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426A -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426A
KR20160026426A KR1020140115305A KR20140115305A KR20160026426A KR 20160026426 A KR20160026426 A KR 20160026426A KR 1020140115305 A KR1020140115305 A KR 1020140115305A KR 20140115305 A KR20140115305 A KR 20140115305A KR 20160026426 A KR20160026426 A KR 20160026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rubber composition
rubber layer
grains
base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2199B1 (en
Inventor
박우철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199B1/en
Publication of KR2016002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4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1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16Compositions of the tr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tire comprises a tread part, wherein the tread part includes: a base rubber layer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a first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relatively small rolling resistance and a second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relatively excellent braking force; and a plurality of granules made of the other selected from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and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and inserted into the base rubber lay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tire having a cap tread capable of securing excellent driving efficiency and excellent braking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without causing a phenomenon that a vehicle tilts to one side.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neumatic tires.

일반적으로 공기입 타이어는 노면에 직접 접촉되는 트레드부(Tread)와, 트레드부 내측에서 다른 구성요소의 보호층 역할을 하는 캡 플라이와, 타이어의 골격을 이루는 카카스와, 림에 결합되는 비드와, 상기 비드를 감싸 비드가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에이펙스(Apex)와, 상기 카카스의 안쪽에 위치되며 내부의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는 인너라이너(Innner Liner)와, 상기 트레드부와 비드를 연결하며 타이어가 굴신 운동을 하도록 하는 사이드 월(Side wall) 및 상기 트레드부와 카카스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벨트(Belt)를 포함할 수 있다. Generally, pneumatic tires have a tread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 cap ply which serves as a protective layer for other components inside the tread, a kash that forms the skeleton of the tire, An inner liner disposed inside the carcass to prevent air from leaking from the carcass; and an inner liner connecting the tread and the bead, A side wall for performing a bending motion, and at least one belt installed between the tread portion and the carcass.

여기서, 트레드부는 캡트레드(Captread)와 언더트레드(Undertread)를 포함할 수 있다. 캡트레드는 타이어의 최외측에 위치하여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외부 충격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벨트 및 카카스를 보호하고 제동력, 구동력, 견인력을 노면에 전달한다. 언더트레드는 캡트레드와 벨트 사이에 위치하는 고무층으로서, 캡트레드와 벨트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 응력을 완화시켜 트레드부의 발열을 억제하고 절단 및 갈라짐을 방지한다. Here, the tread portion may include a cap tread and an undertread. The cap tread i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tire and is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The cap tread protects the belt and carcass from the external impac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ransmits the braking force, driving force, and traction force to the road surface. The under-tread is a rubber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cap tread and the belt. The under-tread relaxes the shear stress generated between the cap tread and the belt to suppress heat generation of the tread portion and prevent cutting and cracking.

한편, 종래의 타이어에서, 캡트레드를 구성하는 고무조성물에서 그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주파수 응답에 따른 히스테리시스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캡트레드의 구름저항(RR, Rolling Resistance)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제동력의 크기는 작아진다. 즉, 트레드부에서 구름저항이 작아져 주행의 효율이 향상될수록, 제동성능은 저하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tire, hysteresis loss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rubber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cap tread. Therefore, as the size of the rolling resistance (RR) of the cap tread becomes smaller, . That is, as the rolling resistance is reduced in the tread portion and the running efficiency is improved, the braking performance is lowered.

캡트레드에서 주행효율과 제동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종류의 고무를 상하로 적층하거나 좌우로 이어 붙여 캡트레드를 구성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서로 다른 종류의 고무는 서로간에 마찰계수와 마모되는 정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차량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order to simultaneously improve the running efficiency and the braking performance in the cap tread,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in which different types of rubber are vertically stacked or joined together to form a cap tread. However, since different kinds of rubbers have different friction coefficients and degree of wear between th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is tilted to one sid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02274호 (2006년01월09일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002274 (published on Jan. 09, 200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주행효율과 우수한 제동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캡트레드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pneumatic tire having a cap tread capable of simultaneously securing excellent driving efficiency and excellent braking performance without causing a phenomenon that a vehicle is tilted to one si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트레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구름저항을 보이는 제1 고무조성물 및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동력을 보이는 제2 고무조성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베이스 고무층; 및 상기 제1 고무조성물 및 상기 제2 고무조성물 중 다른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고무층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알갱이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neumatic tire comprising a tread portion, wherein the tread portion comprises a base rubber layer made of any one of a first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a relatively low rolling resistance and a second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a relatively high braking force, ; And a pneumatic tire comprising another one of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and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grains to be inserted into the base rubber layer.

본 측면에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베이스 고무층 및 상기 복수의 알갱이로 이루어진 캡트레드와, 상기 캡트레드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캡트레드와 적층되는 언더트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tread portion may include a cap tread made up of the base rubber layer and the plurality of grains, and an under tread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cap tread and stacked with the cap tread.

본 측면에서, 상기 복수의 알갱이는 상기 베이스 고무층 내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plurality of grains can be dispersed substantially evenly in the base rubber layer.

본 측면에서, 상기 알갱이는 0.1mm 이상 5mm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granules may have a diameter of 0.1 mm or more and 5 mm or less.

본 측면에서, 상기 알갱이는 상기 베이스 고무층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트레드 패턴의 피치의 크기의 0.001% 이상 0.5%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grain may have a diameter of 0.001% or more and 0.5% or less of the size of the pitch of the tread patter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rubber layer.

본 측면에서, 상기 복수의 알갱이의 부피 합은, 상기 베이스 고무층과 상기 복수의 알갱이의 부피 합의 0.001% 이상 0.5% 이하일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volume sum of the plurality of grains may be 0.001% or more and 0.5% or less of the sum of the volume of the base rubber layer and the plurality of grains.

본 측면에서, 상기 캡트레드와 지면의 접촉면 중에서 상기 복수의 알갱이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캡트레드와 지면간 접촉면의 0.001% 이상 0.5% 이하일 수 있다.In this aspect, an area occupied by the plurality of grains among the contact surfaces of the cap tread and the ground may be 0.001% or more and 0.5% or less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ap tread and the ground.

본 측면에서, 상기 제1 고무조성물 밀 상기 제2 고무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반가류 상태의 상기 제1 고무조성물 및 상기 제2 고무조성물 중 다른 하나로 이루어진 알갱이들을 넣어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고무조성물을 캡트레드 형상으로 사출하는 것을 통해 상기 베이스 고무층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composition is prepared by mixing and mixing granules composed of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and the other one of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in a semi-flowing state in any one of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base rubber layer through injection molding in a cap tread shape.

본 측며에서, 상기 알갱이는 소정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grain may have a column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본 측면에서, 상기 기둥 형상의 알갱이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 고무층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length of the columnar grains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base rubber layer.

본 측면에서, 상기 기둥 형상의 알갱이는, 캡트레드 형상으로 사출된 베이스 고무층에 상기 제1 고무조성물 및 상기 제2 고무조성물 중 다른 하나를 기둥 형상으로 주입하는 것을 통해 상기 베이스 고무층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In this aspect, the columnar grains may be inserted into the base rubber layer through injection of the other of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and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into a columnar base rubber layer injected in a cap-tread shape hav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캡트레드가 우수한 주행 효율과 우수한 제동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cab tread ensure both excellent driving efficiency and excellent braking performance, but also prevents a phenomenon in which the vehicle tilts to one side, thereby enabling stable runn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드부의 단면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ectional view of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tread portion of Fig.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타이어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트레드부의 단면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ire sectional structure of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sectional structure of the tread portion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는 트레드부(10), 캡플라이(20), 카카스(30), 에이펙스(50), 비드(40), 사이드월(60) 및 벨트(7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 pneumatic ti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portion 10, a cap ply 20, a carcass 30, an apte 50, a bead 40, A sidewall 60, and a belt 70.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 캡트레부(10)는 베이스 고무층(100)과, 상기 베이스 고무층(100)과 상이한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고무층(100) 내에 불규칙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알갱이(2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p tray 10 includes a base rubber layer 100 and a plurality of pellets 200 made of a rubber composition different from the base rubber layer 100 and inserted irregularly in the base rubber layer 100, . ≪ / RTI >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드부(10)는 캡트레드(11) 및 상기 캡트레드(11)와 적층되는 언더트레드(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 고무층(100)과 이에 삽입 설치된 복수의 알갱이(200)는 캡트레드(11)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언더트레드(12)는 캡트레드(11)의 베이스 고무층(100)과 적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ead portion 10 may include a cap tread 11 and an under tread 12 stacked with the cap tread 11. The base rubber layer 100 and a plurality The kernels 200 may form the cap tread 11. Then, the under-tread 12 may be laminated with the base rubber layer 100 of the cap tread 11. [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드부(10)는 별도의 언더트레드를 포함하지 않고, 베이스층(100)과 이에 삽입 설치된 복수의 알갱이(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층(100)에 별도로 적층된 트레드 고무층이 없을 수 있으며, 베이스층(100) 및 복수의 알갱이(200) 중 적어도 하나가 언더트레드를 대신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read portion 10 may include a base layer 100 and a plurality of pellets 200 inserted therein without including a separate under-tread. In this case, there may be no tread rubber layer laminated separately in the base layer 100, and at least one of the base layer 100 and the plurality of pellets 200 may replace the under tread.

본 도면에서는, 전자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고무층(100)에 별도의 언더트레드(12)가 더 적층된 예가 도시되었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별도의 언더트레드(12)가 더 적층된 구조를 기초로 설명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언더트레드(12)가 필수로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In this figure,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another under tread 12 is further laminated on the base rubber layer 100 according to the former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other under-tread 12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a structure in which a further under-tread 12 is laminat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under-tread 12 is not necessarily provided.

베이스 고무층(100)은 언더트레드(12)와 적층되는 캡트레드(11) 층을 구성할 수 있으며, 언더트레드(12) 및 복수의 알갱이(200)와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ase rubber layer 100 may constitute a layer of the cap tread 11 which is laminated with the under tread 12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under tread 12 and the plurality of the grains 200. [

복수의 알갱이(200)는 언더트레드(12)와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형, 삼각형이나 사각형, 또는 기타 다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알갱이(200)의 단면은 불규칙한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알갱이(200)는 서로 다른 모양의 단면을 갖는 알갱이들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particles 200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under-tread 12 and may have a circular, triangular, square, or other polygonal cross-section. Alternatively, the cross section of the plurality of grains 200 may have an irregular shape. The plurality of grains 200 may be made of granule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알갱이(200)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알갱이(200)는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kernels 200 may have a columnar shape. For example, one grain 200 may have the shape of a cylinder, a triangular column, a square column, or the like.

각 알갱이(200)가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 알갱이(200)의 높이(기둥의 길이)는 베이스 고무층(10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알갱이(200)는 베이스 고무층(100)의 폭방향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각 알갱이(200)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베이스 고무층(100)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노출될 수 있다.When each of the particles 200 has a columnar shape, the height of each of the particles 200 (the length of the colum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base rubber layer 100. In this case, each of the grains 200 can extend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rubber layer 100 to the other side. Both longitudinal ends of each of the granules (200) can be expos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rubber layer (100).

복수의 알갱이(200)는 각각 0.1mm 이상 5mm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알갱이(200)는 각각 베이스 고무층(100)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트레드 패턴의 피치의 크기의 0.001% 이상 0.5%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알갱이(200)는 상기 범위 내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알갱이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범위 내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알갱이들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ains 200 may each have a diameter of 0.1 mm or more and 5 mm or less.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grains 200 may each have a diameter of 0.001% or more and 0.5% or less of the pitch of the tread patter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rubber layer 100, respectively. Here, the plurality of grains 200 may be composed of grain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diameter in the above range, or grains having different diameters within the above range.

각 알갱이(200)의 크기가 상술된 범위보다 작으면, 복수의 알갱이(200)를 이루는 재료의 물리적 특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한편, 각 알갱이(200)의 크기가 상술된 범위보다 크면, 이종재료로 형성된 각 알갱이(200)와 베이스 고무층(100)이 분리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If the size of each of the grains 200 is smaller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grains 200 are not sufficiently exhibited. On the other hand, if the size of each of the grains 200 is larger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each of the grains 200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may be separated from the base rubber layer 100.

또한, 캡트레드(11)에 포함되는 복수의 알갱이(200)의 전체 부피 합은 베이스 고무층(100)과 복수의 알갱이(200)의 부피 합의 0.001% 이상 0.5% 이하일 수 있다. The total volume of the plurality of particles 200 included in the cap tread 11 may be 0.001% or more and 0.5% or less of the sum of the volumes of the base rubber layer 100 and the plurality of pellets 200.

또한, 캡트레드(11)의 외표면이 지면에 접촉할 때, 캡트레드(11)와 지면의 접촉면 중에서 복수의 알갱이(200)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접촉면의 0.001% 이상 0.5%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캡트레드(11)가 마모되더라도, 캡트레드(11)와 지면의 접촉면 내의 복수의 알갱이(200)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유지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tread 11 contacts the ground, the area occupied by the plurality of grains 200 among the contact surfaces of the cap tread 11 and the ground may be 0.001% or more and 0.5% or less of the contact surface. Here, even if the cap tread 11 is worn, the ratio occupied by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kernels 200 i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ap tread 11 and the ground can be maintained.

복수의 알갱이(200)의 전체 부피 합이나 지면과의 접촉면 내의 면적 비율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복수의 알갱이(200)를 이루는 재료의 물리적 특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한편, 복수의 알갱이(200)의 전체 부피 합이나 지면과의 접촉면 내의 면적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베이스 고무층(100)을 이루는 재료의 물리적 특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total volume of the plurality of particles 200 or the ratio of the area i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ground is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particles 200 are not sufficiently exhibited. On the other hand, if the total volume of the plurality of particles 200 or the ratio of the area i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ground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ase rubber layer 100 may 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알갱이(200)를 이루는 고무조성물은 베이스 고무층(100)을 이루는 고무조성물과 상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언더트레드(12)를 이루는 고무조성물과도 상이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rubber composition of each of the granules (200) may be different from the rubber composition of the base rubber layer (100). In addition,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rubber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under-tread 12.

복수의 알갱이(200)는 베이스 고무층(1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알갱이(200)는 베이스 고무층(100) 내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ains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base rubber layer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lurality of grains 200 may be substantially evenly distributed in the base rubber layer 100.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고무층(100)은 상대적으로 작은 구름저항(RR, Rolling Resistance)을 보이는 제1 고무조성물 및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동력(wet traction)을 보이는 제2 고무조성물 중 하나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알갱이(200)는 다른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 고무층(100)이 작은 구름저항을 보이는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알갱이(200)는 우수한 제동력을 보이는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베이스 고무층(100)이 우수한 제동력을 보이는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알갱이(200)는 작은 구름저항을 보이는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rubber layer 100 consists of a first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a relatively low rolling resistance (RR) and a second rubber composition having a relatively good braking force (wet traction) The kernel 200 may be made of another one. For example, the base rubber layer 100 may be formed of a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a small rolling resistance, and the plurality of grains 200 may be formed of a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excellent braking force. Alternatively, the base rubber layer 100 may be composed of a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excellent braking force, and the plurality of particles 200 may be composed of a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a small rolling resistance.

한편, 제1 고무조성물과 제2 고무조성물은 서로 상이한 구름저항과 제동력을 보이는 물질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무조성물은 제2 고무조성물보다 작은 구름저항과 제동력을 보이는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제2 고무조성물은 제1 고무조성물보다 큰 구름저항을 보이고, 우수한 제동력을 보이는 물질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and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may be substances showing different rolling resistance and braking force. Here,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may be a material exhibiting a smaller rolling resistance and braking force than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In addition,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may exhibit a greater rolling resistance than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and exhibit a superior braking force.

작은 구름저항을 보이는 제1 고무조성물은, 예를 들어, 실리카를 포함한 비닐 부타디엔(high vinyl butadiene)을 포함한 고무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무조성물은, 제1 값보다 작은 크기의 0℃ 손실정접 값(0℃ Tanδ)을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값은 기 설정된 값일 수 있다.The first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small rolling resistance may be a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for example, high vinyl butadiene, including silica. Specifically,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may be a material having a 0 DEG C loss tangent value (0 DEG C Tan?) Of a size smaller than the first value. Here, the first value may be a predetermined value.

우수한 제동력을 보이는 제2 고무조성물은, 예를 들어, 비닐 스티렌 부타디엔(high vinyl styrene butadiene)을 포함한 고무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무조성물은, 제2 값보다 큰 크기의 60℃ 손실정접 값(60℃ Tanδ)을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값은 기 설정된 값이고, 상기 제1 값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excellent braking force may be, for example, a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vinyl styrene butadiene. Specifically,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may be a material having a 60 DEG C loss tangent value (60 DEG C tan?) Of a size larger than the second value. Here, the second value may be a predetermined value, and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언더트레드(12)는 베이스 고무층(100)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베이스 고무층(100)과 적층될 수 있다. 언더트레드(12)의 외측면과 베이스 고무층(100)의 내측면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언더트레드(12)는 제1 고무조성물 및 제2 고무조성물과 상이한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nder tread 1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se rubber layer 100 and can be laminated with the base rubber layer 100. [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 tread 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rubber layer 100 can be adhered to each other. The under-tread 12 may also be comprised of a different rubber composition than the first and second rubber compositions.

한편, 복수의 알갱이(200)는 이를 이루는 고무조성물을 알갱이로 만드는 단계, 상기 알갱이가 반가류 상태가 되도록 하는 반가류 단계, 및 상기 반가류된 알갱이를 베이스 고무층(100)을 이루는 고무조성물과 혼합하는 믹싱 단계를 거쳐 베이스 고무층(10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반가류된 알갱이를 베이스 고무층(100)을 이루는 고무조성물과 홉합한 후 캡트레드(11) 형상으로 사출하면, 이종 재료의 복수의 알갱이(200)가 삽입 설치된 캡트레드(11)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granules (200) may be prepared by granulating the rubber composition into a granule, a semi-granulation step of bringing the granules into a semi-granular flow state, and mixing the semi-granulated granules with a rubber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base rubber layer And then inserted into the base rubber layer 100 through a mixing step. When semi-flowing particles are injected into the rubber composition of the base rubber layer 100 and then injected into the shape of a cap tread 11, a cap tread 11 having a plurality of particles 200 of different materials inserted therein can be formed .

다른 예로, 베이스 고무층(100)을 이루는 고무조성물을 캡트레드(11) 형상으로 사출한 뒤 다른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작은 알갱이를 뿌리는 방법을 통해 상술된 캡트레드(11)가 형성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above-described cap tread 11 may be formed by injecting the rubber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base rubber layer 100 in the shape of a cap tread 11 and then spraying small grains made of another rubber composition.

또는, 캡트레드(11) 형상으로 사출된 베이스 고무층(11)에 다른 고무조성물을 막대기 형상으로 주입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method of injecting another rubber composition into the base rubber layer 11 injected in the shape of the cap tread 11 in a stick shape may be us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가 우수한 구름저항과 우수한 제동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알갱이가 없는 단일의 고무조성물 층으로 구성한 캡트레드에 언더트레드를 적층하는 경우보다, 트레드부의 제동력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read portion of the pneumatic tire can have excellent rolling resistance and excellent braking force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the braking force of the tread portion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under tread is laminated on the cap tread composed of a single rubber composition layer without a plurality of grains.

아래 [표 1]은 종래의 타이어와 본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1)의 구름저항과 제동력을 비교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의 타이어의 트레드부(10)는 복수의 알갱이(200) 없이 단일의 고무조성물 층으로만 구성한 캡트레드(11)에 언더트레드(12)를 적층하여 형성된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experimental results comparing the rolling resistance and the braking force of the conventional tire and the pneumatic tir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 conventional tread portion 10 of a tire is formed by laminating an under tread 12 on a cap tread 11 composed of only a single rubber composition layer without a plurality of grains 200.

본 실험에서, 작은 구름저항을 보이는 제1 고무조성물로만 이루어진 캡트레드를 포함하는 종래의 타이어와, 제1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베이스 고무층에 우수한 제동력을 보이는 제2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복수의 알갱이가 제1 고무조성물과 제2 고무조성물의 합에 대해 체적비 약 5% 삽입 설치된 캡트레드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1)의 구름저항과 제동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구름저항으로서는, 공기압 210kpa, 하중 490kgf의 조건에서, SAE J2452/ISO 285580의 실험을 하여 타이어의 회전저항력을 측정하였다. 한편, 제동력으로서는, 100km/h의 회전 속도에서 타이어가 정지할 때 까지의 제동거리를 측정하였다. 아래 [표 1]에서, 구름저항과 제동력은 각각 종래의 타이어를 이용한 실험에서 측정된 회전저항력과 제동력을 100으로 보고, 본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1)를 이용한 실험에서 측정된 회전저항력과 제동력의 수치를 그에 대한 비율로서 나타낸 것이다.
In the present experiment, a conventional tire comprising a cap tread made up of a first rubber composition having a small rolling resistance and a plurality of grains made of a second rubber composition having a superior braking force in the base rubber layer made of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The rolling resistance and braking force of the pneumatic tire 1 including the cap tread inserted with a volume ratio of about 5% with respect to the sum of the rubber composition and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were respectively measured. The rolling resistance of the tire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air pressure of 210 kpa and load of 490 kgf under SAE J2452 / ISO 285580. On the other hand, as the braking force, The braking distance from the rotation speed of 100 km / h to the stop of the tire was measured. In Table 1 below, the rolling resistance and the braking force are 100, respectively, and the rotational resistance and the braking force measured in the experiment using the conventional tire are 100. In the experiment using the pneumatic tire 1 of this embodiment, As a ratio thereof.

종래의 타이어Conventional tire 공기입 타이어(1)Pneumatic tire (1) 구름저항Cloud resistance 100100 99.599.5 제동력Braking force 100100 105.1105.1

[표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에서와 같이 이종재료로 형성된 베이스 고무층과 복수의 알갱이를 포함하는 캡트레드를 이용하는 경우, 종래의 타이어에 비해 구름저항이 약 0.05% 감소하고, 동시에, 제동력은 약 5%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를 적용 시 우수한 주행 효율뿐만 아니라 우수한 주행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when using the base rubber layer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 cap tread including a plurality of grain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lling resistance is reduced by about 0.05%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ir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that it is improved about 5%. That is, when the pneumatic tire of this embodiment is applied, not only excellent driving efficiency but also excellent driving performance can be ensured at the same tim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s a specific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widest range according to the basic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do. Skilled artisans may implement a pattern of features that are not described in a combinatorial and / or permutational manner with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is not to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readily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공기입 타이어 10: 트레드부
11: 캡트레드 12: 언더트레드
100: 베이스 고무층 200: 알갱이
20: 캡플라이 30: 카카스
40: 비드 50: 에이펙스
60: 사이드월 70: 벨트
1: pneumatic tire 10: tread portion
11: cap tread 12: under tread
100: Base rubber layer 200: Grain
20: Cap fly 30: Carcass
40: Bead 50: Apex
60: side wall 70: belt

Claims (11)

트레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구름저항을 보이는 제1 고무조성물 및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동력을 보이는 제2 고무조성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베이스 고무층; 및
상기 제1 고무조성물 및 상기 제2 고무조성물 중 다른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고무층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알갱이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A pneumatic tire comprising a tread portion,
The tread portion
A base rubber layer composed of any one of a first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a relatively small rolling resistance and a second rubber composition exhibiting a relatively high braking force; And
Wherein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and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comprise a plurality of grains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inserted into the base rubber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베이스 고무층 및 상기 복수의 알갱이로 이루어진 캡트레드와,
상기 캡트레드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캡트레드와 적층되는 언더트레드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ead portion
A cap tread including the base rubber layer and the plurality of grains;
And an under tread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cap tread and laminated with the cap trea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알갱이는 상기 베이스 고무층 내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분산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urality of grains are distributed substantially evenly in the base rubber lay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갱이는 0.1mm 이상 5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공기입 타이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Said pellets having a diameter of 0.1 mm or more and 5 mm or les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갱이는 상기 베이스 고무층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트레드 패턴의 피치의 크기의 0.001% 이상 0.5% 이하의 직경을 갖는 공기입 타이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rain has a diameter of 0.001% to 0.5% of a size of a pitch of a tread patter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rubber lay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알갱이의 부피 합은, 상기 베이스 고무층과 상기 복수의 알갱이의 부피 합의 0.001% 이상 0.5% 이하인 공기입 타이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m of the volume of the plurality of grains is not less than 0.001% and not more than 0.5% of the sum of the volume of the base rubber layer and the plurality of grain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트레드와 지면의 접촉면 중에서 상기 복수의 알갱이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캡트레드와 지면간 접촉면의 0.001% 이상 0.5% 이하인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area occupied by the plurality of grains among the contact surfaces of the cap tread and the ground is not less than 0.001% and not more than 0.5% of a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ab tread and the groun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알갱이는,
상기 제1 고무조성물 밀 상기 제2 고무조성물 중 어느 하나에, 반가류 상태의 상기 제1 고무조성물 및 상기 제2 고무조성물 중 다른 하나로 이루어진 알갱이들을 넣어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고무조성물을 캡트레드 형상으로 사출하는 것을 통해 상기 베이스 고무층에 삽입 설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urality of grains comprise: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composition is prepared by mixing and mixing granules composed of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and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in a semi-flowing state in any one of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mil and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Wherein said base rubber layer is inserted into said base rubber layer through inj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갱이는 소정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을 갖는 공기입 타이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elle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형상의 알갱이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 고무층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기입 타이어.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length of the columnar grains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base rubber lay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형상의 알갱이는,
캡트레드 형상으로 사출된 베이스 고무층에 상기 제1 고무조성물 및 상기 제2 고무조성물 중 다른 하나를 기둥 형상으로 주입하는 것을 통해 상기 베이스 고무층에 삽입 설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illar-shaped grains may be,
And the other of the first rubber composition and the second rubber composition is inserted into a base rubber layer injected in a cap-tread shape into the base rubber layer.
KR1020140115305A 2014-09-01 2014-09-01 Pneumatic tire KR1016621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305A KR101662199B1 (en) 2014-09-01 2014-09-01 Pneumatic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305A KR101662199B1 (en) 2014-09-01 2014-09-01 Pneumatic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26A true KR20160026426A (en) 2016-03-09
KR101662199B1 KR101662199B1 (en) 2016-10-10

Family

ID=5553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305A KR101662199B1 (en) 2014-09-01 2014-09-01 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1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910A (en) * 2019-04-23 2020-11-02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neumatic tire applied multi-tread
CN112351895A (en) * 2018-06-15 2021-02-09 米其林企业总公司 Winter durable trea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221A (en) * 1997-01-21 1998-08-04 Bridgestone Corp Studless tire and its production
KR20060002274A (en) 2004-07-01 2006-01-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vehicle tire improved handling
KR20130072062A (en) * 2011-12-21 2013-07-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The rubber compounds for tire trea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221A (en) * 1997-01-21 1998-08-04 Bridgestone Corp Studless tire and its production
KR20060002274A (en) 2004-07-01 2006-01-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vehicle tire improved handling
KR20130072062A (en) * 2011-12-21 2013-07-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The rubber compounds for tire tre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1895A (en) * 2018-06-15 2021-02-09 米其林企业总公司 Winter durable tread
KR20200123910A (en) * 2019-04-23 2020-11-02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neumatic tire applied multi-tr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199B1 (en)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9985B1 (en) Pneumatic tire
EP3687836B1 (en) Truck tire with tread design for reducing abnormal wear
JP2008001249A (en) Pneumatic tire
CN107031290B (en) Airless tire
JPS62181904A (en) Whole-year service type pneumatic tire
JPH11291718A (en) Pneumatic tire
US10377186B2 (en) Pneumatic tire
EP2103649A1 (en) Rubber composition for tire
KR101756414B1 (en) Tire with laminate
JP2006256433A (en) Pneumatic radial tire
CN107531098A (en) Pneumatic vehicle tire with tyre surface
US10500900B2 (en) Pneumatic tire
JP2011012111A (en) Rubber composition and pneumatic tire
US20150107736A1 (en) Tread block structure of pneumatic tire
KR101662199B1 (en) Pneumatic tire
KR101596343B1 (en) Pneumatic tire
JP2001171315A (en) Pneumatic tire
JP5695722B2 (en) Heavy duty pneumatic tire
JP2016037083A (en) Pneumatic tire
JP7355985B2 (en) pneumatic tires
JP3576609B2 (en) Pneumatic tire
JP2013057015A (en) Pneumatic tire
JP5982163B2 (en) Pneumatic tire
JP6601182B2 (en) Pneumatic tire
JPH0260803A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4