second application set to be executed when a long touch input is applied can be executed on the screen 110 in a disabled state.

한편, 제어부(140)는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차량의 속도 및 기어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displays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at are preset to be outpu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speed and a gear state of the vehicle when the touch input set in the display unit 110 that is in an inactive state is detected,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as shown in FIG.

도 5는 차량의 상태를 고려하여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한 아이콘이 출력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redetermined icon is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in a deactivated state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the vehicle.

도 5의 (a)를 참조하면, 주차 중인 경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주차중임을 알려주는 메시지(510)가 출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when the vehicle is parked, a message 510 indicating that parking is being performed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이어서, 사용자가 두 손가락으로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면,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아이콘(520, 530)이 출력될 수 있다. Then, when the user touches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activated with two fingers, the first and second icons 520 and 5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pplications can be output.

도 5의 (b)를 참조하면, 주행 중인 경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주행중임을 알려주는 메시지(540)가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a message 540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running may be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an inactive stat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이어서, 사용자가 두 손가락으로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면,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제3 및 제4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3 및 제4 아이콘(550, 560)이 출력될 수 있다. Then, when the user touches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active with two fingers, third and fourth icons 550 and 560 corresponding to the third and fourth applications,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applications, Can be output.

실시 예로서, 주차 중 출력되는 제1 및 제2 아이콘(520, 530)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은, 차량의 주차를 가이드 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현재 위치의 날씨를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 등 차량의 주차 중에 필요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applica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icons 520 and 530, which are outputted during parking, may be stored in the parking lot of the vehicle such as an application for guiding parking of the vehicle, An application that can perform the required function during the current time, or an application that show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location.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주행 중 출력되는 제3 및 제4 아이콘(550, 560)에 대응하는 제3 및 제4 애플리케이션은,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등 주행 중에 필요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third and fourth applications corresponding to the third and fourth icons 550 and 560, which are outputted during traveling, are applications that can perform necessary functions during driving, such as a navigation application, Can be set.

또한, 주행규제와 관련하여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주행규제에 따라 주행 중 실행할 수 없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주행 중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될 수 없다. In addition, icons corresponding to different applications may be output in association with the driving regulation. That is,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that can not be executed while driving in accordance with the running regulation can not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which is in the inactive state during running.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일부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applications can be executed quickly and easily in the inactiv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속도나 기어변속 등 차량의 상태와 차량규제를 고려한 일부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실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some applications considering the state of the vehicle and vehicle regulations such as speed and gear change can be executed quickly and easily in the inactive display portion.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사용자 입력부
130 - 센싱부
140 - 제어부
110 -
120 - User input
130 - sensing unit
140 -

Claims (14)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기 설정한 터치입력만을 받을 수 있는 비활성화상태가 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며,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A speed sensing part for sen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 display unit which is inactivated to receive only a predetermined touch input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detected to be higher than a preset speed; And
When the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outputs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s to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And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execute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o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터치 지점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icons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that have been set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detected when a plurality of touch points are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 각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d displays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at are preset to be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ouch points detect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touch points det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가해지는 연속적인 플리킹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실행화면을 기 설정한 순서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response to a continuous flicking input applied to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the execution screen of each of the predetermined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in a predetermined order In-vehicle image display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의 속도 및 기어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And outputs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are preset to be output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of a speed and a gear state of the vehicle, to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속도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ed-
And receives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an external device that senses the speed of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기 설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when the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inactive display unit.
(a)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한 속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기 설정한 터치입력만을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c)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a) sensing a speed of the vehicle;
(b) deactivating the display unit to receive only a predetermined touch input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detected to be higher than a preset speed;
(c) outputting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are set in the deactivated state, to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when the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And
(d) execut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in the inactiv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Control metho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터치 지점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c)
Outputting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at are preset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 points detected when the plurality of touch points are detected in the inactive state of the display unit to the display unit in the inactive state;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의 개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감지되는 복수의 터치 지점 각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c)
And outputting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at are preset to be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ouch points det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ouch points to be sensed Wa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가해지는 연속적인 플리킹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실행화면을 기 설정한 순서에 따라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response to a continuous flicking input to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outputting the execution screen of each of the predetermined plurality of applications to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in a predetermined ord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in-vehicle video display devi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의 속도 및 기어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출력되도록 기 설정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c)
When the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And outputting ico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hich are preset to be output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of a speed and a gear state of the vehicle, to the display unit in the inactive state.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속도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a)
And receiving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an external device that senses the speed of the vehicl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기 설정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기 설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비활성화상태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영상표시장치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c)
And perform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when the predetermined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deactivated state.
KR1020140115470A 2014-09-01 2014-09-01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264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470A KR20160026479A (en) 2014-09-01 2014-09-01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470A KR20160026479A (en) 2014-09-01 2014-09-01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79A true KR20160026479A (en) 2016-03-09

Family

ID=55536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470A KR20160026479A (en) 2014-09-01 2014-09-01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647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8768A (en) * 2019-04-03 2019-07-26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Display methods, display system and the vehicle of the display terminal of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8768A (en) * 2019-04-03 2019-07-26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Display methods, display system and the vehicle of the display terminal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1278B2 (en) Touch panel input device and process execution method
EP2829440B1 (en) On-board apparatus
US8830274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EP2980744A1 (en) Mirroring deeplinks
JP607349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20130067110A (en) Menu operation device and method in vehicles
JP2013518768A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display and vehicle display system
KR102216299B1 (en) Methods and assemblies for interaction with proposed systems with automated manipulation actions
WO2016084360A1 (en) Display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2018085072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101602262B1 (en)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37376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assisting a user in the operation of an operator control unit
JP2012083831A (en) Touch panel device, display method for touch panel, display processing program for touch panel and recording medium
JP2019138669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60026479A (en) Vehicl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100148A (en) Contents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touch,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having it
TW202022570A (en) User interface integration method and vehicle-mounted device
JP5725504B2 (en) In-vehicle device
JP2017027422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processing method
GB2502595A (en) Touch sensitive input device compatibility notification when a mobile device is connected to an In-Vehicle device
WO2019215845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5187381B2 (en) Opera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KR20120065675A (en) Apparatus for vehicle user interface
KR101230210B1 (en) Method, device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JP2016099178A (en) Navig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